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514A - 일체형 음식용 용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음식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514A
KR20210035514A KR1020190117398A KR20190117398A KR20210035514A KR 20210035514 A KR20210035514 A KR 20210035514A KR 1020190117398 A KR1020190117398 A KR 1020190117398A KR 20190117398 A KR20190117398 A KR 20190117398A KR 20210035514 A KR20210035514 A KR 20210035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upper body
food contain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숙
Original Assignee
박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숙 filed Critical 박재숙
Priority to KR102019011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5514A/ko
Publication of KR2021003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음식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형용기의 하부받침과 상부몸체에 수저받침대를 일체로 수평으로 부착 형성하여 편의성과 공간활용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공간부를 수직구획판으로써 여러칸으로 나누어 식사에 필요한 소스 및 간장 또는 양념류를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뚜껑을 안착시켜 먼지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몸체와 차단뚜껑의 외주면에 6쪽 마늘을 형상화한 만곡돌출부와 돌출부를 6등분으로 대응되게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중앙 영역에 안착홈이 형성된 경사받침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수저받침대를 부착 형성하여 다과에 필요한 찻잔과 수저를 준비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경사받침 사이에 수저받침대를 부착 연결하여 2인이 다과에 필요한 찻잔과 수저를 준비할 수 있어 편리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일체형 음식용 용기{Integral 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일체형 음식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형용기의 외주면에 수저 받침대를 일체로 부착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 받침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받치는 도구로서 식사시 꺼내고 세팅하는 게 귀찮고 불편하여 사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식사시 음식물이 묻은 수저가 식탁면에 직접 닿으면서 위생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식탁면이 지저분해져 밥맛이 떨어지기도 하고, 숟가락을 밥그릇에 올려놓다 떨어져 음식물이 튀기기도 하고 양손으로 수저를 번갈아 들고 식사를 하는 불편함이 따르기도 한다.
주로 우리나라 음식은 밥을 주식으로 하여 많은 반찬이 제공되고 있고, 식사 중에 음식을 담은 그릇이나 접시가 많아 손님이 멀리 있는 음식을 먹기 곤란한 경우 음식물을 일정량씩 덜어서 먹을 수 있도록 개인용 앞접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저 받침대와 별도로 개인용 앞접시를 추가로 사용하게 되면 이로 힌해 식탁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식사를 하는데 불편하게 되는데, 특히 한정식같이 반찬이 많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수저 받침대와 앞접시를 별도로 사용하게 되면 식탁 공간이 더욱 협소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545236호(발명의 명칭 :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및 등록실용신안 20-0175671호(고안의 명칭 : 음식용구 받침부를 가진 음식용 용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는 가장자리 테두리부가 상측으로 융기되고, 테두리부의 내측 영역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앞접시나 국그릇과 같은 용기 형상을 가지며, 테두리부에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는 가장자리 테두리부의 높은 위치에 형성된 거치홈에 숟가락 및 젓가락을 가로질러 거치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식탁면으로 떨어지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의 음식용구 받침부를 가진 음식용 용기는 숟가락, 젓가락과 같은 음식용구를 안정감 있게 올려놓을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 또한, 음식용 용기의 상부테두리 상에 형성된 받침부 사이에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걸쳐 보관함으로써 안정적인 보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높은 위치로 인해 식탁면으로 떨어지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받침과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원형용기의 공간부에 음식물을 들어 먹을 수 있는 앞 접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몸체와 하부받침에 수저받침대를 일체로 수평으로 부착 형성하여 편의성과 공간활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일체형 음식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형용기의 공간부를 수직구획판으로서 여러칸으로 나누고, 식사시 필요한 소스 및 간장 또는 양념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상부에 차단뚜껑을 안착시켜 내부에 보관되는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중앙 영역에 하방으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찻잔 등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외주면에 일체로 수평으로 수저받침대를 부착 형성하여 다과에 필요한 일체형 음식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바닥면에 수평으로 조립요홈을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만곡돌출부가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부몸체의 하부 중앙 영역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받침으로 이루어진 원형용기와; 상기 상부몸체의 조립요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공간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공간부를 나누기 위한 수직구획판과; 상기 상부몸체 상부 내주면과 수직구획판 상부에 안착되어 공간부를 차단하게 되고,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부 영역에 받침손잡이가 형성된 차단뚜껑과; 상기 원형용기의 하부받침과 상부몸체의 외주면에 일단이 수평으로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상부 중앙에 거치구분돌기가 형성되어 이를 기준으로 만곡지게 거치홈이 형성되는 수저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형용기의 하부받침과 상부몸체에 수저받침대를 일체로 수평으로 부착 형성하여 편의성과 공간활용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공간부를 수직구획판으로써 여러칸으로 나누어 식사에 필요한 소스 및 간장 또는 양념류를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뚜껑을 안착시켜 먼지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몸체와 차단뚜껑의 외주면에 6쪽 마늘을 형상화한 만곡돌출부와 돌출부를 6등분으로 대응되게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중앙 영역에 안착홈이 형성된 경사받침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수저받침대를 부착 형성하여 다과에 필요한 찻잔과 수저를 준비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경사받침 사이에 수저받침대를 부착 연결하여 2인이 다과에 필요한 찻잔과 수저를 준비할 수 있어 편리성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1실시예는 바닥면에 수평으로 조립요홈(2a)을 갖는 공간부(2)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만곡돌출부(12a)가 형성된 상부몸체(12)와, 상부몸체(12)의 하부 중앙 영역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받침(14)으로 이루어진 원형용기(10)와; 상부몸체(12)의 조립요홈(2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공간부(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공간부(2)를 나누기 위한 수직구획판(20)과; 상부몸체(12) 상부 내주면과 수직구획판(20) 상부에 하부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공간부(2)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뚜껑(30)과; 원형용기(10)의 하부받침(14)과 상부몸체(12)의 외주면에 일단이 수평으로 일체형을 부착되는 수저받침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구획판(20)은 양단이 상부몸체(12)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된 수직만곡편(22)과; 수직만곡편(22)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공간부(2)의 조립요홈(2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끼움돌기(24)로 이루어져 공간부(2)를 구획하여 식사에 필요한 소스 및 간장 또는 양념류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뚜껑(30)은 상부 영역에 받침손잡이(32)를 일체로 형성하여, 손잡이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외주면에 상부몸체(12)의 만곡돌출부(12a)와 대응되게 돌출부(30a)가 형성되며, 받침손잡이(32)를 바닥면에 안정되게 받쳐놓고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찻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원형용기(10)의 상부몸체(12) 및 차단뚜껑(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만곡돌출부(12a)와 돌출부(30a)는 6쪽 마늘을 형상화하여 6분으로 대응되게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차단뚜껑(30)의 하단에는 상부몸체(12)의 상부와 수직구획판(20) 상부에 안착되도록 단차요홈(30b)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수저받침대(40)는 원형용기(10)의 하부받침(14) 바닥면과 상부몸체(12)의 외주면에 수평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숟가락 및 젓가락을 구분하여 거치 가능하도록 거치구분돌기(41)가 형성되며, 거치구분돌기(41)를 기준으로 만곡지게 거치홈(42)이 형성된다.
이때, 수저받침대(24)의 거치홈(42) 바닥에 문양(42a)을 각각 형성하여 용기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2) 외주면에 바닥면과 이격되게 수저받침대(40)를 일체로 형성하여 손잡이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숟가락 및 젓가락은 바닥면과 거치홈(42)에 경사지게 거치하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2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2실시예는 외주면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만곡돌출부(52a)가 형성된 경사받침(52)과, 경사받침(52)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받침(54)과, 경사받침(52) 상부 중앙 영역에 하방으로 적정 깊이를 유지하여 형성되어 찻잔 등을 올려놓기 위한 상부가 개방된 안착홈(55)으로 이루어진 원형용기(50)와; 원형용기(50)의 경사받침(52)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수평으로 부착되는 수저받침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홈(65)의 중심 영역에는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물배출공(65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수저받침대(60)는 원형용기(50)의 경사받침(52) 외주면에 수직을 유지하여 일단이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젓가락거치홈(62)이 형성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3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3실시예는 외주면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만곡돌출부(73a)가 형성된 경사받침(73)과, 경사받침(73)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받침(74)과, 경사받침(73) 상부 중앙 영역에 하방으로 적정 깊이를 유지하여 형성되어 찻잔 등을 올려놓기 위한 상부가 개방된 안착홈(75)으로 이루어진 제1,2원형용기(70)(71)와; 제1,2원형용기(70)(71)의 경사받침(73) 외주면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평으로 부착되는 수저받침대(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홈(75)의 중심 영역에는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물배출공(75a)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수저받침대(80)는 제1,2원형용기(70)(71)의 경사받침(73) 외주면 사이에 수평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고,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거치구분돌기(81)를 기준으로 만곡지게 거치홈(82)이 형성되어 수저를 선택적으로 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2)가 형성된 상부몸체(12)의 하부 중앙 영역에 하부받침(14)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작하여 원형용기(10)를 구성하고, 하부받침(14)과 상부몸체(12)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수저받침대(40)를 일체형으로 부착하며, 공간부(2)의 바닥면에 형성된 조립요홈(2a)을 통해 수직구획판(20)의 수평끼움돌기(24)를 결합하여 공간부(2)를 나누고, 상부몸체(12)의 상부와 수직구획판(20) 상부에 차단뚜껑(30) 하단의 단차요홈(30b)을 안착시켜 공간부(2)를 차단하여 일체형 음식용 용기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체형 음식용 용기를 식탁 등에 하부받침(14)과 수저받침대(40)를 올려놓은 다음, 수저받침대(40)의 거치구분돌기(41)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거치홈(42)을 통하여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부몸체(12) 상부로부터 차단뚜껑(30)을 분리한 다음, 수직구획판(20)에 의해 여러칸으로 구획된 공간부(2)에 식사에 필요한 소스 및 간장 또는 양념류(소금, 후추, 고추가루 등)을 보관하게 된다.
이때, 원형용기(10)의 공간부(2) 내부에 수직구획판(20)을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음식물을 들어 섭취하는 앞 접시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수저받침대(40)를 바닥면과 이격되게 상부몸체(12)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부착하여 손잡이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바닥면과 이격되게 상부몸체(12) 외주면에 수저받침대(40)를 일체형으로 부착하여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하는 손잡이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안착홈(54)이 형성되도록 경사받침(52)을 제작한 다음, 경사받침(52) 외주면에 수평으로 수저받침대(60)를 일체형으로 부착하여 일체형 음식용 용기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일체형 음식용 용기를 다과상에 올려놓고, 안착홈(54)에 찻잔을 안착시키고, 수저받침대(60)의 젓가락보관홈(62)에 수저를 선택적으로 보관하여 다과를 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일체형 음식용 용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수저받침대(80)가 부착 연결된 제1,2원형용기(70)(71)를 다과상에 올려놓고, 안착홈(75)에 찻잔을 각각 안착시키고, 수저받침대(80)의 거치홈(82)에 수저를 선택적으로 각각 보관시켜, 2인이 다과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식용 용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2 : 공간부 2a : 조립요홈
10,50,70,71 : 원형용기 12 : 상부몸체
12a,52a,72a : 돌출만곡부 14,54,74 : 하부받침
20 : 수직구획판 22 : 수직만곡편
24 : 수평끼움돌기 30 : 차단뚜껑
30a : 돌출부 32 : 받침손잡이
40,57,70 : 수저받침대 41,81 : 거치구분돌기
42,82 : 거치홈 42a : 문양
52,73 : 경사받침 55,75 : 안착홈
55a,75a : 물배출공 62 : 젓가락거치홈

Claims (6)

  1. 바닥면에 수평으로 조립요홈(2a)을 갖는 공간부(2)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만곡돌출부(12a)가 형성된 상부몸체(12)와, 상부몸체(12)의 하부 중앙 영역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받침(14)으로 이루어진 원형용기(10)와;
    상기 상부몸체(12)의 조립요홈(2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공간부(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공간부(2)를 나누기 위한 수직구획판(20)과;
    상기 상부몸체(12) 상부 내주면과 수직구획판(20) 상부에 안착되어 공간부(2)를 차단하게 되고, 외주면에 돌출부(30a)가 형성되며, 상부 영역에 받침손잡이(32)가 형성된 차단뚜껑(30)과;
    상기 원형용기(10)의 하부받침(14)과 상부몸체(12)의 외주면에 일단이 수평으로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상부 중앙에 거치구분돌기(41)가 형성되어 이를 기준으로 만곡지게 거치홈(42)이 형성되는 수저받침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음식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획판(20)은
    양단이 상기 상부몸체(12)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된 수직만곡편(22)과;
    상기 수직만곡편(22)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공간부(2)의 조립요홈(2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끼움돌기(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음식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받침대(40)는
    상기 거치홈(42) 바닥에 문양(22a)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음식용 용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받침대(40)는
    상기 상부몸체(12) 외주면에 바닥면과 이격되게 일체형으로 부착하여 손잡이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음식용 용기.
  5. 외주면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만곡돌출부(52a)가 형성된 경사받침(52)과, 경사받침(52)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받침(54)과, 경사받침(52) 상부 중앙 영역에 상부가 개방되고, 물배출공(55a)이 형성된 안착홈(55)이 형성되는 원형용기(50)와;
    상기 원형용기(50)의 경사받침(52) 외주면에 수평으로 일단이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젓가락거치홈(62)이 형성된 수저받침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음식용 용기.
  6. 외주면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만곡돌출부(72a)가 경사받침(73)과, 경사받침(73)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받침(74)과, 경사받침(73) 상부 중앙 영역에 상부가 개방되고, 물배출공(75a)이 관통 형성되는 안착홈(75)이 형성된 제1,2원형용기(70)(71)와;
    상기 제1,2원형용기(70)(71)의 경사받침(73) 외주면 사이에 수평을 유지하여 일체로 부착되어 연결되고,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거치구분돌기(81)를 기준으로 만곡지게 거치홈(82)이 형성되는 수저받침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음식용 용기.
KR1020190117398A 2019-09-24 2019-09-24 일체형 음식용 용기 KR20210035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398A KR20210035514A (ko) 2019-09-24 2019-09-24 일체형 음식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398A KR20210035514A (ko) 2019-09-24 2019-09-24 일체형 음식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514A true KR20210035514A (ko) 2021-04-01

Family

ID=7544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398A KR20210035514A (ko) 2019-09-24 2019-09-24 일체형 음식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55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0798A (en) Food and beverage support tray with beverage vessel cutout
US5960982A (en) Combination buffet plate and cup holder
US5294000A (en) Food and beverage support tray
US1511265A (en) Food holding and serving device
KR101545236B1 (ko)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US20130160679A1 (en) Multi-Purpose Table with Inlaid Storage Container
US20160058220A1 (en) Magnetic dinnerware
KR20210035514A (ko) 일체형 음식용 용기
CN209376935U (zh) 一种便携套装餐具盒
US5170908A (en) Eating plate having a hole for a beverage container with slots for utensils
US20100116833A1 (en) Holding Element for at Least One Object
US7021480B2 (en) Stackable container assembly
KR20090024900A (ko) 보조컵과 음료컵이 일체로 연결된 일회용 용기
CN216316127U (zh) 一种模块化套餐餐盒
CN219438769U (zh) 一种组合式刀叉餐盘
JP3244371U (ja) 料理用ワンプレート皿
KR200169884Y1 (ko) 찻잔 및 접시 보관대
CN212698417U (zh) 餐具组
JP3119478U (ja) 紙皿お膳
CN216020331U (zh) 一种组合式餐具
CN213139823U (zh) 一种组合套餐包装餐盒
CN211748554U (zh) 一种碗盘及碗盘组件
CN212878780U (zh) 餐具组
US20150250338A1 (en) Dishware with pendent side dishes attached via slots in the dishware for secure versatile attachment of the side dishes
US20030146222A1 (en) Fast food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