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956A -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956A
KR20210034956A KR1020190116961A KR20190116961A KR20210034956A KR 20210034956 A KR20210034956 A KR 20210034956A KR 1020190116961 A KR1020190116961 A KR 1020190116961A KR 20190116961 A KR20190116961 A KR 20190116961A KR 20210034956 A KR20210034956 A KR 2021003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yaluronic acid
synovial fluid
weight
synov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석
이현섭
정현태
김상은
소진언
김태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1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956A/ko
Publication of KR2021003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05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cartilage reconstruction, e.g. menis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관절활액보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면서 크리프 및 회복 시험(Creep & Recovery test)시 특유의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히알루론산 분자량의 감소를 억제시키고 점탄성을 유지시켜 제제의 안정성을 높이고, 정상 관절활액과 유사한 삼투압과 pH 범위를 만족시켜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어 관절경 수술시에 소실되는 활액의 대체, 관절부의 마찰 경감으로 인한 신속한 기능성 회복, 관절 수술 부위의 감염 위험도 경감, 환자의 통증 완화용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ynovial fluid substitute comprising hyaluronic acid}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면서 크리프 및 회복 시험(Creep & Recovery test)시 특유의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평균 회복률이 높고 평균 변형률이 작아 히알루론산 분자량 및 점탄성 측면에서 관절활액보충용 조성물의 안정성이 높고 통증 완화효과가 큰 관절활액보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관절염이나 활막염 등과 같은 관절 병변의 치료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관절경 수술이 빈번하게 시행되고 있다.
관절경 수술(arthroscopic surgery)은 관절 주변에 지름 1cm 미만의 최소 절개를 통해 구멍을 내어 소형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을 관절 내로 삽입하고 고해상도 모니터를 보면서 수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절경 수술의 종류로는 건, 인대 재건 및 봉합 관련 수술, 반월상 연골판 절제 및 봉합관련 수술, 사지관절절제술, 유리체절제술 및 십자인대 성형술 등을 들 수 있으며 2016년 기준으로 이러한 관절경 수술을 받은 환자는 약 33만명에 달할 정도로 다수의 환자들이 관절경 수술을 받고 있다(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의료개방시스템, 진료행위통계). 한편, 슬관절은 인체에서 제일 큰 관절이며, 전방에는 근육으로 싸여있지 않을 뿐 아니라, 중요한 혈관이나 신경이 없으므로 관절경 수술을 시행하기 가장 적합한 관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관절경 수술 중 슬관절에 대해 시행하고 있는 관절경 수술이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져, 전체 관절경하 수술에서 슬관절 관절경 수술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80% 정도로 알려져 있다(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안진환, 대한의사협회지). 슬관절에서 시행되고 있는 관절경의 수술명은 반월상 연골 부분 혹은 전절제술(partial or total meniscectomy), 반월상 연골 봉합술(meniscal repair), 유리체 제거술(removal of loose body), 활액막 절제술(synovectomy), 박리성 골연골편 제거 또는 고정술(removal or fixation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십자인대 봉합 및 재건술(repair or reconstruction of cruciate ligament) 및 골절 고정술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관절경 수술 중에는 연골의 작은 단편들이 발생하거나 활액(synovial fluid)가 유실되어 관절 기능 장애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관절경 수술 후에는 관절강을 세척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생리식염수가 사용되나, 물리화학적 성질이 활액과 상이하여 부작용의 가능성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절경 수술에 사용된 생리식염수를 세척하고, 유실된 관절 활액을 일시적으로 보충하고 대체하여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히알루론산과 같은 고분자 용액을 활액보충재를 사용하게 된다.
활액보충재란 4등급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료기기)로 분류되는 것으로, 관절경 수술 후 소실되는 활액(synovial fluid)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제품으로, 수술 후 관절강 내에 주입하여 관절부의 마찰을 줄여 기능성을 빠르게 회복시키며 관절 연골의 synovial cell 층을 코팅하여 감염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현재 국내 최초로 관절활액대체제로서 2016년 4월에 식약처 수입허가가 완료된, 히알루론산 기반의 등장액인 비스코실®(Viscoseal®)만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스코실은 히알루론산 등장액이 코팅되면서 히알루론산 층을 형성하며, 이 층이 활성됨으로 인해 관절에 대한 마스킹(masking) 효과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한 고통을 감소시켜 관절 수술 후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한편, 현재 제조허가가 된 국내 생산 제품은 존재하지 않으나 약 400 내지 600억 정도의 시장규모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시장 규모에 비해 여전히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활액보충재의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관절경 수술 환자의 초기 통증 경감이 활액보충재로서 사용되는 고분자 용액의 분자량과 점탄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분자 용액의 분자량과 점탄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중요하다. 또한 관절활액을 대체하는 것이므로 정상 관절활액과 유사한 삼투압과 pH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유의 회복률과 변형률을 갖는 특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히알루론산 용액 중의 히알루론산 분자량과 용액의 점탄성이 소실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인체 주입시 안정성이 높고 통증 완료 효과가 높은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크리프 및 회복 시험에 따라 측정된 평균 회복률과 평균 변형률이 특정 범위를 나타내는 경우, 히알루론산 용액 중의 히알루론산 분자량과 용액의 점탄성이 소실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인체 주입시 안정성이 높고 통증 완료 효과가 높은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이의 염 또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만니톨을 포함하며, 크리프 및 회복 시험(Creep and Recovery test)시 특정 조건, 구체적으로 크리프 및 회복 시험을 6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8회 반복하여 측정된 평균 회복률이 2% 이상, 그리고 평균 변형률이 60% 이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관절활액보충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절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은 관절 또는 관절 주변 부위 주입용이며, 관절경 수술시에 소실되는 활액의 대체, 관절부의 마찰 경감으로 인한 신속한 기능성 회복, 관절 수술 부위의 감염 위험도 경감, 환자의 통증 완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히알루론산(이하, 'HA'라고도 함)은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D-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진 반복 단위가 선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체 고분자 물질로서, 안구의 유리액, 관절의 활액, 닭벼슬 등에 많이 존재하며,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갖기 때문에, 안과용 수술 보조제, 관절기능 개선제, 약물전달 물질, 점안제, 주름개선제 등의 의료 및 의료 용구나 화장품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외에도 이의 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염은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칼슘,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등의 무기염과,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 등의 유기염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활액보충재용 조성물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의 평균 분자량은 1,800,000 Da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0,000 내지 4,00,000 Da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000 내지 3,500,000 Da이다. 히알루론산 평균 분자량이 1,800,000 Da 미만인 경우 낮은 분자량으로 인해 높은 평균 화복률과 낮은 평균 변형률을 확보하기 힘들고, 인체 내 주입시 관절에서 충분한 기간동안 물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유지기간도 낮아 빠르게 소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은, 전체 활액보충재용 조성물 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중량%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액 보충재용 조성물은 만니톨을 포함한다. 상기 만니톨은 활액보충재에 포함되는 히알루론산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제로서 포함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종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주사 등을 통해 인체에 주입할 수 있는 조성물들은 주입 전, 특히 고온 멸균과 같은 멸균 단계 중에 및/또는 임의의 상당히 긴 시간 동안 보관될 때,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분해되는 경향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활액보충재에 만니톨을 포함시키는 경우, 고분자의 히알루론산을 사용한다 하여도 상기와 같은 멸균이나 보관에 의한 분자량의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정성이 있는 활액보충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활액보충재 중의 만니톨의 함량은 전체 활액보충재 중량 대비 3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상 7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기반의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의 분자량 및 점탄성면에서 탁월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크리프 및 회복 시험을 8회 반복하여 측정된 평균 회복률이 2% 이상, 그리고 평균 변형률이 60% 이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평균 회복률은 2% 이상 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5% 이하일 수 있고, 평균 변형률은 10% 이상 6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은 상기 히알루론산과 만니톨뿐만 아니라, 완충제, 등장화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예에서,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이 완충제 또는, 완충제와 및 등장화제를 더욱 포함하는 경우에, 만니톨 및/또는 등장화제가 상기 완충제에 혼합되어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과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완충액은 히알루론산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완충액의 예로는 구연산, 인산일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아세트산, 디에틸 바비투르산(diethyl barbituric acid), 아세트산 나트륨(sodium acetate), TAPS(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미노)프로판술폰산), Bicine(2-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트산), 트리스(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암모늄메탄), Tricine(N-(2-하이드록시-1,1-비스(하이드록시메틸)에틸)글라이신), HEPES (4-(2-하이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술폰산), TES (2-[[1,3-디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2-일]아미노]메탄술폰산) 및 PIPES (피페라진-N,N'-비스(2-에탄술폰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완충액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완충액 중에 포함되는 상기 성분들의 함량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완충액에 대해 0.03 내지 2.0g/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등장화제는 히알루론산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완충액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등장화제로서, 염화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등장화제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완충액에 대해 0.1 내지 9.0g/L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도,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의 제조에 포함될 수 있는 허용가능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 마취제, 오피오이드 진통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신생물제, 단클론 항체, 키메라 단클론 항체, 비타민 및 미네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의 예로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NSAIDS)(예를 들면 디클로페낙, 이부프로펜, 피록시캄); 마취제(예를 들면 리도카인 및 부피바카인); 오피오이드 진통제(예를 들면 코데인 및 모르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예를 들면 덱사메타손 및 프레드니손); 항신생물제(예를 들면 메토트렉세이트); 항 바이러스제(예를 들면 아시클로버 및 비다라빈); 단클론 항체(예를 들면 휴미라) 및 키메라 단클론 항체 (예를 들면 인플릭시마브)를 포함한 추가의 활성 또는 불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절한 투여형태로 제제화 되어, 관절 또는 관절 주변부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은 이러한 용도에 알맞은 투여형태로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사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여 방법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활택보충재용 조성물을 원하는 생리학적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의 상기 보충제의 단일 또는 다중 관절내 주사 또는 이식 (implant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절내 주사 또는 이식은, 예를 들면 관절경에 의해 또는 주사기와 같은 주사 장치에 의해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동물의 골 및/또는 연골 결손부 내로 직접 시행된다. 투여 부위의 예로는 무릎, 어깨, 발목, 측두-하악 및 수근중수 관절, 팔꿈치, 엉덩이, 손목, 척추 디스크가 포함된다.
추가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단일 용량의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갖는 미리 충전된 1회용 주사기(프리필드 시린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관절 장애, 골관절염 및 외상성 연골 병변을 포함한 관절 손상, 또는 관절 질환과 관련된 통증 및 불편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관절 질환의 예로는 골관절염(원발성(특발성) 또는 2차),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 손상(예를 들면, 외상성 또는 반복적 운동 손상), 연골 병리(예를 들면, 콘드로칼콘시스(chondrocalconsis), 연골 연화증), 패혈성 관절염이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기반의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은 특정 범위의 만니톨을 안정화제로서 포함함과 동시에 특징적인 크리프 및 회복 시험에 의한 변형률 및 회복률을 가짐으로 인해, 고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멸균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분자량의 감소를 억제시키고 점탄성을 유지시켜 제제의 안정성을 높였을 뿐 아니라, 정상 관절활액과 유사한 삼투압과 pH 범위를 만족시켜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어 관절경 수술뿐 아니라 관절염 환자 등에 사용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크리프 및 회복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크리프 및 회복 시험 결과가, 평균 회복률 2% 이상, 평균 변형률 6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및 통증 완화가 높은 활액보충용 조성물 선별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크리프 및 회복 시험은 공지의 크리프 및 회복 시험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6 내지 10 회, 바람직하게는 8회 수행하여 측정된 회복률과 변형률의 평균 수치를 구하여 해당 값이 평균 회복률 2% 이상, 평균 변형률 60% 이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해당 범위 내의 평균 회복률과 평균 변형률을 갖는 활액보충용 조성물의 경우 고분자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하여도 멸균 등으로 인한 분자량 감소 및 점탄성 감소 가능성이 낮아 안정성이 높고 통증 등의 문제가 해소된 활액보충용 조성물을 명확하게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이의 염 또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만니톨을 포함하며, 크리프 및 회복 시험을 6회 내지 10회 반복하여 측정된 평균 회복률이 3% 이상, 그리고 평균 변형률이 60% 이하의 값을 가짐으로 인해, 히알루론산 분자량의 감소를 억제시키고 점탄성을 유지시켜 제제의 안정성을 높였을 뿐 아니라, 정상 관절활액과 유사한 삼투압과 pH 범위를 만족시켜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어 관절경 수술시에 소실되는 활액의 대체, 관절부의 마찰 경감으로 인한 신속한 기능성 회복, 관절 수술 부위의 감염 위험도 경감, 환자의 통증 완화용으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활액보충재용 조성물과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1 내지 6의 크리프 및 회복 시험으로서 10Pa 응력을 10초간 전단 방향으로 가하여 회복률 및 변형률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원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고분자 히알루론산 및 3 중량%의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을 수행하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0.5g의 히알루론산(평균분자량: 약 250만 내지 350만 Da)을, 3 중량%의 만니톨, 0.35 중량%의 염화나트륨 및 0.043 중량%의 인산수소나트륨이 녹아있는 완충용액에 0.5 중량% 농도로 용해하였다. 완전히 녹은 혼합물을 플라스틱 주사기에 충진하고 고온습열 멸균기를 이용하여 10분간 멸균하여 히알루론산 및 안정화제로서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고분자 히알루론산 및 4 중량%의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의 제조
0.5g의 히알루론산(평균분자량: 약 250만 내지 350만 Da)을, 4 중량%의 만니톨, 0.16 중량%의 염화나트륨 및 0.043 중량%의 인산수소나트륨이 녹아있는 완충용액에 0.5 중량% 농도로 용해하였다. 완전히 녹은 혼합물을 플라스틱 주사기에 충진하고 고온습열 멸균기를 이용하여 10분간 멸균하여 히알루론산 및 안정화제로서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고분자 히알루론산 및 5 중량%의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의 제조
0.5g의 히알루론산(평균분자량: 약 250만 내지 350만 Da)을, 5 중량%의 만니톨 및 0.043 중량%의 인산수소나트륨이 녹아있는 완충용액에 0.5 중량% 농도로 용해하였다. 완전히 녹은 혼합물을 플라스틱 주사기에 충진하고 고온습열 멸균기를 이용하여 10분간 멸균하여 히알루론산 및 안정화제로서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만니톨을 포함하지 않는 고분자 히알루론산 활액보충재용 조성물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0.5g의 히알루론산(평균분자량: 약 250만 내지 350만 Da)을, 0.9 중량%의 염화나트륨 및 0.043 중량%의 인산수소나트륨이 녹아있는 완충용액에 0.5 중량% 농도로 용해하였다. 완전히 녹은 혼합물을 플라스틱 주사기에 충진하고 고온습열 멸균기를 이용하여 10분간 멸균하여 히알루론산 및 안정화제로서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스코실®
활액보충재로 허가 받은 제품인 비스코실®을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만니톨을 포함하지 않는 저분자 히알루론산 활액보충재용 조성물
0.5g의 히알루론산(평균분자량: 약 120만 내지 180만 Da)을, 0.9 중량%의 염화나트륨 및 0.043 중량%의 인산수소나트륨이 녹아있는 완충용액에 0.5 중량% 농도로 용해하였다. 완전히 녹은 혼합물을 플라스틱 주사기에 충진하고 고온습열 멸균기를 이용하여 10분간 멸균하여 히알루론산 및 안정화제로서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 3 중량%의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의 제조
0.5g의 히알루론산(평균분자량: 약 120만 내지 180만 Da)을, 3 중량%의 만니톨, 0.35 중량%의 염화나트륨 및 0.043 중량%의 인산수소나트륨이 녹아있는 완충용액에 0.5 중량% 농도로 용해하였다. 완전히 녹은 혼합물을 플라스틱 주사기에 충진하고 고온습열 멸균기를 이용 10분간 멸균하여 히알루론산 및 안정화제로서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 4 중량%의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의 제조
0.5g의 히알루론산(평균분자량: 약 120만 내지 180만 Da)을, 4 중량%의 만니톨, 0.16 중량%의 염화나트륨 및 0.043 중량%의 인산수소나트륨이 녹아있는 완충용액에 0.5 중량% 농도로 용해하였다. 완전히 녹은 혼합물을 플라스틱 주사기에 충진하고 고온습열 멸균기를 이용 10분간 멸균하여 히알루론산 및 안정화제로서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 5 중량%의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의 제조
0.5g의 히알루론산(평균분자량: 약 120만 내지 180만 Da)을, 5 중량%의 만니톨 및 0.043 중량%의 인산수소나트륨이 녹아있는 완충용액에 0.5 중량% 농도로 용해하였다. 완전히 녹은 혼합물을 플라스틱 주사기에 충진하고 고온습열 멸균기를 이용 10분간 멸균하여 히알루론산 및 안정화제로서 만니톨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크리프 및 회복 시험(Creep and Recovery Test) 1
샘플을 DHR(Discovery Hybrid Rhemeter, TA사 제품)의 원형 평행판 지오메트리(circular parallel plate geometry)에 로딩하고 10초 동안 10 Pa의 전단 응력을 전단 방향으로 인가하여 샘플을 변형률을 시험하였고, 이때, 인가된 응력을 제거하고 30초 동안 고정구에서 샘플이 회복되게 두어 회복률을 측정하였다. 이를 8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 1과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평균회복률(%) 평균변형률(%)
실시예1 3.07 59.55
실시예2 3.52 22.24
실시예3 4.60 9.82
비교예1 2.21 80.63
비교예2 0.36 439.97
비교예3 0.00 988.01
비교예4 0.00 514.77
비교예5 0.33 396.16
비교예6 0.71 158.76
표 1과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저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거나 만니톨을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3 중량%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기반 활액보충용 조성물의 크리프 회복 테스트 결과, 하이드로겔의 변형이 쉽게 발생할 뿐 아니라 회복률도 낮은데 반해, 본 발명에 따라 만니톨을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3 중량%, 4 중량% 및 5 중량%와 같이 3 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의 경우, 3 내지 5%의 높은 평균 회복률을 나타내고 9 내지 60의 낮은 평균 변형률을 나타내고, 이러한 회복률과 변형률의 조건을 만족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은 안정성이 높고 통증의 완화 효과가 클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히알루론산, 이의 염 또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만니톨을 포함하며, 크리프 및 회복(Creep and recovery) 시험을 6회 내지 10회 반복하여 도출된 평균 회복률이 2% 이상 및 평균 변형률 60% 이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프 및 회복 시험은 응력 10Pa를 10초간 전단 방향으로 가하여 변형률을 측정하고, 응력 제거 후 30초간 회복되는 양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평균 분자량이 1,800,000 Da 이상인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활액보충재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니톨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 대비 3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인, 활액보충재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완충제, 등장화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것인, 활액보충재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또는 관절 통증 경감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활액보충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프리필드 시린지.
KR1020190116961A 2019-09-23 2019-09-23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 KR20210034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61A KR20210034956A (ko) 2019-09-23 2019-09-23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61A KR20210034956A (ko) 2019-09-23 2019-09-23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956A true KR20210034956A (ko) 2021-03-31

Family

ID=7523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961A KR20210034956A (ko) 2019-09-23 2019-09-23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49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1183B2 (ja) 骨関節症を治療するための、ヒアルロン酸ナトリウムとコンドロイチン硫酸との混合物の使用
AU2002363589A1 (en) Use of a mixture of sodium hyaluronate and chondroitin sulfate for a treatment of osteoarthritis
US6037331A (en)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f inflammation and adhesion formation uses thereof
DK2358373T3 (en) Injectable polydeoxyribonukleotidsammensætning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icular diseases
US20060110459A1 (en) Triple natural polymer viscoelastic composition
US5866554A (en)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f inflammation and adhesion formation and uses thereof
Theiler et al. Overall tolerability and analgesic activity of intra-articular sodium hyaluronate in the treatment of knee osteoarthritis
CZ297710B6 (cs) Pouzití kyseliny hyaluronové a odpovídajících solí na prípravu vodného roztoku, k pouzití jako intraartikulární lavázní tekutina
KR20210034956A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
KR102566287B1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
Dernek et al. Therapeutic efficacy of three hyaluronic acid formulations in young and middle-aged patients with early-stage meniscal injuries
KR20200097609A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
Basnaev et al. Platelet-rich plasma administering in osteoarthrosis treatment
KR102517764B1 (ko) 히알루론산과 플루로닉을 포함하는 관절 및 연골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093372B2 (ja) 新規な粘弾性溶液及びそのリウマチ学における使用
KR102493003B1 (ko)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US20070142480A1 (en) Alleviation of pain in osteoarthritis by means of intra-articular implantation of perfluorodecalin.
US20240058453A1 (en) Click chemistry hydrogel with minimal swelling as a dural sealant and local delivery vehicle for recombinant proteins and other bioactive agents
WO2011076596A1 (en) A combination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JP6706632B2 (ja) 半月板変性治療用組成物
Bas et al. A Rare Complic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Viscosupplementation Associated With the Intra-Articular Agent: A Case Report
Arboud et al. Evaluation of intraarticular injection of hyaluronic acid with platelet rich plasma for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and without reduction
WO2023239695A1 (en)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degraded carti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