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275Y1 -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275Y1
KR200201275Y1 KR2020000013995U KR20000013995U KR200201275Y1 KR 200201275 Y1 KR200201275 Y1 KR 200201275Y1 KR 2020000013995 U KR2020000013995 U KR 2020000013995U KR 20000013995 U KR20000013995 U KR 20000013995U KR 200201275 Y1 KR200201275 Y1 KR 200201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pe
water level
level contro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시온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시온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시온테크닉스
Priority to KR2020000013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2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4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wells
    • E03B5/06Special equipment, e.g. well seals and connections for well cas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2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vertical pipe wells

Abstract

본 고안은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수정에 설치되어 원수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펌핑된 원수를 소정 위치로 이송하며, 그 내부에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된 배관;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상기 배관의 종단측에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이송된 원수를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배관의 종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소정 구간에 내경이 좁아지는 협부가 형성되며, 상기 협부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상에 통공과 통공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을 갖는 밸브몸체와, 상기 협부의 내면과 접촉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선형 가이드가 상부면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협부를 따라 승강운동하는 원판형의 개폐구가 구비된 수위 제어밸브; 상기 개폐구의 저면에 일단이 부착되어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의 타단에 부착되어 저장조에 담긴 원수의 레벨에 따라 부유하는 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펌프의 과부하, 배관의 균열 및/또는 이음새의 파손을 방지하고, 제작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FOR INTAKE CHAMBER}
본 고안은 취수장의 저장조에 설치되어 수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地下水)를 포함한 상수(上水)나 침출수(浸出水) 또는 오폐수(汚廢水)(이하, 원수(原水)라 칭함)를 저장조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일정수위에서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역류압에 의한 배관내의 고압력 발생을 억제하여 펌프 등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지역에 설치되어 원수를 저장수단으로 집수하기 위한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를 취수하는 취수정(1)과, 취수정(1)내에 설치되어 원수를 펌핑하여 배수하는 펌프(2)와, 펌프(2)로부터 배수된 원수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는 배관(4)과, 배관(4)의 종단에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배출된 원수를 저장하는 소정용량의 저장조(5)와, 저장조측의 배관(4)의 토출구측에 설치되어 저장조 내에 일정수위를 유지시키는 수위 제어밸브(7)로 구성된다.
상기 배관(4)에 연결 설치되어 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수위 제어밸브(7)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측 내경에 체결나사부가 형성된 밸브몸체(7a)와, 밸브몸체(7a) 내에 설치되며, 환형상으로 중심에 소정직경의 통공(74)이 형성된 개폐구(7b)와, 개폐구(7b)의 양측에 체결 고정되고 밸브몸체(7a)에 관통 설치되며, 소정위치에 오링이 설치된 회동축(75)과, 회동축(75)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부구(9)가 고정 설치된 회동바(8)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구(7b)가 위치되는 밸브몸체(7a)의 내측 전후에는 상기 개폐구(7b)의 소정부위를 밀착하여 기밀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링형상의 기밀부재(7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동바(8)가 설치되는 회동축(75)의 고정부위에는 회동바(8)가 일정각도 이상에서 지지될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수위 제어밸브(7)를 통해 저장조(6)에 원수를 공급시킴에 있어 수위 제어밸브의 개방 후 일정시간 경과한 상태에서 일정수위에 오르게 되면, 상기 회동바(8)의 일단에 고정 설치된 부구(9)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승하는 수위에 따라 적정 부력에 의해 회동바(8)를 상승시켜 준다.
회동바(8)의 상승에 따라 회동바가 연결 설치된 회동축(75)은 동시에 연동되어 밸브몸체(7a)내의 개폐구(7b)를 일정각도 회전시켜 주며, 이에 따라서 개폐구(7b)의 통공(74)은 밸브몸체(7a)내에서 서서히 구름 동작되어 유통시키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켜 준다.
상기 부구(9)가 일정수위 즉, 회동바(8)가 회전될 수 있는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밸브몸체(7a)에 걸려 지지되는 상태에서 개폐구(7b)는 밸브몸체(7a) 내에서 완전히 원수를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저장조(6)에 일정수위를 채울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저장조(6)로부터 일정수위가 내려가는 상태에서는 부구(9)가 하강하여 개폐구(7b)를 개방시켜 물을 다시 유통할 수 있게 되며, 이때 미도시된 수위감지수단에 의해 펌프(2)의 구동에 따라 상기 배관(4)을 통해 원수를 저장조(6)에 집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위 제어밸브(7)는 개폐구(7b)의 구름동작에 의해 완전히 개폐시킴에 있어, 발생되는 역류압에 의해 배관(4)내에는 고압력이 발생되어 원수를 펌핑하는 펌프(2)에 고압력의 전달로 인해 과부하를 발생시켜 펌프의 구동모터 등에 고장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개폐구(7b)는 환형상으로 기밀성은 밸브몸체(7a)에 마련된 기밀부재(76)에 의해 그 외경을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하는 제작상의 고도기술을 요하고, 또 상기 구형으로 제작되어 밸브몸체 내에 안내시켜 개폐구의 구면적에 대해 소정부분만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밸브몸체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야만 개폐구를 수용 설치시킬 수 있어 제품 제작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수위 제어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펌프의 구동이 완료되는 상태까지 수위 제어밸브 및/또는 체크밸브로부터 소정의 원수가 토출되도록 하고, 배관내의 역류압 발생을 감지하여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서 펌프의 과부하, 배관의 균열 및/또는 이음새의 파손을 방지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취수정에 설치되어 원수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펌핑된 원수를 소정 위치로 이송하며, 그 내부에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된 배관;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상기 배관의 종단측에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이송된 원수를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배관의 종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소정 구간에 내경이 좁아지는 협부가 형성되며, 상기 협부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상에 통공과 통공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을 갖는 밸브몸체와, 상기 협부의 내면과 접촉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선형 가이드가 상부면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협부를 따라 승강운동하는 원판형의 개폐구가 구비된 수위 제어밸브; 상기 개폐구의 저면에 일단이 부착되어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의 타단에 부착되어 저장조에 담긴 원수의 레벨에 따라 부유하는 부구를 포함하는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위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수위 제어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위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위 제어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위 제어밸브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이 더욱 부가된 수위 제어밸브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위 제어밸브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배관의 종단에 체크밸브가 부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순화된 구조를 갖는 수위 제어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원추형 부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압력감지센서 5: 콘트롤러
7 : 수위 제어밸브 7a: 협부
7b: 개폐구 7c: 스프링
11: 체크밸브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상기 수위 제어장치는 펌프(2), 압력감지센서(3), 배관(4), 콘트롤러(5), 저장조(6), 수위 제어밸브(7), 승강로드(8) 및 부구(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펌프(2), 배관(4), 저장조(6)는 전술한 종래의 일반구조와 동일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관(4)의 내부에는 적어도 1개 또는 그 이상의 압력감지센서(3)가 설치되며, 압력감지센서(3)는 배관(4)내의 수압을 감지하여 취수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콘트롤러(5)에 이를 전달한다. 상기 콘트롤러(5)는 압력감지센서(3)에서 받은 신호에 따라 펌프(2)에 인가되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공급하여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배관(4)의 종단에는 수위 제어밸브(7)가 수직으로 연결되어지되, 연결방식은 도 4에서와 같이 밸브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고, ㄱ자형 이음쇄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수위 제어밸브(7)는 도 5a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7a)와 개폐구(7b)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몸체(7a)는 내경이 좁아지는 협부(71)가 소정 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협부(71)의 상단에는 돌출부(77)가 형성되며,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상에 통공(7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72) 주변에는 다수개의 배출공(78)(78')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78)은 통공(72)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것으로, 원수를 수직 하방으로 즉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반해, 상기 배출공(78')은 배관으로부터 많은 양의 원수가 수위 제어밸브(7)로 전달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밸브몸체(7a)를 절개하여 형성한 것이다.
상기 개폐구(7b)는 전술한 협부(71)의 내면과 접촉되는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의 선형 가이드(73)가 상부면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개폐구(7b)의 승강운동시 상기 선형 가이드(73)가 협부(71)의 내면에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개폐구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개폐구(7b)의 저면에는 통공(72)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승강로드(8)의 일단이 바람직하게는 나사결합으로 부착되며, 상기 승강로드(8)의 타단에는 저장조(6)에 담긴 원수의 레벨에 따라 부유하는 부구(9)가 설치된다. 상기 부구(9)는 구형이 일반적이나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으로 될 수도 있다. 원추형 부구는 상부에 보다 많은 부력이 작용함으로써 수위 변화를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승강로드(8)에 전달할 수 있으며, 승강로드(8)의 유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개폐구(7b)와 통공(72) 사이에는 스프링(7c)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7c)의 상단이 개폐구(7b)의 저면을 지지하고 하단이 통공(72)의 주변의 플랜지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원수 배출시 상기 개폐구(7b)가 과도하게 하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수위 제어밸브(7)는 밸브로부터 토출되는 원수가 부구(9)로 직접 낙하되지 않도록 하여, 본질적인 부구(9)의 기능을 보장함과 아울러, 개폐구(7b)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단은 예를 들어 배출공(78)으로부터 토출되는 원수의 경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유도관(7d) 및/또는 배출공(78')으로부터 토출되는 원수가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반사판(7f)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유도관(7d)은 밸브 몸체(7a)의 저부에 나사 결합 등의 공지의 결합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예를 들어) S자형의 관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배출공(78)으로부터 토출되는 원수가 부구(9)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원수의 낙하에 따른 충격을 부구(9)가 직접적으로 받지 않도록 한다. 상기 유도관(7d)의 소정 위치에는 승강로드(8)가 관통될 수 있는 홀(7e)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7e)은 수위 제어밸브(7)의 통공(72)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로드(8)는 상기 홀(7e)을 통해 통공(72)을 거쳐 개폐구(7b)의 저면에 부착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홀(7e)의 크기는 승강로드(8)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됨으로써, 승강로드(8)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당해 홀(7e)을 통해 누출되는 원수의 양이 최소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판(7f)은 밸브 몸체(7a)의 저부 외측면에 바람직하게는 밸브 몸체(7a)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는 배출공(78')으로부터 토출되는 원수가 부구(9)로직접 낙하하지 않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부구(9)가 원수의 낙하에 따른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반사판(7f)은 밸브 몸체(7a)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출공(78')으로부터 토출되는 원수가 반사판(7f)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동안 가속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휘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관(7d)과 반사판(7f)은 수위 제어밸브로부터 토출되는 원수가 부구에 직접 낙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구가 원수의 낙하로 인해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본질적인 부구의 기능이 보장됨과 아울러, 개폐구(7b)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위 제어밸브(7)를 보다 단순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78'), 협부(71) 및 개구부(7b)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수위 제어밸브(7)로부터 원수가 수직으로 토출되어 부구의 승강운동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배출공(78)과 그 하부 공간을 밀폐하되, 승강로드(8)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는 통공(7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순화된 구조의 수위 제어밸브(7)는 제작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작 및 유지에 따른 비용이 저렴한 잇점이 있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도 6a를 참조하면, 펌프(2)를 가동하여 배관(4) 및 수위 제어밸브(7)를 통해 저장조(6)에 원수를 공급시키는 경우, 수위 제어밸브(7)의 협부(71)를 폐쇄하고 있던 개폐구(7b)는 배관(4)내의 수압에 의해 협부(71) 하단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개폐구(7b)의 상부면에 형성된 선형 가이드(73)는 협부(71) 내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개폐구(7b)는 안정된 자세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개폐구(7b)가 하강하여 협부(71)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원수는 협부(71)의 하단과 개폐구(7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통공(72) 및 배출공(78)을 거쳐 유도관(7d)을 통해 저장조(6)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토출되는 원수의 양이 많은 경우, 원수의 일부는 배출공(78')을 통해 반사판(7f)의 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저장조(6)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원수의 토출로 상기 저장조(6)의 수위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면, 즉 부구(9)가 원수에 잠기면, 부구(9)의 부력에 의해 개폐구(7b)는 상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구(7b)는 선형 가이드(73)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승하기 시작하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구(7b)가 협부(71)의 하단에 도달하여 협부를 폐쇄하면 원수의 배출은 정지된다. 이 때, 상기 펌프(2)는 계속 작동하기 때문에 배관(4)내의 수압은 계속 상승하게 되나, 이러한 수압의 상승은 배관내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3)에 의해 감지되어 콘트롤러(5)에 전달된다. 상기 콘트롤러(5)는 압력감지센서(3)에서 감지한 배관(4)내의 압력이 소정의 설정치에 도달한 경우, 이를 기초로 하여 펌프(2)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켜 배관 내부압력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한다(도 3 참조).
다시, 저장조(6)의 원수량이 줄어들어 상기 부구(9)가 하강하거나 배관의 내부압력이 부구의 부력보다 클 경우, 개폐구(7b)는 협부(71)를 따라 하강함으로써 배관(4)내의 남아 있던 원수의 일부가 토출된다. 이와 같은 원수의 토출은 배관 내부압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압력감지센서(3)는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5)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은 콘트롤러(5)는 펌프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펌프(2)는 구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취수장용 수위 조절장치는 저장조의 수위에 따라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저장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구(7b)의 저면을 지지하는 스프링(7c)이 개폐구(7b)와 통공(72)사이에 설치된 경우, 상기 스프링은 개폐구(7b)의 하강을 적절한 수준으로 억제함으로써, 개폐구(7b)가 과도하게 하강하여 통공(72)과 배출공(78)이 폐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개폐구(7b)의 저면을 지지하여 개폐구의 안정적인 균형유지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위 제어밸브의 개폐구가 급격히 개폐되지 않고 수압에 따라 유연하게 작동하며, 배관내의 수압을 압력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콘트롤러를 통해 펌프의 구동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배관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거나 펌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취수장용 수위 조절장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 제어밸브(7)가 설치된 배관(4)에 일체로 연장부(10)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체크밸브(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1)는 수위 제어밸브(7)의 닫힘이나 상기 배관(4)내에 장착된 압력감지센서(3)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정 압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으로, 수위 제어밸브(7)가 닫힌 후에도 펌프가 계속 작동하거나, 또는 배관(4)내에 장착된 압력감지센서(3)의 고장으로 펌프(2)의 구동을 적절하게 제어하지 못하여 배관(4)내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된 경우 수압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됨으로서 원수를 토출시킴으로써, 수압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하고 펌프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 3 참조).
보다 상세하게, 상기 체크밸브(11)는 원뿔형 작동구(11a)가 스프링(11b)에 탄지된 형태로서, 상기 작동구(11a)는 배관(4)의 연장부(10)에 형성된 제 1 격벽(10a)의 통공(10b)을 선택적으로 폐쇄하고, 상기 스프링(11b)은 연장부(10)의 종단부에 고정설치된다. 물론, 상기 연장부(10)의 종단부에는 적당한 형태의 배출공(10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만약, 전술한 수위 제어밸브(7)가 닫힌 후에도 펌프(2)가 계속 작동하거나, 또는 배관(4)내에 장착된 압력감지센서(3)의 고장으로 펌프(2)의 구동을 적절하게 제어하지 못하여 배관(4)내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된 경우, 배관내의 원수는 상기 체크밸브(11)를 통해 배출된다. 즉, 배관(4)내의 수압이 상기 스프링(11b)의 탄성력보다 커지는 경우, 작동구(11a)는 제 1 격벽(10a)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원수가 통공(10b)을 거쳐 배출공(10c)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며, 이와 같은 원수의 유출로 인하여 배관(4)내의 수압이 하강하여 스프링(11b)의 탄성력보다 작아지는 경우, 상기 작동구(11a)는 통공(10b)을 다시 폐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배관내의 수압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고안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경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하기된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수위 제어밸브의 개폐구가 급격히 개폐되지 않고 수압에 따라 유연하게 작동하며, 배관내의 수압을 압력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콘트롤러를 통해 펌프의 구동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배관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거나 펌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수위 제어밸브 또는 압력감지센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체크밸브를 통해 원수가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배관과 펌프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Claims (8)

  1. 취수정(1)에 설치되어 원수를 펌핑하는 펌프(2);
    상기 펌프(2)에 연결되어 펌핑된 원수를 소정 위치로 이송하며, 그 내부에 압력감지센서(3)가 구비된 배관(4);
    상기 압력감지센서(3)의 신호에 따라 펌프(2)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5);
    상기 배관(4)의 종단측에 설치되어 배관(4)을 통해 이송된 원수를 저장하는 저장조(6);
    상기 배관(4)의 종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소정 구간에 내경이 좁아지는 협부(71)가 형성되며, 상기 협부(71)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상에 통공(72)과 통공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78)(78')을 갖는 밸브몸체(7a)와, 상기 협부(71)의 내면과 접촉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선형 가이드(73)가 상부면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협부(71)를 따라 승강운동하는 원판형의 개폐구(7b)가 구비된 수위 제어밸브(7);
    상기 개폐구(7b)의 저면에 일단이 부착되어 통공(72)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승강로드(8); 및
    상기 승강로드(8)의 타단에 부착되어 저장조(6)에 담긴 원수의 레벨에 따라 부유하는 부구(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7b)와 통공(72) 사이에 스프링(7c)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7a)의 저부에 부착 설치되어 배출공(78)으로부터 토출되는 원수가 부구(9)로 직접 낙하되지 않도록 원수의 경로를 전환하는 유도관(7d)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도관(7d)은 승강로드(8)가 개폐구(7b)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통공(72)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위치에 승강로드(8)의 직경보다 약간 큰 홀(7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7a)의 저부 외측면에 밸브 몸체(7a)와 일체로 형성되어 배출공(78')로부터 토출되는 원수가 부구(9)로 직접 낙하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반사판(7f)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제어밸브(7)가 설치된 배관(4)에 일체로 연장부(10)를 형성하되, 연장부(10)내에는 수위 제어밸브(7)의 닫힘이나 상기 배관(4)내에 장착된 압력감지센서(3)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정 압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체크밸브(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11)는 원뿔형 작동구(11a)와 스프링(1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제어밸브(7)는 원수가 수직으로 토출되지 못하도록 배출공(78)과 그 하부 공간이 밀폐되며, 승강로드(8)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72)이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9)는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KR2020000013995U 2000-05-17 2000-05-17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KR200201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995U KR200201275Y1 (ko) 2000-05-17 2000-05-17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995U KR200201275Y1 (ko) 2000-05-17 2000-05-17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275Y1 true KR200201275Y1 (ko) 2000-11-01

Family

ID=1965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995U KR200201275Y1 (ko) 2000-05-17 2000-05-17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2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233B1 (ko) * 2005-11-02 2007-05-10 한상관 펌프 일체형 수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233B1 (ko) * 2005-11-02 2007-05-10 한상관 펌프 일체형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8646B1 (en) Vacuum operated valve
EP1167848B1 (en) Double funnel float valve
KR200201275Y1 (ko) 취수장용 수위 제어장치
JPH0523909Y2 (ko)
GB2428769A (en) Flow diverter for fitting to a catchpot-assisted float controlled valve such as a ballcock valve regulator
US20220381365A1 (en) Negative Pressure Pipeline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5485865A (en) Air volume control valve for water system pressure tank
CN111278538A (zh) 无需压力箱或电泵的反渗透大气储罐
KR102103718B1 (ko) 수위 조절 밸브
CN207805641U (zh) 自适应双向防倒吸瓶
CA2360859C (en) Flus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04086154A2 (e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with float valve using internal water pressure gravity and buoyancy
EP1404997B1 (en) Valve for a fluid treatment system
US6962163B1 (en) Dual-float snap-action flush valve
CN214884134U (zh) 一种设置在排水阀上的进水阀高度调节装置
CN219639496U (zh) 一种可调节的自动化阀体
KR200165411Y1 (ko)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200168532Y1 (ko)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EP1154085B1 (en) Intermittently operating flushing valve
KR200147524Y1 (ko) 저수조의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레버
KR200207682Y1 (ko) 온,오프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CN215948386U (zh) 一种固定于排水阀上的进水阀补水装置
JPH063280B2 (ja) 水路における送水装置
JP2004084311A (ja) 下流水位制御装置
CN112178254A (zh) 一种杠杆式管道压力自动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