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751A - 핵연료 판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핵연료 판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751A
KR20210033751A KR1020190115428A KR20190115428A KR20210033751A KR 20210033751 A KR20210033751 A KR 20210033751A KR 1020190115428 A KR1020190115428 A KR 1020190115428A KR 20190115428 A KR20190115428 A KR 20190115428A KR 20210033751 A KR20210033751 A KR 20210033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ar fuel
plate
shaped
support
fu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409B1 (ko
Inventor
김성환
권선칠
정용진
이규홍
김기남
박종만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15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4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Supporting or hanging of elements in the bundle; Means forming part of the bundle for inserting it into, or removing it from, the core; Means for coupling adjacent bund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23/00Adaptations of reactors to facilitate experimentation or ir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연료 판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핵연료 판을 회수할 수 있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할 수 있는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핵연료 판을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인장 모듈을 포함하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핵연료 판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APPARATUS COLLECTING A NUCLEAR FUEL PLATE AND METHOD COLLECTING THE NUCLEAR FUEL PLATE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핵연료 판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핵연료는 원자력을 이끌어 내는데 필요한 물질로, 에너지 밀도가 높아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원자로는 이러한 핵연료의 핵분열 결과 순간적으로 방출되는 다량의 질량결손 에너지가 방출되도록 연쇄반응을 제어하여 핵분열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원자로는 발전용 원자로와 연구용 원자로가 있다. 핵분열로 생성된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용 원자로와는 다르게 핵분열 시 생성되는 중성자를 이용하는 연구용 원자로는 출력밀도를 높임으로써, 단위 면적당 또는 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중성자 속을 크게 할 수 있다. 연구용 원자로에서는 출력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부피당 면적의 비율이 높은 구조를 가진 판형 핵연료가 주로 사용된다.
한편, 연구용 원자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핵연료 판은 우라늄 합금분말이 알루미늄 기지 안에 분산된 압분체(compact)로 성형된 후, 이를 알루미늄 피복재 안에 넣어 얇은 판 형상으로 제조된다. 또한, 핵연료 판은 복수 개가 하나의 집합체를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복수 개의 핵연료 판은 핵연료 판의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 판에 형성된 홈에 개재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핵연료 판이 핵연료 판의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 판에 형성된 홈에 개재되면, 스웨이징(swaging) 기술을 통하여 사이드 판을 양쪽에서 가압하여 핵연료 판을 사이드 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웨이징을 통하여 복수 개의 핵연료 판을 사이드 판에 고정시키면, 복수 개의 핵연료 판의 끝에 comb 및 comb pin을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Fixing bar를 사이드 판 사이에 끼우고 용접시킴으로써,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핵연료 판은 재사용을 위해 사용 후에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분리되어 회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발전용 원자로에 쓰이는 봉형 핵연료와 다르게 판형 핵연료는 집합체로부터 회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Fixing bar, comb 및 comb pin은 수공구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지만, 스웨이징 기술에 의하여 형성된 판형 핵연료 집합체는 핵연료 판을 사이드 판으로부터 분리하기가 어렵다. 또한, 분리 도중에 핵연료 판이 휘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핵연료 판을 변형 없이 회수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핵연료 판을 변형 없이 회수할 수 있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핵연료 판을 회수할 수 있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할 수 있는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핵연료 판을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인장 모듈을 포함하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핵연료 판을 변형 없이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핵연료 판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 판 회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핵연료 판 회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핵연료 판 회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승강부 및 가압 모듈이 구동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인장 모듈이 구동된 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2 지지체가 상승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 판 회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결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결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상측, 우측, 좌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하 방향은 도 3 내지 도 6의 상하 방향일 수 있으며, 좌우 방향은 도 3 내지 도 6의 좌우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 판 회수 장치(1)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로부터 핵연료 판(11)을 회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에 대해서 설명한다.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는 연구용 원자로의 출력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는 복수 개의 핵연료 판(11)이 집합체의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는 핵연료 판(11) 및 사이드 판(12)을 포함할 수 있다.
핵연료 판(1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핵연료 판(11)은 하나의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핵연료 판(11)은 우라늄 합금 분말이 알루미늄 기지 안에 분산된 압분체를 알루미늄 피복재 안에 삽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핵연료 판(11)은 후술할 사이드 판(12)에 의하여 하나의 집합체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 판(12)은 복수 개의 핵연료 판(11)을 하나의 집합체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 판(12)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홈에 복수 개의 핵연료 판(11)이 개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핵연료 판(11)의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 판(12)의 홈에 핵연료 판(11)이 개재됨으로써, 핵연료 판(11) 및 사이드 판(12)은 하나의 집합체 형태 즉,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 판 회수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 판 회수 장치(1)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로부터 핵연료 판(11)을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핵연료 판 회수 장치(1)는 사이드 판(12)에 고정된 핵연료 판(11)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핵연료 판(11)을 사이드 판(1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핵연료 판 회수 장치(1)는 지지부(100), 승강부(200), 클램핑부(300), 인장 모듈(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클램핑부(300), 인장 모듈(400) 및 제어부(5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00)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0)는 승강부(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승강부(20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00)는 제1 지지체(110) 및 제2 지지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체(110)는 클램핑부(300), 인장 모듈(400) 및 제어부(5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체(110)는 승강부(200)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체(110)에는 제2 지지체(1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11)는 제1 지지체(1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11)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제2 지지체(12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에서 제2 지지체(120)의 일부가 일 방향(예를 들어, 도 6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지지체(120)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제1 지지체(110)에 대하여 핵연료 판(11)이 인장 모듈(400)에 더 가까워지는 방향(예를 들어, 도 6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지지체(120)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제1 지지체(110)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체(120)는 복수 개의 핵연료 판(11) 중 어느 하나의 핵연료 판(11)이 사이드 판(12)으로부터 분리되어 회수되면, 복수 개의 핵연료 판(11) 중 어느 하나의 핵연료 판(11)과 다른 핵연료 판(11) 사이의 간격만큼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2 지지체(120)는 핵연료 판(11) 사이의 간격만큼 인장 모듈(400)을 향하여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상승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핵연료 판(11)은 순차적으로 사이드 판(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체(120)의 일부는 제1 지지체(11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2 지지체(120)의 다른 일부는 제1 지지체(110)의 가이드부(111)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체(120)는 제1 지지체(110)에 지지된 별도의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1 지지체(110)에 대하여 승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승강부(200)는 지지부(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와 인장 모듈(4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하가 되도록 지지부(100)를 일 방향(예를 들어, 도 4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200)는 지지부(100)에 지지된 판형 핵연료 집합체(10) 사이에 후술할 인장 모듈(400)이 위치하도록 지지부(1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클램핑부(300)는 지지부(100)에 지지된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지지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클램핑부(300)는 고정 부재(310) 및 가압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310)는 후술할 가압 모듈(320)이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일 방향(예를 들어, 도 4의 좌측)으로 가압할 때, 판형 핵연료 집합체(10)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310)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에 인장 모듈(400)에 의해서 외력이 가해질 때, 판형 핵연료 집합체(10)가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예를 들어, 도 5의 좌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러한 고정 부재(310)는 제1 지지체(1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310)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310)는 가압 모듈(320)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압 모듈(320)은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고정 부재(310) 쪽으로 가압하여 제2 지지체(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 모듈(320)은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에 인장 모듈(400)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예를 들어, 도 5의 우측)과 반대 방향으로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가압하여 판형 핵연료 집합체(1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모듈(320)은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장 모듈(400)은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핵연료 판(11)을 사이드 판(1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장 모듈(400)은 판형 핵연료 집합체(10) 사이에서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의 양측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핵연료 판(11)을 사이드 판(1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장 모듈(400)은 핵연료 판(11)의 양측에 고정된 사이드 판(12)의 사이에서 사이드 판(12)에 외력을 가할 수 있으며, 핵연료 판(11)의 양측에 고정된 사이드 판(12)에 핵연료 판(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장 모듈(400)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핵연료 판(11)의 양측에 고정된 사이드 판(12)의 사이에서 오른쪽 사이드 판(12)에는 오른쪽으로 외력을 가하고, 왼쪽 사이드 판(12)에는 왼쪽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인장 모듈(400)이 사이드 판(12)에 외력을 가하는 부분은, 사이드 판(12)이 인장 모듈(320)과 접촉되는 부분이며, 복수 개의 핵연료 판(11) 중 최상부에 배치된 핵연료 판(11)보다 상측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인장 모듈(400)이 사이드 판(12)에 외력을 가하는 부분은, 가압 모듈(320)이 사이드 판(12)을 가압하는 부분 보다 상측일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압 모듈(320)이 사이드 판(12)을 지지하더라도 사이드 판(12) 중 인장 모듈(400)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은 휘어질 수 있다.
한편, 인장 모듈(400)이 사이드 판(12)에 외력을 가하면, 사이드 판(12) 중 가압 모듈(320)과 접촉하지 않은 부분은 인장 모듈(400)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판(12) 중 일부분이 휘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핵연료 판(11) 중 최상부에 배치된 핵연료 판(11)은 사이드 판(12)의 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2 지지체(120)와 연결된 액추에이터를 통하여 제2 지지체(1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승강부(200)를 제어함으로써, 제1 지지체(11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제어부(500)는 가압 모듈(320) 및 인장 모듈(4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5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핵연료 판 회수 장치(1)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핵연료 판 회수 방법은 핵연료 판 회수 장치(1)를 이용하여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로부터 핵연료 판(11)을 회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은 지지 단계(S100), 고정 단계(S200), 상승 단계(S300), 분리 단계(S400), 하강 단계(S500), 고정 해제 단계(S600), 회수 단계(S700) 및 집합체 상승 단계(S8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단계(S100)에서는 지지부(100)와 클램프부(300) 사이에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을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단계(S100)에서는 제2 지지체(120)의 상면 및 고정부재(310)의 일면에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지지시킬 수 있다.
고정 단계(S200)에서는 지지부(100)에 지지된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클램핑부(300)를 통하여 지지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단계(S200)에서는 가압 모듈(320)이 제2 지지체(120)의 상면 및 고정 부재(310)의 일면에 지지된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지지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승 단계(S300)에서는 승강부(200)를 통하여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와 인장 모듈(4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하가 되도록 지지부(10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승 단계(S300)에서는 승강부(200)를 통하여 지지부(100)에 지지된 판형 핵연료 집합체(10) 사이에 인장 모듈(400)이 위치하도록 지지부(1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분리 단계(S400)에서는 인장 모듈(400)을 통하여 핵연료 판(11)의 양측에 고정된 사이드 판(12)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핵연료 판(11)을 사이드 판(12)으로 부터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단계(S400)에서는 인장 모듈(400)이 사이드 판(12)의 일 부분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가장자리에 고정된 핵연료 판(11)(예를 들어, 최상부에 배치된 핵연료 판(11))을 사이드 판(1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하강 단계(S500)에서는 승강부(200)를 통하여 지지부(100)를 하강시킴으로써,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고정 해제 단계(S600)에서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에 일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던 가압 모듈(320)의 구동을 중단시킴으로써,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의 지지부(100)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회수 단계(S700)에서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의 최상부에 위치한 핵연료 판(11)을 회수할 수 있다.
집합체 상승 단계(S800)에서는 최상부에 위치한 핵연료 판(11)이 회수되면, 제2 지지체(120)을 통하여,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소정 거리만큼 다른 핵연료 판(11)이 인장 모듈(400)에 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거리는, 핵연료 판(11)과 다른 핵연료 판(11) 사이의 간격이다. 다시 말해, 집합체 상승 단계(S800)에서는 분리된 핵연료 판(11)과 상기 분리된 핵연료 판(11)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핵연료 판(11) 사이의 거리 만큼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집합체 상승 단계(S800) 이후에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의 모든 핵연료 판(11)을 회수할 때까지, 고정 단계(S200), 상승 단계(S300), 분리 단계(S400), 하강 단계(S500), 고정 해제 단계(S600), 회수 단계(S700) 및 집합체 상승 단계(S800)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에서와 같이, 가장 상부에 고정된 핵연료 판(11)을 회수할 때는, 지지 단계(S100), 고정 단계(S200), 상승 단계(S300), 분리 단계(S400), 하강 단계(S500), 고정 해제 단계(S600), 회수 단계(S700) 및 집합체 상승 단계(S800)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회수되어야 할 핵연료 판(11)이 남아있으면, 핵연료 판(11)이 모두 회수될 때까지, 고정 단계(S200), 상승 단계(S300), 분리 단계(S400), 하강 단계(S500), 고정 해제 단계(S600), 회수 단계(S700) 및 집합체 상승 단계(S800)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더 이상 회수되어야 할 핵연료 판(11)이 남아있지 않으면,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판형 핵연료 집합체(10)을 제2 지지체(120)의 상면 및 고정부재(310)의 일면에 지지시킬 수 있다. 판형 핵연료 집합체(10)가 지지되면, 가압 모듈(320)을 통하여,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고정부재(310)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2 지지체(120)에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판형 핵연료 집합체(10)가 제2 지지체(120)에 고정되면, 승강부(200)를 통하여 인장 모듈(400)이 사이드 판(12) 사이에 위치하도록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인장 모듈(400)은 핵연료 판(11)의 양측에 고정된 사이드 판(12)에 핵연료 판(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사이드 판(12)으로부터 핵연료 판(11)을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분리된 핵연료 판(11)을 판형 핵연료 집합체(10)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핵연료 판 회수 장치(11)는 사이드 판(12)으로부터 핵연료 판(11)을 변형 없이 회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핵연료 판 회수 장치 100: 지지부
110: 제1 지지체 111: 가이드부
120: 제2 지지체 200: 승강부
300: 클램핑부 310: 고정 부재
320: 가압 모듈 400: 인장 모듈
500: 제어부

Claims (9)

  1.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핵연료 판을 회수할 수 있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할 수 있는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핵연료 판을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인장 모듈을 포함하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판형 핵연료 집합체 사이에 상기 인장 모듈이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모듈은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 사이에서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의 양측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핵연료 판을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클램핑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지지체 및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지지할 수 있는 제2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핵연료 판이 상기 인장 모듈에 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는,
    분리된 상기 핵연료 판이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회수되면, 분리된 상기 핵연료 판과 다른 핵연료 판 사이의 간격만큼 상기 다른 핵연료 판이 상기 인장 모듈에 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이동시키는,
    핵연료 판 회수 장치.
  6.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핵연료 판을 회수할 수 있는 핵연료 판 회수 방법에 있어서,
    지지부와 클램프부 사이에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지지시키는 지지 단계;
    상기 클램프부를 통하여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 및
    인장 모듈을 통하여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핵연료 판을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핵연료 판 회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승강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판형 핵연료 집합체 사이에 상기 인장 모듈이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단계를 더 포함하는,
    핵연료 판 회수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분리된 상기 핵연료 판이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회수되면, 분리된 상기 핵연료 판과 다른 핵연료 판 사이의 간격만큼 상기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를 상기 다른 핵연료 판이 상기 인장 모듈에 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집합체 승강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핵연료 판 회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핵연료 판을 상기 판형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단계, 상기 분리 단계, 상기 회수 단계 및 상기 집합체 승강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핵연료 판 회수 방법.
KR1020190115428A 2019-09-19 2019-09-19 핵연료 판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 KR102242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428A KR102242409B1 (ko) 2019-09-19 2019-09-19 핵연료 판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428A KR102242409B1 (ko) 2019-09-19 2019-09-19 핵연료 판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751A true KR20210033751A (ko) 2021-03-29
KR102242409B1 KR102242409B1 (ko) 2021-04-20

Family

ID=7524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428A KR102242409B1 (ko) 2019-09-19 2019-09-19 핵연료 판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4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98A (ko) * 2016-06-29 2018-01-08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지지체 분리 장치, 및 지지체 분리 방법
KR20190040109A (ko) * 2017-09-27 2019-04-17 한국원자력연구원 판형 핵연료 검사용 고정지그 및 이를 이용한 판형 핵연료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98A (ko) * 2016-06-29 2018-01-08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지지체 분리 장치, 및 지지체 분리 방법
KR20190040109A (ko) * 2017-09-27 2019-04-17 한국원자력연구원 판형 핵연료 검사용 고정지그 및 이를 이용한 판형 핵연료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409B1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30308A (ja) 曲げ機械
KR960041529A (ko) 다단식 쐐기형 잭장치
KR102242409B1 (ko) 핵연료 판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판 회수 방법
CN112952175B (zh) 用于压装燃料电池堆的压装机及压装方法
KR100794108B1 (ko) 비대칭 배열의 곡면 프레스 장치 및 방법과 그것의제작방법
KR100903662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CN210435268U (zh) 一种用于弹簧加工的强压装置
US5572896A (en) Strain path control in forming processes
US2734552A (en) yonash
JP2007075840A (ja) 膜集合体のホットプレス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KR102157367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소재 이송장치
CN108747899B (zh) 销钉式弹簧压紧装置
US3845654A (en) Die forming apparatus
CN114852701A (zh) 电池堆叠设备
CN214417939U (zh) 随动定位机构、上定位装置及激光焊接设备
US3908435A (en) Edge bending press
CN219542068U (zh) 用于电池与导板的激光焊接的定位与压紧装置
JP3486719B2 (ja) 板ばねのキャンバー成形機における可変型装置
CN212122119U (zh) 一种柔性材料支撑架的固定机构及激光加工设备
CN117207577B (zh) 一种能够解决电芯压痕问题的热压机
CN104741424A (zh) 处理机器及弯曲方法
CN220462765U (zh) 一种新能源汽车电池下箱体焊接工装
JP2007083290A (ja) プレス装置
CN218613883U (zh) 一种显示屏背板加工工装
CN220515314U (zh) 四柱式液压机弹簧去蠕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