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667A -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667A
KR20210031667A KR1020210031994A KR20210031994A KR20210031667A KR 20210031667 A KR20210031667 A KR 20210031667A KR 1020210031994 A KR1020210031994 A KR 1020210031994A KR 20210031994 A KR20210031994 A KR 20210031994A KR 20210031667 A KR20210031667 A KR 2021003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zziness
user
virtual reality
reality device
quant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857B1 (ko
Inventor
전홍진
정원호
강세웅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10031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8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29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s
    • A61B5/4035Evaluating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은, 가상현실 장치를 사용할 사용자의 전정기능 또는 시각기능을 측정하는 단계, 가상현실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극 영상이 제공되는 단계,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사용자의 자율신경계의 변화 또는 시각기능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사용자의 어지러움 정도 또는 시각이 피로한 정도를 설문을 통하여 추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전정기능 또는 시각기능, 측정된 자율신경계의 변화 및 추정된 어지러움 정도 또는 시각이 피로한 정도를 기초로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어지럼증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FYING AND EVALUATING DIZZINESS OF USER DUE TO USE OF A VIRTUAL REALITY DEVICE}
본 발명은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와 관련된 신체기능 및 사용자에 대한 설문을 기초로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이때, 만들어진 가상의(상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며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드나들게 한다.
이러한 가상현실은 1968년 유타 대학의 이반 서덜랜드(Ivan Edward Sutherland)에 의해 고안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WD: head mounted display)에 의해 최초로 구현되었고, 최근에는 오큘러스 리프트,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VR 등을 통해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면이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마트폰을 가상현실 기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현실 기기의 대중화가 점점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가상현실 기기들은 기본적으로 헤드 트래킹(head tracking)을 지원하는데, 헤드 트래킹은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VR 기기의 화면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가상현실 기기들은 일반적으로 입력시간과 연산시간, 출력시간 사이에 딜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헤드 트래킹 딜레이로 인해 어지럼증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자연환경에서 수렴(convergence)과 조절(accommodation)거리는 일반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에 수렴과 조절이 서로 협응하여 작용하지만 인공적인 3D 디스플레이를 통해 자극이 제시되는 경우에는 수렴과 저절에 불일치가 발생하며, 이는 시각피로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로 인해 장시간 가상현실 기기를 사용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전술한 원인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인별 신체기능에 따라 같은 영상이 제공되어도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가 나타나는 정도가 다른 문제가 있어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및 기준을 마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7623호 (2016.01.1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현실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기능 및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요소를 접목하여 분석함으로써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에 영향을 주는 사용자의 개인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가상현실 장치로 제공되는 영상을 어지러움 또는 시각피로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은, 전정기능 측정부가 상기 가상현실 장치를 사용할 사용자의 전정기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현실 장치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자극 영상이 제공되는 단계; 심박수 측정, 피부전도도 측정, 호흡수 측정, 근전도검사 및 타액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어지러움 정도를 설문을 통하여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정기능, 상기 측정된 자율신경계의 변화 및 상기 추정된 어지러움 정도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상기 어지럼증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신경계의 변화 정도는 HF/LF ratio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은, 상기 전정기능의 측정에는 비디오 두부충동검사(Video head impulse test) 및 회전의자 검사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의자 검사를 통해 시간상수 및 회전속도별 이득의 파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은, 상기 자극 영상은 상기 어지러움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은, 상기 측정된 전정기능, 상기 측정된 자율신경계의 변화 및 상기 추정된 어지러움 정도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상기 어지럼증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단계에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전정기능, 자율신경계의 변화 및 어지러움 정도를 획득한 후 사용자 개인별 어지러움 정도 및 상기 자극 영상별 어지러움 정도를 그룹화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자의 전정기능을 측정하는 전정기능 측정부; 상기 가상현실 장치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자극 영상을 제공하는 제 1 자극 영상 제공부; 심박수 측정, 피부전도도 측정, 호흡수 측정, 근전도검사 및 타액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측정하는 제 1 객관적 기능요소 측정부; 상기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어지러움 정도를 설문을 통해 추정하는 제 1 주관적 평가요소 추정부; 및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상기 어지럼증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제 1 가상현실 장치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신경계의 변화 정도는 HF/LF ratio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신체기능의 변화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주관적 어지러움 또는 시각피로 정도를 추정하여 정량화함으로써, 객관화된 어지러움 또는 시각피로도 평가지표를 제시할 수 있으며,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선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어지러움 또는 시각피로도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하여 정량화할 수 있으며, 이릍 통해 영상에 대한 평가지표를 생성하여 가상현실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의 개선 정도를 확인함과 동시에 사용자 개인별 맞춤형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은, 가상현실 장치를 사용할 사용자의 전정기능을 측정하는 단계(S110), 가상현실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극 영상이 제공되는 단계(S120),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사용자의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S130),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사용자의 어지러움 정도를 설문을 통하여 추정하는 단계(S140) 및 측정된 전정기능, 측정된 자율신경계의 변화 및 추정된 어지러움 정도를 기초로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어지럼증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정기능의 측정에는 비디오 두부충동검사(Video head impulse test) 및 회전의자 검사가 포함되고, 회전의자 검사를 통해 시간상수 및 회전속도별 이득의 파악이 가능할 수 있다.
비디오 두부충동검사는 교정성 단속운동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는 검사로, 고속으로 머리를 회전시켜 전정안반사를 평가한다. 이 때, 전정안반사란 두부 회전시 두부 회전 속도와 동일하게 반대 방향으로 안구를 움직임으로써 선명한 시각을 얻기 위한 반응을 말한다. 비디오 두부충동검사를 통해 안구와 두부의 속도를 기록하여 두부 운동에 따른 안구의 운동을 나타내는 전정안반사의 이득과 교정성 단속운동을 객관적으로 정량화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의자 검사는 빠른 회전가속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강력한 모터가 달린 의자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머리 회전을 유발하여 전정안반사의 결과를 확인하는 검사로, 시간상수 및 회전속도별 이득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전정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극 영상은 어지러움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극 영상은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정도에 따라 가장 낮은 수준(1단계)부터 가장 높은 수준(5단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자극 영상이 제공되기 전에 미리 5단계로 분류되어 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율신경계의 변화의 측정에는 심박수 측정, 피부전도도 측정, 호흡수 측정, 근전도검사 및 타액검사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자율신경계의 변화는 가상현실 장치를 통하여 자극 영상이 제공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변화 정도는 비율의 변화(예컨대, 기존 대비 소정의 퍼센트로 증가)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신경계의 변화는 LF/HF Ratio가 172±193.77(%) 증가하였고 전기전도도가 343.32±332.59(%)가 증가하였으며 근전도는 272.63±362.01(%)가 증가하였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사용자의 어지러움 정도를 추정하는 설문은 사용자가 자극 영상을 시청한 후 스스로의 주관적인 판단을 통한 평가로 이루어지며, 각 평가문항을 점수화하여 설문의 총 점수를 통해 사용자 어지러움 및 구역질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전정기능, 측정된 자율신경계의 변화 및 추정된 어지러움 정도를 기초로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어지럼증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단계(S150)에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전정기능, 자율신경계의 변화 및 어지러움 정도를 획득한 후 사용자 개인별 어지러움 정도 및 자극 영상별 어지러움 정도를 그룹화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화를 통해 어지럼증 및 자극 영상의 정량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후 평가지표의 생성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측정된 전정기능 및 측정된 자율신경계의 변화와 추정된 어지러움 정도와의 분석을 통해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종합하여 어지럼증을 정량화할 수 있고, 어지러움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된 자극 영상을 기준으로 다른 자극 영상들을 정량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객관적인 어지러움 평가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100)는,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자의 전정기능을 측정하는 전정기능 측정부(110), 가상현실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극 영상을 제공하는 제 1 자극 영상 제공부(120),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사용자의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측정하는 제 1 객관적 기능요소 측정부(130),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사용자의 어지러움 정도를 설문을 통해 추정하는 제 1 주관적 평가요소 추정부(140) 및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제 1 가상현실 장치 평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은, 가상현실 장치를 사용할 사용자의 시각기능을 측정하고,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 전 사용자의 시각이 피로한 정도를 설문을 통해 추정하는 단계(S210), 가상현실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극 영상이 제공되는 단계(S220),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사용자의 시각기능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S230),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사용자의 시각이 피로한 정도를 설문을 통해 추정하는 단계(S240) 및 측정된 시각기능의 변화 및 시각이 피로한 정도의 변화를 기초로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시각피로도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시각피로도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각기능에는 굴절력(AR: autorefraction), 안압(IOP: intraocular pressure), 눈물막 파괴시간(TBUT: tear break up time), 조절근점(NPA: near point of accommodation), 폭주근점(NPC: near point of convergence), 눈깜빡임 횟수(IBI: interblink interval) 및 조절력(accommodation range)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시각기능의 측정에는 굴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서 조절마비굴절검사 및 눈물막 파괴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건성안 검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조절력 측정을 위해 오카스(OQAS: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은 시각이 피로한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극 영상은 시각피로도를 일으키는 정도에 따라 가장 낮은 수준(1단계)부터 가장 높은 수준(5단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자극 영상이 제공되기 전에 미리 5단계로 분류되어 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각기능의 변화는 가상현실 장치를 사용 전과 가상현실 장치를 사용하여 자극 영상을 제공한 후를 비교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으며, 변화 정도는 비율의 변화(예컨대, 기존 대비 소정의 퍼센트로 증가)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사용자의 시각이 피로한 정도를 추정하는 설문은 어지러움 정도를 추정하는 설문과 달리 사용자가 자극 영상을 시청하기 전 및 후 스스로의 주관적인 판단을 통한 평가로 이루어지며, 각 평가문항을 점수화하여 사용자가 자극 영상을 시청한 전 설문의 총 점수 및 사용자가 자극 영상을 시청한 후 설문의 총 점수의 비교를 통해 시각이 피로한 정도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시각기능의 변화 및 시각이 피로한 정도의 변화를 기초로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시각피로도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시각피로도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단계(S250)에는, 자극 영상별 영상 인자와 시각피로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자극 영상은 시각이 피로한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가 가능하므로 단계별로 분류된 자극 영상 각각의 영상 인자를 측정된 시각기능의 변화 및 시각이 피로한 정도의 변화를 토대로 시각피로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극 영상의 정량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극 영상별 영상 인자에는 자극 영상별 화각, 자극 영상별 초점심도(depth of focus)의 변화 및 자극 영상별 주변시야 수정(peripheral field mod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측정된 시각기능의 변화 및 측정된 시각이 피로한 정도의 변화의 분석을 통해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종합하여 시각피로도을 정량화할 수 있고, 시각이 피로한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된 자극 영상을 기준으로 다른 자극 영상들을 정량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객관적인 시각피로도 평가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200)는,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자의 시각기능을 측정하는 시각기능 측정부(210), 가상현실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극 영상을 제공하는 제 2 자극 영상 제공부(220),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사용자의 시각기능의 변화를 측정하는 제 2 객관적 기능요소 측정부(230),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 전 및 사용 후의 사용자의 시각이 피로한 정도를 설문을 통해 추정하는 제 2 주관적 평가요소 추정부(240) 및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시각피로도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시각피로도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제 2 가상현실 장치 평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상현실 장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
110: 전정기능 측정부 120: 제 1 자극 영상 제공부
130: 제 1 객관적 기능요소 측정부
140: 제 1 주관적 기능요소 추정부
150: 제 1 가상현실 장치 평가부
200: 가상현실 장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
210: 시각기능 측정부 220: 제 2 자극 영상 제공부
230: 제 2 객관적 기능요소 측정부
240: 제 2 주관적 기능요소 추정부
250: 제 2 가상현실 장치 평가부

Claims (5)

  1.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전정기능 측정부가 상기 가상현실 장치를 사용할 사용자의 전정기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현실 장치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자극 영상이 제공되는 단계;
    심박수 측정, 피부전도도 측정, 호흡수 측정, 근전도검사 및 타액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어지러움 정도를 설문을 통하여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정기능, 상기 측정된 자율신경계의 변화 및 상기 추정된 어지러움 정도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상기 어지럼증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신경계의 변화 정도는 HF/LF ratio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정기능의 측정에는 비디오 두부충동검사(Video head impulse test) 및 회전의자 검사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의자 검사를 통해 시간상수 및 회전속도별 이득의 파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영상은 상기 어지러움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전정기능, 상기 측정된 자율신경계의 변화 및 상기 추정된 어지러움 정도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상기 어지럼증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단계에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전정기능, 자율신경계의 변화 및 어지러움 정도를 획득한 후 사용자 개인별 어지러움 정도 및 상기 자극 영상별 어지러움 정도를 그룹화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5.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로서,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자의 전정기능을 측정하는 전정기능 측정부;
    상기 가상현실 장치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자극 영상을 제공하는 제 1 자극 영상 제공부;
    심박수 측정, 피부전도도 측정, 호흡수 측정, 근전도검사 및 타액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측정하는 제 1 객관적 기능요소 측정부;
    상기 제공된 자극 영상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어지러움 정도를 설문을 통해 추정하는 제 1 주관적 평가요소 추정부; 및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 영상을 정량화하여 상기 어지럼증 감소를 위한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제 1 가상현실 장치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신경계의 변화 정도는 HF/LF ratio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장치.
KR1020210031994A 2021-03-11 2021-03-11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3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994A KR102233857B1 (ko) 2021-03-11 2021-03-11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994A KR102233857B1 (ko) 2021-03-11 2021-03-11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527A Division KR20190054356A (ko) 2017-11-13 2017-11-13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667A true KR20210031667A (ko) 2021-03-22
KR102233857B1 KR102233857B1 (ko) 2021-03-30

Family

ID=7522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994A KR102233857B1 (ko) 2021-03-11 2021-03-11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560A1 (ko) * 2021-11-01 2023-05-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부충동검사의 평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719A (ko) * 1999-08-21 2001-03-15 김윤종 전정기관이상 진단 및 치료 통합시스템
KR20090079089A (ko) * 2008-01-16 2009-07-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있는 주관적인 시각적 피로감 측정방법 및 장치
KR101587623B1 (ko) 2010-12-09 2016-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5135A (ko) * 2015-11-11 2017-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현실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719A (ko) * 1999-08-21 2001-03-15 김윤종 전정기관이상 진단 및 치료 통합시스템
KR20090079089A (ko) * 2008-01-16 2009-07-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있는 주관적인 시각적 피로감 측정방법 및 장치
KR101587623B1 (ko) 2010-12-09 2016-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5135A (ko) * 2015-11-11 2017-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현실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560A1 (ko) * 2021-11-01 2023-05-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부충동검사의 평가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857B1 (ko)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7421B (zh) 整体地测量视觉功能的临床参数的系统
Weech et al. Estimating the sensorimotor components of cybersickness
WO2016165052A1 (en) Detecting facial expressions
Nyström et al. The influence of calibration method and eye physiology on eyetracking data quality
US201702933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btaining, Analyzing, and Generating Vision Performance Data and Modifying Media Based on the Vision Performance Data
Jones et al. Peripheral visual information and its effect on distance judgments in virtual and augmented environments
CN111758229A (zh) 基于生物特征传感器数据数字地表示用户参与定向内容
Garcia-Agundez et al. Development of a classifier to determine factors causing cybersickness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JP2012050759A (ja) 視覚疲労度検出装置、視覚疲労度制御装置及び視覚疲労度検出方法
US11417045B2 (en) Dialog-based testing using avatar virtual assistant
US202201105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contrast sensitivity threshold
KR102233857B1 (ko)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54356A (ko)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Mehringer et al. Stereopsis only: Validation of a monocular depth cues reduced gamified virtual reality with reaction time measurement
JP6765131B2 (ja) 視覚フィルタ同定方法及び装置
US202202307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hthalmic digital diagnostics via telemedicine
EP4325517A1 (en) Methods and devices in performing a vision testing procedure on a person
Marshall Assessing cognitive engagement and cognitive state from eye metrics
KR20230169160A (ko) 정신건강 진단 및 모니터링을 위한 안구 시스템
JP3724524B2 (ja) 眼球制御系情報検出装置および眼球制御系の解析方法
JP6445418B2 (ja) 印象推定装置、印象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8266477A (ja) 表示装置
ARSLAN et al. Th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ized Eye Tracking Metrics in VR Using Data Driven Iterative-Adaptive Algorithm
John et al. An Evaluation of Pupillary Light Response Models for 2D Screens and Virtual Reality HMDs
WO2023047639A1 (ja) 画像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