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743A -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743A
KR20220128743A KR1020210033244A KR20210033244A KR20220128743A KR 20220128743 A KR20220128743 A KR 20220128743A KR 1020210033244 A KR1020210033244 A KR 1020210033244A KR 20210033244 A KR20210033244 A KR 20210033244A KR 20220128743 A KR20220128743 A KR 20220128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ace
suction
dischar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엽
이상윤
육지민
유현선
김융희
황인용
김현주
김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8743A/ko
Publication of KR2022012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덕트가 연결되고, 공기처리 모듈이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제1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1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거나,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1흡토출 모듈; 및 제2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2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거나, 상기 제2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2흡토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처리 모듈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1팬 모듈;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제2팬 모듈; 상기 제1팬 모듈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제2팬 모듈로부터 토출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동 공간부; 상기 유동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제1유동 조절부; 및 상기 제1팬 모듈로부터 토출하는 공기가 상기 배출 덕트와 상기 제2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제2유동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Air handling apparatus for bathroom}
본 발명은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등 실내 공간에서 발생되는 악취, 오염공기, 습기 등은 창문을 열어 공기를 환기하거나, 실내 공간에 미리 설치된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대다수의 환기장치는 주택의 실내 공간 중 욕실에 설치된다. 욕실에는 목욕실과 화장실에 포함되는데, 목욕실와 화장실 공간의 특성 상 악취, 오염공기, 습기 등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번호 10-1339929호에는, 하나의 구멍으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가능한 환풍기가 개시된다.
상기 환풍기의 경우에, 하나의 구멍으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가능하지만, 흡입과 토출이 함께 수행되는 하나의 구멍과 환풍기의 내부가 다양한 오염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습기 등에 환풍기가 노출되어 환풍기의 수명을 단축하고, 오작동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욕실이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하나 이상의 실내 공간 내에 공기를 유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또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필요성도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된 공간의 공기 환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염을 최소화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습기에 의해 본체의 내부에 물방울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본체와 연결되며 제1공간에 배치되는 제1흡토출 모듈과,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제2공간에 배치되는 제2흡토출 모듈을 포함하여, 서로 분리된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거나 흡입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회전에 의해 제1흡토출 모듈에서 본체로 공기가 흡입되거나 본체에서 제1흡토출 모듈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제2흡토출 모듈에서 본체로 공기가 흡입되거나 본체에서 제2흡토출 모듈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제1유동 조절부를 포함하여, 제1흡토출 모듈 또는 제2흡토출 모듈을 동작을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1팬 모듈과 공기의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제2팬 모듈을 포함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하는 공기의 유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제1팬 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 덕트로 유동되도록 하거나, 제2팬 모듈을 향해 유동되도록 하는 제2유동 조절부를 포함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공기가 내부 순환되도록 하는 동작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제1팬 모듈에서 제2팬 모듈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 하기 위한 유동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에는 필터부가 더 포함되어, 제2팬 모듈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제거 모듈을 포함하여,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공기를 살균하거나 여과하여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제1유동 조절부와 제2유동 조절부가 회전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여,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방음 부재를 포함하여 제1팬 모듈과 제2팬 모듈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본체와 제1흡토출 모듈을 연결하는 제1덕트부와, 본체와 제2흡토출 모듈을 연결하는 제2덕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흡토출 모듈과 상기 제2흡토출 모듈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제1덕트부와 제2덕트부의 내부 공간을 흡입 공간과 토출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하는 공기가 구분된 상태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는, 구획부에 살균 모듈을 포함하여, 제1덕트부와 제2덕트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제1덕트부와 제2덕트부의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구분된 공간의 공기 환경 상태를 손쉽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력과 토출력을 각각 발생시키기에 공기의 환경 상태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할 수 있기에 장치의 내부에 발생되는 물방울이 최소화되고, 장치의 내부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본체를 이용하여 서로 이격된 두 공간에 설치 가능하기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덕트부, 제2덕트부, 및 배출 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 유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처리 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처리 모듈의 분해도.
도 7은 본 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유동 조절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단방향 배기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양방향 배기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내부 순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토출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주택 내에서 하나 이상의 실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하나 이상의 실내 공간에서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실내 공간에는 욕실(Bathroom)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욕실에는 목욕실과 화장실이 함께 구비되어 있거나, 상기 목욕실과 화장실이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목욕실과 화장실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욕실은 목욕실을 형성하는 실내 공간과, 화장실을 형성하는 실내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실내 공간에는 주택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방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욕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욕실은 목욕실을 형성하는 제1공간(S1)과 화장실을 형성하는 제2공간(S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주택 내에서 서로 구분되어 있는 제1욕실과 제2욕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욕실과 제2욕실 각각에는 목욕실과 화장실이 함께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본체(10)와, 제1공간(S1)에 설치되는 제1흡토출 모듈(40)와, 제2공간(S2)에 설치되는 제2흡토출 모듈(50)와, 상기 본체(10)와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를 연결하는 제1덕트부(60)와, 상기 본체(10)와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를 연결하는 제2덕트부(70)와, 상기 본체(10)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덕트(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에는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와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를 포함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추가 흡토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에는 둘 이상의 흡토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의 일부는 상기 제1공간(S1)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공간(S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의 일부는 상기 제2공간(S2)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2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1) 및 상기 제2공간(S2)의 공기는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 및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의 일부에 의해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로 흡입 또는 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내부 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공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제1덕트부(60)가 연결되기 위한 제1덕트 개구(101)와, 상기 제2덕트부(70)가 연결되기 위한 제2덕트 개구(102)와, 상기 배출 덕트(80)가 연결되기 위한 제3덕트 개구(1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처리하기 위한 필터부(90)를 설치하기 위한 위한 필터 개구(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개구(101)와 상기 제2덕트 개구(102)는 상기 본체(10)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 개구(101)와 상기 제2덕트 개구(102)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 개구(103)와 상기 필터 개구(104)는 상기 본체(10)의 상측벽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들은 상기 본체(10)의 하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3덕트 개구(103)와 상기 필터 개구(104)는 상기 제1덕트 개구(101)와 상기 제2덕트 개구(102)보다 큰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의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배출 덕트(80)와 상기 필터부(9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 후 재결합 시 재결합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과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은 상기 본체(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과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이 배치되는 위치에 의해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에서 처리할 수 있는 공기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과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이 서로 다른 공간에 위치하기에, 서로 다른 두 공간의 공기를 이용하여 두 공간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0)와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은 제1덕트부(6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은 제2덕트부(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은 제1흡토출 모듈 몸체(41)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토출부(45)와, 상기 제1덕트부(60)에 고정되는 제1결합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은 제2흡토출 모듈 몸체(51)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흡토출부(55)와, 상기 제2덕트부(70)에 고정되는 제2결합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토출 모듈 몸체(41)와, 상기 제2흡토출 모듈 몸체(51)와, 상기 제1결합부(43)와, 상기 제2결합부(53)는 실내 공간의 천장 내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흡토출부(45)와 상기 제2흡토출부(55)는 상기 천장을 관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흡토출 모듈 몸체(41)와 상기 제2흡토출 모듈 몸체(51)에는 상기 제1흡토출부(45)와 상기 제2흡토출부(55)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 또는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토출부(45)와 상기 제2흡토출부(55)는 상기 제1흡토출 모듈 몸체(41)와 상기 제2흡토출 모듈 몸체(51)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43)와 상기 제2결합부(53)는 상기 제1흡토출 모듈 몸체(41)와 상기 제2흡토출 모듈 몸체(51)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흡토출부(45)와 상기 제2흡토출부(55)는 상기 제1흡토출 모듈 몸체(41)와 상기 제2흡토출 모듈 몸체(5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흡토출부(45)와 상기 제2흡토출부(55)는 상기 제1흡토출 모듈 몸체(41)와 상기 제2흡토출 모듈 몸체(51)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흡토출부(45)와 상기 제2흡토출부(55)는 상기 제2흡토출 모듈 몸체(51)와 상기 제2흡토출 모듈 몸체(5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흡토출부(45)와 상기 제2흡토출부(55)는 제1공간 및 제2공간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흡토출부(45)와 상기 제2흡토출부(55)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팬 모듈에 동작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흡토출부(45)와 상기 제2흡토출부(55)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모듈을 더 구비하여, 보다 빠르게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부(60)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덕트부(60)는 주름관, 파이프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부(60)는 상기 제1결합부(43)가 고정되는 제1흡토출 모듈 고정부(62)와, 상기 제1덕트 개구(101)에 고정되는 제1덕트 고정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부(60)는 제1구획부(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부(65)는 상기 제1덕트부(60)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로를 구획하여 복수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부(65)에 의해 상기 제1덕트부(60)는 제1흡입 유로(601)와 제1토출 유로(602)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부(65)에는 제1램프 모듈(6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램프 모듈(651)에는 살균 램프, 적외선 램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램프 모듈(651)에 의해 상기 제1덕트부(60)의 내부가 살균 또는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제1램프 모듈(651)은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살균 램프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살균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부(70)는 상기 제1덕트부(6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덕트부(6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즉, 상기 제2덕트부(70)는 제2흡토출 모듈 고정부(72), 제2덕트 고정부(71), 제2구획부(75), 제2램프 모듈(751), 제2흡입 유로(701), 제2토출 유로(702)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 덕트(80)는 상기 본체(10)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배출 덕트(80)는 배출덕트 고정부(12, 도 6 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 고정부(12)는 상기 본체(10)의 제3덕트 개구(10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 고정부(12)는 상부 고정부(121)과 하부 고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121)와 상기 하부 고정부(12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며, 내부에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121)에는 배출덕트 삽입부(1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 삽입부(125)에는 상기 배출 덕트(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부(122)에는 조절부 삽입구(12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 삽입구(126)에는 제2유동 조절부(23)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덕트부(60) 및 상기 제2덕트부(70)를 통과하거나 통과하기 위한 공기가 수용되는 유동 공간부(15)와,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내부에 위치하여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제1유동 조절부(16)와, 상기 유동 공간부(15)로 유입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1팬 모듈(22) 및 제2팬 모듈(30)과, 상기 제1팬 모듈(22)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2팬 모듈(30) 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유동 가이드부(25)와, 상기 제1팬 모듈(22)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제2유동 조절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은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방음 부재(35)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음 부재(35)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음 부재(35)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음 부재(35)는 빈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방음 부재(35)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제1팬 모듈(22)의 양측 사이, 상기 본체(10)와 상기 제2팬 모듈(30)의 양측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음 부재(35)는 상기 제1팬 모듈(22)과 상기 제2팬 모듈(3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방음 부재(35)가 제공되기에, 상기 제1팬 모듈(22) 및 상기 제2팬 모듈(30)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90)는 상기 본체(10)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에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거나, 공기를 살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90)는 위에서 언급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부(90)는 습기 제거를 위한 습기제거 필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헤파 필터, 광촉매를 이용하여 공기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광촉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90)는 필터 고정부(13)에 형성되는 필터 삽입구(135)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고정부(13)는 상기 본체(10)의 필터 개구(10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90)는 상기 필터 고정부(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고정부(13)가 상기 본체(10)의 필터 개구(104)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90)가 상기 필터 고정부(13)의 필터 삽입구(135)에 삽입될 경우에, 상기 필터부(90)는 후술할 유동 가이드부(2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삽입구(135)와, 상기 필터부(90)와, 후술할 유동 가이드부(25)의 제2수용부(255, 도 6 참조)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90)는 상기 필터 삽입구(135)를 통과한 후 상기 제2수용부(255)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22)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25)의 내부에 수용된 필터부(90)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2팬 모듈(3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덕트부, 제2덕트부, 및 배출 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 유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제1공간에 배치된 제1흡토출 모듈(40)과 제2공간에 배치된 제2흡토출 모듈(50)을 이용하여 제1공간 또는 제2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제1공간 또는 제2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공기를 상기 본체(10)로 흡입하는 경우에,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덕트부(60)의 제1흡입 유로(601)를 통과하고,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2덕트부(70)의 제2흡입 유로(701)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부(60)와 상기 제2덕트부(7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된 유동 공간부(15)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상기 제1흡입 유로(601)와 상기 제2흡입 유로(701)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배출 덕트(80)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제1흡토출 모듈(40)과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른 하나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공기를 상기 본체(10)로부터 토출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1덕트부(60)의 제1토출 유로(602) 또는 상기 제2덕트부(70)의 제2토출 유로(702)를 통과한 후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 또는 제2흡토출 모듈(50)을 통해 제1공간 또는 제2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공간과 제2공간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다른 하나로 공기를 토출하여 제1공간과 제2공간 내 공기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은 공기처리 모듈이라 이름하며, 아래에서는 상기 공기처리 모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처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처리 모듈의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유동 조절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처리 모듈은 유동 공간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공간부(15)는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부(60)와 상기 제2덕트부(70)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유동 공간부(15)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공간부(15)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유동 공간부(15)는 제1연결부(19)가 삽입되는 제1개구(151)와, 제2연결부(20)가 삽입되는 제2개구(152)와, 제1팬 모듈(22)과 연결되는 제3개구(153)와, 제2팬 모듈(30)과 연결되는 제4개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9)는 상기 유동 공간부(15)와 상기 제1덕트부(6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제2연결부(20)는 상기 유동 공간부(15)와 상기 제2덕트부(7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연결부(19)와 상기 제2연결부(2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151)와 상기 제2개구(152)는 서로 마주하는 유동 공간부(15)의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3개구(153)와 상기 제4개구(154)는 서로 마주하는 유동 공간부(15)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개구(151)와 상기 제2개구(152)가 유동 공간부(15)의 전후 측벽에 배치되면, 상기 제3개구(153)와 상기 제4개구(154)는 좌우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 모듈은 제1유동 조절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상기 유동 공간부(1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상기 제1개구(151)와 상기 제2개구(1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에 의해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과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로 공기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공간 구획부(161,162,163)와, 유로 개폐부(165,167)와, 모터(17A,1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구획부(161,162,163)는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내부 공간을 흡입 공간과 토출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공간 구획부(161,162,163)는 제1공간 구획부(161), 제2공간 구획부(162), 제3공간 구획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 구획부(161)는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 구획부(161)는 상기 제1개구(151)로부터 상기 제2개구(15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내부 공간을 흡입 공간과 토출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 구획부(161)에는 상기 모터(17A,17B)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개폐부(165,167)는 상기 모터(17A,17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개폐부(165,167)는 상기 모터(17A,17B)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공간 구획부(16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개폐부(165,167)는 상기 제1공간 구획부(16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유로 개폐부(165)와 상기 제1공간 구획부(161)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유로 개폐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개폐부(165)와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는 상기 제1공간 구획부(161)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밀착 접촉되어 공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개폐부(165)와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는 동일한 가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 구획부(162)는 상기 제1연결부(19)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 구획부(162)는 상기 제1연결부(19)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연결부(19)의 내부를 흡입 공간과 토출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 구획부(16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덕트부(60)의 제1구획부(65)와 접촉되고, 상기 제2공간 구획부(162)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1유로 개폐부(165)에 밀착 접촉되어 공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3공간 구획부(163)는 상기 제2연결부(2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공간 구획부(163)는 상기 제2연결부(20)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2연결부(20)의 내부를 흡입 공간과 토출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3공간 구획부(163)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덕트부(70)의 제2구획부(75)와 접촉되고, 상기 제3공간 구획부(163)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에 밀착 접촉되어 공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모터(17A,17B)는 상기 제1유로 개폐부(165)에 연결되는 제1모터(17A)와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에 연결되는 제2모터(1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17A)와 상기 제2모터(17B)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유로 개폐부(165)와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유로 개폐부(165)와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에 의해 흡입 유로 및 토출 유로의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에는 일 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 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열전 소자(1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169)는 상기 제1공간 구획부(161)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유로와 상기 토출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169)는 일면이 상기 흡입 유로 측으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토출 유로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169)는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발열면과 흡열면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유로 측을 발열면으로 제공하면, 상기 토출 유로 측은 흡열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169)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열전 소자(169)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빠르게 확산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의 (A)에 팬이 제공되는 열전 소자(169)의 전면이 개시되고, 도 6의 (B)는 상기 열전 소자(169)의 배면이 개시된다.
상기 공기처리 모듈은 제1연결부(19)와 제2연결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9)는 상기 유동 공간부(15)와 상기 본체(10)의 제1덕트 개구(10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0)는 상기 유동 공간부(15)와 상기 본체(10)의 제2덕트 개구(10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9)는 상기 제1덕트 개구(101)에 삽입되며 상기 제1덕트부(60)에 연결되는 제1연통홀(191)과,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제1개구(151)에 고정되는 제1연결 고정부(195)와, 상기 제2공간 구획부(162)를 고정하면서 상기 제1유로 개폐부(165)의 회전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1결합 가이드(1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 가이드(193)는 상기 제1연결부(19)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9)는 상기 제1연통홀(191)로부터 상기 제1연결 고정부(195)를 향하는 방향으로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 고정부(195)에는 상기 제1공간 구획부(161)의 단부가 삽입되는 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0)는 상기 본체(10)의 제2덕트 개구(102)에 삽입되며 상기 제2덕트부(70)에 연결되는 제2연통홀(201)과,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제2개구(152)에 고정되는 제2연결 고정부(205)와, 상기 제3공간 구획부(163)를 고정하면서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의 회전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2결합 가이드(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 가이드(203)는 상기 제2연결부(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0)는 상기 제2연통홀(201)로부터 상기 제2연결 고정부(205)를 향하는 방향으로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 고정부(205)에는 상기 제2공간 구획부(162)의 단부가 삽입되는 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 가이드(203)는 상기 제2연결부(20)의 내부 공간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0)는 반원으로 형성되는 제2유로 개폐부(167)에 대응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 가이드(203)는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2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결부(20)의 내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 가이드(203)에 반원 형상의 개구를 가지는데, 상기 개구는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의 회전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반원 형상의 개구 중 일부에 흡입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반원 형상의 개구 중 나머지 일부에 토출 유로가 형성되어 있기에,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의 회전에 의해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가 함께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 가이드(193)는 상기 제2결합 가이드(203)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기에, 본 설명이 상기 제1결합 가이드(193)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 모듈은 습기제거 모듈(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기제거 모듈(21)은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제3개구(153)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습기제거 모듈(21)은 상기 흡입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1팬 모듈(22)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습기제거 모듈(21)은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건조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습기제거 모듈(21)은 열을 가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습기제거 모듈(21)은 상기 유동 공간부(15)에 지지되는 모듈 지지부(211)와, 상기 모듈 지지부(211)에 형성된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습기제거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습기제거부(213)는 제습재와, 습기를 머금은 제습재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습기제거 모듈(21)은 모듈 지지부(211)에 상기 습기제거부(213)가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습기제거 모듈(21)이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제3개구(153)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처리 모듈은 제1팬 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22)은 팬과, 팬 모터와, 상기 팬과 상기 팬 모터가 수용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22)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은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구(221)와, 공기가 토출되는 제1토출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221)는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제3개구(15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구(222)는 후술할 제2유동 조절부(23)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 모듈은 제2유동 조절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는 상기 제1팬 모듈(22)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는 공급받은 공기가 상기 배출 덕트(80) 측으로 유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팬 모듈(30) 측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의 동작에 의해 외부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실내 공간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는 조절부 몸체(231)와, 조절 모터(237)와, 개폐 조절부(2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 몸체(231)의 일부는 상기 배출덕트 고정부(12)의 조절부 삽입구(126)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 몸체(231)의 다른 일부는 후술할 유동 가이드부(2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 몸체(231)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내부의 공간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부 몸체(23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 몸체(231)는 유입구(232)와, 제1유출구(233)와, 제2유출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32)는 상기 제1팬 모듈(22)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로, 상기 제1팬 모듈(22)의 제1토출구(222)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32)는 상기 조절부 몸체(231)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출구(233)는 상기 배출덕트 고정부(12)에 의해 상기 배출 덕트(8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출구(233)는 상기 조절부 몸체(23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유출구(233)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출구(233)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개폐 조절부(239)가 상기 조절부 몸체(231) 내에서 회전 시 상기 제1유출구(233)가 상기 개폐 조절부(239)의 회전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유출구(234)는 후술할 유동 가이드부(25)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5)는 상기 제2유출구(234)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2팬 모듈(30) 측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출구(234)는 상기 조절부 몸체(23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출구(234)는 상기 조절부 몸체(231)의 일부가 상기 유동 가이드부(25)의 내부에 삽입되기에, 상기 유동 가이드부(25)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출구(234)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25)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개폐 조절부(239)가 상기 조절부 몸체(231) 내에서 회전 시 상기 제2유출구(234)가 상기 개폐 조절부(239)의 회전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조절 모터(237)는 상기 조절부 몸체(231)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조절부(239)는 상기 조절부 몸체(23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모터(237)의 회전축은 상기 조절부 몸체(231)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 조절부(23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 몸체(231)의 상면과 상기 조절 모터(237) 사이에는 진동 감소를 위한 댐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조절부(239)는 상기 조절부 몸체(231)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 조절부(239)는 원통으로 형성되는 조절부 몸체(23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모터(237)는 상기 개폐 조절부(239)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 덕트(80)를 향하거나, 상기 제2팬 모듈(30)을 향하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개폐 조절부(239)가 회전하여 상기 제1유출구(233)를 폐쇄 시 상기 제2유출구(234)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출구(234)를 폐쇄 시 상기 제1유출구(233)는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유출구(233)와 상기 제2유출구(234)가 함께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기처리 모듈은 유동 가이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5)의 내부에는 유동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5)는 상기 제1팬 모듈(22)과 후술할 제2팬 모듈(3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5)는 상기 제1팬 모듈(2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제2팬 모듈(30)을 향해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5)는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를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부(253)와, 상기 필터부(90)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부(255)와, 상기 제1수용부(253)와 상기 제2수용부(255)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253)와 상기 제2수용부(255)와 상기 가이드 덕트(251)의 내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253)에는 제2유동 조절부(23)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개구가 상기 제1수용부(253)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55)에는 상기 필터부(9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개구가 상기 제2수용부(255)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55)의 하면에는 상기 제2팬 모듈(30)의 제2흡입구(301)와의 연통을 위한 연통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5)는 상기 제1수용부(253)로부터 상기 제2수용부(255)를 향해 유동 공간이 점점 커지도록 상기 가이드 덕트(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253)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 덕트(251)를 통과한 후 상기 제2수용부(255)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55)에는 상기 필터부(90)가 수용되기에, 상기 가이드 덕트(251)로부터 상기 제2수용부(255)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필터부(9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55)는 상기 제2팬 모듈(3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팬 모듈(30)의 제2흡입구(301)는 상기 필터부(9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필터부(90)는 상기 연통 개구를 통과한 후 상기 제2흡입구(30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공기는 상기 필터부(90)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2팬 모듈(30)의 제2흡입구(301)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55)는 살균모듈 설치부(2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 설치부(259)는 살균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제2수용부(255) 내부에 수용된 필터부(90)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은 살균 광을 조사하는 살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살균모듈 설치부(259)는 상기 제2수용부(255)의 측벽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살균 모듈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 모듈이 상기 제2수용부(255)의 측벽 내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모듈 설치부(259)는 상기 필터부(90)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2수용부(255)의 측벽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 모듈은 제2팬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팬 모듈(30)은 팬과, 팬 모터와, 상기 팬과 상기 팬 모터가 수용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팬 모듈(30)은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은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구(301)와, 공기가 토출되는 제2토출구(3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301)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25)의 제2수용부(255)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구(302)는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제4개구(154)와 연통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기의 유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 8은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단면도를 이용하고, 도 9는 도 5의 공기처리 모듈의 정면도를 이용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팬 모듈(22)이 동작 시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 및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22)이 동작되면,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제1유로 개폐부(165) 및 제2유로 개폐부(167)를 조절하여,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 및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의 모터(17A,17B)가 상기 제1유로 개폐부(165)와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의 회전을 조절하여 제1덕트부(60)의 제1흡입 유로(601)와 상기 제2덕트부(70)의 제2흡입 유로(701)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흡입 유로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공간부(15)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팬 모듈(22)을 통과한 후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는 상기 개폐 조절부(239)를 조절하여, 상기 제1팬 모듈(2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 덕트(80)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팬 모듈(30)을 향해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의 조절 모터(237)가 상기 개폐 조절부(239)의 회전을 조절하여 상기 배출 덕트(80)와 상기 유동 가이드부(25)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1팬 모듈(22)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가 상기 유동 가이드부(25)로 상기 제1팬 모듈(22)을 통과한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25)를 통과한 후 상기 제2팬 모듈(30)로 공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1수용부(253)와 상기 가이드 덕트(251)와 상기 제2수용부(255)를 통과한 후 상기 제2팬 모듈(3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55)로부터 상기 제2팬 모듈(30)을 향해 공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는 상기 필터부(9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9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팬 모듈(30)을 통과한 후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토출 유로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상기 제1유로 개폐부(165) 및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를 조절하여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 및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의 모터(17A,17B)가 상기 제1유로 개폐부(165)와 상기 제2유로 개폐부(167)의 회전을 조절하여 제1덕트부(60)의 제1토출 유로(602)와 상기 제2덕트부(70)의 제2토출 유로(702)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토출 유로를 연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상기 제1덕트부(60)의 제1흡입 유로(601)와 상기 제2덕트부(70)의 제2흡입 유로(70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흡입 유로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상기 제1덕트부(60)의 제1토출 유로(602)와 상기 제2덕트부(70)의 제2토출 유로(702) 중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흡입 유로와 연통되지 않은 덕트부의 토출 유로와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토출 유로를 연통하거나, 토출 유로가 서로가 연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토출 모듈에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가 함께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흡토출 모듈의 흡입 유로와 덕트부의 흡입 유로가 연통되고, 흡토출 모듈의 토출 유로와 덕트부의 토출 유로가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상기 제1덕트부(60)의 제1흡입 유로(601)와 상기 제2덕트부(70)의 제2흡입 유로(70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흡입 유로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상기 제1덕트부(60)의 제1토출 유로(602)와 상기 제2덕트부(70)의 제2토출 유로(702)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유동 공간부(15)의 토출 유로가 연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엔, 상기 하나의 흡토출 모듈이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면서 공기처리 모듈에 의해 처리된 공기를 토출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단방향 배기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단방향 배기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다수의 흡토출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토출 모듈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흡토출 모듈(40)로 공기를 흡입하고, 제2흡토출 모듈(50)로 공기를 미 흡입하는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제1팬 모듈(22)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22)이 작동하게 되면, 제1유동 조절부(16)는 다수의 흡토출 모듈 중 제1흡토출 모듈(4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제1유로 개폐부(165)를 이용하여 제1흡토출 모듈(40)과 연결된 제1덕트부(60)의 흡입 유로와 유동 공간부(15)를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공기를 미 흡입하는 제2유로 개폐부(167)를 이용하여 제2흡토출 모듈(50)과 연결된 제2덕트부(70)의 흡입 유로와 유동 공간부(15)가 미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팬 모듈(22)이 작동하게 되면, 제2유동 조절부(23)는 단방향 작동 모드를 인지하여, 상기 제1팬 모듈(2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배출 덕트(80)를 향해 유동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는 개폐 조절부(239)를 작동하여 상기 배출 덕트(80)와 연통된 제1유출구(233)를 개방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25)의 제1수용부(253)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유출구(233)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개폐 조절부(239)의 작동으로 상기 유동 가이드부(25)의 가이드 덕트(251) 및 제2수용부(255)를 향해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출구(234)는 폐쇄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개폐 조절부(239)의 작동으로 제2유출구(234)가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1유출구(233)는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유출구(233)와 상기 제2유출구(234)가 상기 개폐 조절부(239)의 작동에 의해 함께 일부 개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엔, 상기 제1팬 모듈(2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배출 덕트(80)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고, 상기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25)를 통과한 후 제2팬 모듈(30)을 통해서 실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22)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실내 공간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높은 습도를 가지는 경우엔, 습기제거 모듈(21)을 작동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감소시켜서 흡입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에 물방울이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양방향 배기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양방향 배기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다수의 흡토출 모듈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흡토출 모듈(40) 및 제2흡토출 모듈(50)로 공기를 흡입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유동 조절부(16)는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과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제1덕트부(60)의 제1흡입 유로(601)와 제2덕트부(70)의 제2흡입 유로(701)가 유동 공간부(15)의 흡입 유로와 연통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의 제1 및 제2유로 개폐부(165,167)은 제1흡입 유로(601) 및 제2흡입 유로(701)를 개방하고, 제1토출 유로(602) 및 제2토출 유로(702)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 유로(601) 및 상기 제2흡입 유로(7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팬 모듈(22)에 의해 상기 유동 공간부(15)를 통과할 수 있다.
제2유동 조절부(23)는 상기 유동 공간부(15)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 덕트(80)를 향해 유동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공간부(15)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 가이드부(25)의 제1수용부(253)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253)에서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는 개폐 조절부(239)를 작동하여, 상기 배출 덕트(80)와 연통되는 제1유출구(233)를 개방하고, 가이드 덕트(251) 및 제2수용부(255)를 향하는 제2유출구(234)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출구(234)가 폐쇄되어 있기에, 상기 제1팬 모듈(22)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배출 덕트(80)로 모두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팬 모듈(30)은 미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를 작동하여, 상기 제1유출구(233)와 상기 제2유출구(234)가 함께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엔, 상기 제2팬 모듈(30)이 작동하게 되며, 실내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면서도 실내 공간으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의 내부 순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순환하기 위한 내부 순환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는 다수의 흡토출 모듈 중 일 흡토출 모듈을 흡입 모듈로 작동하고, 타 흡토출 모듈을 토출 모듈로 전용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흡토출 모듈(40)을 흡입 모듈로 전용 작동하고, 제2흡토출 모듈(50)을 토출 모듈로 전용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이 설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이 설치된 실내 공간으로 토출하여,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이 설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 환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이 설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 환경 상태도 개선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이 설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 환경 상태를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이 설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를 통해 개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이 설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 환경 상태도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이 설치된 실내 공간이 목욕실이고,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이 설치된 실내 공간이 화장실일 수 있다.
제1팬 모듈(22)을 작동시켜 상기 제1흡토출 모듈(40)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22)이 작동되면, 제1유동 조절부(16)를 동작하여 제1덕트부(60)의 제1흡입 유로(601)를 개방하고, 제1덕트부(60)의 제1토출 유로(602)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동 조절부(16)는 제2덕트부(70)의 제2흡입 유로(701)를 폐쇄하고, 제2덕트부(70)의 제2토출 유로(702)를 개방할 수 있다. 유동 공간부(15)에는 상기 제1흡입 유로(601)와 상기 제2토출 유로(702)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 유로(601)로 유입된 공기는 습기제거 모듈(21)을 통과한 후 상기 제1팬 모듈(2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습기제거 모듈(21)은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유동 조절부(23)는 상기 제1팬 모듈(2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제2팬 모듈(30)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동 조절부(23)는 유동 가이드부(25)의 제1수용부(253)에서 배출 덕트(80)와 연통된 제1유출구(233)를 폐쇄하고, 상기 제2팬 모듈(30)과 연통되는 제2유출구(234)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출구(234)가 개방되면, 제1팬 모듈(22)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유출구(234)로 유입되며, 상기 유동 가이드부(25)의 가이드 덕트(251)와 제2수용부(255)를 통과한 후 상기 제2팬 모듈(3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55)를 통과하는 중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제2수용부(255)에 배치된 필터부(90)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90)에는 습기제거 모듈과 살균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90)에 포함된 습기제거 모듈은 상기 제2수용부(255)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부(90)에 포함된 살균 모듈은 공기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살균할 수 있다.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상기 제2팬 모듈(30)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제2토출 유로(702)를 향할 수 있다. 습기가 감소된 공기가 상기 제2토출 유로(702)를 통과하여 상기 제2흡토출 모듈(50)이 설치된 실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공기처리 모듈에 의해 처리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공급되기에, 공기가 공급되는 실내 공간의 공기 환경 상태가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흡토출 모듈(50)이 설치된 화장실 공간에서는, 현재 실내 공간의 습도가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조절되고, 현재 실내 공간의 공기의 양보다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기에 공기의 질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흡토출 모듈(40)이 설치된 목욕실 공간에서는, 상기 화장실 공간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습기를 가지는 공기를 흡입하기에, 상기 목욕실 공간에서의 습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습도가 높은 공기가 흡토출 모듈을 통해 흡입되지만, 습도제거 모듈에 의해 습도가 조절되기에,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의 내부에 물방울이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세균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살균 램프가 구비되기에 욕실용 공기처리장치(1)의 내부가 장시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순환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질, 이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1흡토출 모듈(40)로 흡입된 공기를 제2흡토출 모듈(50)로 토출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흡토출 모듈(40)로 흡입된 공기를 제1흡토출 모듈(40)로 공급하고, 제2흡토출 모듈(50)로 흡입된 공기를 제2흡토출 모듈(50)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흡토출 모듈(40)로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함께 동작할 경우에, 제2흡토출 모듈(50)은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이 차단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토출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히, 도 13의 (a)는 상기 흡토출 모듈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b)는 상기 흡토출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토출 모듈(40)은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함께 가능하도록 하는 흡토출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46)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464)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4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64)와 상기 토출부(465)가 구분되어 있기에, 상기 흡입부(464)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토출부(465)로 토출하는 공기 간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46)는 상기 흡토출 모듈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46)는 상기 흡입부(464)와 상기 토출부(465)가 형성되는 흡토출부 몸체(461)와, 상기 흡토출 모듈 몸체에 결합되기 위한 몸체 결합부(4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결합부(462)는 상기 흡토출부 몸체(461)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흡토출 모듈 몸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 결합부(462)와 상기 흡토출부 몸체(461)의 내부는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 몸체(46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토출부 몸체(461)는 상기 흡토출 모듈 몸체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 몸체(461)가 상기 흡토출 모듈 몸체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이유는,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하는 공기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유는, 상기 흡입부(464)와 상기 토출부(465)가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토출부(465)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다수가 상기 흡입부(464)로 흡입되어, 상기 토출부(465)로부터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상기 흡입부(464)와 상기 토출부(465)는 상기 흡토출부 몸체(461)의 저면에 형성되며, 측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64)와 상기 토출부(465)는 다수의 개구를 가지는 통공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장방형 개구를 가지는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64)와 상기 토출부(465)는 측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 몸체(461)와 상기 몸체 결합부(462)의 내부에는 흡토출부 몸체 구획부(4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 몸체 구획부(466)에 의해 상기 흡토출부(46)의 내부 공간이 흡입 공간과 토출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 모듈 몸체에는 상기 흡토출부 몸체 구획부(466)와 연결되는 모듈 몸체 구획부(4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몸체 구획부(405)는 덕트부의 구획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흡토출부(46)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하는 공기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 공간에 설치된 흡토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일 공간의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처리 모듈에 의해 깨끗해진 공기를 상기 일 공간으로 토출하여, 하나의 일 공간에 대한 단독 내부 순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타 공간에 설치된 흡토출 모듈은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이 제한될 수 있다.
1: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10: 본체
22: 제1팬 모듈 30: 제2팬 모듈
40: 제1흡입 모듈 50: 제2흡입 모듈
60: 제1덕트부 70: 제2덕트부
80: 배출 덕트 90: 필터부

Claims (15)

  1.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덕트가 연결되고, 공기처리 모듈이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제1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1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거나,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1흡토출 모듈; 및
    제2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2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거나, 상기 제2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2흡토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처리 모듈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1팬 모듈;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제2팬 모듈;
    상기 제1팬 모듈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제2팬 모듈로부터 토출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동 공간부;
    상기 유동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제1유동 조절부; 및
    상기 제1팬 모듈로부터 토출하는 공기가 상기 배출 덕트와 상기 제2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제2유동 조절부를 포함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 조절부와 상기 제2팬 모듈을 연결하는 유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2유동 조절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
    상기 제2유동 조절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2팬 모듈을 향하도록 하는 가이드 덕트; 및
    상기 가이드 덕트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2팬 모듈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에는,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가 포함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제거 모듈와 살균을 위한 살균 모듈이 더 포함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 조절부 및 상기 제2유동 조절부는, 회전에 의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 조절부는,
    상기 유동 공간부의 내부 공간을 흡입 공간과 토출 공간으로 구분하는 공간 구획부;
    상기 공간 구획부의 일측에 제1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 공간과 상기 토출 공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제1유로 개폐부; 및
    상기 공간 구획부의 타측에 제2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 공간과 상기 토출 공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제2유로 개폐부를 포함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 개폐부와 상기 제2유로 개폐부는, 상기 흡입 공간과 상기 토출 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서로 상반되게 개폐하거나, 상기 흡입 공간을 함께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유동 공간부의 일측과 상기 본체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제1흡토출 모듈로 흡입 또는 토출하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제1연결부; 및
    상기 유동 공간부의 타측과 상기 본체의 타측을 연결하여, 상기 제2흡토출 모듈로 흡입 또는 토출하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 개폐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유로 개폐부는,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 조절부는,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팬 모듈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배출 덕트를 향해 공기가 토출되는 제1유출구, 및 상기 가이드 덕트를 향해 공기가 토출되는 제2유출구가 구비되는 조절부 몸체;
    상기 조절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유출구 및 상기 제2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개폐 조절부; 및
    상기 개폐 조절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조절 모터를 포함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절부가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 중 어느 하나를 개방 시, 나머지 하나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토출 모듈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1덕트부와, 상기 제2흡토출 모듈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2덕트부를 더 포함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부와 상기 제2덕트부에는, 내부 공간을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로 구분하기 위한 구획부가 더 포함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흡입 유로와 상기 토출 유로를 향해 살균 광을 조사하기 위한 살균 램프가 포함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팬 모듈로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제거 모듈을 더 포함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는, 상기 제1팬 모듈 및 상기 제2팬 모듈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방음 부재를 더 포함하는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KR1020210033244A 2021-03-15 2021-03-15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KR20220128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244A KR20220128743A (ko) 2021-03-15 2021-03-15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244A KR20220128743A (ko) 2021-03-15 2021-03-15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743A true KR20220128743A (ko) 2022-09-22

Family

ID=8344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244A KR20220128743A (ko) 2021-03-15 2021-03-15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87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6217B (zh) 浴室管理设备
US20210401264A1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US10576404B2 (en) Air blower apparatus
US11918112B2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US10240806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US10393403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20220128743A (ko)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JP2013155995A (ja) 加湿装置
KR20220096354A (ko) 욕실환기장치
KR20210038161A (ko) 탈취 및 제습 장치
KR20220138067A (ko)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10401263A1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KR2008005975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30105505A (ko) 옷걸이 장치
KR20220138071A (ko) 욕실용 공기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72785B1 (ko) 에어 살균 장치
US11889917B2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KR102557551B1 (ko) 광촉매와 양압을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장치
JP2023142873A (ja) 空気処理装置
KR20220046985A (ko) Uv 플라즈마 모듈
KR20230105507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499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4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8A (ko) 옷걸이 장치
JP2023142872A (ja) 空気処理装置および空気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