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546A - 낚싯대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546A
KR20210039546A KR1020190121910A KR20190121910A KR20210039546A KR 20210039546 A KR20210039546 A KR 20210039546A KR 1020190121910 A KR1020190121910 A KR 1020190121910A KR 20190121910 A KR20190121910 A KR 20190121910A KR 20210039546 A KR20210039546 A KR 20210039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base body
fixed
units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호연
Original Assignee
양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호연 filed Critical 양호연
Priority to KR1020190121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9546A/ko
Publication of KR2021003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546A/ko
Priority to KR1020220077392A priority patent/KR20220092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용 거치대는 베이스 몸체(11); 베이스 몸체(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12a, 12b, 12c); 베이스 몸체(11)의 한쪽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 유닛(13a, 13b); 및 베이스 몸체(11)의 다른 쪽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12a, 12b, 12c)에 낚싯대의 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낚싯대용 거치대{A Cradle for a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 거치대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차량의 뒷좌석과 같은 고정 물체에 낚싯대를 거치할 수 있는 낚싯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미끼로 물고기를 잡는 낚시를 위한 도구에 해당하는 낚싯대는 휴대 또는 이동에 편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낚시를 위한 이동 과정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적재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낚싯대는 다양한 자동차를 비롯한 다양한 이동 수단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고, 이동 과정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이동 수단에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허공개번호 10-2011-0103543은 파이프형 난간에 설치되는 낚싯대 고정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12318은 낚시용 보트에 낚싯대를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는 보트용 낚싯대 고정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낚시를 위한 이동 수단으로 육로에서 주로 자동차가 이용되고, 자동차에 낚싯대가 적재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10-2011-0103543(양재두, 2011.09.21. 공개) 파이프형 난간에 설치되는 낚시대 고정 장치 선행기술 2: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12318(이규중, 2001.02.15. 공고) 보트용 낚시대 고정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와 같은 이동 수단 또는 다양한 고정 물체에 낚싯대가 편리하게 거치되도록 하는 낚싯대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낚싯대용 거치대는 베이스 몸체; 베이스 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 베이스 몸체의 한쪽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 유닛; 및 베이스 몸체의 다른 쪽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결속 유닛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에 낚싯대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몸체는 패드 형상이 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의 각각은 베이스 몸체의 한쪽 면에 낚싯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의 각각은 베이스 몸체에 결합된 고정 몸체 및 고정 몸체의 한쪽 부분과 연결되면서 다른 부분은 고정 몸체에 분리 가능한 개폐 날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거치대는 차량의 좌석에 안정적으로 낚싯대가 고정되어 운반이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낚싯대의 고정 및 분리가 간단하면서 이동 과정에서 휴대에 따른 불편이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다양한 운반 수단 또는 고정 물체에 낚싯대가 고정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거치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거치대의 적용 형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거치대의 다양한 구성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거치대가 자동차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거치대(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낚싯대용 거치대(10)는 베이스 몸체(11); 베이스 몸체(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12a, 12b, 12c); 베이스 몸체(11)의 한쪽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 유닛(13a, 13b); 및 베이스 몸체(11)의 다른 쪽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12a, 12b, 12c)에 낚싯대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거치대(10)는 차량의 좌석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자동차의 두 개의 앞좌석에 각각 고정될 수 있고, 낚싯대는 두 개의 거치대(10)에 의하여 두 개의 앞좌석의 등받이 부위의 뒤쪽 면에 고정될 수 있다. 거치대(10)는 다양한 차량의 좌석 또는 다른 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고정 물체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11)는 사각 패드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11)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12a, 12b, 12c)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3개의 고정 수단(12a, 12b, 12c)이 베이스 몸체(11)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3개의 고정 수단(12a, 12b, 12c)은 낚싯대의 거치를 위하여 예를 들어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고정 수단(12a, 12b, 12c)에 낚싯대가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낚싯대는 하나의 고정 수단(12a, 12b 또는 12c)을 관통하는 방법으로 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수단(12a, 12b, 12c)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포개질 수 있는 일체로 형성된 고정 몸체(121)와 개폐 날개(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몸체(121)가 베이스 몸체(11)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개폐 날개(122)가 고정 몸체(121)의 위쪽에 겹쳐지면서 고정 몸체(121)의 위쪽에 개폐 날개(122)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개폐 날개(122)의 위쪽 부분이 고정 몸체(121)의 위쪽 부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낚싯대가 관통되어 접히는 부위에 걸쳐질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수단(12a, 12b, 12c)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몸체(11)는 한 쌍의 체결 유닛(13a, 13b) 및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 배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체결 유닛(13a, 13b) 및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은 각각 자동차 좌석의 위쪽 및 아래쪽 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베이스 몸체(11)가 좌석 등받이의 뒤쪽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 몸체(11)의 위쪽 모서리에 한 쌍의 체결 유닛(13a, 13b)이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체결 유닛(13a, 13b)은 베이스 몸체(11)의 양쪽 모서리로부터 베이스 몸체(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띠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체결 유닛(13a, 13b)의 끝 부분에 서로 체결 가능한 체결 훅 유닛(131, 132)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 유닛(13a) 또는 제2 체결 유닛(13b)에 조절 유닛(13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2 체결 훅 유닛(131, 132)에 의하여 제1, 2 체결 유닛(13a, 13b)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조절 유닛(13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제1, 2 체결 유닛(13a, 13b)의 결합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11)의 다른 모서리에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이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체결 유닛(13a, 13b) 및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에 의하여 베이스 몸체(11)의 서로 다른 네 곳이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베이스 몸체(11)가 예를 들어 좌석 등받이의 뒤쪽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은 베이스 몸체(11)의 한쪽 부분의 양쪽 모서리로부터 서로 멀어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의 끝 부분에 결속 훅 유닛(141, 142)이 형성되어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의 끝 부분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속 유닛(14a, 14b)에 적어도 하나의 길이 조절 유닛( 143, 144)가 배치되어 서로 결합된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몸체(11)에 결합되는 고정 몸체(121)는 예를 들어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고정 몸체(121)의 아래쪽 면이 베이스 몸체(1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개폐 날개(122)는 고정 몸체(121)의 한쪽 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경계 부위를 접힘선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개폐 날개(122)는 고정 몸체(1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길이가 될 수 있고, 곡선 형상으로 마무리가 되는 끝 부분에 예를 들어 벨크로와 같은 접착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벨크로와 같은 결합 수단이 형성된 끝 부분은 베이스 몸체(11) 또는 고정 몸체(121)의 끝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 방향으로 낚싯대가 관통되는 고정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유닛(12a, 12b, 12c)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거치대의 적용 형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직사각 형상의 베이스 몸체(11)에 3개의 고정 유닛(12a, 12b, 12c)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체결 유닛(13a, 13b)의 체결 훅 유닛(131, 132)이 서로 결합되어 고정 물체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의 결속 훅 유닛(141, 142)이 서로 결합되어 고정 물체에 결속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결속 훅 유닛(141)은 제1 결속 유닛(14a)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가 되고, 제1 결속 유닛(14a)의 끝 부분은 제1 길이 조절 유닛(143)에 결합되어 두 개의 결속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낚싯대용 거치대는 자동차의 좌석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2 체결 유닛(13a, 13b)에 의하여 형성된 체결 부위는 자동차 좌석의 머리 받침 부분과 등받이 받침 부분의 경계 부우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 결속 유닛(14a, 14b)에 의하여 형성된 결속 부위는 자동차 좌석의 아래쪽 부분에 결합되고, 이에 의하여 베이스 몸체(11)의 아래쪽 면이 등받이의 뒤쪽 부분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몸체(11)가 고정되면, 각각의 고정 유닛(12a, 12b, 12c)에 낚싯대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거치대의 다양한 구성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가) 및 (나)는 베이스 몸체(11)의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다)의 제1, 2 결속 유닛(14a, 14b)에 의하여 형성되는 길이 조절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2 체결 유닛(13a, 13b)은 자동차의 머리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1, 2 결속 유닛(14a, 14b)은 자동차의 바닥 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11)가 자동차 좌석의 등받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벨크로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 몸체(121)에 결합된 개폐 날개(122)의 위쪽 부분을 분리시킬 수 있다. 고정 몸체(121)와 개폐 날개(122)의 경계 부분에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침 부위(122a)가 형성될 수 있고, 걸침 부위(122a)에 낚싯대가 걸쳐질 수 있다. 걸침 부위(122a)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견고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개폐 날개(122)가 고정 몸체(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U 형상의 채널의 바닥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2 결속 유닛(14a, 14b)은 자동차 좌석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고, 다양한 위치에 가능한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위치의 결속이 가능하도록 제1, 2 결속 유닛(14a, 14b)은 제1, 2 결속 포인트(CP1, CP2)가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제1 결속 포인트(CP1)는 제1 결속 유닛(14a)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2 결속 유닛(14a, 14b)은 다양한 결속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거치대가 자동차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두 개의 낚싯대용 거치대(10a, 10b)가 두 개의 자동차 좌석의 뒤쪽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거치대(10a, 10b)의 체결 유닛은 머리 받침대(41)와 등받이(42a, 42b)의 경계 부분에 결합될 수 있고, 결속 유닛은 등받이(42a, 42b)의 아래쪽 부분에 위치하는 자동차의 다양한 구조에 결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거치대(10a, 10b)에 위치하는 동일 높이의 고정 유닛에 각각 낚싯대(43a, 43b, 43c)가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낚싯대(43a, 43b, 43c)는 개폐 날개을 고정 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걸침 부분에 간단하게 걸쳐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걸쳐진 낚싯대(43a, 43b, 43c)는 개폐 날개을 고정 몸체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거치대(10a, 10b)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a, 10b)에 의하여 다수 개의 낚싯대(43a, 43b, 43c)가 간단하게 자동차에 적재되어 이동되고, 간단하게 분리되어 사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거치대는 차량의 좌석에 안정적으로 낚싯대가 고정되어 운반이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낚싯대의 고정 및 분리가 간단하면서 이동 과정에서 휴대에 따른 불편이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는 다양한 운반 수단 또는 고정 물체에 낚싯대가 고정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거치대 11: 베이스 몸체
12a, 12b, 12c: 고정 수단 13a, 13b: 체결 유닛
14a, 14b: 결속 유닛
121: 고정 몸체 122: 개폐 날개(122)
131, 132: 체결 훅 유닛 133: 조절 유닛
141, 142: 결속 훅 유닛 143, 144: 길이 조절 유닛

Claims (3)

  1. 베이스 몸체(11);
    베이스 몸체(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12a, 12b, 12c);
    베이스 몸체(11)의 한쪽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 유닛(13a, 13b); 및
    베이스 몸체(11)의 다른 쪽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결속 유닛(14a, 14b)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12a, 12b, 12c)에 낚싯대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 몸체(11)는 패드 형상이 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12a, 12b, 12c)의 각각은 베이스 몸체(11)의 한쪽 면에 낚싯대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12a, 12b, 12c)의 각각은 베이스 몸체(11)에 결합된 고정 몸체(121) 및 고정 몸체(121)의 한쪽 부분과 연결되면서 다른 부분은 고정 몸체(121)에 분리 가능한 개폐 날개(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거치대.
KR1020190121910A 2019-10-02 2019-10-02 낚싯대용 거치대 KR20210039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10A KR20210039546A (ko) 2019-10-02 2019-10-02 낚싯대용 거치대
KR1020220077392A KR20220092487A (ko) 2019-10-02 2022-06-24 낚싯대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10A KR20210039546A (ko) 2019-10-02 2019-10-02 낚싯대용 거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392A Division KR20220092487A (ko) 2019-10-02 2022-06-24 낚싯대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546A true KR20210039546A (ko) 2021-04-12

Family

ID=754400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910A KR20210039546A (ko) 2019-10-02 2019-10-02 낚싯대용 거치대
KR1020220077392A KR20220092487A (ko) 2019-10-02 2022-06-24 낚싯대용 거치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392A KR20220092487A (ko) 2019-10-02 2022-06-24 낚싯대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3954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318Y1 (ko) 2000-09-08 2001-02-15 이규중 보트용 낚시대 고정장치
KR20110103543A (ko) 2010-03-15 2011-09-21 양재두 파이프형 난간에 설치되는 낚시대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318Y1 (ko) 2000-09-08 2001-02-15 이규중 보트용 낚시대 고정장치
KR20110103543A (ko) 2010-03-15 2011-09-21 양재두 파이프형 난간에 설치되는 낚시대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487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13470A1 (en) Vehicle anchor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KR20210039546A (ko) 낚싯대용 거치대
US6257653B1 (en) Wind baffle attachable to seats using straps
US6193298B1 (en) Wind baffle attachable to seats using straps
CN210912137U (zh) 抽拉式汽车卧铺
JPH0427706Y2 (ko)
US3797462A (en) Dog stanchion for automobiles
CN209037439U (zh) 汽车座椅以及汽车
CN220875523U (zh) 一种汽车宠物隔离挡
JPH0534442Y2 (ko)
JPH0246797Y2 (ko)
JPH0313386Y2 (ko)
JP7397300B2 (ja) 乗物用シート及び製造方法
JPS6116839Y2 (ko)
CN109228991B (zh) 一种具有可折叠挡风装置的赛车
JPS637549Y2 (ko)
JP3054094U (ja) 自動車用簡易テーブル
EP2752135B1 (en) Temporary sleeping arrangement
JP3083264U (ja) ワンタッチ荷物のせシート
CN110877556A (zh) 用于车辆乘客座椅的侧向头部支撑件
GB1583401A (en) Vehicle load constrainers
JP3177315U (ja) ヘッドレスト用フック
KR200217508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
KR900005751Y1 (ko) 차량의 좌석 부착용 간이 탁자
JPS63262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