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366A -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366A
KR20210040366A KR1020217002452A KR20217002452A KR20210040366A KR 20210040366 A KR20210040366 A KR 20210040366A KR 1020217002452 A KR1020217002452 A KR 1020217002452A KR 20217002452 A KR20217002452 A KR 20217002452A KR 20210040366 A KR20210040366 A KR 20210040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antenna
radio frequenc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099B1 (ko
Inventor
마이클 로에
클라우디오 안질
자탄 샤
Original Assignee
에이브이엑스 안테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브이엑스 안테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브이엑스 안테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0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4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2Modulated-carrier systems analog front ends; means for connecting modulators, demodulators or transceivers to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 H01Q3/247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by switching different parts of a primary ac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amplitu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01Q5/385Two or more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예시적 구현예에서,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동작가능한 모달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모드는 상이한 방사 패턴과 관련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모달 안테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튜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라인은 무선 주파수 회로를 모달 안테나에 결합시킬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는, 전송 라인을 통해 튜닝 회로에 전달하기 위한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튜닝 회로는 무선 주파수 회로가 제어 신호를 통해 모달 안테나의 모드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복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는 온-오프 키잉 변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본 출원은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6/018,787호(출원일: 2018년 6월 26일, 현재는 미국 특허 번호 제10,263,817호임)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아울러 그 혜택을 주장한다. 이러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6/018,787호는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형태들은 일반적으로 안테나 제어의 분야에 관한 것인데, 예컨대, 복수의 상이한 모드(mode)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모달 안테나(modal antenna)들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모달 안테나들은 무선 통신에서, 예컨대, 스마트폰 핸드셋(smartphone handset)들에서 그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안테나들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수동 안테나(passive antenna)들보다 향상된 신호 품질 및 더 콤팩트(compact)한 폼 팩터(form factor)를 제공한다. 하나의 모달 안테나 구성은 피구동 요소(driven element)와 관련된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기생 요소(parasitic element)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 1 전송 라인(transmission line)이, 피구동 요소를 피구동 요소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회로와 연결시킬 수 있다. 별개의 전송 라인이, 모달 안테나의 모달 속성들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회로를 기생 요소와 연결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실시형태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될 것이고, 또는 그 설명으로부터 학습될 수 있으며, 또는 실시예들의 실시를 통해 학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형태들은 안테나 시스템(antenna system)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 시스템은 피구동 요소(driven element)와, 그리고 피구동 요소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생 요소(parasitic element)를 포함하는 모달 안테나(modal antenna)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달 안테나는 복수의 상이한 모드(mode)들에서 동작가능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모드는 상이한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과 관련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모달 안테나를 동작시키기 위해 기생 요소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electrical characteristic)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튜닝 회로(tuning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은 무선 주파수 회로(radio frequency circuit)와, 그리고 무선 주파수 회로를 모달 안테나에 결합시키는 전송 라인(transmission line)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는, 전송 라인을 통해 튜닝 회로에 전달하기 위한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amplitude-shift keying modulation)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modulate)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튜닝 회로는 무선 주파수 회로가 제어 신호를 통해 모달 안테나의 모드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복조(demodulate)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는 온-오프 키잉 변조(on-off keying modul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특징들, 실시형태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되는 청구항들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되게 될 것이다. 수반되는 도면들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본 명세서의 설명과 함께 관련 원리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지향된 실시예들의 상세한 논의가 명세서에서 제시되며, 명세서는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데, 도면들에서,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모달 안테나(10)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도 1B는 도 1A의 모달 안테나와 관련된 2-차원 안테나 방사 패턴을 예시하고;
도 1C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도 1A의 모달 안테나의 예시적 주파수 플롯을 예시하고;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 안테나 시스템의 개략적 도면을 예시하고;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예시적 제어 회로의 개략적 도면을 예시하고;
도 4는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 및 온-오프 키잉 변조의 간략화된 예들을 나타내는 일련의 시간-정렬된 챠트들을 예시하고,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예시적 튜닝 회로의 개략적 도면을 예시하고;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개략적 도면을 예시하고; 그리고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들에서 참조 문자들의 반복되는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한 혹은 유사한 특징들 혹은 요소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된 것이다.
이제 실시예들이 상세히 참조될 것이고,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예들이 도면들에서 예시된다. 각각의 예는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제공되는 것이지 본 개시내용을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 아니다. 사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는 본 개시내용의 사상 혹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일 실시예의 일부로서 예시되거나 설명되는 특징들은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어 또 다른 실시예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들은 이러한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형태들은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 시스템은, 피구동 요소와, 그리고 피구동 요소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생 요소를 포함하는 모달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달 안테나는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동작가능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모드는 상이한 방사 패턴과 관련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모달 안테나를 동작시키기 위해 기생 요소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튜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은, 무선 주파수 회로와, 그리고 무선 주파수 회로를 모달 안테나에 결합시키는 전송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는, 전송 라인을 통해 튜닝 회로에 전달하기 위한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튜닝 회로는 무선 주파수 회로가 제어 신호를 통해 모달 안테나의 모드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복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는 온-오프 키잉 변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이용하는 것은 수 가지 혜택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신호 및 제어 신호는 낮은 간섭(interference) 및/또는 노이즈(noise)로 단일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 신호의 성분(component)들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진폭-시프트 키잉은 제어 신호 및/또는 RF 신호와 관련된 고조파 주파수들(harmonic frequencies)에서 감소된 공진(resonation)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는 하는 것 및 제어 신호를 복조하는 것과 관련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 신호의 결과적인 높은 충실도 전송은 모달 안테나의 동작에 관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들은 다중-입력-다중-출력(Multiple-In-Multiple-Out, MIMO) 안테나 구성들에서 특정 응용을 발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클록 동기화(clock synchronization)가 빠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기생 요소에 관한 낮은 레이턴시 제어(low latency control)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테나의 모달 동작(modal operation)에 관한 낮은 레이턴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인 데이터 전송 충실도는 모달 안테나의 동작에 관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제어에 기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주파수 회로는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와 관련된 진폭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주파수 회로는 대략 제로(zero)와 비-제로(non-zero) 값 사이에서 진폭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신호는 반복되는 패턴(repeating patter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신호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sinusoidal wav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 라인은 단일의 동축 케이블(single coaxial cable)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신호들은 제 1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내에서 정의될 수 있고, 그리고 제어 신호들은 제 1 주파수 대역과는 별개인 제 2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대역은 약 500 MHz 내지 약 50 GHz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 하나의 다른 예로서, 제 2 주파수 대역은 약 10 MHz 내지 약 1 GHz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 신호는 제 1 클록 주파수(clock frequency)와 관련되고, 그리고 튜닝 회로는 로컬 클록 주파수(local clock frequency)를 제 1 주파수와 동기화(synchronize)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시스템은, 제 1 회로 보드(circuit board)와, 그리고 제 1 회로 보드로부터 물질적으로 분리된 제 2 회로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는 제 1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튜닝 회로 또는 모달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주파수 회로는, RF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과, 그리고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control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시스템은, 기생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모달 안테나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튜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는, RF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모달 안테나의 피구동 요소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프런트 엔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의 제어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모달 안테나의 피구동 요소에 전송되는 RF 신호에 제어 신호를 변조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모달 안테나의 모드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하나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는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무선 주파수 회로에서,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RF 신호를 단일의 동축 전송 라인을 통해 튜닝 회로에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튜닝 회로에서, RF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모달 안테나를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 및 튜닝 회로를 통해 모달 안테나의 기생 요소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무선 주파수 회로로부터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드는 모달 안테나에 대한 상이한 방사 패턴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주파수 회로에서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는 것은, 온-오프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RF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는 것은, 캐리어 신호와 관련된 진폭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신호와 관련된 진폭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은, 대략 제로와 비-제로 값 사이에서 진폭을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신호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또는 임의의 반복되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하나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는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안테나 시스템은, 피구동 요소와, 그리고 피구동 요소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생 요소를 포함하는 모달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달 안테나는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동작가능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모드는 상이한 방사 패턴과 관련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은 또한, 프런트 엔드 모듈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은 또한, 무선 주파수 회로를 모달 안테나에 결합시키는 전송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은 또한, 복조기(de-modulator)와, 그리고 복조기와 결합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튜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엔드 모듈은 RF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정현파 캐리어 신호와 관련된 진폭을 대략 제로와 비-제로 값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온-오프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 신호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기는 제어 신호를 복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제어 모듈은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모달 안테나의 모드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모달 안테나(10)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모달 안테나(10)는 회로 보드(12)(예컨대, 접지면(ground plane)을 포함함), 그리고 회로 보드(12) 상에 배치되는 피구동 안테나 요소(14)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볼륨(antenna volume)이 회로 보드(예컨대, 그리고 접지면)와 피구동 안테나 요소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제 1 기생 요소(15)가 안테나 볼륨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 1 능동 튜닝 요소(16)가 기생 요소(15)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능동 튜닝 요소(16)는 수동 혹은 능동 컴포넌트 또는 일련의 컴포넌트들일 수 있고, 그리고 가변 리액턴스(variable reactance)를 이용해, 또는 접지에 대한 단락을 이용해, 제 1 기생 요소(14) 상의 리액턴스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이것은 결과적으로 안테나의 주파수 시프트를 일으키게됨).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2 기생 요소(18)는 회로 보드(12)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안테나 볼륨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기생 요소(18)는 또한, 하나 이상의 능동 및/또는 수동 컴포넌트들을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제 2 능동 튜닝 요소(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생 요소(18)는 피구동 요소(14)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안테나 볼륨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은 피구동 안테나 요소 상의 리액턴스를 변경시킴으로써 피구동 안테나 요소의 방사 패턴 특성들을 시프트시키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안테나 방사 패턴을 시프트시키는 것은 "빔 스티어링(beam steering)"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안테나 방사 패턴이 널(null)을 포함하는 경우들에서, 유사한 동작은 "널 스티어링(null steering)"으로서 지칭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널은 (예를 들어,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안테나 대해 대한 대안적 위치로 시프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2 능동 튜닝 요소(20)는 "온(On)"일 때는 제 2 기생을 접지에 연결시키고 "오프(Off)"일 때는 단락을 종료시키기 위한 스위치(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가변 커패시터(variable capacitor) 혹은 다른 튜닝가능 컴포넌트(tunable component)를 사용함으로써 제 1 기생 요소 혹은 제 2 기생 요소 중 어느 하나 상의 가변 리액턴스는 또한, 안테나 패턴 혹은 주파수 응답의 가변 시프트(variable shifting)를 제공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능동 튜닝 요소(16) 및/또는 제 2 능동 튜닝 요소(18)는 튜닝가능 커패시터(tunable capacitor), MEMS 디바이스, 튜닝가능 인덕터(tunable inductor), 스위치, 튜닝가능 위상 시프트기(tunable phase shifter),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effect transistor), 또는 다이오드(di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모달 안테나와 관련된 2-차원 안테나 방사 패턴을 예시한다. 방사 패턴은 모달 안테나(10)의 제 1 기생 요소(16) 및 제 2 기생 요소(18)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사 패턴은 제 1 모드(22)로부터 제 2 모드(24)로 혹은 제 3 모드(26)로 시프트될 수 있다.
도 1C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도 1A의 모달 안테나의 예시적 주파수 플롯을 예시한다. 안테나의 주파수는 모달 안테나(10)의 제 1 기생 요소(16) 또는 제 2 기생 요소(18)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의 제 1 주파수(f0)는 제 1 기생 요소 및 제 2 기생 요소가 "오프(Off)"로 스위칭될 때 달성될 수 있고, 주파수(fL) 및 주파수(fH)는 제 2 기생이 접지에 단락될 때 생성될 수 있고, 그리고 주파수들(f4; f0)은 제 1 기생 요소 및 제 2 기생 요소가 각각 접지에 단락될 때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돼야 한다. 예를 들어,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기생 요소들이 이용될 수 있다. 기생 요소들의 위치는 상이한 주파수들 그리고/또는 주파수들의 조합들을 나타낼 수 있는 추가적인 모드들을 달성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논의 및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복수의 모드들을 갖는 하나의 예시적 모달 안테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개시내용들을 사용하여,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모달 안테나들 및/또는 안테나 구성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모달 안테나(modal antenna)"는 각각의 모드가 별개의 방사 패턴과 관련되는 복수의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는 안테나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형태들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100)의 실시예의 개략적 도면을 예시한다. 안테나 시스템(100)은 모달 안테나(102)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달 안테나(102)는 피구동 요소(104)와, 그리고 피구동 요소(104)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생 요소(106)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달 안테나(102)는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동작가능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모드는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이한 방사 패턴과 관련될 수 있다.
튜닝 회로(108)는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모달 안테나(102)를 동작시키기 위해 기생 요소(106)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튜닝 회로(108)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송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복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제어 신호와 관련된 제어 명령들에 근거하여 기생 요소(106)의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튜닝가능 컴포넌트(110)가 기생 요소(106)와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 튜닝 회로(108)는, 기생 요소(106)를 접지와 연결시키는 것과 같은, 전압 혹은 전류 소스(souce) 또는 싱크(sink)와 기생 요소(106)의 전기적 연결성(electrical connectivity)을 변경시키기 위해 튜닝가능 컴포넌트(1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112)는 RF 신호를 모달 안테나(102)의 피구동 요소(104)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라인(114)은 무선 주파수 회로(110)를 모달 안테나(10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 라인(114)은 단일의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112)는 RF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혹은 그렇지 않으면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RF 신호는 전송 라인(114)을 통해 (전송 신호의 성분으로서) 모달 안테나(102)의 피구동 요소(104)에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주파수 회로(112)는 프런트 엔드 모듈(116) 및/또는 제어 회로(11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엔드 모듈(116)은 피구동 요소(104)에 전송되는 RF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그리고/또는 증폭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118)는,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송 라인(114)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들을 점유하는 신호들의 조합 및/또는 분리를 보조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컴포넌트들과 (예컨대, 바이어스 티 회로(Bias Tee circuit)들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바이어스 티 회로(120)는 프런트 엔드 모듈(116) 및 제어 회로(118)를 전송 라인(114)과 결합시킬 수 있다. 제 1 바이어스 티 회로(120)는, 전송 라인(114)을 프런트 엔드 모듈(116)과 결합시키는 커패시터(122)와, 그리고 제어 유닛(118)을 전송 라인(114)과 결합시키는 인덕터(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바이어스 티 회로(126)는 피구동 요소(104) 및 튜닝 회로(108)를 전송 라인(114)과 결합시킬 수 있다. 제 2 바이어스 티 회로(126)는, 전송 라인(114)을 피구동 요소(104)와 결합시키는 커패시터(128)와, 그리고 전송 라인(114)을 튜닝 회로(108)와 결합시키는 인덕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엔드 모듈(116)은 RF 신호를 제 1 바이어스 티 회로(120)의 커패시터(122)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8)는 전송 라인(114) 내에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1 바이어스 티 회로(120)의 인덕터(124)를 통해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할 수 있다. 튜닝 회로(108)는 제 2 바이어스 티 회로(128)의 인덕터(130)를 통해 전송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전송 신호의 RF 신호 성분은 제 2 바이어스 티 회로(128)의 커패시터(128)를 통해 모달 안테나(102)의 피구동 요소(104)에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시스템(100)은 제 1 회로 보드(129)와, 그리고 제 1 회로 보드(129)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 2 회로 보드(131)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112)는 제 1 회로 보드(129)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튜닝 회로(108) 혹은 모달 안테나(102)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회로 보드(1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다수의 전송 라인들을 이용함이 없이 또는 안테나 시스템(100)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침이 없이 튜닝 회로 및/또는 모달 안테나(102)로부터 무선 주파수 회로(112)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정의될 수 있고, 그리고 제어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과는 별개인 제 2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대역은 약 500 MHz 내지 약 50 GHz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 GHz 내지 약 25 GHz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 GHz 내지 약 7 GHz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예컨대, 약 5 GHz). 제 2 주파수 대역은 약 10 MHz 내지 약 1 GHz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0 MHz 내지 약 800 MHz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30 MHz 내지 약 500 MHz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약 50 MHz 내지 약 250 MHz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예컨대, 약 100 MHz).
도 3은 도 2에서 예시된 안테나 시스템(100)의 제어 회로(118)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 도면을 예시한다. 제어 회로(118)는 프로세서(132)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프로세서(132)는, (도 2에서 예시된) 모달 안테나(102)의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들 또는 그렇지 않으면 모달 안테나(102)의 방사 패턴의 주파수 혹은 배향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들을 발생시키도록 혹은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2)는 (도 3에서 호스트(HOST)에 의해 나타내어진) 또 하나의 다른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고, 그리고 이러한 명령들을 기술하는 (도 3에서 DATAN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데이터는 임의의 적절한 비트 깊이(bit dept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는 2진 포맷(binary format)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데이터는 16진 포맷(hexadecimal format), 10진 포맷(decimal format), 등을 가질 수 있다.
제어 회로(118)는 또한 캐리어 신호 소스(carrier signal source)(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신호 소스(134)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는, 정현파를 포함하는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신호는 임의의 적절한 신호일 수 있거나, 임의의 적절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신호는 임의의 적절한 반복되는 패턴일 수 있거나, 임의의 적절한 반복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는바, 정현파 신호 혹은 전반적으로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회로(118)는 또한 (도 3에서 TX CHN에 의해 나타내어진)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프로세서의 출력을 캐리어 신호에 변조하도록 구성된 변조기(136)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기(136)는 제어 명령들을 기술할 수 있는 (도 3에서 DATAN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출력을 캐리어 신호 소스(134)로부터의 캐리어 신호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멀티플렉서(multiplexer)(13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기(136)는,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진폭 시프트 키잉 변조(예컨대, 온-오프 키잉 변조)를 수행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캐리어 신호 소스(134)로부터의 캐리어 신호의 진폭을 스케일링(scaling)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조기(136)는 또한, 증폭기(amplifier)(140) 및 바이어스 티 회로(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 및 온-오프 키잉 변조의 단순화된 예들을 나타내는 일련의 시간-정렬된 챠트들(400)을 예시한다. 2진 신호(401)는 2진 데이터 세트를 기술하는 방식으로 제 1 전압 레벨(402)과 제 2 전압 레벨(404) 사이에서 교번(alternate)할 수 있다. 2진 신호(401)는,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명령들을 기술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서(132)의 출력의 단순화된 예에 대응할 수 있다.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는 제 1 전압 레벨(402)을 가변 진폭을 갖는 정현파 신호(406)로서 나타냄으로써 2진 신호(401)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현파 신호(406)는, 2진 신호(401)의 제 1 전압(402)을 나타내는 제 1 진폭(408)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2진 신호(401)의 제 2 전압 레벨(404)을 나타내는 제 2 진폭(410)을 가질 수 있다.
온-오프 키잉 변조는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의 하나의 타입이다. 온-오프 키잉 변조에서, 2진 신호(401)는 가변 진폭을 갖는 정현파 신호(411)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정현파 신호(411)는 2진 신호(401)의 제 1 전압 레벨(402)을 나타내는 제 1 진폭(412)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제 2 전압 레벨(404)은 정현파 신호(410)의 부재(absence)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정현파 신호(410)는 2진 신호(401)의 제 2 전압(404)을 나타내기 위해 대략 제로의 진폭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튜닝 회로(108)에 대응하는, 튜닝 회로(5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 도면을 예시한다. 튜닝 회로(500)는 복조기(502) 및 바이어스(50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기(502)는 바이어스(504)와 결합된 바이어스 티 회로(506)와, 그리고 (도 2에서 예시된) 통신 라인(114)과 결합되는 멀티플렉서(507)를 포함할 수 있다.
튜닝 회로(50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filtering)하도록 구성된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50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역 통과 필터(508)는 캐리어 신호 주파수의 주파수보다 더 높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역 통과 필터(508)는 캐리어 신호 주파수의 강도(strength)를 분리(isolate)시킬 수 있거나 혹은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복조기(502)는 또한, 제너 다이오드(zenner diode)와 같은 다이오드(5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510)는 제어 신호와 관련된(예컨대, 제어 신호 내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을 해석하도록 구성된 로직 회로(logic circuit)(512)와 결합될 수 있다.
로직 회로(512)(예컨대, 로직 동작(logic operation)들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들, ASIC들, 등)는 또한, 제어 신호와 관련된(예컨대, 제어 신호 내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에 근거하여 스위치(514)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514)는 접지와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 복수의 상태들 간의 스위칭을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514)는, (도 2에서 예시된) 기생 요소(106)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모달 안테나를 동작시키기 위해, 스위치(514)의 출력(516)을 접지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그렇지 않으면 출력(516)의 전기적 연결성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514)는 소스 혹은 싱크(예컨대, 전압 소스/싱크 또는 전류 소스/싱크)와 기생 요소(106)의 전기적 연결성을 변경시키기 위해 (도 2에서 예시된) 튜닝가능 컴포넌트(110)의 동작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514)는 기생 요소(106)를 접지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클록 주파수들 간의 상대적인 차이인 주파수 드리프트(frequency drift)가, 튜닝 회로(108, 500)와 관련된 로컬 클록 주파수(local clock frequency)와 제어 회로(118)와 관련된 클록 주파수(예컨대, 마스터 클록 주파수(master clock frequency)) 사이에서 발전(develop)할 수 있다. 주파수 드리프트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튜닝 회로(108, 500)는 로컬 클록 주파수를 마스터 클록 주파수와 동기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 1 클록 주파수는 전송 신호와 관련될 수 있고, 그리고 튜닝 회로(500)는 튜닝 회로(500)와 관련된 로컬 클록 주파수를 제 1 주파수와 동기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클록 주파수는, 정현파 소스(134) 또는 제어 회로(118)와 관련된 또 하나의 다른 고조파 소스(harmonic source)에 의해 발생된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예컨대, 이러한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거나 혹은 그 배수(multiple)일 수 있음). 예를 들어, 제 1 클록 주파수는 비-제로 진폭을 갖는 제어 신호의 부분들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튜닝 회로(500)(예컨대, 로직 회로(512))는, 튜닝 회로(500)와 관련된 로컬 클록 주파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로컬 튜닝가능 고조파 발진기(local tunable harmonic oscillator)(예컨대, 링 발진기(ring oscillator))와 같은 튜닝가능 주파수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로직 회로(512)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510)로부터) 로직 회로(512)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샘플링(sampling)하고 신호에 대한 주파수 검색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검색 동작은 적절한 샘플링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직 회로(512)는 예상된 문구(expected phrase)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제어 신호(또는 다이오드(510)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조절된 버전(conditioned version))를 샘플링할 수 있다. 예상된 문구는 제어 신호 내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신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예상된 문구는 하나 이상의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frame)들"의 시작(beginning) 및/또는 끝(end)에서 "프리앰블(preamble)" 또는 "포스트앰블(postamble)"로서 존재할 수 있다. 로직 회로(512)는 프레임(들)의 시작 및/또는 끝의 위치를 찾기 위해, 예상된 문구를 인식 혹은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로직 회로(512)는, 예상된 문구에 근거하여 샘플 내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로컬 발진기 "클록 에지(clock edge)"들의 수와 비교된 샘플 내에 존재하는 로컬 발진기 "클록 에지들"의 수의 측면에서 측정된 위상 에러(phase error)를 결정할 수 있다.
로직 회로(512)는 주파수 검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검색 동작은, (1) 예상된 문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샘플링하는 단계, (2) 예상된 클록 에지들의 수와 샘플 내에 존재하는 클록 에지들의 수를 비교함으로써 위상 에러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3) 제어 회로(118)와 관련된 마스터 클록 주파수와 로컬 클록 주파수가 충분히 동기화될 때까지 로컬 클록 주파수(예컨대,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를 조정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에러가 임계치(예컨대, 미리결정된 임계 값)보다 작을 때 로컬 클록 주파수는 충분히 동기화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튜닝 회로는, 튜닝 회로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데이터 에지 변이(data edge transition)들을 카운팅(counting)하도록 구성된 수치적으로 제어되는 발진기(numerically controlled oscillator)를 이용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 에지 변이들의 수가, 예상된 범위(예컨대, 미리결정된 범위) 바깥쪽에 떨어진다면, 튜닝 회로는 관련된 데이터 프레임을 거절(reject) 혹은 무시(ignore)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 에지 변이들의 집계(count)가, 예상된 범위 내에 떨어진다면, 튜닝 회로는 튜닝 회로의 내부 발진기와 관련된 주파수(예컨대, 로컬 클록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닝 회로는, 정상 동작 동안 일어날 수 있는, RF 회로 및/또는 제어 회로와 관련된 클록 혹은 발진기 주파수와 튜닝 회로의 내부 발진기 주파수의 주파수 간의 트리프트를 보상하기 위해 내부 발진기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600)의 실시예의 개략적 도면의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안테나 시스템(600)은 전반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안테나 시스템(100)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시스템(600)은, 피구동 요소(604) 및 기생 요소(606)를 포함하는 모달 안테나(602)와, 튜닝 회로(608)와, RF 회로(612)와, 전송 라인(614)과, 프런트 엔드 모듈(616)과, 제어 회로(618)와, 커패시터(622) 및 인덕터(624)를 포함하는 제 1 바이어스 티 회로(620)와, 그리고 커패시터(628) 및 인덕터(630)를 포함하는 제 2 바이어스 티 회로(626)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600)은 또한, 피구동 요소(634) 및 기생 요소(636)를 포함하는 제 2 모달 안테나(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튜닝 회로(638)는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모달 안테나(632)를 동작시키기 위해 기생 요소(636)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튜닝가능 컴포넌트(640)가 기생 요소(636)와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 튜닝 회로(638)는, 기생 요소(106)를 접지와 연결시키는 것과 같은, 전압 혹은 전류 소스 또는 싱크와 제 2 모달 안테나(632)의 기생 요소(636)의 전기적 연결성을 변경시키기 위해 제 2 튜닝가능 컴포넌트(6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612)는 제 2 프런트 엔드 모듈(642) 및 제 2 전송 라인(6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프런트 엔드 모듈(642)은 제 2 RF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그리고/또는 증폭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618)는 제 2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2 제어 신호를 제 2 RF 신호에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회로(618)는,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 2 제어 신호를 제 2 RF 신호에 변조할 수 있다.
제 2 전송 라인(644)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들을 점유하는 신호들의 조합 및/또는 분리를 보조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컴포넌트들과 바이어스 티들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바이어스 티 회로(646)는 제 2 프런트 엔드 모듈(642) 및 제어 회로(618)를 제 2 전송 라인(644)과 결합시킬 수 있다. 제 3 바이어스 티 회로(646)는, 제 2 프런트 엔드 모듈(642)을 제 2 전송 라인(644)과 결합시키는 커패시터(648)와, 그리고 제어 유닛(618)을 제 2 전송 라인(644)과 결합시키는 인덕터(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바이어스 티 회로(652)는 제 2 전송 라인(644)을 제 2 모달 안테나(632)의 피구동 요소(634) 및 튜닝 회로(108)와 결합시킬 수 있다. 제 4 바이어스 티 회로(652)는, 제 2 전송 라인(644)을 제 2 모달 안테나(632)의 피구동 요소(634)와 결합시키는 커패시터(654)와, 그리고 제 2 전송 라인(644)을 제 2 튜닝 회로(638)와 결합시키는 인덕터(6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프런트 엔드 모듈(642)은 제 2 RF 신호를 제 3 바이어스 티 회로(648)의 커패시터(648)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회로(618)는 제 2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3 바이어스 티 회로(646)의 인덕터(650)를 통해 제 2 제어 신호를 제 2 RF 신호에 변조할 수 있다. 제 2 튜닝 회로(638)는 제 4 바이어스 티 회로(652)의 인덕터(656)를 통해 제 2 전송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제 2 전송 신호의 RF 신호 성분은 제 4 바이어스 티 회로(652)의 커패시터(654)를 통해 제 2 모달 안테나(632)의 피구동 요소(634)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618)는 전송 라인들(614, 644) 각각과 관련된 별개의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제어 회로(618)는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제어 회로(118)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제 2 전송 라인(644)에 대해 별개의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618)는 제 2 출력이 제공되도록, 제 2 프로세서(132), 정현파 소스(134), 변조기(136), 멀티플렉서(138), 증폭기(140), 및/또는 바이어스 티 회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시스템은 다중-입력-다중-출력(Multiple-In-Multiple-Out, MIMO) 구성으로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들과 튜닝 회로들의 복수의 쌍들이 복수의 수동 안테나(passive antenna)들뿐만 아니라 복수의 모달 안테나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시스템은 M개의 모달 안테나들 및 (N-M)개의 수동 안테나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N개의 튜닝 회로들(이들 각각은 각각의 제어 회로와 쌍을 이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과 M은 각각 양의 정수들이고, N은 M보다 크거나 같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제어 회로는 복수의 출력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튜닝 회로들과 쌍을 이룰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튜닝 회로들의 수, N은 임의의 적절한 수까지 그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N은 2 내지 20, 또는 이보다 큰 범위를 가질 수 있다. M도 또한 2 내지 20, 또는 이보다 큰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변형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가능함이 이해돼야 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들에서, 별개의 제어 회로가 각각의 전송 라인(614, 644)과 관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일의 프런트 엔드 모듈이 각각의 RF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일의 튜닝 회로가 시스템의 각각의 모달 안테나의 기생 요소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은 둘 이상의 모달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은 복수의 모드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비-모달(non-modal) 혹은 수동(passive) 안테나들과 하나 이상의 모달 안테나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모달 안테나들은 하나보다 많은 기생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의 제어 회로는, 기생 요소들과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모달 안테나를 동작시키기 위해, 기생 요소들과 관련된 각각의 튜닝가능 요소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제어 회로들은 튜닝가능 요소들을 각각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다른 변형들, 수정, 조합들, 등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가능함이 이해돼야 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모터(electric motor)의 스톨 상태(stall condition)를 검출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7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논의 및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특정 순서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개시내용들을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의 다양한 단계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방식들에서 생략될 수 있고, 확장될 수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재정렬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수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예시되지 않은) 다양한 단계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방법(700)은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논의된 안테나 시스템들(200, 600)을 참조하여 전반적으로 논의된다. 하지만, 본 방법(700)의 실시형태들이 모달 안테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 적용을 찾을 수 있음이 이해돼야 한다.
방법(700)은, (702)에서, 무선 주파수 회로에서,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모달 안테나의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들 또는 그렇지 않으면 모달 안테나의 방사 패턴의 주파수 혹은 배향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회로(112)는, 예컨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주파수 회로에서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는 것은,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온-오프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RF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는 것은 캐리어 신호와 관련된 진폭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진폭은, 관련된 2진 신호(401)의 제 1 전압(402)과 제 2 전압(404)을 각각 나타내는 제 1 진폭(408)과 제 2 진폭(410)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신호와 관련된 진폭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온-오프 키잉 및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대략 제로와 비-제로 값 사이에서 진폭을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신호는 정현파를 포함할 수 있다. 정현파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주파수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임의의 적절한 반복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700)은, (704)에서, 전송 신호를 단일의 동축 전송 라인을 통해 튜닝 회로에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회로(112)는 프런트 엔드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고, 프런트 엔드 모듈(616)은 RF 신호를 제 1 바이어스 티(120)의 커패시터(122)를 통해, 그리고 전송 라인(114)을 통해, 그리고 제 2 바이어스 티(128)의 커패시터(128)를 통해, 모달 안테나(102)의 피구동 요소(104)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8)는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할 수 있고, 이는 제 1 바이어스 티(120)의 인덕터(124)를 통해, 그리고 전송 라인(114)을 통해, 그리고 제 2 바이어스 티(128)의 인덕터(130)를 통해, 튜닝 회로(108)에 이른다.
방법(700)은, (706)에서, 튜닝 회로에서 제어 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튜닝 회로(108, 500)는 제 2 바이어스 티(126)의 인덕터(130)를 통해 전송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복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튜닝 회로(108, 500)는 또한, 캐리어 신호와 관련된 캐리어 신호 주파수의 강도를 분리시키거나 혹은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를 필터링하는 것 그리고/또는 증폭하는 것을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직 회로(512)는 제어 신호와 관련된(예컨대, 제어 신호 내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을 해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법(700)은, (708)에서, 모달 안테나를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 및 튜닝 회로를 통해 모달 안테나의 기생 요소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무선 주파수 회로로부터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드는 모달 안테나에 대한 상이한 방사 패턴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닝 회로(108, 500)는, (도 2에서 예시된) 기생 요소(106)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모달 안테나를 동작시키기 위해, 스위치(514)의 출력(516)을 접지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또는 그렇지 않으면 스위치(514)의 출력(516)의 전기적 연결성을 변경시키도록, 스위치(514)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515)는, 기생 요소(106)를 접지와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것과 같은, 전압 혹은 전류 소스 또는 싱크와 기생 요소(106)의 전기적 연결성을 변경시키기 위해 (도 2에서 예시된) 튜닝가능 컴포넌트(110)의 동작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주된 내용이 그 특정된 예시적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이, 앞서의 것들의 이해를 획득한 경우,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변경들, 변형들, 및 등가들을 쉽사리 생성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의 주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쉽사리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은 본 명세서의 주된 내용에 대한 이러한 수정들, 변형들, 및/또는 추가들의 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20)

  1. 안테나 시스템(antenna system)으로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피구동 요소(driven element)와, 그리고 상기 피구동 요소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생 요소(parasitic element)를 포함하는 모달 안테나(modal antenna)와, 여기서 상기 모달 안테나는 복수의 상이한 모드(mode)들에서 동작가능하고, 각각의 모드는 상이한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과 관련되며;
    상기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상기 모달 안테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기생 요소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electrical characteristic)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튜닝 회로(tuning circuit)와;
    무선 주파수 회로(radio frequency circuit)와; 그리고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를 상기 모달 안테나에 결합시키는 전송 라인(transmission line)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는, 상기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튜닝 회로에 전달하기 위한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amplitude-shift keying modulation)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modulate)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튜닝 회로는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가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모달 안테나의 모드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복조(demodulate)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는 온-오프 키잉 변조(on-off keying modul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는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와 관련된 진폭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RF 신호에 변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는 대략 제로(zero)와 비-제로(non-zero) 값 사이에서 상기 진폭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신호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sinusoidal wav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신호는 반복되는 패턴(repeating patter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은 단일의 동축 케이블(single coaxial c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내에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는 별개인 제 2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정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약 500 MHz 내지 약 50 GHz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약 10 MHz 내지 약 1 GHz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는 제 1 클록 주파수(clock frequency)와 관련되고,
    상기 튜닝 회로는 로컬 클록 주파수(local clock frequency)를 상기 제 1 주파수와 동기화(synchronize)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또한, 제 1 회로 보드(circuit board)와, 그리고 상기 제 1 회로 보드로부터 물질적으로 분리된 제 2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는 상기 제 1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튜닝 회로 또는 모달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2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는, 상기 RF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과, 그리고 상기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RF 신호에 변조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 회로(control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또한,
    기생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모달 안테나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튜닝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는, RF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모달 안테나의 상기 피구동 요소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프런트 엔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의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모달 안테나의 상기 피구동 요소에 전송되는 상기 RF 신호에 제어 신호를 변조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모달 안테나의 모드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15.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무선 주파수 회로에서,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RF 신호에 변조하는 것과;
    상기 전송 신호를 단일의 동축 전송 라인을 통해 튜닝 회로에 전달하는 것과;
    상기 튜닝 회로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복조하는 것과; 그리고
    상기 모달 안테나를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 및 튜닝 회로를 통해 모달 안테나의 기생 요소와 관련된 전기적 특성을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로부터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각각의 모드는 상기 모달 안테나에 대한 상이한 방사 패턴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에서 진폭-시프트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RF 신호에 변조하는 것은, 온-오프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상기 RF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RF 신호에 변조하는 것은, 캐리어 신호와 관련된 진폭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신호와 관련된 상기 진폭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은, 대략 제로와 비-제로 값 사이에서 상기 진폭을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신호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또는 임의의 반복되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0. 안테나 시스템으로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피구동 요소와, 그리고 상기 피구동 요소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생 요소를 포함하는 모달 안테나와, 여기서 상기 모달 안테나는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에서 동작가능하고, 각각의 모드는 상이한 방사 패턴과 관련되며;
    프런트 엔드 모듈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회로와;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를 상기 모달 안테나에 결합시키는 전송 라인과; 그리고
    복조기(de-modulator)와, 그리고 상기 복조기와 결합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튜닝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은 RF 신호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 회로는, 정현파 캐리어 신호와 관련된 진폭을 대략 제로와 비-제로 값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온-오프 키잉 변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상기 RF 신호에 변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 신호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를 포함하고,
    상기 복조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복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모달 안테나의 모드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KR1020217002452A 2018-06-26 2019-06-10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14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18,787 US10263817B1 (en) 2018-06-26 2018-06-26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odal antenna
US16/018,787 2018-06-26
PCT/US2019/036346 WO2020005522A1 (en) 2018-06-26 2019-06-10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odal antenn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366A true KR20210040366A (ko) 2021-04-13
KR102314099B1 KR102314099B1 (ko) 2021-10-18

Family

ID=6609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452A KR102314099B1 (ko) 2018-06-26 2019-06-10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263817B1 (ko)
EP (1) EP3794787A4 (ko)
JP (1) JP7050968B2 (ko)
KR (1) KR102314099B1 (ko)
CN (1) CN112602296B (ko)
IL (1) IL279720B (ko)
WO (1) WO2020005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3817B1 (en) * 2018-06-26 2019-04-16 Avx Antenn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odal antenna
WO2020036690A1 (en) * 2018-08-14 2020-02-20 Avx Antenna Inc. D/B/A Ether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odal antenna
US11126905B2 (en) * 2018-11-16 2021-09-2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Antenna-less RFID tag
JP2022519529A (ja) 2019-01-31 2022-03-24 エイブイエックス・アンテナ・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モーダル・アンテナを有する移動体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CN110266326B (zh) * 2019-06-19 2021-07-13 成都星联芯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ook的一线通射频前端控制方法及其系统
IL287775B2 (en) * 2019-08-01 2024-04-01 Avx Antenna Inc D/B/A Ether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odal antenna
KR20220044507A (ko) * 2019-08-16 2022-04-08 에이브이엑스 안테나 인코포레이티드 수신 신호 채널 품질 표시자를 기반으로 하는 송신 신호 채널 품질 표시자 추정 방법
US10693529B1 (en) * 2019-09-30 2020-06-23 Aeroantenna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several antenna subsystem signals onto a single RF coaxial cable
CN114946084A (zh) * 2020-01-24 2022-08-26 京瓷Avx元器件(圣地亚哥)有限公司 用于具有模态天线的天线系统的射频rf放大器电路
KR20210108741A (ko) * 2020-02-26 2021-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5004479A (zh) * 2020-04-30 2022-09-02 京瓷Avx元器件(圣地亚哥)有限公司 用于控制天线阵列的方法和系统
CA3195885A1 (en) 2020-10-19 2022-04-28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220131266A1 (en) * 2020-10-23 2022-04-28 Avx Antenna, Inc. D/B/A Ethertronics, Inc. Null-Steering Phased Array Antenna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2825A1 (en) * 2001-09-17 2003-03-20 Rao Barsur Rama Spatial null steering microstrip antenna array
US20110007846A1 (en) * 2009-07-10 2011-01-13 Dirk Marien Modulation and Demodulation Circuit
US20130189928A1 (en) * 2012-01-24 2013-07-25 Laurent Desclos Modal cognitive diversity for mobile communication mimo systems
US20140099982A1 (en) * 2007-08-20 2014-04-10 Ethertronics, Inc. Modal adaptive antenna for mobile applications
US20160036127A1 (en) * 2013-04-01 2016-02-04 Ethertronics, Inc. Reconfigurable multi-mode active antenna system
US20170012681A1 (en) * 2015-07-07 2017-01-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RRU Control Messaging Architecture for Massive MIMO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37988A1 (en) * 2000-01-26 2001-08-07 Vyyo, Ltd. Transverter control mechanism for a wireless modem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JP3762303B2 (ja) * 2002-01-16 2006-04-05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アレーアンテナの制御方法
US6987493B2 (en) 2002-04-15 2006-01-17 Paratek Microwave, Inc. Electronically steerable passive array antenna
US6765536B2 (en) 2002-05-09 2004-07-20 Motorola, Inc. Antenna with variably tuned parasitic element
US7068234B2 (en) 2003-05-12 2006-06-27 Hrl Laboratories, Llc Meta-element antenna and array
JP4063833B2 (ja) 2004-06-14 2008-03-19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端末
US7911402B2 (en) 2008-03-05 2011-03-22 Ethertronics, Inc. Antenna and method for steering antenna beam direction
US7830320B2 (en) 2007-08-20 2010-11-09 Ethertronics, Inc. Antenna with active elements
US9590703B2 (en) 2008-03-05 2017-03-07 Ethertronics, Inc. Modal cognitive diversity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20130109333A1 (en) 2011-07-25 2013-05-02 Sebastian Rowso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ed combined diversity with a modal antenna
US20130120200A1 (en) 2011-02-17 2013-05-16 Ethertronics, Inc Multi leveled active antenna configuration for multiband mimo lte system
US8446318B2 (en) 2010-06-22 2013-05-21 Shirook Ali Controlling a beamforming antenna using reconfigurable parasitic elements
US8600319B2 (en) * 2011-10-14 2013-12-03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Feedback receiver for antenna tuner calculations
CN102710275A (zh) 2012-05-11 2012-10-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开关移动终端天线的方法及相应移动终端
JP2013247645A (ja) * 2012-05-29 2013-12-09 Panasonic Corp 携帯情報通信端末
US9755305B2 (en) 2012-08-16 2017-09-05 Ethertronics, Inc. Active antenna adapted for impedance matching and band switching using a shared component
US9325543B2 (en) 2012-11-11 2016-04-26 Ethertronics, Inc. Multi-mode active circuit control and activation system
US9425497B2 (en) 2012-11-11 2016-08-23 Ethertronics, Inc. State prediction process and methodology
EP2917967A4 (en) * 2012-11-12 2016-11-16 Ethertronics Inc MODAL ANTENNA COMPRISING CORRELATION MANAGEMENT FOR DIVERSITY APPLICATIONS
CN106663879B (zh) * 2014-03-18 2018-12-28 安施天线公司 基于模态天线的通信网络及其优化方法
KR101635932B1 (ko) * 2014-04-22 2016-07-0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 제어 장치
US9793605B1 (en) * 2014-06-02 2017-10-17 Ethertronics, Inc. Modal antenna array for interference mitigation
WO2016052779A1 (ko) * 2014-10-01 2016-04-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휴대용 안테나 제어 장치 및 안테나 제어 시스템
US9755580B2 (en) 2015-11-13 2017-09-05 Ethertronics, Inc. Tunable logarithmic amplifier
US10263817B1 (en) 2018-06-26 2019-04-16 Avx Antenn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odal antenn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2825A1 (en) * 2001-09-17 2003-03-20 Rao Barsur Rama Spatial null steering microstrip antenna array
US20140099982A1 (en) * 2007-08-20 2014-04-10 Ethertronics, Inc. Modal adaptive antenna for mobile applications
US20110007846A1 (en) * 2009-07-10 2011-01-13 Dirk Marien Modulation and Demodulation Circuit
US20130189928A1 (en) * 2012-01-24 2013-07-25 Laurent Desclos Modal cognitive diversity for mobile communication mimo systems
US20160036127A1 (en) * 2013-04-01 2016-02-04 Ethertronics, Inc. Reconfigurable multi-mode active antenna system
US20170012681A1 (en) * 2015-07-07 2017-01-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RRU Control Messaging Architecture for Massive MIMO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94072A1 (en) 2019-12-26
KR102314099B1 (ko) 2021-10-18
IL279720B (en) 2021-12-01
US10587438B2 (en) 2020-03-10
JP2021524695A (ja) 2021-09-13
EP3794787A4 (en) 2021-07-07
CN112602296B (zh) 2022-03-22
US10263817B1 (en) 2019-04-16
WO2020005522A1 (en) 2020-01-02
JP7050968B2 (ja) 2022-04-08
IL279720A (en) 2021-03-01
EP3794787A1 (en) 2021-03-24
CN112602296A (zh)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099B1 (ko) 모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50065043A1 (en) Short-distance contact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16828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odal antenna
US202303528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odal Antenna
US20120258660A1 (en) Using a same antenna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by multiple transceivers
US8498583B2 (en) Signal receiving apparatus, signal receiv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637372B2 (en)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a modal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