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942A - 경로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경로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942A
KR20210031942A KR1020217004214A KR20217004214A KR20210031942A KR 20210031942 A KR20210031942 A KR 20210031942A KR 1020217004214 A KR1020217004214 A KR 1020217004214A KR 20217004214 A KR20217004214 A KR 20217004214A KR 20210031942 A KR20210031942 A KR 20210031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ion information
network device
path
terminal device
sele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시 루
후에이-밍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로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이 단말기 디바이스가 이 제 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경로 상에서 특정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제 1 지시 정보는 이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 전송 경로는 셀룰러 경로 또는 사이드 링크 경로이다. 본 발명은 통신 성능의 향상에 유리하다.

Description

경로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18년 7월 19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 번호가 201810798885.2이며, 발명의 명칭이 “경로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로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은 롱텀 에볼루션 - 단말기 간(Long Term Evolution-Device to Device, LTE-D2D)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드 링크(Sidelink, SL) 전송 기술이며, 통신 데이터가 기지국을 통해 수신 또는 송신되는 종래의 LTE 시스템의 방식과는 달리, 차량 인터넷 시스템은 단말기 간 직접 통신의 방식을 사용하므로 스펙트럼 효율이 보다 높고 전송 지연이 보다 낮다. 따라서,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는 (1) 기지국을 통해 송수신하는 전송 경로와, (2) 단말기 간에서 직접 통신하는 경로의 두 가지 전송 경로가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가 이들 두 가지 경로 상에서 어떻게 서비스를 전송할 것인가는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성능의 향상에 유리한 경로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경로 선택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이 단말기 디바이스가 이 제 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경로 상에서 특정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제 1 지시 정보는 이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 전송 경로는 셀룰러 경로 또는 사이드 링크 경로이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경로 선택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전송 경로는 셀룰러 경로 또는 사이드 링크 경로이며, 이 제 1 지시 정보는 이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각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각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구비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2 양태 또는 그 각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그 각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구비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이 프로세서는, 이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각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이 프로세서는, 이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상기 제 2 양태 또는 그 각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 또는 그 각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칩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 칩은,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이 칩이 탑재된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 또는 그 각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제 8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 또는 그 각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제 9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 또는 그 각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제 10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 또는 그 각 실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기술 방안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지시하는 경로 상에서 특정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전송에 적합한 경로를 선택하는 데 더욱 유리하며, 이를 통해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사이드 링크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사이드 링크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경로 선택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다른 개략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른 개략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칩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론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분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부의 실시예는 아니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조적인 행위를 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획득하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글로벌 상호 접속 마이크로 웨이브 액세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5G 시스템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또는 통신 단말기, 단말기라고도 함)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고, 또는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할 공중 육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국, 이동국,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 국, 원격 단말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세스 단말기는 휴대 전화, 무선 전화, 세션 설정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국,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핸드 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할 공중 육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라 불리울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 간에서 단말기 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며, 선택적으로,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커버리지 내에 다른 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 MME),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등의 다른 네트워크 엔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20)와 단말기 디바이스(30)는 D2D 통신 모드로 통신할 수 있으며, D2D 통신을 진행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20)와 단말기 디바이스(30)는 D2D 링크, 즉 사이드 링크를 통해 직접 통신한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20)와 단말기 디바이스(30)는 사이드 링크를 통해 직접 통신한다. 도 1에서, 단말기 디바이스(20)와 단말기 디바이스(30)는 사이드 링크를 통해 통신하고, 그 전송 리소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에 의해 할당되며, 도 2에서, 단말기 디바이스(20)와 단말기 디바이스(30)는 사이드 링크를 통해 통신하고, 그 전송 리소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자율적으로 선택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 리소스를 할당할 필요가 없다.
D2D 통신 모드는 차량 간(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또는 차량 사물(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V2X 통신에서 X는 일반적으로 무선 송수신 능력을 구비한 임의의 디바이스를 가리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저속으로 이동하는 무선 장치,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 탑재 디바이스 또는 무선 송수신 능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제어 노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로 V2X 통신 시나리오에 적용되지만, 다른 임의의 D2D 통신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선택 방법(100)의 개략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 방법(100)은 아래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S110 :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전송 경로는 셀룰러 경로 또는 사이드 링크 경로이다.
S120 :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S130 :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S140 :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경로 상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전송한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경로인 셀룰러 경로와, 단말기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경로인 사이드 링크 경로를 포함하는 두 가지 전송 경로를 통해 서비스를 송신할 수 있으며, 셀룰러 경로란,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며, 사이드 링크 경로는 PC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전송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있음을 알게 되면 전송할 서비스에 따라 셀룰러 경로를 사용할지 사이드 링크 경로를 사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특정 서비스란 특수 서비스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특정 유형의 서비스, 즉 일부 공통 특성을 가지는 서비스를 가리킨다. 이 특정 서비스는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등과 같이 서비스 속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할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결정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나아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이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전송 경로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이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먼저 이에 따라 셀룰러 경로를 사용할지 사이드 링크 경로를 사용할지 결정하고, 나아가 결정한 전송 경로에서 전송할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경로 선택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지시하는 경로 상에서 특정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전송에 적합한 경로를 선택 하는데 더욱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혹은 단말기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행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1 지시 정보는 비 액세스 계층(Non access stratum, NAS) 시그널링에서 반송된다. 이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각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G 시스템에서의 코어 네트워크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일 수 있고, 5G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등일 수도 있으며,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 등장할 코어 네트워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혹은 단말기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행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 1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등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행된 정보에서 반송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송 경로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할 수 있으며, 단말기 디바이스는 어떤 서비스를 전송할지를 결정한 후, 구성된 대응 관계에 따라 전송을 위한 하나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전송할 서비스를 결정한 후, 이 서비스를 위한 하나의 전송 경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 경로를 DCI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도 있다. 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각 통신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G 시스템에서의 eNB일 수 있고, 5G 시스템에서의 gNB 등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경우, 제 1 지시 정보는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시그널링에서 반송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5G에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입한다.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기지국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UE를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이 기지국은 예를 들어, 5G에서의 기지국 gNB일 수 있다. AMF는 제어 플레인의 이동성 및 액세스 관리를 담당하는 네트워크 요소이며, 사용자 플레인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은 사용자 플레인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요소이다.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은 AMF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MF는 AMF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지시 정보는 AMF 디바이스에 의해 UE로 직접 송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MF는 UE로 이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AMF를 트리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MF는 AMF로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이 제 2 지시 정보는 UE로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AMF에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AMF는 SMF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UE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F는 이 제 1 지시 정보를 AMF로 송신할 수 있으며, AMF는 이 제 1 지시 정보를 UE로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지시 정보는 gNB에 의해 UE로 직접 송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AMF는 UE로 이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gNB를 트리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MF는 gNB로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이 제 2 지시 정보는 UE로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gNB에 지시할 수 있다. 나아가, 이 AMF는 SMF의 트리거 하에서 gNB로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gNB는 AMF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UE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는 이 제 1 지시 정보를 gNB로 송신할 수 있으며, gNB는 이 제 1 지시 정보를 UE로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제 1 지시 정보는 SMF에 의해 송신되며, AMF 및 gNB를 통해 UE로 전달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지시 정보는 gNB에 의해 UE로 직접 송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PF는 UE로 이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gNB를 트리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PF는 gNB로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이 제 2 지시 정보는 UE로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gNB에 지시할 수 있다. 나아가, 이 UPF는 SMF의 트리거 하에서 gNB로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gNB는 UPF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UE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PF는 이 제 1 지시 정보를 gNB로 송신할 수 있으며, gNB는 이 제 1 지시 정보를 UE로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제 1 지시 정보는 SMF에 의해 송신되며, UPF 및 gNB를 통해 UE로 전달될 수도 있다.
5G 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5G + 4G 이중 연결 시나리오 등에도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지시 정보는 서비스의 식별자를 통해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 플로우 식별자(Quality of Service flow Identity, QoS flow ID)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할 수 있다. 부동한 서비스는 부동한 QoS flow ID를 가질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QoS flow ID에 따라 서비스를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고, 하나는 셀룰러 경로를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사이드 링크 경로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류 관계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지시 정보를 통해 현재 서비스의 QoS flow ID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고, 나아가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 서비스의 QoS flow ID에 따라 서비스 전송을 위해 어떤 전송 경로를 사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사용되는 프로토콜(예를 들어, IP 프로토콜 등), 프로바이더 서비스 식별자(Provider Service Identifier, PSID)/지능형 교통 시스템 응용 식별자(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Application Identifier, ITS-AID),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WSMP) 헤더 필드, 지리적 네트워크(Geonetworking) 헤더 필드 및 기본 전송 프로토콜(Basic Transport Protocol, BTP) 헤더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서비스를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하나는 셀룰러 경로를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사이드 링크 경로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류 관계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지시 정보를 통해 현재 서비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고, 나아가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 서비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서비스 전송을 위해 어떤 전송 경로를 사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목적지 주소 및 출발지 주소는 출발지 네트워크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 및 목적지 IP 주소일 수 있고, 레이어 2의 출발지 주소 및 목적지 주소일 수도 있으며, Geonetworking 헤더 필드에서의 출발지 노드(Source Node) 및 목적지 노드(Destination Node) 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SMP 헤더 필드에는 4bits의 예약 비트, 4bits의 버전 비트 및 1 ~ 4 바이트의 PSID/ITS-AID가 포함된다.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각 비트 필드에서 운반될 수 있다. 이 제 1 지시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발행된 현재 서비스의 WSMP일 수 있으며, 예약 비트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셀룰러 경로를 사용할지 사이드 링크 경로를 사용할지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비트의 예약 비트를 사용하며, 비트 1은 셀룰러 경로를 표시하며 비트 0은 사이드 링크 경로를 표시한다. 또는, 부동한 서비스의 PSID가 다르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PSID에 따라 서비스를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하고, 현재 서비스의 PSID를 운반하는 WSMP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도 있으며, 단말기 디바이스는 이 WSMP 헤더 필드에서 현재 서비스의 PSID를 획득하고, 분류 관계에 따라 사용되는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먼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QoS flow ID에 매핑할 수도 있으며, 단말기 디바이스는 QoS flow ID와 전송 경로 사이의 대응 관계를 통해 제 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현재 서비스의 QoS flow ID에 대응하는 전송 경로를 알 수 있고, 나아가 이 전송 경로 상에서 이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예는 다양한 암시적 지시 방식을 설명하였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현재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먼저 현재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지시 정보를 통해 결정된 전송 경로를 직접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내의 어느 비트 필드를 통해 지시할 수 있으며, 이 비트 필드가 1이면 셀룰러 경로를 지시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 비트 필드가 0이면 사이드 링크 경로를 지시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각 프로세스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하는 전후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부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프로세스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구성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선택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하기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선택 장치를 설명하도록 하며,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 된 기술적 특징은 하기의 장치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200)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단말기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제 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경로 상에서 특정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 유닛(210)을 구비하고, 이 제 1 지시 정보는 이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 전송 경로는 셀룰러 경로 또는 사이드 링크 경로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이 제 1 지시 정보는 비 액세스 계층 NAS 시그널링에서 반송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AMF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제 1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시그널링에서 반송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제 1 지시 정보는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 SDAP 시그널링에서 반송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제 1 지시 정보는 이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플로우 식별자를 통해 이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제 1 지시 정보는 이 특정 서비스의 출발지 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사용되는 프로토콜, 프로바이더 서비스 식별자 PSID/지능형 교통 시스템 응용 식별자 ITS-AID, 목적지 주소, 출발지 주소,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 WSMP 헤더 필드, 지리적 네트워크 헤더 필드 및 기본 전송 프로토콜 BTP 헤더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해 이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2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단말기 디바이스(200) 내의 각 유닛의 상기 및 기타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3의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흐름을 실현하는 데 사용되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을 이해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300)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300)는,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310)과,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 유닛(320)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 경로는 셀룰러 경로 또는 사이드 링크 경로이며,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비 액세스 계층 NAS 시그널링에서 반송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AMF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세션 관리 기능 SMF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AMF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시그널링에서 반송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AMF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 SDAP 시그널링에서 반송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사용자 플레인 기능 UPF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세션 관리 기능 SMF의 지시 하에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출발지 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사용되는 프로토콜, 프로바이더 서비스 식별자 PSID/지능형 교통 시스템 응용 식별자 ITS-AID, 목적지 주소, 출발지 주소,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 WSMP 헤더 필드, 지리적 네트워크 헤더 필드 및 기본 전송 프로토콜 BTP 헤더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플로우 식별자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출발지 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사용되는 프로토콜, 프로바이더 서비스 식별자 PSID/지능형 교통 시스템 응용 식별자 ITS-AID, 목적지 주소, 출발지 주소,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 WSMP 헤더 필드, 지리적 네트워크 헤더 필드 및 기본 전송 프로토콜 BTP 헤더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플로우 식별자에 매핑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3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300) 내의 각 유닛의 상기 및 기타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3의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흐름을 실현하는 데 사용되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을 이해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400)가 더 제공되며, 이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도 5의 단말기 디바이스(200)일 수 있고, 도 3의 방법(100)에 대응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내용을 실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프로세서(410)를 구비하며, 프로세서(410)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메모리(4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420)는 프로세서(4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프로세서(4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송수신기(43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프로세서(410)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이 송수신기(4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디바이스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4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430)는 안테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수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고, 이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흐름을 실현할 수 있으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단말기 디바이스(300) 내의 송수신 유닛은 도 7의 송수신기(43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500)가 더 제공되며,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도 6의 네트워크 디바이스(300)일 수 있고, 도 3의 방법(100)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내용을 실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프로세서(510)를 구비하며, 프로세서(510)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메모리(5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프로세서(5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송수신기(53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프로세서(510)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이 송수신기(5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디바이스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5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530)는 안테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수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흐름을 실현할 수 있으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300) 내의 처리 유닛은 도 8의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300) 내의 송수신 유닛은 도 8의 송수신기(53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칩(600)은 프로세서(610)를 구비하며, 프로세서(610)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600)은 메모리(6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프로세서(6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이 칩(600)은 입력 인터페이스(6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이 입력 인터페이스(6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칩(600)은 출력 인터페이스(6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이 출력 인터페이스(6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으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이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흐름을 실현할 수 있으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이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이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흐름을 실현할 수 있으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이라 불리울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700)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통신 시스템(700)은 단말기 디바이스(71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7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 단말기 디바이스(710)는 상기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720)는 상기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현 프로세스에서,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실현 또는 실행 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또는 이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완료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 완료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해당 기술 분야에서의 성숙된 기록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기록매체는 메모리에 배치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확장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 다양한 형태의 RAM이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메모리는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확장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의도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흐름을 실행하게 하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흐름을 실행하게 하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더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흐름을 실행하게 하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흐름을 실행하게 하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 되는 대응하는 흐름을 실행하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흐름을 실행하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실행되는지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상의 제약 조건에 의존한다. 당업자라면 특정 용도에 따라 부동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아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으도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에 따른 구분이며, 실제로 실현할 때는 기타 구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조합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도 있으며, 혹은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나타내거나 설명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도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도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고, 또한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공헌한 부분 또는 이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기록매체에 저장되며, 한 대의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가능한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구상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52)

  1.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경로 상에서 특정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전송 경로는 셀룰러 경로 또는 사이드 링크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비 액세스 계층(NAS)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플로우 식별자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사용되는 프로토콜, 프로바이더 서비스 식별자(PSID)/지능형 교통 시스템 응용 식별자(ITS-AID),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WSMP) 헤더 필드, 지리적 네트워크 헤더 필드 및 기본 전송 프로토콜(BTP) 헤더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9.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경로는 셀룰러 경로 또는 사이드 링크 경로이며,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비 액세스 계층(NAS)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MF가 세션 관리 기능(SMF)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AMF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사용자 플레인 기능(UPF)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18.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세션 관리 기능(SMF)의 지시하에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19. 제9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사용되는 프로토콜, 프로바이더 서비스 식별자(PSID)/지능형 교통 시스템 응용 식별자(ITS-AID),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WSMP) 헤더 필드, 지리적 네트워크 헤더 필드 및 기본 전송 프로토콜(BTP) 헤더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20. 제9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플로우 식별자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특정 서비스의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사용되는 프로토콜, 프로바이더 서비스 식별자(PSID)/지능형 교통 시스템 응용 식별자(ITS-AID),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WSMP) 헤더 필드, 지리적 네트워크 헤더 필드 및 기본 전송 프로토콜(BTP) 헤더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플로우 식별자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선택 방법.
  2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경로 상에서 특정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전송 경로는 셀룰러 경로 또는 사이드 링크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비 액세스 계층(NAS)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플로우 식별자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9.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사용되는 프로토콜, 프로바이더 서비스 식별자(PSID)/지능형 교통 시스템 응용 식별자(ITS-AID),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WSMP) 헤더 필드, 지리적 네트워크 헤더 필드 및 기본 전송 프로토콜(BTP) 헤더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0.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과,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 경로는 셀룰러 경로 또는 사이드 링크 경로이며,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비 액세스 계층(NAS)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세션 관리 기능(SMF)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AMF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시그널링에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사용자 플레인 기능(UPF)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9. 제36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세션 관리 기능(SMF)의 지시 하에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0. 제30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사용되는 프로토콜, 프로바이더 서비스 식별자(PSID)/지능형 교통 시스템 응용 식별자(ITS-AID),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WSMP) 헤더 필드, 지리적 네트워크 헤더 필드 및 기본 전송 프로토콜(BTP) 헤더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1. 제30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플로우 식별자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사용되는 프로토콜, 프로바이더 서비스 식별자(PSID)/지능형 교통 시스템 응용 식별자(ITS-AID),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WSMP) 헤더 필드, 지리적 네트워크 헤더 필드 및 기본 전송 프로토콜(BTP) 헤더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플로우 식별자에 매핑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3.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이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로 선택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4.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이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제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로 선택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5. 칩에 있어서,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상기 칩이 탑재된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로 선택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6. 칩에 있어서,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며 칩이 탑재된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로 선택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7.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로 선택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8.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로 선택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9.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로 선택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0.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로 선택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1.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로 선택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2. 컴퓨터로 하여금 제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로 선택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04214A 2018-07-19 2019-07-19 경로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202100319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98885.2 2018-07-19
CN201810798885 2018-07-19
PCT/CN2019/096722 WO2020015727A1 (zh) 2018-07-19 2019-07-19 路径选择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942A true KR20210031942A (ko) 2021-03-23

Family

ID=6916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214A KR20210031942A (ko) 2018-07-19 2019-07-19 경로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27317A1 (ko)
EP (1) EP3826363A4 (ko)
JP (1) JP2021530171A (ko)
KR (1) KR20210031942A (ko)
CN (1) CN112385269A (ko)
AU (1) AU2019303769A1 (ko)
WO (1) WO2020015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1598B2 (en) * 2019-06-13 2023-05-02 Qualcomm Incorporated Device-to-device quality of service flow management
CN113728723A (zh) * 2021-07-21 2021-1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辅助配置方法及其装置
CN114024876B (zh) * 2021-10-15 2023-06-1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网络拨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852947A (zh) * 2021-10-29 2021-12-2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15150325B (zh) * 2022-06-29 2024-04-09 东北大学 一种应用于b5g车载网的可靠路由方法
WO2024016179A1 (zh) * 2022-07-19 2024-01-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路径选择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9806A1 (en) * 2011-03-31 2012-10-04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02905334B (zh) * 2011-07-25 2014-05-07 上海无线通信研究中心 簇头辅助用户终端从d2d通信转换到蜂窝通信的方法
WO2014065167A1 (ja) * 2012-10-26 2014-05-01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ユーザ端末、基地局、プロセッサ及び通信制御方法
US8897768B2 (en) * 2012-11-28 2014-11-2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selecting and establishing a D2D communication path in MTC capillary networks
CN104717714A (zh) * 2013-12-17 2015-06-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由信息发送、接收的方法、装置及路由信息处理系统
US9986485B2 (en) * 2014-06-10 2018-05-29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control for D2D communications
WO2017128350A1 (zh) * 2016-01-30 2017-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网络设备以及数据传输方法
CN107040972B (zh) * 2016-02-04 2022-06-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径选择方法及装置
EP3432655B1 (en) * 2016-04-05 2021-10-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relay terminal
WO2018066905A1 (ko) * 2016-10-07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V2x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5727A1 (zh) 2020-01-23
EP3826363A4 (en) 2021-09-15
EP3826363A1 (en) 2021-05-26
AU2019303769A1 (en) 2021-03-04
US20210127317A1 (en) 2021-04-29
JP2021530171A (ja) 2021-11-04
CN112385269A (zh)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206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210031942A (ko) 경로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WO2017166141A1 (zh) 数据传输的方法、终端及基站
CN113615257B (zh) 一种路径选择方法及装置、终端
CN111770591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终端
CN109246837B (zh) 通信方法和装置以及无线接入网络
RU2745718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ередающее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приемное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1641988B (zh) 用于传输数据的方法和终端设备
US11432370B2 (en) D2D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187732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2997468B (zh) 使用协议数据单元会话的信息中心网络来检索高速缓存内容的技术
WO2021031010A1 (zh)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1065132A (zh) 无线通信方法及设备
CN113286276B (zh) 侧行链路中确定传输模式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JP2022506321A (ja) 無線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WO2019174017A1 (zh) 车联网中载波选择的方法和终端设备
US11374702B2 (en) Method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transmission using HARQ process identif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WO2020077645A1 (zh) 一种参数配置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2022505026A (ja) フィードバック情報の伝送方法及び端末デバイス
CN113852927B (zh) 一种终端的连接方法和终端
WO2021026928A1 (zh) 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KR2024004903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6770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pf에 기반한 허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7016005A (zh) 信息传输方法、第一网元、第二网元、芯片和存储介质
CN116830711A (zh) 一种通信的方法和通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