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918A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918A
KR20210033918A KR1020200119756A KR20200119756A KR20210033918A KR 20210033918 A KR20210033918 A KR 20210033918A KR 1020200119756 A KR1020200119756 A KR 1020200119756A KR 20200119756 A KR20200119756 A KR 20200119756A KR 20210033918 A KR20210033918 A KR 20210033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cutting
concave portion
raw material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7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기요타카 이나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9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09Ball nose end mi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which can suppress that a long crack occurs in the periphery of a recessed portion by a dew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and a polarizing plate are provid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recessed part in the peripheral part in a planar view comprises: a process of preparing a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a process of carrying out a cutting process so that a recessed part may be formed while moving an end mill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peripheral part of a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and a process [a] performing cutting processing to form the recessed part while moving the end mill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peripheral part of a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The cutting operation in the process [a] is a cutting operation performed so that the cutting width is 150 μm or less.

Description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nd a polarizing plate.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부품의 하나로서 이용되고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에도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휴대 단말에도 편광판이 삽입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The polarizing plate is used as one of the optical components constituting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devices are also used in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and it is known that a polarizing plate is also inserted in such portable terminals.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에서는, 디스플레이(표시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형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오목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에서는,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맞춰 오목부를 갖는 편광판이 이용된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등). 오목부를 갖는 편광판을 얻는 방법으로는, 원료 편광판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절단날을 이용하여 펀칭하는 방법이나, 원료 편광판의 단부면에 절삭 가공을 하여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등).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there is a case where a concave portion is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display portion). In a display having such a concave portio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cave portion is us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play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As a method of obtain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cave portion, a method of punching with a cutting blade to form a concave portion in a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a method of forming a concave portion by cutting the end surfac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etc. are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etc.).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8-2563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8-25630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2182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8-12182

원료 편광판의 단부면에 대한 절삭 가공은 통상 2회 이상 행해진다. 이 경우, 우선 비교적 큰 절삭 폭으로 절삭 가공을 행하는 조삭을 행하고, 그 후, 비교적 작은 절삭 폭으로 절삭 가공을 행하는 마무리 절삭이 행해진다. The cutting process on the end surfac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is usually performed two or more times. In this case, first roughing is performed with a relatively large cutting width, and after that, finish cutting is performed with a relatively small cutting width.

상기 절삭 가공을 하여 오목부를 갖는 편광판을 제조한 경우, 편광판의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오목부의 주변에 긴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에서는, 표시 영역의 확대나 디자인성의 관점에서 프레임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진행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의 폭을 좁히는 것이 도모된 휴대 단말에서는, 프레임에 의해 긴 크랙을 은폐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불량 등의 문제가 야기되는 경우가 있었다. When the above-described cutting process was perform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cave portion, it was found that long cracks may occur around the concave portion by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of the polarizing plate. In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width of the frame is narrowed from the viewpoint of enlargement of the display area and design. In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width of such a frame is to be narrowed, it is difficult to conceal long cracks by the frame, and thus problems such as display defects may occur.

본 발명은,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오목부의 주변에 긴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suppressing occurrence of long cracks around a concave portion by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본 발명은, 이하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polarizing plate.

〔1〕 평면시(平面視)에서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를 갖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1]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cave portion at the periphery in plan view,

편광자층의 한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갖는 원료 편광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A step of preparing a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and

상기 원료 편광판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엔드밀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절삭 가공을 하는 공정 [a]를 포함하고, A step [a] of performing cutting to form the concave while moving the end mill relative to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상기 공정 [a]에서의 상기 절삭 가공은, 절삭 폭이 150 μm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절삭 가공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cutting process in the step [a] is a cutting process in which the cutting width is 150 μm or less.

〔2〕 상기 원료 편광판은,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는 영역에 오목한 형상의 절결부를 갖는 〔1〕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2]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1], wherein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has a concave-shaped notch in a region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3〕 상기 공정 [a]를 2회 이상 행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3]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step [a] is performed two or more times.

〔4〕 추가로, 상기 원료 편광판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엔드밀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상기 오목부 이외의 상기 편광판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도록 절삭 가공을 하는 공정 [b]를 포함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4] [1] to [1]-further comprising a step [b] of performing cutting to form a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ther than the concave portion while moving the end mill relative to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in any one of [3].

〔5〕 상기 공정 [a]와 상기 공정 [b]를 연속적으로 행하는 〔4〕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4], in which the step [a] and the step [b] are successively performed.

〔6〕 상기 편광자층은,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6]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polarizer layer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7〕 평면시에서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를 갖는 편광판으로서, [7] A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cave portion at the peripheral edge in plan view,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층의 한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가지며, The polarizing plate has a protective layer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상기 오목부의 윤곽을 따르는 길이 5 mm의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30 μm의 위치 및 50 μm의 위치 중 어디에도 크레이즈가 존재하지 않는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which craze does not exist either at a position of 30 μm and a position of 50 μm in the plane direction from the edge existing in an arbitrary range of 5 mm in length along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8〕 추가로, 상기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10 μm의 위치에, 크레이즈가 존재하는 또는 크레이즈가 존재하지 않는 〔7〕에 기재된 편광판. [8] Further,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7], wherein craze is present or craze is not present at a position of 10 μm in the plane direction from the edge existing in the arbitrary range.

〔9〕 상기 오목부의 윤곽은 곡선형 부분과 직선형 부분을 가지며, [9]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has a curved portion and a straight portion,

상기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는, 상기 직선형 부분에서의, 상기 곡선형 부분에 인접하는 측으로부터 5 mm의 길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인 〔7〕 또는 〔8〕에 기재된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7] or [8], wherein the edge existing in the arbitrary range is an edge existing in the range of a length of 5 mm from the side adjacent to the curved portion in the linear portion.

〔10〕 상기 오목부의 윤곽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각각에 직선형 부분을 갖는 2개의 변과, 상기 2개의 변을 연결하고 또한 직선형 부분을 갖는 1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는, 상기 1개의 변의 직선형 부분에서의, 상기 1개의 변과 상기 2개의 변의 한쪽이 접하는 측으로부터 5 mm의 길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인 〔7〕∼〔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 (10)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two sides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each having a straight portion, and one side connecting the two sides and having a straight portion, and is within the arbitrary range. The existing edge is in any one of [7] to [9], which is an edge in a range of 5 mm from the side where one of the one side and one of the two sides in the straight portion of the one side. Described polarizing plate.

〔11〕 상기 편광자층은,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인 〔7〕∼〔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 [11]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10], wherein the polarizer layer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본 발명에 의하면,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오목부의 주변에 긴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suppressing occurrence of long cracks around the concave portion by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도 1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엔드밀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의 (a)∼(d)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상면도이다.
도 4의 (a)∼(c)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상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엔드밀의 회전 방향과 이동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편광판의 단면을 주사형 레이저 현미경으로 관찰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end mill used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D are schematic top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schematic top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explanatory diagrams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end mill.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images obtained by observing a cross section of a polarizing plate with a scanning laser microscope.
8A and 8B are schematic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편광판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11)를 갖는 편광판(10)의 제조 방법이다. 편광판(10)의 제조 방법은, 편광자층의 한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갖는 원료 편광판(30)을 준비하는 공정과,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엔드밀(50)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오목부(11)를 형성하도록 절삭 가공을 하는 공정 [a]를 포함한다. 공정 [a]에서의 절삭 가공은, 절삭 폭이 150 μm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절삭 가공이다. 편광판(10)의 제조 방법에서 행하는 절삭 가공에는 연마 가공도 포함된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embodimen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10 which has the concave part 11 at the peripheral edge part in plan view, 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10 includes a step of preparing a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hav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and moving the end mill 50 relative to the peripheral edg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While making it, it includes a step [a] of performing a cutting process so as to form the concave portion 11. The cutting process in step [a] is a cutting process performed so that the cutting width becomes 150 μm or less. The cutting process perform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10 also includes a polishing process.

도 2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엔드밀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엔드밀(50)은, 원료 편광판(30)의 단부면(두께 방향을 따르는 면)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 공구이다. 엔드밀(5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51)을 갖는 공구 본체의 한쪽의 선단측에, 외주면에 절삭날(52a)을 갖는 절삭부(52)가 설치된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엔드밀(50)에서는, 절삭날(52a)이 우측날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절삭날(52a)은 좌측날이어도 좋고, 날의 꼬임 방향은 우측 꼬임이어도 좋고 좌측 꼬임이어도 좋다. 2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end mill used i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The end mill 50 is a cutting tool for cutting an end surface (a surfac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The end mill 50 is, as shown in FIG. 2, provided with a cutting portion 52 having a cutting edge 52a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one tip side of a tool body having a rotation shaft 51. As shown in FIG. In the end mill 50 shown in FIG. 2, although the case where the cutting edge 52a is a right edge is shown,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cutting edge 52a may be a left edge, and the twist direction of the edge may be a right twist or a left twist.

엔드밀(50)의 절삭 각도 β는, 예컨대 30° 이상이며, 40° 이상이어도 좋고, 45°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통상 70° 이하이며, 65° 이하여도 좋다. 엔드밀(50)의 절삭 각도 β[°]는, 엔드밀(50)의 나선각을 α[°]로 하면 하기 식: The cutting angle β of the end mill 50 is, for example, 30° or more, 40° or more, 45° or more, and usually 70° or less, and 65° or less. The cutting angle β[°] of the end mill 50 is the following formula when the helix angle of the end mill 50 is α[°]:

β=90°-αβ=90°-α

로 표시된다. 나선각 α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드밀(50)의 외주면에서 절삭날(52a)이 연장되는 방향 d1과 회전축(51)이 이루는 각도이다. 바꿔 말하면, 절삭 각도 β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삭날(52a)이 연장되는 방향 d1과 회전축(51)에 수직인 방향 d2가 이루는 각도이다. It is represented by The spiral angle α is an angle formed by the direction d1 in which the cutting edge 52a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mill 50 and the rotation shaft 51 as shown in FIG. 2. In other words, the cutting angle β is an angle formed by the direction d1 in which the cutting edge 52a extends and the direction d2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shaft 51 as shown in FIG. 2.

엔드밀(50)의 직경 φ(절삭날의 회전에 의해 그려지는 최대 직경)은, 예컨대 3 mm 이상이며, 5 mm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30 mm 이하여도 좋고, 10 mm 이하여도 좋고, 6 mm 이하여도 좋다. The diameter φ (maximum diameter drawn by rotation of the cutting edge) of the end mill 50 is, for example, 3 mm or more, 5 mm or more, and may be 30 mm or less, 10 mm or less, or 6 mm. It may be as follows.

상기 엔드밀(50)을 이용하여 원료 편광판(30)의 절삭 가공을 행하여 편광판(10)을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예컨대, 절삭 장치의 배치대에 배치된 원료 편광판(30)을 클램프 등의 고정 기구에 의해 고정하고, 엔드밀(50) 또는 배치대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엔드밀(50)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절삭 가공을 행한다.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한 엔드밀(50)의 상대 이동은, 예컨대, 도 3의 (a)∼(d) 및 도 4의 (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할 수 있다. 도 3의 (a)∼(d) 및 도 4의 (a)∼(c)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상면도이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10 by cutting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using the end mill 50, for example,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disposed on the mounting table of the cutting device is fixed with a clamp or the like. By fixing by and moving the end mill 50 or the mounting table, cutting is performed while moving the end mill 50 relative to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end mill 50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s perform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 to (d) and Figs. 4 (a) to (c). I can. 3A to 3D and 4A to 4C are schematic top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편광판(10)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 및 사이즈로 절취된 원료 편광판(30)을 준비하는 공정을 행한다. 도 3의 (a)에서는, 한 변에 오목한 형상의 절결부(31)가 형성된 장방형상의 원료 편광판(30)을 도시하고 있다. 이 원료 편광판(30)은, 예컨대, 펀칭 가공이나 절단 가공 등에 의해 장방형상으로 절취된 절취편의 한 변에, 펀칭 가공이나 절단 가공 등을 더 행하여 절결부(31)를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원료 편광판(30)은, 1회의 펀칭 가공 또는 1회의 절단 가공에 의해, 절결부(31)를 갖는 형상으로 절취되어도 좋다.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10, first, as shown in Fig. 3A, a step of preparing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is performed. In Fig. 3A, a rectangular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n which a concave cutout 31 is formed on one side is shown. This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can be obtained by forming the cutout 31 by further performing punching or cutting on one side of the cutout piece cut into a rectangular shape by, for example, punching or cutting.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may be cut into a shape having the notch 31 by one punching process or one cutting process.

다음으로,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엔드밀(50)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절삭 가공을 하는 공정(이하, 공정 [A]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행한다. 공정 [A]에서의 절삭 가공은,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엔드밀(50)의 절삭부(52)를 원료 편광판(30)의 단부면에 접촉시켜 행할 수 있다. 원료 편광판(30)의 단부면은, 원료 편광판(30)의 두께 방향(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면이다. 공정 [A]를 행하는 것에 의해, 원료 편광판(30) 절결부(31)의 영역에, 편광판(10)의 오목부(11)를 형성하고(공정 [a]), 절결부(31) 이외의 영역에, 편광판(10)의 오목부(11) 이외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형성(공정 [b])할 수 있다. Next, a step of performing cutting while moving the end mill 50 relative to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step [A]) is performed. The cutting processing in step [A] can be performed by bringing the cutting portion 52 of the end mill 50 rotating around the rotation shaft 51 into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The end surfac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s a surfac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By performing the step [A],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is formed in the region of the cutout 31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step [a]), and other than the cutout 31 In the region, a peripheral edge portion other than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can be formed (step [b]).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예컨대 도 3의 (a)∼(c) 중에 블록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엔드밀(50)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절삭 가공을 행하는 것에 의해, 도 3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11) 이외의 편광판(10)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공정 [b]를 행한다. 공정 [b]는, 도 3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 편광판(30)의 모서리부를 면취하도록 절삭 가공을 행하여 둥근 모서리 형상(라운딩된 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공정 [b]에 연속하여 절삭 가공을 더 행하는 것에 의해, 도 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1)를 형성하는 공정 [a]를 행할 수 있다. 공정 [a]는, 오목부(11)를 형성함과 더불어, 오목부(11)의 모서리부를 면취하도록 절삭 가공을 행하여 둥근 모서리 형상(라운딩된 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by performing cutting with respect to the peripheral edg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for example, by moving the end mill 50 relative to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block arrow in FIGS. 3A to 3C. , As shown in FIGS. 3B and 3C, a step [b] of forming a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10 other than the concave portion 11 is performed. Step [b], as shown in Fig. 3 (b) and (c), includes a step of forming a rounded corner shape (rounded shape) by performing a cutting process to chamfer the corners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 can. By further performing cutting processing in succession to this step [b], the step [a] of forming the concave portion 11 as shown in Fig. 3D can be performed. The step [a] may include a step of forming the concave portion 11 and forming a rounded corner shape (rounded shape) by performing a cutting process so as to chamfer the corner of the concave portion 11.

공정 [a]는, 원료 편광판(30)에서 오목부(11)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하여 절삭 가공을 하는 공정이며, 이 공정 [a]를 1회 이상 행하는 것에 의해 오목부(11)를 형성한다. 공정 [a]에서의 절삭 가공은, 1회당의 절삭 폭이 150 μm 이하가 되도록 행한다. 절삭 폭은, 원료 편광판(30)에 관해, 절삭 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윤곽과 절삭 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윤곽을 동심형으로 중합시켰을 때의, 절삭 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각 위치(둘레 가장자리부 상의 각 점)와 절삭 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각 위치(둘레 가장자리부 상의 각 점) 사이의 최단 거리이다. 절삭 폭은, 140 μm 이하여도 좋고, 120 μm 이하여도 좋고, 100 μm 이하여도 좋다. 절삭 폭은 통상 10 μm 이상이며, 20 μm 이상이어도 좋다. Step [a] is a step of cutting a region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11 is formed in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and the concave portion 11 is formed by performing this step [a] one or more times. . The cutting process in step [a] is performed so that the cutting width per one time is 150 μm or less. The cutting width is, with respect to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each position (each point on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circumferential edge before cutting when the contour of the circumferential edge before cutting and the outline of the circumferential edge after cutting are concentrically superimposed. It is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each position (each point on the circumferential edge) after cutting. The cutting width may be 140 μm or less, 120 μm or less, and 100 μm or less. The cutting width is usually 10 μm or more, and may be 20 μm or more.

공정 [a]는, 절삭 폭이 상기 범위 내라면 몇회 행해도 좋다. 공정 [a]는, 양호한 절삭 단부면을 형성하고, 절삭 가공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관점에서, 2회 이상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회 이상 행해도 좋고, 또한, 통상 10회 이하이며, 5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tep [a] may be performed several times as long as the cutting width is within the above range. Step [a] is preferably performed two or more times, and may be performed three or more times, and is usually 10 or less, and 5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forming a good cutting end surface and efficiently performing cutting. desirable.

공정 [a]를 2회 이상 행하는 경우, 어느 회에서도 절삭 폭을 150 μm 이하로 하면 되며, 각 회에서의 절삭 폭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공정 [a]를 2회 이상 행하는 경우는, 예컨대, 먼저 절삭 폭이 큰 절삭 가공을 행한 후, 절삭 폭이 작은 절삭 가공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In the case of performing step [a] two or more times, the cutting width may be 150 μm or less at any time, and the cutting width at each tim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the case where the step [a] is performed twice or more, for example, first, cutting with a large cutting width may be performed, and then cutting with a small cutting width may be performed.

상기와 같이, 편광판(10)의 제조 방법에서는, 오목부(11)를 형성하기 위해 행하는 절삭 가공에서의 1회당의 절삭 폭을 작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편광판(10)의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오목부(11)의 주변에 긴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크랙이란, 편광판(10)의 외면 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또는 관통하지 않는 깨진 금이며, 이 깨진 금의 사이가 완전히 벌어져 있는 것을 말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10, the cutting width per one cut in the cutting performed to form the concave portion 11 is reduced. Thereb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long cracks around the concave portion 11 by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of the polarizing plate 10. A crack is a cracked gold penetrating or not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0 or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means that the gap between the cracked cracks is completely open.

상기 크랙은,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한 편광판의 수축에 의해, 편광판(10)의 표면이나 편광판(10)의 내부에 존재하는 후술하는 크레이즈(편광판(10)의 표면이나 내부의 작은 균열)를 기점으로 발생한다고 추측된다. 특히, 편광판(10)의 오목부(11)에서는,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한 편광판의 수축이나 팽창에 의해 응력이 집중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크레이즈를 기점으로 오목부(11)의 주변에 긴 크랙이 생기기 쉽다고 추측된다. The cracks originate from crazes (small cracks in the surface or inside of the polarizing plate 10)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0 or inside the polarizing plate 10 due to shrinkage of the polarizing plate by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It is presumed to occur. In particular, in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since stress tends to be concentrated due to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olarizing plate by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long cracks around the concave portion 11 starting from the craze. It is assumed that it is easy to occur.

이러한 점에서,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한 긴 크랙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편광판(10)의 오목부(11)의 주변에 발생하는 크레이즈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크레이즈는, 펀칭 가공, 절단 가공 또는 절삭 가공 등에서, 원료 편광판(30)에 부여되는 부하에 의해 발생한다고 추측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절삭 가공에서의 1회당의 절삭 폭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원료 편광판(30)의 절삭 가공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절삭 가공의 1회당의 절삭 폭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절삭 가공에 따라 편광판에 축적되는 부하의 양도 상대적으로 저감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공정 [a]와 같이 절삭 가공을 행하는 것에 의해, 편광판(10)의 오목부(11)의 주변에 발생하는 크레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고 추측된다. 그 결과, 1회당의 절삭 폭을 작게 하여 오목부(11)를 형성한 편광판(10)에서는,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한 긴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From this point of view, in orde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long cracks due to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ress the craze generated around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It is estimated that craze is generated by a load applied to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n punching, cutting, cutting,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it is considered that cutting resistance generated by cutting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can be made relatively small by reducing the cutting width per cut in cutting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amount of the load accumulated on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cutting process can also be relatively reduced by reducing the cutting width per one cutting process.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estimated that the craze generated around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can be suppressed by performing the cutting process as in the above-described step [a]. As a result, in the polarizing plate 10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11 is formed by reducing the cutting width per shot, it is considered that the occurrence of long cracks due to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can be suppressed.

특히, 오목부(11)를 갖는 편광판(10)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의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것이 상정되며, 오목부(11)의 영역에는, 수화구, 스피커, 카메라 렌즈, 각종 센서 등이 배치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에서는, 표시 영역의 확대나 디자인성의 관점에서 프레임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이 진행되고 있다. 그 때문에, 비교적 넓은 프레임을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프레임에 의해 은폐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 길이의 크랙이라 하더라도, 프레임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이 도모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영역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한 긴 크랙의 발생이 억제된 편광판(10)은, 프레임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이 진행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assumed that the polarizing plate 10 having the concave portion 11 is used for a displa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and in the area of the concave portion 11, a receiver, a speaker, a camera lens, and various kinds of A sensor or the like is placed. In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reducing the width of the frame from the viewpoint of enlargement of the display area and design is in progress. Therefore, in a display device having a relatively wide frame, even if it is a crack of a length that does not cause a problem because it is concealed by a frame, in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width of the frame is reduced, it adversely affects the display area. There is.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ing plate 10 in which the occurrence of long cracks due to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is suppressed can be suitably used for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in which the width of the frame has been reduced.

도 3의 (a)∼(d)와 같이 절삭 가공을 행하여 오목부(11)가 형성된 원료 편광판(30)은, 예컨대 도 4의 (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삭 가공을 더 하는 것에 의해, 편광판(10)을 제조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의 (a)∼(d)에 도시하는 공정에서 절삭 가공되지 않은 원료 편광판(30)의 단부에 대하여, 원료 편광판(30)의 단부면에,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엔드밀(50)의 절삭부(52)를 접촉시키고,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도 4의 (a) 중에 블록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엔드밀(50)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절삭 가공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11) 이외의 편광판(10)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공정 [b]를 행한다. 공정 [b]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 편광판(30)의 모서리부를 면취하도록 절삭 가공을 행하여 둥근 모서리 형상(라운딩된 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11)가 형성된 편광판(10)을 얻을 수 있다(도 4의 (c)).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11 is formed by cutting as shown in FIGS. 3A to 3D is further subjected to cutt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A to 4C. By doing so, the polarizing plate 10 can be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4(a),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not cut in the steps shown in Figs. 3 (a) to (d), on the end surfac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The cutting portion 52 of the end mill 50 rotating around the rotation shaft 51 is brought into contact, and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s in a direction indicated by a block arrow in FIG. 4A. Cutting is performed while the end mill 50 is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Thereby, as shown in FIG. 4(b), the process [b] of forming the peripheral edge part of the polarizing plate 10 other than the concave part 11 is performed. The step [b] may include a step of forming a rounded corner shape (rounded shape) by performing a cutting process so as to chamfer the corners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as shown in FIG. 4B. Thereby, the polarizing plate 10 in which the concave part 11 was formed in the peripheral edge part shown in FIG. 1 can be obtained (FIG. 4(c)).

상기 공정 [b]에서의 1회당의 절삭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공정 [b]에서의 1회당의 절삭 폭은, 예컨대 150 μm 이하여도 좋고, 150 μm 초과이어도 좋다. 공정 [b]에서의 1회당의 절삭 폭은, 공정 [b]의 전 또는 후에 행해지는 공정 [a]와 동일해도 좋다. The cutting width per one in the step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cutting width per shot in step [b] may be, for example, 150 μm or less, or may be more than 150 μm. The cutting width per one in the step [b] may be the same as the step [a]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step [b].

공정 [b]는, 1회 또는 2회 이상 행할 수 있다. 공정 [b]는, 양호한 절삭 단부면을 형성하고, 절삭 가공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관점에서, 통상 2회 이상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회 이상 행해도 좋고, 통상 10회 이하이며, 5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b]를 행하는 횟수는, 공정 [b]의 전 또는 후에 행해지는 공정 [a]와 동일해도 좋다. Step [b] can be performed once or twice or more. Step [b] is usually preferably performed twice or more, may be performed 3 or more times, and is usually 10 or less, preferably 5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forming a good cutting end surface and efficiently performing cutting. Do. The number of times the step [b] is performed may be the same as the step [a]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step [b].

상기 공정 [A]의 절삭 가공에서, 엔드밀(50)의 회전 방향과 엔드밀(50)의 상대 이동 방향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의 (a) 및 (b)는, 엔드밀의 회전 방향과 상대 이동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절삭 가공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 편광판(30)의 단부면과 엔드밀(50)의 절삭부(52)의 접촉 부분에서의 엔드밀(50)의 회전 방향(도면 중 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은,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한 엔드밀(50)의 상대 이동 방향(도면 중 블록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과 동일해지는, 소위 업방향이어도 좋고, 그 반대의 다운방향이어도 좋다. 다운방향이란,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 편광판(30)의 단부면과 엔드밀(50)의 절삭부(52)의 접촉 부분에서의 엔드밀(50)의 회전 방향(도면 중 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이,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한 엔드밀(50)의 상대 이동 방향(도면 중 블록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과 반대가 되는 방향을 말한다. 오목부(11)의 주변에 발생하는 크랙의 길이를 짧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공정 [a]는, 엔드밀(50)의 회전 방향을 업방향으로 하여 절삭 가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utting process of the step [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nd mill 50 and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end mill 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end mill. In the cutting process, as shown in Fig. 5(a),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nd mill 50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end surfac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and the cutting portion 52 of the end mill 50 (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line arrow in the drawing) may be a so-called up direction, which becomes the same as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end mill 50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direction indicated by the block arrow in the drawing). It may be the opposite down direction. The down direction i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end mill 50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end surfac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and the cutting portion 52 of the end mill 50, as shown in FIG. 5(b) (Fig.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middle line arrow) refers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mill 50 moves relative to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a direction indicated by a block arrow in the drawing). From the viewpoint of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crack generated around the concave portion 11, the step [a] is preferably performed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end mill 50 as the up direction.

상기 공정 [A]의 절삭 가공에서, 엔드밀(50)의 회전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00 rpm 이상이며, 1000 rpm 이상이어도 좋고, 5000 rpm 이상이어도 좋고, 10000 rpm 이상이어도 좋고, 20000 rpm 이상이어도 좋다. 엔드밀(50)의 회전 속도는, 통상 60000 rpm 이하이며, 55000 rpm 이하여도 좋고, 50000 rpm 이하여도 좋다. 공정 [A]가 공정 [a] 및 공정 [b]를 포함하는 경우, 엔드밀(50)의 회전 속도는, 공정 [a]와 공정 [b]에서 서로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으며, 또한, 공정 [a] 및 공정 [b]를 행하는 중에 부분적으로 상이하게 해도 좋다. In the cutting of step [A],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d mill 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500 rpm or more, 1000 rpm or more, 5000 rpm or more, 10000 rpm or more, and 20000 rpm. It may be more than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d mill 50 is usually 60000 rpm or less, 55000 rpm or less, and 50000 rpm or less. When the step [A] includes the step [a] and the step [b],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d mill 5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the step [a] and the step [b], and further, the step You may make it partly different during performing [a] and process [b].

상기 공정 [A]의 절삭 가공에서, 원료 편광판(30)에 대한 엔드밀(50)의 상대 이동 속도(피드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0 mm/분 이상이며, 500 m/분 이상이어도 좋고, 1000 mm/분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통상 3000 mm/분 이하이며, 2500 mm/분 이하여도 좋고, 2000 mm/분 이하여도 좋다. 공정 [A]가 공정 [a] 및 공정 [b]를 포함하는 경우, 원료 편광판(30)에 대한 엔드밀(50)의 상대 이동 속도(피드 속도)는, 공정 [a]와 공정 [b]에서 서로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으며, 공정 [a] 및 공정 [b]를 행하는 중에 부분적으로 상이하게 해도 좋다. In the cutting of step [A], the relative moving speed (feed speed) of the end mill 50 with respect to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100 mm/min or more, even if it is 500 m/min or more. It may be 1000 mm/min or more, and it is usually 3000 mm/min or less, 2500 mm/min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2000 mm/min or less may be sufficient. When the step [A] includes the step [a] and the step [b], the relative movement speed (feed speed) of the end mill 50 with respect to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s the step [a] and the step [b] They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may be partially different during the process [a] and the process [b].

상기 공정 [A]는, 1장의 원료 편광판(30)으로 행해도 좋고, 2장 이상의 원료 편광판(30)을 적층하여 행해도 좋다. 원료 편광판(30)을 적층하는 경우, 적층 매수는 원료 편광판(30)의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10장 이상으로 할 수 있고, 20장 이상이어도 좋고, 30장 이상이어도 좋고, 40장 이상이어도 좋으며, 또한, 통상 100장 이하이며, 80장 이하여도 좋고, 60장 이하여도 좋다. The said step [A] may be performed with on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and may be performed by laminating two or mor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s 30. In the case of laminating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s 30,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s vari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s 30, but may be, for example, 10 or more, 20 or more, 30 or more, or 40 or more. , Moreover, it is usually 100 sheets or less, 80 sheets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60 sheets or less may be sufficient.

도 3의 (a)∼(d)에 도시하는 절삭 공정과 도 4의 (a)∼(c)에 도시하는 절삭 공정에서 이용하는 엔드밀(50)은, 서로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상이한 엔드밀(50)을 이용하는 경우, 엔드밀의 종류(절삭날의 형상, 절삭날의 방향이나 각도, 절삭날의 꼬임 방향이나 각도 등)가 상이해도 좋다. 또한, 도 3의 (a)∼(d)에 도시하는 절삭 공정과 도 4의 (a)∼(c)에 도시하는 절삭 공정에서, 각 절삭 공정에서의 절삭 조건(엔드밀의 회전수, 회전 속도, 상대 이동 속도, 엔드밀의 회전 방향, 상대 이동 방향 등)은, 서로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The end mills 50 used in the cutting process shown in FIGS. 3A to 3D and the cutting process shown in FIGS. 4A to 4C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different end mills 50 are used, the types of end mills (shape of the cutting edge, direction or angle of the cutting edge, twist direction or angle of the cutting edge, etc.) may be different. In addition, in the cutting process shown in Figs. 3 (a) to (d) and the cutting process shown in Figs. 4 (a) to (c), the cutting conditions (revolution speed and rotation speed of the endmill) in each cutting process , The relative movement spee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nd mill,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etc.)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3의 (a)∼(d) 및 도 4의 (a)∼(c)에 도시하는 편광판(10)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엔드밀(50)이 상대 이동하여 절삭 가공을 행하는 공정과(도 3의 (a)∼(d)),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엔드밀(50)이 상대 이동하여 절삭 가공을 행하는 공정(도 4의 (a)∼(c))을 행하는 것에 의해, 편광판(10)을 제조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일주하도록 엔드밀(50)이 상대 이동하여, 원료 편광판(30)의 절삭 가공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원료 편광판(30)의 절삭 가공의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도, 도 3의 (a) 및 (d)에 도시하는 위치나, 도 4의 (a) 및 (c)에 도시하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10 shown in FIGS. 3 (a) to (d) and FIGS. 4 (a) to (c), in FIGS. 3 and 4, along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A process in which the end mill 50 moves relative to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perform cutting (Fig. 3 (a) to (d)), and the end mill 50 in a clockwis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Although the polarizing plate 10 is manufactured by performing this relative movement and cutting process (FIG. 4(a)-(c)),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end mill 50 may move relative to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n a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and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may be cut. The starting and ending positions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are not limited to the positions shown in Figs. 3 (a) and (d) or the positions shown in Figs. 4 (a) and (c). , You can select an arbitrary location.

또한,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2개의 범위로 분할하여, 도 3의 (a)∼(d)에 도시하는 공정과, 도 4의 (a)∼(c)에 도시하는 공정에 의해 절삭 가공을 행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원료 편광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임의의 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에 대해 임의의 순서로 절삭 가공을 행해도 좋다. 이 경우도, 각 공정에서 이용하는 엔드밀(50)의 종류 및 각 공정에서의 절삭 조건은, 서로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또한, 각각의 범위에서의 절삭 가공을 2회 이상 행해도 좋다. Further, by dividing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nto two ranges, the process shown in Figs. 3 (a) to (d) and the process shown in Figs. 4 (a) to (c) are used. The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cutting process, and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may be divided into arbitrary ranges, and the cutting processing may be performed in an arbitrary order for each range. Also in this case, the type of the end mill 50 used in each process and the cutting conditions in each proces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cutting in each range may be performed two or more times.

(편광판)(Polarizing plate)

도 6은, 편광판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편광판(1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11)를 가지며, 예컨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자층(1)의 양면에 보호층(2, 3)을 갖는다. 편광판(10)은, 보호층(2, 3) 중의 한쪽만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편광자층(1)은,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이다. 보호층(2, 3)은, 편광자층(1)에 직접 접하도록 형성된 층이어도 좋고,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통해 형성된 층이어도 좋다. 편광판(10)은, 오목부(11)의 윤곽을 따르는 길이 5 mm의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30 μm의 위치 및 50 μm의 위치 중 어디에도 크레이즈가 존재하지 않는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polarizing plate. As shown in FIG. 1, the polarizing plate 10 has concave portions 11 at the circumferential edges in plan view.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protective layers 2 and 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1. ). The polarizing plate 10 may have only one of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The polarizer layer 1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may be a layer formed so as to directly contact the polarizer layer 1, or may be a layer formed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The polarizing plate 10 does not have a craze at any of the positions of 30 μm and 50 μm in the plane direction from the edge existing in an arbitrary range of 5 mm in length along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11.

상기 임의의 범위 내의 가장자리는, 편광판(10)의 오목부(11)의 윤곽을 따르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오목부(11)의 윤곽이 5 mm 이상에 걸쳐 직선형으로 되어 있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10)의 오목부(11)가 직선형 부분과 곡선형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범위 내의 가장자리는, 직선형 부분에서의, 곡선형 부분에 인접하는(이어지는) 측으로부터 5 mm의 길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edge within the above arbitrary ran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follows the outline of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11 is a portion in which the outline of the concave portion 11 is straight over 5 mm or more. When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includes a straight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the edge within the arbitrary range is 5 mm in length from the side adjacent (continuous) to the curved portion in the straight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n edge present in the range of.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판(10)의 오목부(11)의 윤곽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각각에 직선형 부분을 갖는 2개의 변(11a, 11c)과, 이 2개의 변(11a, 11c)을 연결하고 또한 직선형 부분을 갖는 1개의 변(11b)을 갖는 경우, 2개의 변 중의 한쪽 변(11a)과 1개의 변(11b)이 접하는 위치(11ab), 2개의 변 중의 다른쪽 변(11c)과 1개의 변(11b)이 접하는 위치(11bc) 및 이들의 근방에서, 습열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기 쉽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상기 임의의 범위 내의 가장자리는, 1개의 변(11b)의 직선형 부분에서, 2개의 변(11a, 11c) 중의 한쪽과 1개의 변(11b)이 접하는 측으로부터 5 mm의 길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개의 변(11b)의 직선형 부분이란, 도 1에 도시하는 편광판(10)과 같이, 오목부(11)가 둥근 모서리 부분을 갖는 경우, 2개의 변(11a, 11c) 중의 한쪽과 1개의 변(11b)이 접하는 부분이 포함되는 둥근 모서리 부분을 구성하는 곡선형 부분을 제외한 직선형의 부분이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contours of the concave portions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two sides 11a and 11c each having a linear portion, and the two When connecting the sides (11a, 11c) and having one side (11b) having a straight portion, the position where one of the two sides (11a) and one side (11b) meet (11ab), two side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ress by the moist heat heat shock test tends to be concentrated in the position 11bc where the other side 11c and one side 11b of the inside contact each other and in the vicinity thereof. Therefore, the edge within the above arbitrary range is in a range of 5 mm in length from the side where one of the two sides 11a and 11c and one side 11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raight portion of one side 11b. It is desirable to make it the edge that is present. The linear portion of one side 11b means one of the two sides 11a and 11c and one side when the concave portion 11 has a rounded corner portion, as in the polarizing plate 10 shown in FIG. 1. (11b) It is a straight part excluding the curved part constituting the rounded corner part including the part in contact with (11b).

오목부(11)의 윤곽은, 편광판(10)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오목부(11)의 윤곽을 형성하는 부분의 둘레 가장자리부 전체이다. 오목부(11)의 윤곽을 형성하는 부분과 오목부(11) 이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부분의 경계는, 상기 경계가 모서리부인 경우는 모서리부의 정점이며, 상기 경계가 둥근 모서리를 갖는 경우(모서리가 라운딩된 경우)는 둥근 모서리 부분의 윤곽 길이를 이등분하는 위치로 한다. 편광판(10)의 오목부(11)의 가장자리는, 편광판(10)의 오목부(11)에서의 단부면(두께 방향을 따르는 면) 중의 면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존재하는 부분의 가장자리를 말한다. 오목부(11)의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의 거리는, 상기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가 직선형인 경우에는, 평면시에서 직선형의 가장자리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거리이다. 상기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가 곡선형인 경우에는, 곡선형의 가장자리의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위치를 통과하는 접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거리를, 오목부(11)의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의 거리로 한다.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11 is the entir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a portion of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10 that forms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11. The boundary between the portion forming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11 and the portion forming the contour of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ther than the concave portion 11 is a vertex of the corner portion when the boundary is a corner portion, and the boundary has a rounded corner. In the case (when the corner is rounded), the length of the contour of the rounded corner is divided into two. The edge of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refers to the edge of a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that is the outermost part of the end face (a surfac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plane direction. The distance in the plane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concave portion 11 is a distan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aight edge in plan view when the edge existing in the arbitrary range is linear. When the edge existing in the arbitrary range is curved, the distanc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angent line passing through the position at each position of the curved edge is measured in the plane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concave portion 11. Let it be the distance.

크레이즈는, 상기와 같이, 편광판(10)의 표면이나 내부의 작은 균열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광판(10)은 편광자층(1) 및 보호층(2, 3) 이외의 층을 갖고 있어도 좋지만, 편광판(10)의 크레이즈란, 편광자층(1) 및 보호층(2, 3)에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크레이즈는, 편광판(10)의 단면에서, 예컨대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찰된다. 도 7의 (a) 및 (b)는, 편광판(10)의 단면을 주사형 레이저 현미경으로 관찰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편광판(10)의 단면에 크레이즈가 존재하는 경우의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고, 크레이즈는, 도 7의 (a) 중의 파선으로 포위하여 나타내는 부분에 존재한다. 이것에 대하여, 편광판(10)의 단면에 크레이즈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의 (a)에 파선으로 포위하여 나타내는 것 같은 부분은 확인되지 않는다. The craze is a small crack on the surface or inside of the polarizing plate 10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later, the polarizing plate 10 may have layers other than the polarizer layer 1 and the protective layers 2, 3, but the craze of the polarizing plate 10 means the polarizer layer 1 and the protective layer 2, It refers to what exists in 3). The craze is observ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images obtained by observing the cross s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10 with a scanning laser microscope. FIG. 7A shows an example of an image when craze exist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10, and the craze exists in a portion surrounded by a broken line in FIG. 7A. On the other hand, when craze does not exist in the cross-s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10, as shown in FIG. 7(b), the part which is surrounded by a broken line in FIG. 7(a) is not recognized.

편광판(10)은, 상기 오목부(11)의 윤곽을 따르는 길이 5 mm의 임의의 범위에서, 상기와 같이,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30 μm의 위치 및 50 μm의 위치 중 어디에도 크레이즈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편광판(10)은,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10 μm의 위치에, 크레이즈가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크레이즈가 존재하지 않아도 좋다. Polarizing plate 10, in an arbitrary range of 5 mm in length along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11, as described above, of a position of 30 μm and a position of 50 μm in the plane direction from the edge existing in the arbitrary range. Craz is nowhere to be found. In addition, in the polarizing plate 10, a craze may or may not be present at a position of 10 μm in the plane direction from an edge existing in an arbitrary range.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발생하는 긴 크랙은, 편광판(10)에 존재하는 크레이즈를 기점으로, 오목부(11)의 가장자리의 방향 및 이 가장자리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발생하기 쉽다고 추측된다. 이러한 점에서, 편광판(10)의 오목부(11)의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보다 떨어진 위치에 크레이즈가 존재하면,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발생하는 크랙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편광판(10)이 오목부(11)의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30 μm의 위치 및 50 μm의 위치에 크레이즈를 갖지 않는 것에 의해,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편광판(10)에 긴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편광판(10)이 오목부(11)의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10 μm의 위치에 크레이즈가 존재하더라도,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발생하는 크랙은 짧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의 표시 영역에 악영향을 미치기 어렵다고 생각되지만, 편광판(10)이 오목부(11)의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10 μm의 위치에도 크레이즈는 존재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It is estimated that long cracks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tend to occu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concave portion 11 and the direction of the edge, starting from the craze existing in the polarizing plate 10.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considered that if the craze is present at a position further away from the edge of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in the plane direction, the length of the crack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becomes relatively long.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larizing plate 10 does not have a craze at a position of 30 μm and a position of 50 μm from the edge of the concave portion 11 in the plane direction, the polarizing plate 10 is subjected to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It is thought that the occurrence of long cracks can be suppressed.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craze exists at a position of 10 μm in the plane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it is considered that the crack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is shor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difficult to adversely affect the display area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craze does not exist even at a position of the polarizing plate 10 10 μm in the plane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concave portion 11. Do.

도 8의 (a) 및 (b)는, 편광판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편광판(10)의 평면시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적어도 한 변에 오목부(11)를 갖는 방형상이나 모서리가 둥근 방형상이어도 좋다. 모서리가 둥근 방형상이란, 도 1, 도 8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형상에서 4개의 모서리 중 1개 이상(예컨대 4개의 모서리 전부)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둥근 모서리 형상으로 되어 있는 형상이다. 방형상이란, 장방형상 또는 정방형상이다. 편광판(10)의 평면시 형상은, 방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방형상 이외의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이어도 좋다. 8A and 8B are schematic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larizing plate. The shape of the polarizing plate 10 in plan view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it may be a square shape having a concave portion 11 on at least one side or a square shape with rounded corners. A square shape with rounded corners is a rounded corner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t least one of the four corners (for example, all four corners) in a square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8 (a) and (b). It is a shape that is in shape. The square shape is a rectangle shape or a square shape. The planar shape of the polarizing plate 10 is not limited to a square shape, and may be polygonal, circular, or elliptical other than a square shape.

편광판(10)의 오목부(11)는, 평면시에서 편광판(1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1 이상 가질 수 있다. 편광판(10)의 평면시 형상이, 도 1, 도 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방형상인 경우, 그 적어도 한 변에 1 이상의 오목부(11)를 가질 수 있고, 예컨대 짧은 변 중의 한 변에 오목부(11)를 가질 수 있다. 오목부(11)는, 한 변에 2 이상을 갖고 있어도 좋고, 2 이상의 변에 각각 1 이상의 오목부(11)를 갖고 있어도 좋다. One or more concave portions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may be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polarizing plate 10 in plan view. When the shape of the polarizing plate 10 in plan view is a square shape with rounded corners as shown in FIGS. 1 and 8 (a) and (b), it may have one or more concave portions 11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And, for example, one of the short sides may have a concave portion 11. The concave portions 11 may have two or more on one side, and may have one or more concave portions 11 on two or more sides, respectively.

편광판(10)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편광판(10)이 장방형상인 경우, 예컨대, 짧은 변의 길이를 30 mm 이상 90 mm 이하로 할 수 있고, 긴 변의 길이를 30 mm 이상 170 mm 이하로 할 수 있다. The size of the polarizing plate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the polarizing plate 10 has a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may be 30 mm or more and 90 mm or less,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may be 30 mm or more and 170 mm or less. I can.

편광판(10)의 오목부(1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이어도 좋고,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자 형상이어도 좋고,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자 형상이어도 좋다. 오목부(11)가 사각형상인 경우, 장방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정방형상이어도 좋다. 오목부의 모서리부는 면취된 둥근 모서리 형상이어도 좋다. 도 8의 (b)와 같이, V자 형상의 오목부(11)의 꼭대기부(면방향으로 가장 들어간 부분)가 면취되어 있어도 좋다. 도시하지 않지만, 편광판(10)의 오목부(11)의 형상은, 사다리꼴, 원호형상, 사각형이나 삼각형 이외의 다각형상이어도 좋다. 오목부(11)의 형상은, 도 1, 도 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면 중의 좌우 방향에서 대칭이어도 좋고, 비대칭이어도 좋다. 오목부(11)의 윤곽은, 직선형 부분 및 곡선형 부분 중의 하나로 형성되어도 좋고, 직선형 부분 및 곡선형 부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 square shape may be sufficient, as shown in FIG. 8(a), a U shape may be sufficient, and as shown in FIG. 8(b), a V shape may be sufficient. When the concave portion 11 has a rectangular shape, it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a square shape. The concave portion may have a chamfered rounded corner shape. As shown in Fig. 8(b), the top portion (the portion most recessed in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V-shaped concave portion 11 may be chamfered. Although not shown,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may be a trapezoid, an arc shape, or a polygonal shape other than a square or a triangle.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1 may be symmetrical or asymmetric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S. 1 and 8A and 8B.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11 may be formed into one of a straight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and may include both a straight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도 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1)가 U자 형상 및 V자 형상인 경우, 상기 오목부(11)의 윤곽을 따르는 길이 5 mm의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는, 오목부(11)의 직선형 부분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선형 부분에서의 곡선형 부분에 인접하는(이어지는) 쪽으로부터 5 mm의 길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하는 편광판(10)에서는, 오목부(11)의 꼭대기부(면방향으로 가장 들어간 부분)를 포함하는 곡선형 부분에 인접하는 직선형 부분에서, 곡선형 부분에 인접하는 측으로부터 5 mm의 길이의 범위(예컨대, 도면 중 파선으로 둘러싸는 부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로 할 수 있다. 8A and 8B, when the concave portion 11 is U-shaped and V-shaped, it exists in an arbitrary range of 5 mm in length along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edge is a part of the straight part of the concave part 11,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n edge which exists in the range of a length of 5 mm from the side adjacent (continuous) to the curved part in the straight part. Specifically, in the polarizing plate 10 shown in FIGS. 8A and 8B, a straight portion adjacent to a curved portion including the top portion (the portion most recessed in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11 In this case, the edge may be set to exist in a range of 5 mm in length from the side adjacent to the curved portion (eg, a portion surrounded by a broken line in the drawing).

편광판(10)의 오목부(11) 내부에 형성되는 모서리부는, 면취되어 둥근 모서리 형상(라운딩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11) 내부에 형성되는 모서리부란, 오목부(11)에 형성되는 모서리부 중, 오목부(11)의 윤곽과 오목부(11) 이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경계 부분 이외에 존재하는 모서리부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편광판(10)에서는, 위치(11ab) 및 위치(11bc)를 둥근 모서리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11) 내부의 모서리부를 둥근 모서리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부분에서의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오목부(11)의 윤곽과 오목부(11) 이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경계 부분의 모서리부도, 면취되어 둥근 모서리 형상(라운딩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ner portion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is chamfered to have a rounded corner shape (rounded shape). The corner portion formed inside the concave portion 11 is a corner portion that exists outside of the outline of the concave portion 11 and a boundary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edge other than the concave portion 11 among the corner portion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11. Specifically, in the polarizing plate 10 shown in FIG. 1,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position 11ab and the position 11bc a rounded corner shape. By making the corner part inside the concave part 11 into a rounded corner shape, it becomes easy to suppress the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a crack by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in the said part. The outline of the concave portion 11 and the edge portion of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ther than the concave portion 11 may also be chamfered and have a rounded corner shape (rounded shape).

편광판(10)의 오목부(11)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오목부(11)가 형성된 변을 따르는 방향의 최대 길이(도 1, 도 8의 (a) 및 (b) 중의 w로 나타내는 거리)는, 예컨대 3 mm 이상 160 mm 이하로 할 수 있다. 오목부(11)의 최대 깊이(오목부(11)가 형성된 변에 직교하는 방향, 도 1, 도 8의 (a) 및 (b) 중의 d로 나타내는 거리)는, 예컨대 0.5 mm 이상 160 mm 이하로 할 수 있다. The size of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polarizing plate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maximum length in the direction along the side where the concave portion 11 is formed (indicated by w in FIGS. 1 and 8 (a) and (b)) The distance) can be, for example, 3 mm or more and 160 mm or less. The maximum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11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ide where the concave portion 11 is formed, the distance indicated by d in FIGS. 1 and 8 (a) and (b)) is, for example, 0.5 mm or more and 160 mm or less. It can be done with.

상기와 같이, 편광판(10)은, 편광자층(1)의 한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2, 3)을 갖는다. 편광판(10)이 편광자층(1)의 양면에 보호층(2, 3)을 갖는 경우, 그 단부에서, 편광자층(1)의 양면에 형성된 2개의 보호층(2, 3) 사이에는 편광자층(1)이 개재해 있어도 좋지만(도 6), 편광자층(1)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중합되어 있어도 좋고, 2개의 보호층(2, 3)이 융착되어 있어도 좋다.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ing plate 10 has protective layers 2 and 3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1. When the polarizing plate 10 has protective layers 2 and 3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1, at the end of the polarizer layer 1, a polarizer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two protective layers 2 and 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1 Although (1) may be interposed (FIG. 6), it may be directly polymerized without interposing the polarizer layer 1, and the two protective layers 2 and 3 may be fused.

편광판(10)은, 추가로, 보호층(2, 3)의 편광자층(1)과는 반대측에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점착제층의 보호층(2, 3)과는 반대측에 추가로 박리 필름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점착제층 및 박리 필름은, 편광판(10)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예컨대, 편광판(10)을,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가 갖는 화상 표시 소자에 접합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박리 필름은, 점착제층을 피복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점착제층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다. The polarizing plate 10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er layer 1 of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and additionally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release film may be provid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eeling film can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plate 1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used, for example, to bond the polarizing plate 10 to an image display element included in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The release film is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can be peel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편광판(10)은, 추가로, 보호층(2, 3)의 편광자층(1)과는 반대측에 광학 기능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광학 기능층은, 편광판(10)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할 수 있다. 편광판(10)이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경우, 광학 기능층은, 편광판(10)의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도 좋고, 편광판(10)과 점착제층 사이에 형성되어도 좋다. The polarizing plate 10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functional lay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er layer 1 of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can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plate 10. When the polarizing plate 10 h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may be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olarizing plate 10 is formed, or may be formed between the polarizing plate 10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편광판(10)은, 보호층(2, 3)의 편광자층(1)과는 반대측에 프로텍트 필름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프로텍트 필름은, 편광판(10)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나, 편광판(10)의 제조나 수송에서, 편광판(10)의 표면에 상처나 오염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형성된다. 편광판(10)이 광학 기능층을 갖는 경우, 프로텍트 필름은 광학 기능층의 편광자층(1)꽈는 반대측에 형성된다. 프로텍트 필름은 편광판(10)의 표면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다. The polarizing plate 10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ve film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er layer 1 of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The protective film is formed in order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scratches or contamination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0 in manufacturing a product using the polarizing plate 10 or manufacturing or transporting the polarizing plate 10. When the polarizing plate 10 has an optical functional layer, the protective film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larizer layer 1 of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The protective film can be peeled off from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0.

편광판(10)은,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소자에 적층되어 이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패널의 한쪽 표면에 편광판(10)을 적층해도 좋고, 액정 패널의 양면에 편광판(10)을 적층해도 좋다. 편광판(10)을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편광판(10)은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통해 화상 표시 소자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larizing plate 10 can be used by being laminated on an image display element of a display device. Examples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polarizing plate 10 may be laminated on one surface of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liquid crystal cell, or the polarizing plate 10 may be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When applying the polarizing plate 10 to a display device, the polarizing plate 10 is preferably lamin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원료 편광판)(Raw material polarizer)

원료 편광판(30)은 편광판(10)을 얻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료 편광판(30)은, 펀칭 가공이나 절단 가공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 및 사이즈로 절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료 편광판(30)에 대하여, 예컨대 상기 공정 [A]에 의한 절삭 가공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편광판(10)을 얻을 수 있다.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s used to obtain the polarizing plate 10. As described above,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s preferably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by punching, cutting, or the like. With respect to such a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for example, the polarizing plate 10 can be obtained by performing a cutting process in the above-described step [A].

원료 편광판(30)은, 편광자층의 한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갖는다. 편광자층은,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이다. 보호층은, 편광자층에 직접 접하도록 형성된 층이어도 좋고,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통해 형성된 층이어도 좋다. 원료 편광판(30)은 통상, 원료 편광판(30)의 절삭 가공에 의해 편광판(10)을 얻기 위해, 편광판(10)과 동일한 층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료 편광판(30)은 그 한면 또는 양면에, 편광판(10)이 구비하고 있어도 좋은 상기 점착제층, 광학 기능층, 프로텍트 필름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원료 편광판(30)이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점착제층의 편광자층과는 반대측에 박리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has a protective layer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The polarizer layer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The protective layer may be a layer formed so as to directly contact the polarizer layer, or may be a layer formed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In general,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preferably has the same layer structure as the polarizing plate 10 in order to obtain the polarizing plate 10 by cutting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Therefore,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may be provided with the aforementio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 optical functional layer, a protective film, etc. which may be provided in the polarizing plate 10 on one or both sides thereof. When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s provide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a release film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pposite to the polarizer layer.

원료 편광판(30)의 평면시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료 편광판(30)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편광판(10)의 형상과 대략 비슷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10)은 오목부(11)를 갖고 있기 때문에, 원료 편광판(30)도, 예컨대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한 형상의 절결부(3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편광판(30)의 모서리부나 절결부(31)의 모서리부는, 모두 면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The shap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in plan view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y a shap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shape of the polarizing plate 10 manufactured using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Since the polarizing plate 10 has the concave portion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also has a concave-shaped notch 3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A. The corner portions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and the corner portions of the cutout portions 31 may not be chamfered.

원료 편광판(30)은, 예컨대, 장척의 띠형상의 편광자층과 장척의 띠형상의 보호층을 접합한 장척의 띠형상의 적층체를 얻고, 이 적층체로부터, 상기 공정 [A]에서의 절삭 가공을 하기 쉬운 사이즈로 절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원료 편광판(30)의 절취는, 펀칭 가공이나 절단 가공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절단 가공에는, 날붙이나 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다. 원료 편광판(30)이 오목한 형상의 절결부(31)를 갖는 경우, 상기 적층체로부터 소정 사이즈로 절취된 적층체에, 펀칭 가공이나 절단 가공에 의해 절결부(31)를 형성해도 좋고, 상기 적층체의 펀칭 가공이나 절단 가공에 의해, 절결부(31)를 갖는 원료 편광판(30)을 얻어도 좋다.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for example, obtains a long strip-shaped laminate obtained by bonding a long strip-shaped polarizer layer and a long strip-shaped protective layer, and cuts from the laminate in the step [A]. It can be obtained by cutting it into a size that is easy to process. The cutting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can be performed by punching or cutting. For cutting processing, a blade or a laser can be used. When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has a concave cutout 31, a cutout 31 may be formed on the laminate cut to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laminate by punching or cutting, and the above laminated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having the cutout 31 may be obtained by punching or cutting a sieve.

이하, 편광판(10) 및 원료 편광판에 이용되는 각 층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layer used for the polarizing plate 10 and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편광자층)(Polarizer layer)

편광자층(1)은, 연신, 염색 및 가교 등의 공정에 의해 제작된,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필름형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PVA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층(1)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지만, 예컨대 다음 순서로 제작할 수 있다. The polarizer layer 1 is preferably a film-typ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PVA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produced by processes such as stretching, dyeing and crosslinking. The polarizer layer 1 can be produced by a known method, but can be produced,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procedure.

우선, PVA 필름을, 일축 방향 또는 이축 방향으로 연신한다. 일축 방향으로 연신된 편광자층(1)의 이색비는 높은 경향이 있다. 연신에 이어서, 염색액을 이용하여, PVA 필름을 요오드, 이색성 색소(폴리요오드) 또는 유기 염료에 의해 염색한다. 염색액은, 붕산, 황산아연 또는 염화아연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염색 전에 PVA 필름을 수세해도 좋다. 수세에 의해, PVA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오염 및 블로킹 방지제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세에 의해 PVA 필름이 팽윤된 결과, 염색 얼룩(불균일한 염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염색 후의 PVA 필름을, 가교를 위해, 가교제의 용액(예컨대 붕산의 수용액)으로 처리한다. 가교제에 의한 처리 후, PVA 필름을 수세하고, 이어서 건조시킨다. 이상에 의해 편광자층(1)을 얻을 수 있다. First, a PVA film is stretched in a uniaxial direction or a biaxial direction. The dichroic ratio of the polarizer layer 1 stretched in the uniaxial direction tends to be high. Following stretching, using a dyeing solution, the PVA film is dyed with iodine, a dichroic dye (polyiodine), or an organic dye. The dyeing solution may contain boric acid, zinc sulfate, or zinc chloride. You may wash the PVA film with water before dyeing. By washing with water, the contamination and blocking agent can be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PVA film.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PVA film swelling by washing with wat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uneven dyeing (uneven dyeing). For crosslinking, the dyed PVA film is treated with a solution of a crosslinking agent (for example,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fter treatment with a crosslinking agent, the PVA film is washed with water and then dried. The polarizer layer 1 can be obtained by the above.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예컨대,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또는, 아세트산비닐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하는 다른 단량체로는, 에틸렌 외에,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또는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알데히드류로 변성되어 있어도 좋다.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컨대,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폴리비닐부티랄이어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 또는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의 폴리엔계 배향 필름이어도 좋다. The polyvinyl alcohol (PVA)-based resin is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or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eg,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Other monomers copolymerized with vinyl acetate include, in addition to ethylen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or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modified with aldehydes. The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for example, partially formalized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cetal, or polyvinyl butyral.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a polyene-based oriented film such as a dehydration treatment product of polyvinyl alcohol or a dehydrochloric acid treatment product of polyvinyl chloride.

상기에서 이용한 PVA 필름은, 연신 전에 염색을 행해도 좋고, 염색액 중에서 연신을 행해도 좋다. 연신된 편광자층(1)의 길이는, 예컨대 연신 전의 길이의 3∼7배로 할 수 있다. The PVA film used above may be dyed before stretching, or may be stretched in a dyeing solution. The length of the stretched polarizer layer 1 can be, for example, 3 to 7 times the length before stretching.

편광자층(1)의 두께는, 예컨대 1 μm 이상으로 할 수 있고, 3 μm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통상 50 μm 이하이며, 15 μm 이하여도 좋다. 편광자층(1)의 두께가 작을수록 온도 변화에 따르는 편광자층(1) 자체의 수축 또는 팽창이 억제되고, 편광자층(1) 자체의 치수의 변화가 억제된다. 그 결과, 수축이나 팽창에 따르는 응력이 편광자층(1)에 작용하기 어렵고,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편광자층(1)에 발생하는 크랙이 억제되기 쉽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yer 1 can be, for example, 1 μm or more, 3 μm or more, and usually 50 μm or less, and 15 μm or less. A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yer 1 decreases,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olarizer layer 1 itself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is suppressed, and a change in the dimensions of the polarizer layer 1 itself is suppressed. As a result, stress due to contraction or expansion is less likely to act on the polarizer layer 1, and cracks generated in the polarizer layer 1 are easily suppressed by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보호층)(Protective layer)

보호층(2, 3)은, 투광성을 갖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호층(2, 3)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COP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혹은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can be formed using an optically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having light transmission properties. Resins constituting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include chain polyolefin resins, cyclic olefin polymer resins (COP resins), cellulose ester resins, polyester resins, polycarbonate resins, and (meth)acrylic resins. , Polystyrene resins, mixtures thereof, or copolymers thereof. "(Meth)acrylic" mea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and methacrylic.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쇄상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2종 이상의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Examples of the chain polyolefin resin include a homopolymer of a chain olefin such as a polyethylene resin or a polypropylene resin. The chain polyolefin resin may be a copolymer composed of two or more types of chain olefins.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컨대,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또는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는, 예컨대,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의 공중합체(예컨대 랜덤 공중합체)여도 좋다.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쇄상 올레핀은, 예컨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어도 좋다.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는, 상기 중합체를 불포화 카르복실산 혹은 그 유도체로 변성한 그래프트 중합체, 또는 이들의 수소화물이어도 좋다.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는, 예컨대, 노르보넨 또는 다환 노르보넨계 모노머 등의 노르보넨계 모노머를 이용한 노르보넨계 수지이어도 좋다. As a cyclic olefin polymer resin (cyclic polyolefin resin), a ring-opening (co)polymer of a cyclic olefin or an addition polymer of a cyclic olefin is mentioned, for example. The cyclic olefin polymer resin may be, for example, a copolymer (eg, a random copolymer) of a cyclic olefin and a chain olefin. The chain olefin constituting the copolymer may be, for example, ethylene or propylene. The cyclic olefin polymer resin may be a graft polymer in which the polymer is modified with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or a hydride thereof. The cyclic olefin polymer-based resin may be, for example, a norbornene-based resin using a norbornene-based monomer such as norbornene or a polycyclic norbornene-based monomer.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를 들 수 있고, 이들의 공중합물을 이용해도 좋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수산기의 일부가 다른 치환기로 수식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이어도 좋다. Examples of the cellulose ester resin include cellulose triacetate (triacetyl cellulose (TAC)), cellulose diacetate, cellulose tripropionate, or cellulose dipropionate, and a copolymer thereof may be used. The cellulose ester resin may be a cellulose ester resin in which a part of the hydroxyl group is modified with another substituent.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이외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예컨대,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의 중축합체를 들 수 있다.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들 수 있고,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는 디올을 들 수 있고,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또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들 수 있다. As the polyester resin, a polyester resin other than a cellulose ester resin is mentioned. Examples of such polyester resins include polycondensates of polyhydric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nd polyhydric alcohols. Examples of the polyhydric carboxylic acid or its derivative include dicarboxylic acid or its derivativ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ate, or dimethyl naphthalenedicarboxylic acid. Examples of the polyhydric alcohol include diol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e glycol, propanediol, butanediol, neopentyl glycol, or cyclohexanedimethanol.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나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of a polyester 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na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naphthalate, polycyclohexanedimethyl terephthalate, or polycyclo Hexane dimethyl naphthalate is mentioned.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카보네이트기를 통해 중합 단위(모노머)가 결합된 중합체이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수식된 폴리머 골격을 갖는 변성 폴리카보네이트여도 좋고,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여도 좋다. The polycarbonate resin is a polymer in which a polymerization unit (monomer) is bonded through a carbonate group.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may be a modified polycarbonate having a modified polymer skeleton, or may be a copolymerized polycarbonate.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예컨대, MS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과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th)acrylic resin include poly(meth)acrylic acid ester (eg,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Methyl methacrylate-(meth)acrylic acid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acrylic acid ester-(meth)acrylic acid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styrene copolymer (eg, MS resin); A copolymer of methyl methacrylate and a compound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eg, a methyl methacrylate-cyclohexyl methacrylate copolymer, a methyl methacrylate-(meth)acrylate norbonyl copolymer, etc.) can be mentioned.

보호층(2, 3)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층(2, 3)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원료 편광판(30)의 절삭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편광자층(1)의 양면에 형성된 보호층(2, 3)의 단부를 서로 융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is preferably 100°C or higher, more preferably 120°C or higher, further preferably 200°C or lower, and more preferably 150°C or lower.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is within the above range, heat generated by cutting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0 causes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1 to be The ends can be fused to each other.

보호층(2, 3)은, 윤활제, 가소제, 분산제,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및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좋다.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may contain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ubricant, a plasticizer, a dispersant, a heat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 infrared absorber, an antistatic agent, and an antioxidant.

편광판(10)이 편광자층(1)의 양면에 보호층(2, 3)을 갖는 경우, 2개의 보호층(2, 3)의 조성은, 서로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보호층(2, 3)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오목부(11)의 주변에 발생하는 긴 크랙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한편, 보호층(2, 3)이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COP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결로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오목부(11)의 주변에 발생하는 크랙이 길어지기 쉽고, 크랙의 갯수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COP계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2, 3)을 갖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긴 크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When the polarizing plate 10 has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layer 1, the composition of the two protective layers 2 and 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contain a cellulose ester-based resin such as triacetyl cellulose (TAC), it becomes easy to suppress long cracks occurring around the concave portion 11 by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contain a cyclic olefin polymer-based resin (COP-based resin), cracks occurring around the concave portions 11 tend to be prolonged by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and The number also tends to increas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is suitable because long cracks can be suppressed even when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containing COP-based resin.

보호층(2, 3)의 두께는, 예컨대 5 μm 이상이며, 10 μm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통상 90 μm 이하이며, 60 μm 이하여도 좋다. 편광판(10)이 편광자층(1)의 양면에 보호층(2, 3)을 갖는 경우, 2개의 보호층(2, 3)의 두께는 서로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may be, for example, 5 μm or more, 10 μm or more, and usually 90 μm or less, and 60 μm or less. When the polarizing plate 10 has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layer 1, the thicknesses of the two protective layers 2 and 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보호층(2, 3)은, 광학 기능을 갖는 필름이어도 좋다. 광학 기능을 갖는 필름이란, 예컨대 위상차 필름 또는 휘도 향상 필름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연신하거나, 상기 필름 상에 액정층 등을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may be films having an optical function. The film having an optical function includes, for example, a retardation film or a brightness improving film. The retardation film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stretching a film ma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or the like on the film.

보호층(2, 3)은,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자층(1) 상에 적층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계 접착제,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can be laminated on the polarizer layer 1 through an adhesive layer. Examples of 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include water-based adhesives such as polyvinyl alcohol,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s described later.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되는 것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이다.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예컨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또는 X선을 들 수 있다.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어도 좋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is a resin that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an active energy ray. Examples of active energy rays include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electron rays, or X rays. For example,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may be an ultraviolet-curable resin.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1종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고, 복수종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 또는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한 양이온 중합 개시제 또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may contain one type of resin or may contain a plurality of types of resins. For example,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may contain a cationic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or a radical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may contain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or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initiating a curing reaction of the curable compound.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는, 예컨대, 에폭시계 화합물(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옥세탄계 화합물(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옥세탄 고리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는, 라디칼 중합성의 이중 결합을 갖는 비닐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ationic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include an epoxy compound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epoxy group in the molecule) or an oxetane compound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oxetane ring in the molecule). Examples of the radical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include a (meth)acrylic compound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meth)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Examples of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include a vinyl compound hav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double bond.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필요에 따라서, 양이온 중합 촉진제,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점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또는 용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may contain a cationic polymerization accelerator, an ion trapping agent, an antioxidant, a chain transfer agent, a tackifier, a thermoplastic resin, a filler, a flow regulator, a plasticizer, an antifoam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 leveling agent or a solvent, if necessary. You may include it.

(점착제층)(Adhesive layer)

점착제층은, 그 자체를 피착체에 부착함으로써 접착성을 발현하는 것이며, 소위 감압형 접착제로 칭해지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로는,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예컨대, 아크릴계 감압형 접착제, 고무계 감압형 접착제, 실리콘계 감압형 접착제 또는 우레탄계 감압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2 μm 이상 100 μm 이하로 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s adhesiveness by attaching itself to an adherend, and can be formed fro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lle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known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used, but examples thereof include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rubb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a uretha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for example, 2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박리 필름)(Peel film)

박리 필름은, 상기와 같이, 점착제층을 피복 보호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박리 필름은, 편광판(10)을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접합할 때에 박리 제거된다. 박리 필름으로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쪽에 이형 처리를 한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으로는, 보호층(2, 3)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예시한 수지를 이용한 필름을 들 수 있다. 이형 처리로는, 실리콘 코팅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10 μm 이상 100 μm 이하로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lease film is used for the purpose of covering and protec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eeling film is peeled off when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10 to an image display element of a display device or the like. As the release film, a resin film subjected to a release treatment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used. As the resin film, a film using a resin exemplified as a resin constituting the protective layers 2 and 3 is exemplified. Silicone coating etc. are mentioned as a mold release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can be, for example, 10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광학 기능층)(Optical functional layer)

광학 기능층은, 광학 기능을 갖는 층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필름이어도 좋다. 광학 기능층으로는, 예컨대, 위상차 필름, 반사형 편광 필름, 방현 기능을 갖는 필름, 표면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윈도우 필름, 대전 방지층, 하드 코트층, 광학 보상층, 터치 센서층, 방오층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광학 기능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n optical function, and may be a film. As an optical functional layer, for example, a retardation film,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 film having an anti-glare function, a film having a surface anti-reflection function, a reflective film, a transflective film, a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a window film, an antistatic layer, a hard coat Layer, optical compensation layer, touch sensor layer, antifouling layer, etc. are mentioned. One or two or more of these can be used as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프로텍트 필름)(Protect film)

프로텍트 필름은, 상기와 같이, 편광판(10)의 표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프로텍트 필름은, 기재 필름에 점착제층을 갖는 것이어도 좋고, 자기 점착성의 필름이어도 좋다. 프로텍트 필름의 기재 필름에 이용되는 수지로는, 상기 보호층(2, 3)에 이용되는 수지를 들 수 있고, 점착제층으로는 상기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자기 점착성의 필름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film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0. The protective film may hav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base film, or may be a self-adhesive film. As a resin used for the base film of a protective film, the resin used for the said protective layers 2, 3 is mentioned, As an adhesive layer, the said adhesive is mentioned. The self-adhesive film can be formed using, for example, a polypropylene resin, a polyethylene resin, or the lik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specifically described by sh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결로 히트 쇼크 시험][Condensation heat shock test]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이용하여, 이하의 스텝 1∼3을 이 순으로 행하는 공정을 1 사이클로 하고, 이것을 연속적으로 10 사이클 반복하는 결로 히트 쇼크 시험을 행하였다. Using the polarizing plate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following steps 1 to 3 were performed in this order as 1 cycle, and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was performed in which this was continuously repeated 10 cycles.

· 스텝 1: · Step 1:

편광판을, 온도 -40℃, 상대 습도 11% RH의 환경하에 30분간 유지한다. The polarizing plate is held for 30 minutes in an environment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11% RH.

· 스텝 2: · Step 2:

스텝 1을 행한 편광판을, 온도 23℃, 상대 습도 9% RH의 환경하에 5분간 유지한다. The polarizing plate which performed Step 1 is held for 5 minutes in an environment at a temperature of 23°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 RH.

· 스텝 3: · Step 3:

스텝 2를 행한 편광판을, 온도 85℃, 상대 습도 7% RH의 환경하에 30분간 유지한다. The polarizing plate on which Step 2 was performed is held for 30 minutes in an environment at a temperature of 85°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7% RH.

상기 결로 히트 쇼크 시험을 행한 편광판에 관해, 평면시에서 오목부의 주변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에 관해, 도 1에 도시하는 오목부(11)의 위치(11ab) 및 위치(11bc) 부근에 발생한 크랙 중, 편광판의 긴 변 방향의 길이가 가장 긴 것을 측정하여, 이것을 오목부의 곡선형 부분에서의 크랙의 길이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및 비교예 3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오목부(11)의 변(11b)의 직선형 부분에서, 변(11a)과 변(11b)이 접하는 측으로부터 5 mm의 길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 및, 변(11b)과 변(11c)이 접하는 측으로부터 5 mm의 길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 부근에 발생한 크랙의 편광판의 긴 변 방향의 길이도 측정하여, 측정한 크랙 중, 편광판의 긴 변 방향의 길이가 가장 긴 것을, 오목부의 직선형 부분에서의 크랙 길이로 하였다.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plate subjected to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the periphery of the concave portion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in plan view. For the polarizing plate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mong the cracks generated near the positions 11ab and 11bc of the concave portion 11 shown in FIG. 1, the one having the longest length i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was measured. And this was taken as the length of the crack in the curved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In addition, in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in the straight portion of the side 11b of the concave portion 11 shown in Fig. 1, the range of a length of 5 mm from the side where the side 11a and the side 11b are in contact. The length of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cracks occurring near the edge existing in the edge, and the edge existing in the range of 5 mm from the side contacting the side 11b and the side 11c, was also measured, and among the measured cracks , The longest length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was taken as the crack length in the straight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실시예 1〕[Example 1]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하고 염색하여 제작한 두께 8 μm의 편광자층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수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두께 52 μm의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보호층을 접합하였다. 편광자층의 다른쪽 면에, UV 경화성 에폭시 수지를 통해, 두께 21 μm의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보호층을 접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UV 경화성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편광자층과 두께 21 μm의 보호층을 적층하였다. 두께 52 μm의 보호층 상에, 기재 필름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프로텍트 필름(두께 58 μm)을 접합하고, 두께 21 μm의 보호층 상에, 두께 20 μm의 점착제층 및 박리 필름(두께 38 μm)을 이 순으로 적층하여, 장방형상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는, 두께 52 μm의 보호층으로부터 점착제층까지의 적층 구조의 두께가 102 μm이며, 이 적층 구조의 한쪽 면에 두께 58 μm의 프로텍트 필름이, 다른쪽 면에 두께 38 μm의 박리 필름이 각각 적층된 것이었다. 또, 얻어진 적층체에서 편광자층과 그 다른쪽 면에 접합된 두께 21 μm의 보호층(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두께 21 μm의 보호층)은, UV 경화성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인 접착제층(두께 1 μm)을 통해 접착되어 있었다. 얻어진 적층체에 피너클날을 이용하여 펀칭 가공을 행하여, 도 3의 (a)에 도시하는 형상의 원료 편광판을 47장 제작하였다. A protective layer formed using a 52 μm-thick cyclic olefin polymer resin on one side of an 8 μm-thick polarizer layer produced by stretching and dyeing a polyvinyl alcohol film u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water-based adhesive) Was join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layer, a protective layer formed using a 21 μm-thick cyclic olefin polymer resin is bo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layer, and the UV curable epoxy resin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And a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1 μm was deposited. On a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2 μm, a protective film (thickness 58 μm)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on a base film is bonded, and on a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1 μm, an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and a release film (thickness 38 μm)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to obtain a rectangular laminate. In this laminate,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structure from the 52 μm protective layer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102 μm, and a 58 μm-thick protective film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aminated structure and a 38 μm-thick release film is on the other side. Each of these was stacked. In addition, in the obtained laminate, the polarizer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1 μm bonded to the other side (a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1 μm formed using a cyclic olefin polymer resin) is an adhesive layer that is a cured product of a UV-curable epoxy resin. It was adhered through (thickness 1 μm). The obtained laminate was punched using a pinnacle blade to produce 47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s having the shape shown in Fig. 3A.

상기 원료 편광판의 박리 필름측이 하측이 되도록 47장의 원료 편광판을 적층한 상태로, 절삭 장치의 배치대에 배치하고, 클램프에 의해 배치대에 고정하였다. 절삭 장치에 부착한 엔드밀(DXL-4, 닛신 공구 주식회사 제조, 직경: 4 mm, 우측날, 절삭 각도 β: 65[°])을 회전시키고, 엔드밀의 절삭부를 적층한 원료 편광판의 단부면(적층 방향을 따르는 면)에 접촉시켜, 평면시에서 원료 편광판에 대하여 엔드밀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절삭 가공을 3회 행하였다. 각 회의 절삭 가공에서, 절삭 폭은 100 μm로 하고, 엔드밀의 회전 속도를 30000 rpm으로 하고, 엔드밀의 피드 속도(상대 이동 속도)를 1000 mm/분으로 하여, 업방향에서 절삭 가공을 행하였다. In a state in which 47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s were stacked so that the release film sid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was at the lower side, it was placed on a mounting table of a cutting device, and fixed to the mounting table by a clamp. The end mill (DXL-4, manufactured by Nisshin Tools Co., Ltd., diameter: 4 mm, right edge, cutting angle β: 65 [°]) attached to the cutting device was rotated, and the end fac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laminated with the cutting part of the end mill ( It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along the lamination direction), and cutting was performed three times while moving the end mill relative to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in plan view. In each cutting process, the cutting width was set to 100 μm, the rotation speed of the end mill was set to 30000 rpm, and the feed rate (relative moving speed) of the end mill was set to 1000 mm/min, and the cutting was performed in the up direction.

상기 절삭 가공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장방형상의 편광판을 얻었다. 편광판의 짧은 변의 길이는 70 mm이며, 긴 변의 길이는 140 mm였다. 오목부의 짧은 변 방향의 길이(도 1 중의 w로 나타내는 부분의 거리)는 30 mm이며, 긴 변 방향의 길이(도 1 중의 d로 나타내는 부분의 거리)는 5 mm였다. 얻어진 편광판에 관해, 결로 히트 쇼크 시험을 행하여, 오목부의 곡선형 부분에서의 크랙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By the cutting process, as shown in Fig. 1, a rectangular polarizing plate having a rectangular concave portion was obtained.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was 70 mm,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was 140 mm. The length of the concave portion in the short side direction (distance of the portion indicated by w in FIG. 1) was 30 mm, and the length in the long side direction (distance of the portion indicated by d in FIG. 1) was 5 mm. About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was performed, and the crack length in the curved part of a concave part was measured. Table 1 shows the result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절삭 가공을 2회 행하고, 각 회에서의 절삭 폭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에 관해, 결로 히트 쇼크 시험을 행하여, 오목부의 곡선형 부분에서의 크랙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cutting was performed twice and the cutting width at each time was as shown in Table 1. About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he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was performed, and the crack length in the curved part of a concave part was measured. Table 1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Example 2]

절삭 가공을 1회 행하고, 그 절삭 폭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의 오목부의 변(11b)의 직선형 부분에서, 변(11b)의 변(11a)에 접하는 측으로부터 5 mm의 길이의 범위가 한 변이 되도록 편광판을 절취하여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절취한 측정용 샘플의 상기 한 변의 단부면(두께 방향을 따르는 면)을,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절삭하고, 상기 단부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10 μm의 위치, 30 μm의 위치, 50 μm의 위치의 단면에 관해, 주사형 레이저 현미경(관찰 배율: 100배)으로 관찰하여, 크레이즈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A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utting process was performed once and the cutting width was set as shown in Table 2. In the linear portion of the side 11b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btained above, the polarizing plate was cut out so that the length of 5 mm from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side 11a of the side 11b became one side to obtain a sample for measurement. The end face (fac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ne side of the cut-out measurement sample is cut using a microtome, and a position of 10 μm, a position of 30 μm, and a position of 50 μm from the edge of the end surface to the surface direction. The cross section of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laser microscope (observation magnification: 100 times)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aze. Table 2 shows the results.

또한, 얻어진 편광판에 관해, 결로 히트 쇼크 시험을 행하고, 오목부의 곡선형 부분에서의 크랙 길이 및 직선형 부분에서의 크랙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urther,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subjected to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and the crack length in the curved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rack length in the straight portion were measured. Table 2 shows the result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에서 얻은 원료 편광판에 관해, 실시예 2와 동일한 순서로, 크레이즈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얻은 원료 편광판을 이용하여, 결로 히트 쇼크 시험을 행하여, 오목부의 곡선형 부분에서의 크랙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About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obtained in Example 1, in the same procedure as Example 2,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aze was confirmed. Further, using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obtained in Example 1,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was performed, and the crack length in the curved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절삭 폭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에 관해, 실시예 2와 동일한 순서로, 크레이즈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편광판에 관해, 결로 히트 쇼크 시험을 행하여, 오목부의 곡선형 부분에서의 크랙 길이 및 직선형 부분에서의 크랙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Except having made the cutting width as shown in Table 2,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2, and obtained the polarizing plate. Regarding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aze was confirmed in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2. Further,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subjected to a condensation heat shock test to measure the crack length in the curved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rack length in the straight portion. Table 2 shows the result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1: 편광자층, 2: 보호층, 3: 보호층, 10: 편광판, 11: 오목부, 11a, 11b, 11c: 변, 11ab, 11bc: 위치, 30: 원료 편광판, 31: 절결부, 50: 엔드밀, 51: 회전축, 52: 절삭부, 52a : 절삭날. 1: polarizer layer, 2: protective layer, 3: protective layer, 10: polarizing plate, 11: concave portion, 11a, 11b, 11c: side, 11ab, 11bc: position, 30: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31: notched portion, 50: End mill, 51: rotating shaft, 52: cutting part, 52a: cutting edge.

Claims (11)

평면시(平面視)에서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를 갖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편광자층의 한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갖는 원료 편광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원료 편광판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엔드밀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절삭 가공을 하는 공정 [a]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 [a]에서의 상기 절삭 가공은, 절삭 폭이 150 μm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절삭 가공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cave portion at the circumferential edge in plan view,
A step of preparing a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and
A step [a] of performing cutting to form the concave while moving the end mill relative to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The cutting process in the step [a] is a cutting process in which the cutting width is 150 μ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편광판은,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는 영역에 오목한 형상의 절결부를 갖는 것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has a concave cutout in a region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를 2회 이상 행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ep [a] is performed two or more tim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원료 편광판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엔드밀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상기 오목부 이외의 상기 편광판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도록 절삭 가공을 하는 공정 [b]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cutting an end mill to form a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ther than the concave portion while moving the end mill relative to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raw material polarizing plat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step [b].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와 상기 공정 [b]를 연속적으로 행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tep [a] and the step [b] are continuously performed.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층은,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polarizer layer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평면시에서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를 갖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층의 한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의 윤곽을 따르는 길이 5 mm의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30 μm의 위치 및 50 μm의 위치 중 어디에도 크레이즈가 존재하지 않는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cave portion at the peripheral edge in plan view
The polarizing plate has a protective layer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layer,
A polarizing plate in which craze does not exist either at a position of 30 μm and a position of 50 μm in the plane direction from an edge existing in an arbitrary range of 5 mm in length along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10 μm의 위치에, 크레이즈가 존재하는 또는 크레이즈가 존재하지 않는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craze or no craze at a position of 10 μm in the plane direction from an edge existing in the arbitrary rang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윤곽은 곡선형 부분과 직선형 부분을 가지며,
상기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는, 상기 직선형 부분에서의, 상기 곡선형 부분에 인접하는 측으로부터 5 mm의 길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인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has a curved portion and a straight portion,
The edge existing in the arbitrary range is a polarizing plate that is an edge in the linear portion and in a length of 5 mm from a side adjacent to the curved portion.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윤곽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각각에 직선형 부분을 갖는 2개의 변과, 상기 2개의 변을 연결하고 또한 직선형 부분을 갖는 1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임의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는, 상기 1개의 변의 직선형 부분에서의, 상기 1개의 변과 상기 2개의 변의 한쪽이 접하는 측으로부터 5 mm의 길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가장자리인 편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wherein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has two sides each having a straight portion, and 1 connecting the two sides and having a straight portion. Including the dog's stool,
The edge existing in the arbitrary range is a polarizing plate that is an edge that is in a range of 5 mm in length from a side where one side of the one side and one of the two sid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inear portion of the one side.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층은,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인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wherein the polarizer layer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KR1020200119756A 2019-09-19 2020-09-17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KR2021003391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70170 2019-09-19
JP2019170170A JP6968854B2 (en) 2019-09-19 2019-09-19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polarizing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918A true KR20210033918A (en) 2021-03-29

Family

ID=7487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756A KR20210033918A (en) 2019-09-19 2020-09-17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968854B2 (en)
KR (1) KR20210033918A (en)
CN (1) CN112526664A (en)
TW (1) TW202120973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18610A (en) * 2022-07-29 2024-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cut fil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2182A (en) 2016-07-22 2018-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larization plate
JP2018025630A (en) 2016-08-09 2018-02-15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7916B2 (en) * 2001-09-11 2005-05-24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optical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WO2009008329A1 (en) 2007-07-06 2009-01-15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ation plate
JP6381334B2 (en) * 2013-09-04 2018-08-29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end-face processed polarizing plate
JP6437230B2 (en) * 2013-09-04 2018-12-12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end-face processed polarizing plate
JP6495374B2 (en) * 2016-05-30 2019-04-03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for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for image display device
JP6899721B2 (en) * 2016-07-22 2021-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manufacturing equipment
JP6306675B1 (en) * 2016-11-28 2018-04-04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with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JP6634417B2 (en) * 2017-07-20 2020-01-22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2019028042A (en) * 2017-08-04 2019-02-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Magnetic sensor
JP6795651B2 (en) * 2018-10-18 2020-12-02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with cover glass and image display device with cover glass
JP7278091B2 (en) * 2019-02-14 2023-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JP7257809B2 (en) * 2019-02-20 2023-04-14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cut optical laminate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2182A (en) 2016-07-22 2018-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larization plate
JP2018025630A (en) 2016-08-09 2018-02-15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82143A (en) 2021-11-25
TW202120973A (en) 2021-06-01
JP7512236B2 (en) 2024-07-08
JP6968854B2 (en) 2021-11-17
JP2021047307A (en) 2021-03-25
CN112526664A (en)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114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KR101846105B1 (en) Polarizing plate
TWI778101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WO2021049216A1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KR10240450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laminate film with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678797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WO2021029172A1 (en) Polarizing plate
JP2024009307A (en) polarizer
JP7512236B2 (en) Polarizer
TW201706642A (en) Polarization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7256149B2 (en)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JP2022140346A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6772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KR20230156723A (en) Polariz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16917781A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