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003B1 -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003B1
KR102493003B1 KR1020220056423A KR20220056423A KR102493003B1 KR 102493003 B1 KR102493003 B1 KR 102493003B1 KR 1020220056423 A KR1020220056423 A KR 1020220056423A KR 20220056423 A KR20220056423 A KR 20220056423A KR 102493003 B1 KR102493003 B1 KR 102493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idocaine
viscosity
synovial flui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태훈
Original Assignee
구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태훈 filed Critical 구태훈
Priority to KR102022005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003B1/ko
Priority to KR1020230009171A priority patent/KR20230157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61L27/369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characterised by physical conditions of the treatment, e.g.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composition, pressure cycles, ultrasonic/sonication or microwave treatment,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2Anaestetics, analgesics, e.g. lid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cartilage reconstruction, e.g. menis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은 히알루론산나트륨과 리도카인을 포함하기 때문에 관절 등의 수술 후 마취가 풀리더라도 환자가 통증을 작게 느끼거나 느끼지 않게 되므로 통증 조절에 효과적이다. 또한, 통증 조절을 위한 리도카인을 포함하되 점도를 낮추기 위한 별도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그 점도(100~200cps)는 리도카인을 포함하지 않는 기존의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비슷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joint synovial fluid supplement having hyaluronic acid and lidocaine}
본 발명은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히알루론산나트륨과 리도카인을 포함하기 때문에 관절 등의 수술 후 마취가 풀리더라도 환자가 통증을 작게 느끼거나 느끼지 않게 되므로 통증 조절에 효과적이고, 통증 조절을 위한 리도카인을 포함하되 점도를 낮추기 위한 별도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그 점도(100~200cps)는 리도카인을 포함하지 않는 기존의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최근, 골관절염이나 활막염 등과 같은 관절 병변의 치료를 위하여 관절경 수술이 빈번하게 시행되고 있다. 관절경 수술(arthroscopic surgery)은 관절 주변에 형성된 지름 1cm 미만의 최소 절개된 구멍을 통해 소형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을 관절 내로 삽입하고 고해상도 모니터를 보면서 수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절경 수술의 종류로는 건, 인대 재건 및 봉합 관련 수술, 반월상 연골판 절제 및 봉합관련 수술, 사지관절절제술, 유리체절제술 및 십자인대 성형술 등을 들 수 있으며 많은 환자들이 관절경 수술을 받고 있다.
한편, 슬관절은 인체에서 제일 큰 관절이며, 전방에는 근육으로 싸여있지 않을 뿐 아니라, 중요한 혈관이나 신경이 없으므로 관절경 수술을 시행하기 가장 적합한 관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관절경 수술 중 슬관절에 대해 시행하고 있는 관절경 수술이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져, 전체 관절경하 수술에서 슬관절 관절경 수술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80% 정도로 알려져 있다(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안진환, 대한의사협회지).
그런데 이러한 관절경 수술 중에는 연골의 작은 단편들이 발생하거나 활액(synovial fluid)이 유실되어 관절 기능 장애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관절경 수술 후에는 관절강을 세척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생리식염수가 사용되지만, 생리식염수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활액과 상이하여 부작용의 가능성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절경 수술에 사용된 생리식염수를 세척하고 유실된 관절 활액을 일시적으로 보충하고 대체하여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히알루론산과 같은 고분자 용액으로 이루어진 활액보충재를 사용하게 된다.
활액보충재는 4등급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료기기)로 분류되는 것으로서, 관절경 수술 후 소실되는 활액(synovial fluid)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제품이며, 수술 후 관절강 내에 주입하여 관절부의 마찰을 줄여 기능성을 빠르게 회복시키며 관절 연골의 synovial cell 층을 코팅하여 감염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된 제품으로는 비스코실®(Viscoseal®)이 있다. 비스코실은 히알루론산 등장액이 코팅되면서 히알루론산 층을 형성하며, 이 층이 활성됨으로 인해 관절에 대한 마스킹(masking) 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한 고통을 감소시켜 관절 수술 후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한편, 대부분의 관절경 수술 후 약 1시간이 경과하면 마취가 풀리게 되고 이후 환자는 회복하는 4~5시간 동안에 수술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이 경우, 별도의 진통제를 처방하게 되는데 관절활액에 마취성분이 포함되어 있다면 환자가 통증을 느끼기 전에 작용하여 통증 조절에 도움을 줄 것이다.
삭제
삭제
US 2006/0122147 A1 : COMBINATION PREPARATION OF HYALURONIC ACID AND AT LEAST ONE LOCAL ANESTHETIC AND THE USE THEREOF
이를 위해,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가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이 관절활액 보충재는 기존의 관절활액 보충재(리도카인을 포함하지 않는 관절활액 보충재)에 비해 더 딱딱해지거나 점도가 증가하는(more rigid or viscous) 문제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점도를 낮추는 별도의 성분이 보충재 조성물에 추가되기도 하였으나, 추가되는 성분이 원래의 관절활액에 포함되지 않았던 성분들인 경우가 많고 안전성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히알루론산나트륨과 리도카인을 포함하기 때문에 관절 등의 수술 후 마취가 풀리더라도 환자가 통증을 작게 느끼거나 느끼지 않게 되므로 통증 조절에 효과적인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증 조절을 위한 리도카인을 포함하되 점도를 낮추기 위한 별도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그 점도(100~200cps)는 리도카인을 포함하지 않는 기존의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 히알루론산나트륨 0.45 ~ 0.55 중량부; 및, 리도카인 0.288 ~ 0.35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겔 상태의 조성물이다.
상기 히알루론산나트륨은 50만Da ~ 150만Da의 분자량을 갖고 pH 5~8.5이며 고유 점성도가 2.8~3.2 m3/kg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겔은 pH 5.0 ~ 8.0이고 바람직하게는 pH 7.0 ~ 7.6 이며, 그 점도가 100~200cps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 당 PBS 0.837~1.023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도카인은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겔 상태로 만들어진 후 고온 멸균 처리되어 주사기에 수용될 수 있다. 제조 완료된 겔의 점도 100~200cps는 상기 고온 멸균 후에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점도를 낮추기 위한 별도의 추가 조성물,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유도체, 맨니톨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히알루론산나트륨과 리도카인을 포함하기 때문에 관절 등의 수술 후 마취가 풀리더라도 환자가 통증을 작게 느끼거나 느끼지 않게 되므로 통증 조절에 효과적이다.
둘째, 통증 조절을 위한 리도카인을 포함하되 점도를 낮추기 위한 별도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그 점도(100~200cps)는 리도카인을 포함하지 않는 기존의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비슷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수용한 주사기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이 물에 혼합되어 만들어진 겔 상태의 관절활액 보충재이다.
상기 물은 정제수(purified water), 증류수, 탈이온수, 초순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군에서 선택된 두 개 이상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알루론산(이하, 'HA'라고도 함)은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D-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진 반복 단위가 선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체 고분자 물질로서, 안구의 유리액, 관절의 활액, 닭벼슬 등에 많이 존재하며,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갖기 때문에, 안과용 수술 보조제, 관절기능 개선제, 관절활액 보충재, 약물전달 물질, 점안제, 주름개선제 등의 의료 및 의료 용구나 화장품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외에도 그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염은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 나트륨(sodium hyaluronate),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칼슘,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등의 무기염과,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 등의 유기염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은 비가교된 것이 바람직하다.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물성은 아래와 같다.
기원 : 동물성 보다는 발효시켜서 만들어진 것, 예를 들어 연쇄상 구균(Streptococci)에서 발효된 것이 바람직함.
- 외형 : 백색 또는 거의 백색의 가루
- 글루쿠론산 : NLT 44.5wt% (적어도 44.5wt%)
- 히알루론산 : NLT 92.0wt% (적어도 92.0wt%)
- pH(0.5% aq.sol. 25℃) : 5.0 ~ 8.5
- 흡광도(0.5% aq.sol.25℃) : A280nm ≤0.25
- Appearance of Solution : T550nm ≥99%
- 건조감량 : ≤10.0%
- 분자량 :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평균 분자량은 대략 500,000 ~ 1,500,000 Da이고, 바람직하게는 900,000 ~ 1,200,000 D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0 Da. (만약, 히알루론산의 평균 분자량이 500,000 Da 미만이거나 1,500,000 Da 초과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가 원하는 범위를 벗어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함)
- 고유 점성도(Intrinsic Viscosity, at 25℃) : 2.8 ~ 3.2 m3/kg임.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고유 점성도가 2.8m3/kg 보다 작거나 3.2 m3/kg 보다 크면 제품(제조 완료된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의 점성이 원하는 범위에 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제조 완료된 겔(조성물)에서, 히알루론산 나트륨은 물 100 중량부당 0.45 ~ 0.5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100 중량부당 0.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농도가 0.45 중량부 미만이거나 0.5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 완료된 제품(조성물)의 점도가 원하는 범위를 벗어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리도카인은, 알려진 바와 같이, 국소마취제(local anesthetic)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도카인은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리도카인염산염)이고 그 함량(농도)은 제조완료된 겔(조성물)에서 물 100 중량부당 0.288 ~ 0.35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32 중량부이다.
리도카인(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의 함량이 0.288 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의 국소마취 효과가 지나치게 낮아지고 0.352 중량부 초과이면 조성물의 점성이 지나치게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아울러, 리도카인의 함량이 0.1wt% 이상 0.5wt% 미만이면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로서 허가가 가능하고 인체에 사용되었을 때 그 부작용 가능성이 매우 작지만, 리도카인의 농도가 0.5wt% 또는 그 이상이면 인체에 사용되었을 때 그 부작용 가능성이 있을 수 있고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약품으로서 허가를 받아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국소 마취제로서 리도카인 뿐만 아니라 bupivacaine, butanilicaine, carticaine, cinchocaine (dibucaine), clibucaine, ethyl parapiperidinoacetylaminobenzoate, etidocaine, mepivacaine, oxethazaine, prilocaine, ropivacaine, tolycaine, trimecaine, vadocaine, articaine, levobupivacaine, amylocaine, cocaine, propanocaine, clormecaine, cyclomethycaine, proxymetacaine, amethocaine (tetracaine), benzocaine, butacaine, butoxycaine, butyl aminobenzoate, chloroprocaine, dimethocaine (larocaine), oxybuprocaine, piperocaine, parethoxycaine, procaine (novocaine), propoxycaine, tricaine or a combination 등으로 이루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둘 이상의 조합이 리도카인과 함께 또는 리도카인을 대신하여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P.B.S.(phosphate buffer salin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B.S.는 조성물의 체내 이온농도를 유지하고 급격한 pH 변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제조 완료된 조성물에서 P.B.S.는 물 100 중량부 당 0.837 ~ 1.023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3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P.B.S.의 바람직한 물성은 아래와 같다.
- 유래 : 비동물성에서 유래됨
- 외형 : 무색의 투명한 수용액
- When diluted to a 1X concentration, this product(P.B.S.) will yield a phosphate buffered saline solution with a phosphate buffer concentration of 0.01M and a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of 0.154M.
- pH : 5.0 ~ 8.0, 바람직하게는 7.2 ~ 7.6 (1:10 희석기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 완료된 조성물은 100~200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이 점도 범위는 히알루론산을 포함하지만 리도카인을 포함하지 않는 기존의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예를 들어 Viscoseal®의 점도와 동일하거나 비슷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은 고온 가열처리 공정에 의해 기존의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보다 더 딱딱해지거나 점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리도카인을 포함하고 고온 가열처리 공정을 거치며, 점도를 낮추기 위한 별도의 물질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derivative), 아스코르브산의 유도체(ascorbic acid derivative) 등을 포함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존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점도(100~200cps)를 갖는다. 이것은 국소마취제의 물성(국소마취제의 종류와 그 함량), 히알루론산의 물성(히알루론산의 종류와 그 함량과 고유점성도 및 분자량 등), pH 등과 같은 여러 변수를 조절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실험을 단순 반복하거나 시행착오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랜 경험과 연구에 의해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이 진보성 판단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겔 상태로 주사기에 저장되어 사용된다. 도 1은 이 겔을 저장하는 주사기를 보여준다.
상기 조성물은 주사통에 저장되고, 이 주사통에는 밀대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주사통의 선단에는 팁캡이 설치되고, 밀대의 선단에는 흡자가 설치된다.
팁캡은 겔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는 마개이다. 사용시에는 팁캡을 제거하고 카테터(catheter, 도면에 미도시)를 연결한 후 밀대를 밀어서 겔을 인체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의 제조과정]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아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조성물 제조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히알루론산 나트륨,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 P.B.S., 물(정제수) 등과 같은 원자재의 입고 검사를 실시하고(S10), 정제수(물, 용매)를 용기에 투입한다(S20).
이어서, P.B.S.를 용기에 투입한 후 혼합한다(S30). 정제수 100 중량부당 P.B.S. 0.837~1.023 중량부를 투입하고, 바람직하게는 P.B.S. 0.93 중량부를 투입한다. P.B.S.가 혼합된 혼합액(완충용액)은 pH 5.0 ~ 8.0 이고 바람직하게는 pH 7.0~7.6이다. 그리고, 상기 P.B.S.는 1X concentration으로 되었을 때 0.007~0.013M의 phosphate buffer concentration과 0.13~0.17M의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조한 완충용액에 주원료인 히알루론산 나트륨 (Sodium hyaluronate),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리도카인염산염)을 첨가하여 완벽하게 용해시키기 위하여 최소 12시간 이상 저속도로 혼합한다(S40). 이 때 pH는 5.0 ~ 8.0, 바람직하게는 7.0 ~ 7.6이 되도록 한다. 히알루론산나트륨의 투입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당 0.45~0.55 중량부이고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의 투입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당 0.288~0.352 중량부이다.
S40 단계 후에는 정제수를 혼합액(겔)에 추가하여 최종 함량이 되도록 희석한다(S50). 이어서, 상기 혼합액(겔)을 필터링한다(S60). 필터링을 위해서는 10㎛의 필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 필터링을 통해 10㎛를 초과하는 입자를 제거하고 10㎛ 미만인 입자만 이용할 수 있다.
S60 단계 후에는 필터링된 겔을 주사통에 충진하고 밀봉한다(S70). S70 단계에서는 갤의 외관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중량을 측정하여 확인한다. 다음으로, 주사통에 밀봉된 겔을 고온 고압증기로 멸균한다(S80). 바람직하게, autoclave 내에서 15분간 121℃에서 고압증기 멸균한다.
다음으로, 멸균된 주사통에 밀대를 삽입(설치)하고 라벨을 붙인다(S90). 이어서, 블리스터 1차 포장(Blister Packaging)과 2차 포장을 하고(S100~110) 최종검사를 실시(S120)한 후 출고한다.
[점도 비교 시험]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점도를 기존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의 점도와 비교하였다. 기존 조성물로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Viscoseal®을 이용하였다. 알려진 바와 같이, Viscoseal®은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포함하지만 리도카인(국소마취제)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 Viscoseal®은 아래 (1), (2)의 방법으로 측정된 점도가 100~200cps이다.
(실시예 1)
물(정제수) 100 중량부당 히알루론산나트륨(평균 분자량 51만 Da. 고유 점성도는 2.8 m3/kg) 0.48 중량부와,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 0.32 중량부와, P.B.S. 0.93 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혼합한다. 이 혼합액(겔)의 pH는 7.3이다.
이어서, 이 혼합액(겔)을 필터링하고 주사통에 충진, 밀봉한 후 고압증기 멸균을 실시한다. 제조된 겔은 무색 투명하고 pH는 7.3이다. 조성물의 조성비는 물(정제수) 100 중량부당 히알루론산나트륨 0.48 중량부,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 0.32 중량부, 및 P.B.S. 0.93 중량부이다.
제조 완료된 상기 조성물(겔)의 점도 시험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졌다. 아래의 점도 시험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점도는 아래의 방법 뿐만 아니라 다른 시험 방법으로도 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이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시험기기
- Brookfield RVDV II +PCP [DR-T-009-1]
- Viscometer Type: RV, Cone & Plate 방식
- Spindle : CPE-52
(2) 시험방법 및 기준
- 준비된 시료를 점도계로 시험한다.
- 표준 점도 액체를 이용하여 Calibration을 수행한다.
- Target Tempetrature : 20 ~ 25℃ / Shear Rate : 20.0 S-1
- 각 시료당 0.5ml 씩을 취하여 측정 파라미터 값 기준 점도 측정을
진행하며, 1분 간격으로 10회 이상 점도 데이터를 수집한다.
(실시예 2)
물에 혼합된 히알루론산나트륨의 평균 분자량이 150만 Da이고 고유 점성도가 3.2 m3/kg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물에 혼합된 히알루론산나트륨의 평균 분자량이 48만 Da이고 고유 점성도가 2.7 m3/kg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물에 혼합된 히알루론산나트륨의 평균 분자량이 160만 Da이고 고유 점성도가 3.3 m3/kg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도 시험)
실시예 1~2, 비교예 1~2의 조성물에 대해 위 (1), (2)의 방법으로 점도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에 정리하였다.
[표 1]
Figure 112022048796327-pat00001
위 표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는 R.P.M. 0.1, 1, 10일 때 모두 100~200cps의 점도를 갖고 있으므로, 기존의 Viscoseal®(히알루론산 나트륨을 포함하지만 리도카인을 포함하지 않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과 동일한 정도의 점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서, 비교예 1은 R.P.M. 0.1일 때 100 미만의 점도를 가지므로 Viscoseal® 보다 낮은 점성을 갖고 비교예 2는 R.P.M. 10일 때 200 초과의 점도를 가지므로 Viscoseal® 보다 높은 점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비교예 1, 2는 점성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증 조절 비교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통증 조절 효과를 아래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조성물은 제조 완료된 조성물 중에서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의 함량이 물 100 중량부당 0.288 중량부라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동일하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제조 완료된 조성물 중에서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의 함량이 물 100 중량부당 0.352 중량부라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동일하다.
(비교예 3)
비교예 3의 조성물은 제조 완료된 조성물 중에서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의 함량이 물 100 중량부당 0.27 중량부라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동일하다.
(비교예 4)
비교예 4의 조성물은 제조 완료된 조성물 중에서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의 함량이 물 100 중량부당 0.37 중량부라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동일하다.
(통증 조절 비교 시험)
실시예 3, 4와 비교예 3, 4 및 Viscoseal®(히알루론산 나트륨을 포함하지만 리도카인을 포함하지 않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에 대해 통증 조절 효과를 시험하였다.
무릎 관절강 수술을 받은 환자 각 5명(총 25명)에 대해 실시예 3, 4와 비교예 3, 4 및 Viscoseal®을 각각 주입한 후 5시간에 걸쳐서 환자가 느끼는 통증을 VAS(Visual Analog Scale, 시각아날로그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하였다. 참고로, VAS는 통증을 느끼는 정도를 표현한 표를 환자에게 주고 자신이 느끼는 통증과 맞는 얼굴 표정을 선택하도록 하거나 의료진이 환자 표정을 보고 평가한다. 이 때,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이 심한 것을 나타내는데 0점은 통증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10점은 극심한 통증 상태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22048796327-pat00002
위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 4와 비교예 4의 조성물을 주입한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2로서 통증이 잘 조절되고 있음에 비해, 비교예 3과 Viscoseal®을 주입한 환자가 느끼는 통증은 각각 5, 6으로서 통증이 중간 이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4의 조성물은 통증 조절은 실시예 3, 4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위 (1), (2)의 방법으로 측정된 R.P.M.=10일 때의 점도가 200cps를 초과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Claims (4)

  1. 물 100 중량부 당;
    히알루론산나트륨 0.45 ~ 0.55 중량부; 및,
    리도카인 0.288~0.35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겔 상태의 조성물로서,
    히알루론산나트륨은 50만Da ~ 150만Da의 분자량을 갖고 pH 5~8.5이며 고유점성도가 2.8~3.2 m3/kg이고,
    상기 겔은 pH 5.0~8.0이고 점도가 100~200cps이며,
    겔의 점도를 낮추기 위한 별도의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조성물은 겔 상태로 만들어진 후 고온 멸균 처리되어 주사기에 수용되고,
    상기 점도 100~200cps는 상기 고온 멸균 후에 측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물 100 중량부 당 P.B.S.(phosphate buffer saline) 0.837~1.023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리도카인은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나트륨은 비가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KR1020220056423A 2022-05-09 2022-05-09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KR102493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423A KR102493003B1 (ko) 2022-05-09 2022-05-09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KR1020230009171A KR20230157233A (ko) 2022-05-09 2023-01-25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423A KR102493003B1 (ko) 2022-05-09 2022-05-09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171A Division KR20230157233A (ko) 2022-05-09 2023-01-25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003B1 true KR102493003B1 (ko) 2023-01-27

Family

ID=851013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423A KR102493003B1 (ko) 2022-05-09 2022-05-09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KR1020230009171A KR20230157233A (ko) 2022-05-09 2023-01-25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171A KR20230157233A (ko) 2022-05-09 2023-01-25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30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2943A1 (de) * 2002-10-04 2004-04-22 David Wohlrab Kombinationspräparat aus hyaluronsäure und mindestens einem, lokalanästhetikum und dessen verwendung
KR20160075535A (ko) * 2013-09-27 2016-06-29 앙테이스 에스.아. 분말 형태로 첨가되는 리도카인 및 알칼리 제제를 포함하며 히알루론산을 기본 성분으로 하고 열에 의해 살균된, 주입가능한 하이드로겔의 수득 방법
KR20160096205A (ko) * 2013-12-23 2016-08-12 라보라뚜와 비바시 메피바카인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조성물
KR20180067197A (ko) * 2016-12-12 2018-06-20 구태훈 구형 입자를 갖는 연조직용 필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2943A1 (de) * 2002-10-04 2004-04-22 David Wohlrab Kombinationspräparat aus hyaluronsäure und mindestens einem, lokalanästhetikum und dessen verwendung
US20060122147A1 (en) * 2002-10-04 2006-06-08 David Wohlrab Combination preparation of hyaluronic acid and at least oe local anesthetic and the use thereof
KR20160075535A (ko) * 2013-09-27 2016-06-29 앙테이스 에스.아. 분말 형태로 첨가되는 리도카인 및 알칼리 제제를 포함하며 히알루론산을 기본 성분으로 하고 열에 의해 살균된, 주입가능한 하이드로겔의 수득 방법
KR20160096205A (ko) * 2013-12-23 2016-08-12 라보라뚜와 비바시 메피바카인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조성물
KR102343660B1 (ko) * 2013-12-23 2021-12-28 라보라뚜와 비바시 메피바카인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조성물
KR20180067197A (ko) * 2016-12-12 2018-06-20 구태훈 구형 입자를 갖는 연조직용 필러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 2006/0122147 A1 : COMBINATION PREPARATION OF HYALURONIC ACID AND AT LEAST ONE LOCAL ANESTHETIC AND THE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233A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3313A1 (en) Hyaluronic acid-based gels including lidocaine
AU2008333132B2 (en) Biodegradable single-phase cohesive hydrogel
KR101848957B1 (ko) 히알루론산 기반 제형
EP3049055B1 (en) Method for obtaining an injectable hydrogel based on hyaluronic acid containing lidocaine added in powder form, and an alkaline agent, sterilized with heat
RU2715234C2 (ru) Имплантаты для моделирования, увеличения или коррекции частей лица, например подбородка
JP2008520392A (ja) 天然ポリマーの粘弾性組成物
CA2825352A1 (en) Hyaluronic acid composition
BG107397A (bg) Полиакриламиден хидрогел и неговото приложение като ендопротеза
CA2913875A1 (en) Adhesion preventing material
EP3773768A1 (en) Dermal filler based on crosslinked hyaluronic acid, calcium phosphate material particles and carboxymethyl cellulose, a process for preparing same and uses thereof
KR102493003B1 (ko) 히알루론산과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관절활액 보충재용 조성물
CN117279621A (zh) 包含麻醉药的缓释热固性凝胶及其制备方法
KR102566287B1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재용 조성물
US20210268144A1 (en) Methods, kits and compositions for novel agarose-based dermal filler with enhanced rheological properties providing safety features
KR20200097609A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
Dhameri Rheological Properties and Decomposition Rates of Gellan Gum
KR20210034956A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활액보충용 조성물
CN116173316A (zh) 一种防粘连的制剂、装置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