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917A - 3d 프린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프린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917A
KR20210033917A KR1020200119402A KR20200119402A KR20210033917A KR 20210033917 A KR20210033917 A KR 20210033917A KR 1020200119402 A KR1020200119402 A KR 1020200119402A KR 20200119402 A KR20200119402 A KR 20200119402A KR 20210033917 A KR20210033917 A KR 20210033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engine
water tank
engine case
light source
prin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이홍주
김기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류진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류진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류진랩
Priority to US17/761,42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47921A1/en
Priority to PCT/KR2020/012678 priority patent/WO2021054793A1/ko
Publication of KR2021003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29C64/129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characterised by the energy source therefor, e.g. by global irradiation combined with a mask
    • B29C64/135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characterised by the energy source therefor, e.g. by global irradiation combined with a mask the energy source being concentrated, e.g. scanning lasers or focused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5Enclosures for the building material, e.g. powde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광원을 일체화하여 하나의 광엔진을 구성할 수 있는 3D 프린터 광엔진 및 프린팅 시스템을 제시하며,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하는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출력물의 조형을 위한 광원을 상기 수조로 제공하는 3D프린터 광엔진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광엔진케이스;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수용공간 중 하부쪽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모듈; 및 상기 백라이트모듈과 이격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수용공간 중 상부쪽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출력물의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광원을 상기 수조로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이미지스위칭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3D 프린팅 시스템{3D PRINTING SYSTEM}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3D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을 일체화하여 하나의 광엔진을 구성할 수 있는 3D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프린터(3차원 조형기)는 디지털 파일로 구성된 물체의 3차원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를 아주 얇은 층으로 구조화(슬라이싱) 한 후, 이 정보로부터 재료 물질들을 한 층씩 쌓아 올려서, 실제 조형물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3D프린터는 크게 광경화 적층 방식과 FDM (FFF)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광경화 적층 방식은 레진(resin)과 같이 빛을 받으면 굳어버리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하는 것으로, 레진이 담긴 통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조형하고자 하는 영역의 레진을 경화시켜서 조형물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통상적인 레진 3D프린터는 LED로 구성되는 백라이트와, 출력물의 조형을 위한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광원을 제공하는 이미지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레진 3D프린터는 광엔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일체화되지 않고 제각기 구성되어 있어서 프린터를 제작할 경우, 각 구성요소들을 일일이 배치하고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레진 3D프린터는 광엔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교체하는 것이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레진 3D프린터는 광원의 광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으며, 동일한 파장의 광원만을 제공하는 한계가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10-800667호에 개시된 LCD방식 3D프린터가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광엔진의 구성요소들이 제각기 분리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파장의 광원만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광원을 이루는 백라이트부와 이미지스위칭부를 케이스와 일체화하여 하나의 광엔진모듈을 구성함으로써 프린터에 탈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3D 프린팅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백라이트부와 이미지스위칭부를 각각의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백라이트부 또는 이미지스위칭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3D 프린팅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일체형의 광엔진모듈을 자발광부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자발광부재가 서로 다른 파장을 제공할 수 있는 3D 프린팅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3D 프린팅 시스템의 하나의 양상은,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출력물의 조형을 위한 광원을 상기 수조로 제공하는 광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광엔진은 상기 수조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광엔진케이스;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수용공간 중 하부쪽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모듈; 및 상기 백라이트모듈과 이격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수용공간 중 상부쪽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출력물의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광원을 상기 수조로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이미지스위칭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모듈은,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열기를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복수의 LED가 실장되어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LED보드; 및 상기 LED보드에 실장된 각각의 LED에 설치되어 LED의 빛을 집광하여 상기 이미지스위칭모듈로 제공하는 집광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스위칭모듈은,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출력물의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광원을 상기 수조로 조사하는 LCD유닛; 및 상기 LCD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백라이트모듈에서 조사되는 백라이트를 투과시키면서 상기 LCD유닛의 처짐을 방지하는 투명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3D 프린팅 시스템의 다른 하나의 양상은,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출력물의 조형을 위한 광원을 상기 수조로 제공하는 광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광엔진은, 상기 수조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광엔진케이스;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열기를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과 함께 하나의 모듈을 이루고, 상기 수조를 향해 출력물의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고해상도의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자발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발광부재는 마이크로LED, OLED, FED 및 LE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메인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발광부재는 마이크로LED, OLED, FED 및 LE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면서 상기 메인픽셀과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제공하는 서브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광원을 이루는 백라이트모듈과 이미지스위칭모듈이 광엔진케이스와 함께 일체화로 구성되어 하나의 광엔진을 구성함으로써 프린터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3D 프린팅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백라이트모듈과 이미지스위칭모듈이 서로 독립적인 모듈을 이루면서 광엔진케이스에 장착되므로 이미지스위칭모듈이나 백라이트모듈만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3D프린팅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광엔진케이스와 자발광부재 및 방열판을 통해 광엔진을 구성할 경우에는 백라이트의 구성을 생략이 가능하여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고해상도의 광원을 통해 고해상도 조형물의 출력이 가능한 3D프린팅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자발광부재를 구성하는 메인픽셀과 서브픽셀이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제공하므로 각 파장에 반응하는 혼합레진을 사용하여 출력을 수행할 수 있는 3D프린팅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엔진(10)과 함께 수조(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조(5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태로 구성되어 빛에 의해 경과되는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광경화성 수지는 LCD등에 의한 빛을 받을 경우 경화되는 것으로, 레진을 포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알려진 모든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조(50)는 후술되는 광엔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광엔진(10)에서 제공되는 광원을 투과시키면서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조(50)는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가 적층될 수 있는 플레이트(55)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광경화성 수지가 한 층씩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광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광엔진(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는 후술되는 광엔진(10)을 구성하는 백라이트모듈(200), 이미지스위칭모듈(300) 또는 자발광부재(500)를 제어하면서 각각의 발광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이미지스위칭모듈(300)에서 인가되는 영상신호와 연동하여 백라이트모듈(200)의 발광영역을 제어하면서 조형을 위한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백라이트모듈(200)의 백라이트를 켜주고, 단층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나머지 영역에는 백라이트모듈(200) 백라이트를 꺼줄 수 있다.
상기 광엔진(10)은 전술한 수조(50)의 하부에 탈착식으로 장착되어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수조(50)의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는 광원을 제공하면서 3D프린팅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엔진(10)은 광엔진케이스(100), 백라이트모듈(200) 및 이미지스위칭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엔진케이스(100)는 후술되는 백라이트모듈(200) 및 이미지스위칭모듈(300)과 함께 하나의 모듈을 이루면서 프린팅 시스템(1)에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광엔진케이스(10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구된 함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수용공간에 백라이트모듈(200) 및 이미지스위칭모듈(300)을 착탈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모듈(200)은 후술되는 이미지스위칭모듈(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백라이트모듈(200)은 전술한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백라이트를 제공하면서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구획별로 제어되거나 개별로 구분되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모듈(200)은 방열판(210), LED보드(220) 및 집광렌즈(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열판(210)은 광엔진케이스(1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LED보드(22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광엔진케이스(100)의 외부로 방출하는 구성요소이다.
LED보드(220)는 방열판(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이미지스위칭모듈(300)의 하부에서 조형물의 출력을 위한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복수의 LED(221)가 실장되어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발광하면서 백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LED보드(220)는 이미지스위칭모듈(300)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구성되어 이미지스위칭모듈(300)의 발광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백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LED(221)를 통해 평면광을 형성함으로써 빛의 직진성을 개선하고 광균일도 및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LED보드(220)는 마이크로 LED(Light Emitting Diode), LE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를 포함하는 자체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자들의 집합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소정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을 제공하는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집광렌즈(230)는 LED(221)의 빛을 집광하여 후술되는 이미지스위칭모듈(300)에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집광렌즈(230)는 LED보드(220)에 실장된 복수의 LED(221) 각각을 커버링하는 형태로 제각기 설치되는 원통형의 렌즈캡(231)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LED(221)의 빛을 집광하여 상부로 제공함으로써 LED(221)에서 조사되는 빛이 손실없이 이미지스위칭모듈(300)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스위칭모듈(300)은 출력물의 조형을 위한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광원을 수조(50)로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이미지스위칭모듈(300)은 백라이트모듈(20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를 이루면서 광엔진케이스(100)의 수용공간 중 상부쪽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60)의 제어를 통해 수조(50)를 향해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미지스위칭모듈(300)은 백라이트모듈(200) 및 광엔진케이스(100)와 함께 일체화된 하나의 광엔진모듈을 구성하면서 프린팅 시스템(1)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스위칭모듈(300) 및 백라이트모듈(200)은 각각 광엔진케이스(100)에 독립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각각이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스위칭모듈(300)은 LCD유닛(310) 및 투명지지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LCD유닛(310)은 광엔진케이스(1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출력물의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광원을 수조(50)로 조사함으로써 수조(50)에 수용된 광경화성 수지를 단층이미지 형태로 경화시킬 수 있다.
투명지지부재(320)는 LCD유닛(310)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LCD유닛(310)의 대면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투명지지부재(320)는 LCD유닛(310)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LCD유닛(310)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모듈(200)에서 조사되는 백라이트를 LCD유닛(310)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시스템(1)의 광엔진(10)에 의하면, 광원을 이루는 백라이트모듈(200)과 이미지스위칭모듈(300)이 광엔진케이스(100)와 함께 일체화로 구성되어 하나의 광엔진을 구성함으로써 프린팅 시스템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시스템(1)의 광엔진(20)은 광엔진케이스(100), 방열판(210) 및 자발광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엔진케이스(100)와 방열판(210)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자발광부재(500)는 전술한 백라이트모듈(200) 및 이미지스위칭모듈(300)을 대신하여 고해상도의 광원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자발광부재(500)는 방열판(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방열판(210) 및 광엔진케이스(100)와 함께 하나의 광엔진모듈을 구성하면서 프린팅 시스템(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출력물의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고해상도의 광원을 수조(50)로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자발광부재(500)는 마이크로 LED(Light Emitting Diode), LE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를 포함하는 자체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자들의 집합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소정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을 제공하는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인픽셀(5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엔진(20)은 백라이트모듈(200)의 구성이 생략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고해상도의 광원을 제공함으로써 고해상도 조형물의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자발광부재(500)는 서브픽셀(5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픽셀(520)은 메인픽셀(510)과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서브픽셀(520)은 마이크로 LED(Light Emitting Diode), LE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를 포함하는 자체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제어부(60)에 의해 발광하면서 메인픽셀(510)과 다른 파장의 광원을 수조(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엔진(20)은 메인픽셀(510) 및 서브픽셀(520)의 파장에 각각 반응하는 혼합레진을 통해 조형물의 3D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시스템(1)의 광엔진(20)에 의하면, 자발광부재(500)를 통해 백라이트의 구성을 생략이 가능하여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고해상도의 광원을 통해 고해상도 조형물의 출력이 가능하며, 자발광부재(500)를 구성하는 메인픽셀(510)과 서브픽셀(520)이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제공하므로 각 파장에 반응하는 혼합레진을 사용하여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프린팅 시스템
10 : 일 실시예에 따른 광엔진
20 :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엔진
50 : 수조
60 : 제어부
100 : 광엔진케이스
200 : 백라이트모듈
210 : 방열판
220 : LED보드
230 : 집광렌즈
300 : 이미지스위칭모듈
310 : LCD유닛
320 : 투명지지부재
500 : 자발광부재
510 : 메인픽셀
520 : 서브픽셀

Claims (6)

  1.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출력물의 조형을 위한 광원을 상기 수조로 제공하는 광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광엔진은,
    상기 수조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광엔진케이스;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수용공간 중 하부쪽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모듈; 및
    상기 백라이트모듈과 이격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수용공간 중 상부쪽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출력물의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광원을 상기 수조로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이미지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3D 프린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모듈은,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열기를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복수의 LED가 실장되어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LED보드; 및
    상기 LED보드에 실장된 각각의 LED에 설치되어 LED의 빛을 집광하여 상기 이미지스위칭모듈로 제공하는 집광렌즈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스위칭모듈은,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출력물의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광원을 상기 수조로 조사하는 LCD유닛; 및
    상기 LCD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백라이트모듈에서 조사되는 백라이트를 투과시키면서 상기 LCD유닛의 처짐을 방지하는 투명지지부재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시스템.
  4.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출력물의 조형을 위한 광원을 상기 수조로 제공하는 광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광엔진은,
    상기 수조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광엔진케이스;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열기를 상기 광엔진케이스의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과 함께 하나의 모듈을 이루고, 상기 수조를 향해 출력물의 단층이미지에 대응하는 고해상도의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자발광부재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발광부재는,
    마이크로LED, OLED, FED 및 LE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메인픽셀을 포함하는 3D 프린팅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발광부재는,
    마이크로LED, OLED, FED 및 LE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면서 상기 메인픽셀과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제공하는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3D 프린팅 시스템.
KR1020200119402A 2019-09-19 2020-09-16 3d 프린팅 시스템 KR20210033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61,422 US20220347921A1 (en) 2019-09-19 2020-09-21 3d printing system
PCT/KR2020/012678 WO2021054793A1 (ko) 2019-09-19 2020-09-21 3d 프린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5155 2019-09-19
KR1020190115155 2019-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917A true KR20210033917A (ko) 2021-03-29

Family

ID=7525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402A KR20210033917A (ko) 2019-09-19 2020-09-16 3d 프린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39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7938A (zh) * 2021-10-26 2022-01-28 广东君璟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设备及打印方法
JP2023013880A (ja) * 2021-07-14 2023-01-26 深▲せん▼市鵬基光電有限公司 光固化3dプリンタの光学機器、プリンタ及び3d印刷方法
KR102642301B1 (ko) * 2023-04-04 2024-02-28 동찬호 안전견인구조를 포함하는 레저용 드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13880A (ja) * 2021-07-14 2023-01-26 深▲せん▼市鵬基光電有限公司 光固化3dプリンタの光学機器、プリンタ及び3d印刷方法
CN113977938A (zh) * 2021-10-26 2022-01-28 广东君璟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设备及打印方法
CN113977938B (zh) * 2021-10-26 2023-08-25 广东君璟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设备及打印方法
KR102642301B1 (ko) * 2023-04-04 2024-02-28 동찬호 안전견인구조를 포함하는 레저용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3917A (ko) 3d 프린팅 시스템
US20180036941A1 (en) Photo-curing 3d printer and 3d printing method
KR101406900B1 (ko) 삼차원 프린터
US20210154918A1 (en) Optoelectronic Semiconductor Component and 3D Printer
CN106526962B (zh) 光转换膜片、其制备方法及显示设备
CN102414624B (zh) 用于立体平版印刷设备中的照明系统
CN104786508A (zh) 3d打印设备及其成像系统
CN104024894A (zh) 光学用基材及发光设备
US20190299531A1 (en) Linear light source using ultraviolet leds, and photopolymer 3d printer comprising linear light source
KR20180002594A (ko) 릴리스 기구를 갖는 적층 가공 장치
US20160091640A1 (en) Color conversion film, display panel using color conversio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conversion film
KR102199897B1 (ko) 3d 프린터용 평판형 uv 어레이 경화 시스템
KR101990431B1 (ko) 마이크로 led를 이용한 3d프린터
KR102180817B1 (ko) 3차원 프린터 및 프린팅 시스템
CN114829113A (zh) 用于增材制造的辐射系统和方法
WO2019124815A1 (ko) 3차원 프린터 및 프린팅 시스템
KR102171814B1 (ko) 분할 성형 지원형 광경화 3d 프린터
US11260594B2 (en) Stereolithographic 3D printer
KR20150108532A (ko) 3d 프린팅 장치 및 직접 노광 이미지광 조사장치
KR102419121B1 (ko) Led 매트릭스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2단계 인광체-퇴적을 지원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터닝 프로세스
WO2021054793A1 (ko) 3d 프린팅 시스템
US9463595B2 (en)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flexographic plate,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200075102A (ko) 다중 dlp 방식의 3d 프린터
US20210370595A1 (en) 3d printer
TWI555198B (zh) 光學模組和油墨固化系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