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988A -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988A
KR20210037988A KR1020190120569A KR20190120569A KR20210037988A KR 20210037988 A KR20210037988 A KR 20210037988A KR 1020190120569 A KR1020190120569 A KR 1020190120569A KR 20190120569 A KR20190120569 A KR 20190120569A KR 20210037988 A KR20210037988 A KR 20210037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mposite
concrete
hole
pill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지예
Original Assignee
우리피엔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피엔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피엔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988A/en
Publication of KR2021003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988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erein the composite concrete column comprises: upper and lower concrete column units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having an exposure unit placed therebetween; and H-shaped steel exposed while being coupled to a portion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crete column unit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crete column unit in the exposure unit. Moreove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H-shaped steel in the exposure unit so that a slab reinforcing bar can pass therethrough.

Description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을 용이하게 배근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crete composite column capable of easily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and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and reliability,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a building using the same. will be.

소위 '라멘조'라고 불리우는 건축물의 구조 형태는 기둥과 보 그리고 슬래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콘크리트라멘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기둥과 보를 설치하고 그 위에 철근과 함께 슬래브 거푸집을 형성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건축에 있어서, 기둥, 보 및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타설하는 모든 공정은 시공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잡한 단계와 인력 및 시간을 요한다.The structural form of the so-called'ramenjo' consists of columns, beams, and slabs. In the case of constructing such a concrete ramen building, columns and beams are installed, and a slab formwork is formed with reinforcing bars on them, and then concrete is poured. In general, in the above construction, since all processes of installing columns, beams, and slab formwork and pouring concrete are performed at the construction site, complicated steps, manpower, and time are required.

건축물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량을 최대한 줄이고 공기를 단축시키기 위해서 H형강과 콘크리트 기둥부로 구성된콘크리트 복합 기둥이 대한민국 특허 제0797194호에서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minimize the amount of work at the building construction site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 concrete composite column composed of H-beams and concrete columns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No. 0797194.

상기 특허에 따르면, 작업자는 미리 제조된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고 여기에 보를 간단히 연결함으로써건축 구조체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방식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patent, the operator can complete the building structure by installing a pre-manufactur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simply connecting the beams thereto,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한편, 기둥과 보를 연결하고 슬래브를 축조하는 시공에 있어서 보를 따라 설치되는 철근은 기둥과 만나는 지점에서 간섭되기 때문에 더 이상 연장되지 못하고 끊어질 수밖에 없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uction of connecting columns and beams and constructing slabs, the reinforcing bars installed along the beams interfere at the point where they meet the columns, so they cannot be extended any more and are bound to be broken.

또한, 위와 같이 기둥을 중심으로 양쪽의 철근이 별개로 배근 및 타설될 경우에는 용접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하는 등 시공이 매우 불편하고, 기둥 양측의 하중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정착 길이를 확보하여야 하는 등 시공상 불편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reinforcing and pouring reinforcing bars on both sides around the column as above, it is very inconvenient to perform the welding separately, and the fixing length must be secured so that the load on both sides of the column can be transmitted. Inconvenient cases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슬래브용 철근이 기둥을 관통하여 연속적으로 연장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 강도면에 있어서도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by allowing the reinforcing bar for slab to be continuously extended and installed through the column, not only is it very easy to construct, but also in terms of structural strength, it is possible to increase stability and reliability.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노출부를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 및 상기 노출부에서 상부 콘크리트 기둥부의 하단과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의 상단 사이에 결합된 채로 노출되어 있는 H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에 있는 H형강에는 슬래브 철근이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crete composite pill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concrete pillars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n exposed portion therebetween; And an H-beam exposed while being coup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lar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crete pillar at the exposed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H-beam in the exposed portion to allow the slab reinforcement to pass. .

여기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H형강에 나란하게 구비된 플렌지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과, 상기 플렌지를 연결하는 웨브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다. Here, the through hole is composed of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a flang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H-beam,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a web connecting the flange, and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상부에 있는 제1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하단부에 있는 제1 H형강과, 하부에 있는 제2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상단부에 있는 제2 H형강의 단부를 상호 나란하게 용접하거나 또는별도의 플레이트 또는 브라켓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composite pillar has the first H-beam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pillar at the top, and the end of the second H-beam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pillar at the lower side. It is constructed by welding or bonding by separate plates or brackets.

바람직하게, 상기 노출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H형강의 측면에는 보가 결합되는 복수의 브라켓이 형성된다. Preferably, a plurality of brackets to which beams are coupled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H-beam exposed through the exposed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형강에는 결합 브라켓에 의해 보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 브라켓은,상기 관통공에 상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H형강의 플렌지 또는 웨브에 결합되는 평면 결합부;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am is coupled to the H-beam by a coupling bracket, and the coupling bracket has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a plane coupled to the flange or web of the H-beam Coupling part;

및 보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 결합부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직결합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And a fastening hole for connecting the beam, and is configured to have a vertical coupling portion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plane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형강의 플렌지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수평 브라켓; 및 상기 수평브라켓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수직 브라켓;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horizontal brackets formed between the flanges of the H-beam; And a vertical bracket protruding between the horizontal bracket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형강의 웨브에 용접되는 수직 돌출 단부와, 상기 플렌지에 양단이각각 용접되는 수평 바닥을 가지는 T형 브라켓; 및 상기 T형 브라켓의 수평 바닥 밑면에 고정된 앵글 브라켓을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shaped bracket having a vertical protruding end welded to the web of the H-beam and a horizontal bottom to which both ends are welded to the flange; And an angle bracket fixed to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floor of the T-shaped bracket.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두 개의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단부를 서로 용접하거나 별도의 플레이트 또는 브라켓 등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crete composite pillar may be configured by welding the ends of the two concrete composite pillars to each other or bonding by separate plates or bracket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노출부를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기둥부와, 상기 노출부에서 상부 콘크리트 기둥부의 하단과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의 상단 사이에 결합된 채로노출되어 있는 동시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H형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노출부에 있는 H형강에 보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보를 따라서 연장되는 슬래브철근을 상기 H형강의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에 거푸집을 설치하는단계; 및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pillar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exposed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exposed portion is exposed while being coup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lar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crete pillar. At the same time, install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H-beam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Coupling the end of the beam to the H-beam in the exposed portion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Installing a slab reinforcing bar extending along the beam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H-beam; Installing a formwork on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s and beams; And the step of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formwork; is provided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H형강에 나란하게 구비된 플렌지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과, 상기 플렌지를 연결하는 웨브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관통공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보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슬래브 철근은 상기 제1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슬래브 철근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슬래브 철근은 상기 제2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Preferably,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hole is composed of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a flange provided parallel to the H-beam,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a web connecting the flange,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through hole The ball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first slab reinforcement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ong the beam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slab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lab reinforcement The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은 상기 H형강에 나란하게 구비된 플렌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관통공과, 상기 플렌지를 연결하는 웨브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관통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 콘크리트 복합 기둥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through-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anges provided side by side in the H-beam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eb connecting the flanges. Consisting of a second through-hole,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are provided with concrete composite column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노출부를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와, 상기 노출부에서 상부 콘크리트 기둥부의 하단과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의 상단 사이에 결합된채로 노출되어 있으며, 플렌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를 연결하는 웨브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2 관통공이 형성된 H형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복합 기둥의 노출부에 있는 H형강에 보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보를 따라서 연장되는 슬래브 철근을상기 H형강의 제1 또는 제2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를 따라서 연장되는 슬래브 철근의 단부를 상기 H형강의 제1 또는 제2 관통공을 통과시켜 고정부재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시공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pillar portion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exposed portion therebetween, and while being coup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lar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crete pillar portion in the exposed portion Install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H-beams exposed and having first through holes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ange, and second through holes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eb connecting the flanges; Coupling the end of the beam to the H-beam in the exposed portion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Installing a slab reinforcing bar extending along the beam to pass through the first or second through hole of the H-beam; Fixing the end of the slab reinforcing bar extending along the beam through the first or second through hole of the H-beam with a fixing member; Installing a formwork on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s and beams; And the step of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formwork; is provided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본 발명에 따르면, 보를 따라 연장되는 슬래브 철근을 기둥과 만나는 지점에서 절단하지 않고, H형강에 형성된관통공을 통해서 계속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슬래브 축조시 철근 배근 및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cutting the slab reinforcing bar extending along the beam at the point where it meets the column, it can be continuously extend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H-beam. Therefor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are very easy when constructing a slab.

또한, 슬래브 철근이 기둥을 관통하여 반대측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용접 등을 통해 정착 길이를 확보하지 않고도 기둥 주변의 모멘트 강도 확보가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slab reinforcing bar penetrates the column and extends to the opposite sid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moment strength around the column without securing a fixing length through welding or the like.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을 중심으로 슬래브 철근이 양측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으므로 구조적 안정성과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ab reinforcement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both sides around the column, structural stability and reliability can be secu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explain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of being able to defin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기둥부(10)(20)와, 상기 콘크리트 기둥부(10)(20)의 단부 사이에 결합된 채로 노출되어 있는 H형강(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crete composite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while being coupled between the concrete pillar portions 10 and 2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ds of the concrete pillar portions 10 and 20 It includes the H-beam (30).

상기 콘크리트 기둥부(10)(20)는 기둥 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 그 단면은 사각형 및 원형 등의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ncrete pillar portions 10 and 20 are portions constituting the pillar body, and preferably, the cross section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and a circle.

상기 콘크리트 기둥부는 상부 콘크리트 기둥부(10)와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콘크리트 기둥부(10)의 하단과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20)의 상단 사이에는 H형강(30)이 노출되는 노출부(15)가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노출부(15)에는 보의 단부가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노출부(15)는 슬래브가형성되는 지점의 높이에 해당한다. The concrete pillar portion may be composed of an upper concrete pillar portion 10 and a lower concrete pillar portion 20, an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lar portio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crete pillar portion 20, H-beam 30 ) Exposed portion 15 is form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nd of the beam is coupled to the exposed portion 15, and thus, the exposed portion 15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point at which the slab is formed.

상기 H형강(30)은 그 양단이 상기 콘크리트 기둥부(10)(20) 내에 매립됨으로써 콘크리트 기둥부(10)(20)와 결합된다. 즉, H형강(30)의 상단은 상부 콘크리트 기둥부(10)의 하단부 근처에 매립되고, H형강(30)의 하단은 하부콘크리트 기둥부(20)의 상단부 근처에 매립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기둥부(10)(20) 내에 매립되는 H형강(30)의 측면에는 매립판(embeded plate)과 함께 복수의 스터드 부재(미도시)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기둥부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The H-beam 30 is coupled to the concrete pillars 10 and 20 by embedding both ends of the H-beam 30 in the concrete pillars 10 and 20.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H-beam 30 is buried near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lar portion 10, and the lower end of the H-beam 30 is buried near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crete pillar portion 20. More preferably, a plurality of stud members (not shown) are formed together with an embedded plate on the side of the H-beam 30 buried in the concrete pillars 10 and 20 to be combined with the concrete pillars. You can also make it more robus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노출부(15)에 있는 H형강(30)에는 슬래브 철근이 관통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30a)(30b)이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은, H형강(30)의 양측에 나란하게 위치하는 플렌지(31)(32)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30a)과, 상기 플렌지(31)(32)를 연결하는 웨브(33)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30b)으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0a and 30b are formed in the H-beam 30 in the exposed portion 15 so that the slab reinforcement can pass therethrough. That is, the through hole is a web connecting the first through hole 30a formed in the flanges 31 and 32 positioned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H-beam 30 and the flanges 31 and 32 It consists of a second through hole (30b) formed in (33).

상기 관통공(30a)(30b)의 개수는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기둥, 보 및 슬래브의 규모와 필요강도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30a and 30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cale and required strength of columns, beams, and slab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통공(30a)과 제2 관통공(30b)은 상호 다른 높이에 어긋나서 형성되는데 이것은각각의 관통공(30a)(30b)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슬래브 철근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 관통공(30a)을 관통하는 슬래브 철근은 제2 관통공(30b)을 관통하는 슬래브 철근에 대해서 직각을 이루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hrough-hole (30a) and the second through-hole (30b) are formed to deviate from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which is a slab reinforcement extending through each of the through-holes (30a, 30b) This is to avoid interference. Accordingly, the slab reinforcing bar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30a forms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slab reinforcing bar penetrating the second through hole 30b.

상기 콘크리트 기둥부(10)(20)와 H형강(3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그러한 예 중의 하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 역시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10')(20')와, 상기 콘크리트 기둥부 (10')(20') 사이에 노출된 채로 결합되며 슬래브 철근이 관통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30a)(30b)이 형성된 H형강(30)을 가진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oncrete column portions 10 and 20 and the H-beam 30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one such example is shown in FIG. 2.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upper and lower.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0a) (30b) are exposed between the concrete pillars (10') (20') and the concrete pillars (10') (20') so that the slab reinforcement can pass through. It has an H-beam 30 formed.

또한, 상기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상기 H형강(30) 주위에서 콘크리트 기둥부(10')(20')에 매립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보강철근(40)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40 extending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buried in the concrete column portions 10 ′ and 20 ′ around the H-beam 30.

이때, 상기 보강철근(40)은 슬래브 철근이 관통공(30a)(30b)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적절한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reinforcing bar 40 may be install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xtension of the slab reinforcing bar through the through holes 30a and 30b.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기둥부(10')(20') 사이에 있는 노출부(15')의 H형강(30) 측면에는 보가 결합될 수있도록 복수의 브라켓(42)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brackets 42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H-beam 30 of the exposed portion 15 ′ between the concrete pillar portions 10 ′ and 20 ′ so that the beams may be coupled.

상기 브라켓(42)은 체결공(42a)이 형성된 'T'자 형상의 철골 부재를 H형강(30)의 측면에 용접함으로써 형성될수 있다. 그러나 상기 브라켓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보의 단부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이면 어떠한 방식도 채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bracket 42 may be formed by welding a'T'-shaped steel frame member with a fastening hole 42a to the side of the H-beam 30.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bracket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y method can be adopted as long as it is any configuration that can be coupled by the end of the beam and the fastening member.

또한, 결합되는 보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기둥부(10)(20)의 상단 일부에는 측방향으로 더욱 연장된 받침부(2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upport portion 22 further extended laterally may be further included a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column portions 10 and 20 so that the ends of the beams to be coupled can be stably mounted.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구성이 한정된 도면과 실시예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콘크리트복합 기둥에 채용되는 콘크리트 기둥부와 H형강의 구성은 특허 등록 제0797194호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하며,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에 일일이 구성을 열거하지 않더라도 상기 특허에 개시된 모든 콘크리트 기둥의 예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and examples in this specifica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crete column part and the H-beam used in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ll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0797194.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xamples of all concrete columns disclosed in the patent are included a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onfiguration is not individually list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살펴보기로 한다. Th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공사 현장의 지면 상에 설치한다. 이때,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있어서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20)의 하단이 지면에 고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기둥 설치 방법은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First, a concrete composite pillar manufactu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of a construction site. At this time, in the concrete composite pillar, it i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ncrete pillar part 20 is fixed to the ground. The method of installing such a pilla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어서, 상기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노출부(15)에 있는 H형강(30)에 보의 단부를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는 철골(H형강) 자체 또는 철골(H형강)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가리킨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복합보를 포함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보'라고 지칭하는 것은 철골 자체 및 철골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보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Subsequently, the end of the beam is coupled to the H-beam 30 in the exposed portion 15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 refers to a structure including a steel frame (H-beam) itself or a steel frame (H-beam). More preferably, the beam includes a concrete composite beam as shown in FIG. 3. The term'beam' in the claims is defined as encompassing both the steel frame itself and the concrete composite beam including the steel frame.

상기 콘크리트 복합보는 철골(50)과, 상기 철골(5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터럽(STIRRUP) 철근(51)과, 상기철골(50)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타설된 콘크리트 부재(52)를 포함한다.The concrete composite beam includes a steel frame 50, a stirrup reinforcing bar 51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steel frame 50, and a concrete member 52 cast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el frame 50 do.

상기 스터럽 철근(51)은 철골(5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철골의 횡단면에 걸쳐 고루 분산시키는작용과, 횡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The stirrup reinforcing bar 51 serves to evenly distribute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frame 50 over the cross-section of the steel frame and to resist shearing force acting perpendicular to the cross-section.

상기 콘크리트 부재(52)는 철골(50)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콘크리트 부재(52)는 하부 플렌지(53)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형성된다.The concrete member 52 is integral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ill at least a part of the steel frame 50. Preferably, the concrete member 52 is formed to fill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flange 53.

상기 콘크리트 부재(52)는 철골(50)과 함께 휨응력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한다. 또한, 콘크리트 부재(52)는 콘크리트 복합보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가시킴으로써 휨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한다. The concrete member 52 effectively resists bending stress and compressive force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teel frame 50. In addition, the concrete member 52 effectively responds to the bending stress by increasing the secondary moment of the cross-section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또한, 상기 철골(50)의 양단부는 콘크리트 부재(52)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는 콘크리트복합보를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연결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노출된 철골(50)의 단부에는 체결공(50a)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teel frame 50 are not buried in the concrete member 52 and remain exposed, which is to connect the concrete composite beam to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is embodiment. For this purpose, a fastening hole 50a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exposed steel frame 50.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복합보는 길이 방향으로 배근된 인장/압축 철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콘크리트 복합보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 및 압축 응력에 저항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철골(50)의 하부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52) 내에 매립된 채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매립 철근(54)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52) 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노출 철근(55)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ncrete composite beam may further include a tensile/compression reinforcement reinfor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ensile/compression reinforcement resists tensile stress and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Preferably, the tension/compression reinforcement is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52 under the steel frame 50 and a plurality of buried reinforcing bars 5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no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52 It includes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5 that is exposed.

상기 노출 철근(55)은 콘크리트 타설시 다른 슬래브 철근들과 함께 슬래브 내에 매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을 포괄하여 슬래브 철근이라 지칭하므로 여기에는 당연히 노출 철근도 포함되는 것으 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5 is buried in the slab together with other slab reinforcing bars when concrete is poured. 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thes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lab reinforc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posed reinforcement is also included therein.

지금까지 콘크리트 복합보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시공될 수있는 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제0640250호, 특허 제0761785호, 특허 제0761786호 등에 기재된 보가모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Until now, the configuration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beam that can be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described in Patent No. 0640250, Patent No. 0761785, Patent No. 0766786, etc.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보(200)가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H형강(30)에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is coupled to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복합보(200)의 철골(50)의 단부를 상기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노출부(15)에 있는 H형강(30)에 용접함으로써 결합시킨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H형강(30)에 브라켓(42)이 구비된 경우에는, 이 브라켓(42)에 콘크리트 복합보(200)의 철골(50) 단부를 직접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 플레이트(미도시)를 매개로 브라켓(42)과 철골(50)의 단부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nd of the steel frame 50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is coupled by welding to the H-beam 30 in the exposed portion 15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As another alternative, when the bracket 42 is provided in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as shown in FIG. 2, the end of the steel frame 50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in the bracket 42 The bracket 42 and the ends of the steel frame 50 may b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coupling plate (not shown).

콘크리트 복합보(200)를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H형강(30)에 결합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Another method of coupli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to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100 is illustrated in FIGS. 12 to 14.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drawings shown above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복합보(200)는 결합 브라켓에 의해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H형강(30)에 결합되는데, 상기 결합 브라켓은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H형강(30)의 플렌지(31)(32) 또는 웨브(33)에 결합되는평면 결합부(70)와 상기 평면 결합부(70)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직 결합부(71)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is coupled to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pillar 100 by a coupling bracket, the coupling bracket of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pillar 100 It includes a plane coupling portion 70 coupled to the flange 31, 32 or the web 33, and a vertical coupling portion 71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plane coupling portion 70.

상기 평면 결합부(70)에는 제1 관통공(30a) 또는 제2 관통공(30b)에 상응하는 관통공(7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 결합부(7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공(71a)이 형성되어 있다.The plane coupling part 70 has a through hole 7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30a or the second through hole 30b, and a beam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coupling part 71 as described later. A fastening hole 71a for doing so is formed.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브라켓의 평면 결합부(70)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H형강(30)에결합된다. 즉, 평면 결합부(70)는 H형강(30)의 플렌지(31)(32) 또는 웨브(33)에 체결볼트(81)에 의해 결합된다.이때, 관통공(70a)은 제1 관통공(30a) 또는 제2 관통공(30b)과 일치하도록 정렬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슬래브 철근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4, the flat coupling portion 70 of the coupling bracket is coupled to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100. That is, the plane coupling portion 70 is coupled to the flange 31, 32 of the H-beam 30 or the web 33 by the fastening bolt 81.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70a is the first through hole It is aligned to coincide with the (30a) or the second through hole (30b), thereby allowing the slab reinforcement to be described later to pass.

동시에, 콘트리트 복합보(200)의 철골(50) 단부의 웨브 부분은 수직 결합부(71)에 결합되는데, 철골(50) 단부에형성된 체결공(50a)과 수직 결합부(71)에 있는 체결공(71a)으로 체결볼트(82)를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이러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At the same time, the web portion at the end of the steel frame 50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is coupled to the vertical coupling portion 71, and the fastening hole 50a formed at the end of the steel frame 50 and the vertical coupling portion 71 are fastened. This coupling is achiev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fastening bolt 82 with the ball 71a.

바람직하게, 상기 철골(50) 단부의 플렌지 부분은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H형강(3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Preferably, the flange portion of the end of the steel frame 50 is fixed to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100 by welding.

도 15 및 도 1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과 큰크리트 복합보(200)의 결합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15 and 16 show a method of combin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100 and a larg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drawings shown above denote the same members.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노출부(15)에 있는 H형강(30)의 플렌지(31)(32) 사이에는 한 쌍의 수평 브라켓(72)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수평 브라켓(72)은 콘크리트 복합보(200)의 철골(50)에 있는 플렌지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pair of horizontal brackets 72 are fixed by welding between the flanges 31 and 32 of the H-beam 30 in the exposed portion 15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100. The horizontal bracket 72 is spaced apart and fixed at the same distance as the flanges in the steel frame 50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또한, 상기 수평 브라켓(72) 사이에는 수직 브라켓(73)이 돌출되도록 고정되며 여기에는 체결공(7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 브라켓(73)은 콘크리트 복합보(200)의 철골(50)에 있는 웨브가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vertical bracket 73 is fixed to protrude between the horizontal brackets 72, and a fastening hole 73a is formed therein. This vertical bracket 73 is for the web in the steel frame 50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is coupled.

도 16에는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에 콘크리트 복합보(200)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16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is coupled to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보(200)의 철골(50) 단부의 웨브 부분은 상기 수직 브라켓(73)에 결합되며, 이때 체결볼트(83)가 철골(50)에 형성된 체결공(50a)과 수직 브라켓(73)에 형성된 체결공(73a)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양자가 결합된다.As shown, the web portion of the end of the steel frame 50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is coupled to the vertical bracket 73, and at this time, the fastening bolt 83 is formed in the steel frame 50 and the fastening hole 50a Both are coupled by being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73a formed in the vertical bracket 73.

또한, 상기 철골(50) 단부의 플렌지 부분은 상기 수평 브라켓(72)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결합의 견고성을높인다.In addition, the flange portion of the end of the steel frame 50 is fixed to the horizontal bracket 72 by welding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coupling.

도 17 및 도 1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과 콘크리트 복합보(200)의 결합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17 and 18 show a combin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100 and a concrete composite bea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previous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노출부(15)에 있는 H형강(30)에는 T형 브라켓(74)이 결합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shaped bracket 74 is coupled to the H-beam 30 in the exposed portion 15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100.

상기 T형 브라켓(74)은 수직 돌출 단부가 H형강(30)의 웨브(33)에 용접되고, 수평 바닥의 양단이 플렌지(31)(32)에 각각 용접됨으로써 결합된다. 따라서, T형 브라켓(74)의 수평 바닥의 밑면은 바깥쪽을 향해 노출되어 있다. The T-shaped bracket 74 is coupled by welding the vertical protruding end to the web 33 of the H-beam 30, and welding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ottom to the flanges 31 and 32,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bottom of the T-shaped bracket 74 is exposed outward.

노출되어 있는 상기 수평 바닥의 밑면에는 앵글 브라켓(75)이 고정되며, 상기 앵글 브라켓(75)에는 복수의 체결공(75a)이 형성되어 있다. An angle bracket 75 is fixed to the exposed bottom of the horizontal floor,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75a are formed in the angle bracket 75.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보(200)의 철골(50) 단부의 웨브 부분은 상기 T형 브라켓(74)과 앵글브라켓(75)에 고정되는데, 구체적으로 철골(50)의 플렌지 단부는 상기 T형 브라켓(74)의 수평 바닥 밑면에 용접결합되는 동시에, 철골(50) 단부의 웨브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50a)과 앵글 브라켓(75)에 형성된 체결공(75a)을정렬시킨 뒤 체결볼트(84)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18, the web portion of the end of the steel frame 50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is fixed to the T-shaped bracket 74 and the angle bracket 75, specifically, the flange end of the steel frame 50 While being welded to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bottom of the T-shaped bracket 74, align the fastening hole 50a formed in the web portion of the end of the steel frame 50 and the fastening hole 75a formed in the angle bracket 75, and then fasten it. Fix by inserting the bolt (84).

지금까지 설명한 다양한 결합 방식은 H형강(30)의 플렌지(31)(32)와 웨브(33)에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 적용될수 있다. 즉, 플렌지(31)(32)에 대한 결합방식과 웨브(33)에 대한 결합 방식이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The various coupling methods described so far can be independently selected and applied to the flanges 31, 32 and the web 33 of the H-beam 30, respectively. That is, the coupling method for the flanges 31 and 32 and the coupling method for the web 33 may be appli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하로 연결하고 연결부위에 보를결합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in which two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connected vertically and a beam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즉, 도 19를 참조하면 상부에 있는 제1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하단부에 있는 제1 H형강(30')과, 하부에있는 제2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상단부에 있는 제2 H형강(30")의 단부를 상호 나란하게 용접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얻을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19, the first H-beam 30'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pillar 100' at the top, and the first H-beam 30'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pillar 100' at the bottom. 2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ncrete composite column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the ends of the H-beam 30"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이때 바람직하게, 제1 H형강(30')에는 슬래브 철근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공(30a)(30b)이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preferably,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0a and 30b through which the slab reinforcement can penetrate is formed in the first H-beam 30 ′.

이와 같이 두 개의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연결한 경우에는 두 개의 H형강(30')(30")이 연결된 부분은 노출부로서 보가 결합되는 지점이 되는 동시에, 제1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콘크리트는 상부 콘크리트 기둥부가 되고, 제1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콘크리트는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가 될 것이다.When the two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connected in this way, the part where the two H-beams (30') (30") are connected is the exposed part, which serves as the point where the beams are join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ncrete Is the upper concrete pillar, and the concrete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pillar 100" will be the lower concrete pillar.

이렇게 얻어진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노출부에 있는 H형강에 보 또는 콘크리트 복합보를 연결하는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beam or the concrete composite beam to the H-beam in the exposed portion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thus obtained is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100")의 제1 및 제2 H형강(30')(30")은 별도의 플레이트나 브라켓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H-beams 30 ′ and 30 ″ of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columns 100 ′ and 100 ″ may be connected by separate plates or brackets.

도 5에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H형강(30)에 4개의 콘크리트 복합보(200)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5 shows a state in which four concrete composite beams 200 are coupled to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100.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복합보(200)는 콘크리트 부재(52)의 선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20)의 상면에 거치되도록 결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둥부(20)에 받침부(22)가구비된 경우에는 받침부(22) 상에 놓여서 거치된다. 이와 같은 거치가 이루어질 경우,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대한 콘크리트 복합보의 연결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에 따른 구조적인 안정성을 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is couple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concrete member 5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crete pillar portion 20 of the concrete composite pillar, and as shown in FIG. When the support part 22 is provided in 20), it is placed and mounted on the support part 22. When such mounting is performed, it is easy to connect the concrete composite beam to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structur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coupling can be achieved.

이상과 같이,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복합보의 설치가 끝나면, 이어서 슬래브 철근과 거푸집을 설치한다. 도 6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슬래브 철근(60)(62)이 배근된 상태를 보여준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the composite beam is completed, the slab reinforcement and formwork are then installed. 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the slab reinforcing bars 60 and 62 are la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복합보(200)를 따라서 연장되는 슬래브 철근(60)(62)은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H형강(30)에 형성된 관통공(30a)(30b)을 통과한다. 즉, 콘크리트 복합보(200)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슬래브 철근(60)은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H형강(30)의 플렌지(31)(32)에 형성된 제1 관통공(30a)을 통과하게되고, 상기 제1 슬래브 철근(60)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슬래브 철근(62)은 H형강(30)의 웨브(33)에 형성된 제2 관통공(30b)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b reinforcement 60 and 62 extending alo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s 30a and 30b formed in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That is, the first slab reinforcement 60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o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00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0a formed in the flanges 31 and 32 of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the second slab reinforcement 62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lab reinforcement 60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30b formed in the web 33 of the H-beam 30.

이때, 제1 관통공(30a)과 제2 관통공(30b)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슬래브 철근(60)과제2 슬래브 철근(62)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연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through-hole 30a and the second through-hole 30b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the first slab reinforcement 60 and the second slab reinforcement 62 may extend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콘크리트 복합보(200)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300)와 같은 거푸집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300)의 설치와 시공방법은 특허 제0761786호에 개시된 바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Meanwhile, a formwork structure such as a deck plate 3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200 as shown in FIG. 8. Th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deck plate 300 may be performed as disclosed in Patent No. 0761786,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데크 플레이트(300) 위에는 슬래브용 철근이 다양한 방식으로 배근될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복합보를 따라서 연장되어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H형강과 간섭되는 슬래브 철근에 대한 시공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므로 콘크리트 복합보 이외의 지점에 설치되는 철근에 대해서는 어떠한 구성의 제한도 두지 않는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reinforcing bars for slabs may be laid on the deck plate 300 in various way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lab reinforcement extending alo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 and interfering with the H-beam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 installed at points other tha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와 같이 슬래브 철근과 거푸집의 설치가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한다. 도 9는 축조된 슬래브 구조물을 도식적으로 보여준다.As described above, the slab structure is constructed by plac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slab reinforcement and the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9 schematically shows the built slab struc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은 벽체가 시공되는 건물 외곽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us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outer part of the building where the wall is constructed.

도 10과 도 11에는 건물 외곽부에 설치된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세 개의 콘크리트 복합보(200)가 결합된 상태를보여준다. 여기서, 제1 슬래브 철근(60')은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있는 H형강(30)의 플렌지(31)(32)에 형성된관통공을 통과하고, 제2 슬래브 철근(62')은 H형강(30)의 웨브(33)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되는 콘크리트 복합보의 개수에서 차이가 있을 뿐 시공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 and 11 show a state in which three concrete composite beams 200 are coupled to a concrete composite column installed on the outer part of a building. Here, the first slab reinforcement 6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langes 31 and 32 of the H-beam 30 in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the second slab reinforcement 62' is an H-beam 30 )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web (33).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oncrete composite beams to be combined, but the construction method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2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일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20 shows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콘크리트 기둥부(10)(20)와, 상기 콘크리트 기둥부(10)(20)의 단부 사이에 결합된 채로 노출되어 있는 H형강(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crete composite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pillar portions 10 and 2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ds of the concrete pillar portions 10 and 20 It includes the H-beam 30 that is exposed as it is.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형강(30)에는 슬래브 철근이 관통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30a)(30a')(30b)(30b')이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은, H형강(30)의 플렌지(31)(3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형성되는 제1 관통공(30a)(30a')과, 상기 플렌지(31)(32)를 연결하는 웨브(3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제2 관통공(30b)(30b')으로 구성된다. 그 외 나머지 관통공은 브라켓 등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에 해당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0a, 30a', 30b, 30b' are formed in the H-beam 30 so that the slab reinforcement can pass therethrough. That is, the through-holes include first through-holes 30a, 30a',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anges 31 and 32 of the H-beam 30, and the flanges 31 and 32. It is composed of second through-holes 30b and 30b'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necting web 33. Other through-holes correspond to fastening holes for coupling brackets, etc.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관통공(30a)(30a')과 제2 관통공(30b)(30b')은 상호 다른 높이에 어긋나도록 형성되어,각각의 관통공(30a)(30a')(30b)(30b')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슬래브 철근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Preferably, the first through hole (30a) (30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0b) (30b') are formed to deviate from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and each through hole (30a) (30a') (30b) ) (30b') so that the reinforcing slab extending through it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도 21 및 도 22에는 상기 도 20에 따른 실시예의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콘크리트 복합보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4개의 콘크리트 복합보(210)(220)(230)(240)가 결합된 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복합보(210)(220)(230)(240)의 H형강을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H형강(30)에 결합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설명이 생략되었다. 21 and 22 show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composite beam is coupled to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20. In this embodiment, it shows an example in which four concrete composite beams 210, 220, 230, and 240 are coupled to a concrete composite colum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beam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10, 220, 230, 240 can be combined with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the description has been omitted. .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복합보(210)(220)(230)(240)에 구비되는 슬래브 철근은 상부 철근(60a)(62a)과하부 철근(60b)(도 23의 62b 참조)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lab reinforcement provided i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10, 220, 230, 240 includes upper reinforcing bars 60a, 62a and lower reinforcing bars 60b (see 62b in FIG. 23). do.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있어서 H형강(30)의 플렌지(31)(32)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복합보(210)(220)와 웨브(33)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복합보(230)(240)는 철근의 설치 방식이 서로 상이하다. In this embodiment. In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10, 220 coupled to the flange 31, 32 of the H-beam 30 and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30, 240 coupled to the web 33 The installation method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구체적으로, H형강(30)의 플렌지(31)(32)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복합보(210)(220)에 구비된 상부 철근(60a)과 하부 철근(60b)은 그 단부가 플렌지(31)(3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관통공(30a)(30a')을 소정 길이(바람직하게, 5cm 내외)만큼 관통한 후 단부가 플렌지(31)(32)에 고정된다. 이때, 상부 및 하부 철근(60a)(60b)의단부는 용접 또는 고정부재(80a)(80b)에 의해 플렌지(31)(32)에 고정된다.Specifically, the upper reinforcing bar (60a)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60b) provided i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10, 220) coupled to the flange (31) (32) of the H-beam (30) has an end of the flange (31)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s 30a and 30a ′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32 by a predetermined length (preferably, within 5 cm), the ends are fixed to the flanges 31 and 32. At this time,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60a and 60b are fixed to the flanges 31 and 32 by welding or fixing members 80a and 80b.

고정부재(80a)(80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60a)(60b)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고정부재(80a)(80b)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및 하부 철근(60a, 60b)의 양단에서 고정부재(80a)(80b)를 조임으로써 철근은 플렌지(31)(32)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When using the fixing members (80a) (80b), it is possible to form a screw thread at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60a) (60b) and screwed with the fixing member (80a) (80b).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bars can be stably fixed to the flanges 31 and 32 by tightening the fixing members 80a and 80b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60a and 60b.

한편, H형강(30)의 웨브(33)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복합보(230)(240)에 구비된 상부 철근(62a)은, 앞서 도시된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웨브(33)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관통공(30b)을 통과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62a) provided i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30, 240) coupled to the web (33) of the H-beam (30), as in the embodiment shown above, on the top of the web (33) It is installed to extend through the formed second through hole (30b).

또한,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브(33)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복합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합보(240)에 구비된 하부 철근(62b)은 그 단부가 웨브(33)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공(30b')을 소정 길이만큼관통한 후 고정부재(80c)에 의해 고정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lower reinforcing bar 62b provided in any one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240 coupled to the web 33 has an end of the web 33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0b' formed in the lower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fixed by the fixing member 80c.

동시에 나머지 다른 하나의 콘크리트 복합보(230)에 구비된 하부 철근(62b)은 도 23에서 보듯이 웨브(33)와 간섭되지 않도록 단부가 굴곡된다. 여기서, 도 23 및 도 2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H형강과 철근만을 도시하였다. At the same time, the lower reinforcing bar 62b provided in the other concrete composite beam 230 has an end ben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eb 33 as shown in FIG. 23. Here, in FIGS. 23 and 24, only H-beams and reinforcing bar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형강(30)의 웨브(33)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복합보(230)(240)의 하부철근(62b)은 그 단부가 모두 굴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reinforcing bars 62b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230 and 240 coupled to the web 33 of the H-beam 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ll ends thereof are bent. .

도 20에 도시된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4개의 콘크리트 복합보(210)(220)(230)(240)를 결합하는 또 다른 실시예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Another embodiment of coupling the four concrete composite beams 210, 220, 230, and 240 to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shown in FIG. 20 is shown in FIGS. 25 and 26.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previous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H형강(30)의 플렌지(31)(32)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복합보(210)(220)에구비되는 상부 철근(60a)은 H형강(30)의 플렌지(31)(32)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30a)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reinforcing bar (60a) provided in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210 and 220 coupled to the flanges 31 and 32 of the H-beam 30 of the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the flange of the H-beam 30 ( 31) It is installed to exten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0a formed on the upper part of (32).

반면에, 상기 플렌지(31)(32)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복합보(210)(220)에 구비되는 하부 철근(60b)은 그 단부가 H형강(30)의 플렌지(31)(32)의 하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30a')을 소정 길이 만큼 관통한 후 고정부재(80b)에 의해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60b provided i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10 and 220 coupled to the flanges 31 and 32 has an end of the flange 31 and 32 of the H-beam 30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0a') formed in the predetermined length, it is fixed by the fixing member (80b).

즉,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복합보(210)(220)의 상부 철근(60a)은 제1 관통공(30a)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반면, 하부 철근(60b)은 제1 관통공(30a')을 지나 고정부재(80b)로 고정된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reinforcing bar 60a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210 and 220 extends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30a, while the lower reinforcing bar 60b is the first through-hole 30a'. It is fixed by the fixing member (80b) past.

본 실시예에서 상기 H형강(30)의 웨브(33)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복합보(230)(240)의 상부 철근(62a) 및 하부 철근(62b)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62a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62b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230 and 240 coupled to the web 33 of the H-beam 30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scription is omitted.

아울러, 상기와 같이 결합된 콘크리트 복합보 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축조하는과정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slab by installing a formwork o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combined as described above and pouring concrete is also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나아가,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4개의 보를 연결하는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은 3개 또는 2개의 보를 연결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although this embodiment has specifically described an example of connecting four beams to a concrete composite colum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configuration is equally applied even when three or two beams are connected.

Claims (4)

노출부를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 및상기 노출부에서 상부 콘크리트 기둥부의 하단과 하부 콘크리트 기둥부의 상단 사이에 결합된 채로 노출되어 있는 H형강;을 포함하고,상기 노출부에 있는 H형강에는 슬래브 철근이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Upper and lower concrete pillar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exposed portion therebetween; And an H-beam exposed while being coup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lar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crete pillar at the exposed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H-beam in the exposed portion to allow the slab reinforcement to pass through. Concrete composite columns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H형강에 나란하게 구비된 플렌지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과, 상기 플렌지를 연결하는 웨브에형성되는 제2 관통공으로 구성되며,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ough hole is composed of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a flange provided parallel to the H-beam,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a web connecting the flange, and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ave different heights. Concrete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제2항에 있어서,
상부에 있는 제1 콘크리트 복합 기둥(100')의 하단부에 있는 제1 H형강(30')과, 하부에 있는 제2 콘크리트 복합기둥(100")의 상단부에 있는 제2 H형강(30")의 단부를 상호 나란하게 용접하거나 별도의 플레이트 또는 브라켓으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H-beam (30")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pillar (100') at the top, and the second H-beam (30")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pillar (100") at the bottom Concrete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welding the ends of each other in parallel or connecting with a separate plate or bracke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H형강의 측면에는 보가 결합되는 복수의 브라켓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기둥.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ncrete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rackets to which the beams are coupled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H-beam exposed through the exposed portion.
KR1020190120569A 2019-09-30 2019-09-30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100379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569A KR20210037988A (en) 2019-09-30 2019-09-30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569A KR20210037988A (en) 2019-09-30 2019-09-30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988A true KR20210037988A (en) 2021-04-07

Family

ID=7546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569A KR20210037988A (en) 2019-09-30 2019-09-30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98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351B1 (en) 2021-04-21 2021-11-11 주식회사 번영중공업 Base isolation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351B1 (en) 2021-04-21 2021-11-11 주식회사 번영중공업 Base isolation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147B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97194B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888941B1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KR101196472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Crossbeam having T-shaped 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KR101295740B1 (en) Joint of Steel Column
JP2007077630A (en) Continuous girder using precast main-girder segment, and its erection method
KR100995459B1 (en) Reinforcement steel beam with shear reinforcement material
KR101112195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crossbeam having wire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538516B1 (en) A box girder using steel and foam concrete inser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on bridge using the same
KR101215060B1 (en) Steel reinfor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vertically coupl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011252B1 (en)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KR101436812B1 (en) A bridge for bicycle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626544B1 (en) Hybrid Beam of Steel Plate and Concrete, and High Streng Hybrid Structure System Using The Same
KR101845717B1 (en) Aseismatic Reinforcement Steel Frame with Hinge Type Friction Slip Brace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reof
KR101998822B1 (en) Composite rahmen bridge, steel girder for that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rahmen bridge
KR101432087B1 (en) Composite rahman bridge using preflex beam and horizontal shear connector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21946B1 (en) Enlarged capital of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column
KR20210037988A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042448A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KR101472027B1 (en) Method of building concrete structure using attachment plates adjoining ends of concrete beam with walls of abutments
KR101176846B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proof stress of girder
KR20180117878A (en) Strcutrue of connecting traverse beam with main beam in bridge upper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314791B1 (en) Composite rigid-frame bridge with variable section
KR102585526B1 (en) Composite frame with end-buried girder joint
KR101878762B1 (en) Coupling structure of double type for girder and column capable of reducing girder he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