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161A - 탈취 및 제습 장치 - Google Patents

탈취 및 제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161A
KR20210038161A KR1020190120952A KR20190120952A KR20210038161A KR 20210038161 A KR20210038161 A KR 20210038161A KR 1020190120952 A KR1020190120952 A KR 1020190120952A KR 20190120952 A KR20190120952 A KR 20190120952A KR 20210038161 A KR20210038161 A KR 20210038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room
air
deodorization
dehumidification
de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정희문
오진영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8161A/ko
Priority to US17/060,044 priority patent/US20210093743A1/en
Publication of KR2021003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7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46Means for feeding or distribu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78Removing components of undefin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01D53/885Devices in general for catalytic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80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의 외측에 마련된 탈취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탈취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탈취기 및 상기 수납실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탈취 경로와 분리된 제습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제습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습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취 및 제습 장치{DEVICE FOR DEODORIZATION AND DEHUMIDIFICATION}
탈취 및 제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대한 살균, 탈취 및 제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탈취 및 제습 장치는 특정 공간의 탈취 및 제습을 수행한 후,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기존의 탈취 및 제습 장치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서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수납실과, 수용부의 일 측에 마련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대한 제습 및 탈취를 수행하는 제습 탈취부와, 수용부의 타 측에 마련되어 제습 및 탈취를 마친 공기를 방출시키는 방출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방출구를 통해 수용부의 제습 및 탈취를 수행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과정에서, 내부의 이취가 공기와 함께 배출되어 외부에도 이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취가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대상물에 대한 탈취와 제습을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수행하여, 탈취 및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탈취 및 제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의 외측에 마련된 탈취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탈취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탈취기 및 상기 수납실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탈취 경로와 분리된 제습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제습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습기를 포함한다.
상기 탈취기는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탈취된 공기가 상기 수납실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는,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는 제1 팬 및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냄새 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활성탄을 포함하여 상기 냄새 입자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활성탄 필터, 및 상기 냄새 입자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냄새 입자를 분해하여 제거하는 광촉매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는, 열을 제공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기는,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 유입구 및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습된 공기가 상기 수납실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기는, 상기 수납실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2 팬 및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대한 제습을 수행하는 히트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열판 및 방열판을 포함하여 상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대한 제습을 수행하는 열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수납실의 내부에서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탈취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을 거치하여, 상기 탈취된 공기가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제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유동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유동관에서 상기 거치대가 위치하는 바닥 부분에는, 상기 탈취된 공기가 상기 유동관을 따라 이동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배열되는 가이드부재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 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된 공기를 탈취한 후 상기 공기를 상기 수납실 내부로 제공하는 탈취모드를 수행하는 탈취기,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 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한 후 상기 공기를 수납실 내부로 제공하는 제습 모드를 수행하는 제습기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팬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탈취모드 및 상기 제습모드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대한 탈취를 수행하는 탈취기,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제습되도록 하는 제2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대한 제습을 수행하는 제습기 및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기 및 상기 제습기 각각으로부터 공기를 제공 받은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수납실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수납실 내에서 혼합되도록 가이드하는 혼합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는,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연장된 제1 관 및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 관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로 제공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기는, 상기 제2 유입구로부터 연장된 제2 관 및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2 관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수납실의 내부에서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하며 혼합되도록 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 상에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을 거치하여, 상기 혼합된 공기가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제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는,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탈취되어 상기 거치대의 내부로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의 탈취를 수행하는 탈취기 및 상기 수납실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제습되어 상기 거치대의 내부 혹은 외부로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대상물의 제습을 수행하는 제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는,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탈취된 공기가 상기 수납실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실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토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수납실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탈취된 공기가 상기 수납실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유동관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유동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개구된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동관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하단부를 통과하여 상기 상단부를 통해 상기 대상물의 내부를 향하여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습기는,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 유입구 및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습된 공기가 상기 수납실로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거치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제2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는, 이취가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에 대한 탈취와 제습을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수행하여, 탈취 및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
도 1b는 도 1a의 탈취 및 제습 장치가 탈취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를 도시한 모식도.
도 1c는 도 1의 탈취 및 제습 장치가 제습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를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탈취 및 제습 장치에서, 탈취 경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탈취 및 제습 장치에서, 제습 경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도 7의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9및 도 10은 도 7의 탈취 및 제습 장치에서,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 각각을 통해 공기가 탈취기 및 제습기 각각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탈취 및 제습 장치에서, 혼합된 공기가 유동관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탈취 및 제습 장치가 탈취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c는 도 1의 탈취 및 제습 장치가 제습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1)는, 수납실(100), 탈취기(200) 및 제습기(300)를 포함한다.
수납실(100)은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수납실(100)은 적어도 하나의 일 측면이 개방되도록 이루어져서 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수납실(100) 내부에는 대상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대상물의 살균을 수행하는 자외선 조사부(110)가 설치된다. 예컨대, 자외선 조사부(110)는 UV 램프나 LED 등을 비롯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다양한 발광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조사부(110)는 1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실(100) 내에서 필요로 하는 위치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탈취기(200) 및 제습기(300)는 각각, 수납실(100) 내부에 위치된 대상물의 탈취 및 제습을 수행하도록, 수납실(100)의 외측에 마련된다.
탈취기(200)는 수납실(1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를 탈취한 후 다시 수납실(100) 내부로 제공하여 수납실(100) 내부의 대상물에 대한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제습기(300)는 수납실(1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를 제습한 후 다시 수납실(100) 내부로 제공하여, 수납실(100) 내부의 대상물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1a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100)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탈취기(200)에서 탈취된 후 다시 수납실(100) 내부로 제공되는 형태로 계속하여 순환되며, 수납실(100) 내부의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제습기(300)에서 제습된 후 다시 수납실(100) 내부로 제공되는 형태로 계속하여 순환된다.
다시 말해, 수납실(100) 내부의 공기는 탈취기(200) 및 제습기(300) 내부의 탈취 경로(10) 및 제습 경로(20)를 따라 순환됨으로써, 탈취 및 제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수납실(100)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탈취 경로(10)를 따라 이동하며 탈취되고, 수납실(100) 내부의 공기 중 다른 일부는 탈취 경로(10)와 분리된 제습 경로(20)를 따라 이동하며 제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탈취기(200)는 수납실(100)과 연통되어 수납실(100)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 유입구(210) 및 수납실(100)과 연통되어 탈취된 공기가 다시 수납실(100)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1 토출구(220)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제1 유입구(210)를 통해 탈취기(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탈취된 후 제1 토출구(220)를 통해 수납실(100)의 내부로 제공된다.
또한, 탈취기(200)는 제1 팬(230), 필터부재(240), 히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230)은 탈취기(200)의 내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날개를 구비한다. 제1 팬(230)이 회전되는 경우, 수납실(100) 내부의 공기가 제1 유입구(210)를 통해 탈취기(200)의 내부로 흡입된다.
필터부재(240)는 탈취기(2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필터링을 수행한다. 수납실(100)의 공기는 수납실(100) 내부에 위치된 대상물에 포함된 냄새 입자와 함께 탈취기(200)의 내부로 이동되는데, 이 경우, 필터부재(240)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재(240)는 활성탄을 포함하여 냄새 입자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활성탄 필터(242), 냄새 입자에 광을 조사하여 냄새 입자를 분해하여 제거하는 광촉매 필터(2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터일 수 있다. 나아가, 필터부재(240)는 플라즈마를 이용하거나 음이온을 이용하여 냄새 입자를 분해 및 제거하는 필터일 수 있다.
히터(250)는 열을 제공하여 필터부재(240)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즉, 히터(250)는 냄새 입자가 제거된 공기에 열을 인가함으로써 탈취기(200) 내에서도 공기의 제습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a에서는 공기의 유입 방향을 따라 필터부재(240), 히터(250), 및 제1 팬(230)이 순서대로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터부재(240), 히터(250) 및 제1 팬(23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나아가, 제1 팬(230)은 탈취기(200)의 내부에 한 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위해 탈취 경로(10) 상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습기(300)는 수납실(100)과 연통되어 수납실(100)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 유입구(310) 및 수납실(100)과 연통되어 제습된 공기가 수납실(100)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2 토출구(320)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제2 유입구(310)를 통해 제습기(3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습된 후 제2 토출구(320)를 통해 수납실(100)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습기(300)는 제2 팬(330), 필터링 부재(340) 및 히트펌프(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330)은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며, 회전을 통해 수납실(100)의 공기를 제습기(30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필터링 부재(340)는 제2 팬(330)에 의해 제습기(3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한다.
필터링 부재(340)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되면, 히트펌프(350)는 필터링된 공기에 대한 제습을 수행한다. 히트펌프(350)는 냉매를 증발시켜 저온 저압의 냉매로 전환하는 증발기(355), 냉매에 대하여 압축기능을 하는 압축기(351), 압축기(35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353), 응축기(353)로부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압축기(351), 응축기(353), 팽창밸브, 증발기(355)는 공기의 열교환 동작에 따라 연결 파이프로 연결된다.
수납실(100) 내에서 대상물로부터 수분을 흡수한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에서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와 열교환하면서 제습되어 습기를 응축수(357)로 배출한다. 이 경우, 배출된 응축수(357)는 저장탱크(359)에 저장된다.
이 후, 응축수(357)를 배출한 공기는 응축기(353)에서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가온되어 수납실(100) 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공기는 계속하여 수납실(100)과 제습기(300)를 순환하며 대상물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1a에서는, 공기의 유입 방향을 따라 필터링 부재(340) 히트펌프(350) 및 팬이 순서대로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터링 부재(340), 히트펌프(350) 및 팬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나아가, 제2 팬(330)은 제습기(300)의 내부에 한 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위해 제습 경로(20) 상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취 및 제습 장치는 탈취기(200) 및 제습기(300)에서 탈취모드 및 제습모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탈취기(200) 내부에서 수행되는 탈취모드와 제습기(300) 내부에서 수행되는 제습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탈취 및 제습 장치가 제1 팬(230)만을 구동시키는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100) 내부의 공기가 탈취기(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입된 공기에 대한 탈취 동작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탈취 및 제습 장치가 제2 팬(330)만을 구동시키는 경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100) 내부의 공기가 제습기(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입된 공기에 대한 제습 동작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팬(230) 및 제2 팬(330)의 선택적인 구동을 위해 제어기(70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어기(700)는 제1 팬(230) 및 제2 팬(330)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공기에 대한 탈취 또는 제습이 수행되거나, 탈취 및 제습이 모두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탈취 및 제습 장치(2)는 제습기가 히트펌프(350) 대신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탈취 및 제습 장치(1)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의 탈취 및 제습 장치(2)에서, 제습기(300)는 공기의 제습을 위한 것으로 열전모듈(360)을 포함한다. 열전모듈(360)은 흡열판(361) 및 방열판(363)을 포함하여 제습기(3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대한 제습을 수행한다.
제습기(3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수납실(100) 내에서 대상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다습한 상태에서, 흡열판(361)을 통과하며 습기를 응축수(357)로 배출한다. 이 후, 공기는 방열판(363)을 통과하며 고온 상태가 되어 수납실 내로 공급되어 다시 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한다. 공기는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대상물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탈취 및 제습 장치에서, 탈취 경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탈취 및 제습 장치에서, 제습 경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탈취 및 제습 장치(3)는, 수납실(101), 탈취기(201) 및 제습기(301)를 포함한다.
수납실(101)은 일 측이 개폐될 수 있는 밀페된 공간으로 형성되나, 도면 상에는 전면 및 상면 커버를 제외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수납실(101)의 내부에는 거치대(400)가 마련되어, 대상물이 거치대(400)에 거치되어 탈취 및 제습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대상물은 신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수납실(101)은 신발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거치대(400)는 신발 각각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신발을 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실(101)의 외측에는 탈취기(201) 및 제습기(301)가 마련된다. 탈취기(201) 및 제습기(301)는 나란히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탈취기(201) 및 제습기(30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실(101)의 외측에 형성되기만 한다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탈취기(201)는 제1 유입구(211), 제1 관(280) 및 제1 토출구(221)를 포함한다.
제1 유입구(211)는 수납실(101)과 연통되어 수납실(101)의 공기가 탈취기(20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1 관(280)은 제1 흡입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1 팬(230), 필터부재(240) 및 히터(25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팬(230), 필터부재(240) 및 히터(250)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하여, 제1 팬(230)의 흡입력에 의해 수납실(101)의 공기가 탈취기(20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유입된 공기는 탈취기(201)의 제1 관(280)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필터부재(240)에 의해 함유된 냄새 입자가 제거되어 탈취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탈취된 공기는 제1 토출구(221)를 통해 다시 수납실(101)로 제공된다.
한편, 수납실(101)의 내부 바닥부에는 제1 토출구(221)와 연결되며 수납실(10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유동관(500)이 형성되며, 유동관(500) 상에는 거치대(400)가 유동관(500)과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그리하여 제1 토출구(221)를 통과한 탈취된 공기는 수납실(10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거치대(40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거치대(400)는 상단부(410) 및 하단부(420, 도 4 참조)가 개구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관(500)을 따라 이동하며 거치대(400)의 하단부(420)로 유입된 공기는 거치대(400)의 상단부(410)로 이동하여 거치대(400)에 거치된 대상물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대상물은 내부가 거치대(400)의 상단부(410)와 마주보도록 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거치대(400)의 상단부(410)를 통과한 공기는 대상물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대상물의 내부를 탈취할 수 있게 된다. 즉, 대상물이 신발인 경우, 신발은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부분에 개구부를 갖는데, 신발은 개구부가 거치대(400)의 상단부와 마주보도록 거치대(400)에 거치될 수 있다. 또는 거치대(400)의 상단부는 신발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거치대(400)를 통과한 공기는 개구부를 통해 신발의 내부로 깊숙이 유입되어 신발의 탈취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착용자의 쾌적한 신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거치대(40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거치대(400)에 대상물들이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동시에 여러 대상물들의 탈취 및 제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치대(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관(5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동관(500)에서 거치대(400)가 위치하는 바닥부분에는, 탈취된 공기가 유동관(500)을 따라 이동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배열되는 U자형의 가이드부재들(51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들(510)은 유동관(500)과 거치대(400)가 연통되는 부분에 마련되며, 공기의 제1 토출구(221)에서부터 유동관(500)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높이가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21)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관(500)을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부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거치대(4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 경우, 제1 토출구(221)를 통과한 공기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가이드부재(510)와 먼저 마주함으로써 계속하여 유동관(5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 거치대들(400) 각각의 내부로 균등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치대들(400) 각각에 거치된 대상물들의 탈취 및 제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습기(301)는 제2 유입구(311), 제2 관(380) 및 제2 토출구(321)를 포함한다.
제 2 유입구(311)는 수납실(101)과 연통되어 수납실(101) 내부의 공기가 제습기(30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제2 토출구(321)는 수납실(101)과 연통되어 제습된 공기가 다시 수납실(101) 내부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 때, 제2 유입구(311) 및 제2 토출구(321)는 제습기(301)와 수납실(101)이 연통되는 부분, 즉 수납실(101)의 일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380)은 제2 유입구(311) 및 제2 토출구(321)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 관(380)을 따라 이동되며 제습되어 제2 토출구(32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2 관(380)의 내부에는 앞서 설명한 제2 팬(330), 필터링 부재(340) 및 히트펌프(350)의 증발기와 응축기(또는 열전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가 제2 관(380)의 내부를 이동하며 제습이 수행될 수 있으며 제습된 공기는 다시 수납실(101)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2 유입구(311)가 제2 토출구(321) 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유입구(311)는 제2 토출구(321) 보다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토출구(321)는 수납실(101)의 일 측벽에 형성됨으로써 제2 토출구(321)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는 거치대(400)의 외부로 제공되어, 거치대(400)에 거치된 대상물의 외면의 제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대상물이 신발인 경우, 신발의 외피를 효과적으로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거치대(400)의 외부로 제공된 제습 공기는 거치대(400)에 거치된 대상물의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대상물의 내부에 대한 제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8은 도 7의 탈취 및 제습 장치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탈취 및 제습 장치에서,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 각각을 통해 공기가 탈취기 및 제습기 각각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7의 탈취 및 제습 장치에서, 혼합된 공기가 유동관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탈취 및 제습 장치(4)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납실(101)과, 수납실(101)의 외측에 형성되어 수납실(101)의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기(201)와, 수납실(101)의 외측에 형성되어 수납실(101)의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기(301)와, 탈취기(201) 및 제습기(301) 각각을 거친 공기를 수납실(101) 내부로 공급하는 혼합 가이드 부재(600)를 포함한다.
탈취기(201)는 수납실(101)과 연통되는 제1 유입구(211)와 제1 유입구(211)로부터 연장되는 제1 관(281)을 포함하고, 제습기(301)는 수납실(101)과 연통되는 제2 유입구(311)와 제2 유입구(311)로부터 연장되는 제2 관(381)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수납실(101)의 공기 중 일부는 제1 유입구(211)를 통해 제1 관(281)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1 관(281)에서 탈취되고, 수납실(101)의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제2 유입구(311)를 통해 제2 관(381)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2 관(381)에서 제습된다.
이 경우, 제1 관(281)은 제1 유입구(21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관(381)은 제2 유입구들(31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관들(281, 381) 각각의 하단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토출구들(222, 322) 각각이 마련된다.
제1 관(281)으로 유입되어 탈취된 공기는 제1 토출구(222)를 통과하여 탈취기(201)의 하부와 연결된 혼합 가이드 부재(600)로 공급되고, 제2 관(381)으로 유입되어 제습된 공기는 제2 토출구(322)를 통과하여 제습기(301)의 하부와 연결된 혼합 가이드 부재(600)로 공급된다.
이 경우, 혼합 가이드 부재(600)는 탈취기(201) 및 제습기(301)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가이드 부재(600)는 제1 팬(230)이 마련된 탈취기(201)의 하단 부위와 연결됨과 동시에, 제습기(301)의 하단부와 연결되도록 제습기(30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600)는 내부에 분리부재(610)를 마련하여, 상기 탈취기(201)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제습기(301)를 통과한 공기가 혼합되지 않고 각각이 상기 수납실(10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600)는 공기를 수납실(101)로 제공하기 위해, 수납실(101)과 연통되는 배출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취기(201)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제습기(30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배출구(602)를 통해 상기 수납실(101)의 내부로 제공되어, 상기 유동관(500) 내에서 혼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600)는 상기 탈취기(201)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제습기(30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유동관(500) 내에서 혼합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600)는 내부에 분리부재(610)를 제거하여 상기 탈취기(201)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제습기(30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600) 내에서 혼합되어 상기 유동관(500)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유동관(500) 내에서 탈취된 공기와 제습된 공기가 서로 혼합되어, 거치대(400)를 통해 대상물에 직접적으로 제공됨으로써, 대상물의 탈취 및 제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거치대(400)가 대상물의 내부에 삽입된 경우, 혼합된 공기가 대상물 내부로 제공될 수 있어, 대상물 내부에 대한 탈취 및 제습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및 제습 장치(5)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탈취 및 제습 장치(5)는 수납실(102), 기계실 공간(112), 탈취기(202) 및 제습기(302)를 포함한다.
수납실(102)은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수납실(102)은 적어도 하나의 일 측면이 개방되도록 이루어져서 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수납실(102) 내부에는 대상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대상물의 살균을 수행하는 자외선 조사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실(102)의 외 측에는 기계실 공간(112)이 형성되며, 기계실 공간(112)의 내부에는 탈취기(202) 및 제습기(302)가 위치된다.
이 경우, 기계실 공간(112)은 수납실(102)과 연통되는 제1 홀(710) 및 제2 홀(720)을 포함하며, 탈취기(202)는 제1 홀(710)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습기(302)는 제2 홀(720)과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12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실(102) 내부의 공기는 제1 홀(710)를 통해 기계실 공간(112)으로 유입되어 탈취기(202)를 통과하며 탈취된 후, 제습기(302)를 통과하며 제습된다. 이와 같이, 탈취 및 제습된 공기는 제2 홀(720)을 통과하여 다시 수납실(102) 내부로 제공됨으로써 수납실(102) 내부에 위치된 대상물에 대한 탈취 및 제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수납실(102) 내부의 공기는 수납실(102) 외측의 기계실 공간(112)에서 탈취기(202) 및 제습기(302)를 차례로 통과하며 탈취 및 제습이 차례로 이루어진 후, 다시 수납실(102) 내부로 제공된다.
다시 말해, 공기는 하나의 유로를 통해 수납실(102)과 기계실 공간(112)을 순환하며 수납실(102) 내부에 위치된 대상물에 대한 탈취 및 제습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탈취기(202)는 필터부재(240)를 포함하고, 제습기(302)는 히트펌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재(240) 및 히트펌프(3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기계실 공간(112)의 내부에는 공기가 계속하여 순환되도록 회전을 통해 공기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날개(751) 및 제2 날개(75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계실 공간(112)의 내부에는 제습기(302)를 통과한 공기에 열을 제공하여 공기의 습기를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히터(76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수납실 110 : 자외선 조사부
200 : 탈취기 210 : 제1 유입구
220 : 제1 토출구 230 : 제1 팬
240 : 필터부재 250 : 히터
300 : 제습기 310 : 제2 유입구
320 : 제2 토출구 330 : 제2 팬
340 : 필터링 부재 350 : 히트펌프
360 : 열전모듈

Claims (20)

  1.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의 외측에 마련된 탈취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탈취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탈취기; 및
    상기 수납실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탈취 경로와 분리된 제습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제습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습기를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기는,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탈취된 공기가 상기 수납실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기는,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는 제1 팬; 및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냄새 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활성탄을 포함하여 상기 냄새 입자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활성탄 필터, 및 상기 냄새 입자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냄새 입자를 분해하여 제거하는 광촉매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기는,
    열을 제공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는,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 유입구; 및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습된 공기가 상기 수납실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는,
    상기 수납실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2 팬; 및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대한 제습을 수행하는 히트펌프를 더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흡열판 및 방열판을 포함하여 상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대한 제습을 수행하는 열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수납실의 내부에서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탈취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을 거치하여, 상기 탈취된 공기가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제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유동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유동관에서 상기 거치대가 위치하는 바닥 부분에는, 상기 탈취된 공기가 상기 유동관을 따라 이동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배열되는 가이드부재들이 마련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12.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 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된 공기를 탈취한 후 상기 공기를 상기 수납실 내부로 제공하는 탈취모드를 수행하는 탈취기;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 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한 후 상기 공기를 수납실 내부로 제공하는 제습 모드를 수행하는 제습기;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팬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탈취모드 및 상기 제습모드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13.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대한 탈취를 수행하는 탈취기;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제습되도록 하는 제2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대한 제습을 수행하는 제습기; 및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기 및 상기 제습기 각각으로부터 공기를 제공 받은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수납실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수납실 내에서 혼합되도록 가이드하는 혼합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기는,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연장된 제1 관 및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 관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로 제공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기는,
    상기 제2 유입구로부터 연장된 제2 관 및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2 관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로 제공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수납실의 내부에서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혼합 가이드 부재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하며 혼합되도록 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 상에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을 거치하여, 상기 혼합된 공기가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제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16.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탈취되어 상기 거치대의 내부로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의 탈취를 수행하는 탈취기; 및
    상기 수납실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가 제습되어 상기 거치대의 내부 혹은 외부로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대상물의 제습을 수행하는 제습기를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기는,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탈취된 공기가 상기 수납실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토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수납실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탈취된 공기가 상기 수납실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유동관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유동관 상에 형성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개구된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동관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하단부를 통과하여 상기 상단부를 통해 상기 대상물의 내부를 향하여 제공되도록 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는,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실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 유입구; 및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습된 공기가 상기 수납실로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거치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탈취 및 제습 장치.
KR1020190120952A 2019-09-30 2019-09-30 탈취 및 제습 장치 KR20210038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952A KR20210038161A (ko) 2019-09-30 2019-09-30 탈취 및 제습 장치
US17/060,044 US20210093743A1 (en) 2019-09-30 2020-09-30 Deodorization and dehumidif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952A KR20210038161A (ko) 2019-09-30 2019-09-30 탈취 및 제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161A true KR20210038161A (ko) 2021-04-07

Family

ID=7516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952A KR20210038161A (ko) 2019-09-30 2019-09-30 탈취 및 제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093743A1 (ko)
KR (1) KR202100381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723A1 (ko) * 2021-06-02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00789U (ko) * 2021-10-14 2023-04-21 (주)더블스퀘어 탈취 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9892A (en) * 1993-06-04 1994-12-06 Dhaemers; Gregory L. Armoire
CA2526367A1 (en) * 2005-10-19 2007-04-19 Ozone Nation Inc. Ozone distribution system for sports equipment
EP3176311B1 (en) * 2007-08-03 2021-12-01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9669123B2 (en) * 2012-10-17 2017-06-06 Hantover, Inc. Deodorizing and sanitizing container
US11015284B2 (en) * 2018-10-09 2021-05-25 Alex Ignacio Cacho System for dry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723A1 (ko) * 2021-06-02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00789U (ko) * 2021-10-14 2023-04-21 (주)더블스퀘어 탈취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93743A1 (en)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5088B2 (ja) 脱臭装置
CN108139093B (zh) 湿度调节器
US20210401264A1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KR20210038161A (ko) 탈취 및 제습 장치
CN114652100B (zh) 鞋护理器
KR20200080058A (ko) 자동차 살균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자동차 살균 관리 방법
KR20110103641A (ko) 공기 청정기
KR101677092B1 (ko) 제습기
JP2006230681A (ja) 脱臭装置
JP2013155995A (ja) 加湿装置
KR102286887B1 (ko) 제습기
EP4023137B1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0433929B1 (ko) 위생신발장
KR20150103909A (ko) 공기조화장치
KR101534170B1 (ko) 제습기
KR102662599B1 (ko) 신발 관리기
US11889917B2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KR102565990B1 (ko) 천장형 공기처리장치
KR102565984B1 (ko) 천장형 공기처리장치
CN115191907A (zh) 鞋护理器
US20240115110A1 (en) Shoes care device
US20240148231A1 (en) Shoes care device
KR20220128743A (ko)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KR20220138067A (ko)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42895B1 (ko)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