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170A - 유량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유량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170A
KR20210037170A KR1020190119439A KR20190119439A KR20210037170A KR 20210037170 A KR20210037170 A KR 20210037170A KR 1020190119439 A KR1020190119439 A KR 1020190119439A KR 20190119439 A KR20190119439 A KR 20190119439A KR 20210037170 A KR20210037170 A KR 20210037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detection device
signal output
output unit
p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4770B1 (ko
Inventor
민경수
문창현
이헌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7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3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measured by means of a movable element, e.g. diaphragm, piston, Bourdon tube or flexible capsu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하되, 외면에 체결홈을 형성한 직수공급부를 구비하고, 직수공급부의 배출구에 유로관체의 수직관체를 연결하되, 수직관체 상단에 직교되는 수평관체를 형성하며, 직수공급부의 체결홈에 검지장치를 설치하고, 수평관체와 반대되는 수직관체내로 수평관체의 연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패들을 일체로 형성한 유량신호출력부를 결합함으로써, 패들이 수평관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관체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이 패들에 간섭되지 않고, 또한, 유로관체 내에 패들을 손쉽게 체결하여 유로관체의 부피 감소와 동시에 경량화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신호출력부의 패들이 유로관체의 수평관체와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수평관체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이 패들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고, 패들이 수평관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물의 수압에 의해 패들에 과도한 가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패들을 수직관체로 끼움 고정되는 유량신호출력부 내에 일체로 형성하여 손쉽게 결합할 수 있되, 패들이 수직관체 내에 수용되어 유로관체의 부피 감소와 동시에 경량화가 가능하고, 특히, 수평관체가 검지장치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검지장치의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량검지장치{Flow det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유량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어 검지장치로 신호를 전달하는 패들을 유로관체의 수직관체내로 삽입 결합되는 유량신호출력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부피감소와 동시에 경량화가 가능한 유량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량검지장치는 온수기 또는 보일러에서 직수 또는 난방수의 흐름 및 유량을 검출하여, 연소장치의 부하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유량검지장치 내에 설치된 센서의 종류에 따라, 스위치 방식과 회전수 감지 방식으로 나뉘어져, 유량의 흐름량을 검출하게 된다.
특히, 스위치 방식은 유체의 흐름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 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유체의 흐름 여부만을 검출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유량 센서 몸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중공형상으로 하부에 직수유입구를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 직수배출구를 형성하며, 외면에 리드스위치가 수용되는 리드스위치장착부를 형성한 직수공급몸체와, 이 직수공급몸체 내로 삽입 결합되고, 하단이 직수유입구와 연통되되, 외면에 직수배출구와 연통되는 중공부를 형성하여, 직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직수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몸체부와, 몸체부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몸체부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리드스위치에 근접되도록 회전되는 마그네틱패들로 구성된다.
특히, 몸체부의 하단에는 유량제한밸브가 설치되어, 직수유입구를 통해 몸체부 내로 공급되는 물의 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즉, 직수유입구로 물을 공급하게 되면, 이 물이 유량제한밸브를 통해 몸체부로 공급된 후 직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면서 마그네틱패들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마그네틱패들의 마그네틱이 리드스위치에 근접되고, 이때, 리드스위치가 작동되어 유체흐름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어서, 몸체부 직 상방으로 치솟아 오른 물은 몸체부 상면에 충돌된 후 이동방향이 변경되어 직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직수공급몸체에 결합된 원통형 몸체부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우려가 있고, 원통형 몸체부의 회전으로 인해 중공부가 직수배출구에서 벗어나 직수배출구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며, 중공부를 기준으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직수배출구에서 물의 이동 방향이 급격하게 변경되어 직수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량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또한, 중공부를 통해 직수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이 직수배출구 내주면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직수배출구 내주면이 마모되거나 혹은 크랙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마그네틱패들의 회전방향과 직수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 방향이 대응되어, 직수배출구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이 마그네틱패들을 몸체부 내주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가압하여 마그네틱패들에 손상이 발생됨과 동시에, 회전된 마그네틱패들이 물의 이동 흐름을 방해하여 물의 유속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6-0069532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하되, 외면에 체결홈을 형성한 직수공급부를 구비하고, 이 직수공급부의 배출구에 유로관체의 수직관체를 연결하되, 수직관체 상단에 직교되는 수평관체를 형성하며, 직수공급부의 체결홈에 검지장치를 설치하고, 수평관체와 반대되는 수직관체내로 수평관체의 연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패들을 일체로 형성한 유량신호출력부를 결합함으로써, 패들이 수평관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관체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이 패들에 간섭되지 않고, 또한, 유로관체 내에 패들을 손쉽게 체결하여 유로관체의 부피 및 중량이 감소되는 유량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는,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와 반대되는 외면에 배출구를 형성한 직수공급부와; 중공형상으로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수직관체를 형성하고, 이 수직관체 상단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관체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관체 외면에 체결홈을 형성한 유로관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수직관체의 직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하는 검지장치;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상기 수직관체 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단이 상기 수평관체와 연통되고, 상기 수평관체와 반대되는 내주면에 상기 수평관체의 연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되, 직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검지장치에 근접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검지장치를 작동시키는 패들을 형성한 유량신호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체의 체결홈은, 상기 수직관체 외면에 상, 하로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된 상, 하부체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검지장치는 상기 유량신호출력부의 패들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는 상, 하부체결홈 중 어느 하나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는, 외면 직경이 상기 유로관체의 수직관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관체 내로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는, 하단에 상기 직수공급부의 배출부를 통해 상기 유량신호출력부 내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는 상면에 방향결정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관체의 수직관체는 내측 상면에 상기 방향결정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유량신호출력부의 결합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결정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체 및 유량신호출력부는, 물의 수압이 내벽면에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단면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수공급부와 상기 유로관체 사이에는, 상기 직수공급부와 상기 유로관체 내측 사이를 밀폐하는 오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직수공급부와 상기 유로관체 외면 사이를 연결 고정하여, 상기 유로관체가 상기 직수공급부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고정부재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는, 내측 상면에 상기 유로관체의 수평관체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직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이 상기 수평관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물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의 패들은, 상기 유량신호출력부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결합홈을 형성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결합홈에 체결되고, 상기 케이싱에 의해 상기 검지장치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기 검지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신호출력부의 패들이 유로관체의 수평관체와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수평관체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이 패들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고, 패들이 수평관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물의 수압에 의해 패들에 과도한 가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패들을 수직관체로 끼움 고정되는 유량신호출력부 내에 일체로 형성하여 손쉽게 결합할 수 있되, 패들이 수직관체 내에 수용되어 유로관체의 부피 감소와 동시에 경량화가 가능하고, 특히, 수평관체가 검지장치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검지장치의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의 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직수공급부(100)는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유입구(101)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01)와 반대되는 외면에 배출구(102)를 형성한다.
상기 직수공급부(100)는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 물의 공급을 허용하여,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직관체(201) 방향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직수공급부(100)의 배출구(102)는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직관체(201) 하단과 연결된다.
상기 배출구(102)는 상방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수공급부(100)는 상기 유입구(101)와 배출구(102) 사이에 필터(103)를 더 형성한다.
상기 필터(103)는 상기 배출구(102)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 또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유로관체(200)는 중공형상으로 상기 배출구(102)에 연결되는 수직관체(201)를 형성하고, 이 수직관체(201) 상단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관체(202)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관체(201) 외면에 체결홈(203)을 형성한다.
상기 유로관체(20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관체(201)는 그 내부에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를 수용한다.
상기 수평관체(202)는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를 통해 상방으로 상승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체결홈(203)은 상기 패들(401)의 작동부재(401b) 신호를 전달받아 ON 또는 OFF작동되는 검지장치(300)의 결합을 허용한다.
상기 유로관체(200)의 체결홈(203)은 상기 수직관체(201) 외면에 상, 하로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된 상, 하부체결홈(203a, 203b)을 형성하고, 상기 검지장치(300)는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패들(401)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는 상, 하부체결홈(203a, 203b) 중 어느 하나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상, 하부체결홈(203a, 203b)은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유로관체(200)는 물의 수압이 내벽면에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단면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로관체(200) 내주면에 균등한 수압분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직관체(201)는 내측 상면에 상기 방향결정돌출부(403)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2)의 결합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결정홈(201a)을 더 형성한다.
상기 방향결정홈(201a)은 상기 방향결정돌출부(403)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결정홈(201a)과 상기 방향결정돌출부(403)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고정된 상기 수평관체(202)를 통해 물의 흐름을 안내하여, 오조립 차단과 동시에 오조립으로 인한 유량감소 및 와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검지장치(300)는 상기 체결홈(203)에 체결되어 상기 수직관체(201)의 직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상기 검지장치(300)는 상기 패들(401)의 작동부재(401b)에 의해 ON 또는 OFF작동되어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를 통해 직상방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 여부를 검지한다.
상기 검지장치(300)는 상기 작동부재(401b)에 근접됨에 따라 ON작동되고, 상기 작동부(401b)가 멀어짐에 따라 OFF작동된다.
상기 검지장치(300)는 리드스위치 또는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신호출력부(400)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상기 수직관체(201) 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단이 상기 수평관체(202)와 연통되고, 상기 수평관체(202)와 반대되는 내주면에 상기 수평관체(202)의 연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되, 직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검지장치(300)에 근접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검지장치(300)를 작동시키는 패들(401)을 형성한다.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상기 패들(401)이 설치된 외면에 개구부(400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들(401)은 물의 수압에 의해 밀려나면서 상기 개구부(400a)를 통과하여 상기 수직관체(201) 내벽면에 근접되도록 회전된다.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상방으로 치솟아 상기 수평관체(202)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외면 직경이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직관체(201)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관체(201) 내로 억지끼움된다.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하단에 상기 직수공급부(100)의 배출부(102)를 통해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 내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402)를 더 형성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402)는 탄성고무 또는 탄성스프링 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 내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대응하도록 개방되어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 내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상면에 방향결정돌출부(403)를 형성한다.
상기 방향결정돌출부(403)는 상기 수직관체의 방향결정홈(201a)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상단이 상기 수평관체(202)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결합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물의 수압이 내벽면에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단면을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직관체(201)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내측 상면에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평관체(202)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직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이 상기 수평관체(20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물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면(404)을 더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면(404)의 경사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패들(401)은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결합홈(401a-1)을 형성한 케이싱(401a)과, 상기 케이싱(401a)의 결합홈(401a)에 체결되고, 상기 케이싱(401a)에 의해 상기 검지장치(300)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기 검지장치(30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401b)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401a)의 일단은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 내주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작동된다.
상기 케이싱(401a)은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고, 자유낙하 방식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결합홈(401a-1)은 상기 작동부재(401b)의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재(401b)는 상기 검지장치(300)에 근접되 상태에서, 상기 검지장치(300)를 작동시키도록 자석 또는 센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 사이에는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 내측 사이를 밀폐하는 오링(50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오링(500)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부재(600)는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 외면 사이를 연결 고정하여, 상기 유로관체(200)가 상기 직수공급부(100)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고정부재(600)는 일면이 개구되어 있고, 양 말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근접되도록 수축되면서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 외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 외면 사이를 물어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유로관체(200)를 구비하되, 이 유로관체(200)의 수직관체(201) 하부를 통해 유량신호출력부(400)를 삽입 결합하여, 상기 수직관체(201) 내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가 억지 끼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상기 수직관체 내에서 이탈되어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와 상기 수직관체(201) 사이는 견고하게 밀착 끼움되어 있어, 이 유량신호출력부(400)의 외면과 상기 수직관체(201) 내경 사이로 유체가 흘러 누수되는 것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패들(401)로 흐르도록 유도된다.
이때,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상면에는 방향결정돌출부(40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방향결정돌출부(403)를 상기 수직관체(201)의 방향결정홈(201a) 내로 삽입 고정함으로써,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상단이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평관체(202)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결합 방향이 결정된다.
특히, 상기 직수공급부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 외면 사이에는 고정부재(600)가 설치되고, 이 고정부재(600)에 의해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평관체(202)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로관체(200)를 파지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유로관체(200)가 상기 고정부재(600)에 의해 물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직수공급부(100)를 축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관체(200)의 체결홈(203)에 검지장치(300)를 삽입결합하여, 상기 수직관체(201)의 정해진 높이상에 상기 검지장치(300)가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상기 수평관체(202)와 반대되는 방향의 내주면에 패들(401)의 케이싱(401a)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케이싱(401a)의 결합홈(401a-1)에 작동부재(401b)를 삽입 결합하여, 작동부재(401b)가 케이싱(401a)에 의해 상기 유로관체(200)의 체결홈(203)에 설치된 검지장치(300)에 근접되도록 한다.
즉,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그 내부에 상기 패들(401)을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관체(201) 내부로 삽입결합되는 것이다.
이어서, 유량신호출력부(400) 하단에 유량조절장치(402)를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직수공급부(100)의 배출구(102)를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 하단으로 삽입 고정하여, 상기 유량조절장치(402)가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직관체(201) 하단 사이에는 오링(500)이 설치되어,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수직관체(201) 사이의 틈새가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직수공급부(100)의 유입구(101)와 배출구(102) 사이에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 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03)가 설치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량검지장치의 수평관체(202)를 열교환기(미도시)에 연결하여, 유입구(101)를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직수공급부(100)내로 물이 유입되고, 이 물은 상기 필터(103)를 거쳐 불순물 또는 이물질이 제거된 후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상기 유로관체(200) 내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직관체(201) 내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유량조절장치(402)를 통과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 내로 공급되는 물의 량이 조절되어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유량조절장치(402)는 상기 수직관체(201) 내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대응하도록 개방되어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 내로 공급되는 물의 량이 조절된다.
이후,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 내로 공급되어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 내에서 직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은 상기 패들(401)의 케이싱(401a)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패들(401)에 의해 차단된 상기 수직관체(201)의 유로를 개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면(404)에 충돌되면서, 이동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수평관체(202)를 통해 열교환기(미도시)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패들(401)의 케이싱(401a)은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개구부(400a)를 통과하여 상기 유로관체(200)의 체결홈(203)에 대응하는 내벽면에 근접되고, 이에따라, 상기 케이싱(401a)의 결함홈(401a-1) 내에 결합된 작동부재(401b)가 상기 체결홈(203) 내에 고정된 상기 검지장치(300)에 근접되어, 상기 검지장치(300)를 ON작동시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를 통해 상기 수평관체(200)로 배출되는 물의 흐름여부를 검지한다.
그러면, 상기 검지장치(300)는 열교환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열교환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에 의해 상기 패들(401)이 상기 수평관체(20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회전되고, 이에따라,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상기 패들(401)의 케이싱(401a)에 안내되어 상기 수평관체(202)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패들(401)이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수직관체(201) 내주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이 방지된다.
만약, 상기 직수공급부(100)의 유입구(101)로 공급되는 물이 차단되면, 상기 패들(401)이 자유낙하 방식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수직관체(201)의 유로를 차단하면서, 상기 패들(401)의 작동부재(401b)가 상기 검지장치(300)에서 멀어져 상기 검지장치(300)가 OFF작동된다.
이때,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검지장치(300)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열교환장치(미도시)의 작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열교환장치(미도시)가 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는, 상기 체결홈(203)에 상기 검지장치(300)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체결홈(300)을 상, 하로 서로 대향되게 상, 하부체결홈(203a, 203b)으로 형성하여, 상, 하부체결홈(20a, 203b) 중 회전된 상기 패들(401)의 작동부재(401b)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체결홈(203a) 또는 하부체결홈(203b)에 상기 검지장치(300)를 선택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들(401)을 일체로 형성한 유량신호출력부(400)를 유로관체(200)에 끼움 고정하여, 유량신호출력부(400)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 여부를 검지하는 구조는, 유량신호출력부(400)의 패들(401)이 유로관체(200)의 수평관체(201)와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수평관체(202)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이 패들(401)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고, 패들(401)이 수평관체(20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물의 수압에 의해 패들(401)에 과도한 가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패들(401)을 수직관체(201)로 끼움 고정되는 유량신호출력부(400) 내에 일체로 형성하여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검지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직수공급부 101 : 유입구
102 : 배출구 103 : 필터
200 : 유로관체 201 : 수직관체
201a : 방향결정홈 202 : 수평관체
203 : 체결홈 203a : 상부체결홈
203b : 하부체결홈 300 : 검지장치
400 : 유량신호출력부 400a : 개구부
401 : 패들 401a : 케이싱
401a-1 : 결합홈 401b : 작동부재
402 : 유량조절장치 403 : 방향결정돌출부
404 : 가이드면 500 : 오링

Claims (9)

  1.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유입구(101)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01)와 반대되는 외면에 배출구(102)를 형성한 직수공급부(100)와;
    중공형상으로 상기 배출구(102)에 연결되는 수직관체(201)를 형성하고, 이 수직관체(201) 상단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관체(202)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관체(201) 외면에 체결홈(203)을 형성한 유로관체(200);
    상기 체결홈(203)에 체결되어 상기 수직관체(201)의 직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하는 검지장치(300);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상기 수직관체(201) 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단이 상기 수평관체(202)와 연통되고, 상기 수평관체(202)와 반대되는 내주면에 상기 수평관체(202)의 연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되, 직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검지장치(300)에 근접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검지장치(300)를 작동시키는 패들(401)을 형성한 유량신호출력부(4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체(200)의 체결홈(203)은,
    상기 수직관체(201) 외면에 상, 하로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된 상, 하부체결홈(203a, 203b)을 형성하고, 상기 검지장치(300)는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패들(401)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는 상, 하부체결홈(203a, 203b) 중 어느 하나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외면 직경이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직관체(201)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관체(201) 내로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하단에 상기 직수공급부(100)의 배출부(102)를 통해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 내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402)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검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상면에 방향결정돌출부(403)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직관체(201)는 내측 상면에 상기 방향결정돌출부(403)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2)의 결합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결정홈(201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검지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체(200) 및 유량신호출력부(400)는,
    물의 수압이 내벽면에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단면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검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 사이에는,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 내측 사이를 밀폐하는 오링(50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직수공급부(100)와 상기 유로관체(200) 외면 사이를 연결 고정하여, 상기 유로관체(200)가 상기 직수공급부(100)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고정부재(600)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검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는,
    내측 상면에 상기 유로관체(200)의 수평관체(202)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직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물이 상기 수평관체(20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물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면(404)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검지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패들(401)은,
    상기 유량신호출력부(400)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결합홈(401a-1)을 형성한 케이싱(401a)과;
    상기 케이싱(401a)의 결합홈(401a)에 체결되고, 상기 케이싱(401a)에 의해 상기 검지장치(300)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기 검지장치(30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401b);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검지장치.
KR1020190119439A 2019-09-27 2019-09-27 유량검지장치 KR102244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439A KR102244770B1 (ko) 2019-09-27 2019-09-27 유량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439A KR102244770B1 (ko) 2019-09-27 2019-09-27 유량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170A true KR20210037170A (ko) 2021-04-06
KR102244770B1 KR102244770B1 (ko) 2021-04-27

Family

ID=7547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439A KR102244770B1 (ko) 2019-09-27 2019-09-27 유량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7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0Y1 (ko) * 2002-10-23 2003-01-14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용 수류스위치
KR20060105196A (ko) * 2005-04-01 2006-10-11 박노성 저수위센서 체결구조체
KR20160069532A (ko) 2014-12-08 2016-06-1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유량 센서 몸체 및 이를 구비한 유량 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0Y1 (ko) * 2002-10-23 2003-01-14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용 수류스위치
KR20060105196A (ko) * 2005-04-01 2006-10-11 박노성 저수위센서 체결구조체
KR20160069532A (ko) 2014-12-08 2016-06-1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유량 센서 몸체 및 이를 구비한 유량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770B1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6619B (zh) 一种排水控制机构及洗衣机
US5007803A (en) Air operated vacuum pump
RU2001119469A (ru) Система перекачива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RU2062668C1 (ru) Узел очистки поточного молокомера
KR102244770B1 (ko) 유량검지장치
KR20170051012A (ko) 자동유량조절 이중 볼밸브
CN109235551B (zh) 浴缸排水器及浴缸
EP0961061B1 (en) Improved automatic bleeding valve for hydraulic systems
KR102271061B1 (ko) 유량검지장치
KR20170066956A (ko)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KR101230502B1 (ko) 혼합밸브
FI61759B (fi) Volymstroemsmaetare foer ett stroemmande medium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KR0125462Y1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KR20180072649A (ko)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RU2011104247A (ru) Насосная система
CN208381477U (zh) 调节阀
KR102174342B1 (ko) 수위 조절 장치
CN210321773U (zh) 水流检测装置
KR20220057904A (ko) 유량검지장치
KR200323192Y1 (ko) 유량계 센서 자동 세정 장치
CN109805762B (zh) 聪明座和具有其的饮水机
KR100277363B1 (ko) 수위감지장치
KR200201275Y1 (ko)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JP2006068738A (ja) ガス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