KR20210041301A - Baby Formula Maker - Google Patents

Baby Formula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301A
KR20210041301A KR1020190123819A KR20190123819A KR20210041301A KR 20210041301 A KR20210041301 A KR 20210041301A KR 1020190123819 A KR1020190123819 A KR 1020190123819A KR 20190123819 A KR20190123819 A KR 20190123819A KR 20210041301 A KR20210041301 A KR 2021004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by bottle
milk powder
bottl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태우
김나영
김진수
손자희
최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301A/en
Publication of KR2021004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3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8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formula maker. The baby formula maker may cool water supplied to a baby bottle step by step using a plurality of cooling means, thereby effectiv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baby formula maker to the baby bottle. The baby formula maker comprises a baby bottle supporting means, a baby formula container, a water container, a supplying pipe for supplying the water from the water container to the baby bottle, a heating means, a water supply unit including two or more cooling means for cooling the water,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분유 제조기{Baby Formula Maker}Baby Formula Maker

본 발명은, 분유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젖병에 분유와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분유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lk powder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lk powder maker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milk powder and water to a baby bottle.

일반적으로, 신생아는 생후 일정기간 수유기간을 가지게 되는데, 신생아에게 분유와 온수를 섞어서 만든 우유(이하, 분유물이라 한다)를 수유하기도 한다. 이처럼 분유로 우유를 만들기 위해서는 젖병에 적정 온도의 물과 분유를 투입하고, 젖병을 흔들어서 분유와 물을 교반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In general, newborns have a period of feed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birth, and newborns are sometimes fed mil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wdered milk) made by mixing powdered milk and hot water. In order to make milk from powdered milk like this, water and milk powd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are added to a baby bottle, and a method of stirring the milk powder and water by shaking the bottle is sometimes used.

사용자가 직접 젖병을 흔들어서 분유물을 자주 제조하는 것은 제조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로 자동으로 분유물을 제조하는 분유 메이커가 있다.It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frequently manufacture powdered milk by shaking the bott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milk powder maker that automatically manufactures milk powder using the prior art.

종래의 분유 메이커는 젖병을 안착시키고 분유 메이커를 작동하면, 분유 메이커로부터 젖병으로 적절한 온도의 물과 분유가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신생아가 거품과 함께 분유물을 섭취하면 배앓이를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젖병으로 낙하하는 분유와 물이 충격량을 작게 가져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분유와 물이 기울게 안착된 젖병으로 투입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In the conventional milk powder maker, when the milk bottle is seated and the milk powder maker is operated, water and milk powder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re injected from the milk powder maker to the bottle. In order to prevent colic when a newborn baby ingests formula with foam, the milk powder and water falling into the bottle have a small impact to minimize foaming, so that the milk powder and water should be put into a tilted feeding bottle. It is also composed.

예를 들어, 선행문헌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0973781호는 물통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가열하여 끓인 후 이를 적정 온도로 냉각시켜서 젖병에 공급하고, 분유를 젖병에 공급하는 분유 메이커를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as a prior docum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3781 discloses a milk powder maker that heats and boils water supplied from a bucket, cools it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supplies it to a baby bottle, and supplies powdered milk to the baby bottle.

한국 등록특허 제10-0973781호에 개시된 분유 메이커는 적절한 온도의 물과 분유를 젖병에 투입함으로써 사용자가 젖병을 교반하기만 하면 분유물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가열된 물을 하나의 냉각부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므로 젖병에 공급될 물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milk powder mak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3781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nufacture powdered milk just by stirring the bottle by putting water and milk powder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into the bott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baby bottle because it is cooled by using a part.

냉각부를 지나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한 번의 냉각 단계로 제어하는 경우, 냉각부로 유입하는 냉매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해야 할 뿐만 아니라, 냉매의 양이 정밀하게 제어되어도 온도가 정확하게 제어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When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oling unit in one cooling step, not only must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oling unit be precisely controlled, but even if the amount of refrigerant is precisely controlled,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control the temperature. to be.

또한, 물과 분유가 따로 젖병으로 투입되므로, 분유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젖병을 흔드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분유메이커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내부를 청소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water and milk powder are separately added to the baby bott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shake the baby bottle in order to manufacture the milk powder, and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inside because the milk powder maker is integrated.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분유 제조기로부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problem in which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from a milk powder maker to a baby bottle.

또한, 분유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젖병을 수동으로 흔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to solve the hassle of having to manually shake the baby bottle in order to manufacture the milk powder.

또한, 분유 제조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clean the inside of the milk powder maker.

또한, 분유 제조기로부터 젖병으로 분유와 물이 투입될 때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event bubbles from occurring when milk powder and water are added to the baby bottle from the milk powder maker.

또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다양한 젖병에 분유 제조기로부터 배출되는 분유와 물을 효과적으로 투입시키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to effectively put the milk powder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milk powder maker into various baby bottles with different heights.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유 제조기는, 젖병을 지지하는 젖병지지수단,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를 수용하는 분유통,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통, 상기 물통의 물을 상기 젖병으로 이송하는 공급관, 상기 젖병으로 이송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으로 가열되어 상기 젖병으로 이송되는 물을 냉각하는 둘 이상의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물공급부, 상기 가열수단 및 상기 냉각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milk powder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feeding bottl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a feeding bottle, a milk powder container for receiving the milk powder supplied to the feeding bottle, a bucket for receiving water supplied to the feeding bottle, and the bucket A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the water of the bottle to the baby bottle,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water transferred to the baby bottle, two or more cooling means for cooling the water heated by the heating means and transferred to the baby bottle, the heating mean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oling means to control a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구체적으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공급관으로 이송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 제1 냉각수단, 제2 냉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수단에 의해서 냉각되는 물의 온도 변화가 상기 제2 냉각수단에 의해서 냉각되는 물의 온도 변화보다 크도록 상기 제1 냉각수단 및 상기 제2 냉각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water transferred to the supply pipe, a first cooling means, and a second cooling means,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ooled by the first cooling means. The first cooling means and the second cooling means may be controlled to be greater than a temperature change of water cooled by the second cooling mean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유통의 개폐수단 및 상기 물공급부의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의 양 및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mount of milk powder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by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milk powder container and the valve of the water supply part.

또한, 상기 젖병지지수단은 삽입구가 형성되며 경사진 경사판, 상기 삽입구에 삽입이 가능한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판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젖병을 지지하는 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eding bottle support means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an inclined swash plate, an insertion protrus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swash plate, and may includ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eeding bottle.

또한, 상기 젖병지지수단은, 상기 젖병이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수직선에 대하여 15도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분유 제조기.In addition, the baby bottle support means is formed such that the baby bottle is supported at an angle of 15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from the ground.

또한, 상기 삽입구는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상기 경사판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insertion holes may be formed on the swash plate by varying the height.

또한, 분유와 물이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도록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와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의 양 및 물의 양을 포함하는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so that the milk powder and water are supplied to the baby bottl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amount of milk powder and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유 제조기는, 젖병을 지지하는 젖병지지수단,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를 수용하는 분유통,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통, 상기 물통의 물을 상기 젖병으로 이송하는 공급관, 상기 젖병으로 이송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으로 가열되어 상기 젖병으로 이송되는 물을 냉각하는 둘 이상의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물공급부, 상기 분유통 및 상기 공급관과 연통되어 분유와 물을 공급받아 혼합하며, 혼합된 분유와 물이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젖병을 향해서 토출구가 형성된 혼합부, 상기 가열수단 및 상기 냉각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milk powder m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baby bottl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a baby bottle, a milk powder bottle for receiving the milk powd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a bucket for receiving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and the bucket A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the water of the bottle to the baby bottle,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water transferred to the baby bottle, two or more cooling means for cooling the water heated by the heating means and transferred to the baby bottle, the milk powder bottle,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pply pipe, the milk powder and water are supplied and mixed, and a mixing unit having a discharge port toward the baby bottle so that the mixed milk powder and water are supplied to the baby bottle, the heating means and the cooling means are controlled to be supplied to the baby bottle.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공급관은 상기 혼합부 외주면의 접선 방향으로 상기 혼합부와 연통되고 상기 혼합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ly pipe may communicate with the mixing part in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ixing part, and the mixing part may be formed in a funnel shape.

또한, 상기 혼합부는 내주면에 나선 형상의 난류형성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xing unit may have a spiral-shaped turbulence forming mean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상기 난류형성수단은 돌기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rbulence forming means may be formed as a protrusion or groov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발명의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matters of other embodiments for solving the problem are included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분유 제조기는, 복수개의 냉각수단으로 가열된 물을 단계별로 냉각시킴으로써 분유 제조기로부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milk powder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effectiv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from the milk powder maker to the baby bottle by cooling water heated by a plurality of cooling means step by step.

또한, 물과 분유가 혼합부에서 교반되어 젖병으로 투입됨으로써, 사용자가 젖병을 수동으로 흔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water and milk powder are agitated in the mixing unit and introduced into a baby bottl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reducing the hassle of a user having to manually shake the baby bottle.

또한, 분유통과 물통이 분유 제조기 본체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분유 제조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ilk powder container and the water container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ilk powder maker bod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easily cleaning the inside of the milk powder maker.

또한, 젖병받침수단이 젖병을 기울여서 안착시킴으로써 젖병으로 분유와 물이 투입될 때 거품이 적게 발생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bottle support means tilts and seats the bottle, it provides an effect of generating less foam when powdered milk and water are introduced into the bottle.

또한, 젖병받침수단이 높이를 달리하여 젖병을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다양한 젖병에도 분유와 물을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baby bottle support means can seat the baby bottle by varying the height, it provides an effect of effectively injecting milk powder and water into various baby bottles having different heights.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분유 제조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분유 제조기의 탈부착이 가능한 구성 부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높이가 높게 조절된 도1의 분유 제조기의 젖병지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높이가 낮게 조절된 도1의 분유 제조기의 젖병지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된 도1의 분유 제조기의 분유통의 측면도이다.
도6은 도5의 분유통의 개폐수단의 개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도1의 분유 제조기에 결합된 물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도1의 분유 제조기 내부의 물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도1의 분유 제조기에 결합된 혼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내측면이 보이도록 도시된 도9의 혼합부의 평면도이다.
도11은 도1의 분유 제조기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ilk powder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components of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IG. 3 is a view showing a feeding bottle support means of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whose height is adjusted to be high.
4 is a view showing a feeding bottle support means of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whose height is adjusted to be low.
Fig. 5 is a side view of the milk powder container of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shown to be visible inside.
6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milk powder container of FIG.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water bottle coupled to the milk powder maker of Figure 1;
FIG. 8 is a view showing a water supply unit inside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9 is a view showing a mixing unit coupled to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Fig. 10 is a plan view of the mixing unit of Fig. 9 with the inner side visible.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 제조기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milk powder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1은 본 발명의 분유 제조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분유 제조기의 탈부착이 가능한 구성 부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ilk powder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detachable component parts of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 제조기(1)는 커버(100), 본체(200), 수용부(300), 분유통(400), 물주입부(500), 물통(600), 물공급부(700), 혼합부(800), 조작부(900), 표시부(1000), 제어부(1100), 전력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milk powder mak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100, a main body 200, a receiving part 300, a milk powder container 400, and a water injection part 500. ), a bucket 600, a water supply unit 700, a mixing unit 800, an operation unit 900, a display unit 1000, a control unit 1100, and a power supply unit.

먼저, 상기 커버(1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100 will be described.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커버(100)는 상기 본체(200)에 삽입 및 부착된 구성 부품들을 보호하거나 상기 본체(200)의 윗면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상기 본체(200)의 윗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커버(100)를 잡아서 상기 본체(200)로부터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상부에 손잡이(11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cover 100 protects the components inserted and attached to the main body 20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is clearly visible. It can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he cover 10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11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1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cover 100 and detach it from the main body 200.

이어서, 상기 본체(2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200 will be described.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200)는 상기 분유 제조기(1)의 구성 부품들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케이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는 상기 본체(200)로부터 배출되는 분유와 물이 투입될 젖병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인 챔버(220), 상기 젖병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젖병 주변으로 흐르는 분유와 물을 담기 위한 공간인 물받이(240)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main body 200 may have an empty case shape so as to accommodate the components of the milk powder maker 1 therein. In addition, the main body 200 contains a chamber 220, which i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ottle into which the milk powder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200 is put, and contains the milk powder and water flowing around the bottle without flowing into the bottle. A water tray 240, which is a space for, may be formed.

예를 들어,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챔버(220)는 상기 본체(200)의 옆면 일부가 상기 본체(20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물받이(240)는 상기 챔버(200)의 저면에 액체가 고일 수 있도록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the chamber 220 may be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is recess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200. Further, referring to FIG. 2, the drip tray 240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that liquid may be stored on the bottom of the chamber 200.

이어서, 상기 수용부(3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300 will be described.

상기 수용부(300)는 상기 챔버(220)에 설치되어 상기 젖병에 물과 분유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젖병을 수용할 수 있으며, 젖병지지수단(310), 물받이커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par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chamber 220 to accommodate the baby bottle so that water and milk powder can be injected into the bottle, and may include a baby bottle support means 310 and a drip tray cover 330. have.

상기 젖병지지수단(310)은 상기 본체(200)로부터 유출되는 분유와 물이 상기 젖병의 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젖병의 위치를 조절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젖병이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도 분유와 물이 상기 젖병의 입구로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젖병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baby bottle support means 310 can support the baby bottl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aby bottle so that the milk powder and water flowing out of the main body 200 can flow into the inlet of the baby bottle, and even when the baby bottle has various heights It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baby bottle by varying the height so that the milk powder and water can effectively flow into the inlet of the baby bottle.

그리고, 상기 젖병지지수단(310)은 상기 젖병으로 유입되는 분유와 물의 운동에너지에 의해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유와 물이 상기 젖병으로 비스듬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젖병을 지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젖병은 상기 젖병지지수단(310)에 의해서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수직선에 대하여 15도 경사지도록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by bottle support means 310 may support the baby bottle so that the milk powder and water are obliquely introduced into the baby bottle in order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bubbles due to the kinetic energy of the milk powder and water flowing into the baby bottle. For example, the feeding bottle may be supported by the feeding bottle support means 310 so as to be inclined by 15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도3은 높이가 높게 조절된 도1의 분유 제조기의 젖병지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높이가 낮게 조절된 도1의 분유 제조기의 젖병지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baby bottle support means of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with a height adjusted high,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baby bottle support means of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with a lower height adjustment.

예를 들어,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젖병지지수단(310)은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삽입구(312-1)가 형성되고 경사진 경사판(312)과, 상기 삽입구(312-1)에 삽입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돌기(315a)가 형성되고 상기 젖병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315)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feeding bottle support means 310 include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12-1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an inclined swash plate 312, and the insertion opening 312- The insertion protrusion 315a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1) and detachable, and a support 315 capable of supporting the feeding bottle may be included.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315)은 상기 삽입돌기(315a)를 적절한 높이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312-1)에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젖병에 분유와 물이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젖병을 지지할 수 있다.3 and 4, the support 315 inserts the insertion protrusion 315a into the insertion hole 312-1 formed at an appropriate height, so that the milk powder and water The feeding bottle can be supported so as to stably flow in.

상기 물받이커버(330)는 상기 젖병지지수단(310)으로 지지되는 상기 젖병이 적절한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경우, 상기 젖병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물받이(240)에 고이게 되는 분유와 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물받이(240)를 덮을 수 있다.When the feeding bottle supported by the feeding bottle support means 310 is not plac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the drip tray cover 330 may prevent the milk powder and water accumulated in the drip tray 240 from being seen from the outside. The drip tray 240 may be covered.

예를 들어,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물받이커버(330)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물받이(240)의 상측을 덮도록 구성되고, 분유와 물이 상기 물받이(240)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복수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the drip tray cover 330 is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drip tray 240 so that it can be opened or closed, and milk powder and water can flow into the drip tray 240. A plurality of slits may be formed.

이어서, 상기 분유통(4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milk powder container 400 will be described.

상기 분유통(400)은 분유가 상기 젖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에 분유를 수용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와 끼워맞춤 방식 등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ilk powder container 400 may contain powdered milk therein so that the milk powder can be supplied to the baby bottle, and as shown in FIG. 2,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main body 200 in a fitting manner, etc. Can be.

그리고, 상기 분유통(400)은 상기 젖병으로 분유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되는 분유가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반수단(420),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개폐수단(430),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분유가 배출되도록 하부에 주입구멍(41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lk powder container 400 is a stirring means 420 that can prevent the milk powder accommodated therein from hardening so that the milk powde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feeding bottle, opening and closing to control the amount of milk powder supplied to the feeding bottle A means 430 and a motor may be included, and an injection hole 410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milk powder is discharged.

도5는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된 도1의 분유 제조기의 분유통의 측면도이고, 도6은 도5의 분유통의 개폐수단의 개폐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side view of the milk powder container of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shown to be visible inside,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closing means of the milk powder container of Fig. 5.

상기 교반수단(420)은 상기 분유통(400) 내부에 수용된 분유가 굳지 않도록 교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교반수단(420)은 일측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날개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수단(420)은 상기 분유통(400) 내부에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수단(42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날개 및 상기 돌기가 상기 분유통(400) 내부에 수용된 분유를 교반하므로, 상기 분유통(400) 내부에 수용된 분유는 굳지 않고 분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The stirring means 420 may agitate the milk powder accommodated in the milk powder container 400 so that it does not harden.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stirring means 4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or more blades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re formed in a spiral shape. In addition, the stirring means 420 may be installed in the milk powder container 400 to be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to enable rotation. As the stirring means 420 rotates, the blades and the protrusions agitate the milk powder accommodated in the milk powder container 400, so that the milk powder accommodated in the milk powder container 400 is not hardened, and the powder shape can be maintained.

상기 개폐수단(430)은 상기 주입구멍(410)을 개폐하여 분유가 상기 주입구멍(410)으로 배출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도6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개폐수단(430)은 바닥면에 평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주입구멍(410)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means 430 may open and close the injection hole 410 to control the discharge of milk powder to the injection hole 410. Referring to FIG. 6 as an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3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nd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injection hole 410 as it rotates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상기 모터는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교반수단(420) 또는 상기 개폐수단(4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과 기어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개폐수단(43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교반수단(420)의 교반을 조절할 수 있다.The motor may b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to rotate the stirring means 420 or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30. For example, the motor may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30 by gear-coupled with the rotation shaft and rotating the rotation shaft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tirring of the stirring means 420 can be controlled. I can.

이어서, 상기 물주입부(5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injection unit 500 will be described.

상기 물주입부(500)는 상기 본체(200)를 통해서 상기 물통(600)에 물을 주입할 때, 주입하는 물이 상기 물통(600)으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물주입부(500)는 하부에 구멍이 뚫린 깔때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주입부(500)는 청소가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끼워맞춤 방식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When water is injected into the bucket 600 through the main body 200, the water injection part 500 may form a flow path so that the injected water is guided to the bucket 600.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water injection part 500 may be formed to have a funnel shape with a hole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In addition, the water injection unit 50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00 by a fitting method so that it can be easily cleaned when cleaning is required.

이어서, 상기 물통(6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bucket 600 will be described.

도7은 도1의 분유 제조기에 결합된 물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view showing a water bottle coupled to the milk powder maker of Figure 1;

상기 물통(600)은 젖병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된 투명 창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600)은 물을 주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에는 밸브(630)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630)의 개폐를 통해서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도 있다.The bucket 600 may contain water to be supplied to a baby bottle therein, and may have a transparent window formed with a scale so that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therein can be visually identified. In addition, the bucket 600 may be formed with an inlet for injecting wate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water, and a valve 630 is provided at the outlet, and at the outlet through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630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may be controlled.

그리고, 상기 물통(600)은 상기 본체(20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끼워맞춤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물통(600)은 상기 물주입부(500)와 상기 유입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200)의 후방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물주입부(500)로 투입한 물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cket 60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00 by a fitting method or the like so as to be detachabl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 and 7, the water container 6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200 so that the water injection part 500 and the inle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ater injected into the water injection unit 500 may be configured to flow into the inlet.

이어서, 상기 물공급부(7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700 will be described.

도8은 도1의 분유 제조기 내부의 물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 water supply unit inside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상기 물공급부(700)는 상기 물통(600)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가열 및 냉각하여 상기 젖병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200)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710), 냉각수단(720), 공급관(730),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700 may heat and cool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ucket 600 and supply it to the baby bottle. Referring to FIG. 8, a heating means 71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00 , A cooling means 720, a supply pipe 730, may include a transfer means.

상기 가열수단(710)은 상기 공급관(730)을 통해서 이송되는 물(이하, 공급되는 물이라 한다)을 가열할 수 있으며, 도체에 전류를 통하였을 때 발생하는 줄열을 이용하는 종래의 저항가열수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710)은 공급되는 물이 끓도록 가열하여 소독할 수 있다.The heating means 710 can heat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pplied water) through the supply pipe 730, and a conventional resistance heating means using Joule heat generated when an electric current is passed through a conductor, etc. It can be composed of. In addition, the heating means 710 may be sterilized by heating the supplied water to boil.

상기 냉각수단(720)은 상기 가열수단(710)을 통해서 가열되어 공급되는 물을 적절한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열교환을 통해서 물체를 냉각시킬 수 있는 종래의 냉매가 흐르는 냉매수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단(720)은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열수단(710)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고, 냉매의 주입량을 조절하여 냉각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oling means 720 can cool the water supplied by heating through the heating means 710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can be composed of a refrigerant means through which a conventional refrigerant flows, which can cool an object through heat exchange. have. The cooling means 720 may be disposed behind the heating means 710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lied water flows, and the cooling temperature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refrigerant.

그리고, 상기 냉각수단(720)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공급되는 물을 여러 단계를 통해서 냉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means 7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oling the supplied water through several steps.

예를 들어,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냉각수단(720)은 제1 냉각수단(720-1)과,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냉각수단(720-1)의 뒤쪽에 배치되는 제2 냉각수단(720-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젖병에 공급되어야 할 물의 설정온도가 정해진 경우, 상기 제1 냉각수단(720-1)으로 상기 가열수단(71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상기 설정온도에 근접하게 냉각시키고, 상기 제2 냉각수단(720-2)으로 상기 제1 냉각수단(720-1)에 의해 냉각된 물을 상기 설정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the cooling means 720 includes the first cooling means 720-1 and the first cooling means 720-1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lied water flows. It may include a second cooling means (720-2) disposed at the rear. And, when the set temperature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baby bottle is determined, the water heated by the heating means 710 is cooled by the first cooling means 720-1 to approximate the set temperature, and the second cooling The water cooled by the first cooling means 720-1 may be cooled to the set temperature by means of the means 720-2.

이와 같이, 상기 제1 냉각수단(720-1)으로 물을 상기 설정온도에 근접하게 냉각시키는 것은 냉매의 주입을 정밀하게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가 쉬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냉각수단(720-1)으로 상기 설정온도에 근접한 온도의 물을 상기 설정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은, 적은양의 냉매로 작은 온도 변화를 조절하는 것이므로 물의 최종 온도와 상기 설정온도 간의 오차범위가 작게 된다.In this way, cooling water close to the set temperature by the first cooling means 720-1 does not require precise control of the injection of the refrigerant, and thus can be easily controlled. In addition, cooling the water having a temperature close to the set temperature to the set temperature by the second cooling means 720-1 is to control a small temperature change with a small amount of refrigerant, so that between the final temperature of water and the set temperature The error range becomes small.

상기 공급관(730)은 상기 물통(600)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물통(6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젖병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형성된 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upply pipe 730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bucket 600 to transfer water discharged from the bucket 600 to the feeding bottle, and may be formed of a tu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that does not rust.

그리고, 상기 공급관(730)은 상기 가열수단(710), 상기 냉각수단(720)을 지나면서 열교환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상기 가열수단(710), 상기 냉각수단(720)과 열교환을 할 수 있는 단면적을 크게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공급관(730)은 상기 가열수단(710), 상기 냉각수단(720)을 코일의 형태로 감싸면서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ly pipe 730 is a cross-sectional area capable of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the heating means 710 and the cooling means 720 in order to effectively heat exchange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ing means 710 and the cooling means 720.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larg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the supply pipe 730 may be configured to pass while surrounding the heating means 710 and the cooling means 720 in the form of a coil.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물통(600)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공급관(730)을 통해서 상기 젖병으로 유입되도록 물을 이송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펌프(pump)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fer means may transfer water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ucket 600 flows into the baby bottle through the supply pipe 730, and may be configured with a conventional pump or the like.

이어서, 상기 혼합부(8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mixing unit 800 will be described.

상기 혼합부(800)는 상기 챔버(220)의 상기 젖병지지수단(3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분유와 물을 공급받아 젖병으로 배출할 수 있다.The mixing unit 8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eeding bottle support means 310 of the chamber 220 to receive milk powder and water and discharge them to the feeding bottle.

도9는 도1의 분유 제조기에 결합된 혼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mixing unit coupled to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예를 들어, 도2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혼합부(800)는 하부에 토출구(840)가 형성된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유통(400)의 상기 주입구멍(410)과 연통되어 분유를 공급받고, 상기 공급관(730)과 연통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부(800) 내부에 수용된 분유와 물은 혼합되어 상기 토출구(840)를 통해서 배출되어 상기 젖병으로 유입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 and 9, the mixing unit 800 is configured in a funnel shape with a discharge port 84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injection hole 410 of the milk powder container 400. As a result, milk powder may be supplied, and water may be supplied by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pipe 730. In addition, the milk powder and water accommodated in the mixing unit 800 may be mix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840 to be introduced into the baby bottle.

도10은 내측면이 보이도록 도시된 도9의 혼합부의 평면도이다.Fig. 10 is a plan view of the mixing unit of Fig. 9 with the inner side visible.

한편,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혼합부(800)는 상기 공급관(730)이 상기 혼합부(800) 외주면의 접선 방향으로 연통되고 내주면에 나선 형상의 난류형성수단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난류형성수단에 의해서 소용돌이를 형성하여 분유와 물이 효과적으로 혼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난류형성수단은 돌기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0, in the mixing unit 800, the supply pipe 730 is communicated in a tangential direction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ixing unit 800, and a helical turbulence forming means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flow water may be configured to form a vortex by the turbulence forming means so that the milk powder and water are effectively mixed. The turbulence forming means may be formed as a protrusion or a groove.

이어서, 상기 조작부(9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unit 900 will be described.

상기 조작부(900)는 상기 분유 제조기(1)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작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1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본체(200) 외부 표면에 버튼 또는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900 may b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input an operation command in order to operate the milk powder maker 1. Referring to FIG. 1 as an example, a button or a touc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It may be configured and installed as a panel or the like.

상기 조작부(900)로 입력할 수 있는 작동 명령은 젖병으로 공급될 분유의 양, 물의 양, 물의 온도 등이 있을 수 있다.The operation command that can be input to the operation unit 900 may include an amount of milk powder to be supplied to a baby bottle, an amount of water, a temperature of water, and the like.

이어서, 상기 표시부(10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1000 will be described.

상기 표시부(1000)는 상기 분유 제조기(1)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도1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본체(200) 외부 표면에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0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milk powder maker 1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Referring to FIG. 1 as an example, a display panel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It can be configured and installed.

상기 표시부(1000)로 표시할 수 있는 정보는 젖병으로 공급될 분유의 양, 물의 양, 물의 온도 등이 있을 수 있다.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0 may include an amount of milk powder to be supplied to a baby bottle, an amount of water, and a temperature of water.

이어서, 상기 제어부(11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10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조작부(900)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분유 제조기(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종래의 마이컴(micro compu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ilk powder maker 1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operation unit 900, and may be configured with a conventional micro computer or the like.

도11은 도1의 분유 제조기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milk powder maker of FIG. 1.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젖병으로 공급될 물의 공급량(1120)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가열수단(710) 및 상기 냉각수단(720)을 제어하여 상기 젖병으로 공급될 물의 온도(1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개폐수단(430)을 제어하여 상기 젖병으로 공급될 분유의 공급량(1160)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control unit 1100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to adjust the supply amount 1120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baby bottle, and the heating unit 710 and the cooling unit 720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1140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baby bottle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0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30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1160 of the milk powder to be supplied to the baby bottle.

한편,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분유 제조기(1)의 제어 결과값이 상기 표시부(1000)로 출력되도록 표시 정보(1180)를 제어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100 may control the display information 1180 so that the control result value of the milk powder maker 1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00.

이어서, 상기 전력공급부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will be described.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분유 제조기(1)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종래의 2차 전지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2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ilk powder maker 1, and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0 by being configured with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or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분유 제조기(1)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milk powder mak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상기 젖병을 상기 젖병지지수단(310)에 위치시킨 후 물의 설정온도, 공급량 및 분유공급량을 지정하여 상기 조작부(900)를 조작하면, 상기 젖병으로 물과 분유가 공급된다. 이 때, 상기 젖병지지수단(31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높이가 다른 상기 젖병을 수용할 수 있다.When the user positions the bottle in the bottle support means 310 and then operates the operation unit 900 by designating a set temperature, supply amount, and milk powder supply amount of water, water and milk powder are supplied to the bottle. In this case, the baby bottle support means 310 can accommodate the baby bottles having different heights because the height is adjustable.

구체적으로, 상기 물통(600)으로부터 설정된 공급량만큼 물이 배출되면 상기 가열수단(710)에 의해서 가열되어 소독되고, 상기 제1 냉각수단(720-1)에 의해서 상기 설정온도에 근접하게 냉각되며, 상기 제2 냉각수단(720-2)에 의해서 상기 설정온도로 냉각된다. 상기 설정온도로 냉각된 물은 상기 젖병으로 직접 투입될 수도 있고, 상기 분유 제조기(1)가 상기 혼합부(800)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혼합부(800)로 유입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bucket 600 by the amount of supply set, it is heated and sterilized by the heating means 710, and cooled close to the set temperature by the first cooling means 720-1, It is cooled to the set temperature by the second cooling means 720-2. The water cooled to the set temperature may b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baby bottle, or may be introduced into the mixing unit 800 when the milk powder maker 1 includes the mixing unit 800.

그리고, 상기 분유통(400)으로부터 설정된 공급량만큼 분유가 상기 주입구멍(410)으로 배출되어, 상기 젖병으로 직접 투입되거나 상기 혼합부(800)로 투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lk powder is discharged to the injection hole 410 as much as the amount supplied from the milk powder container 400, and may be directly injected into the baby bottle or may be injected into the mixing unit 800.

상기 분유 제조기(1)가 상기 혼합부(800)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혼합부(800) 내부로 유입된 분유와 물은 상기 난류형성수단(820)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상기 젖병으로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milk powder maker 1 includes the mixing unit 800, the milk powder and water introduced into the mixing unit 800 are effectively mixed by the turbulence forming means 820 and introduced into the baby bottle. have.

한편, 상기 젖병지지수단(310)은 상기 젖병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젖병에 투입되는 분유와 물은 거품이 적게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eeding bottle support means 31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feeding bottle by tilting i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milk powder and water that are introduced into the feeding bottle generate less foam.

사용자는 상기 분유 제조기(1)의 청소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본체(200)로부터 상기 커버(100), 상기 분유통(400), 상기 물통(600) 등의 구성 부품을 분리하여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다.When the user needs to clean the milk powder maker 1, the cover 100, the milk powder container 400, and the water container 6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00 and cleaned conveniently.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분유 제조기는, 복수개의 냉각수단으로 가열된 물을 단계별로 냉각시킴으로써 분유 제조기로부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ilk powder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effectiv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from the milk powder maker to the baby bottle by cooling water heated by a plurality of cooling means step by step.

또한, 물과 분유가 혼합부에서 교반되어 젖병으로 투입됨으로써, 사용자가 젖병을 수동으로 흔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water and milk powder are agitated in the mixing unit and introduced into a baby bottl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reducing the hassle of a user having to manually shake the baby bottle.

또한, 분유통과 물통이 분유 제조기 본체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분유 제조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ilk powder container and the water container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ilk powder maker bod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easily cleaning the inside of the milk powder maker.

또한, 젖병받침수단이 젖병을 기울여서 안착시킴으로써 젖병으로 분유와 물이 투입될 때 거품이 적게 발생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bottle support means tilts and seats the bottle, it provides an effect of generating less foam when powdered milk and water are introduced into the bottle.

또한, 젖병받침수단이 높이를 달리하여 젖병을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다양한 젖병에도 분유와 물을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baby bottle support means can seat the baby bottle by varying the height, it provides an effect of effectively injecting milk powder and water into various baby bottles having different heights.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embodiments above,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should be determined by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ality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later.

100 : 커버 200 : 본체
240 : 물받이 300 : 수용부
310 : 젖병지지수단 312 : 경사판
315 : 받침 330 : 물받이커버
400 : 분유통 410 : 주입구멍
420 : 교반수단 430 : 개폐수단
500 : 물주입부 600 : 물통
700 : 물공급부 710 : 가열수단
720 : 냉각수단 730 : 공급관
800 : 혼합부 820 : 난류형성수단
900 : 조작부 1000 : 표시부
1100 : 제어부
100: cover 200: main body
240: drip tray 300: receiving portion
310: baby bottle support means 312: swash plate
315: base 330: drip tray cover
400: milk powder container 410: injection hole
420: stirring means 430: opening and closing means
500: water injection part 600: water bottle
700: water supply unit 710: heating means
720: cooling means 730: supply pipe
800: mixing unit 820: turbulence forming means
900: control unit 1000: display unit
1100: control unit

Claims (16)

젖병을 지지하는 젖병지지수단;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를 수용하는 분유통;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통;
상기 물통의 물을 상기 젖병으로 이송하는 공급관, 상기 젖병으로 이송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으로 가열되어 상기 젖병으로 이송되는 물을 냉각하는 둘 이상의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가열수단 및 상기 냉각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유 제조기.
Baby bottl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baby bottle;
A milk powder container containing the milk powd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A bucket for receiving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A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water from the bucket to the baby bottle, a heating means for heating water transferred to the baby bottle, and two or more cooling means for cooling water heated by the heating means and transferred to the baby bottl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by controlling the heating means and the cool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공급관으로 이송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 제1 냉각수단, 제2 냉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수단에 의해서 냉각되는 물의 온도 변화가 상기 제2 냉각수단에 의해서 냉각되는 물의 온도 변화보다 크도록 상기 제1 냉각수단 및 상기 제2 냉각수단을 제어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water transferred to the supply pipe, a first cooling means, and a second cooling mean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ooling means and the second cooling means so that a temperature change of water cooled by the first cooling means is greater than a temperature change of water cooled by the second cooling mea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통은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의 양을 개폐를 통해서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개폐를 통해서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수단,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의 양 및 물의 양을 제어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milk powder container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milk powd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through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valve that adjust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through opening and closing,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he valve to control the amount of milk powder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지지수단은 삽입구가 형성되며 경사진 경사판, 상기 삽입구에 삽입이 가능한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판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젖병을 지지하는 받침을 포함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baby bottle support means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an inclined sloping plate, an insertion protrusion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is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swash plate,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aby bott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지지수단은, 상기 젖병이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수직선에 대하여 15도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baby bottle support means is formed so that the baby bottle is supported at an angle of 15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from the grou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상기 경사판에 형성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the insertion openings are formed on the swash plate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milk powder maker.
제6항에 있어서,
분유와 물이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도록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6,
Powdered milk mak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so that the milk powder and water are supplied to the baby bott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의 양 및 물의 양을 포함하는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7,
A milk powder mak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amount of milk powder and an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젖병을 지지하는 젖병지지수단;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를 수용하는 분유통;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통;
상기 물통의 물을 상기 젖병으로 이송하는 공급관, 상기 젖병으로 이송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으로 가열되어 상기 젖병으로 이송되는 물을 냉각하는 둘 이상의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물공급부;
상기 분유통 및 상기 공급관과 연통되어 분유와 물을 공급받아 혼합하며, 혼합된 분유와 물이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젖병을 향해서 토출구가 형성된 혼합부; 및
상기 가열수단 및 상기 냉각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유 제조기.
Baby bottl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baby bottle;
A milk powder container containing the milk powd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A bucket for receiving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A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water from the bucket to the baby bottle, a heating means for heating water transferred to the baby bottle, and two or more cooling means for cooling water heated by the heating means and transferred to the baby bottle;
A mix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milk powder container and the supply pipe to receive and mix powdered milk and water, and having a discharge port toward the feeding bottle so that the mixed milk powder and water are supplied to the feeding bottl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by controlling the heating means and the cooling mea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혼합부 외주면의 접선 방향으로 상기 혼합부와 연통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supply pip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mixing unit in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ixing unit, milk powder mak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mixing unit is formed in a funnel shape, milk powder mak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내주면에 나선 형상의 난류형성수단이 형성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mixing unit, a spiral-shaped turbulence forming means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wdered milk mak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형성수단은 돌기 또는 홈으로 형성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turbulence forming means is formed as a protrusion or groove, milk powder mak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통은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의 양을 개폐를 통해서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개폐를 통해서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수단,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젖병으로 공급되는 분유의 양 및 물의 양을 제어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milk powder container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milk powd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through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valve that adjust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through opening and closing,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he valve to control the amount of milk powder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aby bott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지지수단은 높이를 달리하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경사진 경사판, 상기 삽입구에 삽입이 가능한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판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젖병을 지지하는 받침을 포함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feeding bottle support means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having a different height, an inclined sloping plate, an insertion protrus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so as to be detachable to the swash plate,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aby bott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지지수단은, 상기 젖병이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수직선에 대하여 15도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분유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baby bottle support means is formed so that the baby bottle is supported at an angle of 15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from the ground.
KR1020190123819A 2019-10-07 2019-10-07 Baby Formula Maker KR202100413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19A KR20210041301A (en) 2019-10-07 2019-10-07 Baby Formula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19A KR20210041301A (en) 2019-10-07 2019-10-07 Baby Formula M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01A true KR20210041301A (en) 2021-04-15

Family

ID=7544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19A KR20210041301A (en) 2019-10-07 2019-10-07 Baby Formula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30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109A (en) 2021-10-07 2023-04-14 이재완 Smart apparatus for making baby formul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109A (en) 2021-10-07 2023-04-14 이재완 Smart apparatus for making baby formul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20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ingredients for a baby bottle
CN107400582B (en) Beer brewing device
US8360279B1 (en) Automatic baby formula preparation device
CA2931062C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CN107613820B (en) Stirring piece and stirring device
JP2012519046A (en) Equipment for producing milk foam
CN110063658B (en) Device for at least partially closing a cooking vessel opening, cooking vessel system and electric kitchen appliance
JP2017528266A (en) Milk frothing apparatus,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20210041301A (en) Baby Formula Maker
CN106793891B (en) Beverage making device
WO2017164378A1 (en) Stirring device and stirring system
US9730545B2 (en) Baby formula preparation device
US200501730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lk preparation from milk powder
CN107847077B (en) Liquid cooling device and beverage producing device
KR102457862B1 (en)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CN105828675B (en) Beverage making device
KR101258070B1 (en) Powdered milk supply vessel
KR2001008691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ixing dried milk with water and sterillizing milk bottles
KR101327550B1 (en) Milk power dispenser and milk power container
JP2005073869A (en) Milk foamer and coffee beverage preparing apparatus provided with it
JP2019115482A (en) Solution preparation apparatus and solution preparation method
CN214017233U (en) Host computer and cooking machine of cooking machine
KR102184567B1 (en) A temperature-controlled mixing bowl system using water circulation, and a mixer for bakery and confectionery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mixing ball system
JP2008272275A (en) Beverage dispenser
CN214017265U (en) Host computer and cooking machine of coo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