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9Y1 - 새싹 재배기 - Google Patents

새싹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9Y1
KR200400919Y1 KR20-2005-0023692U KR20050023692U KR200400919Y1 KR 200400919 Y1 KR200400919 Y1 KR 200400919Y1 KR 20050023692 U KR20050023692 U KR 20050023692U KR 200400919 Y1 KR200400919 Y1 KR 200400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out
cultivation
water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하
이원백
Original Assignee
이선하
이원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하, 이원백 filed Critical 이선하
Priority to KR20-2005-0023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새싹 재배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직접 채소의 씨앗을 발아·성장시켜 식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차광조건과 투광조건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재배조가 적층구조로 설치되어 발아하는 새싹에 적합한 생육환경을 단계별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새싹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새싹 재배기{A device for sprout cultivation}
본 고안은 새싹 재배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직접 채소의 씨앗을 발아·성장시켜 식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차광조건과 투광조건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재배조가 적층구조로 설치되어 발아하는 새싹에 적합한 생육환경을 단계별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새싹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용 새싹 재배기가 보급됨에 따라 가정에서도 직접 새싹을 재배하여 식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새싹 재배기에서 재배된 새싹은 농약이나 인체해 유해한 가공공정을 거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채취한 후 신선한 상태로 바로 식용할 수 있어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종래 새싹 재배기는, 하나의 재배조로 구성되어 있어 재배량이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고, 또 재배조가 투광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새싹의 생육단계에 적합한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즉, 대체로 새싹은 발아시기에는 차광조건이 요구되며, 발아 후 성장시에는 투광조건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새싹의 뿌리는 굴지성이며 줄기와 잎은 주광성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뿌리와 줄기 및 잎은 서로 다른 조광조건을 조성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새싹재배기에 있어서는 있어 이러한 생육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씨앗의 발아율이 낮아지기도 하였고, 또 새싹의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양질의 새싹채소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편, 종래의 새싹 재배기에는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여, 사용자가 직접 물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또 물을 주는 횟수와 양을 제대로 가늠할 수 없어, 새싹의 재배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양질의 새싹 채소를 생산할 수 없는 한계성 또한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새싹의 품종이나 생장과정에 따라 투광과 차광조건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품종의 새싹을 시기를 조절하면서 간편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된 새싹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기적인 자동급수가 가능한 편의 기능을 구비한 새싹 재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다단 적층 가능하도록 단턱을 구비하며 하부로 배수구조가 형성된 차광 재질의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부재 내부에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수용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수용부재;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재배조를 구비하여, 씨앗의 발아 및 성장 공간을 제공하는 다단 적층구조의 재배부와;
상기 재배부 상부에 적층 설치되어 상기 재배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조; 및
상기 재배조의 케이스 부재 사이 또는 재배조의 케이스 부재와 급수조 사이에 삽입되어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투광 또는 차광 재질로 제작된 상하 관통된 구조의 연장 케이스를 구비하여;
새싹의 종류 및 생장과정의 필요에 따라, 상기 재배조 및 상기 연장 케이스를 적층 설치하여, 새싹에 최적의 생육공간과 광합성 환경이 조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의 케이스 부재는 상부개방형으로, 바닥면에는 상하 관통된 구조의 소정 높이의 배출관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부개방형으로, 바닥면에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배출관의 외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바닥과의 사이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배출관 커버가 돌출 형성되어;
상부에서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면, 투입된 물이 상기 수용부재의 투수공을 통해 케이스 부재 바닥면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다시 배출관 커버의 틈새를 통해 상기 배출관과 배출관 커버 사이에 형성된 세관으로 유입되어 배출관을 통해 일시에 하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들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는 외부의 수전과 연결하여 물을 공급받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바닥면에는 상하 관통된 구조의 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구조로서, 급수조의 내부에는 상기 유출구에 일단이 결속되고 타단은 급수조의 바닥면과 소정의 틈새만 두고 연접되게 ∩자형으로 설치된 수위관이 구비되어, 급수관을 통해 서서히 유입된 물이 일정 수위에 이르면 일시에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하부의 재배조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새싹 재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새싹 재배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새싹 재배기에 있어서의 급수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새싹 재배기에 있어서의 재배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절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새싹 재배기의 다른 사용상태에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새싹재배기(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씨앗의 발아 및 성장 공간인 재배부(10)의 상부에, 상기 재배부(10)에서 발아 및 성장하는 새싹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조(20)가 적층 설치된 구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급수조(20)는, 측벽이 원통형인 몸체의 상부에 유입구(21a)가 형성된 뚜껑(21)이 안착되어 하나의 폐쇄된 케이스 구조를 이루며, 바닥면에는 상하 관통된 구조의 유출구(22)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하부 테두리에는 단턱(23)이 형성되어 재배부(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재배조(11)상에 단턱구조로 안착된다.
한편 상기 유입구(21a)에는, 급수관(30)이 연결되어 외부의 수전(4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들 수전(40)과 급수관(30) 사이에 자화기(31)를 설치하여 좌화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유입구(21a)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은 급수관(30)에 설치된 유량밸브(32)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급수조(20)에는 급수관(30)을 통해 공급되는 정량의 물이 유량밸브(32)의 제어에 의해 서서히 유입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자화기(31)는, 물분자의 전기성과 자기성의 변화를 일으켜, 수소결합각이 2°쯤 줄어들게 하는 쌍극자모멘트변화를 야기하는 공지의 수단으로서, 이렇게 자화기(31)를 통과한 물은 극성이 증가하여 산소용해도와 용해도, 응집도 등이 증가되는 등 성질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특히 생물학적으로는 세균의 사망을 일으키고, 토양의 물 보유성질이 증가되기 때문에 영양물질이 뿌리부분에 도달하는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생물막 침투성능이 높아져서 식물의 영양물질에 대한 흡수를 최대한 개선시켜 작물의 생장과 발육을 촉진시키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새싹의 성장에 많은 이점을 가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적용하여 새싹의 성장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새싹 재배기(1)의 급수조(20)에 사이펀 원리에 의한 급수구조를 마련하여, 주기적으로 정량의 물이 재배부(10) 쪽으로 자동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발아 및 성장하는 새싹에 주기적으로 적량의 물을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면, 상기 유출구(22)에 수위관(24)의 일단을 결속하는 한편, 상기 수위관(24)의 타단은 급수조(20)의 바닥면과 소정의 틈새만 형성하도록 연접되게 고정하여, 수위관(24)의 형상이 전체적으로는 ∩자형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입구(21a)를 통해 급수조(20) 내에 소량씩 서서히 물을 공급하면, 유입된 물은 수위가 점점 높아져 ∩자형으로 설치된 수위관(24)의 상단부에까지 차오르게 되고, 일정 높이에 이르면 사이펀 원리에 의해 급수조(20) 내에 고인 물은 수위관(24)을 통하여 유출구(22)로 일시에 배출되어 하부의 재배부(10) 쪽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재배부(10)에는, 전기적인 장치를 설치하거나 사용자가 일일이 관리하지 아니하고도 정량의 물이 주기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새싹의 재배 및 관리에 따른 편의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급수조(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재배부(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11A)와 상기 케이스 부재(11A)에 적층하여 설치되는 수용부재(11B)가 한 조를 이루어 결합된 여러 개의 재배조(11)들이 다단 적층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배조(11)를 이루는 케이스 부재(11A)는 상부 개방형 구조로서, 차광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의 빛이 내부로 투과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일정 높이의 배출관(11A-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부재(11A)의 내측 벽면에는 단턱(11A-b)이 마련되어, 상기 단턱(11A-b)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수용부재(11B)의 바닥면과 케이스 부재(11A)의 바닥면이 항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11B)는, 상부 개방형으로 바닥면에는 다수의 투수공(11B-a)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제 사용시에는 이 바닥면에 보습성 재질의 부직포(12)가 안착 설치되어, 그 위에 씨앗을 뿌려 발아 및 성장시키게 된다. 다만 씨앗의 발아를 위해 상기 부직포 대신에 다공질의 보습성 세라믹 등을 사용하면 새싹의 뿌리에 부직포의 섬유가 부착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11B)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출관(11A-a)을 전체적으로 이격되게 감싸며, 하단부는 케이스 부재(11A)의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된 배출관 커버(11B-b)가 형성되어 있어, 상부에서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면, 투입된 물이 상기 수용부재(11B)의 투수공(11B-a)을 통해 케이스 부재(11A)의 바닥면에 모아지고, 유입된 물은 다시 배출관 커버(11B-b)와 바닥면의 틈새를 통해 상기 배출관(11A-a)과 배출관 커버(11B-b) 사이에 형성된 세관으로 유입되어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배출관(11A-a)을 통해 일시에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재배부(10)에는 이렇게 구성된 재배조(11)가 급수조(20)의 하부에 하나가 설치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재배조(11)들이 적층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새싹 재배기(1)의 최하단부에 설치된 재배조(11)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스크루 구조의 고정발(14)을 마련하여, 안정된 균형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실내에 설치될 경우에는 최하단부에 형성된 재배조(11)의 배출관(11A-a)에는 배수관(미도시)을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된 물이 배수관을 통해 외부의 하수구로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복수의 재배조(11)를 적층하게 설치하게 되면, 종류를 달리하거나 시차를 두고 재배하고자 하는 등의 경우에 여러 개를 나열하여야 하는 종래의 새싹 재배기를 사용할 때보다 공간활용도가 높아지는 한편, 각각의 재배조(11)에 급수조(20)를 마련하여 물을 공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적층된 재배조(11)와 급수조(20)간 또는 재배조(11)와 재배조(11)간에 상하 관통된 구조의 투광 재질의 연장 케이스(15) 또는 차광 재질의 연장 케이스(15')를 적층되게 설치하게 되면, 새싹의 성장에 따라 성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선택에 따라 투광 재질의 연장 케이스를 사용하여 광합성 활동이 보다 왕성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새싹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도 있고, 또 콩나물을 재배하는 경우와 같이 종류에 따라 차광조건이 필요한 경우에는 차광 재질의 연장 케이스를 사용하여 차광을 도모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새싹 재배기(1)는, 씨앗의 발아단계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장 케이스를 설치하지 않고 차광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발아 후 생육상태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장 케이스(15, 15')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조광 또는 차광조건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새싹재배기는, 복수의 재배조를 다단으로 적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공간활용도가 높아지는 이점을 가지게 되어, 대량 및 다종의 새싹 채소를 한꺼번에 재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재배조와 재배조간 또는 재배조와 급수조간에 투광 또는 차광 재질로 별도 제작된 연장 케이스를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새싹의 성장 단계별로 생육환경 및 공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조 및 재배조에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급수 및 배수구조가 마련되어 있어, 별도의 관리없이 정량의 물이 주기적으로 재배조에 자동 공급 및 배출되므로, 관리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새싹 재배기에는 상기 급수조와 결속된 급수관에 자화기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새싹의 성장에 이로운 자화수가 공급될 수 있어, 양질의 새싹채소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새싹 재배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새싹 재배기에 있어서의 급수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새싹 재배기에 있어서의 재배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절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새싹 재배기의 다른 사용상태에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새싹 재배기 10. 재배부
11. 재배조 11A. 케이스 부재
11A-a. 배출관 11A-b. 단턱
11B. 수용부재 11B-a. 투수공
12. 부직포 15. 연장 케이스 부재
20. 급수조 21. 뚜껑
21a. 유입구 22. 유출구
23. 단턱 24. 수위관
30. 급수관 31. 자화기
32. 유량밸브

Claims (4)

  1. 다단 적층 가능하도록 단턱을 구비하며 하부로 배수구조가 형성된 차광 재질의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부재 내부에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수용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수용부재;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재배조를 구비하여, 씨앗의 발아 및 성장 공간을 제공하는 다단 적층구조의 재배부와;
    상기 재배부 상부에 적층 설치되어 상기 재배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조; 및
    상기 재배조의 케이스 부재 사이 또는 재배조의 케이스 부재와 급수조 사이에 삽입되어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투광 또는 차광 재질로 제작된 상하 관통된 구조의 연장 케이스를 구비하여;
    새싹의 종류 및 생장과정의 필요에 따라, 상기 재배조 및 상기 연장 케이스를 적층 설치하여, 새싹에 최적의 생육공간과 광합성 환경이 조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의 케이스 부재는 상부개방형으로, 바닥면에는 상하 관통된 구조의 소정 높이의 배출관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부개방형으로, 바닥면에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배출관의 외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바닥과의 사이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배출관 커버가 돌출 형성되어;
    상부에서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면, 투입된 물이 상기 수용부재의 투수공을 통해 케이스 부재 바닥면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다시 배출관 커버의 틈새를 통해 상기 배출관과 배출관 커버 사이에 형성된 세관으로 유입되어 배출관을 통해 일시에 하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는 외부의 수전과 연결하여 물을 공급받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바닥면에는 상하 관통된 구조의 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구조로서, 급수조의 내부에는 상기 유출구에 일단이 결속되고 타단은 급수조의 바닥면과 소정의 틈새만 두고 연접되게 ∩자형으로 설치된 수위관이 구비되어, 급수관을 통해 서서히 유입된 물이 일정 수위에 이르면 일시에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하부의 재배조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수전과 유입구 사이에는 자화기가 설치되어, 자화된 물이 급수조내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기.
KR20-2005-0023692U 2005-08-17 2005-08-17 새싹 재배기 KR200400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692U KR200400919Y1 (ko) 2005-08-17 2005-08-17 새싹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692U KR200400919Y1 (ko) 2005-08-17 2005-08-17 새싹 재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9Y1 true KR200400919Y1 (ko) 2005-11-09

Family

ID=4370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692U KR200400919Y1 (ko) 2005-08-17 2005-08-17 새싹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976B1 (ko) 2013-08-20 2014-09-02 주식회사 사이엑스 다단 적층식 가정용 새싹재배기
KR20150107021A (ko) 2014-03-13 2015-09-23 제주녹차 영농조합 법인 냉장고겸용 채소재배장치
KR101821485B1 (ko) * 2016-02-26 2018-01-23 구연호 새싹 채소종자 발아방법
KR20220118322A (ko) 2021-02-17 2022-08-25 심현진 새싹 자동 재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976B1 (ko) 2013-08-20 2014-09-02 주식회사 사이엑스 다단 적층식 가정용 새싹재배기
KR20150107021A (ko) 2014-03-13 2015-09-23 제주녹차 영농조합 법인 냉장고겸용 채소재배장치
KR101821485B1 (ko) * 2016-02-26 2018-01-23 구연호 새싹 채소종자 발아방법
KR20220118322A (ko) 2021-02-17 2022-08-25 심현진 새싹 자동 재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148B1 (ko) 수경재배기
US11903351B2 (en) Grow cups for hydroponic growing systems
US20170105373A1 (en) Fluid filtr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for planting devices
KR101287155B1 (ko) 멀티 수경 재배 장치
KR20140122821A (ko) 수경 재배장치
KR200400919Y1 (ko) 새싹 재배기
EP4018818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1371128B1 (ko) 교체식 식재모듈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US20220192107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210345568A1 (en) Hydroponic System for Bulb Horticulture
JPH05284864A (ja) 溶液栽培によるジャガイモの種芋生産方法
WO2023086186A1 (en) Grow cups for hydroponic growing systems
KR100653373B1 (ko)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KR20120079805A (ko)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KR101325616B1 (ko) 수경재배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KR20090126914A (ko) 가정용 비닐하우스
KR20190000852U (ko) 수경어항화분
KR20150083359A (ko) 수경식물 재배용 화분 키트 및 이를 사용한 식물 재배 장치
KR100747515B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JPH1189688A (ja) 植木鉢積み重ね用ポールと植木鉢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給水用器具
KR102300685B1 (ko)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KR200257525Y1 (ko) 화분
KR102414779B1 (ko) 특정 배수 시기에 따른 배수 조절장치
JP7171105B1 (ja) 植物栽培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発芽カバー及び当該発芽カバーを用いて植物を発芽させ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