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118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118A
KR20210032118A KR1020190113460A KR20190113460A KR20210032118A KR 20210032118 A KR20210032118 A KR 20210032118A KR 1020190113460 A KR1020190113460 A KR 1020190113460A KR 20190113460 A KR20190113460 A KR 20190113460A KR 20210032118 A KR20210032118 A KR 20210032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
cleaning mode
evaporator
temperatur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희
허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118A/ko
Publication of KR2021003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4Control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7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UV-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고, 증발기의 온도에 근거하여 1차 제상모드 운전의 해제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면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고,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증발기의 2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1,2차 제상모든 운전을 통해 청소모드시 상승된 고내 온도를 제어 온도로 빠르게 안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실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는 가전기기로서,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실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위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한편, 저장실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저장실에 보관된 식품을 외부로 꺼낸 후에 저장실을 청소하게 된다. 이때, 냉장고의 전원을 오프한 후 저장실을 청소하는 경우 냉장고의 전원코드가 냉장고의 후측에 구비되므로 전원 코드를 콘센트에서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 출시되는 냉장고의 경우 사물인터넷(IoT), 멀티미디어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도어 배면에 홈 바(home-bar), 아이스 메이커, 바스켓 등이 장착되어 별도의 보조공간을 활용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으므로 전원을 오프한다면 다른 공간에서의 기능도 함께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7271호에는 청소 모드로 운전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은 청소 모드시 냉기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전력 소비량을 줄이는 방안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에 청소 모드가 구비된 냉장고에서는 청소 모드가 해제된 후 일정시간 이후에 증발기의 청소를 위한 제상 운전이 투입된다.
하지만, 도 1과 같이 청소 모드가 해제된 후 제상 운전이 투입되면 청소 모드에서 고내 온도가 1차 상승하고(A 부분), 제상 운전시 다시 고내 온도가 2차 상승하여(B 부분) 식품의 신선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청소 모드에서는 저장실에 냉매의 유입이 차단되어 고내와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한다. 청소 모드 동작 중 고내와 증발기 온도가 영상으로 유지되어 서리층 표면 일부가 융해되고 서리층 밀도가 증가하는 과착상 문제가 발생하고 청소 모드 해제 후 냉각 운전 중 서리층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서리층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청소 모드 해제 후 일정시간 이후에 제상 운전을 투입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청소 모드 중에 형성된 서리층은 단단하고 두꺼워져서 한번의 제상으로는 완벽히 제거하기 어렵고 청소 모드 해제 후 냉각 운전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단한 서리층을 녹이기 위해 제상 운전이 더 길어져 고내 온도가 더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서리를 다 녹이지 못해 제상 불량을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137271호
본 발명은 청소 모드에 증발기 청소를 포함시켜 청소 모드 시 증발기에서의 과착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청소 모드 해제 후 고내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청소 모드 해제 후 고내 청정 모드를 제공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청소 모드 해제 후 빠른 속도를 냉각시켜 음식물의 신선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가 동작 중에 입력부에서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고내 온도의 상승을 최소화하고 고내 온도를 제어온도로 빠르게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1차 제상모드 운전을 증발기의 온도에 근거하여 해제할 수 있다. 1차 제상모드 운전을 위해 제상 히터가 온되어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증발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기존의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1차 제상모드 운전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청소모드와 제상모드를 동시에 시작함으로 인해 증발기의 결빙, 성에, 서리층 등이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제상 해제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증발기를 가열하도록 제상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증발기의 2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증발기의 결빙, 성에, 서리층 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2차 제상모드 운전도 증발기의 온도에 근거하여 해제할 수 있다. 2차 제상모드 운전을 위해 제상 히터가 온되어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증발기의 온도가 1차 제상모드 운전 해제 온도에 도달하면 2차 제상모드 운전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1차 제상모드 운전 해제 온도는 기존에 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더 높은 온도이므로 2차 제상모드 운전 해제 온도도 높은 온도로 설정함으로써 증발기의 청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2차 제상모드 운전은 1차 제상모드 운전에서 증발기의 결빙, 서리층 등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경우를 대비하여 한번 더 제상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효과적인 증발기 청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증발기의 온도는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1,2차 제상모드 운전을 시작하기 위해 제상 히터를 온시키고, 제상 히터를 오프시킴으로써 1,2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 청소모드가 선택된 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청소모드가 해제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에서 청소모드 해제가 입력되면 청소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UV램프 및/또는 탈취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저장실의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내청정모드 운전의 시간은 청소모드의 시간에 정비례할 수 있으며, 청소모드 시간보다 긴 시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되면 압축기를 구동시켜 냉각모드 운전을 시작하여 고내 온도를 빠르게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청소 모드에 증발기 청소를 포함하여 증발기의 과착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제상 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소 모드가 해제된 이후에 고내 청정 모드가 진행되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청소 모드가 해제된 이후에 고내 청정 모드가 진행되어 청소 후 고내 및 고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청소 모드 시 1차 증발기 청소를 함께 수행하고 청소 모드 해제 시 2차 증발기 청소를 수행하여 증발기의 제상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청소모드 운전과 제상모드 운전에 따른 고내 온도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냉매 사이클의 구성도.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청소모드 운전과 제상모드 운전에 따른 고내 온도 그래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냉매 사이클의 구성도이고,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이러한 본체에 연결되어 내부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10, 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장고(1)가 다수의 저장실 및 다수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실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동실과 냉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온도가 다르게 유지되는 다수의 냉동실 또는 다수의 냉장실을 포함하거나 온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다수의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냉장고의 냉동실과 냉장실을 통칭하여 저장실이라고 하며,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는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다수의 도어(10,20) 중 어느 하나의 도어(10)의 전면부에 사용자로부터 냉장고(1)의 동작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1)와, 냉장고(1)의 상태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8)가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1)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버튼은 청소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청소모드 버튼(17)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버튼은 냉동실의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냉동온도 버튼(12)과, 냉장실의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냉장온도 버튼(14)과, 특냉(냉동실의 온도 보다 더 낮은 온도로 냉각)을 선택하기 위한 특냉 버튼(13), 저장실 내부에서의 제균 및 탈취를 선택하기 위한 제균탈취 버튼(15), 도어(10,20)의 잠금 및 풀림을 설정하기 위한 잠금풀림 버튼(1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상 히터를 가열하여 증발기에 형성된 결빙, 서리층, 성애 등을 제거하는 제상모드 버튼, 고내의 청정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고내청정모드 버튼 등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수의 버튼은 냉장고(1)에 추가되는 기능에 따라 더 많이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입력부(11)는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본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는 예컨대 버튼이나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는 디스플레이(18)에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와 디스플레이(18)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1)는 냉장고에 보관할 식재료의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식재료에 부착된 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는 냉장고와 관련된 정보 등을 시각, 청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8)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터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18)는 냉장고의 구동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8)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컨대,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의 일면에는 제1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고, 냉동실 도어의 일면에는 제2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컨대,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는 터치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청소모드 운전, 제상모드 운전, 고내청정모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청소모드 버튼(17), 제상모드 버튼(미도시), 고내청정모드 버튼(미도시)은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청소모드 버튼(17)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제상모드 운전 및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들 제상모드 운전 및 고내청정모드 운전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청소모드 버튼(17)을 이용하여 냉장실 청소 모드와 냉동실 청소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모드 버튼(17)을 1회 누르면 냉동실 청소모드가 선택될 수 있고, 청소모드 버튼(17)을 2회 누르면 냉장실 청소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청소모드 버튼(17)을 3회 누르면 청소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다.
한편, 청소모드의 해제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청소모드 버튼(17)을 누르거나, 또는 청소모드가 선택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청소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어부에서 청소모드 선택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청소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청소모드가 해제된다는 것은 냉장고(1)의 일반 냉각모드가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장고가 일반 냉각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도중에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일반 냉각모드는 해제되고 청소모드를 위한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가 차단될 수 있고 압축기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냉각팬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물론, 청소모드와 상관 없는 다른 공간에 대한 기능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입력부(11)는 청소모드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부(11)는 적어도 냉장실 청소모드 버튼과, 냉동실 청소모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입력부(11)는 일반 냉각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일반 냉각모드 버튼을 별도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에는 냉동실 온도, 냉장실 온도, 특냉 설정, 제균 및 살균 운전상태, 도어의 잠금 및 풀림의 정보, 청소모드의 선택 여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입력부(11)에 설정된 다수의 다른 버튼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상모드 버튼이 선택되면 현재 냉장고에서 제상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부(11)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장치는 휴대형 스마트기기가 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형 스마트기기(예: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입력부(11)에서 청소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장고(1)는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는 사용자의 음성과 같은 오디오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11)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청소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뿐만아니라, 냉장고(11)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청소모드에 관련된 정보 및 데이터를 휴대형 스마트기기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냉장고(1)에서 청소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청소모드의 진행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자신의 휴대형 스마트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는 현재 진행중인 상황뿐만 아니라, 이전에 실시했던 청소모드의 진행상황에 대한 통계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형 스마트기기를 통해 청소모드의 진행상황뿐만 아니라 제상모드 운전, 고내청정모드 운전과 관련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31)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32)와, 응축기(32)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팬 모터(33)와, 냉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장실용 제1증발기(37)와, 제1증발기(37)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제1 팬 모터(39)와, 냉동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실용 제2증발기(38)와, 제2증발기(38)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제2팬 모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응축기(32)에 의해 배출된 냉매가 제1증발기(37)와 제2증발기(38) 중 하나 이상으로 유동하도록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냉매조절밸브(34)와, 제1증발기(37)로 유동하는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제1팽창기(35)와, 제2증발기(38)로 유동하는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제2팽창기(36)와, 제2증발기(38)에서 배출된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 모터(39)와 제2 팬 모터(40)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냉매조절밸브(34)는 일례로 삼방 밸브(Three Way Valve)일 수 있다. 삼방 밸브에 의해 냉매가 각 증발기(37,38)로 동시에 공급되거나, 냉장실용 제1증발기(37)와 냉동실용 제2증발기(38) 중 어느 하나로 냉매가 공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냉장실용 제1증발기(37)로 냉매를 안내하기 위한 제1배관과, 냉동실용 제2증발기(38)로 냉매를 안내하기 위한 제2배관에 각각 온/오프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청소모드를 위한 구성으로서 고내에 연결된 팬을 구동하는 팬모터(111)와, 제상모드를 위한 구성으로서 제상 히터(112), 고내청정모드를 위한 UV램프(113), 탈취필터(114), 탈취팬(115), 그리고 증발기(37,38)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116)는 증발기의 주변의 온도(분위기 온도)를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나아가, 냉장고(1)는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청소모드 운전, 제상모드 운전 및 고내청전모드 운전을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10)는 입력부(11)에서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자동으로 제상모드 운전 및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들 제상모드 운전 및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청소모드, 제상모드, 고내청정모드 운전을 위해 필요한 각종 장치들, 예컨대 압축기(31), 응축기(32), 증발기(37,38), 냉매조절밸브(34), 팬 모터(111), 제상히터(112), UV램프(113), 탈취팬(115), 온도센서(116)의 동작을 각각 제어할 수도 있다.
청소모드의 경우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선택된 저장공간(예:냉장실)의 냉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냉매가 다른 저장공간(예:냉동실)으로 흐르도록 냉매조절밸브(3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선택된 저장공간으로 냉기 공급을 차단하기 위하여 팬 모터(111)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상모드의 경우 제어부(110)는 제상 히터(112)를 온시켜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증발기의 성에, 결빙 등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고내청정모드의 경우 제어부(110)는 선택된 저장공간의 제균 및/또는 탈취를 위하여 UV램프(113) 및/또는 탈취팬(115)를 동작시킬 수 있다.
UV램프(113)는 UV LED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고내의 살균, 제균 등을 실시할 수 있고, 탈취팬(115)은 탈취필터(114)로 공기를 통과하게 하여 탈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에서의 청소모드시 동작을 설명한다.
냉장고 전원이 온되면, 냉장고(1)는 일반 냉각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일반 냉각모드에서는 냉매 사이클을 통해 냉각된 공기가 각각 냉동실과 냉장실로 공급될 수 있다.
냉동실과 냉장실은 각각 냉동 온도 버튼(111)과 냉장 온도 버튼(113)에 의해서 선택된 목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냉장고(1)가 일반 냉각모드로 운전되는 중에, 제어부(110)는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냉장고(1)가 저장실 청소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18)에서 저장실 청소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저장실 청소모드에서 제어부(110)는 냉매조절밸브(34)와, 팬 모터(1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2팬 모터(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냉장실 청소모드가 선택된 경우 냉동실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매조절밸브(34)와 팬모터(111)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냉동실 청소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냉장실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매조절밸브(34)와 팬모터(11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1)가 저장실 청소모드로 동작하면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청소모드 중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청소모드가 진행중이면 저장실에 조명부(미도시)에 의해 내부가 조명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저장실 청소모드 중에 저장실의 청소모드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청소모드 해제는 사용자가 입력부(11)를 조작하여 청소모드 해제를 입력할 수도 있고, 청소모드 선택시 청소모드 시작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청소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입력부(11)를 통해 청소모드 해제가 입력되거나 청소모드 시작시점부터 경과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시간이 경과되는 자동으로 청소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스피커,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청소모드가 해소되면 자동으로 일반 냉각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해소되면 냉장고가 일반 냉각모드로 동작하도록 냉매 사이클에 관련된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일반 냉각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냉매조절밸브(34)와, 팬 모터(111)를 제어하여 저장실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청소모드가 해제된 후에 냉동실 온도가 제어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냉장고가 급속 냉각 운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일반 냉각모드일 때의 압축기의 작동 주파수보다 급속 냉각 운전 시의 압축기의 작동 주파수가 크도록 압축기(3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팬 모터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급속 냉각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입력부(11)를 통해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입력부(11)에서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제상 히터(112)를 제어하여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면 제상 히터(112)를 온시켜 동작하도록 하고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면 제상 히터(112)를 오프시켜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1,2차 제상은 제상 히터(112)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증발기 및 그 주변에 발생된 서리층, 성에, 결빙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상 히터(112)를 구비하지 않는 냉장고의 경우, 1,2차 제상모드 운전시에는 자연바람으로 제상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연바람을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도 같이 시작될 수 있으며, 상기 1차 제상은 청소모드가 해제되기 전까지 종료될 수 있다.
증발기 주변의 결빙 상태에 따라 청소모드가 해제될 때까지 1차 제상이 완료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들 들어, 청소가 빨리 마무리되는 경우, 청소모드 설정시간이 짧은 경우, 서리층이 두꺼운 경우 등과 같은 조건에서는 1차 제상 중에 청소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1차 제상모드 운전의 해제는 증발기의 온도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 이상일 때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발기의 온도가 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α) 이상이 될 때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는 냉장고(1)에 설정되어 있는 제상 해제 온도로서, 냉장고(1)가 출시될 때 고정값으로 이미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조정하여 새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1차 제상이 시작된다는 것은 제상 히터(112)가 온되어 증발기 주변이 가열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1차 제상이 시작되면 제어부(110)는 제상 히터(112)를 온시켜 증발기의 온도를 증가시킬 있다.
증발기가 가열되어 온도가 증가하여 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α) 이상이 되면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는 것이다.
증발기의 온도는 상기 온도센서(116)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증발기의 온도는 증발기 자체의 온도가 될 수도 있지만, 증발기의 주변 온도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선택적으로 증발기의 2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2차 제상모드 운전은 1차 제상에서 서리층, 결빙 등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즉, 청소모드 중에 1차 제상이 이루어지지만, 두껍고 단단한 서리층이 1차 제상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즉시 2차 제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2차 제상모드 운전도 역시 제상 히터(112)의 제어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제상 히터(112)를 온시켜 2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는 시점이 청소모드의 해제 이후라면 2차 제상모드 운전은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1차 제상모드 운전이 2차 제상모드 운전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2차 제상모드 운전의 해제도 증발기의 온도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의 온도가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된 온도가 되면 2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증발기의 온도가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된 온도에 도달하면 제상 히터(112)를 오프시켜 2차 제상을 종료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청소모드(112)가 해제되면 선택적으로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청소모드(112)가 해제되면 UV램프(113) 및/또는 탈취팬(11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되면 UV램프(113) 및/또는 탈취팬(115) 중 적어도 하나를 온시켜 동작하도록 하고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해제되면 UV램프(113) 및 탈취팬(115)를 모두 오프시켜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탈취팬(115)은 탈취필터(114)의 인근에 설치되어 탈취팬(115)에 의해 공기가 탈취필터(114)를 통해 흐르게 되어 좋지 않은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고내청정모드 운전의 해제는 청소모드 운전 시간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내청정모드 운전 시간은 청소모드 운전 시간에 정비례하면서 청소모드 운전 시간보다 더 길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내청정모드 운전은 청소모드가 해제된 시점부터 [청소모드 운전 시간 × 비례상수(β)]이 경과되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비례상수(β)는 1.1~5인 실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고내청정모드 운전 시간은 청소모드 운전 시간에 비례하고 청소모드 운전 시간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비례상수(β)에 의해 청소모드 시간이 길면 길수록 고내청정모드 운전 시간은 길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청소모드 운전 시간이 길수록 고내로 외기가 더 많이 유입될 것이고, 내부의 식품 신선도도 더 떨어질 것이기 때문에, 그만큼 더 길게 고내청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냉장고(1)가 동작하면 일반 냉각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냉장고(1)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일반 냉각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입력부(11)를 통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일반 냉각모드에서도 저장실, 즉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를 설정 및 변경할 있다.
입력부(11)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버튼에는 서로 다른 기능들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원하는 기능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가 동작하면 압축기(31), 응축기(32), 증발기(37,38) 등에서 이루어지는 냉매 사이클을 통해 만들어진 냉기가 유로를 냉동실 및 냉장실로 유입될 수 있다. [S110 : 냉장고 운전 단계]
냉장고(1)가 동작하는 중에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부(11)를 통해 청소모드를 선택 및 해제할 수 있다.
물론 청소모드의 해제 시간은 청소모드의 선택되면 자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또한 청소모드 해제 시간을 원하는 시간으로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다. [S120 : 청소모드 선택 판단단계]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청소모드가 선택시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입력부(11)를 통해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제상 히터(112)를 온시켜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1차 제상모드 운전을 위해서는 제상 히터(112)가 온되어야 한다. 증발기가 운전될 때 증발기 및 증발기의 주변에는 결빙, 서리층 등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상 히터(112)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결빙, 서리층 등을 제거하도록 한다.
물론, 제상 히터(112)를 구비하지 않은 냉장고(1)의 경우에는 자연바람으로 제상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연바람을 증발기로 유입하기 위한 송풍팬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상 히터(112)가 온되어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면 증발기의 온도는 상승할 수 있다. 증발기의 온도는 온도센서(116)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S130 : 1차 제상모드 운전 단계]
상기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진행되는 도중에 청소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청소모드의 해제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11)를 통해 청소모드를 해제하거나 또는 청소모드의 선택하면 청소모드의 선택 시점부터 설정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 시간은 청소모드의 운전시간보다 길 수도 있고 짧을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장시간 저장실을 청소하는 경우, 증발기의 결빙이나 서리층이 얇은 경우 등 다양한 환경에 따라 청소모드 시간과 1차 제상모드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진행되는 도중에 청소모드가 해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140 : 청소모드 해제 판단단계]
상기 S140 단계에서 청소모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6에 도시된 A 단계로 진행할 수 있고, 청소모드가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15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청소모드가 해제되지 않으면, 청소모드에서 1차 제상모드 운전이 계속 진행될 수 있다. 1차 제상모드 운전은 증발기의 온도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제될 수 있다.
즉, 1차 제상모드 운전은 청소모드의 선택시에 시작되어 일정시간 유지되며 증발기의 온도에 따라 해제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온도센서(116)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기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0)는 온도센서(116)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기의 온도가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증발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α) 이상으로 높아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증발기 온도 >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 + 설정온도(α)]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S150 : 증발기 온도 판단단계]
제어부(110)는 증발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α)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상 히터(112)를 제어하여 1차 제상모드 운전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제상 히터(112)를 오프시켜 더 이상 열을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1차 제상을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증발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α)만큼 더 높은 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1차 제상에서 증발기의 온도를 기존에 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도 더 높은 온도로 하여 더 빨리, 더 효과적으로 제상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제상이 청소모드의 시작과 함께 진행되므로 증발기의 결빙, 서리층을 녹일 시간이 부족하고, 청소모드의 해제 시간이 가변적이므로 청소모드 해제 시점 이전에 제상을 완료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160 : 1차 제상모드 해제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 증발기의 결빙, 제상 히터(112)의 발열량 등의 조건에 따라 1차 제상모드 운전 중에 청소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고, 1차 제상모드가 해제된 이후에 청소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도 6에서 설명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1차 제상모드 해제 후 재차 청소모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면 이후에 청소모드가 해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170 : 청소모드 해제 판단단계]
이와 같이, 1차 제상모드 해제 후 청소모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실시에에서는 선택적으로 2차 제상모드 운전 또는 고내청정모드 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증발기의 2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될 수 있다. 2차 제상모드 운전은 1차 제상모드 운전과 유사하게 제어부(110)가 제상 히터(112)를 제어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상 히터(112)를 온시켜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2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S180 : 2차 제상모드 운전 단계]
2차 제상모드 운전은 증발기의 온도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제될 수 있다.
즉, 2차 제상모드 운전은 청소모드의 해제시에 시작되어 일정시간 유지되며 증발기의 온도에 따라 해제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온도센서(116)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기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0)는 온도센서(116)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기의 온도가 2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증발기의 온도가 상술한 1차 제상모드 운전 해제시점의 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1차 제상모드 운전 해제 시점의 온도는 기설정된 기존의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α) 이상으로 높은 온도이므로, 2차 제상모드 운전의 해제도 증발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 + 설정온도(α)] 이상일 수 있다. [S190 : 증발기 온도 판단단계]
제어부(110)는 2차 제상모드 운정 중에 증발기의 온도가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된 시점에서의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α)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상 히터(112)를 제어하여 2차 제상모드 운전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제상 히터(112)를 오프시켜 더 이상 열을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2차 제상을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2차 제상모드 운전 해제 조건으로서 증발기의 온도가 1차 제상모드 운전 해제시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인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1차 제상에서 증발기의 제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감안하여 최소한 1차 제상모드 해제시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1차 제상시에 결빙 등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을 가능성을 대비하여 2차 제상을 진행함으로써 제상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200 : 2차 제상모드 해제 단계]
한편,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선택적으로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내청정모드 운전은 2차 제상모드 운전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UV램프(113) 및/또는 탈취팬(1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S210 : 고내청정모드 운전 단계]
고내청정모드 운전의 시간은 청소모드의 운전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고내청정모드 운전은 청소모드의 해제시에 시작되어 일정시간 유지되며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해제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0)는 카운트되는 시간이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해제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해제된 시점부터 [청소모드 시간 ×비례상수(β)]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비례상수(β)는 1보다 큰 실수로서, 바람직하게는 1.1~5가 될 수 있다. [S220 : 고내청정모드 운전 시간 판단단계]
제어부(110)에서 청소모드가 해제된 시점부터 [청소모드 시간 ×비례상수(β)]의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고내청정모드 운전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청소모드 해제시 고내청정모드 운전을 위해 동작되었던 UV램프(113) 및 탈취팬(115)를 모두 정지시켜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S230 : 고내청정모드 해제 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동작중에 입력부를 통해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증발기의 1차 제상이 진행되도록 하고,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2차 제상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2차 제상과 함께 고내 청정모드 운전도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청소모드의 시작시 1차 제상이 진행되고 청소모드 해제시 2차 제상이 시작되면서 고내 청정모드가 진행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고내 온도 상승을 줄일 수 있고 식품의 신선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S140 단계에서와 같이 청소모드 선택시 1차 제사모드 운전시 시작되어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진행되는 중에 청소모드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도 6의 A 이후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진행되는 중에 청소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1차 제상모드 운전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1차 제상모드 운전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제상 히터(112)의 온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1차 제상모드 운전이 계속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S310 : 1차 제상모드 운전 단계]
이러한 1차 제상모드 운전은 증발기의 온도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제될 수 있다.
즉, 1차 제상모드 운전은 청소모드의 선택시에 시작되어 일정시간 유지되며 증발기의 온도에 따라 해제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온도센서(116)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기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0)는 온도센서(116)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기의 온도가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증발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α) 이상으로 높아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증발기 온도 >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 + 설정온도(α)]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S320 : 증발기 온도 판단단계]
제어부(110)는 증발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α)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상 히터(112)를 제어하여 1차 제상모드 운전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제상 히터(112)를 오프시켜 더 이상 열을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1차 제상을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S330 : 1차 제상모드 해제 단계]
또한,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진행되는 중에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선택적으로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될 수도 있다.
이에,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UV램프(113) 및/또는 탈취팬(1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S340 : 고내청정모드 운전 단계]
고내청정모드 운전의 시간은 청소모드의 운전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고내청정모드 운전은 청소모드의 해제시에 시작되어 일정시간 유지되며 설정된 시간 조건에 따라 해제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0)는 카운트되는 시간이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해제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해제된 시점부터 [청소모드 시간 ×비례상수(β)]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비례상수(β)는 1보다 큰 실수로서, 바람직하게는 1.1~5가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수치는 냉장고의 특성에 따라 당연히 변경 가능할 것이다. [S350 : 고내청정모드 운전 시간 판단단계]
제어부(110)에서 청소모드가 해제된 시점부터 [청소모드 시간 ×비례상수(β)]의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고내청정모드 운전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청소모드 해제시 고내청정모드 운전을 위해 동작되었던 UV램프(113) 및 탈취팬(115)를 모두 정지시켜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S360 : 고내청정모드 해제 단계]
도 6의 경우와 같이,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청소모드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2차 제상모드 운전을 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제상모드 운전은 청소모드 중에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진행되고,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된 후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시작될 수 있다.
하지만, 도 6의 경우는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기 전에 청소모드가 해제된 상황이므로 2차 제상모드 운전은 시작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1차 제상모드 운전이 2차 제상모드 운전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냉각모드 운전이 시작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청소모드가 해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냉매조절밸브(34)와 팬모터(111)를 제어하여 냉기가 저장실 내부로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냉각모드 운전은 고내청정모드 운전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청소모드 운전과 제상모드 운전에 따른 고내 온도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청소모드가 시작되면 1차 제상모드가 시작되고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2차 제상모드가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선택적으로 고내청정모드가 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내청정모드와 함께 냉각모드가 진행될 수 있다.
청소모드가 시작되면 압축기(31)는 정지하지만 고내청정모드가 시작되면 압축기(31)는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압축기(31)는 평상시 온과 오프를 반복하여 동작하지만 고내청정모드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계속 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고내 온도가 상승된 상태에서 고내 온도를 가능한 빨리 제어온도로 맞추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팬 모터(111)가 같이 동작하여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탈취팬(115)도 고내청정모드 운전시에 동작할 수 있다.
제상 히터(112)는 1,2차 제상모드 운전시에 온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 제어방법에 의하면 고내 온도가 빠르게 안정될 수 있다. 도 7의 고내 온도 그래프를 참조하면, 청소모드 시에 고내 온도가 상승하고(C부분), 청소모드가 해제된 이후에는 고내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여 빠르게 제어온도로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의 고내 온도와 비교할 때 고내 온도의 안정화가 빠름을 알 수 있다. 즉, 도 1에서는 청소모드 해제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상을 실시하므로 청소모드 시에 고내 온도가 1차 상승하고(A부분), 제상시에 고내 온도가 2차 상승하므로(B부분), 고내 온도를 제어온도로 빠르게 안정화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모드와 1차 제상모드를 동시에 수행하고 청소모드 해제시 2차 제상모드와 고내청정모드를 진행하므로 청소모드에서만 온도 상승이 나타나고(C구간), 그 이후로는 빠르게 안정화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냉장고 10, 20 : 도어
11 : 입력부 12 : 냉동온도 버튼
13 : 특냉 버튼 14 : 냉장온도 버튼
15 : 제균탈취 버튼 16 : 잠금풀림 버튼
17 : 청소모드 버튼 18 : 디스플레이
31 : 압축기 32 : 응축기
33 : 팬 모터 34 : 냉매조절밸브
35 : 제1팽창기 36 : 제2팽창기
37 : 제1증발기 38 : 제2증발기
39 : 제1 팬 모터 40 : 제2 팬 모터
41 : 체크 밸브 110 : 제어부
111 : 고내 팬 모터 112 : 제상 히터
113 : UV램프 114 : 탈취필터
115 : 탈취팬 116 : 온도센서

Claims (20)

  1. 내부에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실의 청소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제상을 위해 상기 증발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상 히터;
    상기 제상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상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증발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α) 이상으로 높으면 상기 제상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도록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제상 히터를 온시키고 상기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면 오프시키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상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증발기의 2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모드가 선택된 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실의 청소모드를 해제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청소모드 해제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실의 청소모드를 해제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증발기의 온도가 상기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될 때의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상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증발기의 2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도록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발기의 2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제상 히터를 온시키고 상기 증발기의 2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면 오프시키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실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용 광원 또는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실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UV램프 또는 탈취팬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상기 저장실의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청정모드 운전의 시간은 상기 청소모드의 시간에 비례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된 후 상기 청소모드 시간에 설정된 비례상수(β)(β:1.1 ~ 5의 실수)를 곱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광원 또는 탈취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상기 고내청정모드 운전을 해제하도록 하는 냉장고.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켜 냉각모드 운전을 시작하도록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실로 냉기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14. 냉장고가 동작 중에 입력부에서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증발기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1차 제상모드 운전의 해제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해제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청소모드가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저장실의 청소모드가 선택되면 제상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1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발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상 해제 온도보다 설정온도(α) 이상으로 높으면 상기 제상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증발기의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상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증발기의 2차 제상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발기의 온도가 상기 1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될 때의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상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2차 제상모드 운전이 해제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모드가 해제되면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된 살균용 광원 또는 상기 저장실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하여 상기 고내청정모드 운전이 시작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모드가 선택된 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청소모드 해제가 입력되면 상기 청소모드를 해제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90113460A 2019-09-16 2019-09-16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32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60A KR20210032118A (ko) 2019-09-16 2019-09-16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60A KR20210032118A (ko) 2019-09-16 2019-09-16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118A true KR20210032118A (ko) 2021-03-24

Family

ID=7525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460A KR20210032118A (ko) 2019-09-16 2019-09-16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1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3692B2 (en) 2021-08-31 202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271A (ko) 2012-06-07 2013-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271A (ko) 2012-06-07 2013-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3692B2 (en) 2021-08-31 202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058B2 (en) Refrigerator for kimchi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EP3511663A1 (en) Refrigerator
JP6825328B2 (ja) 冷蔵庫
US20130327073A1 (en) Refrigerator
CN108369052A (zh) 冰箱
JP2008075964A (ja) 冷却装置の除霜装置
AU2014303819B2 (en) Refrigerator
KR20200074630A (ko) 인공지능 냉장고
KR20210032118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150035572A (ko) 냉장 기기에 대한 사용자 선택가능 동작 모드
JP4945496B2 (ja) 冷蔵庫
JP5749598B2 (ja) 冷却庫
JP5107112B2 (ja) 冷蔵庫
JP4074567B2 (ja) 冷蔵庫
WO2014129143A1 (ja) 冷蔵庫
JP2022043157A (ja) 冷蔵庫
KR100713818B1 (ko) 김치저장고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2021004954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2003287332A (ja) 冷蔵庫
JP2020128827A (ja) 冷却貯蔵庫
KR100346159B1 (ko) 김치저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KR101659010B1 (ko) 급수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급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1992725B1 (ko) 멀티-룸 냉장고 및 멀티-룸 냉장고의 식별자 표시 방법
JP5242823B2 (ja) 冷蔵庫
KR200299893Y1 (ko) 자동전환 해동기능을 구비한 김치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