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996A - 민트 오일을 안정화하기 위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 Google Patents

민트 오일을 안정화하기 위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996A
KR20210032996A KR1020217004170A KR20217004170A KR20210032996A KR 20210032996 A KR20210032996 A KR 20210032996A KR 1020217004170 A KR1020217004170 A KR 1020217004170A KR 20217004170 A KR20217004170 A KR 20217004170A KR 20210032996 A KR20210032996 A KR 20210032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carbonate
reacted calcium
weight
mint oi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릿 샤르마
타냐 버드
Original Assignee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filed Critical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03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09C1/021Calcium carbonates
    • C09C1/022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09C1/021Calcium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Cosmetic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1 내지 90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으로서, 민트 오일이 상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어 있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과, 민트 오일을 안정화하기 위한 상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민트 오일을 안정화하기 위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본 발명은, 0.1 내지 90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으로서, 민트 오일이 상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어 있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과, 민트 오일을 안정화하기 위한 상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민트 오일, 스피어민트 오일 및 페퍼민트 오일과 같은 민트 오일류는 리프레싱 및 쿨링 효과, 항균 효과, 착향성 및 소화 균형 촉진과 같은 몇 가지 이익을 갖는다. 따라서, 민트 오일류는 비누, 샴푸, 피부 관리 제품, 의약품, 담배, 치약, 소독제, 방충제, 식품, 음료 등의 제조에 있어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민트 오일류는 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성이 감소한다. 예를 들면, 민트 오일류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몇몇 성분은 비점이 매우 낮은 것이 특징이며,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실온에서 저장하는 경우, 오일로부터의 해당 성분이 제거된다. 또한, 이러한 오일은, 서로 반응할 수 있거나 화학적 전환을 겪어, 오일의 원하지 않는 향미 및 조성의 변화를 야기하는 반응성 성분을 함유한다.
상기의 관점에서, 특히 화학적 전환에 의해 유발되는 조성의 변화에 대한 민트 오일류의 개선된 안정화에 대한 당해 분야의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민트 오일의 안정화, 특히 화학적 전환에 대한 민트 오일의 안정화를 위한 작용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추가로, 민트 오일의 안정화를 위한 작용제는 입수가 용이하고 비독성이며 매우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중 하나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0.1 내지 90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으로서, 민트 오일이 상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어 있고, 상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과 이산화탄소 및 하나 이상의 H3O+ 이온 공여체의 반응 생성물이며, 상기 이산화탄소는 H3O+ 이온 공여체 처리에 의해 계내에서 형성되고/되거나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인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제공된다.
유리한 실시양태는 상응하는 종속항에서 정의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0.5 내지 50 μ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질소 및 BET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때, 15 m2/g 내지 200 m2/g, 바람직하게는 20 m2/g 내지 180 m2/g, 더 바람직하게는 25 m2/g 내지 160 m2/g의 비표면적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천연 중질 탄산칼슘은 대리석, 백악, 석회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경질 탄산칼슘은 아라고나이트, 배터라이트 또는 칼사이트 결정형을 갖는 경질 탄산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염산, 황산, 아황산, 인산, 시트르산, 옥살산, 산성 염, 아세트산, 포름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염산, 황산, 아황산, 인산, 옥살산; Li+, Na+ 및/또는 K+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되는 H2PO4 -; Li+, Na+, K+, Mg2+, 및/또는 Ca2+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되는 HPO4 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염산, 황산, 아황산, 인산, 옥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인산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분말의 형태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과립, 바람직하게는 체분별법(sieve fractioning)에 의해 측정할 때, 0.1 내지 6 m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mm,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4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mm 또는 1 mm 내지 4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 mm 또는 1 내지 2 m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를 갖는 과립의 형태이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민트 오일은 멘톨, 이소멘톤, 멘톤, 리모넨, 멘틸아세테이트, β-피넨, α-피넨, α-피네올, 이소풀레골, 피넨-4-올,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피페리톤 및 카리오필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민트 오일은 민트 오일, 스피어민트 오일, 페퍼민트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민트 오일의 안정화를 위한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용도가 제공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민트 오일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화학적 전환에 대하여 안정화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β-피넨, α-피넨, 리모넨, 이소풀레골,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6.0 중량%, 바람직하게는 ≥97.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9.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9.0 중량%, 바람직하게는 ≥99.5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0.0 중량%, 바람직하게는 ≥9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6.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4.0 중량%,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하기 용어는 하기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천연 중질 탄산칼슘"(GCC)은 천연 공급원, 예를 들면, 석회석, 대리석, 또는 백악으로부터 수득되고, 습식 및/또는 건식 처리, 예를 들면, 사이클론 또는 분급기에 의해, 예를 들면, 분쇄, 스크리닝 및/또는 분별을 통해 가공되는 탄산칼슘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경질 탄산칼슘"(PCC)은 수성, 반건조 또는 습한 환경에서 이산화탄소와 석회의 반응에 따른 침전에 의해, 또는 물 중에서 칼슘 및 탄산염 이온 공급원의 침전에 의해 얻어지는 합성된 물질이다. PCC는 배터라이트, 칼사이트 또는 아라고나이트 결정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PCC는, 예를 들면, 제EP 2 447 213 A1호, 제EP 2 524 898 A1호, 제EP 2 371 766 A1호, 제EP 1 712 597 A1호, 제EP 1 712 523 A1호, 또는 제WO 2013/142473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출원의 의미에서 용어 "표면 반응된"은 물질이 수성 환경에서 H3O+ 이온 공여체(예를 들면, 수용성 유리 산 및/또는 산성 염의 사용에 의해)에 의한 처리 시 상기 물질의 부분적 용해 후, 추가의 결정화 첨가제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발생할 수 있는 결정화 공정을 포함하는 공정을 거쳤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H3O+ 이온 공여체"는 브뢴스테드산 및/또는 산성염, 즉, 산성 수소를 함유한 염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산"은 브뢴스테드 및 로우리에 의한 정의의 의미에서의 산(예를 들면, H2SO4, HSO4 -)을 나타낸다.
용어 "유리 산"은 완전히 양성자화된 형태인 그러한 산(예를 들면, H2SO4)만을 나타낸다.
본원의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이외에 입자상 물질의 "입자 크기"는 이의 입자 크기 d x 분포에 의해 기재된다. 거기서, 값 d x 는 입자의 x 중량%가 d x 미만의 직경을 갖는 것인 직경을 나타낸다. 이는, 예를 들면, d 20 값은 모든 입자의 20 중량%가 그 입자 크기보다 작은 것인 입자 크기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d 50 값은 중량 중앙 입자 크기이고, 즉, 모든 입자의 50 중량%는 이 입자 크기보다 작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입자 크기는 중량 중앙 입자 크기 d 50(중량)으로 명시된다. 입자 크기는 마이크로메리틱스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Micromeritics Instrument Corporation)의 세디그래프(Sedigraph)™ 5100 기구 또는 세디그래프™ 5120 기구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방법 및 기구는 숙련가에게 알려져 있고, 충전제 및 안료의 입자 크기를 결정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측정은 0.1 중량% Na4P2O7의 수용액 중에서 수행하였다.
본원의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입자 크기"는 부피 기반의 입자 크기 분포로서 기재된다.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은 말번 매스터사이저(Malvern Mastersizer) 2000 레이저 회절 시스템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말번 매스터사이저 2000 레이저 회절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된 d 50 또는 d 98 값은 각각 입자의 50 부피% 또는 98 부피%가 그 값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인 직경을 나타낸다. 미가공 데이터는 1.57의 입자 굴절률 및 0.005의 흡수 지수로 미(Mie) 이론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본 출원의 의미에서 용어 "입자상"은 복수의 입자로 구성된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복수의 입자는, 예를 들면, 이의 입자 크기 분포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표현 "입자상 물질"은 과립, 분말, 그레인, 태블릿, 또는 크럼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 전반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물질의 "비표면적"(m2/g으로 표시)은 흡착 기체로서 질소 및 마이크로메리틱스(Micromeritics)로부터의 ASAP 2460 장치를 사용하여 브루나우어 에머트 텔러(BET: Brunauer Emmett Teller)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숙련가에게 잘 알려져 있고, ISO 9277:2010에서 정의된다. 샘플은 측정 전 100℃에서 진공하에 30분의 기간 동안 컨디셔닝된다. 상기 물질의 총 표면적(m2)은 물질의 비표면적(m2/g)과 질량(g)의 곱하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기공"은 입자 사이 및/또는 입자 내에 있는 공간, 즉, 입자들이 분말 또는 컴팩트 및/또는 다공성 입자 내의 빈 공간(입자내 기공)에서와 같이 서로 가장 가까운 이웃 접촉하에 함께 쌓임으로써 형성되고, 액체에 의해 포화될 때 압력하에 액체의 통과를 허용하고/거나 표면 습윤 액체의 흡수를 지지하는 공간을 기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건조"는 이에 따라 건조되는 물질로부터 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수득된 "건조된" 물질의 일정한 중량이 120℃에서 도달되는 공정을 나타낸다.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건조된" 또는 "건조" 물질은 건조된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07 중량%인 이의 총 수분 함량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하여, "수불용성" 물질은 탈이온수 100 ml와 혼합하고 20℃에서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하는 경우, 상기 여과액 100 g의 95 내지 100℃에서의 증발 후 0.1 g 이하의 회수된 고체 물질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정의된다. "수용성" 물질은 상기 여과액 100 g의 95 내지 100℃에서의 증발 후 0.1 g 초과의 고체 물질의 회수를 가져오는 물질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물질이 수불용성 또는 수용성 물질인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샘플 크기는 0.1 g 초과, 바람직하게는 0.5 g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현탁액" 또는 "슬러리"는 용해되지 않은 고체 및 물, 및 임의로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다량의 고체를 함유하고, 따라서, 이것이 형성된 액체보다 더 점성이 있으며 더 높은 밀도일 수 있다.
단수 명사를 지칭할 때 부정관사 또는 정관사, 예를 들면, "a", "an" 또는 "the"가 사용되는 경우, 달리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이는 복수의 명사를 포함한다.
용어 "포함하는"이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는 다른 요소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구성되는"은 용어 "포함하는"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인 것으로 간주된다. 하기에서 하나의 군이 적어도 특정한 수의 실시양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경우, 이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오직 이들 실시양태로만 구성된 군을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수득 가능한" 또는 "정의 가능한" 및 "수득된" 또는 "정의된"과 같은 용어는 상호교환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는, 문맥이 달리 명확하게 기재되지 않는 한, 이러한 제한된 이해가 항상 바람직한 실시양태로서 용어 "수득된" 또는 "정의된"에 의해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용어 "수득된"은 실시양태가, 예를 들면, 용어 "수득된"에 따른 단계의 순서에 의해 수득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용어 "포함하는(including)" 또는 "갖는"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언제나, 이들 용어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포함하는(comprising)"과 동등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기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더 상세하게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0.1 내지 90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으로서, 민트 오일이 상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어 있고, 상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과 이산화탄소 및 하나 이상의 H3O+ 이온 공여체의 반응 생성물이며, 이산화탄소는 H3O+ 이온 공여체 처리에 의해 계내에서 형성되고/되거나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인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a) 천연 또는 경질 탄산칼슘의 현탁액을 제공하는 단계, (b) 20℃에서 0 이하의 pKa 값을 갖거나 20℃에서 0 내지 2.5의 pKa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산을 단계 a)의 현탁액에 가하는 단계, 및 (c) 단계 (b) 전, 동안 또는 후에 단계 (a)의 현탁액을 이산화탄소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A) 천연 또는 경질 탄산칼슘을 제공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산을 제공하는 단계, (C) 기체상 CO2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A)의 천연 또는 경질 탄산칼슘과 단계 (B)의 적어도 하나의 산을 단계 (C)의 CO2와 접촉시키는 단계로서, (i) 단계 B)의 적어도 하나의 산은 이의 제1 유효 수소의 이온화와 관련하여 20℃에서 2.5 초과 내지 7 이하의 pKa를 갖고, 상응하는 음이온이 수용성 칼슘염을 형성할 수 있는 이러한 제1 유효 수소의 손실 시 형성되고, (ii) 적어도 하나의 산과 천연 또는 경질 탄산칼슘의 접촉 후, 수소 함유 염이 제1 유효 수소의 이온화와 관련하여 20℃에서 7 초과의 pKa를 갖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염, 및 수불용성 칼슘염을 형성할 수 있는 염 음이온이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천연 중질 탄산칼슘"(GCC)은, 바람직하게는 대리석, 백악, 석회석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광물을 함유하는 탄산칼슘으로부터 선택된다. 천연 중질 탄산칼슘은 탄산마그네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등과 같은 천연 발생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 중질 탄산칼슘의 분쇄는 건식 또는 습식 분쇄 단계일 수 있고, 임의의 통상적인 분쇄 장치에 의해, 예를 들면, 분쇄가 주로 2차 본체와의 충격으로부터 야기되도록 하는 조건하에, 즉, 볼 밀, 로드 밀, 롤 크러셔, 원심분리 충격 밀, 수직 비드 밀, 마모 밀, 핀 밀, 해머 밀, 풀버라이저(pulveriser), 파쇄기, 데클럼퍼(de-clumper), 절단기, 또는 숙련가에게 알려진 기타 이러한 장비 중 하나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광물 물질이 습식 중질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광물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분쇄 단계는 자생 분쇄가 발생하도록 하는 조건하에 및/또는 수평 볼 밀 및/또는 숙련가에게 공지된 기타 이러한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수득된 습식 가공된 분쇄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광물 물질은 건조 전에 잘 알려진 공정에 의해, 예를 들면, 응집, 여과 또는 강제 증발에 의해 세척 및 탈수될 수 있다. 후속적인 건조 단계(필요한 경우)는 분무 건조와 같은 단일 단계로 또는 적어도 2개의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물 물질에 선광 단계(예를 들면, 부유, 표백 또는 자력 분리 단계)를 수행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흔하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경질 탄산칼슘"(PCC)은 일반적으로 수성 환경에서 이산화탄소와 수산화칼슘의 반응 후 침전에 의해 또는 용액 중에서 칼슘 및 탄산염 이온, 예를 들면, CaCl2 및 Na2CO3의 첨전에 의해 수득된, 합성된 물질이다. 추가의 가능한 PCC 제조 방법은 석회 소다 공정, 또는 PCC가 암모니아 생산의 부산물인 솔베이(Solvay) 공정이다. 경질 탄산칼슘은 칼사이트, 아라고나이트 및 배터라이트인 세 가지 주요 결정질 형태로 존재하고, 이들 결정질 형태의 각각에 대하여 많은 상이한 다형체(결정 습성)가 존재한다. 칼사이트는 편삼각면체(S-PCC), 능면체(R-PCC), 육각 기둥, 피나코이드, 콜로이드(C-PCC), 입방체, 및 각기둥(P-PCC)과 같은 전형적인 결정 습성을 갖는 삼각형 구조이다. 아라고나이트는 쌍정 육각 기둥 결정 뿐만 아니라 얇게 늘어진 기둥, 곡면 날개, 가파른 피라미드, 끌 형상 결정, 분기 나무, 및 산호 또는 곤충 유사 형태의 다양한 모음의 전형적인 결정 습성을 갖는 사방정계 구조이다. 배터라이트는 육방정계에 속한다. 수득된 PCC 슬러리는 기계적으로 탈수되고 건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경질 탄산칼슘은 바람직하게는 아라고나이트, 배터라이트 또는 칼사이트 광물학적 결정형을 포함하는 경질 탄산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경질 탄산칼슘은 이산화탄소 및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에 의한 처리 전에 상기 기재된 바와 동일한 천연 탄산칼슘의 분쇄에 사용되는 수단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은 0.05 내지 10.0 μ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3.0 μm의 중량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입자 형태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은 0.15 내지 30 μm,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5 μm,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μm, 특히 1.6 μm의 중량 탑 컷(top cut) 입자 크기 d 98을 갖는 입자 형태이다.
천연 중질 탄산칼슘 및/또는 경질 탄산칼슘은 건조하게 사용되거나 물 중에 현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슬러리는 슬러리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9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6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25 중량% 범위의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의 함량을 갖는다.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제조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H3O+ 이온 공여체는 제조 조건하에 H3O+ 이온을 생성하는 임의의 강산, 중강산, 또는 약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또한 제조 조건하에 H3O+ 이온을 생성하는 산성염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20℃에서 0 이하의 pKa를 갖는 강산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20℃에서 0 내지 2.5의 pKa 값을 갖는 중강산이다. 20℃에서 pKa가 0 이하인 경우, 산은 바람직하게는 황산, 염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20℃에서 pKa가 0 내지 2.5인 경우, H3O+ 이온 공여체는 바람직하게는 H2SO3, H3PO4, 옥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또한 산성염, 예를 들면, Li+, Na+ 또는 K+와 같은 상응하는 양이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되는 HSO4 - 또는 H2PO4 -; 또는 Li+, Na+, K+, Mg2+ 또는 Ca2+와 같은 상응하는 양이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되는 HPO4 2-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또한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산성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제1 유효 수소의 이온화와 관련하여, 20℃에서 측정 시 2.5 초과 내지 7 이하의 pKa 값을 갖고, 수용성 칼슘염을 형성할 수 있는 상응하는 양이온을 갖는, 약산이다. 후속적으로, 수소 함유 염이, 제1 유효 수소의 이온화와 관련하여, 20℃에서 측정 시 7 초과의 pKa를 갖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염, 및 수불용성 칼슘염을 형성할 수 있는 염 음이온이 추가로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약산은 20℃에서 2.5 초과 내지 5의 pKa 값을 갖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산은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판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수용성 염의 예시적인 양이온은 칼륨, 나트륨, 리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양이온은 나트륨 또는 칼륨이다. 상기 수용성 염의 예시적인 음이온은 포스페이트, 인산이수소, 인산일수소, 옥살레이트, 실리케이트, 이들의 혼합물 및 이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음이온은 포스페이트, 인산이수소, 인산일수소, 이들의 혼합물 및 이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음이온은 인산이수소, 인산일수소, 이들의 혼합물 및 이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수용성 염 첨가는 적가로 수행되거나 하나의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적가의 경우, 이러한 첨가는 바람직하게는 10분의 시간 내에 수행된다. 상기 염은 하나의 단계로 첨가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염산, 황산, 아황산, 인산, 시트르산, 옥살산, 산성 염, 아세트산, 포름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염산, 황산, 아황산, 인산, 옥살산; Li+, Na+ 또는 K+와 같은 상응하는 양이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되는 H2PO4 -; Li+, Na+, K+, Mg2+, 또는 Ca2+와 같은 상응하는 양이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되는 HPO4 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산은 염산, 황산, 아황산, 인산, 옥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인산이다.
하나 이상의 H3O+ 이온 공여체는 농축된 용액 또는 더 희석된 용액으로서 현탁액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또는 경질 탄산칼슘에 대한 H3O+ 이온 공여체의 몰비는 0.01 내지 4, 더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8이다.
대안으로서, 천연 또는 경질 탄산칼슘이 현탁되기 전에 H3O+ 이온 공여체를 물에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단계에서,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은 이산화탄소로 처리된다. 강산, 예를 들면, 황산 또는 염산이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의 H3O+ 이온 공여체 처리에 사용되는 경우, 이산화탄소는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이산화탄소는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H3O+ 이온 공여체 처리 및 이산화탄소 처리는 강산 또는 중강산이 사용되는 경우에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먼저 H3O+ 이온 공여체 처리를, 예를 들면, 20℃에서 0 내지 2.5 범위의 pKa를 갖는 중강산에 의해 수행하고, 여기서 이산화탄소는 계내에서 형성되고, 따라서, 이산화탄소 처리는 H3O+ 이온 공여체 처리와 동시에 수행될 것이고, 그 다음,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이산화탄소에 의한 추가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현탁액 중의 기체상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부피에 관하여 (현탁액의 부피):(기체상 CO2의 부피)의 비가 1:0.05 내지 1: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5 내지 1:5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H3O+ 이온 공여체 처리 단계 및/또는 이산화탄소 처리 단계는 적어도 1회, 더 바람직하게는 수회 반복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적어도 약 5분, 전형적으로 약 5 내지 약 30분의 의 기간 동안 첨가된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는 약 30분, 바람직하게는 약 45분, 때때로 약 1시간 이상의 기간 동안 첨가된다.
H3O+ 이온 공여체 처리 및 이산화탄소 처리에 후속적으로, 20℃에서 측정된 수성 현탁액의 pH는 6.0 초과, 바람직하게는 6.5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7.0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7.5 초과의 값에 자연적으로 도달하고, 이에 따라 6.0 초과, 바람직하게는 6.5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7.0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7.5 초과의 pH를 갖는 수성 현탁액으로서 표면 반응된 천연 또는 경질 탄산칼슘이 제조된다.
H3O+ 이온 공여체 처리 및 이산화탄소 처리는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H3O+ 이온 공여체 처리 및 이산화탄소 처리는 실온 또는 상승된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H3O+ 이온 공여체 처리 및 이산화탄소 처리가 상승된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예를 들면, 60 내지 80℃ 범위이다.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의 제조에 대한 추가의 세부사항은 제WO 00/39222 A1호, 제WO 2004/083316 A1호, 제WO 2005/121257 A2호, 제WO 2009/074492 A1호, 제EP 2 264 108 A1호, 제EP 2 264 109 A1호 및 제US 2004/0020410 A1호에 개시되고, 이들 참조의 내용은 본 출원에 포함된다.
유사하게, 표면 반응된 경질 탄산칼슘이 수득된다. 제WO 2009/074492 A1호로부터 세부사항을 얻을 수 있는 바와 같이, 표면 반응된 경질 탄산칼슘은 경질 탄산칼슘을 H3O+ 이온 및 수성 매질 중에 가용화되고 수불용성 칼슘염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과 접촉시켜, 표면 반응된 경질 탄산칼슘의 슬러리를 형성함으로써 수득되고, 여기서 상기 표면 반응된 경질 탄산칼슘은 경질 탄산칼슘의 적어도 부분의 표면 상에 형성된 상기 음이온의 불용성인,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질인 칼슘염을 포함한다.
상기 가용화된 칼슘 이온은, H3O+ 이온에 의한 경질 탄산칼슘의 용해 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가용화된 칼슘에 대하여 과잉의 가용화된 칼슘 이온에 상응하고, 여기서 상기 H3O+ 이온은 음이온의 반대이온의 형태로 단독으로 제공되고, 즉, 산 또는 비칼슘 산성염의 형태인 음이온의 첨가를 통해, 임의의 추가의 칼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 생성원의 부재하에 제공된다.
상기 과잉의 가용화된 칼슘 이온은, 바람직하게는 가용성 중성 또는 산성 칼슘염의 첨가, 또는 가용성 중성 또는 산성 칼슘염을 계내에서 생성하는 산 또는 중성 또는 산성 비칼슘염의 첨가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H3O+ 이온은 상기 음이온의 산 또는 산성염의 첨가 또는 상기 과잉의 가용화된 칼슘 이온 전부 또는 일부를 동시에 제공하는 산 또는 산성염의 첨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표면 반응된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의 제조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은 실리케이트,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알칼리 토류 알루미네이트, 예를 들면, 나트륨 또는 칼륨 알루미네이트, 산화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존재하에 산 및/또는 이산화탄소와 반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실리케이트는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또는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성분은 산 및/또는 이산화탄소를 첨가하기 전에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수성 현탁액에 첨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실리케이트 및/또는 실리카 및/또는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알칼리 토류 알루미네이트 및/또는 산화마그네슘 성분(들)은 천연 또는 경질 탄산칼슘의 수성 현탁액에 첨가될 수 있고, 그 동안 천연 또는 경질 탄산칼슘과 산 및 이산화탄소의 반응은 이미 시작되었다. 적어도 하나의 실리케이트 및/또는 실리카 및/또는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알칼리 토류 알루미네이트 성분(들)의 존재하에 표면 반응된 천연 또는 경질 탄산칼슘의 제조에 대한 추가의 세부사항은 제WO 2004/083316 A1호에 개시되고, 이러한 참조의 내용은 본 출원에 포함된다.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임의로 분산제에 의해 추가로 안정화된 현탁액 중에 유지될 수 있다. 숙련가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분산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분산제는 폴리아크릴산 및/또는 카복시메틸셀룰로스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기재된 수성 현탁액은 건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체(즉, 유체 형태가 아닌, 건조하거나 소량의 물을 함유한) 표면 반응된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을 과립 또는 분말의 형태로 수득할 수 있다.
그러나,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분말의 형태인 경우에 유리하게 개선된다.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상이한 입자 형상, 예를 들면, 장미, 골프공 및/또는 뇌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질소 및 BET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때, 15 m2/g 내지 200 m2/g, 바람직하게는 20 m2/g 내지 180 m2/g,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m2/g 내지 160 m2/g의 비표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BET 비표면적은 입자의 질량으로 나눈 입자의 표면적으로서 정의된다. 거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비표면적은 BET 등온선(ISO 9277:2010)을 사용하여 흡착에 의해 측정되고 m2/g로 명시된다.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0.1 내지 90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다는 것은 본 발명의 필요조건이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0.1 내지 75 μ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0.1 내지 90 μm,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5 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분말의 형태이다.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입자는 2 내지 150 m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0 mm,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0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6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mm의 부피 탑 컷 입자 크기 d 98을 갖는 것이 추가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과립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과립"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응집물이고, 0.1 내지 6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0.1 내지 6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과립은 0.1 내지 90 μ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1차 입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과립은 체분별법에 의해 측정할 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4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mm 또는 1 mm 내지 4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 mm 또는 1 내지 2 m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를 갖고, 0.1 내지 90 μ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1차 입자를 포함한다.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과립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과립이 먼저 제조된 다음, 과립에 민트가 로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d x 는 입자의 x%가 d x 미만의 직경을 갖는 것인 직경을 나타낸다. 이는 d 98 값은 모든 입자의 98%가 더 작은 입자 크기인 것을 의미한다. d 98 값은 또한 "탑 컷"으로서 불린다. d x 값은 부피 또는 중량 퍼센트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d 50(중량) 값은 중량 중앙 입자 크기이고, 즉, 모든 입자의 50 중량%는 이 입자 크기보다 작고, d 50(부피) 값은 부피 중앙 입자 크기이고, 즉, 모든 입자의 50 부피%는 이 입자 크기보다 작다.
부피 중앙 입자 직경 d 50은 말번 매스터사이저 2000 레이저 회절 시스템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말번 매스터사이저 2000 레이저 회절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할 때 d 50 또는 d 98 값은 입자의 50 부피% 또는 98 부피%가 각각 이 값 미만의 직경을 갖도록 하는 직경 값을 나타낸다. 측정에 의해 얻은 미가공 데이터는 1.57의 입자 굴절률 및 0.005의 흡수 지수로 미 이론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중량 중앙 입자 직경은 침강 방법에 의해 측정되고, 이는 중량측정장(gravimetric field)에서의 침강 거동의 분석이다. 측정은 세디그래프™ 5100 또는 5120, 마이크로메리틱스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에 의해 수행된다. 방법 및 장치는 숙련가에게 알려져 있고, 충전제 및 안료의 입자 크기를 결정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측정은 0.1 중량% Na4P2O7의 수용액 중에서 수행한다. 샘플을 고속 교반기를 사용하여 분산하고 초음파처리하였다.
공정 및 장치는 숙련가에게 알려져 있고, 충전제 및 안료의 입자 크기를 결정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기공 비부피는 0.004 μm(~ nm)의 라플라스 목 직경과 동등한, 414 MPa(60 000 psi)의 수은의 최대 인가 압력을 갖는, 마이크로메리틱스 오토포어(Micromeritics Autopore) V 9620 수은 기공측정기를 사용하는 수은 침입 기공률 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각각의 압력 단계에서 사용된 평형 시간은 20초이다. 샘플 물질은 분석을 위하여 5 cm3 챔버 분말 투과도계에 밀봉된다. 데이터는 소프트웨어 포어콤프(Pore-Comp)를 사용하여 수은 압축, 투과도계 팽창 및 샘플 물질 압축에 대하여 수집된다(Gane, P.A.C., Kettle, J.P., Matthews, G.P. and Ridgway, C.J., "Void Space Structure of Compressible Polymer Spheres and Consolidated Calcium Carbonate Paper-Coating Formulations",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35(5), 1996, p. 1753-1764).
누적 침입 데이터에서 나타난 총 기공 부피는 214 μm로부터 약 1 - 4 μm에 이르는 침입 데이터와 함께 2개의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고, 이는 임의의 응집물 구조 사이의 샘플의 조대 팩킹이 강하게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직경 미만은 입자 그 자체의 미세한 입자간 팩킹에 있다. 이들이 또한 입자내 기공을 갖는 경우, 이 영역은 바이모달로 나타내고, 모드 터닝 포인트보다 더 미세한, 즉, 굴절의 바이모달 포인트보다 더 미세한 기공으로 수은에 의해 칩입 기공 비부피를 얻음으로써, 입자내 기공 비부피가 정의된다. 이러한 세 가지 영역의 합은 분말의 총 전체 기공 부피를 제공하지만, 이는 분포의 조대 기공 말단에서 분말의 원래 샘플 압밀/침전에 따라 강하게 좌우된다.
누적 침입 곡선의 1차 도함수를 구함으로써, 기공 차폐를 필연적으로 포함하는, 동등한 라플라스 직경을 기반으로 한 기공 크기 분포가 드러난다. 차별적인 곡선은 명백하게 조대 응집물 기공 구조 영역, 입자간 기공 영역 및, 존재하는 경우, 입자내 기공 영역을 나타낸다. 입자내 기공 직경 범위를 알면, 나머지 입자간 및 응집물간 기공 부피를 총 기공 부피로부터 차감하여, 단위 질량당 기공 부피(기공 비부피)의 관점에서 내부 기공 단독의 원하는 기공 부피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동일한 차감 원리는 관심있는 임의의 다른 기공 크기 영역을 격리하는 데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수은 기공률 측정법으로부터 계산된, 0.1 내지 2.3 cm3/g, 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0 cm3/g, 특히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8 cm3/g, 가장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6 cm3/g 범위의 입자내 칩입 기공 비부피를 갖는다.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입자내 기공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수은 기공률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는, 0.004 내지 1.6 μm, 더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3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6 내지 1.15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7 내지 1.0 μm, 예를 들면, 0.004 내지 0.16 μm 범위이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1.5 내지 15 μ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 질소 및 BET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때, 30 내지 140 m2/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m2/g의 비표면적; 및 수은 기공률 측정법으로부터 계산된, 0.2 내지 2.0 cm3/g,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6 cm3/g의 입자내 칩입 기공 비부피를 갖는다.
예를 들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1.5 내지 15 μ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 질소 및 BET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때, 30 내지 140 m2/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m2/g의 비표면적; 및 수은 기공률 측정법로부터 계산된, 0.2 내지 2.0 cm3/g,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6 cm3/g의 입자내 칩입 기공 비부피를 갖는 분말의 형태이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적어도 하나의 산의 음이온의 수불용성,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질인 칼슘염을 포함하고, 이는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산의 음이온의 수불용성,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질인 염은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덮는다.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에 따라, 음이온은 설페이트, 설파이트,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아세테이트, 포르미에이트 및/또는 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H3O+ 이온 공여체로서 인산, H2PO4 - 또는 HPO4 2-의 사용은 하이드록실아파타이트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칼슘염은 하이드록실아파타이트이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칼슘염은 하이드록실아파타이트이고, 여기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1:99 내지 99:1 중량 범위의 칼사이트, 아라고나이트 및/또는 배터라이트, 바람직하게는 칼사이트에 대한 하이드록실아파타이트의 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1:9 내지 9:1,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8:1,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1, 가장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7:1 중량 범위의 칼사이트, 아라고나이트 및/또는 배터라이트, 바람직하게는 칼사이트에 대한 하이드록실아파타이트의 비를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H3O+ 이온 공여체의 사용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의 적어도 부분 위에 탄산칼슘이 아닌 상응하는 수불용성 칼슘염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칼슘염은 옥타칼슘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실아파타이트, 크로르아파타이트, 플루오르아파타이트, 카보네이트 아파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1:99 내지 99:1,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9:1, 더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8: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1, 가장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7:1 중량 범위의 칼사이트, 아라고나이트 및/또는 배터라이트, 바람직하게는 칼사이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칼슘염의 비를 나타낸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i) ISO 9277:2010에 따라 질소 및 BET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15 내지 200 m2/g의 비표면적, 및
(ii) 수은 기공률 측정법으로부터 계산된 0.1 내지 2.3 cm3/g 범위의 입자내 칩입 기공 비부피
를 포함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본원에 정의되는 바와 같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민트 오일을 안정화시킨다는 것이 발견하였다. 다시 말해서,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경우, 민트 오일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화학적 전환에 대하여 안정화된다.
따라서,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하나의 필요조건이다. 바람직하게는, 민트 오일은 특정한 양으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민트 오일의 양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중량% 범위이다. 예를 들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민트 오일의 양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100 중량% 범위이다.
민트 오일은 숙련가에게 알려져 있고 이용 가능한 임의의 민트 오일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민트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민트 오일, 스피어민트 오일, 페퍼민트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민트 오일은 스피어민트 오일 또는 페퍼민트 오일이다. 예를 들면, 민트 오일은 페퍼민트 오일이다.
민트 오일은 일반적으로 이것이 상이한 화합물의 복합 혼합물을 포함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물의 특정한 종류, 상응하는 식물이 성장하는 장소 및 식물로부터 오일을 수득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민트 오일의 조성은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민트 오일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화합물은 멘톨, 이소멘톤, 멘톤, 리모넨, 멘틸아세테이트, β-피넨, α-피넨, α-피네올, 이소풀레골, 피넨-4-올,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피페리톤 및/또는 카리오필렌을 포함한다.
따라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민트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멘톨, 이소멘톤, 멘톤, 리모넨, 멘틸아세테이트, β-피넨, α-피넨, α-피네올, 이소풀레골, 피넨-4-올,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피페리톤 및 카리오필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민트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멘톨, 이소멘톤, 멘톤, 리모넨, 멘틸아세테이트, β-피넨, α-피넨, α-피네올, 이소풀레골, 테르피넨-4-올,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피페리톤 및 카리오필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3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민트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멘톨, 이소멘톤, 멘톤, 리모넨, 멘틸아세테이트, β-피넨, α-피넨, α-테르피네올, 이소풀레골, 테르피넨-4-올,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피페리톤 및 카리오필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5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민트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멘톨, 이소멘톤, 멘톤, 리모넨, 멘틸아세테이트, β-피넨, α-피넨, α-테르피네올, 이소풀레골, 테르피넨-4-올,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피페리톤 및 카리오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든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미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민트 오일은 전형적으로 화합물의 복합 혼합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민트 오일은 멘톨, 이소멘톤, 멘톤, 리모넨, 멘틸아세테이트, β-피넨, α-피넨, α-테르피네올, 이소풀레골, 테르피넨-4-올,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피페리톤 및/또는 카리오필렌과 상이한 추가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존재하는 경우, 멘톨, 이소멘톤, 멘톤, 리모넨, 멘틸아세테이트, β-피넨, α-피넨, α-테르피네올, 이소풀레골, 테르피넨-4-올,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피페리톤 및 카리오필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은, 민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GC-MS에 의해 측정된, 민트 오일 중에 적어도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의 총량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특히 민트 오일을 안정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민트 오일의 안정화를 위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용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민트 오일을 안정화하는"은 민트 오일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화학적 전환에 대하여 안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민트 오일의 조성의 변화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지 않는 민트 오일과 비교하여 감소하고, 즉, 동일한 화합물이 검출된다. 추가로, 민트 오일 중에 존재하는 특정한 화합물의 양의 변화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지 않는 민트 오일과 비교하여 감소한다.
표현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민트 오일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들)이 화학적 전환에 대하여 안정화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하나의 화합물이어도 좋다는 점을 언급한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2종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5종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화학적 전환에 대하여 안정화되는 민트 오일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민트 오일 중에 전형적으로 존재하는 화합물, 즉, 멘톨, 이소멘톤, 멘톤, 리모넨, 멘틸아세테이트, β-피넨, α-피넨, α-테르피네올, 이소풀레골, 테르피넨-4-올,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피페리톤 및 카리오필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의 더 낮은 안정성으로 인하여, 특정한 화합물은 화학적 전환의 더 높은 경향성을 갖고, 따라서 민트 오일 중에 존재하는 다른 화합물보다 더 낮은 안정성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언급한다. 따라서, 화학적 전환에 대하여 안정화되는 민트 오일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β-피넨, α-피넨, 리모넨, 이소풀레골,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β-피넨, α-피넨, 리모넨, 이소풀레골,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민트 오일의 2종 이상의 화합물은 화학적 전환에 대하여 안정화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모든 화합물, 즉, β-피넨, α-피넨, 리모넨, 이소풀레골, 네오이소풀레골 및 풀레곤의 혼합물은 화학적 전환에 대하여 안정화된다.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6.0 중량%, 바람직하게는 ≥97.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9.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9.0 중량%, 바람직하게는 ≥99.5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a)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6.0 중량%, 바람직하게는 ≥97.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99.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및
b)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9.0 중량%, 바람직하게는 ≥99.5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0.0 중량%, 바람직하게는 ≥9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6.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4.0 중량%,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a)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0.0 중량%, 바람직하게는 ≥9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6.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및
b)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4.0 중량%,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a)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6.0 중량%, 바람직하게는 ≥97.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9.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및
b)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0.0 중량%, 바람직하게는 ≥9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6.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a)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9.0 중량%, 바람직하게는 ≥99.5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및
b)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4.0 중량%,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a)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6.0 중량%, 바람직하게는 ≥97.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9.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b)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9.0 중량%, 바람직하게는 ≥99.5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c)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0.0 중량%, 바람직하게는 ≥9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6.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및
d)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4.0 중량%,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
에 관한 것이다.
회수율은, GC-MS에 의해 측정된, 민트 오일 중의 멘톨, 이소멘톤, 멘톤, 리모넨, 멘틸아세테이트, β-피넨, α-피넨, α-테르피네올, 이소풀레골, 테르피넨-4-올,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피페리톤 및 카리오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든 화합물의 양에 관련되는 것임을 언급한다.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0.1 내지 90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0.1 내지 75 μ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0.1 내지 90 μm,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5 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분말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과립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과립"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응집물이고, 0.1 내지 6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0.1 내지 6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과립은 0.1 내지 90 μ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1차 입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과립은 체분별법에 의해 측정할 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4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mm 또는 1 mm 내지 4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 mm 또는 1 내지 2 m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를 갖고, 0.1 내지 90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1차 입자를 포함한다.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분말의 형태인 경우에 유리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라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0.1 내지 90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용도는 특정한 응용분야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0.1 내지 90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비누, 샴푸, 피부 관리 제품, 의약품, 담배, 치약, 소독제, 방충제, 츄잉 껌, 단 음식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식품, 차, 시럽 및 농축액과 같은 음료 등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0.1 내지 90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임의의 적합한 액체 또는 건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분말 및/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현탁액은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과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또는 에탄올, 예를 들면, 물과 혼합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또는 에탄올과 혼합되는,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임의의 형태, 예를 들면, 현탁액, 슬러리, 분산액, 페이스트, 분말, 습윤 필터 케이크 또는 압축 또는 과립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분말로서 제공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물과 혼합된다.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현탁액, 바람직하게는 수성 현탁액의 고체 함량은 현탁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8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민트 오일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건조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수분 함량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수분 함량은, 예를 들면,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수분 함량은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07 중량%일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순수한 민트 오일의 크로마토그램을 보여준다.
도 2는 실온에서 저장된, 로딩된 샘플 및 민트 오일의 시간에 따른 결과의 비교를 보여준다.
도 3은 40℃에서 저장된, 로딩된 샘플 및 민트 오일의 결과의 비교를 보여준다.
도 4는 40℃에서 93일 동안 저장한 후의 크로마토그램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이익은 하기 실시예를 기반으로 더 잘 이해될 것이고,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양태를 설명하는 것을 의도하고 비제한적이다.
실시예
1. 측정 방법
이하에서는, 실시예에서 실시된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입자 크기 분포
부피 결정 중앙 입자 크기 d 50(부피) 및 부피 결정 탑 컷 입자 크기 d 98(부피)은 말번 매스터사이저 2000 레이저 회절 시스템(Malvern Instruments Plc., 영국 소재)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d 50(부피) 또는 d 98(부피) 값은 입자의 각각 50 부피% 또는 98 부피%가 이 값 미만의 직경을 갖는 것인 직경 값을 나타낸다. 측정에 의해 얻은 미가공 데이터는 1.57의 입자 굴절률 및 0.005의 흡수 지수로 미 이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및 장치는 숙련가에게 알려져 있고, 충전제 및 안료의 입자 크기 분포를 결정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중량 결정 중앙 입자 크기 d 50(중량)은 침강 방법에 의해 측정되고, 이는 중량측정장에서의 침강 거동의 분석이다. 측정은 마이크로메리틱스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미국 소재)의 세디그래프™ 5100 또는 5120에 의해 수행된다. 방법 및 장치는 숙련가에게 알려져 있고, 충전제 및 안료의 입자 크기를 결정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측정은 0.1 중량% Na4P2O7의 수용액 중에서 수행한다. 샘플을 고속 교반기를 사용하여 분산하고 초음파처리하였다.
비표면적(SSA)
비표면적은 250℃에서 30분의 기간 동안 가열하여 샘플을 컨디셔닝한 후, 질소를 사용하여 ISO 9277에 따른 BET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 전에, 샘플을 부흐너 깔대기에서 여과하고, 탈이온수로 헹구고, 오븐에서 90 내지 100℃에서 밤새 건조하였다. 후속적으로, 건조 케이크는 막자사발에서 완전히 분쇄하고, 수득된 분말을 일정한 중량이 도달될 때까지 130℃에서 수분 측정기에 놓았다.
입자내 칩입 기공 비부피(cm 3 /g)
기공 비부피는 0.004 μm(~ nm)의 라플라스 목 직경과 동등한, 414 MPa(60 000 psi)의 수은의 최대 인가 압력을 갖는, 마이크로메리틱스 오토포어 V 9620 수은 기공측정기를 사용하는 수은 침입 기공률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압력 단계에서 사용된 평형 시간은 20초였다. 샘플 물질을 분석을 위하여 5 cm3 챔버 분말 투과도계에 밀봉하였다. 데이터는 소프트웨어 포어콤프를 사용하여 수은 압축, 투과도계 팽창 및 샘플 물질 압축에 대하여 수집하였다(Gane, P.A.C., Kettle, J.P., Matthews, G.P. and Ridgway, C.J., "Void Space Structure of Compressible Polymer Spheres and Consolidated Calcium Carbonate Paper-Coating Formulations",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35(5), 1996, p. 1753-1764).
누적 침입 데이터에서 나타난 총 기공 부피는 214 μm로부터 약 1 - 4 μm에 이르는 침입 데이터와 함께 2개의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고, 이는 임의의 응집물 구조 사이의 샘플의 조대 팩킹이 강하게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직경 미만은 입자 그 자체의 미세한 입자간 팩킹에 있다. 이들이 또한 입자내 기공을 갖는 경우, 이 영역은 바이모달로 나타나고, 모드 터닝 포인트보다 더 미세한, 즉, 굴절의 바이모달 포인트보다 더 미세한 기공으로 수은에 의해 칩입 기공 비부피를 얻음으로써, 입자내 기공 비부피가 정의된다. 이러한 세 가지 영역의 합은 분말의 총 전체 기공 부피를 제공하지만, 이는 분포의 조대 기공 말단에서 분말의 원래 샘플 압밀/침전에 따라 강하게 좌우된다.
누적 침입 곡선의 1차 도함수를 수득함으로써, 기공 차폐를 필연적으로 포함하는, 동등한 라플라스 직경을 기반으로 한 기공 크기 분포가 드러난다. 차별적인 곡선은 명백하게 조대 응집물 기공 구조 영역, 입자간 기공 영역 및, 존재하는 경우, 입자내 기공 영역을 나타낸다. 입자내 기공 직경 범위를 알면, 나머지 입자간 및 응집물간 기공 부피를 총 기공 부피로부터 차감하여, 단위 질량당 기공 부피(기공 비부피)의 관점에서 내부 기공 단독의 원하는 기공 부피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동일한 차감 원리는 관심있는 임의의 다른 기공 크기 영역을 격리하는 데 적용된다.
루스 벌크 밀도
각각의 담체 물질 120 g을 브러쉬를 사용하여 0.5 mm 스크린을 통해 체질하였다. 이 샘플 100±0.5 g을 분말 깔대기를 통해 250 mL 측정 실린더에 조심스럽게 채우고, 부피를 반올림하여 1 mL의 자리까지 판독하였다. 루스 벌크 밀도는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고, 결과는 반올림하여 0.01 g/mL의 자리까지 기록하였다:
루스 벌크 밀도[g/mL] = 벌크 부피[mL]/샘플 중량[g]
2. 담체 물질
표 1에 기재된 담체 물질을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1
SRCC 분말은 침강에 의해 측정할 때, 1.3 μm의 중량 기반 중앙 입자 크기를 갖는 옴야 에스에이에스(Omya SAS, 오르곤 소재)로부터의 분쇄된 석회석 탄산칼슘의 고체 함량을 수성 현탁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의 고체 함량이 수득되도록 조절함으로써, 혼합 용기 내의 중질 탄산칼슘의 수성 현탁액 350 리터를 제조하여 수득하였다.
슬러리를 6.2 m/s의 속도로 혼합하면서, 인산 11.2 kg을 30 중량% 인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의 형태로 20분의 기간 동안 70℃의 온도에서 상기 현탁액에 가하였다. 산의 첨가 후, 이를 용기로부터 제거하고 제트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기 전에, 슬러리를 추가 5분 동안 교반하였다.
a)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SRCC)의 과립화
상기 수득된 SRCC 분말을 피츠패트릭(Fitzpatrick) 롤러 컴팩터 CCS220에서 압축하였다. 건조 과립화를 위한 조건은 롤 속도 8 rpm, 롤 하중 5 kN/cm, 롤 간격 0.9 mm(설정 0.6 mm), 수직 스크류 속도 250 rpm, 수평 스크류 속도 25 rpm(30 rpm으로 시작), 밀 속도 500 rpm(나이프 로터가 있는 천공된 1 mm 스크린)이었다.
건조 과립화의 결과는 1.00 mm 진폭으로 10초 간격으로 3분 동안 레취(Retsch) 타워 시브 AS300에서 90, 180, 250, 355, 500, 710 μm 체를 통해 체질하였다. 0-90 및 90-180 μm 분획을 비우고, 모든 분획을 추가 6분 동안 동일한 조건에서 다시 체질하였다. 체질은 300g 단계로 수행하였다.
분획 90 μm 내지 710 μm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b) 분말 및 과립으로의 민트 오일의 로딩
민트 오일은 FREY & LAU("Minzol EuAB"; 제품 번호 P01422029)로부터 입수하였다.
분말 및 과립(또한 그래뉼레이트로도 언급됨)으로의 민트 오일의 로딩은 로디지(Loedige)로부터의 플라우(plough) 전단 혼합기 상에서 수행하였다. 이소테크(Isotech) 연동 펌프의 도움으로 민트 오일을 약 10 그램/분의 첨가 속도로 분말 또는 과립에 부었다.
혼합기의 플라우를 250 rpm의 속도로 회전시키고, 쵸퍼를 항상 두어 오일에 의한 분말 또는 과립의 로딩 동안 덩어리를 피하였다.
민트 오일 85 그램을 상기 표 1에 기재된 각각의 담체 물질 100 그램 상에 로딩하였다. 미세한 실리카 분말과 비교하여 실라카 과립 상에서 성분이 더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라고 개시하는 미국 특허 제4,603,143호의 교시로 인하여, 실리카 과립을 실리카 분말 대신에 사용하였다.
c) 민트 오일의 화학적 안정성의 분석
민트 오일이 로딩된 샘플을 추출하고, 로딩 직후(제0일) 및 30일 및 93일 후에 분석하였다. 순수한 민트 오일(추출 없이)을 모든 샘플(SRCC 분말, SRCC 과립, 및 실리카 과립)과 함께 분석하여 민트 오일 그 자체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평가하였다. 하나의 샘플 세트를 실온에서 저장하고, 다른 하나는 40℃(±2℃)에서 저장하였고, 모두 기밀 유리병에 넣었다. 제0일부터 순수한 민트 오일 중 일부를 냉장고(유리병 내)에 저장하여 각각의 분석일에 대한 교정을 생성하였다. 순수한 민트 오일을 GC-MS로 분석하고, 기준선 크로마토그램을 얻었다(도 1 참조). 피크의 면적을 기준으로, 민트 오일의 특정한 성분의 양을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하였다.
Figure pct00002
각각 30일 및 93일 동안 저장(실온 또는 40℃에서) 후 담체 물질로부터 민트 오일을 추출하였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저장 후 민트 오일의 조성을 분석하였다(도 2 및 3 참조). 민트 오일의 조성은 실리케이트 과립이 있는 샘플에서 시간에 따라 약간 변화하였다. 처음 3개의 피크는 작았고, 새로운 작은 피크가 13분과 15분 사이에서 검출되었다(도 4 참조). 이들 샘플 중의 민트 오일의 양은 시간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다. SRCC(분말 및 과립)가 있는 샘플에서는 민트 오일의 조성에서의 변화가 없었다. GC-MS 크로마토그램은 표준 중 하나와 아직 매우 유사하였다(도 4 참조). SRCC 샘플 중의 민트 오일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Claims (16)

  1. 0.1 내지 90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으로서, 민트 오일이 상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표면 내로 흡수되어 있고, 상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천연 중질 탄산칼슘 또는 경질 탄산칼슘과 이산화탄소 및 하나 이상의 H3O+ 이온 공여체의 반응 생성물이고, 상기 이산화탄소는 H3O+ 이온 공여체 처리에 의해 계내에서 형성되고/되거나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인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2. 제1항에 있어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0.5 내지 50 μ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 μ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 d 50을 갖는 것인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질소 및 BET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15 m2/g 내지 200 m2/g, 바람직하게는 20 m2/g 내지 180 m2/g, 더 바람직하게는 25 m2/g 내지 160 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인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연 중질 탄산칼슘이 대리석, 백악, 석회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경질 탄산칼슘이 아라고나이트, 배터라이트 또는 칼사이트 결정형을 갖는 경질 탄산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가 염산, 황산, 아황산, 인산, 시트르산, 옥살산, 산성 염, 아세트산, 포름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가 염산, 황산, 아황산, 인산, 옥살산; Li+, Na+ 및/또는 K+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되는 H2PO4 -; Li+, Na+, K+, Mg2+, 및/또는 Ca2+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되는 HPO4 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가 염산, 황산, 아황산, 인산, 옥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H3O+ 이온 공여체가 인산인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분말의 형태인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과립, 바람직하게는 체분별법에 의해 측정할 때, 0.1 내지 6 m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mm,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4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mm 또는 1 mm 내지 4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 mm 또는 1 내지 2 mm의 부피 중앙 입자 크기를 갖는 과립의 형태인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민트 오일이 멘톨, 이소멘톤, 멘톤, 리모넨, 멘틸아세테이트, β-피넨, α-피넨, α-테르피네올, 이소풀레골, 테르피넨-4-올,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피페리톤 및 카리오필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민트 오일이 민트 오일, 스피어민트 오일, 페퍼민트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10. 민트 오일을 안정화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용도.
  11. 제10항에 있어서, 민트 오일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화학적 전환에 대하여 안정화되는 것인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β-피넨, α-피넨, 리모넨, 이소풀레골, 네오이소풀레골, 풀레곤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6.0 중량%, 바람직하게는 ≥97.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9.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인 용도.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실온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9.0 중량%, 바람직하게는 ≥99.5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인 용도.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0.0 중량%, 바람직하게는 ≥9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6.0 중량%의, 93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93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인 용도.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민트 오일의 안정화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40℃(±2℃)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 GC-MS에 의해 측정된, ≥94.0 중량%, 바람직하게는 ≥98.0 중량%의, 30일 이내의, 바람직하게는 30일의 동일한 물질의 회수율에 관한 것인 용도.
KR1020217004170A 2018-07-13 2019-07-12 민트 오일을 안정화하기 위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KR20210032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83346.8 2018-07-13
EP18183346.8A EP3594289A1 (en) 2018-07-13 2018-07-13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for stabilizing mint oil
PCT/EP2019/068835 WO2020011983A1 (en) 2018-07-13 2019-07-12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for stabilizing mint o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996A true KR20210032996A (ko) 2021-03-25

Family

ID=6307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170A KR20210032996A (ko) 2018-07-13 2019-07-12 민트 오일을 안정화하기 위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115261A1 (ko)
EP (2) EP3594289A1 (ko)
JP (1) JP2021531361A (ko)
KR (1) KR20210032996A (ko)
CN (1) CN112272688B (ko)
CA (1) CA3101422A1 (ko)
ES (1) ES2942996T3 (ko)
PL (1) PL3820945T3 (ko)
WO (1) WO2020011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90413T3 (es) * 2015-06-10 2018-11-20 Omya International Ag Uso de carbonato cálcico tratado mediante reacción superficial como agente antibloqueo
AR123009A1 (es) * 2020-07-20 2022-10-19 Omya Int Ag Agente estabilizante para composición probiótica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790A (en) * 1982-12-20 1984-04-03 Warner-Lambert Company Process for stabilizing peppermint oil
US4603143A (en) 1983-05-02 1986-07-29 Basf Corporation Free-flowing, high density, fat soluble vitamin powders with improved stability
FR2787802B1 (fr) 1998-12-24 2001-02-02 Pluss Stauffer Ag Nouvelle charge ou pigment ou mineral traite pour papier, notamment pigment contenant du caco3 naturel, son procede de fabrication, compositions les contenant, et leurs applications
FR2852600B1 (fr) 2003-03-18 2005-06-10 Nouveau pigment mineral contenant du carbonate de calcium, suspension aqueuse le contenant et ses usages
FR2871474B1 (fr) 2004-06-11 2006-09-15 Omya Development Ag Nouveau pigment mineral sec contenant du carbonate de calcium, suspension aqueuse le contenant et ses usages
EP1712523A1 (en) 2005-04-11 2006-10-18 Omya Development AG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pigment, especially for use in inkjet printing paper coatings
EP1712597A1 (en) 2005-04-11 2006-10-18 Omya Development AG Process for preparing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pigment, especially for use in inkjet printing pater coatings and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DK2070991T3 (da) 2007-12-12 2010-12-20 Omya Development Ag Fremgangsmåde til frembringelse af overflademodificeret, udfældet calciumcarbonat
JP5732043B2 (ja) * 2009-04-24 2015-06-10 オム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ーゲー 活性成分を放出制御するための粒状物質
ATE545682T1 (de) 2009-06-15 2012-03-15 Omya Developmen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 der oberfläche reagierten calciumcarbonats, das eine schwache säure anwendet
RS52296B (en) 2009-06-15 2012-12-31 Omya Development Ag PROCEDURE FOR OBTAINING SURFACES OF CALCIUM CARBONATE AND ITS USE
DK2371766T3 (da) 2010-04-01 2013-05-06 Omya Development Ag Fremgangsmåde til at opnå præcipiteret calciumcarbonat
PL2447213T3 (pl) 2010-10-26 2015-10-30 Omya Int Ag Wytwarzanie strącanego węglanu wapnia o dużej czystości
PL2524898T3 (pl) 2011-05-16 2016-02-29 Omya Int Ag Sposób wytwarzania strącanego węglanu wapnia z odpadów ze ścieralni
AU2013235257B2 (en) 2012-03-23 2016-06-30 Omya International Ag Process for preparing scalenohedral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PL2719373T3 (pl) * 2012-10-12 2017-10-31 Omya Int Ag Preparat szybko rozpadającej się stałej postaci dawkowanej zawierający funkcjonalizowany węglan wapnia i sposób ich wytwarzania
EP2926797B1 (en) * 2014-03-31 2017-09-06 Omya International AG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for remineralisation and whitening of teeth
MX2016015657A (es) * 2014-05-30 2017-04-13 Omya Int Ag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granulos que comprenden carbonato de calcio tratados mediante reaccion superficial.
EP3176222A1 (en) * 2015-12-01 2017-06-07 Omya International A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granules comprising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01422A1 (en) 2020-01-16
JP2021531361A (ja) 2021-11-18
ES2942996T3 (es) 2023-06-08
EP3820945B1 (en) 2023-03-01
CN112272688B (zh) 2022-01-28
US20210115261A1 (en) 2021-04-22
BR112020023937A2 (pt) 2021-02-09
CN112272688A (zh) 2021-01-26
PL3820945T3 (pl) 2023-05-29
WO2020011983A1 (en) 2020-01-16
EP3594289A1 (en) 2020-01-15
EP3820945A1 (en) 202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4575C1 (ru) Карбонат кальция с подвергнутой 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е поверхностью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а комкования
JP6352533B2 (ja) 表面反応炭酸カルシウムを含む顆粒の製造のための方法
AU2018265209B2 (en)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in food
KR102119074B1 (ko) 분산성 제형
JP7030058B2 (ja) NOx吸収のための粒状アルカリ土類炭酸塩含有材料及び/又は粒状アルカリ土類リン酸塩含有材料
KR20210032996A (ko) 민트 오일을 안정화하기 위한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CN115038342B (zh) 抗结块剂
BR112020023937B1 (pt) Carbonato de cálcio reativo na superfície, e, uso de um carbonato de cálcio reativo na superfície
EP2949708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granules comprising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