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526A -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526A
KR20210035526A KR1020190117419A KR20190117419A KR20210035526A KR 20210035526 A KR20210035526 A KR 20210035526A KR 1020190117419 A KR1020190117419 A KR 1020190117419A KR 20190117419 A KR20190117419 A KR 20190117419A KR 20210035526 A KR20210035526 A KR 20210035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ircuit breaker
battery
heavy equipmen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석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5526A/ko
Priority to CN202022126953.6U priority patent/CN213906332U/zh
Publication of KR2021003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는 와이어의 레이 아웃을 최적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Component fixing device of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의 배터리에서 연장된 와이어의 길이 및 레이 아웃을 개선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는 토사나 암석을 채굴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설기계로서, 특히, 상기 굴삭기는 택지조성사업, 도로 및 하수도 공사, 하천개조 및 차수공사, 터널 및 지하철 공사, 토석채취작업, 임야개간공사, 토사 적재작업 등의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일 예로 작업조건에 따라 버킷을 이용한 굴삭, 덤프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버켓 위치에 브레이커를 설치하여 암반굴삭, 건축물 파괴작업, 건축 폐기물 수거작업 등의 복합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2)에 대해 운전실(Cab)이 구비된 상부 회전체(3)가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상기 상부 회전체(3)의 일측에 연결된 붐 실린더(4)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붐(10)이 장착된다.
상기 붐(10)은 강재로 제작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실의 전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붐(10)의 연장된 단부에는 아암(6)이 연결되고, 상기 아암(6)의 작동을 위해 아암 실린더(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6)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측에 버킷 실린더(7)가 구비되며, 상기 버킷 실린더(7)에 의해 기구적인 링크운동이 이루어지는 레버(8)의 단부에 버킷(9)이 설치된다.
상기 굴삭기에는 배터리(12)가 배터리 룸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12)를 이용하여 굴삭기의 각 부위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12)를 이용하여 엔진을 시동하거나 중장비에 구비된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12)는 중장비의 시동과 직결되는 주요 부품이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에서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복수개의 와이어들은 상기 전장품으로 전원 공급과 차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배터리 룸의 한정된 레이 아웃과 와이어의 복잡한 배치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12)로부터 연장된 와이어는 굵기가 굵어 작업자가 전장품과 연결시키기 위해 한정된 레이 아웃에서 작업을 실시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었고, 복잡한 레이 아웃으로 인해 고장 또는 점검이 필요할 경우 수리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배터리(12)와 연결되는 서킷 브레이커에 유체 또는 이물질이 낙하되거나 유입될 경우 오염에 의한 오작동 및 고장 발생의 위험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4023 B1)(2016.07.20)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중장비에 구비된 배터리에서 인출되는 와이어에 대한 레이 아웃과 연장 거리를 최적화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배터리 와이어 설치 장치는 단자부(52)가 구비된 배터리 유닛(50)과 인접하여 위치되고, 중장비의 배터리 룸에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100);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에 설치되고, 상기 중장비에 구비된 전장품 중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전기회로의 단속을 위해 구비된 회로 차단부(300); 상기 회로 차단부(300)와 마주보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에 설치된 배터리 릴레이(400); 및 상기 회로 차단부(3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각각의 입력단자와 상기 단자부(52)를 연결하고, 상기 회로 차단부(3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출력단자와 중장비의 전장품과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가 구비된 와이어 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은 상기 배터리 유닛(50)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은 상기 배터리 유닛(50)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배터리 유닛(50)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된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연장된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좌우 양측 위치에 구비된 사이드 플레이트(1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로 차단부(300)는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설치된 제1 회로 차단부(310);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와 이웃하여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전방에 위치된 제2 회로 차단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 차단부(300)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상면으로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회로 연결 상태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작동 버튼(311); 상기 제2 회로 차단부(320)의 회로 연결 상태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기 위해 구비된 제2 작동 버튼(321)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작동 버튼(311) 및 제 2 작동 버튼(321)은 상기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단자부(5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입력 단자(312)와 연결된 제1 와이어(511);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출력 단자(31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 부(500)로 연장된 제2 와이어(512); 일단이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입력 단자(40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회로 차단부(320)의 입력 단자(322)에 연결된 제3 와이어(513); 상기 단자부(5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입력 단자(402)에 연결된 제4 와이어(514); 상기 제 2 회로 차단부(320)의 출력 단자(32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 부(500)로 연장된 제 5 와이어(515)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는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밀착되는 홀더부(80)를 통해 고정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의 배터리 룸에 구비된 배터리와 연결된 와이어의 연장 길이를 단축시켜 전압 강하를 최소로 하고, 회로 차단부 및 배터리 릴레이와 연결된 레이 아웃을 간단히 하여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과 점검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기 회로 차단부 및 배터리 릴레이가 유체 및 이물질로 인해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고장으로 인한 오작동을 최소화 하여 안정적인 굴삭기 작동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의 설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에 구비된 가이드 브라켓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에 구비된 가이드 브라켓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에서 상시전원 상태에 따른 전원의 공급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에서 키 온(key on) 상태에 따른 전원의 공급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 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의 가이드 브라켓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의 가이드 브라켓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단자부(52)가 구비된 배터리 유닛(50)과 인접하여 위치되고, 중장비의 배터리 룸에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100)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에 설치되고, 상기 중장비에 구비된 전장품 중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전기회로의 단속을 위해 구비된 회로 차단부(300)와, 상기 회로 차단부(300)와 마주보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에 설치된 배터리 릴레이(400) 및 상기 회로 차단부(3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각각의 입력단자와 상기 단자부(52)를 연결하고, 상기 회로 차단부(3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출력단자와 중장비의 전장품과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가 구비된 와이어 부(500)를 포함하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배터리 유닛(50)과, 상기 와이어 부(500)와, 상기 와이어 부(500)와 연결된 회로 차단부(300)와, 배터리 릴레이(400)들의 상호 이격된 거리가 최단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룸 내의 배선 및 전장품들의 레이 아웃을 간단히 함으로써 작업자의 점검에 따른 편의상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점점 대형화되고 있으며, 상기 단자부(52)에 연결된 스타터 와이어(70) 및 상기 와이어 부(500)의 직경이 증가되고 있다.
본 실시 예는 배터리 유닛(50)에서 근거리에 가이드 브라켓(100)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에 회로 차단부(300)와 배터리 릴레이(400)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 부(500)의 경로 단축과 레이 아웃을 간소화 시킬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00)은 회로 차단부(300)와 배터리 릴레이(400)를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어, 여러 전장품으로 연결된 와이어 부(500)의 두께가 상호 원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었던 회로 차단부(300)와 배터리 릴레이(40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인해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은 상기 배터리 유닛(50)에 대해 수직 상태로 설치되므로 주변 구성품과 간섭되는 현상이 최소화되고, 상기 와이어 부(500)가 배터리 유닛(50)에서 연장되는 경우에도 레이 아웃이 복잡해지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은 상기 배터리 유닛(50)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된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배터리 유닛(50)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된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배터리 유닛(50)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형상은 도 2의 상하 방향으로 배터리 유닛(5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10)로부터 배터리 유닛(50)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10)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00)은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 판 형태로 구성되고,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가 상기 회로 차단부(300)와 배터리 릴레이(400)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은 배터리 룸에 설치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프레임(200)의 유압탱크(미도시)에 고정된다.
배터리 유닛(50)의 단자부(52)에는 두 가지의 와이어가 연결된다. 스타터 와이어(70)와 와이어 부(500)가 이에 해당되며, 스타터 와이어(70)는 단자부(52)와 스타터를 연결하여 배터리 유닛(50)의 전원을 스타터에 인가한다.
스타터 와이어(70)는 상대적으로 대전력이 인가되어야 하는 이유로 다른 와이어에 비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와이어 부(500)는 중장비의 다양한 전장품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중장비의 전장품은 본 실시예에서의 회로 차단부(300)와 배터리 릴레이(400)와 같이 중장비의 전력을 제어하는 전장품과, 조명장치, 공조장치, 운전실의 계기판 등 작업 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구비되는 다양한 전장품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부(500)는 이렇게 여러 전장품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들의 묶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는 다르게 회로 차단부(300)와 배터리 릴레이(400)가 인접하게 배치되지 못하면, 회로 차단부(300)와 배터리 릴레이(400)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길이가 연장되게 되고, 이렇게 연장된 와이어가 와이어 부(500)에 통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와이어 부()의 두께는 더욱 두꺼워질 수 밖에 없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 부는(500) 제 1 와이어(511)와, 제 2 와이어(512)와, 제 3 와이어(513)와, 제 4 와이어(514) 및 제 5 와이어(515)와 연결된다. 제 1 와이어(511)는 상기 단자부(5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입력 단자(312)와 연결된다.
제 2 와이어(512)는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출력 단자(31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와이어 부(500)와 연결되어 상시 전원이 필요한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제 3 와이어(513)는 일단이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출력 단자(404)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회로 차단부(320)의 입력 단자(322)에 연결된다. 제 4 와이어(514)는 상기 단자부(5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입력 단자(402)에 연결된다.
제 5 와이어(515)는 제 2 회로 차단부(320)의 일단이 출력 단자(324)와 연결되고 타단이 와이어 부(500)과 연결되어 중장비의 다른 전장품들에 키 온(Key on)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1 와이어(511)는 상기 단자부(52)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입력 단자(312)와 연결되며, 와이어 부(50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레이 아웃을 갖는다.
상기 제1 와이어(511)와 함께 제4 와이어(514)와 제 5 와이어(515)는 상기 회로 차단부(300)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연결되고, 제2 와이어(512)와 제 3 와이어(513)는 회로 차단부(310)의 우측에서 연결되므로 복수개의 와이어가 각각 회로 차단부(300)를 기준으로 좌우로 구획된 배치 관계를 갖고 전술한 회로 차단부(300) 및 배터리 릴레이(400)와 연결된다.
제1 내지 제5 와이어(511, 512, 513, 514, 515)가 상기 회로 차단부(310) 및 배터리 릴레이(400)를 향해 좌우 위치에서 분기되어 연장된 레이 아웃을 갖고 설치되므로 경로가 단축되고, 복잡하게 얽히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제2 와이어(512)는 제1 와이어(511)를 통해 입력된 배터리 유닛(50)의 전원을 제 1 회로 차단부(310)의 출력 단자(314)를 통해 전달 받으며, 상기 와이어 부(500)에 연결되어 전장품으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제3 와이어(513)는 배터리 릴레이(400)의 출력 단자(404)에서 제2 회로 차단부(320)의 입력 단자(322)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유닛(500)에서 공급된 전원을 제 2 회로 차단부(320)로 공급한다.
제4 와이어(514)는 배터리 릴레이(4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 단자(402)와 연결되며, 상기 단자부(52)에서 최대로 짧은 길이로 연장되므로 불필요하게 길이가 연장되지 않으므로 전압 강하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제5 와이어(515)는 제 2 회로 차단부(320)의 출력 단자(324)에서 연장되므로,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를 경유한 배터리 유닛(50)의 전원이 다른 건설장비의 전장품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5 와이어(511,512,513,514,515)는 배터리 릴레이(400)의 좌우에서 그룹을 이루면서 묶이도록 마감 처리된다. 이에 따라 도면들에서는 각 와이어들이 합쳐지는 부분의 직경이 증가된 것처럼 보일 뿐 실제로는 각 와이어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연장된 단부에서 외측(도면 기준 우측 상부)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하측에 회로 차단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회로 차단부(300)는 굴삭기의 작동에 중요한 구성품에 해당되므로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상부에서 낙하되는 물 또는 오일로 인한 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상향 경사지므로 물과 같은 유체가 상면에 낙하하는 경우에도 상기 회로 차단부(300)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유닛(50)에서 발생된 전원이 전장품을 향해 안정적으로 공급되므로 중장비의 오작동 또는 고장 발생이 방지된다.
첨부된 도 4 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좌우 양측 위치에 구비된 사이드 플레이트(112)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2)는 측면에서 상기 회로 차단부(300)로 이동될 수 있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여 안정적인 중장비의 작동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회로 차단부(300)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와 사이드 플레이트(112)에 의해 상측과 측면에서 유입될 수 있는 유체 또는 이물질에 대한 차단을 도모할 수 있어 오염에 의한 오작동 및 고장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로 차단부(300)는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설치된 제1 회로 차단부(310)와,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와 이웃하여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전방에 위치된 제2 회로 차단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는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aker)의 역할을 하며, 제2 회로 차단부(320)와 함께 이웃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볼트로 고정된다.
상기 회로 차단부(300)는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회로 연결 상태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작동 버튼(311)과, 상기 제2 회로 차단부(320)의 회로 연결 상태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기 위해 구비된 제2 작동 버튼(321)을 포함한다. 제 1 작동 버튼(311)과 제 2 작동 버튼(321)은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작동 버트(112)과 제2 작동 버튼(321)은 푸시될 경우 회로의 연결 상태가 전환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어 작업자 또는 운전자가 푸시할 경우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회로 차단부(310)는 하측으로 돌출된 입력 단자(312)와 출력 단자(314)가 구비되고, 제2 회로 차단부(320)에도 입력 단자(322)와 출력 단자(324)가 구비되어 있어 후술할 와이어 부(500)가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는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 차단부(3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외주면에 밀착되는 홀더부(80)를 통해 고정 유지된다.
배터리 릴레이(400)는 내부에 릴레이 회로(미도시)가 내장되며, 별도의 신호선(90)이 하측에 연결되어 별도로 구비된 제어부(미도시)와 신호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중장비에 구비된 구성품으로 공급되는 상시전원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유닛(50)에서 상기 제1 와이어(511)를 따라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로 공급된 후 제2 와이어(512)를 통해 건설장비의 다른 전장품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경로로 배터리 유닛(50)의 전원이 구성품으로 전달될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손실과 전압 강하가 최소화되고, 와이어 부(500)의 조립 및 점검시에도 해당 상시전원의 이동 경로에 결합된 와이어만 점검하면 되므로 점검의 편리성도 동시에 향상된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중장비의 키 온(Key on) 전원은 상기 배터리 유닛(50)에서 제 4 와이어(514)를 통해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입력 단자(402)로 공급된 후에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출력 단자(404) 및 제 3 와이어(513)를 경유하여 상기 제2 회로 차단부(320)의 입력 단자(322)로 공급된다.
제 2 회로 차단부(320)의 입력 단자(322)로 공급된 전원은 제 2 회로 차단부(320)의 출력 단자(324) 및 제 5 와이어(515)를 통해 건설장비의 키 온 전원이 필요한 다른 전장품으로 공급된다.
운전자가 엔진 시동키를 온(on)시키면 단자부(52)와 연결된 제4 와이어(514)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앞서 설명된 키 온(Key on) 전원과 같이 제 5 와이어(515)를 통해 에어 컴프레셔와 같은 전장품을 향해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콤프레셔 작동스위치(미도시)를 온(on)시키면 곧바로 에어 콤프레셔(13)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키 온 상태의 배터리 전원이 전장품을 향해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전원을 공급받은 해당 전장품은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중장비의 안정적인 작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0 : 배터리 유닛
52 : 단자부
80 : 홀더부
100 : 가이드 브라켓
110, 120 : 제1,2 가이드 플레이트
200 : 메인 프레임
300 : 회로 차단부
310, 320 : 제1,2 회로 차단부
400 : 배터리 릴레이
500 : 와이어 부
511, 512, 513, 514, 515: 제1 내지 제 5 와이어

Claims (9)

  1. 단자부(52)가 구비된 배터리 유닛(50)과 인접하여 위치되고, 중장비의 배터리 룸에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100);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에 설치되고, 상기 중장비에 구비된 전장품 중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전기회로의 단속을 위해 구비된 회로 차단부(300);
    상기 회로 차단부(300)와 마주보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에 설치된 배터리 릴레이(400); 및
    상기 회로 차단부(3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각각의 입력단자와 상기 단자부(52)를 연결하고, 상기 회로 차단부(3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출력단자와 중장비의 전장품과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가 구비된 와이어 부(500)를 포함하는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은 상기 배터리 유닛(50)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은 상기 배터리 유닛(50)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배터리 유닛(50)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된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는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연장된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좌우 양측 위치에 구비된 사이드 플레이트(112)를 더 포함하는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설치된 제1 회로 차단부(310);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와 이웃하여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전방에 위치된 제2 회로 차단부(320)가 구비된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차단부(300)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의 상면으로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회로 연결 상태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작동 버튼(311);
    상기 제2 회로 차단부(320)의 회로 연결 상태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기 위해 구비된 제2 작동 버튼(321)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작동 버튼(311) 및 제 2 작동 버튼(321)은 상기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단자부(5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입력 단자(312)와 연결된 제1 와이어(511);
    상기 제1 회로 차단부(310)의 출력 단자(31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 부(500)로 연장된 제2 와이어(512);
    일단이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입력 단자(40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회로 차단부(320)의 입력 단자(322)에 연결된 제3 와이어(513);
    상기 단자부(5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의 입력 단자(402)에 연결된 제4 와이어(514);
    상기 제 2 회로 차단부(320)의 출력 단자(32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 부(500)로 연장된 제 5 와이어(515)를 포함하는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릴레이(400)는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밀착되는 홀더부(80)를 통해 고정 유지되는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KR1020190117419A 2019-09-24 2019-09-24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KR20210035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19A KR20210035526A (ko) 2019-09-24 2019-09-24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CN202022126953.6U CN213906332U (zh) 2019-09-24 2020-09-24 重型装备的电气部件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19A KR20210035526A (ko) 2019-09-24 2019-09-24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526A true KR20210035526A (ko) 2021-04-01

Family

ID=7544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419A KR20210035526A (ko) 2019-09-24 2019-09-24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35526A (ko)
CN (1) CN213906332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023B1 (ko) 1994-08-24 1998-12-15 오오쯔카 요시미쯔 분무식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023B1 (ko) 1994-08-24 1998-12-15 오오쯔카 요시미쯔 분무식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3906332U (zh)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060B1 (ko) 가변 제어장치를 갖는 중장비용 유압회로
US20060226701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hydraulic hose
CN103958786A (zh) 用于动臂回转式挖掘机的液压管路固定装置
KR20210035526A (ko) 중장비의 전장품 고정 장치
EP2682529B1 (en) Upper slewing body and hybrid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same
US9876337B2 (en) Machine arranged for sawing micro trenches and placing ducts/cables in micro trenches
EP2000627A2 (en) Directional boring machine for drilling underground ducts
KR20210023547A (ko) 굴삭기용 하네스 고정 장치
KR20210154540A (ko) 건설 기계
JP2009133084A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フロント装置
KR100734878B1 (ko)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CN216198408U (zh) 工程机械用排气管单元的位移调节装置
KR20210157181A (ko) 건설 중장비
KR20200039968A (ko) 지중 선로 보호장치
KR200143440Y1 (ko) 지하매설물 경고 테이프
JP3087110B2 (ja) 小口径管埋設用オ−プンシ−ルド機の駆動機構
JP2023102143A (ja) 配管切替え方法
US7107711B2 (en) Tool mounting device
KR20170092918A (ko)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
JP2018076742A (ja) 接続装置、管体内作業システム、及び杭圧入システム
KR100662556B1 (ko) 전동식 버켓크레인
WO2015068869A1 (ko) 건설기계용 유압장치
KR20130070743A (ko) 소형 굴삭기
KR100406278B1 (ko)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JP3840827B2 (ja) 建設機械の作業灯点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