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889A -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 Google Patents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889A
KR20210040889A KR1020210039048A KR20210039048A KR20210040889A KR 20210040889 A KR20210040889 A KR 20210040889A KR 1020210039048 A KR1020210039048 A KR 1020210039048A KR 20210039048 A KR20210039048 A KR 20210039048A KR 20210040889 A KR20210040889 A KR 20210040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spray
sterilization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852B1 (ko
Inventor
오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본
Priority to KR102021003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85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889A/ko
Priority to CN202110460615.2A priority patent/CN11317148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A61L2/035Electr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는,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살균력 있는 미스트를 생성하고, 살균력 있는 미스트로 만들어 방역 대상자에 분무함으로써 살균 소독을 수행한다.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므로, 살균수를 개별 용기에 담아 일일이 공급할 필요가 없어서, 경제적이고 편리하며, 유지 관리가 간단하다. 특히, 미스트 배출구에 구비되는 분무 상태 조절부는 간단하게 미스트 배출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미스트의 직진성에 더해, 분무 방향, 두께, 퍼짐성 등 분무 상태를 종합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상황에 맞춘 살균과 소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Mist Shower Device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ith Adjustable Spray Condition }
본 발명은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람이 출입하는 장소에 설치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사람에게 살균력 있는 미스트(mist)를 분무하여, 각종 바이러스와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근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창궐하면서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일상생활 속에서 특정 장소에 출입하는 다수의 사람들에 대한 효율적인 방역 대책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코로나-19는 가축 전염병과는 달리 전 지역에 걸쳐 사람 사이에 감염되므로, 사람들이 드나드는 대부분의 장소에서 출입자들에 대한 방역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축사 등 한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출입자들에 대해 전신 소독 및 살균을 수행하는 소독실은 그 설치가 쉽지 않고, 이용이 번거로워, 다수 장소에 효율적으로 사용되기 어렵다.
또한, 다수의 출입자들이 일일이 방역복을 착용할 수는 없으므로, 일상적인 옷을 그대로 입은 상태에서 살균과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살균 소독에 사용되는 물질의 성분이나 상태에 따라, 인체에 해를 입히거나, 옷을 오염시키는 등 부작용이 있어서도 안된다.
출입자들에 대한 살균 소독 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1093호의 '실외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는 실외에 설치되어 사람이 통과하면서 소독수 분위기를 형성하여, 통과자의 몸 전체를 구석구석 바이러스 살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2191093호와 같은 종래의 살균 소독 장치는 대부분 별도로 제작되어 개별적인 용기에 담겨 배포되는 소독수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등록특허 제10-2191093호에서 사용되는 소독수도 소독수 저장부(통)에 보관된 상태에서 유통이 이루어지므로, 주기적으로 내용물을 리필하거나 통 전체를 리필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개별적인 용기에 담겨 배포되는 소독수를 이용하면, 소독수의 공급과 관리가 매우 불편하다. 다수의 장소에 설치된 살균 소독 장치에 일일이 소독수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일은 시간과 인력이 적지 않게 소요되고, 비용 소모적일 수 밖에 없다.
살균 소독에 사용될 수 있는 살균수 생성 기술과 관련하여, 전기분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1372호는 원수를 수중방전시켜 살균수를 생성하고, 미스트 형태로 외부에 배출하는 '휴대용 미용 수소살균수 미스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2161372호와 같이, 종래에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기술은 미용 목적 등 소규모의 살균수 생성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수의 사람들에 대한 방역 등 다량의 살균수가 필요한 분야에는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지 않다.
전기분해 방식은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코로나-19의 팬데믹 등으로 인해 방역이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상황에 맞추어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한편, 특정 영역의 방역 대상자에게 미스트를 분무하여 살균 소독을 수행하는 미스트 샤워 장치는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방역 대상자에게 최적의 상태로 미스트를 분무할 필요가 있다.
미스트 분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 미스트의 직진성을 강화할 수 있지만, 직진성만 강화하면 미스트의 퍼짐 정도가 약해져서 미스트가 방역 대상자의 전신에 충분히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미스트가 적절하게 골고루 분무되지 않으면, 방역 대상자의 전신에 살균 소독력이 미치지 않아 방역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1093호(명칭 : 실외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 공고일 : 2020.12.15)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1372호(명칭 : 휴대용 미용 수소살균수 미스트 장치, 공개일 : 2020.07.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살균수를 공급하고, 미스트의 방향, 두께, 퍼짐성 등 분무 상태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는, 수조;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수조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분해 모듈;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에 담긴 살균수의 수면 위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 상기 발생된 미스트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미스트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미스트 가이드부; 상기 발생된 미스트가 상기 미스트 배출 통로를 통해 흐르도록 바람을 인가하는 제1 송풍부; 및 상기 미스트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미스트의 방향, 두께, 및 퍼짐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분무 상태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는, 천정을 형성하는 상측 하우징, 좌측 벽을 형성하는 좌측 하우징, 및 우측 벽을 형성하는 우측 하우징을 포함하여, 터널형 방역 공간을 만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스트 가이드부에서 미스트가 배출되는 미스트 배출구는 미스트를 상기 터널형 방역 공간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천정에서 바닥을 향해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상기 상측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무 상태 조절부는, 상기 미스트 배출구의 중심부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분무 조절 바; 및 상기 분무 조절 바를 상기 분무 상태 조절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장착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미스트 배출구의 내부를 향해 상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무 조절 바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양쪽 가장자리를 향해 하강하는 경사면을 가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장착판에는 상기 분무 조절 바를 장착할 수 있는 체결구멍이 높이를 달리하여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스트 가이드부의 말단, 및 상기 분무 상태 조절부의 말단 중 하나 이상에는, 미스트가 응축된 물방울이 흘러내려 고이도록 응축수 수집 홈이 형성될 수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는, 살균력이 있는 미스트를 분무하여 방역 대상자에 대한 살균 소독을 수행한다.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므로, 살균수를 개별 용기에 담아 일일이 공급할 필요가 없어서, 경제적이고 편리하며, 유지 관리가 간단하다.
특히, 분무 상태 조절부의 상승/하강에 따라, 미스트 배출구를 형성하는 양 측면과의 상호 배치 관계가 달라져, 미스트가 배출되는 방향, 두께, 퍼짐성 등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미스트의 직진성에 더하여, 분무 방향, 두께, 퍼짐성 등 분무 상태를 종합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상황에 맞춘 살균과 소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의 일 실시예,
도 2는 전기분해 모듈에 관한 예,
도 3은 미스트의 효율적인 배출을 위한 송풍 방식의 예,
도 4는 미스트의 양옆으로 공기의 흐름이 함께 배출되는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 예,
도 6은 도 5에 보인 구현 예를 위에서 바라 본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의 외관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
도 8은 분무 상태 조절부가 미스트 배출구에 대해 상승/하강할 때, 미스트의 분무 상태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는 예,
도 9와 도 10은 분무 상태 조절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100)는 수조(111), 살균수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분해 모듈(112), 수조(111)에 담긴 살균수의 수면(30) 위로 미스트(mist)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113), 미스트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미스트 가이드부(131), 및 미스트가 미스트 배출 통로를 통해 흐르도록 바람을 인가하는 제1 송풍부(1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100)는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살균수를 미스트 형태로 만들어 분무함으로써, 방역 대상자에 대한 살균 소독을 수행한다.
수조(111)는 살균수를 담는 용기의 역할을 수행하며, 수조(111)의 재질, 형태, 크기 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수조(111)에 담기는 살균수는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된 살균수이다.
전기분해 모듈(112)은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력이 있는 살균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살균수를 수조(111)에 공급한다.
원수는 다양한 경로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분해 모듈(112)은 수조(111)에 담겨 있는 물을 전기분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수조(111)의 외부로부터 원수공급관(50)을 통해 인입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조(111)에 공급할 수도 있다.
전기분해 모듈(112)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전기분해 모듈(112)은 수조(111)에 담긴 물에 잠기지 않도록 배치되고,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여 수조(111)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기분해 모듈(112)은, 도시된 예와는 달리, 수조(111)에 담긴 물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조(111)의 하단에 배치되어, 수조(111)의 물을 전기분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예와 같이 구성하면, 전기분해 모듈(112)이 물에 잠겨있지 않아 고장률이 작고, 유지/보수가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전기분해 모듈(112)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전기분해 모듈(112)은 음극(-)과 양극(+)을 갖는 한 쌍 이상의 전극판(112-1, 1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 분자를 수중 방전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해하여, 살균력을 갖는 살균수로 만든다. 예로서, 두 전극판(112-1, 112-3)을 통해 수중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킴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음이온(O-, O3 -, OH-, HOCl, H2O2)은 코로나-19와 같은 각종 바이러스, 세균, 박테리아 등을 살균할 수 있다.
전기분해 모듈(112)은 서로 마주하는 두 전극판(112-1, 112-3)과, 두 전극판을 서로 이격시키는 전극분리판(1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전극판(112-1, 112-3)은 특정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전극판(112-1, 112-3)에 형성된 슬릿은 서로에 대하여 소정 각도(예: 90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기분해 모듈(112)에 유입된 물은 각 슬릿을 통과하면서 수중 방전된다.
도 2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전기분해 모듈(112)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초음파 진동자(113)는 수조(111)의 하부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수조(111)에 담긴 살균수 수면(30)의 위 공간(115)에 미스트를 발생시킨다.
물속에 잠긴 초음파 진동자(113)가 수면(30)의 윗 공간(115)에 미스트를 잘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초음파 진동자(113)가 잠기는 살균수의 깊이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수조(111)는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구획된 각 구간마다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113)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미스트를 더욱 균일하게 생성하고 배출할 수 있다. 수조(111)가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는 실시예에서, 전기분해 모듈(112)은 각 구간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씩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기분해 모듈(112)과 초음파 진동자(113)를 각각 6개씩 도시하였지만, 전기분해 모듈(112)과 초음파 진동자(113)의 개수와 배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전기분해 모듈(112)과 초음파 진동자(113)는 일대일뿐 아니라 일대다로 연동할 수도 있다.
미스트 가이드부(131)는 미스트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인 미스트 배출 통로를 형성한다.
미스트 가이드부(131)는 미스트 연통구(114)를 통해 수조(111)와 연통하고, 미스트 연통구(141)를 통해 유입된 미스트는 미스트 배출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말단인 미스트 배출구(H1)를 통해 배출된다.
미스트 배출 통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스트가 방역 대상자의 머리 위쪽에서 바닥을 향해 분무되도록 구성한다면, 미스트 배출 통로의 말단인 미스트 배출구(H1)는 지면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스트 배출 통로를 따라 흐른 미스트가 외부로 배출되는 미스트 배출구(H1)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 형태의 경로를 따라 방역 대상자의 머리 위쪽에서 바닥 방향으로 미스트를 분무한다면, 미스트 배출구(H1)는 일정한 폭을 갖고, 길이가 긴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송풍부(121)는 수조(111)에 담긴 살균수의 수면 위 공간(115)에 발생된 미스트가 미스트 배출 통로를 통해 흐르도록 바람을 인가한다.
제1 송풍부(121)는 여러 종류의 팬(fan)과 블로워(blower) 등 각종 송풍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송풍부(121)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미스트의 효율적인 배출을 위한 일 실시예로서, 제1 송풍부(121)에서 인가되는 바람은 수조(111)의 상부에서 수조(111)의 일 측면에 편중되도록 인가될 수 있다. 도 3은 제1 송풍부(121)에서 인가되는 바람을 수조(111)의 일 측면에 편중되도록 인가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제1 송풍부(121)의 바람 방향 근처에는 제1 송풍부(121)에서 발생된 바람을 수조(111)의 일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판(117)이 구비되고, 수조(111)와 미스트 가이드부(131)가 서로 연통하는 미스트 연통구(141)는 제1 송풍부(121)에 의해 바람이 인가되는 측면에 대향하여 반대 측면에 형성된다.
유도판(117)은 제1 송풍부(121)에서 발생된 바람을 수조(111)의 일 측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제1 송풍부(121)가 수조(111)의 위쪽에서 수면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킨다면, 유도판(117)은 제1 송풍부(121)의 하방에서 수조(111)의 일 측을 향해 아래로 기울어지는 경사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송풍부(121)에서 발생된 바람은 유도판(117)을 통해 안내되어 수조(111)의 일 측으로 편중된 후, 수조의 수면 위(115)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미스트를 이동시켜 미스트 배출 통로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조 내의 바람 방향을 처리하면, 제1 송풍부(121)가 수조의 중심 부근 위에서 수면의 중심부로 바람을 인가하고, 수조(111)의 양 측면으로 미스트를 배출할 때에 비하여, 미스트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수조(111)에 발생된 미스트가 미스트 배출 통로로 빠져나가는 미스트 연통구(141)에는 굵은 미스트 입자가 응축되어 수면으로 낙하하도록 하는 다공성 부재(118)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굵은 입자가 미스트 배출 통로를 통해 진행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송풍부(121)가 수조(111)의 일 측면으로 편중하여 바람을 인가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송풍부(121)가 수조(111)의 일 측면으로 편중하여 바람을 인가하도록 하는 또 다른 예로서, 제1 송풍부(121)를 수조(111)의 일 측면으로 편중하여 배치하고, 유도판(117)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는 미스트의 양옆으로 공기의 흐름이 함께 배출되도록 하는 실시예로서, 미스트 가이드부(131)에서 배출되는 미스트의 양옆에 각각 인접하여 공기의 흐름이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에어 가이드부(132)와 제2 에어 가이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풍부(122)와 제3 송풍부(123)는 각각 제1 에어 가이드부(132)와 제2 에어 가이드부(133)에 의해 형성된 공기 배출 통로에 공기의 흐름을 인가한다.
이러한 실시예와 같이, 미스트가 양옆의 공기 흐름과 함께 분무되도록 구성하면, 미스트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유연한 압력 조절이 가능하며, 살균 소독을 더욱 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미스트 배출구(H1)를 통해 배출되는 미스트의 흐름, 및 제1 에어 배출구(H2)와 제2 에어 배출구(H3)을 통해 배출되는 각 공기의 흐름은 메쉬판(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쉬판(140)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미스트와 공기의 흐름에 직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미스트의 양옆으로 공기의 흐름이 함께 배출되는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5는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는 위에서 바라본 예이다. 수조의 내부를 보이기 위하여, 도 6에서 상측 덮개와 제1 송풍부(121)는 생략되었다.
상단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팬이 각각 제2 송풍부(122)와 제3 송풍부(123)를 구성하고 있으며, 하우징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수조가 형성되어 있다.
수조는 격판(119)에 의해 여러 구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 구간의 바닥에는 여러 개의 초음파 진동자(113)가 배치되어 있다. 수조가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면, 미스트를 더욱 균일하게 생성하고 배출할 수 있다.
각 구간에 대응하여 전기분해 모듈(1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원수공급관(50)을 따라 공급되는 원수가 전기분해 모듈(112)에 공급된다.
각 전기분해 모듈(112)은 원수공급관(50)을 따라 공급되는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수조로 공급한다.
도 7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100)는 터널 형태의 방역 공간(80)을 형성하고, 터널 형태의 방역 공간(80)에 살균력 있는 미스트를 분무하여, 그 공간을 통과하는 방역 대상자를 살균 소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100)는 천정을 형성하는 상측 하우징(100-1), 좌측 벽을 형성하는 좌측 하우징(100-2), 및 우측 벽을 형성하는 우측 하우징(10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터널 형태의 공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터널 형태의 방역 공간(80)을 형성하는 실시예에서 수조(111)는 상측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서, 도 5와 도 6에 보인 실시예가 상측 하우징(100-1)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미스트가 배출되는 미스트 배출구(H1)는 상측 하우징(100-1)의 아랫면에 방역 대상자가 통과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위에서 아래를 향해 미스트를 분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살균수를 미세한 입자로 만든 미스트의 성질을 고려할 때, 미스트는 터널 내 공간의 측면에서 분무하는 것보다, 천정에서 바닥을 향해 분무하는 것이 살균 소독 효과를 높이는 데 바람직하다.
한편, 분무 상태 조절부(160)는 미스트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미스트의 방향, 두께, 및 퍼짐성 등 미스트의 분무 상태를 조절한다.
분무 상태 조절부(160)는 미스트 배출구(H1)의 중심부를 따라 형성되어, 미스트 배출구(H1)의 내부를 향해 상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분무 상태 조절부(160)의 현재 위치에 따라, 미스트 배출구(H1)를 형성하는 양 측면과 분무 상태 조절부(160)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 즉 미스트가 흐르는 공간의 형태가 결정되므로, 외부로 최종 배출되는 미스트의 방향, 두께, 퍼짐성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자면, 분무 상태 조절부(160)가 도 8a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는 미스트 배출구(H1)를 형성하는 양 측면(131-5)과 분무 상태 조절부(160)에 의해, P1과 같은 미스트 배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만일 분무 상태 조절부(160)가 도 8b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면, 미스트 배출구(H1)를 형성하는 양 측면(131-5)과 분무 상태 조절부(160)에 의해, P2과 같은 형태의 미스트 배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분무 상태 조절부(160)의 위치에 따라 외부로 최종 배출되는 미스트의 방향, 두께, 퍼짐성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미스트 배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미스트 배출구(H1)를 형성하는 양 측면(131-5)과, 분무 상태 조절부(16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분무 상태 조절부(160)에 관한 일 실시예를 보인 것이고, 도 10은 그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서, 미스트 배출구(H1)의 중심부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분무 조절 바(160-1), 및 분무 조절 바(160-1)를 분무 상태 조절부(160)를 지지하는 프레임(미도시)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장착판(16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분무 조절 바(160-1)는 미스트 배출구(H1)를 통해 배출되는 미스트를 조절하므로, 미스트 배출구(H1)의 형태와 관련된다.
미스트 배출구(H1)가 터널형 경로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면, 분무 조절 바(160-1)도 미스트 배출구(H1)의 중심부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분무 조절 바(160-1)의 형태는 미스트의 분무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분무 조절 바(160-1)는 도 10에 나타난 예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양쪽 가장자리를 향해 하강하는 경사면(168)을 가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미스트 배출구(H1)를 향해 흐르는 미스트에 대한 저항을 최소로 하면서 미스트가 흐르는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경사면(168)으로 인해 미스트 배출구(H1)를 빠져나가는 미스트가 저항을 적게 받으며, 경사면(168)의 위치와 각도 등에 따라, 미스트 배출구(H1)를 형성하는 양 측면(131-5)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미스트 배출 공간도 조절 가능하다.
장착판(160-2)은 분무 상태 조절부(160)가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의 프레임(미도시)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한다. 3개의 장착판(160-2)이 도시되어 있으나, 장착판(160-2)의 개수, 형태, 체결 구조 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장착판(160-2)에는 분무 조절 바(160-1)를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멍(167)이 높이를 달리하여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장착판(160-2)의 양 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여러 개의 체결구멍(167)이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으며, 이 체결구멍(167)과 프레임을 볼트와 너트 등 각종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각 체결구멍(167)이 세로 방향으로 여러 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몇 번째 체결구멍(167)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것인지에 따라, 분무 상태 조절부(160)가 상승/하강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분무 상태 조절부(160)를 지지하고 상승/하강시키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예와 같이 수동적 체결구조를 갖도록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화할 수도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자면, 미스트 가이드부(131)의 말단과, 분무 상태 조절부(160)의 말단 등에는 미스트가 응축되어 물방울이 생기면 흘러내려 고이도록 응축수 수집 홈(131-3, 160-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미스트가 매우 미세한 입자로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미스트 가이드부(131)와 분무 상태 조절부(160)에서 미스트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에는 미스트가 응축하여 물방울이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미스트 가이드부(131)의 말단과 분무 상태 조절부(160)의 말단에 응축수 수집 홈(131-3, 160-3)을 형성하면, 미스트가 응축된 물방울이 흘러내려 낙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응축수 수집 홈(131-3, 160-3)에 흘러내린 물은 그대로 건조시키거나, 다른 경로로 배출하거나, 다시 수조의 내부로 돌아가도록 처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0: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100-1: 상측 하우징 100-2: 좌측 하우징
100-3: 우측 하우징
111: 수조 112: 전기분해 모듈
112-1, 112-3: 전극판 112-2: 전극분리판
113: 초음파 진동자 114: 미스트 연통구
118: 다공성 부재 119: 격판
121: 제1 송풍부
122: 제2 송풍부 123: 제3 송풍부
131: 미스트 가이드부 132: 제1 에어 가이드부
133: 제2 에어 가이드부 140: 메쉬판
131-5: 미스트 배출구의 측면 160: 분무 상태 조절부
160-1: 분무 조절 바 160-2: 장착판
167: 체결구멍 131-3, 160-3: 응축수 수집 홈
H1: 미스트 배출구 H2 제1 에어 배출구
H3 제2 에어 배출구

Claims (6)

  1. 수조;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수조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분해 모듈;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에 담긴 살균수의 수면 위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
    상기 발생된 미스트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미스트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미스트 가이드부;
    상기 발생된 미스트가 상기 미스트 배출 통로를 통해 흐르도록 바람을 인가하는 제1 송풍부; 및
    상기 미스트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미스트의 방향, 두께, 및 퍼짐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분무 상태 조절부를 포함하는,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는, 천정을 형성하는 상측 하우징, 좌측 벽을 형성하는 좌측 하우징, 및 우측 벽을 형성하는 우측 하우징을 포함하여, 터널형 방역 공간을 만들고,
    상기 미스트 가이드부에서 미스트가 배출되는 미스트 배출구는 미스트를 상기 터널형 방역 공간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천정에서 바닥을 향해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상측 하우징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상태 조절부는,
    상기 미스트 배출구의 중심부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분무 조절 바; 및
    상기 분무 조절 바를 상기 분무 상태 조절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장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미스트 배출구의 내부를 향해 상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조절 바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양쪽 가장자리를 향해 하강하는 경사면을 가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각 장착판에는 상기 분무 조절 바를 장착할 수 있는 체결구멍이 높이를 달리하여 둘 이상 형성된,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가이드부의 말단, 및 상기 분무 상태 조절부의 말단 중 하나 이상에는, 미스트가 응축된 물방울이 흘러내려 고이도록 응축수 수집 홈이 형성된,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KR1020210039048A 2021-03-25 2021-03-25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KR10228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048A KR102282852B1 (ko) 2021-03-25 2021-03-25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CN202110460615.2A CN113171484A (zh) 2021-03-25 2021-04-27 可调节喷雾状态的杀菌消毒喷雾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048A KR102282852B1 (ko) 2021-03-25 2021-03-25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889A true KR20210040889A (ko) 2021-04-14
KR102282852B1 KR102282852B1 (ko) 2021-07-28

Family

ID=7547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048A KR102282852B1 (ko) 2021-03-25 2021-03-25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2852B1 (ko)
CN (1) CN1131714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8361A (zh) * 2021-04-21 2021-06-15 广州市三域科技有限公司 超声波雾化器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8877A (zh) * 2022-04-13 2022-06-28 雷真 一种医用手术服术前全面消毒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522A1 (ja) * 2011-12-19 2013-06-27 ノズルネットワーク株式会社 液体霧化装置
KR101916455B1 (ko) * 2016-11-11 2018-11-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산화 미스트 분무에 의한 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방법
JP2020127942A (ja) * 2017-07-11 2020-08-27 株式会社アクト 噴霧システム
KR102161372B1 (ko) 2019-01-09 2020-09-29 주식회사 수본 휴대용 미용 수소살균수 미스트 장치
KR102191093B1 (ko) 2020-06-05 2020-12-15 주식회사 오션파라다이스 실외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
KR102200404B1 (ko) * 2020-07-21 2021-01-12 (주)와이 디 티 연무식 분사구조를 갖는 고성능 살균 샤워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9995A (ja) * 2004-11-26 2006-06-15 Yoshimi Sano 殺菌・消臭の手法
CN201997830U (zh) * 2011-03-09 2011-10-05 广州中国科学院工业技术研究院 一种回流炉的出风装置
CN207478837U (zh) * 2017-11-14 2018-06-12 武汉轻工大学 一种杀菌剂雾化装置
CN108486603B (zh) * 2018-05-23 2023-08-29 卢伟滔 次氯酸钠清菌仪
CN210409083U (zh) * 2019-03-22 2020-04-28 中国人民解放军陆军防化学院 一种便携式蒸气洗消装置
CN211836950U (zh) * 2020-02-11 2020-11-03 长沙中粮机械有限公司 大范围移动型喷雾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522A1 (ja) * 2011-12-19 2013-06-27 ノズルネットワーク株式会社 液体霧化装置
KR101916455B1 (ko) * 2016-11-11 2018-11-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산화 미스트 분무에 의한 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방법
JP2020127942A (ja) * 2017-07-11 2020-08-27 株式会社アクト 噴霧システム
KR102161372B1 (ko) 2019-01-09 2020-09-29 주식회사 수본 휴대용 미용 수소살균수 미스트 장치
KR102191093B1 (ko) 2020-06-05 2020-12-15 주식회사 오션파라다이스 실외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
KR102200404B1 (ko) * 2020-07-21 2021-01-12 (주)와이 디 티 연무식 분사구조를 갖는 고성능 살균 샤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8361A (zh) * 2021-04-21 2021-06-15 广州市三域科技有限公司 超声波雾化器系统
CN112958361B (zh) * 2021-04-21 2021-11-23 广州市三域科技有限公司 超声波雾化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852B1 (ko) 2021-07-28
CN113171484A (zh)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0889A (ko) 분무상태 조절이 가능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JP4928869B2 (ja) 空気除菌装置
KR101831441B1 (ko) 오존 발생기 장치
WO2015000092A1 (de) Luftbefeuchter und verneblermodul
JP2013099472A (ja) 噴霧方法及び室内噴霧装置
KR102341286B1 (ko) 미스트 분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KR102057886B1 (ko) 살균수 생성장치
JP2009285293A (ja) 除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KR102300809B1 (ko)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KR102281353B1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JP2007175305A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KR100803907B1 (ko)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JP2008212786A (ja) 搬送体清浄システム
KR102534771B1 (ko) 제균 및 살충 분사기
JP2007135936A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KR20070053132A (ko)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JP4721921B2 (ja) 空気除菌装置
KR20170114867A (ko)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플라즈마 전원 장치
KR100908561B1 (ko) 공기 제균 장치
KR102281313B1 (ko) 수소 살균수를 이용한 포그 커튼 시스템
JP2007175313A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KR102533491B1 (ko) 공기 및 장비 살균 가능한 항온항습기의 살균시스템
KR102555017B1 (ko) 노즐형 분사부와 미스트 분무부를 가진 투웨이 살균수 분사 장치
CN211382922U (zh) 一种屠宰场用消毒装置
JP2008109983A (ja) 空気除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