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855A -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855A
KR20210032855A KR1020190114391A KR20190114391A KR20210032855A KR 20210032855 A KR20210032855 A KR 20210032855A KR 1020190114391 A KR1020190114391 A KR 1020190114391A KR 20190114391 A KR20190114391 A KR 20190114391A KR 20210032855 A KR20210032855 A KR 20210032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flective material
low
optical member
blu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코드
Priority to KR102019011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855A/ko
Publication of KR2021003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 위에 눈부심 방지층; 및 상기 눈부심방지 층 위에 저반사 물질 증착층 및 고반사 물질 증착층이 교대로 포함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광학부재는 인체에 유해한 청광을 반사시켜 청광의 투과를 낮춤과 동시에 광학 부재의 고유의 역할을 보완 및 향상 시키기 위해 눈부심방지층을 포함하여 입사광선에 의한 반사광을 산란시킴으로서 정반사의 반사율을 저하시켜 청광차단 효과와 시야감 확보 효과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BLUE LIGHT PROTECTING AND LOW-REFLECTION OPTICAL MEMB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청광차단 저반사 광학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듯이 빛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가시광선은 파장이 380nm~780nm의 영역에 해당하며 이보다 짧은 파장의 영역이 자외선이고, 긴 파장의 영역이 적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적외선이나, 가시광선 중에서 적색광이나 황색광, 녹색광 등 비교적 파장이 긴 영역의 광선은 특별히 유해성이 없으나, 파장이 짧은 자외선은 피부나 눈 등 인체에 해로운 작용을 하므로 자외선 차단을 위해 각종 방법이 제시되어 있고 상용화 되어 있는 실정이나, 가시광선 중에서 파장이 짧은 단파장 영역에 해당하는 청색광의 유해성이나 차단방법에 대해서는 근래에 들어 서서히 알려지고 상용화가 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청색광은 통상 파장범위로 380nm~500nm 영역으로 지칭되고 있으며, 파장이 짧기 때문에 산란성과 굴절성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청광은 산란성이 크기 때문에 망막에 맺히는 상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며, 또한 굴절률이 크기 때문에 망막의 앞쪽에 상이 맺혀서 색수차가 발생되어 눈의 피로감과 눈부심을 유발하고,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시세포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자연광은 광선 내에 청광의 비율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를 느끼지 못하고 있으나, 최근에 IT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많이 접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밝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CCFL이나 LED 등의 광원에는 태양광이나 형광등보다 청광의 비율이 훨씬 높기 때문에, 시력저하나 눈부심, 피로감, 두통 등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청색광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안경 렌즈, 휴대폰 윈도우, 디스플레이용 투명 필름, 유리와 같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투광성 소재의 표면에는 하드 코팅 또는 대전방지 코팅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코팅이 적용되고 있으며, 투광성 소재의 표면에서의 반사광으로 인해 광학적인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반사 코팅이 적용되어 왔으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076599호), 동시에 청색광 차단 효과를 갖는 코팅 방법은 알려진바 없다.
기존 청광차단 기술은 플라스틱 렌즈 혹은 기타 부재에 청광 차단 염료나 안료의 침적을 통한 착색 방식이나, 증착 방식을 통하여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은 염료나 안료의 착색 방식은 자외선 에너지의 노출에 의해 경시 변화에 따라 제작 초기시에 구성한 차단 효과에 비해 현저하게 차단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생기고, 증착 방식을 통한 구성은 반사율 증가에 의한 Mirror 효과로, 시야감의 저해가 발생하여 효과 30% 미만의 청광 차단만이 가능했다.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 위에 눈부심 방지층; 및 상기 눈부심방지 층 위에 저반사 물질 증착층 및 고반사 물질 증착층이 교대로 포함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 및 상기 기재 위에 눈부심 방지층; 및 상기 눈부심방지 층 위에 저반사 물질 증착층 및 고반사 물질 증착층이 교대로 포함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고반사 물질 증착층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저반사 물질 증착층은 이산화규소(SiO2), 불화마그네슘(MgF) 및 일산화규소(Si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코팅층은 저반사 물질 증착층 및 고반사 물질 증착층을 복수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광학부재는 청광을 85% 이상 차단하고,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율은 0.7%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광학 부재는 기재; 및 눈부심 방지층 사이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광학 부재는 코팅층 위에 지문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기재는 유리,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재에 눈부심 방지 물질을 코팅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눈부심 방지층 위에 저반사 물질을 증착하여 저반사 물질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저반사 물질 증착층 위에 고반사 물질을 증착하여 고반사 물질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제조방법은 저반사 물질 증착 및 고반사 물질 증착을 반복 수행하여 복수개의 증착층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제조방법은 a) 단계 전에 기재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제조방법은 고반사 물질 증착층 위에 지문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부재는, 청광 영역의 충분한 반사율 확보를 위한 고반사 처리와 함께 시야감의 저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30%의 Haze를 구현한 눈부심 방지 표면처리를 통해 제조된 것으로, 청광 차단 효과 및 저반사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 부재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부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기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부재의 반사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부재의 확산 반사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학부재의 5도 정반사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부재의 투과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기존 청광차단 기술은 플라스틱 렌즈 혹은 기타 부재에 청광 차단 염료나 안료의 침적을 통한 착색 방식이나, 증착을 통해 이루어 졌다. 염료나 안료의 착색 방식은 자외선 에너지의 노출에 의해 제작 초기시에는 차단 효과가 나타나지만, 경시 변화에 따라 현저하게 차단효과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증착 방식을 채용할 경우, 반사율 증가에 의한 거울 효과로 시야감의 저해가 발생하여 청색광 차단 효과가 30% 미만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확실한 청광 차단에 의한 유해 광선 억제의 기본적인 역할에 충실 하지 못한 것으로 이에 본 발명자들은 차단 효과가 유지될 수 있는 청광 차단 및 저반사 특성이 우수한 광학 부재를 제조하고자, 청광 영역의 충분한 반사율 확보를 위한 금속산화물 증착층 형성와 함께 시야감의 저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30%의 Haze를 구현한 눈부심방지층(anti-glare층, AG층)을 형성할 경우, 청광차단 효과 및 저반사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 위에 눈부심 방지층; 및 상기 눈부심방지 층 위에 저반사 물질 증착층 및 고반사 물질 증착층이 교대로 포함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재에 눈부심 방지 물질을 코팅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눈부심 방지층 위에 저반사 물질을 증착하여 저반사 물질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저반사 물질 증착층 위에 고반사 물질을 증착하여 고반사 물질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부재는 인체에 유해한 청광(380~500 nm)의 파장영역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해당 파장 영역대의 반사율을 높여 투과를 낮추기 위한 고반사 물질 증착층을 포함하는 것과 동시에 광학 부재의 고유의 역할을 보완 및 향상 시키기 위해 저반사 물질 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Anti-Glare로 표면을 처리 하여 높여진 입사광선에 의한 반사광을 산란시켜 실제 정반사의 반사율을 적절하게 낮춘 것으로, 청광차단 효과와 시야감 확보 효과가 모두 우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AG층은 산란 입자를 가진 비즈를 액상에 분산시켜 이 용액을 침적, 분사, 표면 기울기 도포 방식으로 처리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즈는 중공실리카(1~2㎛)와 구형실리카 (1~2㎛),혹은 아크릴(1~2㎛) 등일 수 있고, 상기 비즈를 Ebecryl EB 1290과 TMPTA, 분산제 등에 분산시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반사 물질 증착층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저반사 물질 증착층은 이산화규소(SiO2), 불화마그네슘(MgF) 및 일산화규소(Si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는 기재 및 눈부심 방지층 사이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을 포함하여, 내구성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하드코팅제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하드코팅제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실리카등을 포함한 액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 단계 전에 기재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층은 저반사 물질 증착층 및 고반사 물질 증착층을 복수개로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기재; 하드코팅층; 눈부심 방지층; 제1저반사 물질 증착층; 제1고반사 물질 증착층; 제2저반사 물질 증착층; 제2고반사 물질 증착층; 제3저반사 물질 증착층; 제3고반사 물질 증착층; 제4저반사 물질 증착층; 및 제4고반사 물질 증착층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코팅층에 상기 증착층들이 포함되는 개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학부재는 청광을 85% 이상 차단하고,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율은 0.7%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청광 차단율 및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율의 측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이 가능하다.
상기 광학 부재는 코팅층 위에 지문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내구성을 상승시키고 오염방지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유리,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메틸테마크릴레이트 시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증착의 방식은 침적, 분사, 도포(표면 기울기 도포)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종류에 따라 증착 처리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ET, PI 등 광학용으로 사용되는 필름은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해 하드코팅을 먼저 진행할 수 있고, 하드코팅을 통상의 코팅제를 이용하여 침적(Dipping), 분사(Spray), 표면 기울기 도포 (Flow) 방식으로 진행한 후, 코드코팅이 처리된 필름의 표면에 저반사 표면 처리(Anti-Glare)를 수행할 수 있다. 저반사 표면처리는 산란 입자를 가진 Biz를 액상에 분산시켜 이 액상을 침적, 분사, 표면 기울기 도포 방식으로 처리할수 있으며 산란 효과를 위한 표면 거칠기가 만들어진 Master-Mold를 제작하여 Film 표면에 Resine을 도포하고 Master-Mold의 표면을 회전하며 접촉시켜 Master-Mold의 형상과 같은 Anti-Glare 표면을 구성하는 In-printing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필름은 분사 방식의 하드코팅을 진행한 후 In-printing으로 AG를 구현한 필름으로, 효과적인 표면 산란 효과를 위해 Haze는 30% 정도로 제작 하였다.
또한 시트 형태의 경우 PMMA, PC 등의 소재가 사용 가능하며,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해 역시 상술한 하드코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Acrylic Sheet는 광학용 PMMA를 사용하였으며, 분사 방식을 채택하였고, Haze 30% 정도의 AG를 구현하였다.
유리의 표면 경도는 5H 이상 이므로, 별도의 표면강화 처리가 다소 불필요하다. 이에 산란 효과를 위한 AG 처리만 시행 하였는데, AG 처리를 위한 방법은 표면의 식각, 산란입자를 분산시킨 액의 침적, 분사 표면 기울기 도포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나, 실시예에 사용된 기술은 에칭액을 사용한 미세 표면 식각을 진행하여 30% 정도의 AG를 구현 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눈부심 방지층의 형성
본 실시예 1에서는 필름, 아크릴시트 및 유리와 같은 기재에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였다.
1.1. 필름
PI 필름에 표면 경도 향상을 Hard Coating을 분사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하드코팅을 위한 코팅제는 우레탄 아크릴 레진에 소량의 경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된 용제를 사용하였다.
하드코팅이 완료되면, Anti-Glare 표면 처리를 수행하였다. 산란 효과를 위한 표면 거칠기가 만들어진 Master-Mold를 제작하여 하드코팅된 표면에 아크릴레이트와 광개시제가 포함된 Resine을 도포하고 Master-Mold의 표면을 회전하며 접촉시켜 Master-Mold의 형상과 같은 Anti-Glare 표면을 구성하는 In-printing 방식을 통해 AG 층을 형성하였다. 효과적인 표면 산란 효과를 위해 Haze는 30% 정도로 제작 하였다.
1.2. 아크릴시트
PMMA 시트에 표면 경도 향상을 Hard Coating을 분사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하드코팅을 위한 코팅제는 우레탄 아크릴 레진을 사용하고 표면의 내마모가 향상된 하드코팅이 완료되면, Anti-Glare 표면 처리를 수행하였다. Ag 처리를 위해 사용된 비즈는 1 ~ 2㎛ 사이즈의 구형 비즈가 사용되며, 표면기울기 도포(Flow)방식으로 진행한다.
1.3. 유리
유리에는 바로 Anti-Glare 표면 처리를 수행하였다.
에칭액을 사용한 미세 표면 식각을 진행하여 30% 정도의 AG를 구현 하였다.
실시예 2. 고반사 및 저반사 구현을 위한 코팅
본 실시예 2에서는 파장대별로 선택 영역의 고반사와 저반사의 구현을 위하여 PVD (물리적 기상 증착) 방식을 이용하며, 이를 위하여 고진공까지 진공 감압이 가능한 진공 챔버 내에서 산화물을 전자총 열전자 가열을 통하여 기화시켜 미세 두께 단위의 박막을 형성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선택 영역의 반사율 제어를 위하여 저반사 물질과 고반사 물질을 교대 증착하되, 각 물질간의 굴절률 차이를 통한 입사 광선의 반사을 증폭 혹은 상쇄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각 물질 박막 간의 두께를 설계하고, 설계된 각 박막의 구성에 따라 증착하여 선택 영역의 반사율을 제어하였다. 이때 산화 박막의 증착을 위해서 전자총 열전자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380nm ~ 500nm 의 평균 반사율을 85% 이상으로 구현 하고, 500nm~ 700nm의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율을 1% 미만으로 구성하기 위해 기재의 종류에 따라 표 1과 같은 두께로 박막을 구성하였다.
사용 기재 PET(HD) Acryic Sheet Glass
1 Layer SiO2 0.2389 λ0 0.2389 λ0 0.2499 λ0
2 Layer TiO2 0.1428 λ0 0.1428 λ0 0.1467 λ0
3 Layer SiO2 0.1794 λ0 0.1794 λ0 0.1705 λ0
4 Layer TiO2 0.1979 λ0 0.1979 λ0 0.1986 λ0
5 Layer SiO2 0.2358 λ0 0.2358 λ0 0.2365 λ0
6 Layer TiO2 0.2074 λ0 0.2074 λ0 0.2088 λ0
7 Layer SiO2 0.2292 λ0 0.2292 λ0 0.2292 λ0
8 Layer TiO2 0.0943 λ0 0.0943 λ0 0.0940 λ0
9 Layer AF 0.0716 λ0 0.0716 λ0 0.0716 λ0
λ0 = 510nm
상기 표 1의 박막 설계에 따른 박막 구성 순서 및 두께에 따라 도 2에 나타낸 증착기를 통해 PVD(물리적 기상 증착)을 수행하였다.
상기 박막이 형성되면 경시변화 억제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해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정을 진행하였다. 일단 진공 감압이 가능한 챔버에 3.4 X 10-5 Torr까지 진공을 감압하였고, 기재와 구성하고자 하는 박막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End-Hall 방식의 Ion-Gun을 사용하여 Ar Gas의 이온화 에너지를 발생시켜 발생된 에너지를 Base 모재에 충돌시켜 pre-Etching을 진행하였다. Pre-Etching후 다시 3.0 X10-5 Torr까지 진공을 감압하고, 설계된 박막 순서 및 구성에 따라 SiO2부터 순차적으로 증착을 진행하였다.
이때, 증착을 하기 위해 10Kw의 전자총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열전자를 발생 시키고 발생된 열전자를 전자석으로 유도하여 증착하고자하는 산화물에 집속시켜 1800도 이상의 열을 가하여 산화물을 증착시켜주었다.
이때 박막의 균일성과 경시 변화를 억제하고, 박막 간의 결합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Pre-Etching에 사용한 4Kw End-Hall 방식의 Ion Gun을 사용하여 산화물 증착시에 O2와 Ar을 동시에 주입하여 이온화 시킨 에너지를 생성중인 박막에 충돌시키며 보다 견고한 박막을 형성 시켜 주었다. TiO2의 경우는 청광 파장 영역의 적당한 흡수를 만들기 위해 반응가스로 O2를 별도로 사용하며 이때 O2의 투입은 MFC(Mass Flow Controller)를 이용하여 진공도가 5.0 X 10-5 Torr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한 산화물은 저굴절 물질로 SiO2, 고굴절 물질로 TiO2를 사용하였다. 도 1에 본 발명의 광학부재의 레이어 구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광학부재의 반사율 특성 확인
제조된 광학부재의 정반사율을 확인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380~500nm의 영역에서 평균 정반사율이 85% 이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조된 광학부재의 확산 반사를 확인하여 도 4에 나타내었고, 5도 정반사 특정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확산 반사를 포함한 전체 반사가 도 4와 같이 430nm의 파장에서 최대 85% 정도의 반사율을 갖지만, 실제 사용자 측면에서 관찰되는 반사율은 도 5와 같이 같은 430nm의 파장에서 27% 정도로 감소 하며, 이는 표면에 처리된 Anti-Glare의 효과로 체감 반사율을 최대 58% 차이로 낮출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서 반사율 구성 및 적절한 흡수를 더한 Layer 구성을 갖는 광학부재가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청광영역 380nm ~ 500nm의 투과율 차단효과는 85% 이상인 것이 확인되고, 시야감에 영향을 주는 정반사 영역의 반사율을 전체 파장 (380 ~ 700nm )에서 12% 미만으로 조절하며, 특히 500nm ~ 700nm까지의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율은 정반사, 확산반사 모두 저반사로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550nm의 반사율은 1% 미만으로 구성하여 광학부재로서의 성능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광학부재의 투과율 특성 확인
본 실시예 4에서는 제조된 광학부재의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광학부재는 동일한 방식으로 샘플 5개를 제조하였고, 투과율 확인을 위해서 UV/VIS/NIR Spectrometer(Lambda 950, Perkin Elmer)가 사용되었다. 하기 표 2에 380~500nm의 평균 투과율 값을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단위 시료명 결과
투과율측정 % Sample 1 11.45
Sample 2 10.76
Sample 3 10.83
Sample 4 11.61
Sample 5 10.86
평균 값 11.10
도 6에 각 샘플들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청광영역 380nm ~ 500nm의 투과율 차단효과가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기재; 상기 기재 위에 눈부심 방지층; 및 상기 눈부심방지 층 위에 저반사 물질 증착층 및 고반사 물질 증착층이 교대로 포함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반사 물질 증착층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물질 증착층은 이산화규소(SiO2), 불화마그네슘(MgF) 및 일산화규소(Si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저반사 물질 증착층 및 고반사 물질 증착층을 복수개로 포함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는 청광을 85% 이상 차단하고,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율은 0.7% 미만인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기재; 및 눈부심 방지층 사이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코팅층 위에 지문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유리,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메틸테마크릴레이트 시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
  9. a) 기재에 눈부심 방지 물질을 코팅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눈부심 방지층 위에 저반사 물질을 증착하여 저반사 물질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저반사 물질 증착층 위에 고반사 물질을 증착하여 고반사 물질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저반사 물질 증착 및 고반사 물질 증착을 반복 수행하여 복수개의 증착층을 갖도록 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반사 물질 증착층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물질 증착층은 이산화규소(SiO2), 불화마그네슘(MgF) 및 일산화규소(Si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a) 단계 전에 기재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고반사 물질 증착층 위에 지문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 부재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유리,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메틸테마크릴레이트 시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KR1020190114391A 2019-09-17 2019-09-17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2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91A KR20210032855A (ko) 2019-09-17 2019-09-17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91A KR20210032855A (ko) 2019-09-17 2019-09-17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855A true KR20210032855A (ko) 2021-03-25

Family

ID=7522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391A KR20210032855A (ko) 2019-09-17 2019-09-17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8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0274B2 (ja) 可視領域において非常に低い反射を有する反射防止被覆を含む光学物品
EP0772572B1 (en) Light-absorbing and anti-reflective coating for sunglasses
US10527760B2 (en) Ophthalmic lens comprising a thin antireflective coating with a very low reflection in the visible region
JP2022514021A (ja) 高い耐摩耗性を有する反射コーティングを備えた光学物品
US20220011601A1 (en) Optical Lens Having a Filtering Interferential Coating and a Multilayer System for Improving Abrasion-Resistance
CN115712161A (zh) 抗静电抗反射的涂层
WO2015030246A1 (ja) 眼鏡レンズ
US20220011600A1 (en) Optical Lens Having an Interferential Coating and a Multilayer System for Improving Abrasion-Resistance
CN112334593A (zh) 具有定向微结构或纳米结构薄膜涂层的光学制品及其方法
KR20210032855A (ko) 청광 차단 저반사 광학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3016B1 (ko) 고농도 착색효과와 저반사효과를 갖는 다층박막 플라스틱 안경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JP7399963B2 (ja) ミラーコーティング及び耐摩耗性改善のための多層系を有する光学レンズ
KR100510988B1 (ko) 광흡수성 물질을 사용하여 선택성 칼라를 형성하는 저반사 다층 박막 안경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100430024B1 (ko) 선택성 칼라를 형성하는 다층박막 안경렌즈 및 칼라를제어하는 방법
JP2009210677A (ja) 眼鏡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867945B (zh) 耐磨性得到改善的具有干涉涂层的光学制品
EP4109141A1 (en) Optical lens having a light-absorbing interferential coating
JP2024518649A (ja) 非対称ミラーを有する光学レンズ
EP3901672A1 (en) An optical article comprising a light absorbing compound and a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KR100403902B1 (ko) 자외선 차폐용 다층박막 안경렌즈
JP2005292204A (ja) プラスチック製ミラーコートレンズ
CN117377891A (zh) 具有改善的视觉舒适度的光学制品
CN118151409A (zh) 具有减少的视觉疲劳的光学制品
JP2022504911A (ja) 高い耐摩耗性を有する干渉コーティングを備えた光学物品
JP2023076677A (ja) 眼鏡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