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716A -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716A
KR20210039716A KR1020190122297A KR20190122297A KR20210039716A KR 20210039716 A KR20210039716 A KR 20210039716A KR 1020190122297 A KR1020190122297 A KR 1020190122297A KR 20190122297 A KR20190122297 A KR 20190122297A KR 20210039716 A KR20210039716 A KR 20210039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server
restricted are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508B1 (ko
Inventor
윤명섭
Original Assignee
선두전자(주)
윤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두전자(주), 윤명섭 filed Critical 선두전자(주)
Priority to KR1020190122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5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적어도 하나의 굴착기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위치하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지역에 위치하는 굴착기를 감지하면 이를 관리자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법 또는 미신고 굴착기 공사를 원천적으로 통제 관리함으로써 굴착기로 인한 지하시설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excavator}
본 발명은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착기 위치를 확인하여 미신고 굴착 공사로 인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난 1995년 다수의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한 대구 지하철 가스 폭발사고가 미친 사회적 경제적 파장이 상당하여 지하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이 수립되었지만, 매년 크고 작은 지하시설물 사고는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지하시설물 사고는 노후배관의 파손 등 지하시설물(배관) 관리의 부실도 원인일 수 있으나 거의 대부분은 굴착기 공사로 발생하고 있다. 굴착 공사로 인한 지하배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현행 가스 배관관리는 15Km 당 1인의 안전관리원이 관리하도록 하고, 도시가스 사업이 허가된 지역 및 고압가스 배관이 매설된 지역에서 구멍 뚫기, 말뚝 박기, 터파기, 건축물 신축 및 철거 등의 굴착 공사를 하고자 하는 자는 사전에 신고하고, 안전관리원의 입회 하에 공사가 진행되도록 법으로 정하고 있다. 그 결과, 2018년 굴착공사 신고 접수 건수는 전년 대비 0.5% 증가한 22만 9천여건으로 정착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안전관리원이 배관 순찰 중 발견한 미신고 굴착공사는 매년 200건이 넘고 있으며, 적발되지 않는 미신고 굴착공사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5년간 발생된 굴착공사로 인한 가스배관 손상사고 30건 중 굴착공사정보지원센터에 굴착 신고를 하지 않고 공사를 시행하다 발생된 사고가 전체의 77%인 23건으로 미신고 무단 굴착으로 인한 사고 점유율이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결국 굴착 공사로 인한 사고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신고되지 않은 미신고 무단 굴착 공사로 인한 사고 발생까지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미신고 무단 굴착 공사를 포함하여 굴착 공사로 인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적어도 하나의 굴착기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위치하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지역내 위치하는 굴착기를 감지하면 이를 관리자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지하시설물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한지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굴착기의 위치 정보가 상기 제한지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한지역은 상기 지하시설물로부터 기준 반경 내 지역이다.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굴착기가 상기 제한지역 진입 후 경과한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과한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굴삭기 위치로 출동 명령을 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제한지역에 진입한 상기 굴착기에게 이를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발신 장치는 굴착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장치로서, 다수의 인공 위성과 통신하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 상기 서버로 상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GPS 모듈,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굴착기용 발신 장치는 상기 굴착기의 운전자에게 상기 서버로부터의 알림을 전달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시스템은 굴착기에 구비되며 자신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굴착기용 발신기; 상기 굴착기용 발신기로부터 받은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있는지 판단하고,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서버; 및 통신 방식이 서로 상이한 상기 굴착기용 발신기와 상기 서버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불법 또는 미신고 굴착기 공사를 원천적으로 통제 관리함으로써 굴착기로 인한 지하시설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등록된 모든 굴착기의 제한지역 내 작업 현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소중한 인명과 막대한 재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굴착기 관리 시스템 동작 관련 일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굴착기 관리 시스템 동작 관련 다른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10)에서 수행되는 굴착기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굴착기에 장착되는 발신장치(122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시스템은 제1 지역을 당당하는 제1 중계기(120), 제1 지역에 위치하여 제1 중계기(120)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굴착기(122, 124), 관리 본부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굴착기(122, 124)를 관리하는 서버(110)를 포함한다.
제1 굴착기(122)는 발신장치(1220)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제1 굴착기(122)에 구비되는 발신장치(1220)만 도시되어 있으나, 제2 굴착기(124)도 발신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제1 굴착기(122)의 발신장치(1220)는 현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중계기(120)를 통해 서버(110)로 전송한다. 제1 굴착기(122)의 발신장치(1220)는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서버(110)에 전달하여, 서버(110)가 제1 굴착기(122)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중계기(120)는 제1 및 제2 굴착기(122, 124)의 발신장치와 로라(LoRa) 방식으로 무선통신한다. 로라(Lora)는 Long Range Low Power 무선 플랫폼으로서 기존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망(CDMA/LTE)을 활용하지 않고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 920MHz 대역의 저대역 주파수를 활용한다. 한편, 제1 중계기(120)는 서버(110)와 LAN 등의 유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중계기(120)는 통신 방식이 상이한 제1 및 제2 굴착기(122, 124)와 서버(110)간에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굴착기(122, 124)로부터 로라(LoRa) 무선망을 통해 받은 위치정보를 중계기를 거쳐 유선망을 통해 서버(110)에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시스템은 제2 지역을 담당하는 제2 중계기(130), 제2 지역에 위치하여 제2 중계기(130)에 연결되는 제3 내지 제5 굴착기(132, 134, 136), 제2 중계기(130) 및 서버(110)와 연결되어 와이파이 통신을 지원하는 AP1(138)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5 굴착기들(122, 124, 132, 134, 136)은 모두 발신장치를 구비하고, 서버(110)는 제1 내지 제5 굴착기(122, 124, 132, 134, 136)을 관리한다. 제2 중계기(130)는 로라(LoRa) 무선망을 통해 제3 내지 제5 굴착기(132, 134, 136)와 연결되고,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AP1(138)을 통해 서버(110)에 연결된다. AP1(138)은 최근에 통신사들이 주민센터, 전통시장, 복지시설 등의 공공장소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무료로 제공하는 공공와이파이(Public WiFi) 무선 공유기일 수 있다. 공공와이파이용 무선 공유기를 이용할 경우, 제2 중계기(130)가 획득한 굴착기들(132, 134, 136)의 위치정보를 비용부담 없이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 방법으로 손쉽게 서버(110)에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시스템은 제3 지역을 담당하는 제3 중계기(140), 제3 지역에 위치하여 제3 중계기(140)에 연결되는 제6 및 제7 굴착기(142, 144), 제3 중계기(140) 및 서버(110)와 연결되어 와이파이 통신을 지원하는 AP2(1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중계기(140) 및 AP2(146)는 관리 본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중계기(130)는 로라(LoRa) 무선망을 통해 제6 및 제7 굴착기(142, 144)와 연결되고,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AP2(146)을 통해 서버(110)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6 및 제7 굴착기들(142, 144)은 모두 발신장치를 구비하고, 서버(110)는 제6 및 제7 굴착기(142, 144)들을 관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시스템은 앞서 살펴본 제1 지역 내지 제3 지역의 시스템 구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굴착기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두 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굴착기 관리 시스템 동작의 일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재 모니터링되고 있는 굴착기(210)는 가스관(220)이 매장된 지역 근처에 있으나, 아직은 제한지역 밖에 위치하고 있다(도 2a 참조). 이 실시예는 가스관에서 3m이내 영역을 제한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모니터링 중인 굴착기(210)가 이동 중에 제한지역에 진입하면,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고 서버(110)는 굴착기(210)를 유의 감시 대상으로 특정한다(도 2b 참조). 또한, 서버(110)는 해당 굴착기(210) 운전자에게 이를 통보할 수 있다. 서버(110)는 부저나 경광등의 얼람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굴착기(210) 운전자에게 제한지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후, 해당 굴착기(210)가 기준시간 내에 제한지역을 벗어나면, 서버(110)는 얼람 수단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유의 감시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도 2c 참조). 이 실시예는 기준시간을 1분으로 설정하였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굴착기 관리 시스템 동작의 다른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2의 시나리오와는 달리 굴착기가 기준시간 내에 제한지역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모니터링되고 있는 굴착기(310)는 가스관(320)이 매장된 지역 근처에 있으나, 아직은 제한지역 밖에 위치하고 있다(도 3a 참조). 이 실시예는 가스관에서 3m이내 영역을 제한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모니터링 중인 굴착기(310)가 이동 중에 제한지역에 진입하면,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고 서버(110)는 굴착기(310)를 유의 감시 대상으로 특정한다(도 3b 참조). 또한, 서버(110)는 해당 굴착기(310) 운전자에게 이를 통보할 수 있다. 서버(310)는 부저나 경광등의 얼람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굴착기(310) 운전자에게 제한지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후, 해당 굴착기(310)가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여전히 제한지역에 있는 경우에는 관리자에게 이를 통보하고, 현장 안전팀에게 해당 굴착기(310)의 위치로 출동 명령을 발할 수 있다(도 3c 참조). 현장 안전팀(330)은 해당 굴착기(310)의 위치로 신속히 이동하여 굴착 공사 진행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 실시예는 기준시간을 1분으로 설정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시스템은 굴착기의 위치와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자동으로 비교하여 굴착기가 지하시설물에 접근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굴착기가 미리 설정된 제한지역에 들어오면 1차 알람을 전송하고, 1차 알람에도 불구하고 일정시간 제한지역에 머물게 되면 관리본부에서 현장 출동하여 단속하도록 한다. 또한, 굴착기의 실시간 위치가 관리본부에 바로 전달이 되므로 현장출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2012년 국통해양부는 전국 82개 도시의 상·하수도 관로 등 7대 지하시설물의 매설 위치 등에 관한 데이터 통합작업을 완료하였다. 7대 시설물은 상수도, 하수도, 전기, 통신, 가스, 난방 관로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국내 82개 도시 7대 지하시설물의 매설 위치 등의 GPS 좌표 값(수치 지도)이 해당 관리 기관별 서버에 입력 및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시스템은 국토해양부가 진행한 전국 7대 지하시설물 데이터 통합 작업으로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10)에서 수행되는 굴착기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방법은 굴착기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S410), 상기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위치하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S420), 및 상기 제한지역내 위치하는 굴착기를 감지하면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430).
상기 수신하는 단계(S410)는 적어도 하나의 굴착기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굴착기(122)에 장착된 발신장치(1220)가 위성을 통해 확보한 위치 정보를 제1 중계기(12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S420)는 제한지역을 확인하는 단계(S422) 및 상기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42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지하시설물에 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한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한지역은 지하시설물로부터 기준 반경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서버(110)는 상기 굴착기(122)로부터 받은 위치 정보를 가지고 상기 제한지역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굴착기(122)가 현재 상기 제한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보하는 단계(S430)는 상기 굴착기가 상기 제한지역에 진입 후 경과한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S434) 및 상기 경과한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굴착기 위치로 출동 명령을 발하는 단계(S4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보하는 단계(S430)는 상기 제한지역에 진입한 상기 굴착기에게 이를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 관리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한지하시설물의 GPS 위치 좌표 값을 기반으로, 굴착기의 위치 정보 GPS 좌표 값과 비교하여, 반경 3m 이내 1분 이상 수신되었을 때만 반응 및 구동되는 워쳐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굴착기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워처 모듈에 수신되며, 굴착기의 위치 좌표 값이 지하시설물의 위치 좌표 값과 일치할 경우, 수치 값 지도를 2차원 지도에 표현하게 되면서 제한지역 내 굴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굴착기에 장착되는 발신장치는 식별번호를 가지고 있어, 다른 굴착기에 장착된 발신장치와 구별될 수 있다. 식별번호는 서버(110)에 등록되어 있어, 굴착기를 식별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관리자는 비상 연락망으로 해당 굴착기 운전자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110)는 식별번호를 가지고 굴착기에 장착된 특정 발신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지역에 진입한 굴착기의 식별번호를 포함한 제어 명령을 브로드캐스팅하여 해당 굴착기의 부저나 경광등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트,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10)는 메모리(510), 통신모듈(520), 데이터베이스(530), 표시부(540) 및 프로세서(55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모리(510)는 프로세서(55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시로 저장 및 로딩하여 프로세서(550)가 이를 참조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통신모듈(520)은 유선망(LAN) 및 무선망(AP)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중계기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모듈(520)은 중계기를 통해 얻은 굴착기의 위치 정보를 프로세서(550)에 전달하며, 프로세서(550)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해당 굴착기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30)는 지하시설물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어, 프로세서(550)가 이를 참조하여 제한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하였듯이 데이터베이스(530)는 국토해양부가 진행한 전국 7대 지하시설물 데이터 통합 작업으로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530)는 국내 82개 도시 7대 지하시설물의 매설 위치 등의 GPS 좌표 값(수치 지도)이 저장될 수 있다.
표시부(540)는 프로세서(550)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관리자가 표시한다. 관리자는 표시부(540)에 나타나는 정보를 확인하여, 제한지역에 위치하는 굴착기를 모니터링하고, 전체적인 대응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굴착기 관리 방법은 프로세서(550)에 의해 수행된다.
프로세서(550)는 정보수신부(552), 모니터링부(554) 및 알림부(556)를 포함한다.
정보수신부(552)는 굴착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정보수신부(552)는 통신모듈(520)을 통해 굴착기에 장착된 발신장치(1220)가 위성을 통해 확보한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554)는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위치하는지 모니터링 한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굴착기 위치와 데이터베이스(530)를 참조하여 확인한 제한지역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굴착기가 상기 제한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부(554)는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진입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알림부(558)에 전달한다. 판단부(556)는 굴착기가 상기 제한지역에 진입 후 경과한 시간을 확인하고,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기준시간을 초과했다고 판단되는경우, 이를 알림부(558)에 전송한다.
알림부(556)는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진입한 경우에, 표시부(540)를 통해 관리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알림부(556)는 통신모듈(520)을 통해 해당 굴착기 운전자에게도 이를 알릴 수 있다. 알림부(556)는 굴착기가 기준시간을 초과하여 제한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고, 현장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굴착기에 장착되는 발신장치(122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도 1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발신장치(600)는 굴착기 관리 서버(110)와 통신하고, GPS 모듈(610), 통신모듈(620), 제어부(630), 전원부(640), 및 알람부(650)을 포함한다.
GPS 모듈(610)은 다수의 인공 위성과 통신하여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모듈(620)은 상기 서버(110)로 상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통신모듈(620)은 로라(LoRa) 무선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식별번호를 가지고 있어, 다른 굴착기에 장착된 발신장치와 구별될 수 있다. 식별번호는 서버(110)에 등록되어 있어, 필요한 경우 굴착기를 식별할 수 있고, 관리자는 해당 굴착기 운전자의 비상 연락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640)는 상기 GPS 모듈(610), 상기 통신모듈(620) 및 상기 제어부(64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640)는 굴착기에서 사용하는 전원을 공급받거나,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알람부(650)는 서버(110)로부터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굴착기(122) 운전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 즉, 알람부(6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제한지역에 진입한 경우, 이를 굴착기 운전자에게 알려 현재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제한지역 밖으로 벗어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굴착기 운전자에게 알람하기 위해 알람부(650)는 부저(652), 스피커(654) 및 경광등(65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서버 120: 중계기1
122: 굴착기1 124: 굴착기2
1220: 발신장치 130: 중계기2
132: 굴착기3 134: 굴착기4
136: 굴착기5 138: AP1
140: 중계기3 142: 굴착기6
144: 굴착기7 146: AP2

Claims (8)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굴착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착기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위치하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지역에 위치하는 굴착기를 감지하면 이를 관리자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굴착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지하시설물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한지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굴착기의 위치 정보가 상기 제한지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굴착기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지역은
    상기 지하시설물로부터 기준 반경 내 지역인 굴착기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굴착기가 상기 제한지역 진입 후 경과한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과한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굴착기 위치로 출동 명령을 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굴착기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제한지역에 진입한 상기 굴착기에게 이를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굴착기 관리 방법.
  6. 굴착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굴착기용 발신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인공 위성과 통신하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
    상기 서버로 상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GPS 모듈,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굴착기용 발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기의 운전자에게 상기 서버로부터의 알림을 전달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굴착기용 발신 장치.
  8. 굴착기에 구비되며 자신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굴착기용 발신기;
    상기 굴착기용 발신기로부터 받은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굴착기가 제한지역에 있는지 판단하고,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서버; 및
    통신 방식이 서로 상이한 상기 굴착기용 발신기와 상기 서버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굴착기 관리 시스템.
KR1020190122297A 2019-10-02 2019-10-02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65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97A KR102265508B1 (ko) 2019-10-02 2019-10-02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97A KR102265508B1 (ko) 2019-10-02 2019-10-02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716A true KR20210039716A (ko) 2021-04-12
KR102265508B1 KR102265508B1 (ko) 2021-06-16

Family

ID=7543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297A KR102265508B1 (ko) 2019-10-02 2019-10-02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8131A (zh) * 2022-08-12 2022-11-15 山重建机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的挖掘机用户服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597A (ko) * 2001-07-12 2004-02-05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위치확인방법과 위치표시시스템 및 건설기계
KR20170006095A (ko) *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597A (ko) * 2001-07-12 2004-02-05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위치확인방법과 위치표시시스템 및 건설기계
KR20170006095A (ko) *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8131A (zh) * 2022-08-12 2022-11-15 山重建机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的挖掘机用户服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508B1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563B1 (ko)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71209B1 (ko)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CN109993431B (zh) 一种作业人员位置信息监管方法和系统
KR101173592B1 (ko) 매설관의 파손방지와 파손된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203104909U (zh) 消防应急照明和疏散指示系统
AU2018204440B2 (en) A remote isolation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use in the remote isolation system
JP6195809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643305B1 (ko) 지하매설물 파손 위험 감지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9330A (ko) 구조물 상태 위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JP2019507893A (ja) 仮想事故基盤放射線非常の現場探査訓練方法
US10969062B2 (en) Monitoring system for a section or a component of a pipeline for the transport of hydrocarbons in a hazard site
KR102265508B1 (ko) 굴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3945238A (zh) 深大基坑无线智能化监测系统
KR20220038677A (ko) 다중 거주 건물을 위한 안전 관리 및 건물 운영 평가 시스템 및 방법
ES2873082T3 (es) Una unidad de control móvil, un sistema de gestión de instalaciones, un sistema de control de unidad móvil, un método de gestión de instalaciones y un método de control de unidad móvil
KR101986224B1 (ko) Ict를 이용한 재난현장 긴급복구 시스템
CN112634571B (zh) 一种用于十小场所的消防隐患排查和风险评估系统
GB2599465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rsonnel
CN115587690A (zh) 工矿企业应急管理移动智能平台及装备
KR101957982B1 (ko) 비콘태그를 이용한 안전활동 스마트 tbm 시스템
KR20240099967A (ko) 비엘이 비콘기반 굴착공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861151A (zh) 一种燃气管道风险管控方法
KR102349465B1 (ko) 이동체의 위치에 대한 안전 지수 제공 장치
GB2577960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rsonnel
US20220057772A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