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131A -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131A
KR20210031131A KR1020190112685A KR20190112685A KR20210031131A KR 20210031131 A KR20210031131 A KR 20210031131A KR 1020190112685 A KR1020190112685 A KR 1020190112685A KR 20190112685 A KR20190112685 A KR 20190112685A KR 20210031131 A KR20210031131 A KR 20210031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blade housing
shaving
inlet
raz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025B1 (ko
Inventor
한다운
정종진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19011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025B1/ko
Priority to US16/987,290 priority patent/US11426890B2/en
Priority to EP20191304.3A priority patent/EP3792018A1/en
Publication of KR20210031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4Means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razor for storing shaving-cream, styptic,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4Means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razor for storing shaving-cream, styptic, or the like
    • B26B21/446Shaving aid stored in the razor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18Guar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25Cap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37Details or parts covering the blades, e.g. caps for storage; Attach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면도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으로서, 유입부, 방출부, 및 유입부와 방출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및 면도 보조제를 유입부로 전달하는 보조제 공급부를 포함하되, 보조제 공급부로부터 전달된 면도 보조제는 유입부로 유입되고, 연통부를 지나서, 방출부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Razor Cartridge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습식 면도기 이용에 있어서, 몇 가지 요인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과 피부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체모를 절삭하기 위해 체모에 가해지는 절삭력, 상처가 있는 피부 영역에 대한 자극 등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쉐이빙 폼(shaving foam), 쉐이빙 젤(shaving gel), 면도 크림(shaving cream)과 같은 면도 보조제(shaving aid)가 사용되고 있다.
면도 보조제는 윤활 성분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면도시,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면도기 핸들(razor handle)에 면도 보조제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면도 보조제를 면도기 카트리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면도기(이하, 유체분사 면도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유체분사 면도기 중 하나인 미국 등록특허공보 6,789,321호(이하, 특허문헌 1)는 면도기 핸들에 구비된 도관을 이용하여 면도기 카트리지에 면도 보조제를 전달하고, 그 면도 보조제가 면도기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면도기 카트리지 상에서, 면도기 핸들의 도관(이하, 유체공급 도관)으로부터 면도 보조제가 전달되는 영역(이하, 유입 영역)과, 면도기 카트리지로부터 면도 보조제가 배출되는 영역(이하, 방출 영역)이 분리되지 않아 문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 영역과 방출 영역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 면도기의 설계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공급 도관의 위치 및 유입 영역의 위치는, 방출 영역이 배치될 수 있는 위치로 제한될 수 있으며, 반대로, 방출 영역의 위치는 유체공급 도관의 위치 및 유입 영역의 위치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유체유입 영역의 위치 및 방출 영역의 위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pivot)시, 유체공급 도관이 면도기 카트리지를 간섭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상의 제약이 적은 새로운 방식의 유체분사 면도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6,789,321호(2014.09.14. 공개)
이에, 본 개시는, 면도기 카트리지 상에서, 면도 보조제가 유입되는 유입부 위치와 면도 보조제가 방출되는 방출부의 위치를 분리할 수 있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으로서, 유입부, 방출부, 및 유입부와 방출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및 면도 보조제를 유입부로 전달하는 보조제 공급부를 포함하되, 보조제 공급부로부터 전달된 면도 보조제는 유입부로 유입되고, 연통부를 지나서, 방출부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 상에서, 면도 보조제가 유입되는 유입부 위치와 면도 보조제가 방출되는 방출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계함으로써, 효율적인 면도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면도기 조립체가 회전(pivot)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1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10)는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12) 및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140)을 포함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2)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110),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120) 및 클립(clip, 13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20)를 횡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은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너비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횡방향은 Y축과 평행한 방향이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2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일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클립(130)에 의해 지지(retain)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캡(cap, 111), 가드(guard, 113), 및 방출부(discharge portion,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캡(111)은 면도 블레이드(1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커팅 에지가 향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면도 블레이드(120)의 전방 및 후방은 면도기 카트리지(12)의 면도 방향(shaving direction)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면도 블레이드(120)의 전방 및 후방은, 면도 블레이드(120)를 기준으로, 각각, 음의 Z축 방향 및 양의 Z축 방향이다.
가드(113)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면도 블레이드(1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가드(113)는, 면도시, 면도 블레이드(120)에 의한 체모의 절삭 이전에, 피부를 면도 방향으로 당겨줄(stretch)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모는 사용자의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기립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 블레이드(120)는 체모를 보다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다.
방출부(114)는, 유입부(inlet portion, 도 3의 112) 및 연통부(communication portion, 도 3의 116)를 통해 전달된 면도 보조제(shaving aid)가 분출되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면도 보조제는, 면도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되는 각종 물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면도 보조제는 쉐이빙 폼(shaving foam), 쉐이빙 젤(shaving gel), 면도 크림(shaving cream)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도 보조제는 유체 물질일 수 있으나, 유동성을 가지는 그 외의 물질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면도 보조제는 분말(powder) 형태의 고체 물질일 수도 있으며, 고체 물질을 보유한 유체 물질일 수도 있다.
면도 중, 면도 보조제를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할 수 있도록, 방출부(11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방출부(114)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면도 보조제는, 면도시, 면도 블레이드(120)에 의한 체모의 절삭 이전에, 사용자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출부(114)의 위치는, 면도 블레이드(120)가 배치되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의 영역과 중첩(overlap)되거나, 또는, 면도 블레이드(120)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클립(130)은 면도 블레이드(120)를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면도 블레이드(120)가 블레이드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면도기 핸들(140)은 헤드부(head portion, 142), 그립부(grip portion, 144), 및 분출 작동부(discharge operating member, 146)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헤드부(142)에 대하여, 횡방향과 평행한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회전(pivot)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그립부(144)는 헤드부(142)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면도기 조립체(10)를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헤드부(142)와 그립부(144)는 서로 별개의 부재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헤드부(142)와 그립부(144)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출 작동부(146)는, 분출 동작(action for discharge)을 통해, 보조제 공급부(aid supplying member, 도 3의 160)로부터 면도 보조제를 분출시킬 수 있다.
분출 작동부(146)는 버튼부(button portion, 미도시) 및 액츄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거나 사용자에 의한 슬라이딩 등의 움직임으로 인해, 버튼부와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보조제 저장부에 저장된 면도 보조제를 보조제 공급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액츄에이터는 유체를 분사할 수 있는 매커니즘을 채택할 수 있으며, 그 매커니즘으로는 다이어프램 밸브(diaphragm valve)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밸브 방식이 적용된 면도기 조립체(10)는, 보조제 저장부(미도시), 보조제 수용공간(aid receiving space, 미도시), 보조제 공급부(160)와 보조제 수용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밸브(first valve, 미도시), 및 보조제 수용공간과 보조제 저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밸브(second valve,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제 수용공간의 일면은 탄성 튜브(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출 작동부(146)는 탄성 튜브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분출 작동부(146)는 탄성 튜브를 가압함으로써 면도 보조제를 보조제 공급부로부터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출 작동부를 누름으로써 탄성 튜브를 가압할 경우, 보조제 수용공간에 있던 면도 보조제는 제1밸브를 가압할 수 있으며, 제1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보조제 수용공간에 있던 면도 보조제는 제1밸브를 지나 보조제 공급부(160)로 전달되어 분출될 수 있다. 보조제 수용공간에 있던 면도 보조제가 어느 정도 배출이 완료된 경우, 제1밸브의 가압되는 정도가 감소되어, 제1밸브는 다시 폐쇄될 수 있다.
이후, 분출 작동부의 누름 상태가 해제될 경우, 탄성 튜브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보조제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 고압 상태의 보조제 저장부에 있던 면도 보조제는 저압 상태의 보조제 수용공간으로 이동하려는 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동은 제2밸브를 가압하여 제2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제 저장부에 저장된 면도 보조제는 보조제 수용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보조제 수용공간에 일정량 이상의 면도 보조제가 전달될 경우, 보조제 저장부와 보조제 수용공간 사이의 압력차가 감소하여, 제2밸브는 다시 폐쇄될 수 있다.
보조제 수용공간으로 전달된 면도 보조제는, 분출 작동부(146)의 다음 누름 동작 전까지, 보조제 수용공간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보조제 공급부(160)로부터 분출된 면도 보조제는, 유입부(112) 및 연통부(116)를 지나, 방출부(114)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분출 작동부(146)는, 한번의 분출 동작을 통해, 면도 보조제가 정해진 양만큼 분출되는 방식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분출 작동부(146)는, 분출 동작이 유지되는 동안, 계속하여 면도 보조제가 분출되는 방식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10)는 커버 부재(cover member, 150) 및 보조제 공급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5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부재(15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 부재(150)를 블레이드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면을 세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입부(112), 방출부(114), 및 연통부(116)에 적체된 이물질을 세척 내지 제거할 수 있다.
커버 부재(15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면 상에서 홈(groove)의 형태로 형성된 연통부(116)를 덮음으로써, 완성된 보조제 전달유로(aid transfer passage)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부재(150)는 커버 본체(cover body, 152), 수용판막(receiving valve, 154), 및 수용 홀(receiving hole, 156)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152)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용판막(154)은, 보조제 공급부(160)의 분출단부(discharge end, 164)로부터 분출된 면도 보조제가, 역류하여, 면도기 카트리지(12)의 의도치 않은 위치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판막(154)은, 커버 본체(152) 상에서, 유입부(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용 홀(156)은 수용판막(15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홀(156)에 삽입된 보조제 공급부(160)의 분출단부(164)는 수용판막(154)과 유입부(11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판막(154) 및 수용 홀(156)은 탄성 재질(elastic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판막(154) 및 수용 홀(156)은, 면도기 카트리지(12)가 회전(pivot)하는 경우에도, 탄성 변형을 통해, 분출단부(164)와 수용 홀(156) 사이의 밀폐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밀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용 홀(156)의 면적은 분출단부(164)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분출단부(164)가 삽입된 수용 홀(156)은, 탄성 변형에 의해, 그 면적이 넓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출단부(164)의 외주면을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 홀(156)의 면적은, 분출단부(164)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수용판막(154) 및 수용 홀(156)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제 공급부(160)는 공급부 본체(supplying member body, 162), 분출단부(discharge end, 164), 및 유입단부(inlet end, 16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 본체(162)는 헤드부(142)의 수용공간(receiving space, 142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분출단부(164)는 공급부 본체(16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분출단부(164)는 분출단부(164)와 연통하는 유입단부(166)로부터 면도 보조제를 전달받아, 그 면도 보조제를 유입부(112)로 분출할 수 있다.
유입단부(166)는 면도기 핸들(140)의 보조제 저장부(미도시)로부터 면도 보조제를 전달받아, 그 면도 보조제를 분출단부(164)로 전달할 수 있다.
헤드부(142)는 헤드부 본체(head portion, 1422), 보스(boss, 1424), 및 수용공간(receiving space, 1426)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 본체(1422)의 내부에는 공급부 본체(16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426)이 형성될 수 있다.
보스(1424)는 헤드부 본체(1422)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보스 홀(boss hole, 115)에 삽입될 수 있다.
보스(1424)는 보스 홀(115)에 삽입됨으로써, 횡방향과 평행한 회전축(RA)을 정의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2)는,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헤드부(142)에 대해 회전(pivot)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보조제 공급부(160)는 면도기 핸들(140)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조제 공급부(160)는, 면도기 카트리지(12)와 면도기 핸들(140)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미도시) 및 면도기 카트리지(1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조제 공급부(160)가 커넥터에 배치되는 경우, 면도기 카트리지(12)와 결합된 커넥터가 면도기 핸들(140)에 연결됨으로써, 면도기 핸들(140)의 보조제 저장부(미도시)는 커넥터 상에 배치된 보조제 공급부(160)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보조제 저장부에 있던 면도 보조제는 보조제 공급부(160)로 전달되어 분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헤드부(142)와 보조제 공급부(160)가 서로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조제 공급부(160)는, 커넥터(미도시), 면도기 카트리지(12), 및 면도기 핸들(14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면도기 핸들(140)은 이탈 작동부(ejecting member, 14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 작동부(148)는, 이탈 동작(action for ejection)을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12)를 면도기 핸들(14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탈 동작은 눌림 동작(pushing) 또는 슬라이드 동작(sliding)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유입부(inlet portion, 112) 및 연통부(communication portion, 116)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112)는 보조제 공급부(160)으로부터 분출된 면도 보조제가 도입되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유입부(112)는, 면도 보조제의 도입을 위해,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연통부(116)는 유입부(112)와 방출부(114) 사이에 배치되며, 유입부(112)와 방출부(114) 사이를 연통할 수 있다. 즉, 연통부(116)는 유입부(112)와 방출부(114)를 이어주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연통부(116)는, 유입부(112)로부터 방출부(114)로 향할수록, 그 깊이나 폭이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통부(116)는, 유입부(112)로부터 방출부(114)로 향할수록, 그 깊이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통부(116) 상에서, 방출부(114)의 주위 영역은, 유입부(112)의 주위 영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유속이 증가할 수 있고, 이로써, 방출부(114)는 면도 보조제를 더 강하게 분출할 수 있다.
반대로, 연통부(116)는, 유입부(112)로부터 방출부(114)로 향할수록, 그 깊이나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출부(114)로부터 과도한 양의 면도 보조제가 한번에 방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통부(116)는, 위치에 상관없이, 대체로 동일한 깊이 또는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입부(112), 방출부(114), 및 연통부(116)는 전체로서 연결된 보조제 전달유로(aid transfer passage)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제 전달유로는, 면도기 핸들(140)로부터 전달된 면도 보조제가 면도기 카트리지(12)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지칭한다.
방출부(114)는 유입부(112)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출부(11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유입부(112)보다 횡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출부(11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유입부(112)보다 횡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방출부(114)는 유입부(112)와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출부(11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유입부(112)보다 종방향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출부(11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유입부(112)보다 종방향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종방향은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높이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종방향은 Z축과 평행한 방향이다. 또한, 종방향 전방 및 후방은, 도 4에서, 각각, 음의 Z축 방향 및 양의 Z축 방향이다.
방출부(114)는 유입부(112)와 횡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동시에, 종방향으로도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출부(114)는 유입부(112)와 대각선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출부(114)는 유입부(112)와 횡방향으로만 이격되거나 종방향 으로만 이격될 수도 있다.
유입부(112) 및 방출부(11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입부(112) 또는 방출부(11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유입부(112)와 방출부(114) 를 연통부(116)를 통해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입부(112)와 방출부(114)의 위치 및 개수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설계상의 제약이 적으며, 동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면도 보조제를 분출 내지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연통부(116)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면 상에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연통부(116)는 보조제 전달유로를 따라 형성된 홈(groov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연통부(116)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연통부(116)의 개방된 일면은,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15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로써, 블레이드 하우징(110)과 커버 부재(150) 사이에서, 보조제 전달유로(aid transfer passage)가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제 전달유로는, 면도 보조제가 유입되는 영역과 면도 보조제가 배출되는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이 폐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연통부(116)를 홈(groove)의 형태로 형성하고, 그 홈의 개방된 일면을 커버 부재(150)를 이용해 폐쇄함으로써, 보조제 전달유로를 형성하는 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공정은, 블레이드 하우징(110) 내부에 관통로를 형성하는 공정과 비교하여, 더 용이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보다 단순한 공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조제 전달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통부(116)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방출부(11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면에 형성된 방출부(114)의 일개구는 커버 부재(15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두께 방향은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두께가 형성된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두께 방향은 X축과 평행한 방향이다.
방출부(114)로 전달된 면도 보조제는, 커버 부재(150)에 의해,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면으로부터의 배출이 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면도 보조제는, 방출부(114) 내에 모일 수 있다.
방출부(114) 내에 일정량 이상의 면도 보조제가 모일 경우, 그 면도 보조제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된 방출부(114)의 타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을 관통시키는 단순한 공정을 통해, 방출부(114)를 형성할 수 있는 제조상의 이점을 가진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면도기 조립체(10)가 회전(pivot)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횡방향과 평행한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헤드부(142)에 대해 회전(pivot)할 수 있다. 회전축(RA)은, 헤드부(142)의 보스(1424)가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보스 홀(115)에 삽입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수용 홀(156)에 삽입된 분출단부(16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이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유입부(112)를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헤드부(14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pivot)할 수 있다.
회전축(RA)은, 블레이드 하우징(110)이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분출단부(164)를 관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회전시, 분출단부(164)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분출단부(164)에 의한 유입부(112)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전축(RA)은, 분출단부(164)를 관통하지 않은 상태에서, 분출단부(164)와 인접하게 위치하거나, 또는, 유입부(112)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술될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유입부 및 방출부의 위치 및 개수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210)의 후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출부(214)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블레이드 하우징(210)의 영역과 중첩(overlap)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출부(214)로부터 배출된 면도 보조제는, 면도 블레이드의 후면으로부터 면도 블레이드의 전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영역에 면도 보조제를 배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면도 블레이드에 의한 체모의 절삭과 동시에, 사용자 피부에 면도 보조제를 도포할 수 있고, 이로써, 면도에 의한 피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310)의 후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연통부(316)는 수렴부(converging portion, 3162), 분기지점(divergence point, 3164), 및 복수 개의 분기부(diverging portion, 3166)을 포함할 수 있다.
수렴부(3162)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312)와 분기지점(3164)를 연통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분기부(3166)는 복수 개의 방출부(314)와 각각 연통할 수 있다.
수렴부(3162)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312)로부터 면도 보조제를 전달받아, 그 면도 보조제를 분기지점(3164)에 전달할 수 있다.
분기지점(3164)으로 전달된 면도 보조제는, 분기지점(3164) 내에서, 일시적으로 머무를 수 있으며, 그 면도 보조제는, 분기부(3166)를 통해, 각 방출부(314)로 분기되어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유입부(312)로부터 면도 보조제를 수렴하고 수렴된 면도 보조제를 복수 개의 방출부(314)에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조제 전달유로의 형상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보조제 전달유로의 일부 영역이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더라도 면도 보조제 배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유입부(312) 및 수렴부(3162)가 복수 개 구비된 경우, 복수 개의 수렴부(3162) 중 하나가 이물질의 적체 등을 이유로 막히더라도, 다른 수렴부(3162)에 의해 전달된 면도 보조제가 분기지점(3164)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분기지점(3164)에 전달된 면도 보조제에 의해, 모든 방출부(314)로부터 면도 보조제가 배출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410)의 후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410)은 하나의 유입부(412) 및 복수 개의 방출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유입부(412)에 유입된 면도 보조제는 유입부(412)로부터 분기된 복수 개의 연통부(416)를 통해, 각 방출부(414)에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하나의 유입부(412)와 복수 개의 방출부(414)를 이용하여 보조제 전달유로를 구성함으로써, 보조제 전달유로의 형상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방출부(414)의 배치가 상대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에, 복수 개의 방출부(414)를 블레이드 하우징(410) 상에 산개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서 면도 보조제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510)의 후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510)은 복수 개의 유입부(512) 및 하나의 방출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입부(512)에 유입된 면도 보조제는, 복수 개의 연통부(516)를 통해, 하나의 방출부(514)에 수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복수 개의 유입부(512)와 하나의 방출부(514)를 이용하여 보조제 전달유로를 구성함으로써, 보조제 전달유로의 형상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 보조제를, 복수 개의 유입부(512)로부터 하나의 방출부(514)로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면도 보조제를, 면도기 카트리지의 특정 위치에, 집중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방출부(514)가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면도 보조제는, 보다 넓은 영역에 거쳐, 방출부(514)로부터 고르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610)의 후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610)은 복수 개의 유입부(612) 및 하나의 방출부(6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방출부(614)는 복수 개의 방출 개구(discharging opening, 6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블레이드 하우징(610)에 하나의 방출부(614)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하우징(610)에 복수 개의 방출부(614)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방출부(614) 각각이 복수 개의 방출 개구(614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방출 개구(6142)는, 방출부(614) 상에서,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방출 개구(6142)는, 방출부(614) 상에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특정한 면적에 대해 산발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유입부(612)로부터 전달된 면도 보조제는, 연통부(616)을 지나서, 하나의 방출부(614)로 전달될 수 있다.
하나의 방출부(614)로 전달된 면도 보조제는, 복수 개의 방출 개구(6142)를 통해, 동시 다발적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 면도기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방출부(614)가 단일 개구를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각 방출 개구(6142)로부터 배출되는 면도 보조제의 양은 더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하나의 방출부(614)가 복수 개의 방출 개구(6142)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동일한 양의 면도 보조제를, 보다 넓은 영역에 거쳐, 얇게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상술한 실시예 이외의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면도기 조립체 110: 블레이드 하우징
112: 유입부 114: 방출부
116: 연통부 120: 면도 블레이드
130: 클립 140: 면도기 핸들
142: 헤드부 150: 커버 부재
160: 보조제 공급부 164: 분출단부
3164: 분기지점 3166: 분기부

Claims (11)

  1.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으로서, 유입부(inlet portion), 방출부(discharge portion), 및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방출부를 연통하는 연통부(communication portion)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및
    면도 보조제(shaving aid)를 상기 유입부로 전달하는 보조제 공급부(aid supplying member)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제 공급부로부터 전달된 면도 보조제는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고, 상기 연통부를 지나서, 상기 방출부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는 상기 유입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는 상기 유입부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영역과 중첩(overlap)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은 복수 개의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분기지점(divergence point) 및 상기 분기지점으로부터 분기되며 각 방출부와 연통하는 복수 개의 분기부(diverging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 부재(cover member)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통부 및 상기 방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후면 상에서 일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통부 및 상기 방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개방된 일면은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 공급부는 면도 보조제를 상기 보조제 공급부로부터 분출하도록 구성된 분출단부(discharge end)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은, 상기 횡방향과 평행한 회전축(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면도기 핸들에 대해 회전(pivot)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분출단부는 상기 유입부를 간섭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면도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축은 상기 분출단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1. 커팅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으로서, 유입부, 방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방출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부로 전달된 면도 보조제는 상기 연통부를 지나서 상기 방출부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KR1020190112685A 2019-09-11 2019-09-11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KR10228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85A KR102289025B1 (ko) 2019-09-11 2019-09-11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US16/987,290 US11426890B2 (en) 2019-09-11 2020-08-06 Razor cartridge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EP20191304.3A EP3792018A1 (en) 2019-09-11 2020-08-17 Razor cartridge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85A KR102289025B1 (ko) 2019-09-11 2019-09-11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131A true KR20210031131A (ko) 2021-03-19
KR102289025B1 KR102289025B1 (ko) 2021-08-11

Family

ID=7213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685A KR102289025B1 (ko) 2019-09-11 2019-09-11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26890B2 (ko)
EP (1) EP3792018A1 (ko)
KR (1) KR102289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1041S1 (en) * 2019-05-17 2023-03-14 Dorco Co., Ltd. Razor cartridge
KR102231870B1 (ko) * 2019-07-08 2021-03-25 주식회사 도루코 카트리지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KR102289030B1 (ko) * 2019-09-11 2021-08-11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KR102289025B1 (ko) * 2019-09-11 2021-08-11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USD945064S1 (en) * 2019-09-24 2022-03-01 Dorco Co., Ltd. Razor cartrid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3670A (en) * 1980-12-22 1982-06-28 Kai Cutlery Center Co Safety razor
US6789321B2 (en) * 1999-02-15 2004-09-14 The Gillette Company Razors
JP2004321322A (ja) * 2003-04-22 2004-11-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式かみそり
EP2338652B1 (en) * 2009-12-23 2015-04-22 Jacobus Cornelis Pauw A razor
JP6789321B2 (ja) 2017-02-01 2020-11-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電解処理装置および電解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7119A (en) 1977-02-16 1978-03-07 Jose Manuel Sellera Shaving device
US4809432A (en) 1986-11-24 1989-03-07 Shaverd Corp. Disposable razor and emollient dispensing device
EP1645376B1 (en) 1991-11-27 2008-02-20 The Gillette Company Razors
US6212777B1 (en) 1993-09-29 2001-04-10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s
CZ290486B6 (cs) 1994-10-03 2002-08-14 The Gillette Company Holicí přístroj
US6516518B1 (en) 1996-01-12 2003-02-11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unit
US6041926A (en) 1996-04-10 2000-03-28 The Gillette Company Dispensing razor blade cartridges used with a handle
US5956851A (en) 1996-04-10 1999-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including handle and replaceable cartridges
US5687485A (en) 1996-05-15 1997-11-18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US5956848A (en) 1997-02-27 1999-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US6684513B1 (en) 2000-02-29 2004-02-03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technology
US7121754B2 (en) 2003-12-08 2006-10-17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Shaving apparatus with pivot-actuated valve for delivery of shaving aid material
US7137203B2 (en) 2003-12-30 2006-11-21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Shaving apparatus
EP2139650B1 (en) 2007-04-26 2010-12-01 Valeo Trading and Invest 3 (PTY) Limited Razor
US8826543B2 (en) 2009-03-23 2014-09-09 The Gillette Company Manually actuable liquid dispensing razor
US8745877B2 (en) * 2009-03-23 2014-06-10 The Gillette Company Manually actuable liquid dispensing razor
JP5701899B2 (ja) 2009-12-15 2015-04-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シェービングデバイス
US20110146080A1 (en) * 2009-12-23 2011-06-23 Pauw Jacobus Cornelis Razor
SG11201403029RA (en) 2011-12-09 2014-07-30 Gillette Co Replaceable fluid dispensing cartridge
US20130145625A1 (en) 2011-12-09 2013-06-13 Xiaolan Xu Fluid dispensing shaving razor
PL2858796T3 (pl) * 2012-06-06 2017-08-31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Urządzenie powrotne wkładu z dostarczaniem płynu
US9321182B2 (en) 2013-11-01 2016-04-26 The Gillette Company Razor cartridge for a liquid dispensing razor
KR102289025B1 (ko) * 2019-09-11 2021-08-11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KR102289030B1 (ko) * 2019-09-11 2021-08-11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3670A (en) * 1980-12-22 1982-06-28 Kai Cutlery Center Co Safety razor
US6789321B2 (en) * 1999-02-15 2004-09-14 The Gillette Company Razors
JP2004321322A (ja) * 2003-04-22 2004-11-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式かみそり
EP2338652B1 (en) * 2009-12-23 2015-04-22 Jacobus Cornelis Pauw A razor
JP6789321B2 (ja) 2017-02-01 2020-11-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電解処理装置および電解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26890B2 (en) 2022-08-30
US20210069923A1 (en) 2021-03-11
KR102289025B1 (ko) 2021-08-11
EP3792018A1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025B1 (ko)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KR102289030B1 (ko)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EP2474396B1 (en) Razor cartridge
US11446835B2 (en) Shaving razor cartridge
EP2788156B1 (en) Fluid applicator for a personal-care appliance
EP2788154B1 (en) Razor with pivoting fluid connector
CN111757799A (zh) 包括皮肤互连构件的剃刮剃刀系统
JP6726463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MX2010011155A (es) Mango de afeitadora para un cartucho de afeitar retractil y una afeitadora que comprende un mango de afeitadora de este tipo.
CN111757798A (zh) 包括皮肤互连构件的剃刮剃刀系统
CA2689071C (en) Refill pack for a personal use device
JP7066866B2 (ja) 皮膚相互連結部材を含む剃毛かみそりシステム
CN111770819A (zh) 包括皮肤互连构件的剃刮剃刀系统
KR102029316B1 (ko) 쉐이빙폼이 내장된 일회용 면도기
KR102106306B1 (ko) 면도 보조제 도포 장치
KR100868025B1 (ko) 거품토출식 면도기
KR102173144B1 (ko) 면도 보조제 도포 장치
JP5046897B2 (ja) 美容器具
EP4205922A1 (en) Razor assembly
KR200192472Y1 (ko) 분무기 겸용 머리빗
KR20160020801A (ko) 윤활크림 내장형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