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623B1 -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623B1
KR101587623B1 KR1020100125840A KR20100125840A KR101587623B1 KR 101587623 B1 KR101587623 B1 KR 101587623B1 KR 1020100125840 A KR1020100125840 A KR 1020100125840A KR 20100125840 A KR20100125840 A KR 20100125840A KR 101587623 B1 KR101587623 B1 KR 101587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image
unit
guide
guide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560A (ko
Inventor
김해동
유정재
김명하
장호욱
김혜선
반윤지
남승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5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623B1/ko
Priority to US13/313,355 priority patent/US8995752B2/en
Publication of KR20120064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부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입체영상의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입체영상 제작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휴먼팩터 정보부 및 입체영상 제작을 위해 입력받은 입체영상 데이터에 상기 휴먼팩터 정보부에서 생성된 가이드 정보를 적용하여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입체영상 제작부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제작부 및 입체영상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for Making 3D Contents Provided with Visual Fatigue Minimization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입체영상 제작시 유발되는 시각적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해 휴먼팩터 정보를 구성하여 입체영상 제작시 이를 가이드 정보로 제공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입체영상 제작시 스테레오그래퍼(stereographer)나 입체영상에 대해 많은 경험이 있는 촬영자의 촬영에 의해 입체영상을 획득하였고, 이를 콘텐츠 제작자의 시각적 판단과 경험에 의해 보정, 편집하였기 때문에 시각적 피로를 많이 유발시키는 입체영상을 제작하게 되는 위험이 있었고, 입체영상에 의한 시각적 피로를 최소화할 기준이 없어 경험에 의존하여 제작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고자, 입체영상을 획득하는 과정부터 시각적 피로를 고려하여 영상간의 오차를 줄이도록 하고 있지만, 이러한 과정은 시각으로 확인하여 영상의 오차 정도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콘텐츠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오차 제어가 안 된 상태에서 획득된 경우가 많게 된다. 그리고 출력된 환경이나 콘텐츠 구성을 고려하여 시각적 피로 요소를 제어하면서 촬영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경험에 의존하여 입체영상이 획득되거나 편집 합성된 최종 영상이 만들어 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입체영상을 보면 어지럽게 느끼는 사람이 많았으며 이를 보상하고자 즉, 어지러움을 줄이기 위해 입체 표현 정도를 줄이면 입체감이 사라지게 되어 기존 원근감 있는 화면상의 영상과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3D 영상간의 차이를 못 느끼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스테레오스코픽 3D 영상을 잘 표현하면서 시각적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획득 및 편집 합성 과정에서 시각적 피로를 일으키는 요소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발생 원인을 최소화하는 방향을 입체영상이 제작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체영상에서 발생하는 시각적 피로 현상에 대해 실험을 통해 시각적 피로 요소와 그 영향 관계를 추출하고 이를 정량적인 데이터로 구축하고, 입체영상 제작시 가이드로 제공하여 시각적 피로가 최소화된 입체영상을 만드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시각적 피로가 최소화된 고품질 입체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되며, 본 방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제시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은, 입체영상에서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는 복합적인 요소들을 독립적인 요소로 분리 실험하여 그 요소간의 상관관계 등을 데이터로 구축하여, 그 데이터를 입체영상 제작시스템에 가이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체영상의 시각적 피로 요인들을 요소화하고 그들간의 복합적인 상관관계 등을 정량화한 휴먼팩터 정보부(10)와, 휴먼팩터 정보부의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제작 상황에 맞는 가이드 정보에 의해 입체영상 제작을 수행하는 입체영상 제작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휴먼팩터의 독립 요소 및 복합 요소별 데이터 뿐 아니라 그들간의 상관정도를 포함하여 특정 요소 수정에 대한 효과나 관련 효과의 상관성 모두에 대한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과, 제시된 가이드 정보를 따르지 않는 연출에 대해서도 다음 표현에서 최소화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상황에 적응적이면서 누적된 시각 피로를 최소화되도록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으로부터 파악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시각적 피로의 유발 한계를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입체영상 제작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입체영상이 제작됨에 따라 입체영상 표현의 어렵고 많은 시행착오와 비용을 소요하며 제작 되었던 것을, 실험이나 기존 데이터에 근거한 휴먼팩터 요소를 정량화한 데이터에 근거한 가이드로 활용하여 영상 제작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적 피로가 최소화된 입체영상을 보다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먼팩터 가이드부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수정 향상될 수 있고, 데이터가 추가됨에 따라 신뢰도가 높은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어 입체영상 제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최근, 영화나 게임, 뮤직비디오, 광고 등에서 점점 더 현실감을 얻기 위해 스테레오스코픽 3D 입체영상에 대한 요구가 많아짐에 따라, 본 발명을 통해 시각적 피로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가이드 해주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입체영상 제작시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많은 입체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는 시각적 피로가 최소화된 입체영상은 가상 박물관과 같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과학적 가시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제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체영상 제작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체영상 획득부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입체영상 후처리부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바로 연결될 수도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제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제작시스템(1000)은 휴먼팩터 정보부(10)와 입체영상 제작부(20)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의 각 부분별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먼팩터 정보부(10)는 입체영상의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입체영상 제작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다. 즉, 입체영상의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는 독립 요소들과 이들의 조합들로 구성된 복합 요소들, 그리고 그들의 상관관계, 실제와의 상관관계 등으로 시각적 피로와의 관련성 또는 가중치를 정량화한 데이터를 구축하여 후술할 입체영상 제작부(20)에서 입체영상이 제작될 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여 시각적 피로 유발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입체영상 제작부(20)는 입체영상 제작을 위해 입력받은 입체영상 데이터에 상기 휴먼팩터 정보부(10)에서 생성된 가이드 정보를 적용하여 입체영상을 제작한다.즉, 현재 상황에 대한 데이터나 주어지는 조건 입력에 따라 정량화된 데이터를 이용해 시각적 피로를 최소화하는 가이드 방향을 제시하고, 결정된 결과 값에 따라 수정된 가이드를 제시하여 시각적 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영상을 제작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휴먼팩터 정보부(10) 및 입체영상 제작부(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체영상 제작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체영상 획득부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입체영상 후처리부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먼팩터 정보부(10)는 휴먼팩터 획득부(100)와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200)를 포함하고, 입체영상 제작부(20)는 입체영상 획득부(400) 및 입체영상 후처리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휴먼팩터 정보부(10)의 휴먼팩터 획득부(100) 및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200)에 대한 설명을 개시한다.
휴먼팩터 획득부(100)는 입체영상의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는 독립 요소들 및 상기 독립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요소들의 실제 시각적 피로와의 관련성을 정량화하여 데이터로 구축한다. 여기서 휴먼팩터 획득부(100)의 데이터는 휴먼팩터를 요소별로 실험 또는 기존의 결과 등으로 정량화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성된다. 즉, 정량화된 요소들로는 독립 요소별 데이터, 복합 요소별 상관도 데이터, 복합 요소별 데이터, 복합 요소에 대한 검증 데이터, 실사 적용 데이터, 그리고 실사 상관도 검증 데이터 등이 고려된다.
독립 요소별 데이터는 입체영상 제작시 많이 알려진 요소들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좌우 영상간 수직오차, 수평오차, 회전오차 등을 들 수 있다. 각 독립 요소별 영향에 대한 정량화된 데이터를 얻기 위한 좋은 실험으로 컴퓨터에 의해 만들어진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하는 것이 하나의 예이다. 복합 요소별 상관도 데이터는 복합 요소별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성되는 독립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정량화한 데이터이다. 복합 요소별 데이터는 독립 요소별 오차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된다. 복합 요소별 데이터의 예로는 두 대의 카메라 배치를 수렴(convergence) 방식(또는 toe-in 방식)으로 하여 획득할 때 발생하는 키스톤(keystone) 왜곡 영상 데이터, 렌즈의 광학적 특성에 의한 변형(lens distortion) 왜곡 영상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복합 요소 검증 데이터는 제시된 데이터의 신뢰 수준을 의미하며, 활용되는 데이터의 확률적인 가중치 요소로 활용된다. 복합 요소 검증 데이터의 일 예로는, 실험의 경우 실험 결과의 신뢰도 및 신뢰 구간을 들 수 있다. 실사 적용 데이터는 실사 영상을 바탕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실사 적용 데이터의 예로는 미리 카메라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실사 영상을 선형화한 데이터를 들 수 있다. 실사 상관도 검증 데이터는 실사 적용 데이터의 신뢰 수준을 의미하며, 복합 요소 검증 데이터처럼 데이터의 확률적 가중치 요소로 활용된다. 실사 상관도 검증 데이터 구성의 일 예로는 기존 독립 요소별 데이터, 복합 요소별 데이터와의 실사 적용 데이터간의 상관도를 확률적으로 계산하여 실사 영상 처리에 활용하는 것이다.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200)는 상술한 휴먼팩터 획득부(100)에 구축된 데이터에 미리 결정된 가이드 정보 생성 조건을 적용하여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다. 즉,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200)는 주어진 조건 또는 제작 상황에 따라 시각적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200)를 통해 휴먼팩터와 관련된 휴먼팩터 정보부(10)는 누적된 정보를 가질 수 있고, 그런 누적된 정보는 보다 정확한 입체영상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술한 미리 결정된 가이드 정보 생성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미리 결정된 가이드 정보 생성 조건은 오차별 가이드 정보, 관람자 가이드 정보, 기호별 가이드 정보, 영상 길이별 가이드 정보, 영상 특성별 가이드 정보 및 환경별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오차별 가이드 정보는 수평/수직오차, 회전오차, 렌즈 왜곡(lens distorion) 오차, 키스톤(keystone) 왜곡 오차와 같이, 두 대의 카메라가 영상을 획득하고 결과가 출력되는데 정확히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오차 요소에 대한 가이드 정보이고, 관람자 가이드 정보는 입체 영상을 보는 관람자의 연령별 및 남녀 성별간 양안간 거리 차에 의해 발생하는 입체 영상 인지감의 차이에 대한 가이드 정보이다. 기호별 가이드 정보는 관람자가 선호하는 특성에 대한 가이드로, 좋아하는 영상 및 유사 영상에 익숙해 있음에 기반을 두고 가이드 정보를 생성함을 의미한다. 영상 길이별 가이드 정보는 영상의 길이에 따른 가이드로, 시각적 피로 유발도와 영상 길이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고려한 가이드이다. 영상 특성별 가이드 정보는 영상의 특성으로 영상의 급격한 변화가 많은 영상이나 객체의 이동이 빈번한 영상 등 영상의 특성에 의해 분류되는 가이드이다. 환경별 가이드 정보는 출력환경과 같이 입체 영상이 표현되는 화면크기, 편광 방식과 같이 입체 영상을 보는 방법에 따른 입체 영상의 밝기 조정에 대한 가이드이다.
또한,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200)에서 생성되는 가이드 정보는 상기 미리 결정된 가이드 정보 생성 조건에 따라 가이드 요소별로 구별되는 기본 가이드 정보, 2 이상의 기본 가이드 정보를 결합한 복합 가이드 정보 및 2이상의 다른 영상 간 합성에 적용되는 합성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데 특히, 합성 가이드 정보를 활용하는 하나의 예는 CG(Computer Graphics) 영상과 실사 영상의 합성과 같은 경우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입체영상 제작부(20)의 입체영상 획득부(400) 및 입체영상 후처리부(500)에 대한 설명을 개시한다.
입체영상 획득부(400)는 입체 영상 촬영과 같이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스템으로, 획득 과정에서도 시각적 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영상을 획득하도록 휴먼팩터 요소를 적용한 가이드 정보를 고려함으로써 피로감 유발이 최소화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며, 입체영상 후처리부(500)는 기 제작 또는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영상 처리를 통해 시각적 피로가 최소화된 입체,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입체영상 후처리부(500)는 기본적으로 스테레오스코픽과 같은 입체 영상뿐 아니라, 다시점 영상도 두 개의 쌍으로 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단일 영상 또한 제공되는 깊이맵이나 좌우안 생성 방법을 적용하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처리와 유사하게 처리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입체영상 획득부(400)는 입체영상 제작을 위해 입체영상 제작부(20)를 통해 입력받은 입체영상 데이터에 상기 가이드 정보를 적용한 입체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휴먼팩터 가이드부(410), 영상획득 제어부(420) 및 영상 점검부(430)를 포함한다.
휴먼팩터 가이드부(410)는 현재의 영상 제작 환경에 상기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휴먼팩터 가이드부(410)는 초기 입체영상 제작의 깊이감 연출(depth script) 계획을 기반으로 가이드하거나, 상술한 가이드 정보 생성 조건을 통해 제시된 요소와 복합적으로 가이드 하도록 초기 선택되면, 선택된 가이드 환경 설정에 기반하여 가이드한다. 즉, 휴먼팩터 가이드부(410)는 휴먼팩터 정보부(10)의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200)에게 가이드 생성 조건을 주고 얻어지는 결과를 현재 선택된 환경과 영상 제작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가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해당된다.
영상획득 제어부(420)는 입체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휴먼팩터 가이드부(410)에서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입체영상 획득 수단을 제어한다. 즉, 영상획득 제어부(420)는 휴먼팩터 가이드부(410)의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적 피로를 줄일 수 있는 영상 획득을 위해 카메라 배치, 렌즈 설정 등을 통해 입체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점검부(430)는 상술한 입체영상 데이터의 획득 여부를 점검하는 시스템으로 공지의 점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입체영상 후처리부(500)는 휴먼팩터 가이드부(410), 입체영상 보정부(510) 및 편집/합성부(520)를 포함한다.
휴먼팩터 가이드부(410)는 입체 영상 획득부(400)에서처럼 영상 후처리과정에서 시각적 피로가 최소화 되도록 가이드 하는 시스템으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입체영상 보정부(510)는 상기 휴먼팩터 가이드부(410)에서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영상 획득부(400)에서 획득된 입체영상의 좌우 영상 환경을 일치시킨다. 즉,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의 좌우 영상의 환경을 일치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휴먼팩터 가이드부(410)의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적 피로를 줄이는 것이다.
편집/합성부(520)는 입체영상 획득부(400)에서 획득된 입체영상에 대한 편집 또는 합성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또는 합성하는 것으로, 특히 CG와 실사의 합성시 휴먼팩터 가이드부(410)의 정보를 이용하면 시각적 피로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다른 일 예로, 제로 포인트(양안 수렴 지점)가 시각적 피로를 최소화 하므로, 입체 영상에서 자막 처리시 자막 공간을 확보하여 제로 포인트에 자막을 생성하는 것도 시각적 피로 요소를 줄이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제작방법에 대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제작방법은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 가이드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S20),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단계(S30), 제작된 입체영상이 기준 가이드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정하는 단계(S40) 및 S40단계에서 기준 가이드 범위를 벗어난 입체영상에 대해서는 수정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여기서, S10단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입체영상 제작시스템을 참조하는 것에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20단계에서 가이드 환경을 설정하는 것은 현재 수행 작업의 성격을 선택하는 것으로, 미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작업들의 일반적인 기준 정보 세트들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다. 즉, 현재 작업을 수행하는 환경 또는 제작 단계를 선택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현재 작업 수행을 위한 전제 요소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S30단계에서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것은 기존의 방법과 유사하지만, 기존과의 차이는 가이드 환경 설정에 따라 기준 가이드 정보가 제공된다는 점이다. 기준 가이드 정보는 좌우 영상차 오차, 영상 소비자에 대한 가이드, 입체 영상의 특성에 따른 기호 가이드, 영상의 지속 길이에 따른 가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S40단계는 S30단계를 통해 제작된 입체영상이 기준 가이드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정하는 단계로, 이는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는 시각적 피로를 최소화하면서 입체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하나의 예이므로, 입체영상 제작 의도에 맞게 가이드의 안전 범위를 벗어난 영상 제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행된다.
또한 S50단계에서는 상기 입체영상이 기준 가이드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그 벗어남 정도로 시각적 피로 유발 요인을 높이는 정도를 추정하고 이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수정 가이드 정보는 기준 가이드와의 차와 시각적 유발 요인의 강도 및 지속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제시된다.
수정 가이드 정보 제공(S50)은 영상 제작 과정에 맞게 자동 변경될 수도 있고, 전문적인 사용자에 의해 수동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휴먼팩터 요소를 적용하여 시각적 피로가 최소화 된 입체영상을 제작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사상적 범주에 속한다.
10 : 휴먼팩터 정보부 20 : 입체영상 제작부
100 : 휴먼팩터 획득부 200 :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
400 : 입체영상 획득부 410 : 휴먼팩터 가이드부
420 : 영상획득 제어부 430 : 영상점검부
500 : 입체영상 후처리부 510 : 입체영상 보정부
520 : 편집 합성부

Claims (12)

  1. 입체영상 제작부에 있어서,
    입체영상의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는 복합적인 요소들을 독립적인 요소로 분리 실험하여 상기 독립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데이터로 구축하여 구축된 데이터를 입체영상 제작을 위한 가이드 정보로서 생성하는 휴먼팩터 정보부; 및
    입체영상 제작을 위해 입력받은 입체영상 데이터에 상기 휴먼팩터 정보부에서 생성된 가이드 정보를 적용하여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입체영상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작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먼팩터 정보부는
    상기 입체영상의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는 상기 독립 요소들 및 상기 독립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요소들의 실제 시각적 피로와의 관련성을 정량화하여 데이터로 구축하는 휴먼팩터 획득부; 및
    상기 휴먼팩터 획득부에 구축된 데이터에 미리 결정된 가이드 정보 생성 조건을 적용하여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작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제작부는
    상기 입력받은 입체영상 데이터에 상기 가이드 정보를 적용한 입체영상을 획득하는 입체영상 획득부; 및
    상기 입체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입체영상 및 기 획득된 영상에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입체영상으로 제작하는 입체영상 후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작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가이드 정보 생성 조건은
    오차별 가이드 정보, 관람자 가이드 정보, 기호별 가이드 정보, 영상 길이별 가이드 정보, 영상 특성별 가이드 정보 및 환경별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작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가이드 정보 생성 조건에 따라 가이드 요소별로 구별되는 기본 가이드 정보, 2 이상의 기본 가이드 정보를 결합한 복합 가이드 정보 및 2이상의 다른 영상 간 합성에 적용되는 합성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작 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먼팩터 획득부의 데이터는
    독립 요소별 데이터, 복합 요소별 데이터, 복합 요소별 상관도 데이터, 복합요소에 대한 검증 데이터, 실사 적용 데이터 및 실사 상관도 검증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작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획득부는
    현재의 영상 제작 환경에 상기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휴먼팩터 가이드부;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휴먼팩터 가이드부에서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입체영상 획득 수단을 제어하는 영상획득 제어부; 및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의 획득 여부를 점검하는 영상 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작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후처리부는
    현재의 영상 제작 환경에 상기 휴먼팩터 가이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휴먼팩터 가이드부;
    상기 휴먼팩터 가이드부에서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입체영상의 좌우 영상 환경을 일치시켜주기 위한 입체영상 보정부; 및
    상기 입체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입체영상에 대한 편집 또는 합성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또는 합성하기 위한 편집/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작부.
  9. 입체영상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입체영상의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는 복합적인 요소들을 독립적인 요소로 분리 실험하여 상기 독립요소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데이터로 구축하여, 구축된 데이터를 입체영상 제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
    (b) 입체영상 제작을 위한 가이드 환경을 세팅하는 단계;
    (c) 상기 세팅된 가이드 환경에 따른 기준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제작된 입체영상이 상기 기준 가이드 정보에 의한 기준 가이드를 만족하는 범위의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입체영상이 상기 기준 가이드를 벗어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입체영상이 시각적 피로를 높이는 정도를 추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추정값을 고려하여 수정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여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작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가이드 정보는
    상기 입체영상의 상기 기준 가이드와의 차이, 상기 입체영상의 시각적 피로 유발 요인의 강도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작방법.

  12. 삭제
KR1020100125840A 2010-12-09 2010-12-09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87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40A KR101587623B1 (ko) 2010-12-09 2010-12-09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US13/313,355 US8995752B2 (en) 2010-12-09 2011-12-07 System for making 3D contents provided with visual fatigue minimization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40A KR101587623B1 (ko) 2010-12-09 2010-12-09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560A KR20120064560A (ko) 2012-06-19
KR101587623B1 true KR101587623B1 (ko) 2016-01-21

Family

ID=4619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840A KR101587623B1 (ko) 2010-12-09 2010-12-09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95752B2 (ko)
KR (1) KR101587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56A (ko) 2017-11-13 2019-05-2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1667A (ko) 2021-03-11 2021-03-2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812B1 (ko) * 2018-10-16 2020-01-02 정진철 Vr 컨텐츠 제작 방법
KR102656801B1 (ko) 2018-12-07 2024-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현실 컨텐츠에 대한 멀미 유발 요소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958133B1 (en) 2019-01-04 2024-04-16 Us Synthetic Corporation Methods to shape a cemented carbide substrate using a la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5527A1 (en) * 2000-07-26 2002-02-07 Masaya Nambu Computer system for relieving fatigu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9533A (en) * 1994-03-08 1996-05-21 Sharp Kabushiki Kaisha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JP4149037B2 (ja) 1998-06-04 2008-09-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映像システム
US6757424B2 (en) * 1998-06-29 2004-06-29 Lumeniq, Inc. Method for conducting analysis of two-dimensional images
KR101102004B1 (ko) * 2005-12-30 201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입체 영상에 대한 피로도를 정량화하는 방법 및시스템
US8390674B2 (en) * 2007-10-10 2013-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tigue resulting from viewing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stream of low visual fatigue three-dimensional image
KR101457893B1 (ko) * 2007-10-10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장치
JP2009135686A (ja) 2007-11-29 2009-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立体映像記録方法、立体映像記録媒体、立体映像再生方法、立体映像記録装置、立体映像再生装置
US10134150B2 (en) * 2010-08-10 2018-11-20 Monotype Imaging Inc. Displaying graphics in multi-view scen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5527A1 (en) * 2000-07-26 2002-02-07 Masaya Nambu Computer system for relieving fatigu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56A (ko) 2017-11-13 2019-05-2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1667A (ko) 2021-03-11 2021-03-2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560A (ko) 2012-06-19
US20120148146A1 (en) 2012-06-14
US8995752B2 (en) 201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4036B (zh) 2d至3d使用者介面內容資料轉換
CA2752691C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subtitling for stereoscopic content
TWI528781B (zh) 用以訂製立體內容之三維效果的方法及裝置
US9094675B2 (en) Processing image data from multiple cameras for motion pictures
JP5933931B2 (ja) 設定メニューを表示する方法及び対応するデバイス
US20150254888A1 (en) Depth identification of pixels in one or more three dimensional images
KR101377325B1 (ko) 스테레오 영상, 다시점 영상 및 깊이 영상 획득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7623B1 (ko)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188334A1 (en) Generating 3D stereoscopic content from monoscopic video content
JP2012227924A (ja) 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9309552B2 (en) Method and data-processing system for synthesizing images
US20120307023A1 (en) Disparity distribution estimation for 3d tv
US20140198187A1 (en) Camera with plenoptic lens
US20130257851A1 (en) Pipeline web-based process for 3d animation
JP2017500800A (ja) 映像の重なり合い領域の歪みの補正方法、記録媒体および実行装置
WO2015100490A1 (en) Reconfiguration of stereoscopic content and distribution for stereoscopic content in a configuration suited for a remote viewing environment
US9479766B2 (en) Modifying images for a 3-dimensional display mode
US20170257614A1 (en) Three-dimensional auto-focusing display method and system thereof
KR20110093616A (ko) 오버레이 영역의 3d 영상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US9918067B2 (en) Modifying fusion offset of current, next, second next sequential frames
CN103458258A (zh) 影像处理方法与影像处理装置
US8855472B2 (en) Video editing apparatus, video editing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KR20170001839A (ko) 360°실사 vr콘텐츠 제작공정에서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vfx 후반작업 적용 방법
JP5311526B1 (ja) 3d立体視画像作成方法、3d立体視画像作成システム及び3d立体視画像作成プログラム
KR20240112701A (ko) 시각적 피로 최소화를 지원하는 입체영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