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071A - 렌즈 세트 조립체, 광학 렌즈,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렌즈 세트 조립체, 광학 렌즈,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071A
KR20210041071A KR1020217007598A KR20217007598A KR20210041071A KR 20210041071 A KR20210041071 A KR 20210041071A KR 1020217007598 A KR1020217007598 A KR 1020217007598A KR 20217007598 A KR20217007598 A KR 20217007598A KR 20210041071 A KR20210041071 A KR 20210041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es
adhesive
lens barrel
se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히코 다나까
헹 지앙
린 리우
리퓅 첸
리?m 첸
Original Assignee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305574.X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84218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922696.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824657A/zh
Application filed by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4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렌즈통; 및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렌즈통에 내장되어 렌즈 세트가 조립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사이 및/또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 접착제가 구비되어, 조립된 상기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다. 본 출원은 대응하는 광학 렌즈,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은 렌즈 사이의 접착 강화를 통해, 고민감도 다렌즈 광학 시스템의 조립 정밀도와 조립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고; 능동 교정 프로세스에 기반한 광학 렌즈의 변형을 감소할 수 있고; 본래 흘러넘칠 가능성이 있는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고; 및 능동 교정 프로세스에 기반한 광학 렌즈가 조립으로 인한 불량을 감소할 수 있으며, 특히 필드 곡률과 피크 변화를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세트 조립체, 광학 렌즈,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본 출원은 2018년 8월 14일 중국 특허청(CNIPA)에 제출한, 출원 번호가 201810922696.1, 발명 명칭이 "렌즈 세트 조립체, 광학 렌즈,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인 중국 발명 특허 및 2018년 8월 14일 CNIPA에 제출한, 출원 번호가 201821305574.X, 발명 명칭이 "렌즈 세트 조립체, 광학 렌즈 및 카메라 모듈"인 중국 실용실안 특허 출원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한다. 상기 두 출원의 전부 내용은 본 출원에 인용됨으로써 포함된다.
본 출원은 광학 이미징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렌즈 세트 조립체, 광학 렌즈,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컴퓨터 등 단말기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들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의 촬영 품질에 대한 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조업체들은 맞춤형, 주문형 카메라 모듈, 예를 들어, 대구경, 대광각, 수차 해결을 위해 제조한 렌즈를 포함한 렌즈 등을 개발하고 있다. 한편으로 광학 설계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다른 한편으로 복잡한 광학 시스템은 매우 민감하여, 제조 우량률과 제품 품질에 대한 큰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다. 대구경, 대광각의 카메라 모듈의 광학 시스템은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그 제조 공정 및 검증 공정의 신뢰성이 기존 설계보다 떨어지므로, 보다 우수한 구조의 렌즈가 필요하다.
반면에, 점점 더 광범위한 시장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 고화소, 작은 사이즈, 대구경은 기존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불가역적인 개발 추세로 되고 있다. 하지만, 동일한 카메라 몰딩에서 고화소, 작은 사이즈, 대구경 등 3가지 측면의 수요를 만족하기에는 어려움이 매우 크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컴팩트한 개발과 휴대폰 화면 비율의 증가로 인해 휴대폰 내부에서 전치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공간이 점점 더 작아지고 있으나, 시장에서 카메라 모듈의 이미징 품질에 대한 요구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컴팩트형 카메라 모듈(예를 들어 휴대폰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 분야에서는 통상 광학 이미징 카메라의 품질과 패키징 과정에서의 제조 오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이미징 카메라의 제조 과정에서, 렌즈 해상력에 영향주는 요소는 각 부품 및 관련 조립 오차, 렌즈 스페이서 부품의 두께 오차, 각 렌즈의 조립 배합 오차 및 렌즈 소재의 굴절률 변화 등에서 비롯된다. 렌즈 해상력에 영향주는 요소가 매우 많고, 또한 여러 개의 부품에 존재하며, 각각의 요소에 대한 제어에 모두 제조 정밀도의 한계가 존재하므로, 단순히 각 부품의 정밀도만 향상시킬 경우, 향상 능력이 제한되고 향상 원가가 높으며 시장에서 날로 증가하는 이미징 품질에 대한 요구를 만족할 수 없다.
본 출원인은 능동 교정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 하 서브 렌즈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 및 결정한 후, 결정된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 하 서브 렌즈를 접착시켜 완전한 광학 렌즈 또는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조립 방법을 제시한다. 이런 해결방안은 대량 생산되는 광학 렌즈 또는 카메라 모듈의 공정 능력 지수 (CPK)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각 부품이 재료(예를 들어 광학 렌즈 또는 카메라 모듈의 서브 렌즈거나 감광 모듈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정밀도 및 재료의 조립 정밀도에 대한 요구를 낮추어 광학 이미징 렌즈 및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원가를 인하할 수 있고; 조립 과정 중에 카메라 모듈의 여러 가지 수차에 대해 실시간 조정을 진행함으로써, 불량률을 낮추고 생산원가를 인하하며 이미징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의 광학 시스템 자체에 대한 능동 교정은 새로운 생산 프로세스로, 실제 양산에서는 광학 렌즈와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 낙하 저항성, 내후성 및 제조원가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때로는 여러 가지 불가측 요소로 인한 우량률 인하에 직면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본 출원인은, 능동 교정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제조한 광학 렌즈의 구조적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은, 이러한 광학 렌즈의 이미징 품질 및 우량률을 향상하는 중요한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능동 교정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제조한 광학 렌즈의 구조적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 시급히 필요하다.
본 출원의 목적은 기존 기술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렌즈통; 및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렌즈통에 내장되어 렌즈 세트가 조립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사이 및/또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 접착제가 구비되어, 조립된 상기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전단에 위치한 세 개의 렌즈가 있고, 상기 전단에 위치한 세 개의 렌즈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사이 및/또는 상기 전단에 위치한 세 개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가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는 광학 영역 및 상기 광학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가 포함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의 상기 구조 영역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가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는 광학 영역 및 상기 광학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인접한 제1 감합 렌즈와 제2 감합 렌즈가 포함되며, 상기 제1 감합 렌즈의 구조 영역은 제1 감합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감합 렌즈의 구조 영역은 제2 감합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감합 돌출부와 상기 제2 감합 돌출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 감합 돌출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2 감합 돌출부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감합 간극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액상 풀 및/또는 접착막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가 액상 풀일 경우, 상기 액상 풀은 요변성 계수가 1.2 이내이고 점도가 500 이하인 액상 풀이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가 액상 풀일 경우,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가 포함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 사이에는 스페이서 링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 링에는 틈이 있고, 상기 틈은 상기 액상 풀을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가 접착막일 경우,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가 포함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는 상기 접착막을 통해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내장된 보강 렌즈가 포함되고, 상기 내장된 보강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가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통의 내측에는 다단식 단차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는 순차적으로 상기 다단식 단차부에 내장된다.
여기서, 상기 다단식 단차부 중의 각각의 단차부는 단차부 측벽 및 단차면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단차부 측벽은 상기 렌즈통의 축과 평행되고, 상기 단차면은 상기 렌즈통의 축과 수직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액상 풀이며, 상기 렌즈통의 내측에는 유도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 통로는 상기 다단식 단차부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단차부를 연결하여, 액상 풀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단차부 사이에서 유동하기에 적합하도록 하며, 상기 유도 통로는 상기 액상 풀에 의해 채워진다.
여기서, 상기 유도 통로는 유도홈이고, 상기 유도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에는 내장된 보강 렌즈가 배치되며, 상기 내장된 보강 렌즈의 외측면과 상기 유도홈 사이의 간극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채워진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환형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접착제는 환형의 복수의 지점에 분포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UV 접착제, UV 열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수분 경화 접착제, 혐기성 접착제 또는 용매 증발후 경화된 액상 풀이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 부재; 제2 렌즈통 및 상기 제2 렌즈통 내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 부재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는 함께 이미징 가능한 광학 시스템을 구성함 - ; 및 상기 제1 렌즈 부재와 상기 제2 렌즈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렌즈 부재와 상기 제2 렌즈 부재를 지지하기에 적합하여 양자의 상대적 위치가 능동 교정에 의해 결정된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능동 교정 접착제를 포함하는 광학 렌즈를 더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제2 렌즈 부재는 전술한 렌즈 세트 조립체이고, 상기 제2 렌즈통은 상기 렌즈 세트 조립체의 상기 렌즈통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는 상기 렌즈 세트 조립체의 상기 복수의 렌즈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렌즈 부재는 제1 렌즈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는 상기 제1 렌즈통 내에 실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렌즈 부재는 상기 렌즈 세트 조립체이며, 여기서, 상기 제1 렌즈통은 상기 렌즈 세트 조립체의 상기 렌즈통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는 상기 렌즈 세트 조립체의 상기 복수의 렌즈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렌즈 부재는 상기 광학 렌즈의 전단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렌즈 부재의 축과 상기 제2 렌즈 부재의 축 사이 끼인각은 0이 아니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렌즈 세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다른 카메라 모듈을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을 더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1) 복수의 렌즈를 순차적으로 내측에 다단식 단차부를 갖는 렌즈통에 내장하여 렌트 세트를 조립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1)의 수행 과정 중 또는 상기 단계(1)가 완성된 후,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사이 및/또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 접착제를 추가하여, 조립된 상기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2)는 하위 단계인, (a)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인접한 두 개의 렌즈에 대해, 이전 렌즈를 내장한 후, 상기 이전 렌즈의 구조 영역의 표면에 접착제를 배치하고, 그 후 다음 렌즈를 내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2)는 하위 단계인, (b)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인접한 두 개의 렌즈에 대해, 이전 렌즈를 내장한 후, 상기 이전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 액상 풀을 배치하고, 그 후 다음 렌즈를 내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2)는 하위 단계인, (c) 상기 접착제는 액상 풀이며,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인접한 렌즈가 렌즈통에 내장된 후, 상기 렌즈통의 내측에 설치된 유도 통로를 통해 액상 풀을 배치하여, 상기 액상 풀이 상기 유도 통로를 따라 상기 인접한 렌즈의 구조 영역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a) 중, 상기 접착제는 액상 풀이며, 상기 단계(a)는, 상기 이전 렌즈를 내장한 후, 상기 이전 렌즈의 구조 영역의 표면에 스페이서 링을 배치하는 단계 - 상기 스페이서 링은 오목 부분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오목 부분은 광축과 수직되는 방향에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며, 상기 이전 렌즈의 표면에서 상기 오목 부분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은 노출됨 - ; 그 후 상기 이전 렌즈의 상기 오목 부분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액상 풀을 배치하는 단계;및 마지막에 상기 다음 렌즈를 내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a) 중, 상기 접착제는 접착막이고, 상기 접착막은 조리개를 형성한다.
본 출원은 기존 기술 대비 적어도 하나의 아래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구비한다.
1. 본 출원은 렌즈 사이의 접착 강화(예를 들어 액상 풀/접착막을 통한 보강)를 통해, 고민감도 다렌즈 광학 시스템의 조립 정밀도와 조립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2. 본 출원은 렌즈 센트의 연결 강도 향상을 통해, 능동 교정 프로세스에 기반한 광학 렌즈의 변형을 감소할 수 있다.
3. 본 출원은 렌즈 블랙물(예를 들어 렌즈통) 측벽의 사전 보류 간극 및 스페이서 링의 간극 등 구조의 설계를 통해, 본래 흘러넘칠 가능성이 있는 접착제를 수용하며, 동시에 렌즈와 블랙물, 렌즈와 렌즈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렌즈 세트 접착 강도 향상을 통해, 능동 교정 프로세스에 기반한 광학 렌즈가 조립으로 인한 불량을 감소할 수 있으며, 특히 필드 곡률과 피크 변화를 감소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실시예와 첨부 도면은 제한이 아닌 설명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1000)의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첫번째 렌즈를 렌즈통에 내장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렌즈의 밑면에 스페이서 링(214)을 설치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설치한 스페이서 링(214)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두번째 렌즈를 렌즈통에 내장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내측면에 유도 통로가 있는 렌즈통과 당해 렌즈통에 렌즈를 내장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렌즈통에 위치한 유도 통로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의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내장된 보강 렌즈와 렌즈통 사이에서 접착 보강을 진행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한 액상 풀수용홈(213)을 구비한 완전한 렌즈 세트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11은 인접한 제1 감합 렌즈(10)와 제2 감합 렌즈(20)를 구비한 광학 렌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2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능동 교정 중 상대적 위치 조정 방식을 도시한다.
도 12b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능동 교정 중 상대적 위치 조정 방식을 도시한다.
도 12c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능동 교정 중 v, w 방향의 조정을 추가한 상대적 위치 조정 방식을 도시한다.
본 출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각 측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이런 자세한 설명들은 단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방식에 대한 설명이며, 어떤 식으로든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의 표현은 서로 연관된 나열된 항목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임의 및 전부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표현은 단지 하나의 특징을 다른 특징으로부터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특징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표시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때문에 본 출원의 교시에서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아래에서 논의되는 제1 주체는 제2 주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첨부 도면에서 설명의 편리를 위해 물체의 두께, 치수, 형태를 약간 과장하여 표현한다. 첨부 도면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엄격하게 비례에 따라 제작된 것이 아니다.
더 이해해야 할 점은, 본 명세서에서 "포함", "구비", "갖는다" 및/또는 "있다" 등 용어들은 기재된 특징, 전체, 단계, 작업, 요소, 부품 및/또는 그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나타내지만, 하나 또는 복수의 기타 특징, 전체, 단계, 작업, 요소, 부품 및/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외,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이 나열된 특징 목록 뒤에 출현시, 목록 중 개별 요소가 아닌 전부의 나열된 특징을 수식한다. 이외, 본 출원의 실시방식을 설명함에 있어서, "…수 있다"는 표현은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방식"을 나타내며, 용어 "예시적인"은 예시 또는 예를 들어 설명함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실질적으로", "대략" 및 유사한 용어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가 아니라 근사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며, 해당 분야의 당업자가 인식한, 측정치 또는 계산치 중의 고유 편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더 이해해야 할 점은,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한정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 맥락에서의 의미와 일치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모순되지 않는 상황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아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와 결합하여 본 출원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1000)의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학 렌즈(1000)는 제1 렌즈 부재(100), 제2 렌즈 부재(200) 및 제1 렌즈 부재(100)와 제2 렌즈 부재(200)를 접착시키는 접착제(300)를 포함한다. 당해 접착제(300)는 경화 후 제1, 제2 렌즈 부재를 지지하기에 적합하고, 이 양자 간의 상대적 위치가 능동 교정에 의해 결정된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당해 접착제(300)를 능동 교정 접착제라고 지칭하여 기타 접착제와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 된 기타 접착제는 예를 들어 아래에 설명할 렌즈 세트의 구조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215)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능동 교정은 감광칩의 이미징 결과를 기반으로 제1 렌즈 부재(100)와 제2 렌즈 부재(200)의 상대적 위치에 대해 자유롭게 교정하는 제조 프로세스로, 능동 교정의 구체적 방법은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며, 여기서는 잠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렌즈 부재(100)는 제1 렌즈통(110) 및 상기 제1 렌즈통(110) 내에 실장된 제1 렌즈(120)를 포함한다(본 실시예의 제1 렌즈(120)의 수량은 하나이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렌즈(120)의 수량은 복수일 수도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제2 렌즈 부재(200)는 제2 렌즈통(210) 및 상기 제2 렌즈통(210) 내에 실장된 복수의 제2 렌즈(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렌즈(120)와 복수의 제2 렌즈(220)는 함께 이미징 가능한 광학 시스템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렌즈 부재(200)는 렌즈 사이 연결 강도를 향상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복수의 제2 렌즈(220)는 상기 렌즈통에 내장되어 렌즈 세트가 조립되고, 최하단의 두 개의 인접한 제2 렌즈(220) 사이에는 접착제(215)가 있어, 조립된 상기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도 1 중 도시한 것은 단지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방식 중의 하나이다. 본 출원의 기타 실시예에서, 기타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제2 렌즈(220)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사이에 접착제를 배치하여, 조립된 상기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렌즈(220)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 접착제(215)를 배치하여, 조립된 상기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2 렌즈(220)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사이,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 접착제(215)를 배치하여, 조립된 상기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복수의 렌즈에 대해, 그들을 동일한 렌즈통에 내장하여 렌즈 세트를 조립하고, 접착제(215)를 통해 렌즈 조립시 렌즈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하여, 고민감도 광학 시스템의 조립 정밀도와 조립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 부재(100)는 광학 렌즈(1000)의 전단, 즉 물체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렌즈 부재(200)는 광학 렌즈(1000)의 후단에 위치한다.
나아가, 여전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렌즈는 광학 영역 및 상기 광학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 영역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렌즈는 제1 렌즈(120) 또는 제2 렌즈(220)를 포함한다. 렌즈 세트 조립체 중,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가 포함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의 상기 구조 영역 사이에는 접착제(215)가 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렌즈통(210)의 내측에는 다단식 단차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첫번째 렌즈를 렌즈통에 내장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통(예를 들어 제2 렌즈통(210))의 내측에는 다단식 단차부(211)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다단식 단차부(211)에 순차적으로 내장된다. 상기 다단식 단차부(211) 중의 각각의 단차부는 단차부 측벽(211a)과 단차면(211b)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단차부 측벽(211a)은 상기 렌즈통의 축과 평행되며, 상기 단차면(211b)은 상기 렌즈통의 축과 수직된다.
나아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 세트 조립체 중에는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가 포함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 사이에는 스페이서 링(214)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 링(214)에는 틈이 있고 상기 틈은 액상 풀(215a)을 수용할 수 있다. 여전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첫번째 렌즈는 렌즈통의 제1단 단차부에 내장된다. 당해 렌즈의 구조 영역의 외측면은 상기 제1단 단차부의 단차부 측벽(211a)에 의지해 있고, 구조 영역의 윗면은 렌즈의 저부에 위치한다(복수의 렌즈를 렌즈 세트로 조립시, 렌즈통과 렌즈는 통상적으로 거꾸로 배치되므로, 도 2의 구조 영역의 윗면은 렌즈의 저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의 구조 영역의 밑면에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도 2에서, 렌즈가 거꾸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돌출부는 윗쪽을 향해 돌출된다). 나아가, 도 3은 렌즈의 밑면에 스페이서 링(214)을 설치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설치한 스페이서 링(214)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페이서 링(214)에는 틈이 있고, 당해 틈은 외부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 부분(214a)일 수 있다. 스페이서 링(214)이 렌즈의 밑면에 배치된 후, 당해 오목홈과 첫번째 렌즈의 구조 영역 사이에는 하나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간극은 접착제(215)를 수용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접착제(215)를 수용하는 간극은 당해 오목홈과 렌즈통(예를 들어 렌즈통의 단차부 측벽211(a))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접착제(215)는 상기 간극 중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215)는 액상 풀(215a)일 수 있다. 나아가, 도 5는 두번째 렌즈를 렌즈통에 내장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두번째 렌즈와 첫번째 렌즈는 상기 스페이서 링(214)을 통해 서로 의지하여, 광학 성능이 안정적인 조합체로 조립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착제는 두 개의 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이 두 개 렌즈의 조합체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다. 도 5의 두 개의 렌즈인 즉 접착 보강 렌즈이다. 하나의 렌즈 세트 조립체 중에는 여러 세트의 인접한 접착 보강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SOMA 시트는 렌즈 사이의 감합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고, 내부에 설치된, 힘을 받지 않는 방식일 수도 있다. 특별히, SOMA 시트는 틈이 있는 형태로 설계되고, SOMA 시트의 틈은 기계 시각 인식의 표지로 사용(기계 시각은 여기에서 글루 페인팅의 시작점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될 수도 있고, 동시에 액상 풀(215a)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렌즈통의 내측면에는 유도 통로가 있다. 도 6은 내측면에 유도 통로가 있는 렌즈통과 당해 렌즈통에 렌즈를 내장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도 통로는 상기 렌즈통의 상기 다단식 단차부(211)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단차부를 연통하여, 액상 풀(215a)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단차부 사이에서 유동하기에 적합하도록 한다. 상기 유도 통로는 상기 액상 풀(215)에 의해 채워진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렌즈통에 위치한 유도 통로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도 통로는 유도홈(212)일 수 있으며, 당해 유도홈(212)은 렌즈통의 내측면에 위치한 오목 구조이다. 상기 유도홈(212)과 렌즈의 외측면 사이의 간극은 액상 풀(215a)에 의해 채워져, 조립된 렌즈 세트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215)는 UV 접착제/UV 열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수분 경화 접착제, 혐기성 접착제 또는 용매 증발후 경화된 액상 풀일 수 있다. 액상 풀이 배치된 영역은 렌즈의 변두리 영역이며, 당해 변두리 영역은 렌즈의 광학 영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215)는 점도가 비교적 작으며, 예를 들어 점도가 500 이하이다. 점도는 액상 풀(215a)의 희석 정도를 나타내며, 점도가 작을수록 유동성이 좋다. 액상 풀(215a)의 요변성 계수는 1.2 이내이다. 요변성 계수는 요변성을 나타내며, 요변성은 일정한 전단 속도의 작용 아래 액상 풀(215a)(또는 접착액이라고 부른다)의 전단 응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되는 특징을 가리킨다. 요변성 계수가 1.2 이내인 액상 풀은 접착 공정에서 아래 특징을 나타낸다. 교반시 액상 풀의 점도가 신속히 낮아져 브러싱에 편리하고, 교반 정지시 액상 풀의 점도가 즉시 높아져 함부로 흐르지 않으며, 사용시 점도가 비교적 낮고 또한 칠하거나 긁어내기 편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제(215)는 언더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언더필 접착제는 언더필(Underfill) 공정에 적합한 액상 풀(215a)이며, 그 요변성 계수는 1.2 이내이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통 내측의 유도홈(212)의 오목 깊이는 20μm보다 크고, 유도홈(212)의 폭은 20μm보다 크다(유도홈의 구체 설계 치수는 렌즈 치수와 접착제 성능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액상 풀(215a)은 유도 통로를 통해 유동하며, 인접한 렌즈 및 렌즈와 렌즈통을 접착시켜, 조립된 렌즈 세트의 연결 강도를 향상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의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 사이의 스페이서 링(214)은 접착막(215b)(예를 들어 EVA접착막)에 의해 대체된다. 다시 말해, 접착막(215b)을 스페이서 링(214)의 형태로 제조하여 스페이서 링(214)이 구비한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막(215b)을 불투명하게 만들어(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설정), 접착막(215b)이 차광 기능을 가지게 하여, 렌즈 사이에 조리개를 형성함으로써, 미광이 이미징 결과에 대한 간섭을 억제한다. 다른 한편으로, 접착막(215b)은 접착성이 있으므로, 렌즈 조립시 접착막(215b)은 인접한 렌즈의 압력을 받은 후 렌즈를 접착시키는 작용을 하여, 렌즈 조립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다.
나아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 세트로 조립된 복수의 렌즈 중에는 내장된 보강 렌즈가 포함되며, 상기 내장된 보강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215)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내장된 보강 렌즈의 외측면에는 하나의 경사면(221)(또는 경사분단이라고 부른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당해 경사면(221)은 렌즈통의 내측면(예를 들어 단차부 측벽211(a))과 V자형 간극을 형성할 수 있고, 액상 풀(215a)이 당해 V자형 간극 중에 배치되어,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9는 내장된 보강 렌즈와 렌즈통 사이에서 접착 보강을 진행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일 예에서, 내장된 보강 렌즈의 구조 영역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당해 돌출부의 외측면과 렌즈통의 내측면은 하나의 액상 풀수용홈(213)을 형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9의 돌출부의 외측면은 렌즈통의 단차면(211b)및 단차부 측벽(211a)과 함께 상기 액상 풀수용홈(213)을 형성한다. 액상 풀은 당해 액상 풀수용홈(213) 중에 배치된다. 나아가,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한 액상 풀수용홈(213)을 구비한 완전한 렌즈 세트 조립체를 도시한다. 당해 렌즈 세트 조립체는 제2 렌즈 부재(200)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0에서 도시한 렌즈 세트 조립체는 도 1의 실시예의 제2 렌즈 부재(200)를 대체하여, 능동 교정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조립된 다른 일 광학 렌즈(1000)를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실시예에서, 접착제(215)는 환형으로 배치(예를 들어 유도홈(212) 또는 액상 풀수용홈(213)은 부감도에서 환형으로 보일 수 있다)될 수도 있고, 환형 영역의 몇개 지점에 분포(예를 들어 렌즈통 내측의 네 개 방향에 각각 하나의 유도홈(212) 또는 액상 풀수용홈(213)을 설치할 수 있다)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 세트로 조립된 복수의 렌즈 중에는 인접한 제 1 감합 렌즈(10)와 제2 감합 렌즈(20)가 포함된다. 도 11은 인접한 제1 감합 렌즈(10)와 제2 감합 렌즈(20)를 구비한 광학 렌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감합 렌즈(10)의 상기 구조 영역에는 제1 감합 돌출부(11)가 있고, 상기 제2 감합 렌즈(20)의 상기 구조 영역에는 제2 감합 돌출부(21)가 있으며, 상기 제1 감합 돌출부(11)와 상기 제2 감합 돌출부(21)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접착제(215)는 상기 제1 감합 돌출부(11)의 내측면과 상기 제2 감합 돌출부(21)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감합 간극에 배치된다.
나아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 세트의 전단에 위치한 세 개 렌즈의 구조 영역 사이를 상기 접착제로 접착시켜, 조립된 상기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단에 위치한 세 개 렌즈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는 렌즈통과 접착되어,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전단의 세 개 렌즈에 대해, 렌즈 사이 및 렌즈와 렌즈통 사이에 접착제를 배치하여, 보강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렌즈 세트의 렌즈 수량이 비교적 많을 경우, 예를 들어 네 개 또는 네 개를 초과할 경우, 앞 세 개 렌즈의 광학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앞 세 개 렌즈의 조립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다면, 능동 교정 과정 및 광학 렌즈 제품의 신뢰성을 더 잘 향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단은 렌즈 세트 또는 광학 렌즈의 물체에 가까운 쪽을 가리킨다.
나아가,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을 더 제공한다.
(1) 복수의 렌즈를 순차적으로 내측에 다단식 단차부(211)이 있는 렌즈통에 내장하여 렌즈 세트를 조립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1)의 수행 과정 중 또는 상기 내장 단계가 완성된 후,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사이 및/또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 접착제(215)를 추가하여, 조립된 상기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계(1) 중 복수의 렌즈를 순차적으로 렌즈통에 내장하는 과정은, 렌즈통을 거꾸로 배치하여, 첫번째 렌즈를 렌즈통 내측의 제1단 단차부에 내장하고, 그 후 두번째 렌즈를 렌즈통 내측의 제2단 단차부에 내장하고, 그 후 다음 렌즈를 다음 단의 단차부에 내장하며, 모든 렌즈가 렌즈통에 내장될 때까지 이 절차를 반복한다. 인접한 두 개의 렌즈의 구조 영역은 직접 서로 의지할 수 있고, 스페이서 링(214)(예를 들어 SOMA 시트)을 통해 의지할 수도 있다. 인접한 두 개의 렌즈의 구조 영역이 스페이서 링(214)을 통해 의지할 경우, 이 두 개 렌즈의 내장 과정에는 스페이서 링(214)을 배치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예를 들어 먼저 렌즈통 내에 이전 렌즈를 내장하고, 그 후 이전 렌즈의 구조 영역 표면에 스페이서 링(214)을 배치하고, 그 후 렌즈통 내에 다음 렌즈를 내장한다.
나아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2)는 하위 단계 (a), (b), (c) 중의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을 포함하며, 상기 하위 단계 (a), (b), (c)는 각각 아래와 같다.
(a) 인접한 두 개의 렌즈에 대해, 이 두 개의 렌즈를 렌즈통에 내장하는 과정에서, 접착제(215)를 상기 두 개의 렌즈 사이에 배치한다. 즉 인접한 두 개의 렌즈에 대해, 이전 렌즈를 내장한 후, 당해 렌즈(이전 렌즈를 지칭한다)의 구조 영역의 표면(내장 단계에서 렌즈통과 렌즈는 통상적으로 거꾸로 배치되므로, 여기의 표면은 통상 밑면이다)에 접착제(215)를 배치한다. 그 후 다음 렌즈를 내장한다.
하나의 예에서, 당해 접착제(215)는 액상 풀(215a)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상 풀(215a)이 광학 영역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당해 액상 풀(215a)을 스페이서 링(214)과 렌즈(이전 렌즈를 지칭한다) 사이에 형성된 오목홈 중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 링(214)은 도 4에 도시된 오목 부분(214a)을 가질 수 있으며, 당해 오목 부분(214a)과 렌즈 사이에는 오목홈이 형성된다. 액상 풀(215a)의 배치 방법은, 상기 이전 렌즈를 내장한 후, 상기 이전 렌즈의 구조 영역의 표면에 스페이서 링을 배치하는 단계 - 상기 스페이서 링에는 오목 부분(214a)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오목 부분(214a)은 광축과 수직되는 방향에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상기 이전 렌즈의 표면에서 상기 오목 부분(214a)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은 노출됨 - ; 그 후 상술한 상기 오목 부분(214a)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액상 풀(215a)을 배치하는 단계;및 마지막에 상기 다음 렌즈를 내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서, 상기 접착제는 접착막(215b)일 수 있다. 접착막(215b)을 스페이서 링(214)의 형태로 제조하여 스페이서 링(214)이 구비한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막(215b)을 불투명하게 만들어(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설정), 접착막(215b)이 차광 기능을 갖게 하여, 렌즈 사이에 조리개를 형성함으로써, 미광이 이미징 결과에 대한 간섭을 억제한다. 다른 한편으로, 접착막(215b)은 접착성이 있으므로, 렌즈 조립시 접착막(215b)은 인접한 렌즈의 압력을 받은 후 렌즈를 접착시키는 작용을 하여, 렌즈 조립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다.
또 하나의 예에서, 상기 렌즈 세트로 조립된 복수의 렌즈 중에는 도 11에 도시된 인접한 제1 감합 렌즈(10)와 제2 감합 렌즈(20)가 포함된다. 상기 제1 감합 렌즈(10)의 상기 구조 영역에는 제1 감합 돌출부(11)가 있고, 상기 제2 감합 렌즈(20)의 상기 구조 영역에는 제2 감합 돌출부(21)가 있다. 제1 감합 렌즈(10)(즉 이전 렌즈)를 내장한 후, 당해 제1 감합 렌즈(10)의 구조 영역의 표면에서 제1 감합 돌출부(11)의 내측면과 바로 인접한 위치에 액상 풀(215a)을 배치한다. 그 후 렌즈통 내에 제2 감합 렌즈(20)를 내장하며, 상기 제1 감합 돌출부(11)와 상기 제2 감합 돌출부(21)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액상 풀(215a)이 상기 제1 감합 돌출부(11)의 내측면과 상기 제2 감합 돌출부(21)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감합 간극에 위치하도록 한다.
(b) 인접한 두 개의 렌즈에 대해, 이전 렌즈를 내장한 후, 당해 렌즈(이전 렌즈)와 렌즈통 사이에 액상 풀(215a)을 배치하고, 그 후 다음 렌즈를 내장한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때로 액상 풀(215a)을 통해 렌즈통과 접착된 렌즈를 내장된 보강 렌즈라고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예에서, 내장된 보강 렌즈의 외측면에는 경사면(또는 경사분단이라고 부른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당해 경사면은 렌즈통의 내측면(예를 들어 단차부 측벽211(a))과 V자형 간극을 형성할 수 있고, 액상 풀(215a)이 당해 V자형 간극 중에 배치되어,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9는 내장된 보강 렌즈와 렌즈통 사이에서 접착 보강을 진행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일 예에서, 내장된 보강 렌즈의 구조 영역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당해 돌출부의 외측면과 렌즈통의 내측면은 하나의 액상 풀수용홈(213)을 형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9의 돌출부의 외측면은 렌즈통의 단차면(211b) 및 단차부 측벽(211a)과 함께 상기 액상 풀수용홈(213)을 구성할 수 있다. 액상 풀(215a)은 당해 액상 풀수용홈(213) 중에 배치된다.
(c) 인접한 두 개(더 많을 수도 있다) 렌즈가 렌즈통에 내장된 후, 렌즈통 내측면에 설치된 유도 통로를 통해 액상 풀(215a)을 배치하여, 액상 풀(215a)이 유도 통로를 따라 인접한 두 개(더 많을 수도 있다) 렌즈의 구조 영역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도 통로는 상기 렌즈통의 상기 다단식 단차부(211)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단차부를 연통하여, 액상 풀(215a)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단차부 사이에서 유동하기에 적합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도 통로는 유도홈(212)일 수 있으며, 당해 유도홈(212)은 렌즈통의 내측면에 위치한 오목 구조이다. 상기 유도홈(212)과 렌즈의 외측면 사이의 간극은 액상 풀(215a)에 의해 채워져, 조립된 렌즈 세트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215)는 UV 접착제/UV 열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수분 경화 접착제, 혐기성 접착제 또는 용매 증발후 경화된 액상 풀일 수 있다. 액상 풀(215a)이 배치된 영역은 렌즈의 변두리 영역이며, 당해 변두리 영역은 렌즈의 광학 영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215)는 점도가 비교적 작으며, 예를 들어 점도가 500 이하이다. 점도는 액상 풀(215a)의 희석 정도를 나타내며, 점도가 작을수록 유동성이 좋다. 액상 풀(215a)의 요변성 계수는 1.2 이내이다. 요변성 계수는 요변성을 나타내며, 요변성은 일정한 전단 속도의 작용 아래 액상 풀(215a)(또는 접착액이라고 부른다)의 전단 응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되는 특징을 가리킨다. 요변성 계수가 1.2 이내인 액상 풀(215a)은 접착 공정에서 아래 특징을 나타낸다. 교반시 액상 풀의 점도가 신속히 낮아져 브러싱에 편리하고, 교반 정지시 액상 풀의 점도가 즉시 높아져 함부로 흐르지 않으며, 사용시 점도가 비교적 낮고 또한 칠하거나 긁어내기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렌즈를 렌즈통 중에 내장한 후, 상기 유도 통로를 이용해 액상 풀(215a)을 렌즈 사이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상술한 하위 단계 (a), (b), (c)는 접착제를 이용해 렌즈 세트를 보강하는 여러 가지 서로 다른 방법에 각각 대응하며, 렌즈 세트의 조립 과정에서, 이 보강 방법들 중의 어느 한 항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술한 보강 방법 중의 복수의 항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래에 광학 렌즈 또는 카메라 모듈 조립 방법에서 사용된 능동 교정 프로세스에 대해 더 상세히 소개한다..
본 출원에서 언급된 능동 교정은 복수의 자유도 상에서 제1 렌즈 부재(100)와 제2 렌즈 부재(200)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능동 교정 중 상대적 위치 조정 방식을 도시한다. 당해 조정 방식에서, 상기 제1 렌즈 부재(100)(제1 렌즈(101)일 수도 있음)는 x, y, z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렌즈 부재(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즉 당해 실시예의 상대적 위치 조정은 세 개의 자유도가 있다). 여기서 z방향은 광축에 따른 방향이고, x, y방향은 광축과 수직되는 방향이다. x, y방향은 모두 하나의 조정 평면(P) 내에 놓여있으며, 당해 조정 평면(P) 내의 이동은 모두 x, y방향의 두 개의 분량으로 분해될 수 있다.
도 12b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능동 교정 중 상대적 위치 조정 방식을 도시한다. 당해 실시예에서, 상대적 위치 조정은 도 12A의 세 개의 자유도 외, 회전 자유도, 즉 r방향의 조정을 더 추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r방향의 조정은 상기 조정 평면(P) 내의 회전, 즉 상기 조정 평면(P)과 수직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다.
나아가, 도 12c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능동 교정 중 v, w 방향의 조정을 추가한 상대적 위치 조정 방식을 도시한다. 여기서, v방향은 xoz평면의 회전각을 나타내고, w방향은 yoz평면의 회전각을 나타내며, v방향과 w방향의 회전각은 하나의 방향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 방향각은 전반적인 경사 상태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v방향과 w방향의 조정을 통해, 제 1 렌즈 부재 (100)가 제 2 렌즈 부재(200)에 대한 경사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즉 상기 제1 렌즈 부재(100)의 광축이 상기 제2 렌즈 부재(200)의 광축에 대한 경사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x, y, z, r, v, w 6개 자유도의 조정은 모두 상기 광학 시스템의 이미징 품질에 영향줄 수 있다(예를 들어 해상력의 크기에 영향준다). 본 출원의 기타 실시예에서, 상대적 위치 조정 방식은 상술한 6개 자유도 중의 어느 한 항에 대한 조정일 수도 있고, 임의의 두 개 또는 더 많은 항의 조합에 대한 조정일 수도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의 능동 교정 단계에서, 제1 렌즈 부재와 제2 렌즈 부재의 상대적 위치 조정은 상기 조정 평면 상의 이동, 즉 x, y 방향에서의 운동을 포함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의 능동 교정 단계에서, 제1 렌즈 부재(100)와 제2 렌즈 부재(200)의 상대적 위치 조정은, 상기 광학 시스템의 실측 해상력에 따라, 상기 제1 렌즈 부재(100)의 축과 상기 제2 렌즈 부재(200)의 축 사이 끼인각에 대해 조정 및 결정, 즉 w, v방향에서의 조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립된 광학 렌즈 또는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제1 렌즈 부재(100)의 축과 상기 제2 렌즈 부재(200)의 축 사이 끼인각은 0이 아닐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의 능동 교정 단계에서, 제1 렌즈 부재(100)와 제2 렌즈 부재(200)의 상대적 위치 조정은, 상기 조정 평면과 수직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렌즈 부재(100)를 이동(즉 z방향에서의 조정)하고, 상기 광학 시스템의 실측 해상력에 따라, 상기 조정 평면과 수직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렌즈 부재(100)와 상기 제2 렌즈 부재(20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 부재(100)는 제1 렌즈통(110)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부재(100)는 하나의 제1 렌즈(120)로 구성될 수 있다. 능동 교정 전에, 사전 설정 위치를 맞추어, 상기 제1 렌즈(120)의 밑면과 상기 제2 렌즈 부재(200)의 윗면 사이에 간극이 있게 하고;그 후 능동 교정을 진행하며, 그 다음 상기 접착제를 상기 간극에 배치하고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렌즈(120)는 서로 감합되어 일체화된 복수의 서브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렌즈(120)의 이미징에 사용되지 않는 비광학면의 측면과 윗면은 차광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당해 차광층은 제1 렌즈(120)의 측면과 윗면에 차광소재를 스크린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능동 교정 단계에서, 제2 렌즈 부재(200)를 고정할 수 있으며, 클램프를 통해 제1 렌즈 부재(100)를 클램핑하고, 클램프와 연결된 6축 운동기구의 힘으로 제1 렌즈 부재(100)를 이동시켜, 제1 렌즈 부재(100)와 제2 렌즈 부재(200) 사이의 상술한 6개 자유도에서의 상대적 이동을 실현한다. 여기서, 클램프는 제1 렌즈 부재(100)의 측면에 의지 또는 부분적으로 의지하여, 제1 렌즈 부재(100)를 클램핑 및 제1 렌즈 부재(100)에 대해 다자유도의 위치 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 및 적용한 기술적 원리에 대한 설명이다. 본 출원에 관련된 발명의 범위가 상기 기술적 특징들의 특정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술적 방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발명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기술적 특징들 또는 그들과 동등한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타 기술적 방안들도 포함되어야 함을 해당 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특징들과, 본 출원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유사 기능의 기술적 특징을 서로 대체하여 이루어진 기술적 방안도 포함된다.

Claims (28)

  1. 렌즈 세트 조립체에 있어서,
    렌즈통; 및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렌즈통에 내장되어 렌즈 세트가 조립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사이 및/또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 접착제가 구비되어, 조립된 상기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전단에 위치한 세 개의 렌즈가 있고, 상기 전단에 위치한 세 개의 렌즈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사이 및/또는 상기 전단에 위치한 세 개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광학 영역 및 상기 광학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가 포함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의 상기 구조 영역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광학 영역 및 상기 광학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인접한 제1 감합 렌즈와 제2 감합 렌즈가 포함되며, 상기 제1 감합 렌즈의 구조 영역은 제1 감합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감합 렌즈의 구조 영역은 제2 감합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감합 돌출부와 상기 제2 감합 돌출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 감합 돌출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2 감합 돌출부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감합 간극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액상 풀 및/또는 접착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액상 풀일 경우, 상기 액상 풀은 요변성(thixotropy) 계수가 1.2 이내이고 점도가 500 이하인 액상 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액상 풀일 경우,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가 포함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 사이에는 스페이서 링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 링에는 틈이 있고, 상기 틈은 상기 액상 풀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접착막일 경우,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가 포함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접착 보강 렌즈는 상기 접착막을 통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는 내장된 보강 렌즈가 포함되고, 상기 내장된 보강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통의 내측에는 다단식 단차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는 순차적으로 상기 다단식 단차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단차부 중의 각각의 단차부는 단차부 측벽 및 단차면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단차부 측벽은 상기 렌즈통의 축과 평행되고, 상기 단차면은 상기 렌즈통의 축과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액상 풀이며, 상기 렌즈통의 내측에는 유도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 통로는, 액상 풀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단차부 사이에서 유동하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다단식 단차부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단차부를 연결하며, 상기 유도 통로는 상기 액상 풀에 의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통로는 유도홈이고, 상기 유도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에는 내장된 보강 렌즈가 배치되며, 상기 내장된 보강 렌즈의 외측면과 상기 유도홈 사이의 간극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환형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접착제는 환형의 복수의 지점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UV 접착제, UV 열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수분 경화 접착제, 혐기성 접착제 또는 용매 증발후 경화된 액상 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 조립체.
  16. 광학 렌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 부재;
    제2 렌즈통 및 상기 제2 렌즈통 내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 부재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는 함께 이미징 가능한 광학 시스템을 구성함 - ; 및
    상기 제1 렌즈 부재와 상기 제2 렌즈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렌즈 부재와 상기 제2 렌즈 부재를 지지여 양자의 상대적 위치가 능동 교정에 의해 결정된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기에 적합한 능동 교정 접착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렌즈 부재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세트 조립체이고, 상기 제2 렌즈통은 상기 렌즈 세트 조립체의 상기 렌즈통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는 상기 렌즈 세트 조립체의 상기 복수의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부재는 제1 렌즈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는 상기 제1 렌즈통 내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부재는 상기 렌즈 세트 조립체이며, 상기 제1 렌즈통은 상기 렌즈 세트 조립체의 상기 렌즈통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는 상기 렌즈 세트 조립체의 상기 복수의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부재는 상기 광학 렌즈의 전단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부재의 축과 상기 제2 렌즈 부재의 축 사이 끼인각은 0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21.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세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2.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3.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1) 복수의 렌즈를 순차적으로 내측에 다단식 단차부가 있는 렌즈통에 내장하여 렌트 세트를 조립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1)의 수행 과정 중 또는 상기 단계(1)가 완성된 후,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사이 및/또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 접착제를 추가하여, 조립된 상기 렌즈 세트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단계(2)는,
    (a)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인접한 두 개의 렌즈에 대해, 이전 렌즈를 내장한 후, 상기 이전 렌즈의 구조 영역의 표면에 접착제를 배치하고, 그 후 다음 렌즈를 내장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단계(2)는,
    (b)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인접한 두 개의 렌즈에 대해, 이전 렌즈를 내장한 후, 상기 이전 렌즈와 상기 렌즈통 사이에 접착체를 배치하고, 그 후 다음 렌즈를 내장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단계(2)는,
    (c) 상기 접착제는 액상 풀이며,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인접한 렌즈가 렌즈통에 내장된 후, 상기 렌즈통의 내측에 설치된 유도 통로를 통해 액상 풀을 배치하여, 상기 액상 풀이 상기 유도 통로를 따라 상기 인접한 렌즈의 구조 영역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도록 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접착제는 액상 풀이며, 상기 단계(a)는, 상기 이전 렌즈를 내장한 후, 상기 이전 렌즈의 구조 영역의 표면에 스페이서 링을 배치하는 단계 - 상기 스페이서 링은 오목 부분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오목 부분은 광축과 수직되는 방향에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며, 상기 이전 렌즈의 표면에서 상기 오목 부분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은 노출됨 - ; 그 후 상기 이전 렌즈의 상기 오목 부분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액상 풀을 배치하는 단계; 및 마지막에 상기 다음 렌즈를 내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접착제는 접착막이고, 상기 접착막은 조리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KR1020217007598A 2018-08-14 2019-07-10 렌즈 세트 조립체, 광학 렌즈,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KR202100410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1305574.XU CN209842189U (zh) 2018-08-14 2018-08-14 镜片群组件、光学镜头及摄像模组
CN201810922696.1 2018-08-14
CN201821305574.X 2018-08-14
CN201810922696.1A CN110824657A (zh) 2018-08-14 2018-08-14 镜片群组件、光学镜头、摄像模组及镜片群组立方法
PCT/CN2019/095390 WO2020034790A1 (zh) 2018-08-14 2019-07-10 镜片群组件、光学镜头、摄像模组及镜片群组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071A true KR20210041071A (ko) 2021-04-14

Family

ID=6952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598A KR20210041071A (ko) 2018-08-14 2019-07-10 렌즈 세트 조립체, 광학 렌즈,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18512A1 (ko)
EP (1) EP3828610A4 (ko)
JP (1) JP2021534453A (ko)
KR (1) KR20210041071A (ko)
WO (1) WO2020034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5604B (zh) * 2019-03-05 2022-09-06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透镜系统及成像装置
KR102632348B1 (ko) * 2021-04-06 2024-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7610A (ja) * 1993-06-11 1994-12-22 Nikon Corp 接合レンズ
CN101285921A (zh) * 2007-04-13 2008-10-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成像模组
JP2010191345A (ja) * 2009-02-20 2010-09-02 Hitachi Maxell Ltd 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320461B2 (ja) * 2009-04-06 2013-10-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JP5322782B2 (ja) * 2009-06-04 2013-10-2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118674B2 (ja) * 2009-08-28 2013-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情報機器
CN104812545B (zh) * 2012-11-14 2017-11-03 Ehs透镜菲律宾股份有限公司 偏光塑料透镜的制造方法
JP6217193B2 (ja) * 2013-07-09 2017-10-25 株式会社デンソー 光学レンズ装置
CN205594217U (zh) * 2016-03-03 2016-09-21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集成马达的光学镜头和摄像模组及其制造治具
JP6862146B2 (ja) * 2016-11-04 2021-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6825898B2 (ja) * 2016-12-16 2021-02-03 マクセル株式会社 貼合わせ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CN108254849B (zh) * 2016-12-29 2020-10-27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镜片组
CN207249220U (zh) * 2017-03-24 2018-04-17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分体式镜头和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N108375819A (zh) * 2018-02-09 2018-08-07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镜头组件及其组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8610A4 (en) 2021-09-15
EP3828610A1 (en) 2021-06-02
US20210318512A1 (en) 2021-10-14
WO2020034790A1 (zh) 2020-02-20
JP2021534453A (ja)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3181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11659263B2 (en) Split lens an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CN208432778U (zh) 光学镜头及摄像模组
EP4180852A1 (en) Adjustable optical lens and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cations thereof
CN114185155B (zh) 多群组镜头、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20210041071A (ko) 렌즈 세트 조립체, 광학 렌즈,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세트의 조립 방법
US20230102189A1 (en) Multi-group lens,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9206255A1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EP3848740A1 (en) Integrated lens barrel, optical lens, camera module, and assembly method
US20210341703A1 (en) Multi-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CN209842189U (zh) 镜片群组件、光学镜头及摄像模组
WO2021143410A1 (zh) 分体式变焦镜头、摄像模组及相应的组装方法
WO2019228348A1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N110275264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N112649934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US20210048595A1 (en) Optical lens, camera module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CN110824657A (zh) 镜片群组件、光学镜头、摄像模组及镜片群组立方法
CN110542969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N111025513A (zh) 一体式镜筒、光学镜头、摄像模组及组装方法
US20220308310A1 (en) Adjustable Optical Lens and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cations Thereof
CN110850547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N210119620U (zh) 分体式镜头及电子设备
WO2020042802A1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组装方法
WO2023071732A1 (zh) 光学镜头及相应的摄像模组
CN112166358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