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388A - 피드백 기반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드백 기반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388A
KR20210034388A KR1020190116292A KR20190116292A KR20210034388A KR 20210034388 A KR20210034388 A KR 20210034388A KR 1020190116292 A KR1020190116292 A KR 1020190116292A KR 20190116292 A KR20190116292 A KR 20190116292A KR 20210034388 A KR20210034388 A KR 20210034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user
providing
feedback signa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맥스
이은숙
박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맥스, 이은숙, 박형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맥스
Priority to KR1020190116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388A/ko
Publication of KR2021003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3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into a haptic signal, e.g. using force feedback

Abstract

피드백 기반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은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상 상품 집게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상품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grab)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할 때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텍스처(texture)와 그랩 상태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드백 기반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METHOD FOR PROVIDING GOODS CATCH BASED ON FEEDBACK AND SYSTEM THEREFORE}
본 발명은 상품 뽑기 게임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3차원의 가상 상품 뽑기 게임 예를 들어, 가상 인형 뽑기 게임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그랩(grab)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할 수 있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로서, 이에는 키폰 시스템,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호출, 무선전화, 위성이동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의 통신망이 포함된다.
또한, 최근 인터넷 보급이 전면화 됨에 따라 이와 같은 이동통신망을 인터넷과 연계시켜 콘텐츠 등을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크게 확산되고 있다. 최근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단순히 벨소리, 배경화면 등을 다운로드 받는 수준을 넘어서서 인터넷 웹 페이지의 데이터와 동기화시킨다거나 각종 동영상 콘텐츠, 게임 콘텐츠 등을 서비스하여 사실상 유선 인터넷상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대부분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재 오프라인 상에서 대중적으로 성행하고 있는 게임 중에 뽑기 게임이라는 게임 방식이 있다.
뽑기 게임이라 함은, 일정 크기의 공간 내에 여러 가지 상품들, 예를 들면 인형, 장난감, 화장품 등과 같은 각종 상품들을 무작위로 배치해 놓고 사용자가 일정 금액을 투입한 뒤 기기 상면에 설치된 미니 크레인(crane)을 조작하여 상품을 뽑아내는 것을 말한다. 사용자의 조작 능력이 뛰어날수록 상품을 뽑아내는 확률은 높아진다.
그런데 이러한 상품 뽑기 게임은, 사용자가 게임기에 직접 가서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시간적인 여유가 없거나 주변에 게임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게임을 즐길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확률 게임이라는 특성상 게임기를 제공하는 업주에게로 초점이 맞춰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수익성 구조),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상품을 뽑아낼 확률은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매번 게임기에 직접 방문하여야만 한다는 불합리한 점이 존재한다. 즉, 뽑기에 실패하여 아무런 상품을 수령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입장에서 불필요한 시간 낭비라 느낄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 빈도가 줄어들어 업주 측면에서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차원의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그랩(grab)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할 수 있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은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상 상품 집게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상품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grab)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할 때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텍스처(texture)와 그랩 상태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그랩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상하좌우로 회전시키고, 상기 가상 상품 집게의 이동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전자 장갑와 전자 골무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피드백 신호에 대응하는 물리적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의 등급 및 상기 사용자의 가상 상품 뽑기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가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가상 상품들과 미리 설정된 가상 상품 집게들 중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뽑기 게임 제공 시스템은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상 상품 집게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상품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grab)하는 수행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할 때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텍스처(texture)와 그랩 상태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행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상하좌우로 회전시키고, 상기 가상 상품 집게의 이동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전자 장갑와 전자 골무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피드백 신호에 대응하는 물리적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의 등급 및 상기 사용자의 가상 상품 뽑기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가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미리 설정된 가상 상품들과 미리 설정된 가상 상품 집게들 중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3차원의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그랩(grab)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상품 뽑기할 때의 느낌 등을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등급과 사용자의 가상 상품 뽑기 히스토리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가상 상품을 뽑을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품 뽑기 재미와 가상 상품 뽑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수익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가상 상품이 뽑히는 경우 뽑힌 가상 상품에 대응하는 실제 상품을 사용자에게 택배로 제공하거나 실제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는 쿠폰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쿠폰을 이용하여 실제 상품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은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뽑기 게임 제공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차원의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 예를 들어, 가상 상품을 그랩할 때의 느낌, 텍스처(texture), 그랩 상태(예를 들어, 잡힘, 떨어질거 같음 등)등과 같은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물리적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에게 착용된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전자 장갑, 전자 골무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갑과 전자 골무 등을 착용한 경우 전자 장갑과 전자 골무 등을 통해 미끄러움, 거침 등과 같은 피드백 신호에 대한 물리적인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의 경우 진동 패턴, 진동 강도 등을 통해 피드백 신호에 대한 물리적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물리적인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가상 상품 뽑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물리적인 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컴퓨터, 가상 현실(VR) 기기, 증강 현실(AR) 기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가상 상품이 가상 인형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가상 상품은 뽑기 게임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가상 상품 예를 들어, TV, 냉장고, 안마기, 여행 상품권, 자동차, 드론 등과 같이 가상 상품으로 뽑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본 발명의 가상 상품 뽑기 게임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컴퓨터, VR 기기, AR 기기 등과 같이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휴대 단말기(11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제1 전자 기기(110)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가상 상품 뽑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자 기기(110)는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기기(1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110)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제1 전자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전자 기기(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제1 전자 기기(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120, 130, 140)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P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제1 전자 기기(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1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휴대 단말기(일례로 제2 휴대 단말기(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검색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제1 전자 기기(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제1 휴대 단말기(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콘텐츠나 파일 등은 제1 전자 기기(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제2 휴대 단말기(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콘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4) 또한 마찬가지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가 메모리(22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 서버(15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기기(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1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전자 기기(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제1 전자 기기(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 기기(110)는 전자 장갑, 전자 골무 등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전자 장갑, 전자 골무 등을 착용한 경우 전자 장갑, 전자 골무 등을 통해 물리적인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의 진동 등을 통해 가상 상품 뽑기 게임에서 발생하는 피드백 신호에 대한 물리적인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키네틱 센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키네틱 센서와 전자 기기(110)가 연동되어 키네틱 센서에 의해 신호에 기초하여 가상 상품 뽑기 게임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용자의 행동과 제스처를 키네틱 센서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가상 상품 뽑기 게임에서 가상 상품 집게의 흔들기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자 기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서버로부터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 폰 등의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인형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한다(S310).
여기서, 단계 310은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가 미리 설정되고 배치 또한 미리 설정된 상태의 가상 인형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가상 인형 뽑기 장치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가상 인형 집게의 이동을 상하좌우 영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나아가, 단계 S310은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가 미리 설정되어 제공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등급 및 사용자의 가상 인형 뽑기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가 결정되고, 결정된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인형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단계 S310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받을 수 있는 실제 인형들이 있는 경우 해당 위치의 실제 인형들에 대응하는 가상 인형들이 결정되며, 가상 인형들 중 사용자의 등급과 사용자가 가상 인형을 뽑은 회수, 확률 등을 통해 가치가 높은 가상 인형들을 많이 포함시킬지 적게 포함시킬지 등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으며, 가상 인형 집게들 중 가상 인형이 가장 잘 뽑히는 가상 인형 집게, 중간 확률로 뽑을 수 있는 가상 인형 집게 등을 결정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단계 S310은 가상 인형 뽑기 게임을 제공하는 업체에서 설정된 가상 인형들 중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개수의 가상 인형들을 선택하고, 가상 인형 집게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의 가상 인형 집게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S310은 가상 인형들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가상 인형들의 가치에 따라 가상 인형들 각각의 개수가 결정되고 가상 인형들 각각의 위치와 배치 그리고 배치 모양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310에 의해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이 제공되면, 가상 인형 집게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인형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인형을 그랩(grab)한다(S320).
여기서, 단계 S320은 단계 S310에서 제공하는 3차원 영상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확인하면서 가상 인형 집게를 이동시키고, 원하는 위치에 가상 인형 집게가 위치할 때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가상 인형을 그랩할 수 있다. 물론, 단계 S320은 사용자의 입력을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패드, 사용자에 부착 또는 착용된 센서 예를 들어, 웹캠, 디지털 카메라, 키네틱 센서, 리얼센스(Intel Real sense) 등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가상 인형 집게를 작게 흔들거나 강하게 흔드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흔드는 회수와 강도가 한정된 경우 한정된 회수와 강도 내에서 가상 인형 집게를 흔드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320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인형이 그랩되면 예를 들어, 가상 인형이 가상 인형 집게에 잡혀서 들리거나 가상 인형과 가상 인형 집게가 접촉하게 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인형이 가상 인형 집게에 그랩할 때 그랩된 가상 인형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한다(S330).
여기서, 가상 인형에 대한 피드백 신호는 가상 인형에 대해 미리 설정된 예를 들어, 태그로 설정된 미끄러움 정도, 거친 정도 등의 텍스처(texture), 모양에 따른 미끄러움 정도, 거친 정도 및 그랩된 위치에 따른 미끄러움 정도, 거친 정도 나아가 가상 인형이 잡힌 상태 또는 떨어질거 같은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가상 인형에 실제 인형과 같은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태그가 부착된 가상 고리 위치에 가상 인형 집게가 그랩된 경우 가상 고리에 대해 미리 설정된 피드백 신호 또한 함께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신호에 대응하는 물리적 피드백 신호는 그랩된 가상 인형에서 느낄 수 있는 느낌 예를 들어, 꽉 잡힘, 미끄러짐 등에 대한 물리적인 신호를 사용자가 착용한 전자 장갑, 전자 골무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 패턴, 진동 강도, 진동 회수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단계 S330은 가상 인형이 그랩되지 않더라도 가상 인형 집게의 흔들림, 가상 인형 집게가 흔들리면서 가상 인형과 접촉이 발생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피드백 신호 또한 사용자에게 물리적인 피드백 신호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상 인형이 사용자에 의해 뽑히게 되면 뽑힌 가상 인형에 대응하는 실제 인형을 택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실제 인형을 받을 수 있는 쿠폰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쿠폰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실제 인형을 받을 수 있다(S340).
여기서, 본 발명은 가상 인형이 뽑히게 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배송 주소로 택배를 배송하기 위한 확인 창 또는 배송 주소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창을 제공할 수도 있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제 인형을 수령하고자 하는 경우 쿠폰 등을 사용자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으로 수신함으로써, 수신된 쿠폰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확인하여 뽑은 가상 인형에 대한 실제 인형을 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3차원의 가상 인형 뽑기 게임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그랩된 가상 인형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인형 뽑기 할 때의 느낌 등을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의 등급과 사용자의 가상 인형 뽑기 히스토리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가상 인형을 뽑을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인형 뽑기 재미와 가상 인형 뽑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수익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가상 인형이 뽑히는 경우 뽑힌 가상 인형에 대응하는 실제 인형을 사용자에게 택배로 제공하거나 실제 인형을 제공받을 수 있는 쿠폰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쿠폰을 이용하여 실제 인형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 강도 예를 들어, 터치 패드에 가해지는 강도를 통해 가상 인형 집게의 그랩 강도 등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그랩 강도의 최대치는 사용자의 등급, 사용자의 가상 인형 뽑기 히스토리(뽑은 회수, 사용 금액 등)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가상 인형 집게의 그랩 강도의 최대치는 가상 인형 집게 각각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가상 인형 집게라도 사용자의 히스토리, 등급, 사용 금액, 뽑은 인형 회수 등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은 3차원의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를 3차원의 영상으로 생성할 수도 있고, 2차원으로 만들어도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를 3차원으로 렌더링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방법은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가상 현실 기기 또는 증강 현실 기기가 전자 장갑, 전자 골무, 키네틱 센서, 리얼센스 등과 연동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방법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방법은 오프라인에서의 인형 뽑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동작과 방식 그리고 뽑기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 가상 인형 뽑기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뽑기 게임 제공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시스템의 구성은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일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를 모두 포함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스템(400)은 디스플레이부(410), 수행부(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410)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인형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410)는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가 미리 설정되고 배치 또한 미리 설정된 상태의 가상 인형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가상 인형 뽑기 장치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가상 인형 집게의 이동을 상하좌우 영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410)는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가 미리 설정되어 제공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등급 및 사용자의 가상 인형 뽑기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가 결정되고, 결정된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인형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41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받을 수 있는 실제 인형들이 있는 경우 해당 위치의 실제 인형들에 대응하는 가상 인형들이 결정되며, 가상 인형들 중 사용자의 등급과 사용자가 가상 인형을 뽑은 회수, 확률 등을 통해 가치가 높은 가상 인형들을 많이 포함시킬지 적게 포함시킬지 등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으며, 가상 인형 집게들 중 가상 인형이 가장 잘 뽑히는 가상 인형 집게, 중간 확률로 뽑을 수 있는 가상 인형 집게 등을 결정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부(410)는 가상 인형 뽑기 게임을 제공하는 업체에서 설정된 가상 인형들 중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개수의 가상 인형들을 선택하고, 가상 인형 집게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의 가상 인형 집게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S310은 가상 인형들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가상 인형들의 가치에 따라 가상 인형들 각각의 개수가 결정되고 가상 인형들 각각의 위치와 배치 그리고 배치 모양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수행부(420)는 가상 인형들과 가상 인형 집게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이 제공되면, 가상 인형 집게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인형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인형을 그랩한다.
여기서, 수행부(420)는 디스플레이부(410)에 의해 제공되는 3차원 영상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확인하면서 가상 인형 집게를 이동시키고, 원하는 위치에 가상 인형 집게가 위치할 때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가상 인형을 그랩할 수 있다. 물론, 수행부(420)는 사용자의 입력을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패드, 사용자에 부착 또는 착용된 센서 예를 들어, 웹캠, 디지털 카메라, 키네틱 센서, 리얼센스 등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가상 인형 집게를 작게 흔들거나 강하게 흔드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흔드는 회수와 강도가 한정된 경우 한정된 회수와 강도 내에서 가상 인형 집게를 흔드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인형이 그랩되면 예를 들어, 가상 인형이 가상 인형 집게에 잡혀서 들리거나 가상 인형과 가상 인형 집게가 접촉하게 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인형이 가상 인형 집게에 그랩할 때 그랩된 가상 인형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한다.
여기서, 가상 인형에 대한 피드백 신호는 가상 인형에 대해 미리 설정된 예를 들어, 태그로 설정된 미끄러움 정도, 거친 정도 등의 텍스처(texture), 모양에 따른 미끄러움 정도, 거친 정도 및 그랩된 위치에 따른 미끄러움 정도, 거친 정도 등을 포함할 할 수 있다. 나아가, 가상 인형에 실제 인형과 같은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태그가 부착된 가상 고리 위치에 가상 인형 집게가 그랩된 경우 가상 고리에 대해 미리 설정된 피드백 신호 또한 함께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신호에 대응하는 물리적 피드백 신호는 그랩된 가상 인형에서 느낄 수 있는 느낌 예를 들어, 꽉 잡힘, 미끄러짐 등에 대한 물리적인 신호를 사용자가 착용한 전자 장갑, 전자 골무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 패턴, 진동 강도, 진동 회수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430)는 가상 인형이 그랩되지 않더라도 가상 인형 집게의 흔들림, 가상 인형 집게가 흔들리면서 가상 인형과 접촉이 발생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피드백 신호 또한 사용자에게 물리적인 피드백 신호로 제공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430)는 가상 인형이 사용자에 의해 뽑히게 되면 뽑힌 가상 인형에 대응하는 실제 인형을 사용자가 받을 수 있도록, 뽑힌 가상 인형에 대응하는 실제 인형을 택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실제 인형을 받을 수 있는 쿠폰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430)는 가상 인형에 대응하는 실제 인형을 받을 수 있도록 업체로 사용자의 배송 주소와 가상 인형 정보 등을 제공할 수도 있고, 뽑힌 가상 인형에 대한 쿠폰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쿠폰 정보 포함)를 업체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어부(430)는 사용자의 입력 강도 예를 들어, 터치 패드에 가해지는 강도를 통해 가상 인형 집게의 그랩 강도 등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그랩 강도의 최대치는 사용자의 등급, 사용자의 가상 인형 뽑기 히스토리(뽑은 회수, 사용 금액 등)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가상 인형 집게의 그랩 강도의 최대치는 가상 인형 집게 각각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가상 인형 집게라도 사용자의 히스토리, 등급, 사용 금액, 뽑은 인형 회수 등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도 있다.
비록, 도 4의 시스템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도 4를 구성하는 각 구성 수단을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상 상품 집게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상품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grab)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할 때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텍스처(texture)와 그랩 상태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랩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상하좌우로 회전시키고, 상기 가상 상품 집게의 이동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전자 장갑와 전자 골무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피드백 신호에 대응하는 물리적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의 등급 및 상기 사용자의 가상 상품 뽑기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가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가상 상품들과 미리 설정된 가상 상품 집게들 중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7.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상 상품 집게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상품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grab)하는 수행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할 때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텍스처(texture)와 그랩 상태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 신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상기 3차원 영상을 상하좌우로 회전시키고, 상기 가상 상품 집게의 이동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상품을 그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랩된 가상 상품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전자 장갑와 전자 골무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피드백 신호에 대응하는 물리적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의 등급 및 상기 사용자의 가상 상품 뽑기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가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미리 설정된 가상 상품들과 미리 설정된 가상 상품 집게들 중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가상 상품들과 가상 상품 집게를 포함하는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뽑기 게임 제공 시스템.
KR1020190116292A 2019-09-20 2019-09-20 피드백 기반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34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92A KR20210034388A (ko) 2019-09-20 2019-09-20 피드백 기반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92A KR20210034388A (ko) 2019-09-20 2019-09-20 피드백 기반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388A true KR20210034388A (ko) 2021-03-30

Family

ID=7526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292A KR20210034388A (ko) 2019-09-20 2019-09-20 피드백 기반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43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7458B1 (ja) プレイヤの移動履歴に基づいてノンプレイヤキャラクタの経路探索を行うゲームシステム等
CN111767503A (zh) 一种游戏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及可读存储介质
CN103530495A (zh) 增强现实仿真连续体
KR20210032023A (ko) 부가기능의 관리
JP7339318B2 (ja) ゲーム内位置ベースのゲームプレイコンパニオンアプリケーション
WO2012107739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game content
KR101961241B1 (ko) 영상 통화 및 객체 인식을 바탕으로 한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7216493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34890A (ko) 게임 플랫폼 간 디지털 자산 전송 및 사용을 위한 nft 프레임워크
KR101951225B1 (ko) 물리엔진을 사용하지 않는 리얼타임 렌더링 오브젝트 표현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34388A (ko) 피드백 기반 상품 뽑기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107535A (ko) 게임 리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JP7131905B2 (ja) 情報処理方法、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端末
US11318379B2 (en) Game server and method of sharing note in the game server
JP2023547721A (ja) 仮想場面における画面表示方法、装置、機器、及びプログラム
EP3469801B1 (en) Generating challenges using a location based game play companion applicaiton
US8972476B2 (en) Evidence-based virtual world visualization
CN115279469A (zh) 图像处理系统、程序及图像处理方法
KR102219028B1 (ko) 과거 게임 데이터를 이용한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62205B1 (ko) 연속 자동 전투 기능을 이용한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1760283B (zh) 虚拟对象的技能施放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JP677381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WO2024067168A1 (zh) 基于社交场景的消息显示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102170825B1 (ko)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5729402A (zh) 一种对象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