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767A - 기판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767A
KR20210040767A KR1020200028932A KR20200028932A KR20210040767A KR 20210040767 A KR20210040767 A KR 20210040767A KR 1020200028932 A KR1020200028932 A KR 1020200028932A KR 20200028932 A KR20200028932 A KR 20200028932A KR 20210040767 A KR20210040767 A KR 20210040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rotruding
coupling part
coupling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덕수
김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디
Publication of KR20210040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제1 기판에 접속되며,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탄성회동부(130)를 구비하는 제1 결합부(100);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연장부(210) 및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연장부(230)를 구비하는 중간 결합부(200);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탄성회동부(310) 및 제2 기판에 접속되는 컨택핀(380)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300); 및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2 결합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는 상기 중간 결합부(200)의 제1 돌출연장부(210)와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제2 탄성회동부(310)는 상기 중간 결합부(200)의 제2 돌출연장부(230)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연결용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기판 사이의 결합시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유연성 있게 회동할 수 있게 하며, 두 기판 사이의 평행도를 향상시켜 안정적인 커넥터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부 기판과의 오정렬(misalignment) 및 하부 기판과의 오정렬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는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통신 기기들 사이에는 다양한 신호들이 전송되며, 신호가 전송되는 통신 기기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이용된다.
커넥터는 대상물들을 결합시켜 대상물들 사이에 전기적 신호와 접지전압을 전달하는데,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의 결합, 인쇄회로기판과 동축케이블사이의 결합 또는 동축 케이블들 사이의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의 결합'은 제한된 공간에서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적층하고 그 사이에 다수의 커넥터들을 다수의 단자들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의 결합을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301772호에서는 알에프(RF) 커넥터의 일측인 커넥터부가 회동, 절곡, 및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판연결용 알에프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출원 제10-2018-0128279호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 쉘,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연장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탄성회동부를 구비하는 제2 쉘, 및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2 쉘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회동부와 상기 제2 쉘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부에서 좌우로 회동이 가능한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들에서는 상부 기판과의 오정렬이나 하부 기판과의 오정렬을 조정할 수 있지만,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과의 오정렬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자파를 차폐시키기 위한 실드캔(shield can)이 적용되는 PCB 기판에서의 오정렬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기판 사이의 결합시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모두에서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유연성 있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커넥터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기판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드캔이 적용되는 PCB 기판에서의 오정렬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판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쉘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의 하중 수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판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쉘들 사이의 평행도를 개선하여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두 기판 사이의 평행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쉘들 사이의 완충력을 제공하는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이 소정 크기 이상 수축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제1 기판에 접속되며,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탄성회동부를 구비하는 제1 결합부;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연장부 및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연장부를 구비하는 중간 결합부;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탄성회동부 및 제2 기판에 접속되는 컨택핀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중간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탄성회동부는 상기 중간 결합부의 제1 돌출연장부와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의 제2 탄성회동부는 상기 중간 결합부의 제2 돌출연장부와 맞물려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탄성회동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제2 탄성회동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외측 아래방향으로 돌출하여 제2 기판에 탄성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외측 아래방향으로 돌출하여 제2 기판에 탄성접촉되는 복수의 지지체를 구비하며, 싱기 지지체들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알에프 신호 누설방지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개구평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와 상기 원통부의 개구평면에서 외측 아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의 제1 돌출부는 원통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체의 제2 돌출부는 제2 기판에 탄성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컨택핀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의 지지체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면에 탄성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중간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 벌류트 스프링,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 및 웨이브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중간 결합부 사이에 스프링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컨택핀의 후방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1 결합부를 관통하는 제1 중심도체 및 상기 중간 결합부를 관통하는 제2 중심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심도체는 상기 제2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중심도체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컨택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탄성회동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제2 탄성회동부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제1 기판에 접속되며,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탄성회동부(130)를 구비하는 제1 결합부;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연장부 및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연장부를 구비하는 중간 결합부;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탄성회동부,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4 탄성회동부 및 제2 기판에 접속되는 컨택핀을 구비하는 제3 결합부; 상기 중간 결합부와 상기 제3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제3 결합부의 제4 탄성회동부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부 및 상기 제3 결합부의 컨택핀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탄성회동부는 상기 중간 결합부의 제1 돌출연장부와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제3 결합부의 제3 탄성회동부는 상기 중간 결합부의 제2 돌출연장부와 맞물려 고정되며, 상기 제3 결합부의 제4 탄성회동부의 반경방향의 돌출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원통부의 내주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탄성회동부와 상기 제3 결합부의 제3 탄성회동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경사질 수 있으며, 상기 제3 결합부의 제4 탄성회동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중간 결합부와 상기 제3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 벌류트 스프링,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 및 웨이브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중간 결합부 사이에 스프링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1 결합부를 관통하는 제1 중심도체 및 상기 중간 결합부를 관통하는 제2 중심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심도체는 상기 제2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중심도체는 상기 제3 결합부의 컨택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탄성회동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제2 탄성회동부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3 결합부의 컨택핀의 후방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두 기판 사이의 결합시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모두에서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유연성 있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커넥터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실드캔이 적용되는 PCB 기판에서의 오정렬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두 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쉘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의 하중 수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커넥터의 쉘들 사이의 평행도를 개선하여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두 기판 사이의 평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상하로 배치되는 두 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실드캔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1 결합부, 중간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실드캔과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가이드부가 추가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실드캔과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2 결합부에 적용될 수 있는 탄성지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2 결합부에 적용될 수 있는 탄성지지체에 알에프 신호 누설방지부재가 형성된 변형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2의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2 결합부에 적용될 수 있는 탄성지지체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축방향 오정렬을 조정하는 과정을 나태낸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반경방향 오정렬을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1 결합부, 중간결합부, 제3 결합부 및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1 결합부, 중간결합부, 제3 결합부 및 가이드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실드캔과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축방향 오정렬을 조정하는 과정을 나태낸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반경방향 오정렬을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는 벌류트 스프링의 개략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는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의 개략도이다.
도 14c 및 도 14d는 도 14b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의 변형예들이다.
도 14e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는 웨이브 스프링의 개략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기본적인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제1 기판(P1)에 접속되는 제1 결합부(100), 제2 기판(P2)에 접속되는 제2 결합부(300) 및 제1 결합부(100)와 제2 결합부(300)를 연결시키는 중간 결합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결합부(200)에는 전자파를 차단시키기 위한 실드 캔(S)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00)는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탄성회동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300)는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탄성회동부(310)를 구비한다. 여기서, '반경 방향'이란 중심축으로의 방향 또는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상기 중간 결합부(200)는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연장부(210) 및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연장부(2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는 상기 중간 결합부(200)의 제1 돌출연장부(210)와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제2 탄성회동부(310)는 상기 중간 결합부(200)의 제2 돌출연장부(230)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와 상기 제2 결합부(200)의 제2 탄성회동부(310)는 원통형 형상으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중간 결합부(200)가 제1 결합부(100) 및 제2 결합부(30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경사질 수 있게 구성된다.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중간 결합부(200)에서 제1 결합부(100)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연장부(21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서로 맞물리며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탄성회동부(130)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고, 제1 돌출연장부(210)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탄성회동부(130)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 방향으로 향하고, 제1 돌출연장부(210)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탄성회동부(130)와 제1 돌출연장부(210)의 각각의 반경이 어느 한쪽이 더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300)의 제2 탄성회동부(31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중간 결합부(200)에서 제2 결합부(300)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연장부(23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서로 맞물리며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탄성회동부(310)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고, 제2 돌출연장부(230)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2 탄성회동부(310)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 방향으로 향하고, 제2 돌출연장부(230)의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탄성회동부(310)와 제2 돌출연장부(230)의 각각의 반경이 어느 한쪽이 더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2 결합부(300) 사이에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2 결합부(300)가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아래방향으로 밀어내려진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2 결합부(300)가 제2 기판(P2)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2 결합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2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2 결합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벌류트 스프링(volute spring)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벌류트 스프링(261)은 원뿔 코일 스프링의 일종으로, 사각형 단면의 강판을 원뿔 형상으로 감은 압축 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벌류트 스프링(261)은 복수의 턴(turn)을 감긴 구조로서, 예를 들어, 도 14a에서는 6회 턴으로 감긴 벌류트 스프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벌류트 스프링(261)의 감긴 턴 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작용하는 하중 조건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벌류트 스프링(261)의 상단은 상기 중간 결합부(200)의 하단면에 맞물리며, 상기 벌류트 스프링(261)의 하단은 상기 제2 결합부(300)의 하측부(360)에 맞물린다. 상기 벌류트 스프링(261)이 중간 결합부(200)와 제2 결합부(300) 사이에 잘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벌류트 스프링(261)의 최내측판의 내경(d), 즉 상단부의 내경은 상기 중간 결합부(200)의 하단면의 내경보다 크거가 같게 설정되며, 상기 벌류트 스프링(261)의 최외측판의 외경(D)은 상기 제2 결합부(300)의 하측부(360)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벌류트 스프링(261)의 상하단부가 각각 중간 결합부(200)와 제2 결합부(300)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결합부(300)의 하측부(360)의 상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261)의 하단부의 내측이 삽입될 수 있는 돌기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 결합부(200)의 하단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261)의 상단부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벌류트 스프링의 하단부가 제2 결합부의 하측부의 상부면에서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벌류트 스프링의 상단부가 중간 결합부의 하단면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P1)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축 하중이 작용할 때, 벌류트 스프링의 완충 하중(수용 하중)은 스프링의 변형과 함께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다가 스프링 직경이 큰 하단부의 판(plate)부터 순차적으로 좌면(제2 결합부의 하측부의 상면)에 접촉한다. 벌류트 스프링의 하단부에서 죄면에 접촉된 부분의 판은 스프링으로서의 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하중 이상에서의 변위에 대하여 완충 하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가진다. 또한, 제2 결합부(300)의 하측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벌류트 스프링(261)의 최외측판의 외경이 확대되는것을 방지하고 중간 결합부(200)의 하단면에 형성된 돌기부(도시하지않음)에 의해 벌류트 스프링(261)의 최내측판의 내경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벌류트 스프링(261)의 판과 판사이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벌류트 스프링(261)은 서로 밀착되는 판과 판 사이의 마찰에 의한 진동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P1)에 작용하는 과대한 하중으로부터 스프링이 보호될 수 있으며, 작은 장소에서도 커넥터가 큰 하중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2 결합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은 도 14b 내지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2)은 내측원형띠,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의 다리부(26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2)이 상기 중간 결합부(200)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다리부(262a)는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2)은 복수의 다리부(262a)가 중간 결합부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통상의 코일 스프링이 원형의 상단면에 의해 상부 기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보다 하중 편차가 훨씬 적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측에 배치되는 기판을 하측에 배치되는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262a)는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 결합부(200)와 제2 결합부(300) 사이에 배치된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2)이 상부 기판을 하중 편차가 적고 하부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보다 신뢰성 있게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2)의 복수의 다리부(262a)의 말단부들은 수평으로, 즉 내측원형띠의 평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2)의 복수의 다리부들(262a)은 내측원형띠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판스프링(262)의 하중 지지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다리부들(262a)의 중간 지점에 경사도가 변하는 변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연결용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은 도 14c 및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4c에는 도 14b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2)이 스토퍼 스프링(263)과 함께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스토퍼 스프링(263)은 내측원형띠,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말단부가 스토퍼의 정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h) 만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263a)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 스프링(263)은 상기 제2 결합부(300)의 하측부(360)의 상면에서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2)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결합부(200)가 제2 결합부(300)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토퍼 스프링(263)의 스토퍼(263a)의 말단부가 상기 제2 결합부(300)의 하측부(360)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중간결합부(200)의 하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 스프링(263)의 스토퍼(263a)의 높이는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2)의 다리부의 높이보다 낮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스프링(263)의 스토퍼(263a)의 정점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말단부의 길이(h)는 약 0.8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치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4d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4)이 도시된다. 상기 다중점 중점 지지 판스프링(264)은 복수의 다리부(264a)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264b)가 정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h)만큼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중간결합부(200)가 제2 결합부(300)쪽으로 이동하여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4)이 하방향으로 수축될 때, 상기 다리부(264a)의 연장된 말단부(264b)가 먼저 제2 결합부(300)의 하측부(360)의 상면에 접촉되어 중간결합부(200)의 하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264a)의 말단부(264b)가 하방향으로 연장된 길이(h)는 약 0.8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치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연결용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262, 264) 및 스토퍼 스프링(263)은 Beryllium Copper C1720_TO.15를 이용하여 프레스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금속재료 및/또는 다른 기계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2 결합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은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웨이브 판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브 스프링(265)은 복수의 단위 웨이브 스프링(265a, 265b, ... , 265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웨이브 스프링(265a, 265b, ... , 265n)은 위로 볼록한 복수의 정점(頂點)(265-1)과 아래로 볼록한 복수의 저점(低點)(265-2)이 교대로 형성되는 폐쇄형 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위 웨이브 스프링들(265a, 265b, ... , 265n)은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브 스프링(26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상부에 배치되는 단위 웨이브 스프링의 저점을 하부에 배치되는 단위 웨이브 스프링의 정점과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점(265-1)은 중간결합부(200)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통상의 코일 스프링이 원형의 상단면에 의해 상부 기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보다 하중 편차가 훨씬 적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측에 배치되는 기판을 하측에 배치되는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웨이브 스프링(265)은 위로 볼록한 정점과 및 아래로 볼록한 저점으로 구성되는 단일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정점 및 저점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서로 번갈아가며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웨이브 스프링(265)은 복수의 턴(turn)으로 감길 수 있다. 이러한 웨이브 스프링(265)의 감긴 턴 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작용하는 하중 조건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300)는 제2 기판에 접속되는 컨택핀(380)을 구비하며, 컨택핀(380)이 제2 기판의 표면에 신뢰성 있게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컨택핀(380)의 후방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39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2 결합부(300)는 외측 아래방향으로 돌출하여 제2 기판에 탄성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체(3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20)는 내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된 둘레부, 상기 둘레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상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320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0a)는 제2 기판(P2)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이므로, 제2 기판(P2)과 안정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는 돌출부(320a)가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나의 돌출부(320a)만으로도 제2 기판(P2)과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320a)은 중간 지점에서 경사도가 변하는 변곡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체(320)는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릴륨(beryllium)으로도 제조될 수도 있고, KS-D-5102 C1720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다른 금속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금속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강성을 가진 다른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320)의 둘레부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320)의 하단에는 제2 기판(P2)이 배치되는데, 제2 기판(P2)이 제1 기판(P1)에 대하여 평행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도, 지지체(320)의 돌출부(320a)가 제2 기판(P2)과 안정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 돌출부(32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320)의 돌출부(320a)의 하단에는 제2 기판(P2)이 접촉되어 배치되므로, 제2 기판(P2)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하여 돌출부(320a)의 단부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320)는 절연재(350)에 의해 상기 제2 결합부(300)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이용되는 상기 절연재(350)의 재질은 전기적 절연성을 지니며 지지체(320)와의 접착 결합력이 우수한 레진(resin)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유전율 3.7의 LCP S475(Black)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재의 재질은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와 같은 불소 수지(fluorine resin)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연성을 구비한 고무, 우레탄, 플라스틱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변형예는 상기 지지체(320)의 돌출부(320a)의 외주 둘레부 주위에 O-링(도시하지 않음)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O-링의 내경은 상기 돌출부(320a)의 외주 둘레부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게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 기판(P2)로부터 지지체(320)의 돌출부(320a)로 전달되는 하중을 O-링이 분담하므로써, 돌출부(320)의 탄성력을 상호 보완하여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내구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O-링은 원형 고리의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실리콘, 천연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2 결합부(300)의 지지체(320)는 외측 아래방향으로 돌출하여 제2 기판에 탄성접촉되는 복수의 돌출부(320a)를 구비하며, 싱기 돌출부(320a)들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알에프 신호 누설방지부재(32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돌출부(320a)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알에프 신호(radio frequency signal)가 외부로 누설(leakage)되어 손실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에프 신호 누설방지부재(320b)는 지지체(3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2 결합부(300)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개구평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322a)와 상기 원통부의 개구평면에서 외측 아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322b)를 구비하는 지지체(32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322)의 제1 돌출부(322a)는 원통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체(322)의 제2 돌출부(322b)는 제2 기판(P2)에 탄성접촉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322)는 원통부에 절연재질이 충전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절연재질은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 물질을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재질은 전기 절연성과 더불어 원통부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체와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불소 수지(fluorine resin), 예컨대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를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22)는 원통부와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몸체(322c), 제1 돌출부들(322a) 및 제2 돌출부들(322b)을 포함한다. 몸체(322c)는 컨택핀(380)이 삽입이 가능하도록 가운데 부분이 비어 있는 링(ring) 형태의 것이다. 제1 돌출부들(322a)은 몸체(322c)의 외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지지체(322)에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322a)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돌출부들(322a)은 몸체(322)로부터 외측 방향으로(몸체의 평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322)는 이와 같은 제1 돌출부들(322a)을 통해 원통부의 내측 일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원통부와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2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서 한 개 또는 두 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원통부와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제1 돌출부들(322a)은 적어도 세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돌출부(322b)는 제1 돌출부(322a)의 돌출방향과는 다른 방향(즉, 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몸체(322c)의 외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322a)와 더불어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322b)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2 돌출부들(322b)은 몸체(322c)의 외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322)는 이와 같은 제2 돌출부들(322b)을 통해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기판(P2)과 접촉된다. 또한, 아래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 돌출부들(322b)은 접속되는 기판(P2)이 수평 상태가 아닐 경우에도 안정적인 접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기판(P1)이 제2 기판(P2)에 평행하지 않고 다소 기울어져 있게 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접촉을 도모하기 위해 제2 돌출부들(322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일둘레에 걸쳐 적어도 세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1 결합부(100)와 중간 결합부(200) 사이에 스프링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0)와 중간 결합부(200) 사이에 스프링(160)이 배치되면, 제1 결합부(100)가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윗방향으로 밀어올려진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1 결합부(100)가 제1 기판(P1)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결합부(100)와 상기 중간 결합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160)은 압축코일스프링, 벌류트 스프링,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 및 웨이브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상기 제1 결합부(100)를 관통하는 제1 중심도체(140) 및 상기 중간 결합부(200)를 관통하는 제2 중심도체(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심도체(140)는 상기 제2 중심도체(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중심도체(240)는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컨택핀(3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1 결합부(100)는 제1 기판(P1)에 삽입 고정되는 잭 타입 커넥터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0)의 상단에는 잭 타입 커넥터부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길이방향의 슬릿홈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100)의 중공 내측에는 배치되는 제1 중심도체(140)는 절연재(1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중심도체(140)의 상부에는 돌출형 단자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 결합부(200)의 중공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중심도체(240)는 절연재(3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중심도체(240)의 상부에는 돌출형 단자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300)의 중공 내측에 배치되는 제3 중심도체(340)는 절연재(3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중심도체(340)의 상부에는 돌출형 단자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중심도체(340)의 삽입홈에는 컨택핀(380)이 삽입될 수 있다.
잭 타입 커넥터부는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2) 중 어느 기판에 설치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제1 기판(P1) 또는 제2 기판(P2)은 통신용 함체일 수 있다. 즉, 함체와 기판의 결합 또는 기판과 기판의 결합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중간 결합부(200)의 외주부에는 실드 캔(S)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드 캔이 이용되지 않는 기판들을 연결하는 데에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커넥터가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는 기판의 알에프 신호를 함체와 절연되는 상태로 함체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거나, 외부의 알에프 신호를 함체 내의 기판에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변형예를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00), 중간 결합부(200) 및 제2 결합부(300)가 결합된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2 결합부(300)에서 아래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탄성 지지체(320)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0)는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컨택핀(38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410)를 구비하며, 제2 기판(P2)의 표면에 솔더링(soldering)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결합부(300)가 제2 기판(P2)에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1 결합부(100)가 상측에 위치하는 제1 기판(P1)에 고정된 잭 타입 커넥터부에 삽입 고정되고 제2 결합부(200)의 탄성지지체가 하측에 위치하는 제2 기판(P2)에 접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 결합부(100)가 하측에 위치하는 제2 기판(P2)에 고정된 잭 타입 커넥터부에 삽입 고정되고 제2 결합부(200)의 탄성지지체가 상측에 위치하는 제1 기판(P1)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2)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중간 결합부(200)에 고정되고, 제1 기판(P1)이 커넥터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2 기판(P2)이 커넥터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축방향(axial direction)에서의 오정렬(misalignment)를 조정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P1)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P2)에 가압력이 작용할 때, 커넥터는 축방향으로 수축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는 중간 결합부(200)의 제1 돌출연장부(210)와 맞물려 결합되고, 제2 결합부(300)의 제2 탄성회동부(310)는 중간 결합부(200)의 제2 돌출연장부(230)와 맞물려 고정되는 구성이고, 중간 결합부(200)와 제2 결합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이 제2 결합부(300)를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밀어내리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기판(P1) 또는 제2 기판(P2)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따라 축방향으로 신축하므로,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2) 사이의 축방향의 오정렬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9b는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중간 결합부(200)에 고정되고, 제1 기판(P1)이 커넥터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2 기판(P2)이 커넥터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반경방향(radial direction)에서의 오정렬(misalignment)를 조정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P1)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P2) 사이에 반경방향의 오정렬이 발생하였을 때, 중간 결합부(200)를 중심으로 하여 제1 결합부(100)는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기울어지면서 제1 결합부(10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1 기판(P1)의 좌우방향(반경방향)의 오정렬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2) 사이에 반경방향의 오정렬이 발생하였을 때, 중간 결합부(200)를 중심으로 하여 제2 결합부(300)가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기울어지면서 제2 결합부(30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2 기판(P2)의 좌우방향(반경방향)의 오정렬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커넥터의 제2 결합부(300)의 둘레에 걸쳐 외측 아래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탄성 지지 작용에 의해 제2 기판(P2)이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윗쪽에 위치하는 제1 기판(P1)에 대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는 제1 결합부(100)의 상단이 제1 기판(P1)에 고정되는 잭 타입 커넥터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100)의 하단이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결합부(300)의 상단이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결합부(300)의 지지체가 제2 기판(P2)에 대하여 경사지게 접촉될 수 있는 다관절 기능(articulated fun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로 표시하였으며,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제1 기판(P1)에 접속되는 제1 결합부(100), 제2 기판(P2)에 접속되는 제3 결합부(500), 제1 결합부(100)와 제3 결합부(500)를 연결시키는 중간 결합부(200), 중간 결합부(200)와 제3 결합부(5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및 제3 결합부(500)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기판(P2)에 고정되는 가이드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결합부(200)에는 전자파를 차단시키기 위한 실드 캔(S)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1 결합부(100) 및 중간 결합부(200)의 구성 및 작용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제1 결합부(100) 및 중간 결합부(200)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다.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3 결합부(500) 사이에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3 결합부(500)가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아래방향으로 밀어내려진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3 결합부(500)가 제2 기판(P2)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3 결합부(5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260), 벌류트 스프링(261), 다중점지지 판스프링(262, 264) 및 웨이브 스프링(265)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중간 결합부(200)와 제2 결합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3 결합부(500)는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탄성회동부(510),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4 탄성회동부(530) 및 제2 기판에 접속되는 컨택핀(580)을 구비한다.
제3 결합부(50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600)는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제4 탄성회동부(530)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부(610) 및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컨택핀(58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620)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600)는 제2 기판(P2)의 표면에 솔더링(soldering)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제4 탄성회동부(530)의 반경방향의 돌출단부는 상기 가이드부(600)의 원통부(610)의 내주면에 접속되며,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제4 탄성회동부(5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600)의 원통부(610)의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상기 제1 결합부(100)를 관통하는 제1 중심도체(140) 및 상기 중간 결합부(200)를 관통하는 제2 중심도체(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심도체(140)는 상기 제2 중심도체(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중심도체(240)는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컨택핀(5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3 결합부(500)는 제2 기판(P2)에 접속되는 컨택핀(580)을 구비하며, 컨택핀(580)이 제2 기판의 표면에 신뢰성 있게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결합부(500)의 컨택핀(580)의 후방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59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상기 제1 결합부(100)는 제1 기판(P1)에 삽입 고정되는 잭 타입 커넥터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0)의 상단에는 잭 타입 커넥터부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길이방향의 슬릿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1 결합부(100)가 상측에 위치하는 제1 기판(P1)에 고정된 잭 타입 커넥터부에 삽입 고정되고 제3 결합부(500)와 결합되는 가이드부(600)가 제2 기판(P2)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 결합부(100)가 하측에 위치하는 제2 기판(P2)에 고정된 잭 타입 커넥터부에 삽입 고정되고 제3 결합부(500)와 결합되는 가이드부(600)가 제1 기판(P1)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2)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a는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중간 결합부(200)에 고정되고, 제1 기판(P1)이 커넥터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2 기판(P2)이 커넥터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축방향(axial direction)에서의 오정렬(misalignment)를 조정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P1)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P2)에 가압력이 작용할 때, 커넥터는 축방향으로 수축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는 중간 결합부(200)의 제1 돌출연장부(210)와 맞물려 결합되고, 제2 결합부(300)의 제2 탄성회동부(310)는 중간 결합부(200)의 제2 돌출연장부(230)와 맞물려 고정되는 구성이고, 중간 결합부(200)와 제3 결합부(5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이 제3 결합부(500)를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밀어내리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기판(P1) 또는 제2 기판(P2)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따라 축방향으로 신축하므로,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2) 사이의 축방향의 오정렬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3b는 기판연결용 커넥터가 중간 결합부(200)에 고정되고, 제1 기판(P1)이 커넥터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2 기판(P2)이 커넥터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반경방향(radial direction)에서의 오정렬(misalignment)를 조정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P1)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P2) 사이에 반경방향의 오정렬이 발생하였을 때, 중간 결합부(200)를 중심으로 하여 제1 결합부(100)는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기울어지면서 제1 결합부(10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1 기판(P1)의 좌우방향(반경방향)의 오정렬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2) 사이에 반경방향의 오정렬이 발생하였을 때, 중간 결합부(200)를 중심으로 하여 제3 결합부(500)가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기울어지면서 제3 결합부(50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2 기판(P2)의 좌우방향(반경방향)의 오정렬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는 커넥터의 제3 결합부(300)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제4 탄성회동부(530)가 제2 기판에 고정된 가이드부(600)의 원통부(610)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으므로, 제2 기판(P2)이 기판연결용 커넥터의 윗쪽에 위치하는 제1 기판(P1)에 대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판연결용 커넥터에서는 제1 결합부(100)의 상단이 제1 기판(P1)에 고정되는 잭 타입 커넥터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100)의 하단이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결합부(500)의 상단이 중간 결합부(200)에 대하여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결합부(500)의 하단이 가이드부(600)에 대하여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다관절 기능(articulated fun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 결합부 200: 중간 결합부
300: 제2 결합부 400, 600: 가이드부
500: 제3 결합부 S: 실드 캔
P1: 제1 기판 P2: 제2 기판

Claims (16)

  1.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결합시키는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1 기판에 접속되며,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탄성회동부(130)를 구비하는 제1 결합부(100);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연장부(210) 및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연장부(230)를 구비하는 중간 결합부(200);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탄성회동부(310) 및 제2 기판에 접속되는 컨택핀(380)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300); 및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2 결합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는 상기 중간 결합부(200)의 제1 돌출연장부(210)와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제2 탄성회동부(310)는 상기 중간 결합부(200)의 제2 돌출연장부(230)와 맞물려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와 상기 제2 결합부(200)의 제2 탄성회동부(31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경사질 수 있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300)는 외측 아래방향으로 돌출하여 제2 기판에 탄성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체(320)를 구비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300)는 외측 아래방향으로 돌출하여 제2 기판에 탄성접촉되는 복수의 지지체(320)를 구비하며, 싱기 지지체(320)들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알에프 신호 누설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300)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개구평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와 상기 원통부의 개구평면에서 외측 아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의 제1 돌출부은 원통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체의 제2 돌출부는 제2 기판에 탄성접촉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컨택핀(38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410)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지지체(320)가 상기 가이드부(400)의 상부면에 탄성접촉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2 결합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 벌류트 스프링,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 및 웨이브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기판연결용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100)와 상기 중간 결합부(200) 사이에 스프링이 추가로 배치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컨택핀(380)의 후방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390)이 추가로 배치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100)를 관통하는 제1 중심도체(140) 및 상기 중간 결합부(200)를 관통하는 제2 중심도체(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심도체(140)는 상기 제2 중심도체(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중심도체(240)는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컨택핀(3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 및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제2 탄성회동부(310)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11.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결합시키는 기판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1 기판에 접속되며,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탄성회동부(130)를 구비하는 제1 결합부(100);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연장부(210) 및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연장부(230)를 구비하는 중간 결합부(200);
    길이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탄성회동부(510),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4 탄성회동부(530) 및 제2 기판에 접속되는 컨택핀(580)을 구비하는 제3 결합부(500);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3 결합부(5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제4 탄성회동부(530)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부(610) 및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컨택핀(58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620)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가이드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는 상기 중간 결합부(200)의 제1 돌출연장부(210)와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제3 탄성회동부(510)는 상기 중간 결합부(200)의 제2 돌출연장부(230)와 맞물려 고정되며,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제4 탄성회동부(530)의 반경방향의 돌출단부는 상기 가이드부(600)의 원통부(610)의 내주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와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제3 탄성회동부(51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경사질 수 있으며,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제4 탄성회동부(5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경사질 수 있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합부(200)와 상기 제3 결합부(5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 벌류트 스프링,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 및 웨이브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기판연결용 커넥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100)와 상기 중간 결합부(200) 사이에 스프링이 추가로 배치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100)를 관통하는 제1 중심도체(140) 및 상기 중간 결합부(200)를 관통하는 제2 중심도체(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심도체(140)는 상기 제2 중심도체(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중심도체(240)는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컨택핀(5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100)의 제1 탄성회동부(130) 및 상기 제2 결합부(300)의 제2 탄성회동부(310)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부(500)의 컨택핀(580)의 후방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590)이 추가로 배치되는
    기판연결용 커넥터.
KR1020200028932A 2019-10-04 2020-03-09 기판연결용 커넥터 KR20210040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223 2019-10-04
KR20190123223 2019-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767A true KR20210040767A (ko) 2021-04-14

Family

ID=7547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932A KR20210040767A (ko) 2019-10-04 2020-03-09 기판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07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839A (ko) * 2021-08-18 2023-02-27 주식회사 비마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839A (ko) * 2021-08-18 2023-02-27 주식회사 비마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008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TWI758389B (zh) 電連接器及其組合
JP6041107B2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EP3547459B1 (en) Board mating connector in which signal contact unit and ground contact unit are interlocked
EP3819993A1 (en) Connector having joint with limited range of motion
KR101936770B1 (ko) 접촉 장치
US11411347B2 (en) Coaxial connector an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KR101326296B1 (ko)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US11404808B2 (en) Coaxial connector an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7001798B2 (ja) 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
CN106159504B (zh) 紧凑型射频同轴连接器
KR102025933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US20170070015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11381021B2 (en) Socket contact and connector
US20210203093A1 (en) Board mating connector
WO2023185088A1 (zh) 浮动射频连接器及容差偏移对配的浮动射频连接器
KR20210040767A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US10971846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JP5203234B2 (ja) 電気コネクタ
CN103887626A (zh) 同轴连接器
CN210866559U (zh) 同轴连接器及板对板连接器组件
CN108110438B (zh) 电连接器及其组合
CN216981016U (zh) 浮动接头结构
US20220376418A1 (en) External device-to-external device connector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20210003009A (ko) 자기복원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