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774A -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774A
KR20210034774A KR1020190116475A KR20190116475A KR20210034774A KR 20210034774 A KR20210034774 A KR 20210034774A KR 1020190116475 A KR1020190116475 A KR 1020190116475A KR 20190116475 A KR20190116475 A KR 20190116475A KR 20210034774 A KR20210034774 A KR 20210034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upled
buoyancy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685B1 (ko
Inventor
이훈재
Original Assignee
이훈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재 filed Critical 이훈재
Priority to KR102019011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6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7Grids for supporting several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에 담아 가정, 농업에서 재배하는 식물에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물 및 양액을 꾸준히 공급하여 용이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Plant breeding water supply}
본 발명은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에 담아 가정, 농업에서 재배하는 식물에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물 및 양액을 꾸준히 공급하여 용이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적으로 식물재배는 화분을 사용되고 있으며,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항시 일정한 주기로 물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화분에 과다하게 물을 공급할 경우 식물이 병에 걸려 죽는 일이 발생하고 적은 양의 물을 공급할 경우 식물이 말라서 고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되는 물 및 양액을 조절해야 하며, 다수개의 화분에 일정하게 물 및 양액을 공급하여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은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어린 관목을 키워서 판매하거나 노지에 식재하기 전까지 키우기 위한 화분으로서, 식재가 용이하며 물낭비를 줄일 수 있는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에 관한 기술이며, 구체적으로는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가로격벽과 세로격벽에 의해 상측이 개구되는 형태로 복수의 분할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되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되게 하는 수평격벽을 포함하는 격자체; 상기 수평격벽에 상기 분할공간 마다상하 개구되게 형성되는 연결홀; 하부면이 상기 연결홀 위에 위치되게 상기 분할공간에 삽입되는 받침용기; 상기 받침용기에 삽입되어 오목한 형태로 안착되되, 하단영역은 상기 받침용기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공간까지 도달되고, 흡수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생육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크기가 정해져 있어 화분의 크기를 변경할 수 없으며 식을지 크면서 분갈이 등을 통해 식물이 자라기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기 힘든 문제가있다.
또한, 다수개의 화분에 일정하게 물이 공급됨에 따라 서로 다른 식물을 재배할 때 물 및 양액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유변형이 이루어지는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진 화분을 용이하게 삽입 한 후 식물에 맞춰 물의 양을 조절하여 다수개의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식물의 크기에 맞춰 용이하게 식재한 후 식물에 맞춰 공급되는 물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량의 물을 저장한 후 장시간에 일정량 꾸준히 공급할 수 있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의 삽입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물을 공급하여 식물에 맞춰 햇빛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개방된 개방홈가 구비된 삽입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 포트;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 맞춰 각각 결합되며, 공급관이 형성된 저장부; 상기 포트의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에 안착되는 화분; 상기 포트의 하단에 배치되어 일측이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의 타측에 결합되어 유입된 물을 공급하는 제1부력부; 상기 제1부력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공급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홈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화분을 지지하며, 내주면에서 외주면을 향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된 지지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분은 상단부분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단을 개폐하는 마감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력부는, 일측에 상기 분기관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1배출구와, 타측에 상기 공급호스와 결합되는 제1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된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력통과, 상기 부력통과 연결되어 상기 부력통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1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력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재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저장부재는 상부에서 물을 공급받는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에서 저장된 물을 상기 제1부력부로 공급하는 제2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자유변형이 이루어지는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진 화분을 용이하게 삽입 한 후 식물에 맞춰 물의 양을 조절하여 다수개의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식물의 크기에 맞춰 용이하게 식재한 후 식물에 맞춰 공급되는 물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의 물을 저장한 후 장시간에 일정량 꾸준히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의 삽입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물을 공급하여 식물에 맞춰 햇빛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부력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2부력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에 물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부력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2부력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에 물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에 담아 가정, 농업에서 재배하는 식물에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물 및 양액을 꾸준히 공급하여 용이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의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종류에 맞춰 수위를 조절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포트(10), 저장부(20), 화분(30), 분기관(40), 제1부력부(50), 공급호스(60)로 구성된다.
상기 포트(10)는 상하로 개방된 개방홈(12)이 구비된 삽입부(11)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다.
상기 저장부(20)는 상기 삽입부(11)의 하단부에 맞춰 각각 결합되며, 공급관(21)이 형성된다.
상기 화분(30)은 상기 포트(10)의 상기 삽입부(11)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20)에 안착된다.
상기 분기관(40)은 상기 포트(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일측이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공급관(21)에 연결된다.
상기 제1부력부(50)는 상기 분기관(40)의 타측에 결합되어 유입된 물을 공급한다.
상기 공급호스(60)는 상기 제1부력부(50)에 일측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물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급호스(60)에서 유입된 물은 상기 제1부력부(50)에 의해 수위를 조절한 후 상기 분기관(40)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화분(30)에 물 및 양액을 공급하여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포트(10)는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개방홈(12)에 화분을 삽입하여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포트(1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행,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삽입부(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트(10)의 외측면 하단에는 상기 포트(10)를 받쳐주는 받침대(15)가 형성되어 지면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1)는 상기 포트(10)의 상단으로 일정간격 도출되고 상단으로 돌출된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하단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하단으로 돌출된 부분은 후술되는 상기 저장부(20)가 안착되어 지면에 지지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상/하부가 개방된 개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홈(12)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화분(30)을 지지하며, 내주면에서 외주면을 향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14)이 형성된 지지부(13)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3)는 상기 절개홈(14)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되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을 통해 상기 화분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한다.
이때, 상기 화분(30)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삽입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크기에 상관 없이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부(20)는 상기 삽입부(11)의 하단부분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을 화분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20)는 상기 삽입부(11) 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저장부(20)의 측면 하단부분은 상기 제1분기관(40)이 연결되는 상기 공급관(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21)이 연결된 부분은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11) 및 상기 화분(30)이 상기 저장부(20)의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안착된다.
상기 화분(30)은 토양, 거름토 등이 저장된 후 식물을 심어 재배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화분(30)은 상단부분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끼움홈(31)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통공(32)이 형성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홈(31)에 삽입되어 상기 상단을 개폐하는 마감끈(3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화분(30)은, 부직포, 비닐 및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포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화분(30)은 토양과 식물을 저장한 후 상기 마감끈(33)을 이용해 상단을 좁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토양 및 거름토 등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깔끔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32)은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맞춰 삽입되어 직접적으로 물을 흡입하거나, 별도의 심지를 통해 물을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분기관(40)은 유입되는 물을 이동하는 호스로 이루어지되, 그리고 타측에서 물을 공급받아 다수개의 상기 공급관(21)에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분기관(40)은 유입된 물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다수개의 상기 저장부(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력부(50)는 상기 분기관(4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분기관(40)을 통해 유입된 물의 공급을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수위에 따라 공급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제1부력부(50)는 상기 분기관(40)이 분기되는 위치에 이동하는 분을 다수개의 상기 분기관(40)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부력부(50)는 물의 수위에 따라 유입을 조절할 수 있도록 케이스(51), 부력통(52), 개폐부재(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51)는 일측에 상기 분기관(40)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1배출구(51a)와, 타측에 상기 공급호스(60)와 결합되는 제1유입구(51b)가 형성된다.
상기 부력통(52)은 상기 케이스(5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된 수위에 따라 승하강한다.
이때, 상기 부력통(52)은 길이조절을 통해 위치를 조절하여 저장된 수위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53)의 개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3)는 상기 부력통(52)과 연결되어 상기 부력통(52)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1유입구(51b)를 개폐한다.
즉, 상기 케이스(51) 내부에 상기 부력통(52)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수위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될 때, 상기 개폐부재(53)를 통해 상기 제1유입구(51b)를 개폐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부력부(50)는 유입된 물을 수위에 맞춰 공급하여 다수개의 상기 저장부(20)의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력부(5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호스(6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재(7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저장부재(70)에는 제2유입구(72), 제2배출구(71) 및 밸브(73)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유입구(72)는 상기 저장부재(70)는 상부에서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2배출구(71)는 상기 제2유입구(72)에서 저장된 물을 상기 제1부력부(50)로 공급한다.
상기 밸브(73)는 상기 제2배출구(71)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재(70)는 상기 제2유입구(72)를 통해 유입된 다량의 물을 저장한 후 상기 밸브(73)에 의해 조절된 유량에 맞춰 상기 제2배출구(71)를 통해 배출한다.
이렇게 배출된 물을 상기 제1부력부(50)를 통해 상기 저장부(20)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재(70)는 외부에서 짧은 시간에 대략으로 공급한 후 장기간 일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급호스(6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호스로 이루어지며, 수도꼭지, 저장탱크 등에서 물을 흡입하여 공급한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급호스(60)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제1부력부(50)에서 수위에 맞춰 공급하되, 상기 분기관(40)을 통해 다수개의 상기 저장부(20)에 일정한 수위로 물을 저장하여 식물에 일정한 수위에 맞춰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0)에 내측면에는 상기 공급관(21)에서 유입된 물을 수위에 따라 조절하는 제2부력부(8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부력부(80)는 상기 제1부력부(50)와 동일한 상기 부력통(52) 및 상기 개폐부재(5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부력부(80)는 상기 저장부(20)의 내측면에 상기 부력통(52)이 회전가능하게 결하되며, 상기 부력통(52)에는 상기 개폐부재(53)가 형성되어 상기 수위에 따라 승하강 하는 상기 부력통(52)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53)가 상기 공급관(21)을 개폐한다.
이를 통해 상기 화분(30)의 식물 종류에 따라 다수개의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되는 수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식물에 따라 물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화분(30)에 토양, 거름토 등을 담은 후 식물을 식재한다.
그리고 상기 포트(10)의 상기 삽입부(11)의 하단에 다수개의 상기 저장부(20)를 배치한 후, 상기 분기관(40)을 통해 상기 제1부력부(50)와 다수개의 상기 저장부(20)를 연결한다.
이 후 상기 제1부력부(50)에 상기 공급호스(60)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호스(60)는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선택적으로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양액을 혼합 또는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10)에 상기 화분(30)의 크기에 맞춰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삽입부(11)에 다수개의 상기 화분(30)을 삽입한다.
이렇게 상기 화분(30)이 설치된 후 상기 공급호스(60)를 통해 물을 공급하면 상기 제1부력부(50)에서 수위에 맞춰 일정량의 물을 상기 분기관(40)으로 공급함에 따라 다수개의 상기 저장부(20)는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상기 화분(30)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화분(30)은 하단부분에 통공을 통해 직접 또는 심지관수방식으로 물이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20)의 내측부에 상기 제2부력부(80)를 설치하여 상기 제1부력부(50)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저장부(20)의 수위에 맞춰 선택적으로 유입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저장부(20)는 서로다른 식물에 맞춰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력부(50)의 상단에는 상기 저장부재(70)가 형성되어 다량의 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제1부력부(50)를 통해 일정량 공급할 수 있어, 장기간 식물의 물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저장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맞춰 용이하게 삽입 고정이 가능하며, 식물의 종류에 맞춰 개별 또는 단체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식물에 맞춰 높낮이 조절을 통해 햇빛조사가 용이하며, 식물의 배치를 편리하게 변경 할 수 있다.
그리고 식물이 자란 후 분갈이 등이 편리하며, 화분 내의 토양 및 거름토 등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감처리가 이루어져 실내 또는 실외에서 용이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량의 물을 개별적으로 저장한 수 공급량을 조절하여 장시간 물의 공급이 가능하며, 일정하게 물을 다수개의 화분으로 분기하여 공급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화분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포트 11: 삽입부 12: 개방홈
13: 지지부 14: 절개홈
20: 저장부 21: 공급관 22: 돌출부
30: 화분 31: 끼움홈 32: 통공
33: 마감끈
40: 분기관
50: 제1부력부 51: 케이스 51a: 제1배출구
51b: 제1유입구 52: 부력통
53: 개폐부재
60: 저장부재 71: 제2배출구 72: 제2유입구
73: 밸브
70: 제2부력부

Claims (5)

  1. 상하로 개방된 개방홈(12)이 구비된 삽입부(11)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 포트(10);
    상기 삽입부(11)의 하단부에 맞춰 각각 결합되며, 공급관(21)이 형성된 저장부(20);
    상기 포트(10)의 삽입부(11)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20)에 안착되는 화분(30);
    상기 포트(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일측이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공급관(21)에 연결되는 분기관(40);
    상기 분기관(40)의 타측에 결합되어 유입된 물을 공급하는 제1부력부(50);
    상기 제1부력부(50)에 일측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공급호스(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홈(12)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화분(30)을 지지하며, 내주면에서 외주면을 향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14)이 형성된 지지부(1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30)은 상단부분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끼움홈(31)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통공(32)이 형성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홈(31)에 삽입되어 상기 상단을 개폐하는 마감끈(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력부(50)는,
    일측에 상기 분기관(40)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1배출구(51a)와, 타측에 상기 공급호스(60)와 결합되는 제1유입구(51b)가 형성된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된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력통(52)과,
    상기 부력통(52)과 연결되어 상기 부력통(52)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1유입구(51b)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력부(5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호스(6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재(7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저장부재(70)는 상부에서 물을 공급받는 제2유입구(72)와
    상기 제2유입구(72)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부력부(50)로 공급하는 제2배출구(71)와,
    상기 제2배출구(71)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7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KR1020190116475A 2019-09-22 2019-09-22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KR10230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475A KR102300685B1 (ko) 2019-09-22 2019-09-22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475A KR102300685B1 (ko) 2019-09-22 2019-09-22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74A true KR20210034774A (ko) 2021-03-31
KR102300685B1 KR102300685B1 (ko) 2021-09-08

Family

ID=7523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475A KR102300685B1 (ko) 2019-09-22 2019-09-22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6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121Y1 (ko) * 2001-04-24 2001-10-12 황금택 자동적 급·배수식생 꽃 조형물
JP2004215541A (ja) * 2003-01-14 2004-08-05 Nippon Poribachi Hanbai Kk 育苗ポット
KR20130140362A (ko) * 2012-06-14 2013-12-24 주식회사 사랑과 행복나눔 모종 재배용 화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31552A (ko) * 2014-05-15 2015-11-25 이경자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121Y1 (ko) * 2001-04-24 2001-10-12 황금택 자동적 급·배수식생 꽃 조형물
JP2004215541A (ja) * 2003-01-14 2004-08-05 Nippon Poribachi Hanbai Kk 育苗ポット
KR20130140362A (ko) * 2012-06-14 2013-12-24 주식회사 사랑과 행복나눔 모종 재배용 화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31552A (ko) * 2014-05-15 2015-11-25 이경자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685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644B1 (ko) 수경 재배용 베드
KR20140122821A (ko) 수경 재배장치
KR20140081651A (ko)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KR20180001000A (ko)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설장치
KR20110010141A (ko)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KR20010081416A (ko) 적층식 자동 재배장치
JP4928992B2 (ja) 底面潅水用給水パネル及び同パネル用の栽培ポット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栽培システム
KR102300685B1 (ko)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KR200400919Y1 (ko) 새싹 재배기
KR101232189B1 (ko) 재배 베드 및 이를 구비한 수경재배 시스템
KR20120079805A (ko)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100788273B1 (ko) 자동 저면 관수가 이루어지는 육묘 재배장치
KR20190051400A (ko) 통기성이 극대화된 저면관수 재배통
KR20190000852U (ko) 수경어항화분
KR0117208Y1 (ko) 가정용 수경 재배기
KR100434016B1 (ko) 가정용 간이 배지경 재배기
KR102034639B1 (ko) 식물재배용 단위 유니트를 이용한 조적식 식물재배장치
KR102414636B1 (ko) 식물재배가 용이한 주머니화분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KR101379738B1 (ko) 물분사부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102403332B1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항 및 화분의 재배장치
US20230255136A1 (en) Planting system for optimization of plant growth with direct air inj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