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059A -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 - Google Patents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059A
KR20210039059A KR1020190121377A KR20190121377A KR20210039059A KR 20210039059 A KR20210039059 A KR 20210039059A KR 1020190121377 A KR1020190121377 A KR 1020190121377A KR 20190121377 A KR20190121377 A KR 20190121377A KR 20210039059 A KR20210039059 A KR 2021003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addle
boarding
wheel
electric scoo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19012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9059A/ko
Publication of KR2021003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14Handlebar constructions, or arrangements of controls thereon,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빠르게 이동할 때는 전동스쿠터로 사용하고 천천히 이동할 때에는 유모차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핸들프레임 상단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프레임 중간 부위 또는 상기 핸들프레임 중간 부위와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몸체부; 상기 핸들몸체부에 결합되는 제1륜;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몸체부; 상기 메인몸체부 타단에 결합되는 제2륜; 상기 메인몸체부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상기 메인몸체부 부위에 결합되는 탑승부: 상기 연결부 뒷단과 상기 메인몸체부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핸들몸체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었을 때 상기 핸들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를 서로 결속시키는 결속부; 및 메인몸체부 또는 핸들몸체부에 결합되는 발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핸들몸체부는 상기 제2륜 쪽으로 기울일 수 있게 구성되거나 상기 제2륜 반대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안장부 전방에 위치한 상기 메인몸체부 부위 또는 상기 안장부 후방에 위치한 상기 메인몸체부 부위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승프레임과 상기 탑승프레임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승몸체부로 구성되고,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상기 탑승몸체부 회전 중심축은 상기 탑승몸체부 중심 부위에서 상기 안장부 쪽에 위치한 전동스쿠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Stroller combined electric scooter}
본 발명은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빠르게 이동할 때는 전동스쿠터로 사용하고 천천히 이동할 때는 유모차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스쿠터는 탑승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기구를 말하며 이와 같은 전동스쿠터는 구동륜, 종동륜 및 탑승 영역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동스쿠터는 아이를 데리고 외출시 도로에서 주행할 경우에는 아이를 태우고 이동할 수 있지만 실내 진입할 경우에는 밖에 전동스쿠터를 주차해놓고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모차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유모차 겸 전동스쿠터(특허공개번호 10-2018-0045752)가 개발되었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는 핸들 축 사이에 바구니가 삽입되고 유모차로 변형시 핸들을 돌리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조향에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삼륜 전동스쿠터는 거의 대부분 전륜 구동인데 상기와 같은 특허에서 전륜 구동으로 구성될 경우, 안장 위치가 지나치게 후륜 쪽으로 지우쳐 탑승자 체중 대부분이 후륜에 실리고 전륜에는 조금 실리게 되어 전륜 접지력이 많이 떨어져서 전륜이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아이를 데리고 외출시 도로에서는 주행용 전동스쿠터로 사용하고, 천천히 이동할 경우에는 유모차로 변형하여 유모차로 사용할 수 있는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핸들프레임 상단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프레임 중간 부위 또는 상기 핸들프레임 중간 부위와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몸체부; 상기 핸들몸체부에 결합되는 제1륜;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몸체부; 상기 메인몸체부 타단에 결합되는 제2륜; 상기 메인몸체부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상기 메인몸체부 부위에 결합되는 탑승부: 상기 연결부 뒷단과 상기 메인몸체부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핸들몸체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었을 때 상기 핸들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를 서로 결속시키는 결속부; 및 메인몸체부 또는 핸들몸체부에 결합되는 발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핸들몸체부는 상기 제2륜 쪽으로 기울일 수 있게 구성되거나 제2륜 반대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안장부 전방에 위치한 상기 메인몸체부 부위 또는 상기 안장부 후방에 위치한 상기 메인몸체부 부위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승프레임과 상기 탑승프레임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승몸체부로 구성되고,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상기 탑승몸체부 회전 중심축은 상기 탑승몸체부 중심 부위에서 상기 안장부 쪽에 위치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 타단에 결합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륜은 상기 핸들프레임 하단에 1개가 결합되고, 상기 제2륜은 상기 제2몸체부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핸들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는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몸체부는 좌우측으로 기울임 되지 않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상기 핸들몸체부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2륜 쪽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고,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에서 상기 핸들몸체부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2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에서 상기 핸들 부위 중 손으로 잡는 부위는 상기 제1륜 후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에서 상기 핸들 부위 중 손으로 잡는 부위는 상기 핸들몸체부 회전 중심축 후방에 위치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에서 상기 제1륜 앞부위까지 길이보다 상기 결속부에서 상기 제2륜 뒷부위까지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부는 유아를 태울수 있게 구성되거나 물건을 실을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는 탑승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탑승결합부는 상기 메인몸체부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하로 관통된 구멍 또는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탑승프레임은 상기 탑승결합부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유모차모드로 변신할 때, 상기 안장부는 상기 메인몸체부에서 분리되거나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탑승부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탑승프레임 회전 중심축은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때 메인몸체부가 기울어진 각도 절반만큼 메인몸체부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타단 또는 중간 부위가 상기 제1몸체부에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제1륜 쪽으로 연장되게 구성되며, 상기 발판부 일단까지 길이는 유모차모드에서 상기 발판부 일단이 상기 제1륜에 접촉 안 될 정도로 짧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는 아이를 데리고 외출시 도로에서는 주행용 전동스쿠터로 사용하고, 천천히 이동할 경우에는 유모차로 변형하여 유모차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는 시장 보러 갈 때 시장까지는 이동용 전동스쿠터로 사용하고, 시장에 도착해서는 수레로 변형하여 수레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에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서 탑승부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에서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서 발판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에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서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일때 탑승부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에서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서 d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면서 평면도이다.
도 2에서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서 d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면서 측면도이다.
도 3에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일때의 측면도이다.
도 3에서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서 안장조절부와 탑승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에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일때 결속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에서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서 핸들몸체부가 제2륜 반대쪽으로 기울어질 때 결속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에서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일때 결속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에서 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서 결속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에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일 때 핸들몸체부 기울기와 메인몸체부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에서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일 때 핸들몸체부가 변동된 기울기와 메인몸체부가 변동된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에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일 때 연결부재와 걸림고리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다.
도 6에서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일 때 연결부재와 걸림고리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일때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일때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 일때 측면도이다.
도 10에서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서 핸들몸체부가 틸팅 안 되었을때 정면도이다.
도 10에서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에서 핸들몸체부가 틸팅 되었을때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일 때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일 때 측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몸체부(10), 제1륜(20), 메인몸체부(30), 제2륜(40), 결속부(50), 안장부(60), 탑승부(70) 및 발판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핸들몸체부(10)는 핸들(11), 핸들프레임(12) 및 연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12)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부는 양측으로 벌어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벌어진 사이에 후술하는 제1륜(20)이 끼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핸들(11)은 핸들프레임(12) 상단에서 전방으로 조금 연장된 다음 연장된 앞단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고, 좌우측으로 연장된 부위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손으로 잡는 핸들(11) 부위는 핸들몸체부(10) 회전 중심축(p)에서 조금 전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연결부(13)는 앞단이 핸들프레임(12) 중간 부위에 외삽 결합되어 핸들(11)과 핸들프레임(12)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뒷단은 후방으로 조금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륜(20)은 핸들프레임(12) 하단에 중심축으로 결합되는데, 코너 주행시 제1륜이 측방으로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 한 개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륜(20)은 핸들프레임(12) 하단에 중심축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륜(20)은 인력 구동이 아닌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모터가 제1륜(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륜(20)에 전기모터가 구비됨으로써 도로에서는 전기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빠르게 주행할 수 있고, 유모차로 사용할 경우에도 전기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천천히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메인몸체부(30)는 제1몸체부(31)와 제2몸체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몸체부(31)는 일단이 연결부(13)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안장부(60)가 결합된 부위까지 연장된 후 절곡되어 후방과 하방 사이로 연장된다.
제1몸체부(31)에는 안장결합부(35)가 더 포함되는데, 상기 안장결합부(35)는 제1몸체부(31) 부위 중 안장부(60)가 위치한 부위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안장결합부(35)는 제1몸체부(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상하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구멍에 후술하는 안장부(60)가 끼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일반 자전거 안장에 구비되어 안장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구조와 같은 안장조절부(63)가 안장결합부(35) 상단에 구비되어 안장부(60)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안장조절부(63)는 도 3에서 b와 같이 일반 자전거에서 안장을 내리거나 올린 후 안장을 고정하는 구조와 같기 때문에 안장조절부(6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몸체부(31)에 탑승결합부(36)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탑승결합부(36)는 안장부(60) 하방에 위치한 제1몸체부(31) 부위 양쪽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탑승결합부(36)는 앞뒤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탑승프레임(72)을 상기 구멍에 끼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몸체부(34)는 일단이 제1몸체부(31) 타단에 외삽 결합되고, 타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게 구성되며, 양측으로 연장된 양 끝단은 후술하는 제2륜(40)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핸들몸체부(10)와 제1몸체부(31)는 좌우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2몸체부(34)는 좌우로 기울임 안되게 구성된다.
즉, 핸들몸체부(10)와 제1몸체부(31)는 제1륜(20)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에서 제2몸체부(34)에 제1몸체부(31)가 결합된 부위를 직선으로 그은 선 (이하 틸팅중심축(X)이라고 함)을 중심축으로 좌우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륜(40)은 제2몸체부(34) 타단 양측에 결합된다.
제2몸체부(34) 타단 양측에 제2륜(40)이 결합됨으로써 핸들몸체부(10)와 제1몸체부(31)가 좌우로 기울어질 때 제2몸체부(34)는 안 기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부(6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위로 안장결합부(35)에 끼움 결합되는 안장프레임(61)과 안장프레임(61) 상단에 결합되는 안장(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프레임(61)은 일반 자전거같이 상하로 길게 연장된 봉으로 구성되고, 하부가 안장결합부(35)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안장결합부(35)에서 안장프레임(61)을 빼거나 끼울 수 있게 구성하여 안장(62)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안장조절부(63)를 조작하여 안장부(60)가 안 내려가게 안장부(60)를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62)은 일반 전동스쿠터에 구비된 안장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부가 안장프레임(61) 상단에 고정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속부(50)는 전동스쿠터를 유모차로 사용하기 위해(이하 도로 주행용 스쿠터 구조는 스쿠터모드라고 하고, 유모차처럼 밀고 이동할 수 있는 구조는 유모차모드라고 함) 핸들몸체부(10)를 사용자 쪽으로 기울일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즉, 핸들(11)을 잡고 제2륜(40) 방향으로 밀고 이동할 경우 제1륜(20)이 발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에서는 핸들몸체부(10)를 사용자 쪽으로 기울어서 핸들(11) 부위 중 손으로 잡는 부위가 제1륜(20) 후방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제1륜(20)이 발에 안 걸리게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결속부(50)는 외삽부(51)와 삽입부(52) 및 결속핀(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삽부(51)는 제1몸체부(10) 일단에서 양측으로 조금 연장된 다음 전방으로 90도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위는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외삽부(51) 하부에 좌우로 관통된 제1구멍(54)이 구비되고, 제1구멍(54) 상방에 위치한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제2구멍(55)이 구비된다.
상기 제2구멍(55)은 제1구멍(54) 상방 쪽에서 제1구멍(54) 쪽으로 연장된 길쭉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구멍(55) 폭은 위에서 아래로 향할수록 조금씩 좁아지게 구성하여 후술하는 결속핀(53)이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 결속핀(53) 앞뒤부위가 제2구멍(55)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삽입부(52)는 연결부(13) 뒷단에서 후방으로 조금 돌출되고, 돌출된 부위 양 옆면은 평면으로 구성하여 한 쌍으로 구성된 외삽부(51) 사이에 삽입부(52)를 끼울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삽입부(52) 중간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제3구멍(56)이 구비되어 삽입부(52)를 외삽부(51)에 힌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한 쌍으로 구성된 외삽부(51) 사이에 삽입부(52)를 끼운 다음 제1구멍(54)과 제3구멍(56)에 핀을 끼워 핸들몸체부(10)는 핀을 중심축으로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일정각도만큼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된다.
삽입부(52) 상부는 둥근 형상으로 구성되고, 삽입부(52) 상부 앞쪽과 뒤쪽 부위에 제3구멍(56) 방향으로 들어간 걸림홈(57)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제3구멍(56)에서 삽입부(52) 상부까지 길이는 후술하는 결속핀(53)이 최대한 상방으로 이동했을때 제1구멍(54)에서 결속핀(53) 하부까지 길이보다 짧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속핀(53)은 양 끝단이 제3구멍(56)에 끼워지고, 가운데 부위가 걸림홈(57)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결속핀(53)이 제3구멍(56) 상단까지 이동될 경우, 결속핀(53)이 걸림홈(57)에서 분리되어 핸들몸체부(1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일 수 있게 되고, 결속핀(53)이 제3구멍(56)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걸림홈(57)에 끼워지면 핸들몸체부(10)와 메인몸체부(30)는 서로 결속되어 핸들몸체부(10)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결속핀(53) 부위 중 제2구멍(55)에 끼워지는 부위 테두리 형상은 둥글게 구성되고, 걸림홈(57)에 끼워지는 부위 테두리 형상은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결속핀(53)을 회전시킬 경우 결속핀(53) 앞뒤 부위가 걸림홈(57)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즉, 결속핀(53)을 상하로 이동시킬 때는 결속핀(53)을 회전시켜 결속핀(53)이 걸림홈(57)에 밀착 안 되게 구성되고, 핸들몸체부(10)와 메인몸체부(30)를 서로 결속시킬 때는 결속핀(53)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2구멍(55) 앞뒤에 결속핀(53) 양 끝단을 밀착시킨 다음 결속핀(53)을 회전시켜 결속핀(53)이 걸림홈(57) 앞뒤에 밀착되게 함으로서 유격이 없게 구성된다.
결속핀(53) 좌우측 부위 중 어느 한쪽 끝단 부위는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성하여 연장된 부위를 손으로 잡고 결속핀(53)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에서 발이 제1륜(20)에 안 걸리게 하기 위해 핸들몸체부(10)가 사용자 쪽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거나 핸들몸체부(10)는 사용자 쪽으로 작게 기울어지게 하고, 핸들(11)이 핸들프레임(12) 상단에서 사용자 쪽으로 조금 연장된 다음 양 옆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또한, 결속부(50)에서 제1륜(20) 앞단까지 길이가 결속부(50)에서 제2륜(40) 뒷단까지 길이보다 더 작게 구성하여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 때 결속부(50) 부위가 상방으로 많이 이동 안 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탑승부(70)는 유아가 탑승하는 부위 또는 물건을 실을 수 있게 구성된 부위로 유모차로 사용하거나 물건을 실을 경우에만 결합되고, 유모차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리하여 따로 보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탑승부(70)는 탑승결합부(36)에 끼움 결합되는 탑승프레임(72)과 탑승프레임(72) 상단에 결합되는 탑승몸체부(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탑승프레임(72)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앞부위가"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벌어진 탑승프레임(72) 부위는 탑승결합부(36)에 구비된 구멍에 끼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다. 탑승프레임(72) 뒷단은 안장부(60) 뒤쪽까지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방으로 연장된 부위 상단에 하방으로 들어간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구멍은 후술하는 탑승몸체부(71)가 끼움 결합될수 있게 구성된다.
탑승프레임(72) 상단에는 안장부(60)에 구비된 안장조절부(63)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탑승고정부(73)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탑승몸체부(71)를 탑승프레임(72)에 고정 또는 180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도 2에서 b와 c를 참조하면, 탑승결합부(36) 앞부위와 탑승프레임(72) 앞부위에 상하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탑승프레임(72)이 탑승결합부(36)에 결합되었을때 탑승결합부(36) 구멍과 탑승프레임(72) 구멍에 제1고정핀(37)을 끼워 탑승프레임(72)이 탑승결합부(36)에서 안 빠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탑승몸체부(71)는 유아를 탑승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지만 물건을 탑재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탑승몸체부(71)는 유아가 착석할 수 있게 상부가 의자같이 평평하게 형성된 착석부(74), 착석부 앞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결합축(77), 착석부(74) 뒷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등받이(75) 및 탑승몸체부(71)에 유아를 묶을 수 있게 구성된 안전벨트(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착석부(74)는 유아가 앉을 수 있게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수평이 되면서 평평하게 구성된다.
상기 결합축(77)은 착석부(74) 부위 중 앞단과 가까운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탑승프레임(72)에 구비된 구멍에 결합축(77)이 끼움 결합되어 탑승몸체부(71)는 결합축(77)을 중심축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전동스쿠터를 전동스쿠터로 사용할 경우에는 제1륜(20) 쪽이 전방이 되지만 전동스쿠터를 유모차로 사용할 경우에는 핸들(11) 부위를 손으로 잡고 밀고 이동함으로 제2륜(40) 쪽이 전방이 된다. 따라서 전동스쿠터를 유모차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탑승몸체부(7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시켤 수 있게 구성된다.
도 2에서 a와 같이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일때 탑승부(70)는 제2륜(40) 쪽에 쏠려 있음으로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로 변신할 경우에는 탑승부(70)를 제1륜(20)과 제2륜(40) 사이 가운데 지점으로 이동시키야 된다. 따라서 탑승몸체부(71)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할 때 탑승몸체부(71)가 안장부(60) 쪽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탑승몸체부(71) 회전 중심축(t)은 탑승몸체부(71) 앞단과 가까운 부위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탑승몸체부(71)가 안장부(60) 쪽으로 이동될 경우, 탑승몸체부(71)가 안장부(60)에 걸리기 때문에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 때 안장(62)이 탑승부(70)에 걸리지 않게 구성된다. 즉 안장조절부(63)를 풀고 안장부(6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탑승몸체부(7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시켜 안장(62)이 탑승몸체부(71) 하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탑승몸체부(71)를 회전시킨 다음 탑승고정부(73)로 탑승몸체부(71)를 탑승프레임(72)에 결속시켜 탑승몸체부(71)가 움직이지 않게 구성된다.
물론, 탑승몸체부(71) 하부 위치를 안장(62)보다 높게 구성하여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 때 탑승몸체부(71)가 안장부(60)에 걸리지 않게 구성되거나 안장부(60)를 분리시키고 전동스쿠터를 유모차모드로 변신하여 탑승몸체부(71)가 안장부(60)에 걸리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유모차모드로 변신하면 핸들몸체부(10) 기울기가 바뀌게 되고, 핸들몸체부(10)가 기울어지면 탑승몸체부(71)도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 때 탑승몸체부(71)가 안 기울어지게 구성해야 된다.
핸들몸체부(10) 기울어지는 각도(q)가 스쿠터모드보다 유모차모드가 더 클 경우, 메인몸체부(30) 일단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핸들몸체부(10) 기울어지는 각도(q)가 스쿠터모드보다 유모차모드가 더 작을 경우, 메인몸체부(30) 일단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스쿠터모드에서 핸들몸체부(10) 기울어지는 각도(q)와 유모차모드에서 핸들몸체부(30) 기울어지는 각도(q)가 같고 기울어지는 방향만 서로 반대일 경우 메인몸체부(30) 일단 높이는 변동이 없게 된다.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 때 탑승몸체부(71)는 안 기울어져야 된다. 따라서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 때 탑승몸체부(71)가 안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서 탑승몸체부(71) 회전 중심축(t)은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 때 메인몸체부(30)가 변동된 각도(r) 절반 각도(v)만큼 메인몸체부(30)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즉, 탑승몸체부(71) 회전중심축(t)은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일 때 메인몸체부(30)가 기울어진 각도(r)에서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일 때 메인몸체부(30)가 기울어진 각도(r)를 뺀 메인몸체부(30)가 변동된 각도(s) 절반만큼 메인몸체부(30)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 때 탑승몸체부(71)가 기울어지지 않게 하는 다른 방법으로,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일 때 핸들몸체부(10)가 기울어지는 각도(q)와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일 때 핸들몸체 부(10)가 기울어지는 각도(q)를 같게 하되 기울어지는 방향만 서로 반대로 하고, 탑승몸체부(71) 회전 중심축(t)이 안 기울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 때 탑승몸체부(71)가 안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부(80)는 발판프레임(81)과 발판(82) 및 연결부재(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프레임(81)은 중간 부위가 제2몸체부(34)와 가까우면서 틸팅중심축(X) 상방에 위치한 제1몸체부(31) 부위에 결합되고, 일단은 제1륜(20) 쪽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타단은 제2몸체부(34) 타단까지 연장되게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틸팅중심축(X) 상방에 위치하면서 제2몸체부(34)에 가까운 제1몸체부(31) 부위 좌우측 중 어느 한쪽 부위에 측방으로 돌출된 축이 구비된다. 그리고 발판프레임(81) 부위 중 타단과 가까운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축에 발판프레임(81) 구멍이 끼움 결합되어 발판프레임(81) 일단과 타단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발판프레임(81)은 일단에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축이 구비된다. 그리고 발판프레임(81)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된 끝단에서 양측으로 조금 연장되게 구성되고 양쪽으로 연장된 끝단에 홈이 구비되며, 홈은 후술하는 연결부재(83)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82)은 발판프레임(81) 일단에 구비된 축 양 끝단에 끼움 결합되어 앞뒤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부재(83)는, 발판프레임(81) 일단이 하방으로 안 내려가게 하기 위해 발판프레임(81) 타단 양쪽을 제2몸체부(34)에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83)는, 일단이 발판프레임(81) 부위 중 타단에서 양쪽으로 연장된 양 끝단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이 결합된 발판프레임(81) 부위 수직 하방에 위치한 제2몸체부(34) 부위에 각각 결합되어 발판프레임(81) 일단이 상방으로는 회전되지만 하방으로는 일정 높이 밑으로 안 내려가게 구성된다.
연결부재(83) 타단이 결합되는 부위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연결부재(83) 타단은 제2몸체부(34) 부위 중 제2륜(40)을 결합하기 위해 양쪽으로 연장된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83)는 외력이 작용하면 길이는 늘어나지 않으면서 형상은 가변되는 가변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부재(83)는 다이니마 로프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상기 다이니마 로프는 비강도가 와이어 대비 15배나 강하면서 섬유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잘 휘어짐으로 핸들몸체부(10)와 제1몸체부(31) 및 발판부(8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발판프레임(81) 타단이 이동되는 방향따라 휘어지면서 발판프레임(81) 일단이 안 내려가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판프레임(81) 타단을 제2몸체부(34)에 연결부재(83)로 연결시켜 발판프레임(81) 일단 부위가 일정 높이 밑으로 이동 안 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선행기술(출원번호 10-2018-0110857)과 같이 발판부(80) 중간 부위 또는 타단 부위가 제2몸체부(34) 부위에 걸리게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연결부재로 인해 제한되지 않해야 된다.
메인몸체부(30)에 결합된 발판프레임(81) 부위에서 발판프레임(81) 일단까지 길이는 유모차모드에서 발판프레임(81) 일단이 제1륜(20)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짧게 구성되거나 유모차모드로 변신할 때 발판프레임(81) 일단을 제1륜(20) 상방으로 이동시켜 발판프레임(81)이 제1륜(20)에 접촉되지 않게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 때 발판프레임(81) 일단이 제1륜(20) 상방에 위치하게 하기 위해 연결부재(83)가 결합된 제2몸체부(34) 부위 근처 또는 연결부재(83)가 결합된 발판프레임(81) 부위 근처에 걸림고리(84)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림고리(84)는 발판프레임(81)에 구비된다.
상기 걸림고리(84)는 발판프레임(81) 타단 부위 중 연결부재(83)가 결합된 부위와 가까운 부위에서 후방으로 조금 연장된 다음 상방으로 절곡되어 조금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걸림고리(84)에 연결부재(83)가 걸릴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는 걸림고리(84)에 연결부재(83)를 걸지 않고,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에서는 걸림고리(84)에 연결부재(83) 일부분을 걸어서 발판프레임(81) 일단이 제1륜(20)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한편,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는 핸들몸체부(10)와 제1몸체부(31) 및 발판부(8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됨으로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 때 핸들몸체부(10)와 제1몸체부(31) 및 발판부(80)가 측방으로 안 기울어지게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3에서 a와 같이 제1몸체부(31)가 측방으로 안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1몸체부(31) 뒷단과 제2몸체부(34) 뒷단에 상하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된다, 그리고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일때는 제1몸체부(31)에 구비된 구멍과 제2몸체부(34)에 구비된 구멍에 제2고정핀(38)을 끼워 제1몸체부(31)가 측방으로 안 기울어지게 구성되고,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일때는 제2고정핀(38)을 구멍에서 분리시켜 제1몸체부(31)와 핸들몸체부(10) 및 발판부(8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빠르게 이동할 경우에는 전동스쿠터로 사용하고, 실내에 진입할 경우나 천천히 이동할 경우에는 유모차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모차로 사용할 때에는 핸들(11)을 잡고 밀고 갈 수도 있지만 전동모터를 구동하되 사람 걷는 속도와 같은 속도로 조절하여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힘 안들이고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제2실시예에서는 안장부를 전방으로 접을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후술하는 제3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성이 다르거나 설명이 부족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제1몸체부(31)는 제11몸체부(32)와 제12몸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1몸체부(32)는 일단이 연결부(13)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되 후방으로 향할수록 조금씩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연장된다.
다음으로 제12몸체부(33)는 일단이 제11몸체부(32) 타단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과 후방 사이로 연장된다.
제2실시예에서 탑승결합부(36)는 제12몸체부(33) 중간부위 양쪽에 제12몸체부(33)를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12몸체부(33)에 고정 결합되고, 탑승결합부(36)에는 일단과 타단을 관통한 구멍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안장프레임(61)은 일단이 제11몸체부(32)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타단을 전방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되고, 안장프레임(61)이 후방으로 펴져서 안장(62) 상부가 수평이 되면 안장프레임(61)은 더 이상 안 내려가게 구성된다. 즉 제11몸체부(32) 타단 하부에 양옆으로 돌출된 제1걸림턱(39)이 구비되고, 안장프레임(61)이 펴질 경우 안장프레임(61)은 제1걸림턱(39)에 걸림되어 더 이상 안 내려가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안장(62)은 안장프레임(61) 타단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안장프레임(61)과 같이 전방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탑승부(70)는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로 구성됨으로 탑승부(7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동스쿠터를 유모차로 사용할 경우, 안장부(60)는 전방으로 제끼고 탑승몸체부(71)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시켜는 동작에 의해 탑승몸체부(71) 일단이 제2륜(40) 쪽을 향하게 방향이 바뀜과 동시에 안장부(60) 쪽으로 이동됨으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있다.
제3실시예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제3실시예에서는 제1륜(20)이 2개로 구성되고 제2륜(40)은 1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탑승결합부가 구비 안 되고, 탑승프레임(72)이 제1몸체부(31)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연결부(13)에 중앙프레임(14)이 더 포함되고, 핸들몸체부(10)에 지지몸체(90)가 더 포함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핸들프레임(12)은 핸들(11) 중간 부위에서 제1륜(20) 중간 지점까지 연장되고, 하단이 연결부(13) 하방으로 조금 돌출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연결부(13)는 앞단이 핸들프레임(12) 중간과 하부에 외삽 결합되어 핸들프레임(12)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부(13) 상부에서 후방으로 조금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위는 제1몸체부(31)가 힌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연결부(13)에는 중앙프레임(1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앙프레임(14)은 연결부(13) 하부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3) 후면부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하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중앙프레임(14)은 상단에서 후방으로 조금 연장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끝단 부위는 발판부(80) 중간 부위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물론, 중앙프레임(14)이 구비 안 되고, 후술하는 제1지지프레임(91)과 제2지지프레임(92)이 연결부(13) 하부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조향봉이 제1지지프레임(91) 하방에 위치한 제1륜(20) 부위와 핸들프레임(12) 하단에 결합될 수도 있음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중앙프레임(14)으로 인해 제한되지 않해야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지지몸체(90)는 제1지지프레임(91), 제2지지프레임(92), 조향봉(94) 및 바퀴결합부(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2지지프레임(92)은 중간 부위가 중앙프레임(14) 중간 후면부에 결합되고, 양 측방으로 연장된 양 끝단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1지지프레임(91)은 중간 부위가 제2지지프레임(92)이 결합된 부위 수직 하방에 위치한 중앙프레임(14) 하단 후면부에 결합되고, 양 측방으로 연장된 양 끝단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바퀴결합부(93)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일단이 제1지지프레임(91)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며, 타단은 제2지지프레임(92)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핸들프레임(12)이 좌우로 기울어질 때 바퀴결합부(93)는 핸들프레임(12)과 같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구성되고, 제1지지프레임(91)과 제2지지프레임(92)은 핸들프레임(12)이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 상태로 유지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조향봉(94)은 일단이 핸들프레임(12)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좌우 어느 한쪽에 위치한 제1륜(20)에 결합되는 제1연결봉(95)과 양 끝단이 양쪽 제1륜(20)에 각각 결합되는 제2연결봉(9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핸들프레임(12)이 회전할 경우, 제1연결봉(95)과 제2연결봉(96)은 좌우로 이동하면서 제1륜(20)을 회전시켜 조향이 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1륜(20)은 양 바퀴결합부(93) 바깥쪽에 각각 결합되어 바퀴결합부(93)가 기울어질 때 제1륜(20)도 같이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앙프레임(14)과 지지몸체(90)는 이미 제품화된 기술이고 많이 응용되는 기술이라 중앙프레임(14)과 지지몸체(90)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간단히 언급만 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메인몸체부(30)는 일단이 연결부(13) 부위 중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뒷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제2륜(40) 상방까지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안장프레임(61)은 메인몸체부(30) 부위 중 절곡된 부위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안장(62)은 뒷단 부위가 안장프레임(61)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로 변신할 때에는 안장(62)을 후방으로 제낄수 있게 구성된다. 즉 안장(62)이 제끼질때 상기 안장(62)이 회전되는 회전 중심축은 스쿠터모드일 때 상기 안장(62) 가운데 지점에서 탑승부(70) 반대 방향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안장(62)을 후방으로 제끼는 동작에 의해 안장(62)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구성된다.
또한, 안장프레임(61) 상부 앞쪽에 제2걸림턱(64)이 구비된다, 그리고 안장(62)을 전방으로 제껴 안장(62) 상부가 수평이 되면, 안장(62)은 제2걸림턱(64)에 하부가 걸려 더 이상 안 내려가게 구성된다.
물론, 안장프레임이 구비 안 되고, 안장이 메인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안장을 제낄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안장부(6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시켜는 동작에 의해 안장부(6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도 12와 같이 안장결합부(35)는 메인몸체부(30) 부위 중 절곡된 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안장결합부(35) 상부에 하방으로 들어간 구멍이 구비되며, 안장결합부(35) 상부에 안장조절부(63)가 구비된다. 안장프레임(61)은 안장(62) 뒷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안장프레임(61) 하부를 안장결합부(3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켜 안장부(6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 안장(62) 위치가 탑승부(70)에서 멀어지게 구성된다.
즉,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일 때 안장(62) 가운데 지점은 상기 안장부(60) 회전 중심축에서 탑승부(70) 쪽에 위치하게 구성함으로써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때 안장부(60)가 탑승부(70)로부터 멀어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탑승결합부는 구비되지 않고, 탑승프레임(72)은 메인몸체부(30) 부위 중 안장부(60) 전방에 위치한 부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메인몸체부(30)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탑승프레임(72)에 상하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탑승프레임(72) 상단에는 탑승고정부(7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탑승몸체부(71)는 제1실시예와 같이 착석부(74)와 등받이(75) 및 안전밸트(76)로 구성된다.
탑승부(70)가 안장부(60) 전방에 위치할 경우,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때 탑승부(70)는 제1륜(20)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부(70)는 탑승몸체부(71) 뒷단 쪽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이 구비되고, 상기 축을 탑승프레임(72)에 끼움 결합시켜 탑승몸체부(71)는 축을 중심축으로 180도 회전함과 동시에 안장부(71)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2륜(40)은 1개로 구성되고 메인몸체부(30) 타단에 결합되어 핸들몸체부(10)와 메인몸체부(30)가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발판프레임(81)은 중간 부분이 중앙프레임(14) 부위 중 후방으로 연장된 끝단에 결합되고, 일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며 일단 양측에 발판이 결합된다. 그리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연장된 끝단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연장되며, 양측방으로 연장된 부위에 연결부재(83)가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연결부재(83) 일단은 발판프레임(81) 타단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연결부재(83) 타단은 연결부재(83) 일단 수직 하방에 위치한 제1지지프레임(91) 부위에 각각 결합된다.
연결부재(83)가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91) 부위는 연결부(13)에 결합된 제1지지프레임(91) 부위 양 측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연결부재(83) 타단은 상기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91)에 결합될 수 있지만 선행기술(특허 출원번호 10-2019-0017658)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제2지지프레임(92)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발판프레임(81) 타단과 제1지지프레임(91)을 연결부재(83)로 연결함으로써 향상된 효과와 기술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선행기술(특허 출원번호 10-2019-0017658)에 설명되어 있음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예로 구성될 경우, 제1륜(20)이 2개로 구성됨으로 유모차모드로 이동하면서 이동 방향을 바꾸거나 유모차모드로 코너를 이동할 때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보다 안전성이 더 좋아진다.
즉,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는 제1륜(20)이 한 개로 구성되어 있어 핸들(11)을 옆으로 밀면 전동스쿠터가 미는 방향 쪽으로 넘어지려고 하지만, 제3실시예에서는 제1륜(20)이 좌우에 결합되어 있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보다 더 안정적이다.
물론,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유모차모드로 이동시 모터로 이동하거나 방향을 바꿀때 미는 힘을 약하게 하고 이동하면 문제가 안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동스쿠터를 유모차로 사용할 경우에는 안장(62)을 후방으로 제낀 다음 탑승몸체부(7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시켜는 동작에 의해 탑승몸체부(71)를 안장부(60) 쪽으로 이동시켜면서 탑승몸체부(71) 일단이 제2륜(40) 쪽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핸들몸체부 11 : 핸들
12 : 핸들프레임 13 : 연결부
14 : 중앙프레임 20 : 제1륜
30 : 메인몸체부 31 : 제1몸체부
32 : 제11몸체부 33 : 제12몸체부
34 : 제2몸체부 35 : 안장결합부
36 : 탑승결합부 37 : 제1고정핀
38 : 제2고정핀 39 : 제1걸림턱
40 : 제2륜 50 : 결속부 51 : 외삽부 52 : 삽입부 53 : 결속핀 54 : 제1구멍 55 : 제2구멍 56 : 제3구멍 57 : 걸림홈 60 : 안장부 61 : 안장프레임 62 : 안장 63 : 안장조절부 64 : 제2걸림턱 70 : 탑승부 71 : 탑승몸체부 72 : 탑승프레임 73 : 탑승고정부 74 : 착석부 75 : 등받이 76 : 안전벨트 77 : 결합축
80 : 발판부 81 : 발판프레임 82 : 발판 83 : 연결부재 84 : 걸림고리 90 : 지지몸체 91 : 제1지지프레임 92 : 제2지지프레임 93 : 바퀴결합부 94 : 조향봉 95 : 제1연결봉 96 : 제2연결봉
p : 핸들몸체부 회전 중심축 q : 핸들몸체부 기울어지는 각도 r : 메인몸체부 기울어지는 각도 s : 메인몸체부가 변동된 각도
t : 탑승몸체부 회전 중심축 w : 탑승몸체부 중심
v : 절반 각도 x : 틸팅중심축
u : 지면에서 직각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

Claims (18)

  1.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핸들프레임 상단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프레임 중간 부위 또는 상기 핸들프레임 중간 부위와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몸체부;
    상기 핸들몸체부에 결합되는 제1륜;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몸체부;
    상기 메인몸체부 타단에 결합되는 제2륜;
    상기 메인몸체부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상기 메인몸체부 부위에 결합되는 탑승부:
    상기 연결부 뒷단과 상기 메인몸체부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핸들몸체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었을 때 상기 핸들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를 서로 결속시키는 결속부; 및
    메인몸체부 또는 핸들몸체부에 결합되는 발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핸들몸체부는 상기 제2륜 쪽으로 기울일 수 있게 구성되거나 제2륜 반대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안장부 전방에 위치한 상기 메인몸체부 부위 또는 상기 안장부 후방에 위치한 상기 메인몸체부 부위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승프레임과 상기 탑승프레임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승몸체부로 구성되고,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상기 탑승몸체부 회전 중심축은 상기 탑승몸체부 중심 부위에서 상기 안장부 쪽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 타단에 결합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륜은 상기 핸들프레임 하단에 1개가 결합되고,
    상기 제2륜은 상기 제2몸체부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핸들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는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몸체부는 좌우측으로 기울임되지 않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몸체부는 지지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연결부 하단에 가운데 부위가 결합되고 양 측방으로 연장된 양 끝단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부위 상방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 부위에 가운데 부위가 결합되고 양 측방으로 연장된 양 끝단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양 끝단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 양 끝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핸들프레임과 같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구성되는 바퀴결합부; 및
    상기 핸들프레임 밑단과 상기 제1륜을 연결하는 조향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륜은 상기 양 바퀴결합부 바깥쪽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메인몸체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과 후방 사이로 연장되며,
    상기 제2륜은 상기 메인몸체부 타단에 한 개가 결합되고,
    상기 발판부는 타단 또는 중간 부위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일단은 후방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상기 핸들몸체부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2륜 쪽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고,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에서 핸들몸체부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2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에서 상기 핸들 부위 중 손으로 잡는 부위는 상기 제1륜 후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에서 상기 핸들 부위 중 손으로 잡는 부위는 상기 핸들몸체부 회전 중심축 후방에 위치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에서 상기 제1륜 앞부위까지 길이보다 상기 결속부에서 상기 제2륜 뒷부위까지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유아를 태울수 있게 구성되거나 물건을 실을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는 탑승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탑승결합부는 상기 메인몸체부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하로 관통된 구멍 또는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탑승프레임은 상기 탑승결합부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유모차모드로 변신할때,
    상기 안장부는 상기 메인몸체부에서 분리되거나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탑승부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상기 안장 상부는 상기 탑승몸체부 하부보다 낮게 구성되고, 전동스쿠터가 유모차모드에서 상기 탑승몸체부는 상기 안장 상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는,
    상기 메인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안장 또는 상기 메인몸체부에 결합되는 안장프레임과 상기 안장프레임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안장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장은 상기 탑승부 반대 방향으로 제낄수 있게 구성되며,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상기 안장이 회전되는 회전 중심축은 상기 안장 가운데 지점에서 상기 탑승부 반대 방향에 위치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는 상기 메인몸체부에 결합되는 안장프레임과 상기 안장프레임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안장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장부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180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안장 가운데 지점은,
    스쿠터모드일때는 상기 안장부 회전 중심축에서 상기 탑승부 쪽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유모차모드일때는 상기 안장부 회전 중심축에서 상기 탑승부 반대쪽에 위치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 타단에 결합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1몸체부와 일단이 상기 제11몸체부 중간 또는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2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장부는 상기 제11몸체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타단을 전방으로 접을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제12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륜은 상기 제2몸체부 양측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핸들몸체부가 기울어지는 각도는,
    스쿠터모드와 유모차모드에서 서로 같게 구성되고 기울어진 방향만 서로 반대가 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탑승몸체부 회전 중심축은, 전동스쿠터가 스쿠터모드에서 유모차모드로 변신했을때 메인몸체부가 기울어진 각도 절반만큼 메인몸체부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타단 또는 중간 부위가 상기 제1몸체부에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제1륜 쪽으로 연장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1몸체부에 결합된 상기 발판부 부위에서 상기 발판부 일단까지 길이는 유모차모드에서 상기 발판부 일단이 상기 제1륜에 접촉 안 될 정도로 짧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타단 또는 중간 부위가 상기 제1몸체부에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제1륜 쪽으로 연장되게 구성되며,
    유모차모드에서는 상기 발판부 일단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발판부 일단이 상기 제1륜 상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KR1020190121377A 2019-10-01 2019-10-01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 KR20210039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377A KR20210039059A (ko) 2019-10-01 2019-10-01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377A KR20210039059A (ko) 2019-10-01 2019-10-01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059A true KR20210039059A (ko) 2021-04-09

Family

ID=7544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377A KR20210039059A (ko) 2019-10-01 2019-10-01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90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5406B1 (en) Collapsible stroller
EP3335965B1 (fr) Support convertible entre une position allongée et au moins une position assise pour poussette pour enfant, et poussette correspondante
CN1088666C (zh) 童车
EP0740542A1 (fr) Siege roulant pour le transport ou l'assistance au deplacement d'au moins un utilisateur, notamment d'une personne handicapee
EP2814721A1 (en) Urban vehicle
KR20120030621A (ko) 유모차
TWM565153U (zh) Baby carriage frame and stroller
WO1997047506A1 (fr) Cycle pour enfant
EP3468856B1 (fr) Dispositif d'assistance à la mobilité pour poussette ou chariot
KR20210039059A (ko) 유모차 겸용 전동스쿠터
EP3243492B1 (fr) Fauteuil roulant de verticalisation a trajectoire retro-verticalisante-descendante du repose-pieds
FR2822124A1 (fr) Garde-corps a bras escamotables pour chariot de manutention du type transpalette
CN210707576U (zh) 一种婴幼儿推车
JP6223834B2 (ja) 歩行器
CN112407013A (zh) 儿童推车
EP1878635B1 (fr) Poussette pour enfant à plusieurs positions d'utilisation.
FR2938813A1 (fr) Chassis pliant de poussette pour enfant, et poussette correspondante
CN111071331A (zh) 自动折叠并保持站立的儿童推车
GB2397558A (en) A powered vehicle for personal transport
KR20230107451A (ko) 이동카트 또는 유모차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역삼륜 전동스쿠터
KR20210004906A (ko) 유모차 또는 이동카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스쿠터
CN217892950U (zh) 儿童推车
CN212047538U (zh) 自动折叠并保持站立的儿童推车
CN212099031U (zh) 一种儿童推车折叠车架
KR20210025540A (ko) 유모차 또는 이동카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스쿠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