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060B1 - Steel reinfor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vertically coupl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eel reinfor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vertically coupl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060B1
KR101215060B1 KR1020090110514A KR20090110514A KR101215060B1 KR 101215060 B1 KR101215060 B1 KR 101215060B1 KR 1020090110514 A KR1020090110514 A KR 1020090110514A KR 20090110514 A KR20090110514 A KR 20090110514A KR 101215060 B1 KR101215060 B1 KR 101215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oncrete body
concrete composit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3831A (en
Inventor
홍원기
김선국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Priority to KR102009011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060B1/en
Publication of KR2011005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215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omprising metallic plates or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접합 철골(20);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패싱홀(32)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 플레이트(30);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패싱홀을 관통하여 연장된 연결 철근(12); 및 상기 연결 철근(12)이 형성된 지점과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14);을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Joining steel frame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A mounting plate 30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having a passing hole 32 formed therein; A connection reinforcing rod 12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through the passing hole;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4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at which the connecting reinforcing rod 12 is formed.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 접합 철골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splicing steel

Description

수직 연결 수단을 가진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Steel reinfor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vertically coupl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Steel reinfor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vertically coupl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둥 자체에 슬래브 철근이 통과하는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연결 철근 배근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시공되는 기둥 상호간의 단부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수직 연결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lab reinforcing bars are formed in the column itself, it is easy to reinforce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and the columns are vertically construc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a vertical connection means capable of easily connecting the ends,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소위 '라멘조'라고 불리우는 건축물의 구조 형태는 기둥과 보 그리고 슬래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콘크리트 라멘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기둥과 보를 설치하고 그 위에 철근과 함께 슬래브 거푸집을 형성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건축에 있어서, 기둥, 보 및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든 공정은 시공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잡한 단계와 인력 및 시간을 요한다. The structural form of the so-called 'ramenjo' consists of columns, beams, and slabs. In the case of constructing such a concrete ramen building, pillars and beams are installed, and slab formwork is formed with reinforcing bars on it and concrete is poured. In general, in the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all the processes of installing the pillars, beams and slab formwork, and placing concrete are performed at the construction site, which requires complicated steps, manpower and time.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797194호는 건축 시공 현장에서 작업량을 최대한 줄이고 공기를 단축시키기 위해서 H형강과 콘크리트 몸체로 구성된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제안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797194 proposes a concrete composite column composed of H-beam and concrete body in order to minimize the amount of work and reduce the air at the construction site.

상기 특허에 따르면, 작업자는 미리 제조된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고 여기에 보를 간단히 연결함으로써 건축 구조체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방식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atent, since the operator can complete the building structure by installing a pre-fabricat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simply connect the beam to 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r and shorter ai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보를 연결하고 슬래브 철근을 배근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수직으로 배열되는 기둥 상호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작업은 기존의 용접이나 고력 볼팅 등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성과 시공성 측면에서 여전히 불편함이 따를 수밖에 없다.However, such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easy to connect beams and reinforce slab reinforcing bars, but the work of connecting the ends between columns arranged vertically is still performed by conventional welding or high-strength bolting. Discomfort is bound to follo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슬래브용 철근이 기둥을 관통하여 연속적으로 연장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근 배근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둥의 상하단부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수직 연결 수단을 각각의 기둥 단부에 채용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공기 또한 단축시킬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by allowing the reinforcing bar to be continuously extended through the column to be installed reinforcement is very easy, vertical connection that can easily connec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lum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y employing the means at each pillar end, which is very convenient and shortens the constru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첫번째 독립항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접합 철골;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패싱홀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패싱홀을 관통하여 연장된 연결 철근; 및 상기 연결 철근이 형성된 지점과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Joining steel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A seating plate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having a passing hole formed therein; A connection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through the passing hole;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form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번째 독립항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수납공이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 및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상기 앵커 플레이트에 형성된 수납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ing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Joining steel fram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An anchor plate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anchor bolts provid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anchor p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세 번째 독립항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 및 상기 접합 철골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철근과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패싱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third independent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ing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Joining steel fram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And a receiving plate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steel.

본 발명의 바람직한 네 번째 독립항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며,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접합 철골;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수납공이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 및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상기 앵커 플레이트에 형성된 수납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앵커볼트;를 포함한다.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on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and an upper end thereof extends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 joining steel fram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and extending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being constructed; An anchor plate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anchor bolts provid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anchor p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섯 번째 독립항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며,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접합 철골; 및 상기 접합 철골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철근과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패싱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fifth preferred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on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and an upper end thereof extends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 joining steel fram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and extending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being constructed; And a receiving plate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stee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섯 번째 독립항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며 슬래브 철근이 통과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로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웨브부로 구성된 접합 철골; 및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ㄷ'자형 브라켓 부재가 상기 웨브부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만큼 대칭 구조로 이격되 어 구성되는 안착 브라켓;을 포함한다.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pillar according to the sixth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ing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flange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lab reinforcement, and provided to connect across the flange portion and differen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 joining steel frame composed of a web part in which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And a mounting bracke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wherein the pair of 'c'-shaped bracket members are spaced apart in a symmetrical structure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eb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곱 번째 독립항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며 슬래브 철근이 통과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로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웨브부로 구성되고,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접합 철골; 및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ㄷ'자형 브라켓 부재가 상기 웨브부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만큼 대칭 구조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안착 브라켓;을 포함한다.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seventh independent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on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and an upper end thereof extends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flange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lab reinforcement, and provided to connect across the flange portion and differen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 joining steel frame composed of a web portion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extending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nd a mounting bracke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wherein the pair of 'c' shaped bracket members are spaced apart in a symmetrical structure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eb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접합 철골과,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패싱홀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패싱홀을 관통하여 연장된 연결 철근을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합 철골에 보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는 단계; 상기 연결 철근이 형성된 지점과 상응하는 위치의 하단부 바닥면에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안착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삽입공 내부로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보의 연결 철근이 삽입되도록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공 내부에 몰타르를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joining steel fram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the seating plat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are formed, Installing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ing a connecting rebar extending through the passing hole; Connecting an end of a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Pouring concrete into the joint and slab formwork and curing to build a joint and the slab structure; Connect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formed, vertically downward to the seating plat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the insertion hole Coupling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beam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filling the mortar with the insertion hole is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번째 방법 독립항에 따라 제공되는 건축 시공 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과,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수납공이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The construction method provided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method independent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is longitudinally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to expose the upper end, and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Installing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bonded steel fram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ed steel frame and an ancho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formed therein;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과, 상기 수납공과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콘크리트 몸체 하단부 바닥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앵커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앵커볼트를 상기 앵커 플레이트의 수납공으로 삽입하여 체결하는 단계;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대응하는 연결 철근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접합 철골에 보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접합부 및 상기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exposed, and a plurality of anchor bolt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hole. Connecting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to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to an upp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inserting the anchor bolt into the receiving hole of the anchor plate to fasten it; Interconnecting corresponding connecting bar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Connecting an end of a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And constructing and curing concrete at the joint and the slab formwork to build the joint and the slab struc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세 번째 방법 독립항에 따라 제공되는 건축 시공 방법 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과, 상기 접합 철골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철근과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패싱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을 포함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수납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 철근이 상기 수납 플레이트의 패싱홀을 관통하도록 결합하는 단계;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대응하는 연결 철근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접합 철골에 보의 단부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Building construction method provided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method independent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is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oncrete body to expose the upper end, and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Installing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joining steel frame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a receiv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steel frame;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exposed, is vertically downwar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late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onnecting to each other, wherein the connection reinforcing bars pass through the passing holes of the receiving plate; Interconnecting corresponding connecting bar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Coupling an end of the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And constructing the joints and the slab structure by pouring concrete and curing the joints and the slab formwork.

본 발명의 바람직한 네 번째 방법 독립항에 따라 제공되는 건축 시공 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며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접합 철골과,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수납공이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합 철골에 보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되, 상기 연결 철근과 접합 철골의 상단부가 축조된 슬래브 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앵커 플레이트에 형성된 수납공과 상응하는 위치의 하단부 바닥면에 복수개의 앵커볼트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앵커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안착시켜 상기 앵커볼트가 상기 수납공을 관통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동시에,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provided according to the fourth preferred method independent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is extend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a joint steel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and extending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nd an anchor plat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joint steel fram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Installing it; Connecting an end of a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Placing concrete on the joint and slab formwork and curing to build a joint and a slab structure such that the upper ends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nd the joining steel ar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tructed slab structure; The anchor bolt is seated vertically downward on the anchor plate upp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a plurality of anchor bolt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anchor plate. Passing through the receiving hole; And simultaneously fixing the anchor bolts and interconnecting connecting bar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섯 번째 방법 독립항에 따라 제공되는 건축 시공 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며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접합 철골과, 상기 접합 철골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철근과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패싱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합 철골에 보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되, 상기 연결 철근과 접합 철골 의 상단부가 축조된 슬래브 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연결 철근을 구비한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수납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안착시켜 상기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이 상기 패싱홀을 관통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provided according to the fifth preferred method independent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is extend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 connection steel bar, a connecting steel fram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and extending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nd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ar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steel bar and attached to the top of the connecting steel frame. Installing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n accommodating plate; Connecting an end of a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Placing concrete on the joint and slab formwork and curing to build a joint and a slab structure, such that the upper ends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nd the joining steel ar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tructed slab structure; Seating an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a connecting rebar vertically downward on an upper surface of a storage plate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so that connecting reinforcing bars of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penetrate the passing hole; And interconnecting connecting bar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섯 번째 방법 독립항에 따라 제공되는 건축 시공 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며 제1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로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웨브부로 구성된 접합 철골을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브라켓 부재가 상기 웨브부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만큼 대칭 구조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안착 브라켓을 포함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 위에 수직 하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웨브부는 상기 안착 브라켓에 있는 한 쌍의 브라켓 부재 사이에 삽입되도록 결합하는 단계;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대응하는 연결 철근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접합 철골에 보의 단부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 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Construction method provided according to the sixth preferred method independent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to expose the upper end, and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It is installed in, and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flange portion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and a web portion provided to connect across the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Installing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joining steel frame; 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is exposed, an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a pair of bracket members are the thickness of the web portion Connect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mounting bracket spaced apart in a symmetrical structure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ly downward direction on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wherein the web portion has a pair of brackets in the mounting bracket. Engaging to be inserted between the members; Interconnecting corresponding connecting bar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Coupling an end of the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And constructing the joints and the slab structure by pouring concrete and curing the joints and the slab formwor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곱 번째 방법 독립항에 따라 제공되는 건축 시공 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서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며 슬래브 철근이 통과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로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웨브부로 구성된 접합 철골을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합 철골에 보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되, 상기 연결 철근과 접합 철골의 상단부가 축조된 슬래브 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브라켓 부재가 상기 웨브부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만큼 대칭 구조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안착 브라켓을 포함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 리트 복합 기둥 위에 수직 하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웨브부는 상기 안착 브라켓에 있는 한 쌍의 브라켓 부재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provided according to the seventh preferred method independent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expose the upper end is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 pair of flanges and a flange having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connecting reinforcing rods extending long and extending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construct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rough which the slab reinforcing bars pass. Installing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joining steel frame which is provided to connect across the branch and includes a web part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Connecting an end of a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Placing concrete on the joint and slab formwork and curing to build a joint and a slab structure such that the upper ends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nd the joining steel ar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tructed slab structure; 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is exposed, an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a pair of bracket members are the thickness of the web portion Connect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mounting bracket spaced apart in a symmetrical structure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ly downwards on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wherein the web portion is a pair of Inserting between bracket members; And interconnecting connecting bar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연결 수단을 가지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a vertical connec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보를 따라 연장되는 슬래브 철근을 기둥과 만나는 지점에서 절단하지 않고, H형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계속 연장할 수 있으므로 슬래브 축조시 철근 배근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First, the slab reinforcing bars extending along the beam can be continuously extended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H-beam without cutting at the point where they meet the column, so the reinforcement work is very easy when the slab is constructed.

둘째, 슬래브 철근이 기둥을 관통하여 반대측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므로 용접 등을 통해 정착 길이를 확보하지 않고도 기둥 주변의 모멘트 강도 확보가 가능하다. 즉, 기둥을 중심으로 슬래브 철근이 양측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으므로 구조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slab reinforcing bars extend continuously to the opposite side through the colum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moment strength around the column without securing the fixing length through welding. In other words, the slab reinforcement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both sides around the pillar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and reliability.

셋째, 기둥의 단부에 구비된 수직 연결 수단을 통해서 상하부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기둥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과 작업효율이 우수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conveniently connect the vertical column arranged vertically through the vertical connection mean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lumn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workability and work efficiency and shorten the ai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면 1 및 도면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 1은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부분 확대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 2는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1 and 2 show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ure 1 shows a partial enlarged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Figure 2 shows a side view.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crete body And vertical connecting means provided at the end of (10).

상기 콘크리트 몸체(10)는 기둥 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 그 단면은 사각형 및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crete body 10 is preferably a portion constituting the pillar body, the cross section may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square and round.

또한,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길이는 건물의 층고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concrete body 10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building.

상기 연결 철근(12)은 콘크리트 몸체(10)의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 또는 코너부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며, 상단부는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면 위로 노출된 채로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연결 철근(12)의 위치가 반드시 본 발명과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is preferably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dge or corner of the concrete body 10, the upper end extend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10. However,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수직 연결 수단은 상하부에 배열되는 콘크리트 기둥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철근(12)을 비롯하여,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20)과, 상기 접합 철골(20)의 상면에 부착된 안착 플레이트(30)와, 상기 연결 철근(12)이 설치된 위치와 상응하도록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부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14)을 포함한다.The vertical connection means is for connecting the concrete columns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specifically, the connecting steel 12, including the connecting steel 12, the connecting steel 2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10, and the connecting steel ( A mounting plate 3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20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 is installed.

도면 3은 도면 2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는데 여기에는 상기 접합 철골(20)의 구성이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2,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the bonded steel frame 20 is shown in more detail.

상기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접합 철골(20)은 상호 나란한 한 쌍의 플랜지부(22)와, 상기 플랜지부(22)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웨브부(24)로 구성되며, 하단이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부에 매립된 채로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부에 매립판(embeded plate)(28)이 매립되고 그 상면에 접합 철골(20)의 하단을 용접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ogether, the joining steel frame 20 is composed of a pair of flange portions 22 parallel to each other, a web portion 24 connecting across the flange portion 22, the bottom is the concrete It may be fixed while embedded in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As another alternative, an embedded plate 28 may be embed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and the lower end of the joining steel 20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by weld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합 철골(20)에는 후술하는 슬래브 철근이 관통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16)(18)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은, 상기 접합 철골(20)의 플랜지부(22)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도면 1의 16)과, 상기 웨브부(24)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18)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 and 18 are formed in the joining steel frame 20 so that the slab reinforcing bar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enetrate. This through hole is composed of a first through hole (16 in Fig. 1)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22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and a second through hole 18 formed in the web portion 24. do.

상기 제1 관통공(16)과 제2 관통공(18)은 상호 다른 높이에 어긋나도록 형성되는데 이것은 각각의 관통공(16)(18)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슬래브 철근이 서로 간 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 관통공(16)을 관통하는 슬래브 철근은 제2 관통공(18)을 관통하는 슬래브 철근에 대해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된다.The first through hole 16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8 are formed to be shifted to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slab rebars extending through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16 and 18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For sake. Therefore, the slab rebars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16 extend at right angles with respect to the slab rebars penetrating the second through holes 18 at different heights.

상기 관통공(16)(18)의 개수는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기둥, 보 및 슬래브의 규모와 필요 강도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16 and 1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cale and required strength of the pillars, beams, and slabs.

또한, 상기 접합 철골(20)의 측면, 즉 상기 플랜지부(22)와 웨브부(24)의 측면에는 보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T형 브라켓(26)이 부착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shaped brackets 26 are attached to side surfaces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that is, side surfaces of the flange part 22 and the web part 24.

상기 T형 브라켓(26)은 체결공(26a)이 형성된 단면이 'T'자 형상의 철골 부재를 접합 철골(20)의 측면에 용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와같이 T형 브라켓(26)을 채용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T형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보를 연결하기 위해서이다.The T-shaped bracket 26 may be formed by welding a steel frame member having a 'T' shape having a fastening hole 26a to the side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 of the T-shaped bracket 26 as described above is for connecting the T-shaped steel-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beam as described below.

그러나 상기 브라켓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드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보의 단부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이면 어떠한 방식도 채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bracke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y manner can be employed as long as the configuration can be coupled by the end of the beam and the fastening member.

상기 안착 플레이트(30)는 접합 철골(20)의 상면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 부재로서,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콘크리트 기둥의 하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The seating plate 30 is a member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by welding, for example, a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concrete column connected to the upper part is seated and supported.

상기 안착 플레이트(30)에는 복수개의 패싱홀(3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패싱홀(32)은 상부로 연장되는 연결 철근(12)이 관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철근마다 그에 대응하는 하나의 패싱홀(32)을 관통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또 다른 대안으로서 복수개의 철근이 개별적인 패싱홀이 아니라 하나의 큰 패싱홀을 한꺼번에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32 are formed in the seating plate 30. The passing holes 32 pass through connecting bars 12 extending upwar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reinforcing bar is passed through a corresponding one passing hole 32, but as another alternative,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to penetrate one large passing hole at a time instead of an individual passing hole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figured.

한편,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부 바닥면에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30)의 패싱홀(32)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결 철근(12)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공(14)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공(14)은 연결 철근(12)이 형성된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연결 철근(12) 및 삽입공(14)의 위치와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호 연결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크기와 단면적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10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4 ar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extending through the passing hole 32 of the seating plate 30 is inserted It is. To this end, the insertion hole 1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 is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 and the insertion hole 14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size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onnected to each other.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에 있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슬래브 타설 전에 연결되거나 슬래브 타설 후에 연결될 수 있는데, 도면 1 내지 도면 3에서 설명한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후자에 속하는 경우이다.Th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pillars at the top and the bottom may be connected before or after slab casting, where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described in FIGS. 1 to 3 belong to the latter.

먼저,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제작된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공사 현장의 기초판 위에 설치한다. 이때,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이 기초판 위에 고착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기둥 설치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설치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구별하여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이라고 칭한다.First,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prepa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plate of the construction site.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is installed to be fixed on the base plate, this pillar install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d concrete column thus installed is referred to as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s distinguished from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stalled above.

이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보의 단부를 연결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보'는 철골(H형강) 자체 또는 철골(H형강)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체를 가리킨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는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T형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보(이하 'T형 복합보'라고 함)를 포함한다. The end of the beam is then connected to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eam' refers to a steel structure (H-beam) itself or a composite structure made of steel (H-beam) and concrete. More preferably, the beam includes a T-shaped steel-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be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shaped composite beam') as shown in FIG.

도면 4를 참조하면, 상기 T형 복합보는 단면이 T형인 철골(100)과, 상기 T형 철골(10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터럽(STIRRUP) 철근(102)과, 상기 T형 철골(100)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타설된 콘크리트 부재(10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T-shaped composite beam has a cross-section T-shaped steel frame 100, a stirrup rebar 102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T-shaped steel frame 100, and the T-shaped steel frame 100. A concrete member 104 that is poured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portion thereof.

상기 T형 철골(1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웨브(110)와, 상기 웨브(110)의 하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채로 연장되는 하부 플랜지(120)로 구성된다.The T-shaped steel frame 100 is composed of a web 110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wer flange 120 extending while connected at a right angle to the lower end of the web 110.

상기 콘크리트 부재(104)는 상기 T형 철골(100)의 웨브(11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120)를 매립하도록 일체로 타설되어 형성된다. The concrete member 104 is integrally poured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110 of the T-shaped steel frame 100 and the lower flange 120 is formed.

상기 콘크리트 부재(104)는 T형 철골(100)과 함께 휨응력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부재(104)는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횡단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휨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crete member 104 to effectively resist the bending stress and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with the T-shaped steel frame (100). In addition, the concrete member 104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bending stress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바람직하게, 상기 T형 복합보는 콘크리트 부재(104)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복수개의 매립 철근(106)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매립 철근(106)은 복합보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 및 압축 응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한다. Preferably, the T-shaped composite beam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embedded reinforcement 106 is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10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buried reinforcement 106 functions to resist tensile and compressive stresses acting on the composite beam.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T형 복합보의 콘크리트 부재(104)의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일부에 또는 전체에 걸쳐서 공동부(108)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공동부(108)는 단면이 역사다리꼴 또는 사각형 모양을 이룰 수 있으며, 콘크리트 부재(104) 제조시 공동부가 형성될 영역에 메탈래스(metal lath)를 설치 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동부(108)는 콘크리트 부재(104)의 적어도 일부에는 콘크리트를 채우지 않음으로써 복합보의 전체 무게를 줄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More preferably, a cavity 108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r the entirety of the concrete member 104 of the T-shaped composite beam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cavity 108 having an inverse cross section. It may have a trapezoidal or quadrangular shape, and may be formed by installing metal lath and pouring concrete in an area where a cavity is to be formed when manufacturing the concrete member 104. The cavity 108 reduces the overall weight of the composite beam by not filling concrete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crete member 104.

또한, 상기 T형 철골(100)의 웨브(110) 또는 하부 플랜지(120)에는 복수개의 스터드(112)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104)에 매립될 경우 T형 철골(100)과 콘크리트 부재(104)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web 110 or the lower flange 120 of the T-shaped steel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uds 112, when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104, T-shaped steel 100 and concrete member It serves to strengthen the combination of (104).

상기 T형 철골(100)의 양단부는 콘크리트 부재(104)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것은 콘크리트 복합보를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연결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노출된 T형 철골(100)의 단부에는 복수의 체결공(100a)이 형성되어 있다.Both ends of the T-shaped steel frame 100 remains exposed without being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104, which is to connect the concrete composite beam to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this e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00a are formed at ends of the exposed T-shaped steel frame 100.

지금까지 T형 복합보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시공될 수 있는 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제0640250호, 특허 제0761785호, 특허 제0761786호 등에 기재된 보가 모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o far, the configuration of the T-shaped composite beam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beam which can be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Patent No. 0040250, Patent No. 0761785, Patent No. 071786, and the lik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of the described beam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T형 복합보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보의 접합 철골(20)의 측면에 부착된 T형 브라켓(26)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도면 5 및 도면 6에 도시되어 있다. The T-shaped composite beam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coupled to the T-shaped bracket 26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onded steel frame 20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beam, which i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T형 복합보의 웨브(110)와 하부 플랜지(120)가 상기 T형 브라켓(26)의 웨브부 및 플랜지부와 각각 대응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연결 플레이트(130)를 체결공(26a)(100a)과 일치하도록 정렬시킨 후 체결볼트(132)를 삽입 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T형 복합보의 단부는 용접 또는 다양한 구조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상기 접합 철골(20)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ore specifically, the coupling plate 130 is fastened with the web 110 and the lower flange 120 of the T-shaped composite beam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web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T-shaped bracket 26, respectively. After the alignment to match the (26a) (100a) is fixed by inserting the fastening bolt 132. In addition, the end of the T-shaped composite beam can be connected to the joining steel 20 using a weld or a bracket of various structures, of course.

이상과 같이,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T형 복합보의 설치가 끝나면, 이어서 슬래브 철근과 거푸집을 설치한다. 도면 6 내지 도면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슬래브 철근(140)(150)을 배근하는 과정을 보여준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the T-shaped composite beam, the slab reinforcement and the formwork are subsequently installed. 6 to 8 show a process of reinforcing slab reinforcing bars 140 and 15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T형 복합보를 따라서 연장되는 슬래브 철근(140)(150)은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접합 철골(20)에 형성된 관통공(16)(18)을 통과하도록 배근된다. 즉, T형 복합보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슬래브 철근(140)은 접합 철골(20)의 플랜지부(22)에 형성된 제1 관통공(16)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제1 슬래브 철근(140)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슬래브 철근(150)은 접합 철골(20)의 웨브부(24)에 형성된 제2 관통공(18)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b reinforcing bars 140 and 150 extending along the T-shaped composite beam ar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16 and 18 formed in the joining steel frame 20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That is, the first slab reinforcing bar 140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ong the T-shaped composite beam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6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22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and the first slab reinforcing bar ( The second slab reinforcing bars 150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140 are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s 18 formed in the web part 24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이때, 제1 관통공(16)과 제2 관통공(18)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슬래브 철근(140)과 제2 슬래브 철근(150)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연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first through hole 16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8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the first slab reinforcing bar 140 and the second slab reinforcing bar 150 may extend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래브 철근(140)(150)은 보조 삽입 도구를 사용하여 관통공(16)(18)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보조 삽입 도구는 예를 들어, 도면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b reinforcing bars 140 and 15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16 and 18 using an auxiliary insertion tool, which auxiliary insertion tool is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삽입 도구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16)(18)에 삽입되는 반면, 타단부에는 슬래브 철근(140)(150)의 용이한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깔대기 형상의 유도부(200a)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관(200)과, 상기 삽입관(200)을 지지하기 위한 거치막대(21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one side of the auxiliary insertion tool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6 and 18, while the other end is for inducing easy insertion of the slab reinforcing bars 140 and 150. Insertion pipe 200 is formed with a funnel-shaped guide portion (200a) and may be composed of a mounting rod 210 for supporting the insertion pipe (200).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관(200)은 상면이 절개된 반원통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작업자는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200)의 일단부를 제1 및 제2 관통공(16)(18)에 소정 깊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유도부(200a)를 통해 슬래브 철근(140)(150)을 안착시킨 후 밀어 넣으면 관통공 내부로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sertion tube 200 has a semi-cylindrical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thereof is cut off, and thus, the operator may have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6 at the one end of the insertion tube 200 as shown in FIG. 6.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predetermined depth (18), the slab reinforcing bars 140, 150 through the induction portion 200a is seated and then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삽입관(200)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철근을 동시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개의 삽입관(200)들은 거치막대(220)의 선단에 연결된 거치대(230) 상에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거치대(230)에는 장공(231)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삽입관(200)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예를 들어, 위치 설정된 삽입관(200)은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3,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a plurality of rebars at the same time using a plurality of insertion pipes (20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nsertion pipes 200 are disposed at appropriate intervals on the cradle 230 connected to the tip of the cradle 220. That is, the holder 230 has a long hole 231 is formed, the end of the insertion pipe 200 is coupled to be slidable, for example, the insertion tube 200 is positioned in the bolt-nut coupling Can be fixe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대(230)에는 눈금이 새겨져 있어서 삽입관(200)의 간격을 눈금에 맞추어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radle 230 is engraved on the scale can be accurately set according to the interval of the insertion tube 200.

이상과 같이, T형 복합보와 슬래브 철근(140)(15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슬래브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 설치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도면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복합보와 접합 철골(20)이 연결된 지점에 보조 거푸집(300)이 설치되고, 상기 T형 복합보의 콘크리트 부재(104) 위에는 데크 플레이트 또는 프리캐스트 슬래브(미도시)가 거치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통상적으로 크랭크 철근과 일체로 제작되어 공급되는데 그 구성 및 기능은 당해 업계에 이미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formwork for slab casting is installed in the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T-shaped composite beam and the slab reinforcing bars 140 and 150 is complete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An auxiliary formwork 300 is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steel frame 20 is connected, and a deck plate or a precast slab (not shown) is mounted on the concrete member 104 of the T-shaped composite beam. The deck plate is typically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crank reinforcing bar and its configuration and function are already well known in the art,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설치와 함께 필요한 경우 추가적으로 슬래브 보강 철근을 더 배근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deck plate can further reinforce the slab reinforcement.

상기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와 보조 거푸집(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그 위에 콘크리트를 부어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한다. 도면 11은 이렇게 축조된 슬래브 구조물의 예를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옅은 실선으로 표시된 영역은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deck plate and the auxiliary formwork 30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crete is poured on it to build a slab structure. 11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such a constructed slab structure. Here, the area indicated by the light solid line represents a part which is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and is not actually visibl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슬래브 구조물을 타설한 상태에서 안착 플레이트(30)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30)를 관통하여 연장된 연결 철근(12)이 슬래브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노출된 안착 플레이트(30)와 연결 철근(12)을 이용하여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결합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lab structure is po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bar 12 extending through the seating plate 30 and the seating plate 30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Therefore,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coupled using the exposed seating plate 30 and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이를 위해, 결합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도면 11 및 도면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의 바닥에 형성된 삽입공(14) 내부로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보의 연결 철근(12)이 삽입되고, 이로써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도면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플레이트(30) 상에서 제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to be joined are join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top, as shown in FIGS. 11 and 12. At this time,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bea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10 in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whereby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shown in Figure 13 As shown in FIG. 3, the mounting plate 30 may be positioned on the seating plate 30.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철근(12)의 길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몸체(10) 하단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공(14)에 삽입되기에 적절한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 is set to an appropriate level to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4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이어서, 상기 연결 철근(12)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 공(14) 내부에 몰타르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in order to fix the connecting rod 12 more firmly, it is preferable to inject mortar into the insertion hole 14.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상단부에도 접합 철골과 T형 브라켓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보를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상부층 슬래브를 축조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end of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provided with a joining steel frame and a T-bracket, the upper layer slab can be constructed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beam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도면 14 내지 도면 1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사시도 및 일부확대도이고, 도면 15는 정면도, 그리고 도면 16은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 15와 16에서 커플러는 생략되었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14 to 16 show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5 is a front view, and FIG. 16 is a plan view, respectively. Couplers are omitted in FIGS. 15 and 16. In addition, in thes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previously shown drawing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20)과, 상기 접합 철골(20)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수납 플레이트(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crete body The joining steel frame 20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10, and the storage plate 70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is inclu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철근(12)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수납 플레이트(70)를 관통하지 않으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노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철근(12)의 노출 길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을 커플러로 연결하기에 적절한 정도로 설정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 does not penetrate the receiving plate 70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expos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At this time, the exposed length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 is set to an appropriate level to connect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with a coupler as described below.

상기 접합 철골(20)은, 앞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플랜지부(22)와 웨브부(24)로 구성되며, 그 하단이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부에 매립되거나 또는 매립판(28)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합 철골(20)의 플랜지부(22)와 웨브부(24)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제1 관통공(16)과 제2 관통공(1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복수의 T형 브라켓(26)이 부착되어 있다.The joining steel 20, like the previous embodiment, is composed of a pair of flange portion 22 and the web portion 24, the lower end is embed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or embedded plate ( 28 is fixed by welding. In addition, the flange portion 22 and the web portion 24 of the joining steel 20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16 and a second through hole 18 at different height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thereof. T-shaped bracket 26 is attached.

상기 수납 플레이트(70)는 접합 철골(20)의 상단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 부재로서, 그 상면에는 수직으로 연결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하단부 바닥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The receiving plate 70 is a member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for example, by welding, and is a part of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onnected vertically is seated and supported.

또한, 상기 수납 플레이트(70)에는 복수개의 패싱홀(7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이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싱홀(70a)은 연결 철근(12')이 매립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70a are formed in the receiving plate 70, and the connecting bars 12 ′ of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vertically connected therethrough are penetrated therein. Therefore, the passing hole 70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are embedded.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이 도면 17 및 도 2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에 있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슬래브 타설 전에 서로 연결되는데 이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A process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S. 17 and 2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t the top and the botto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fore slab cast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가진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공사 현장의 기초판 위에 설치한다. 이때,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이 기초판 위에 고착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부에는 연결 철근(12) 등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bottom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plate of the construction site.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is installed to be fixed on the base plate, for this purpose,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may not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reinforcement 12 or the like.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설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면 다양한 시공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can be applied.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면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연결한다. 즉,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수납 플레이트(70)를 향해 상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결합되며, 이때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하단부로 노출되어 있는 연결 철근(12')은 상기 수납 플레이트(70)에 형성된 패싱홀(70a)을 관통하게 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completed,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connected thereto, as shown in FIG. 17. That is,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coupl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top toward the storage plate 70, wherein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formed in the storage plate 70. It passes through the passing hole 70a.

동시에,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들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bars 12 'and 12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placed in corresponding positions.

그러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은 커플러(C)로 연결된다. 상기 커플러(C)는 연결 철근(12)(12')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도구로서 이미 당해 업계에서는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상세한 기능이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n, as shown in FIG. 18, the connecting bars 12 ′ and 12 ′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connected to the coupler C. The coupler (C) is a tool for interconnecting by usi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and 12 ', and thus a detailed function o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부위에 예컨대, 도 19와 같이 T형 복합보의 단부를 연결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접합 철골(20)에 부착된 T형 브라켓(26)에 상기 T형 복합보의 T형 철골(100)을 연결 플레이트(130)와 체결볼트(132)를 사용하여 체결한다.Then, the ends of the T-shaped composite beam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ite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shaped steel frame 100 of the T-shaped composite beam using the connecting plate 130 and the fastening bolt 132 to the T-shaped bracket 26 attached to the joining steel 20 Tighten by

그런 다음,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접합 철골(20)에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공(16)(18)을 통과하도록 슬래브 철근(140)(150)을 배근하는 동 시에, 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완성한다. 이런 과정으로 완성된 슬래브 구조물은 도면 2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옅은 실선으로 표시된 영역은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다.Then, as shown in Figure 19 and 20, copper slab reinforcing bars 140, 150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6, 18 formed in the joining steel frame 20 In the city, a slab formwork is installed and concrete is poured on it to complete the slab structure. The slab structure completed by this process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Here, the area indicated by the light solid line represents a part which is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and is not actually visible.

이어서,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상단부에도 접합 철골과 T형 브라켓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보를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상부층 슬래브를 축조할 수 있다.Subsequently, since the upper end of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provided with a joining steel frame and a T-shaped bracket, the upper layer slab can be constructed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beam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도면 22 내지 도면 24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22 to 24 show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20)과, 상기 접합 철골(20)의 상면에 부착된 앵커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is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body 10, and the concrete body Bonding steel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10, and the anchor plate 4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steel 2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철근(12)은 앵커 플레이트(40)를 관통하지 않으며, 양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연장되어 있고, 그 노출 길이는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을 커플러로 연결하기에 적절한 정도로 설정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 does not penetrate the anchor plate 40, and both ends thereof are extended to be expos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and the exposed length thereof is the upper part. And it is set to a suitable degree to connect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with a coupler.

상기 접합 철골(20)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플랜지부(22)와 웨브부(24)로 구성되며, 그 하단이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부에 매립되거나 또는 매립판(28)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 철골(20)의 플랜지부(22)와 웨브부(24)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제1 관통공(16)과 제2 관통공(1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복수의 T형 브라켓(26)이 부착되어 있다.The joining steel frame 20,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pair of flange portion 22 and the web portion 24, the lower end is embed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or embedded plate 28 Can be fixed by welding. In addition, the flange portion 22 and the web portion 24 of the joining steel 20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16 and a second through hole 18 at different height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thereof. T-shaped bracket 26 is attached.

상기 앵커 플레이트(40)의 상면에는 수직으로 연결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하단부 바닥면이 거치되는데, 여기에는 복수개의 수납공(40a)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4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vertically connected,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40a) is formed.

한편,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부 바닥면에는, 상기 앵커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수납공(40a)에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앵커볼트(50)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앵커볼트(50)는 헤드부(미도시)가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부 바닥면에 매립되는 동시에 몸체부가 하방으로 노출되어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별도의 매립 플레이트(5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매립 플레이트(52)는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부 바닥면에 매립되어 있으며, 앵커볼트(50)의 몸체부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10, a plurality of anchor bolts 50 ar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hole 40a formed in the anchor plate 40. Preferably, the anchor bolt 50 is installed so that the head portion (not shown) is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at the same time the body portion is exposed to extend downward, more preferably to reinforce the rigidity The buried plate 52 may be further provided. The buried plate 52 is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body portion of the anchor bolt 50 is 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이 도면 25 및 도면 26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 시공 방법에 있어서도, 상부와 하부에 있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슬래브 타설 전에 미리 연결된다.A process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S. 25 and 26. Also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t the top and bottom are connected in advance before slab casting.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공사 현장의 기초판 위에 설치한다.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plate of the construction site.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면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연결한다. 즉,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앵커 플레이트(40)를 향해 상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결합되며, 이때 상기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부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의 앵커볼트(50)는 상기 앵커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수납공(40a)으로 삽입되고,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들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ure 25 to connect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thereon. That is,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coupl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top toward the anchor plate 40, wherein a plurality of anchor bolts 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in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40a formed in the anchor plate 40, and thus, the connecting bars 12 'and 12'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plac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그러면, 상기 수납공(40a)으로 삽입된 앵커볼트(50)는, 도면 26에 도시된 것처럼, 너트(54)로 조여서 고정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들은 커플러(C)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Then, the anchor bolt 5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40a is fixed by tightening with a nut 54, as shown in FIG. 26, connecting bars 12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 12) are interconnected by a coupler (C).

상기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이 연결된 상태에서, 이후 T형 복합보의 단부를 연결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슬래브를 타설하는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pouring the slab after connecting the ends of the T-shaped composite beam and installing the formwork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us,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hall be.

도면 27 내지 도면 30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사시도 및 일부확대도이고, 도면 28은 정면도, 도면 29는 평면도, 그리고 도면 30은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27 to 30 show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8 is a front view, FIG. 29 is a plan view, and FIG. 30 is a bottom view, respectively. In addition, in thes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previously shown drawing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 골(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is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body 10, and the concrete body It includes a joining steel frame 2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철근(12)은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노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노출 길이는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을 커플러로 연결하기에 적절한 정도이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exposed from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the exposure length is to connect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with a coupler To the appropriate degree.

상기 접합 철골(20)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플랜지부(22)와 웨브부(24)로 구성되며, 그 하단이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부에 매립되거나 또는 매립판(28)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 철골(20)의 플랜지부(22)와 웨브부(24)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제1 관통공(16)과 제2 관통공(1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복수의 T형 브라켓(26)이 부착되어 있다.The joining steel frame 20,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pair of flange portion 22 and the web portion 24, the lower end is embed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or embedded plate 28 Can be fixed by welding. In addition, the flange portion 22 and the web portion 24 of the joining steel 20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16 and a second through hole 18 at different height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thereof. T-shaped bracket 26 is attach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합 철골(20)의 플랜지부(22)와 웨브부(24)에는 관통공 외에도 복수의 체결공(22a)(2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착 브라켓(60)과 볼트로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a and 24a are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22 and the web portion 24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in addition to the through holes. Bracket 60 and is for coupling to each other with a bolt.

한편,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부 바닥면에는 안착 브라켓(60)이 구비되는데, 상기 안착 브라켓(60)은 대칭적인 구조로 상호 소정 간격(D)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ㄷ'자형 브라켓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 부재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체결공(60a)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bracket 60, the mounting bracket 60 is a symmetrical structure of a pair of 'c'-shaped bracke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It is composed of members. In addition, the bracket member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60a for bolting.

상기 한 쌍의 브라켓 부재 사이의 간격(D)은 상기 접합 철골(20)의 웨브부(24)의 두께에 상당한다. 따라서, 상기 접합 철골(20)을 안착 브라켓(60)에 결합시키게 되면, 웨브부(24)는 상기 한 쌍의 브라켓 부재 사이에 삽입되면서 안착되는 동시에 플랜지부(22)는 상기 한 쌍의 브라켓 부재 중에서 양단 굴곡부와 접촉하게 된다.The spacing D between the pair of bracket members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web portion 24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Therefore, when the joining steel frame 20 is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60, the web portion 24 is seated while being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bracket members, while the flange portion 22 is the pair of bracket members.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bent.

상기 안착 브라켓(60)은 콘크리트 몸체(10) 하단부 바닥면에 매립에 의해 고정되거나,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 매립되어 있는 매립판(29)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60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10 by embedding, or preferably by welding to the buried plate 29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이 도면 31 및 도 3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 시공 방법에 있어서도, 상부와 하부에 있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슬래브 타설 전에 미리 연결된다.A process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S. 31 and 32. Also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t the top and bottom are connected in advance before slab casting.

본 실시예의 구성을 가진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공사 현장의 기초판 위에 설치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foundation plate of the construction sit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설치된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 위에 도면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수직 하방향으로 연결한다. 이때, 접합 철골(20)의 웨브부(24)는 안착 브라켓(60)에 있는 한 쌍의 브라켓 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동시에 플랜지부(22)는 한 쌍의 브라켓 부재에 있는 양단 굴곡부와 접촉하게 된다.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s shown in FIG. 31. At this time, the web portion 24 of the joining steel 20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bracket members in the mounting bracket 60, and at the same time the flange portion 22 is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bent portion of the pair of bracket members. do.

이 상태에서, 도 32와 같이 서로 일치하도록 정렬된 접합 철골(20)의 체결공(22a)(24a)과 한 쌍의 브라켓 부재의 체결공(60a)에 체결볼트(134)를 삽입하여 상호 고정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결합력을 더욱 보강하기 위해서 상기 접합 철골(20)과 매립판(29) 또는 안착 브라켓(60)의 접촉부를 용접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state, the fastening bolts 134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22a and 24a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and the fastening holes 60a of the pair of bracket members align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Done. Preferably, it is also possible to weld the contact portion of the joining steel 20 and the buried plate 29 or seating bracket 60 to further reinforce the bonding force.

또한,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들은 상호 커플러(C)에 의해 연결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bars 12 'and 12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connected by the mutual coupler (C).

상기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이 연결된 상태에서, 이후 T형 복합보의 단부를 연결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슬래브를 타설하는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pouring the slab after connecting the ends of the T-shaped composite beam and installing the formwork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us,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hall be.

도면 3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3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20A)과, 상기 접합 철골(20A)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수납 플레이트(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A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crete body The joining steel 20A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10, and the storage plate 70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joining steel 20A are inclu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철근(12A)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수납 플레이트(70)를 관통하지 않으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노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 철근(12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과 커플러로 연결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A do not penetrate the receiving plate 70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expos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A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of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by a coupler as described below.

상기 접합 철골(20A)은 한 쌍의 플랜지부(22A)와 웨브부(24A)로 구성되며, 그 하단이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부에 매립되거나 또는 매립판(28)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The joining steel 20A is composed of a pair of flange portion 22A and a web portion 24A, the lower end of which is embed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10 or fixed by welding to the buried plate 28 have.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접합 철골(20A)의 플랜지부(22A)와 웨브부(24A)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제1 관통공(16)과 제2 관통공(18)이 각각 형성 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복수의 T형 브라켓(26)이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through hole 16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8 are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22A and the web portion 24A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at different heights, respectively. On the side, a plurality of T-shaped brackets 26 are attach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합 철골(20A)과 연장 철근(12A)의 길이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합 철골(20A)과 연결 철근(12A)의 상단부는 슬래브가 축조된 후에 슬래브 상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and the extending reinforcing bar 12A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Therefore,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A are kept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fter the slab is constructed.

이것은 상부 및 하부에 있는 연결 철근(12')(12A)들을 커플러(C)로 연결할 때 작업자가 슬래브 위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 예방에도 매우 유리하다.This is not only convenient, but also very advantageous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since the operator can perform work on the slab when connecting the connecting bars 12 'and 12A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with the coupler C.

상기 수납 플레이트(70)는 접합 철골(20A)의 상단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 부재로서, 그 상면에는 수직으로 연결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하단부 바닥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The receiving plate 70 is a member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for example, by welding, and is a part o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onnected vertically is seated and supported.

또한, 상기 수납 플레이트(70)에는 수직으로 연결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구비된 연결 철근(12')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패싱홀(70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late 7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70a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bars 12 'provided in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onnected vertically.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이 도면 34 내지 도 38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에 있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슬래브 타설 후에 연결된다.A process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S. 34 to 38.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t the top and the bottom are connected after slab casting.

구체적으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을 가진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공사 현장의 기초판 위에 설치하고, 상기 접합 철골(20A)에 T형 복합보의 단부를 연결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34,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nects the end of the T-shaped composite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20A.

그런 다음, 상기 접합 철골(20A)에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공(16)(18)을 통과하도록 슬래브 철근(140)(150)을 배근하는 동시에, 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완성한다. 이런 과정으로 완성된 슬래브 구조물은 도면 3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옅은 실선으로 표시된 영역은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다.Then, the slab reinforcing bars 140 and 150 ar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6 and 18 formed in the joining steel frame 20A, and at the same time, a slab formwork is installed and concrete is placed thereon. To finish the slab structure. The slab structure completed by this process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35. Here, the area indicated by the light solid line represents a part which is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and is not actually visible.

본 실시예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도 35에서 알 수 있듯이, 접합 철골(20A)과 연결 철근(12A)의 상단부가 슬래브 상면 위로 노출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is embodiment, as can be seen in Figure 35, the upper end of the joining steel 20A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A is expose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상기와 같이 슬래브 축조가 완료되면, 도면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연결한다. 즉,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수납 플레이트(70)를 향해 상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결합되며, 이때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하단부로 노출되어 있는 연결 철근(12')은 상기 수납 플레이트(70)에 형성된 패싱홀(70a)을 관통하게 된다.When the slab construc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36 to connect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thereon. That is,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coupl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top toward the storage plate 70, wherein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formed in the storage plate 70. It passes through the passing hole 70a.

동시에,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A)들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고, 그러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A)은 커플러(C)로 연결된다.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bars 12 'and 12A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placed in corresponding positions, and then the connecting bars 12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pillars are shown in FIG. 12A is connected to the coupler C.

이어서, 도 38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연결 철근(12')(12A)이 연결된 부분에 거푸집(310)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 하단부를 마무리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8, the formwork 310 is installed at the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and 12A are connected, and the concrete is poured to finish the column bottom.

도면 39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 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Figure 39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22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며, 다만 접합 철골과 연장 철근의 길이가 상이할 뿐이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2, except that the lengths of the bonded steel frame and the extended reinforcing bars are different.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20A)과, 상기 접합 철골(20)의 상면에 부착된 앵커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A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body 10, and the concrete body 10 20A and the anchor plate 4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접합 철골(20A)과 연장 철근(12A)의 길이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합 철골(20A)과 연결 철근(12A)의 상단부는 슬래브가 축조된 후에 슬래브 상면으로 노출된다.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and the extending reinforcing bar 12A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Therefore, the upper ends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A ar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fter the slab is constructed.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T형 복합보를 연결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축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lab using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40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ab is constructed by placing concrete after connecting the T-shaped composite beam to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installing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도, 접합 철골(20A)과 연결 철근(12A)의 상단부가 축조된 슬래브 상면 위로 노출되어 있으며, 그 위에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연결하게 된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A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ilt slab, and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connected thereon.

이때 상기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 부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의 앵커볼트(50)는 상기 앵커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수납공(40a)으로 삽입되고 이것을 너트(54)로 조여서 고정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A)들은 커플러(C)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anchor bolts 50 formed on the bottom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10 in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40a formed in the anchor plate 40 and this nut 54 Tighten to fix.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bars 12 'and 12A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interconnected by a coupler C.

이어서, 상기 연결 철근(12')(12A)이 연결된 부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 하단부를 마무리하는 공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Subsequently,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ormwork at the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and 12A are connected and placing concrete to finish the lower end of the colum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면 4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4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even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27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며, 다만 접합 철골과 연장 철근의 길이가 상이할 뿐이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7, except that the lengths of the bonded steel frame and the extended reinforcing bar are different.

즉,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20A)을 포함한다.That is,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A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body 10, and the concrete body 10 It includes a joining steel frame 20A installed on the top.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접합 철골(20A)과 연장 철근(12A)의 길이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합 철골(20A)과 연결 철근(12A)의 상단부는 슬래브가 축조된 후에 슬래브 상면으로 노출된다.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and the extending reinforcing bar 12A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Therefore, the upper ends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A ar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fter the slab is constructed.

또한, 상기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부 바닥면에는 안착 브라켓(60)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 브라켓(60)은 대칭적인 구조로 상호 소정 간격(D)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ㄷ'자형 브라켓 부재로 구성되는 점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bracket 60, the mounting bracket 60 is a symmetrical structure of a pair of 'c' shaped bracke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The point comprised by a member is the same as that of the Example mentioned above.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의 일부 공정이 도 40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도, 접합 철골(20A)과 연결 철근(12A)의 상단부가 축조된 슬래브 상면 위로 노출되어 있으며, 그 위에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연결하게 된다. Part of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lab using th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in FIG. 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A ar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ilt slab, and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s connected thereon.

이때, 접합 철골(20A)의 웨브부(24)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 있는 안착 브라켓(60)에 구비된 한 쌍의 브라켓 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동시에 플랜지부(22)는 한 쌍의 브라켓 부재에 있는 양단 굴곡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접합 철골(20A)의 체결공(22a)(24a)과 한 쌍의 브라켓 부재의 체결공(60a)에 체결볼트를 삽입하여 상호 고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web portion 24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bracket members provided in the seating bracket 60 in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at the same time the flange portion 22 is a pair of brackets It comes into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bend in the member. In this state, the fastening bolts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22a and 24a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A and the fastening holes 60a of the pair of bracket members to be fixed to each other.

또한,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A)들은 상호 커플러(C)에 의해 연결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bars 12 'and 12A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connected by mutual couplers C.

이어서, 상기 연결 철근(12')(12A)이 연결된 부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 하단부를 마무리하는 공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Subsequently,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ormwork at the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and 12A are connected and placing concrete to finish the lower end of the colum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콘크리트 몸체(10)의 상단에 접합 철골(20)이 구비된 구성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대안으로서, 본 발명은 접합 철골이 콘크리트 몸체(10)의 하단에 구비된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합 철골과 이에 대응하는 연결 부재의 위치만 다를 뿐이고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연결하는 과정은 동일하므로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들 기둥을 연결하는데 특별한 곤란이나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즉,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서로 연결하고 이들의 연결부에 T형 복합보를 연결한 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은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fo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joining steel frame 2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10, as another alternative, the present invention is reinforced concret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10. The same applies to composite columns. In this case, only the positions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the corresponding connecting member are different, and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s is the same, so those skilled in the art have special difficulties or difficulties in connecting these columns. There will be no. That is,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s to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 T-shaped composite beams to their connections and then installing the formwork and placing concrete can be easily carried out from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these drawings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도면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형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T-shaped steel-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5 내지 도면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5 to 7 are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부 평면도이다.8 is a schematic partial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슬래브 철근을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보조 도구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uxiliary tool for easily inserting the slab reinforcement when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10 내지 도면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10 to 13 are som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15 is a front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6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17 내지 도면 2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17 to 21 are som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2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Figure 23 is a front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24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25 및 도면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 이다.25 and 26 are som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2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28 is a front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29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30 is a bottom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31 및 도면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31 and 32 are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3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34 내지 도면 3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34 to 38 are partial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3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3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4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 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40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4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even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4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42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concret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 seven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43은 본 발명에 따라 슬래브 철근을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보조 도구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4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auxiliary tool for easily inserting a slab re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4)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접합 철골(20);Joining steel frame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패싱홀(32)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 플레이트(30); A mounting plate 30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having a passing hole 32 formed therein;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패싱홀을 관통하여 연장된 연결 철근(12); 및A connection reinforcing rod 12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through the passing hole; And 상기 연결 철근(12)이 형성된 지점과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omprising a;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4)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싱홀(32)은 복수개의 연결 철근이 하나의 패싱홀을 한꺼번에 관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 The passing hole 32 is a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re configured to pass through one passing hole at a time.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20);Joining steel frame 2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수납공(40a)이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40); 및An anchor plate 40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40a formed therein; And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앵커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수납공(40a)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앵커볼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omprising a; a plurality of anchor bolts (50)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hole (40a) formed in the anchor plate 40,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매립되는 헤드부와, 바닥면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연장된 몸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The anchor bolt is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head portion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the body portion is exposed to extend below the bottom surface.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20); 및Joining steel frame 2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And 상기 접합 철골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철근과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패싱홀(70a)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 플레이트(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el frame, the receiving plate 7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70a)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A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engthwise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and an upper end thereof extending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며,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접합 철골(20A);A joining steel frame 20A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and extending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수납공(40a)이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40); 및An anchor plate 40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40a formed therein; And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앵커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수납공(40a)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앵커볼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omprising a; a plurality of anchor bolts (50)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hole (40a) formed in the anchor plate 40,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A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engthwise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and an upper end thereof extending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며,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접합 철골(20A); 및A joining steel frame 20A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and extending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nd 상기 접합 철골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철근과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패싱홀(70a)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 플레이트(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el frame, the receiving plate 7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70a)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접합 철골은, The joining steel frame,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며 슬래브 철근이 통과하는 제1 관통공(16)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22); 및A pair of flange parts 22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16 through which the slab rebars pass; And 상기 플랜지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로 제2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는 웨브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omprising a; web portion 24 provided to connect across the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8) is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접합 철골의 측면에 부착된 복수의 T형 브라켓(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T-type brackets (26) attached to the side of the joining steel frame.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며 슬래브 철근이 통과하는 제1 관통공(16)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22)와, 상기 플랜지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로 제2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는 웨브부(24)로 구성된 접합 철골(20); 및A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flange portion 22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16 through which the slab reinforcement, and provided to connect across the flange portion A joining steel frame 20 having a web part 24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18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ㄷ'자형 브라켓 부재가 상기 웨브부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만큼 대칭 구조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안착 브라켓(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It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a pair of 'c'-shaped bracket member is a mounting bracket 60 which is spaced apart in a symmetrical structure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eb portion;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pillars.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A 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양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A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engthwise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and an upper end thereof extending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며 슬래브 철근이 통과하는 제1 관통공(16)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22)와, 상기 플랜지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로 제2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는 웨브부(24)로 구성되고,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접합 철골(20A); 및A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flange portion 22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16 through which the slab reinforcement, and provided to connect across the flange portion A joining steel frame 20A which is composed of a web portion 24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18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extending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nd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ㄷ'자형 브라켓 부재가 상기 웨브부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만큼 대칭 구조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안착 브라켓(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It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a pair of 'c'-shaped bracket member is a mounting bracket 60 which is spaced apart in a symmetrical structure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eb portion;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pillars.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상기 접합 철골의 측면에 부착된 복수의 T형 브라켓(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T-type brackets (26) attached to the side of the joining steel frame.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접합 철골(20)과,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패싱홀(32)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 플레이트(3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패싱홀을 관통하여 연장된 연결 철근(12)을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joining steel frame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and the seating plate 3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frame and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32 are formed And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ing a connecting reinforcement 12 extending through the passing hole; 상기 접합 철골(20)에 보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the end of the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20);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는 단계; Pouring concrete into the joint and slab formwork and curing to build a joint and the slab structure; 상기 연결 철근(12)이 형성된 지점과 상응하는 위치의 하단부 바닥면에 복수개의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안착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삽입공(14) 내부로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보의 연결 철근이 삽입되도록 결합하는 단계; 및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connecting reinforcing rod 12 is formed,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late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onnecting to, but coupled to insert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beam into the insertion hole (14); And 상기 삽입공(14) 내부에 몰타르를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filling the mortar into the insertion hole (14).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20)과,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수납공(40a)이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40)를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end is exposed, the joining steel 20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and the joining Installing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n anchor plate 40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tee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40a formed therein;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과, 상기 수납공(40a)과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콘크리트 몸체 하단부 바닥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앵커볼트(50)를 포함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앵커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앵커볼트(50)를 상기 앵커 플레이트(40)의 수납공(40a)으로 삽입하여 체결하는 단계;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2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exposed, and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hole 40a. Connect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plurality of anchor bolts 50 provided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the anchor bolt 50 to the anchor plate 40 Inserting into the receiving hole 40a of the fastening step;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대응하는 연결 철근(12')(12)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Interconnecting corresponding connecting bars 12 'and 12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상기 접합 철골(20)에 보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the end of the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20);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And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Building the joint and slab structure by pouring concrete and curing the joint and slab formwork;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20)과, 상기 접합 철골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철근과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패싱홀(70a)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 플레이트(70);를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end is exposed, the joining steel 20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body, and the joining Installing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storage plate (70)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stee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70a)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bars;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을 포함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수납 플레이트(70) 상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 철근(12')이 상기 수납 플레이트의 패싱홀(70a)을 관통하도록 결합하는 단계;An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reinforcement 12 ′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exposed, a storage plate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 70) connecting to the upper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upling reinforcing bars (12 ') to pass through the passing hole (70a) of the receiving plate;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대응하는 연결 철근(12')(12)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Interconnecting corresponding connecting bars 12 'and 12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상기 접합 철골(20)에 보의 단부를 결합하는 단계;Coupling an end of the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20);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And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Building the joint and slab structure by pouring concrete and curing the joint and slab formwork;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며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접합 철골(20A)과, 상기 접합 철골의 상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수납공(40a)이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40)를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rod 12A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is extend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built, an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And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joining steel 20A extending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nd an anchor plate 40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teel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40a formed therein. Installing; 상기 접합 철골(20A)에 보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the end of the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20A);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되, 상기 연결 철근과 접합 철골의 상단부가 축조된 슬래브 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Placing concrete on the joint and slab formwork and curing to build a joint and a slab structure such that the upper ends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nd the joining steel ar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tructed slab structure; 앵커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수납공(40a)과 상응하는 위치의 하단부 바닥면에 복수개의 앵커볼트(50)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앵커 플레이트(40) 상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안착시켜 상기 앵커볼트가 상기 수납공을 관통하도록 하는 단계; 및Anchor plate 40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to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a plurality of anchor bolts 5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hole 40a formed in the anchor plate 40 Se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upper surface of the anchor bolt to penetrate the receiving hole; And 상기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동시에,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A)들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Simultaneously fixing the anchor bolts and interconnecting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 (12A)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며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접합 철골(20A)과, 상기 접합 철골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철근과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패싱홀(70a)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 플레이트(70)를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rod 12A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is extend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built, an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And a receiving steel plate 20A extending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nd a receiving plate 70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70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steel bar. Installing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comprising a); 상기 접합 철골(20A)에 보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the end of the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20A);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되, 상기 연결 철근과 접합 철골의 상단부가 축조된 슬래브 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Placing concrete on the joint and slab formwork and curing to build a joint and a slab structure such that the upper ends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nd the joining steel ar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tructed slab structure; 연결 철근(12')을 구비한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수납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안착시켜 상기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이 상기 패싱홀을 관통하도록 하는 단계; 및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is seated vertically down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late of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so that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 of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are connected to the passing holes. Penetrating; And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A)들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And connecting interconnecting bars (12 ') (12A)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7, 상기 접합 철골은,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며 제1 관통공(16)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22)와, 상기 플랜지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로 제2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는 웨브부(24)를 포함하고,The joining steel frame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flange portion 22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16, and is provided to connect across the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to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 web portion 24 having a through hole 18 formed therein,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제1 및 제2 슬래브 철근(140)(150)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And install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lab reinforcing bars (140) (150)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respectively.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1 및 제2 슬래브 철근은,The first and second slab reinforcement, 일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에 삽입되는 반면, 타단부에는 상기 슬래브 철근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깔대기 형상의 유도부(200a)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관(200)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One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while the other end portion is formed using an insertion tube 200 having a funnel-shaped guide portion 200a for inducing the insertion of the slab reinforcement.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며 제1 관통공(16)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22) 및 상기 플랜지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로 제2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는 웨브부(24)로 구성된 접합 철골(20)을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2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end is exposed, and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ody, provided side by side A web portion having a pair of flange portions 22 having a first through hole 16 formed therebetween and a second through hole 18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Installing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joining steel frame 20 composed of 24);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브라켓 부재가 상기 웨브부(24)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만큼 대칭 구조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안착 브라켓(60)을 포함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 합 기둥 위에 수직 하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웨브부(24)는 상기 안착 브라켓(60)에 있는 한 쌍의 브라켓 부재 사이에 삽입되도록 결합하는 단계;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reinforcement 12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oncrete body so that the lower end is exposed, and a pair of bracket members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While connecting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seating bracket 60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in a symmetrical structure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eb portion 24, vertically downward on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Engaging the web portion 24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a pair of bracket members in the seating bracket 60;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대응하는 연결 철근(12')(12)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Interconnecting corresponding connecting bars 12 'and 12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상기 접합 철골(20)에 보의 단부를 결합하는 단계;Coupling an end of the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20);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And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Building the joint and slab structure by pouring concrete and curing the joint and slab formwork;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0)와,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철근(12A)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단에서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며 슬래브 철근이 통과하는 제1 관통공(16)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22) 및 상기 플랜지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로 제2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는 웨브부(24)로 구성된 접합 철골(20A)을 포함하는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Concrete body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rod 12A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end is exposed and the upper end is extend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to be constructed, and the concrete body It is installed to exten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ab constructed at the top of the mutually provided side by side and a pair of flanges 22 and the first through-hole 16 through which the slab reinforcing bars are formed and across the flanges Installing a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joining steel frame (20A) formed of a web part (24) provided with a connection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18)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접합 철골(20A)에 보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the end of the beam to the joining steel frame (20A); 상기 하부 콘크리트 복합 기둥과 보의 접합부 및 슬래브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Installing formwork for the joint and slab of the lower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eam; 상기 접합부 및 슬래브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접합부와 슬래브 구조물을 축조하되, 상기 연결 철근과 접합 철골의 상단부가 축조된 슬래브 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Placing concrete on the joint and slab formwork and curing to build a joint and a slab structure such that the upper ends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nd the joining steel ar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tructed slab structure;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12')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하단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브라켓 부재가 상기 웨브부(24)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만큼 대칭 구조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안착 브라켓(60)을 포함하는 상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상기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 위에 수직 하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웨브부(24)는 상기 안착 브라켓(60)에 있는 한 쌍의 브라켓 부재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및A concret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reinforcement 12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oncrete body so that the lower end is exposed, and a pair of bracket members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While connecting the upp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including a seating bracket (60) spaced apart in a symmetrical structure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eb portion 24, vertically downward on the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 The web portion 24 is inserted between a pair of bracket members in the seating bracket 60; And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연결 철근(12')(12A)들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And connecting interconnecting bars (12 ') (12A)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상기 안착 브라켓은 양단에 굴곡부를 가진 'ㄷ'자형 브라켓 부재로 구성되고, The seating bracket is composed of a 'c' shaped bracket member having a bent portion at both ends, 상부 및 하부 철근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결합할 때, 상기 플랜지부(22)는 상기 양단 굴곡부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When joining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the flange portion 22 is in contact with the both ends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상기 접합 철골(20)의 플랜지부에는 제1 관통공(16)이 형성되고,A first through hole 16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of the joining steel frame 20, 상기 웨브부에는 상기 제1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로 제2 관통공(18)이 형성되며,The web portion has a second through hole 18 is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제1 및 제2 슬래브 철근(140)(150)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And install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lab reinforcing bars (140) (150)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respectively. 제23항에 있어서,24. 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제1 및 제2 슬래브 철근은,The first and second slab reinforcement, 일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에 삽입되는 반면, 타단부에는 상기 슬래브 철근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깔대기 형상의 유도부(200a)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관(200)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One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while the other end portion is formed using an insertion tube 200 having a funnel-shaped guide portion 200a for inducing the insertion of the slab reinforcement.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KR1020090110514A 2009-11-16 2009-11-16 Steel reinfor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vertically coupl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15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514A KR101215060B1 (en) 2009-11-16 2009-11-16 Steel reinfor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vertically coupl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514A KR101215060B1 (en) 2009-11-16 2009-11-16 Steel reinfor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vertically coupl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831A KR20110053831A (en) 2011-05-24
KR101215060B1 true KR101215060B1 (en) 2012-12-24

Family

ID=4436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514A KR101215060B1 (en) 2009-11-16 2009-11-16 Steel reinfor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vertically coupl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0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925A (en) * 2015-10-07 2017-04-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RC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the plat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upper column and precast concrete lower colum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012B1 (en) * 2011-08-09 2013-02-14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KR101697361B1 (en) * 2015-10-08 2017-01-18 황성섭 Prefabricated columns and beams and slabs connecting structure
CN106567499B (en) * 2016-10-27 2019-10-15 绍兴文理学院 Assembled steel reinforced concrete joining column structur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KR102053047B1 (en) * 2019-10-22 2019-12-06 지엔씨건설 주식회사 Chalice Structure
KR102556444B1 (en) 2020-12-29 2023-07-18 현대제철 주식회사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ent resistance property,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3338539B (en) * 2021-06-23 2022-06-17 福建九鼎建设集团有限公司 Assembled reinforced concrete combination colum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336A (en) 2002-08-13 2004-03-11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Precast concrete (pc) column, beam-column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beam and column
EP1561874A1 (en) 2004-02-05 2005-08-10 Euclide S.r.l.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336A (en) 2002-08-13 2004-03-11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Precast concrete (pc) column, beam-column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beam and column
EP1561874A1 (en) 2004-02-05 2005-08-10 Euclide S.r.l.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925A (en) * 2015-10-07 2017-04-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RC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the plat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upper column and precast concrete lower column
KR101864198B1 (en) * 2015-10-07 2018-07-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RC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the plat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upper column and precast concrete lower colum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831A (en)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147B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15060B1 (en) Steel reinfor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column having vertically coupl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97194B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926140B1 (en) Structure for using precast member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96472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Crossbeam having T-shaped 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KR101505579B1 (en)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using pipe rack or beam column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136926B1 (en) Composite beam by prestressed concrete filled tube
KR100854224B1 (en) Precast half depth cantilever deck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bridge deck
KR101112195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crossbeam having wire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998822B1 (en) Composite rahmen bridge, steel girder for that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rahmen bridge
JP5602455B2 (en) Beam members and building structures
KR100653283B1 (en) Method for conne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KR100775359B1 (en) Concrete-mold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269141B1 (en) Deck plate wall installa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pavement
KR101631096B1 (en) Multiple composite girder for bridge
KR100710583B1 (en) Hybrid system of pc column and steel beam
KR200386881Y1 (en)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pile
KR101150369B1 (en) Complex girder for building
KR200422931Y1 (en)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steel pile
CN110029729B (en) Splicing joint of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main beam and secondary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JP4841446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 beam columns with RC beam ends
KR100626326B1 (en) concrete structure
KR20210037988A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694763B1 (en) Construction methods of underground structure adopting concrete-composite crossbeam
CN115030315B (en) Semi-prefabricated angle steel skeleton type concrete column-beam colum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