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095A -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 - Google Patents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095A
KR20210031095A KR1020190112604A KR20190112604A KR20210031095A KR 20210031095 A KR20210031095 A KR 20210031095A KR 1020190112604 A KR1020190112604 A KR 1020190112604A KR 20190112604 A KR20190112604 A KR 20190112604A KR 20210031095 A KR20210031095 A KR 20210031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club
main shaft
shaft
subshaft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396B1 (ko
Inventor
장근식
Original Assignee
장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식 filed Critical 장근식
Priority to KR102019011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3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31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0Non-metall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2Metall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4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handles, e.g. sleeves or ribbons

Abstract

클럽헤드가 공에 스퀘어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중력이 작용하도록 스윙하기 위해서는 양손/양팔의 근육이 적절하게 신장되거나 비틀렸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야 하는데 이는 생체적이라 정확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손/양팔의 신장이나 비틀림을 최소화하는 대신에, 양손그립 부위에서 골프클럽의 샤프트 자체가 기계적으로 적절한 신장 및 비틀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써 발생하는 스프링코일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진자운동에 이용할 수 있는 골프클럽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 {Golf club that offers elastic spring force in the grip part}
본 발명은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샤프트의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임팩트 시 정확성, 방향성, 좋은 타격감, 안정된 동적 스윙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샤프트의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에 관한 것이다.
골프스윙(golf swing)에는 여러 종류의 진자(pendulum) 운동이 포함되어 있다. 골프스윙에서 진자운동은 큰 힘을 발휘하는 중력이 클럽의 운동을 지배하도록 허용하는 것이므로, 좋은 골프스윙은 백스윙과 포워드스윙의 진자운동에서 중력 효과가 나타나되 클럽의 헤드가 공에 스퀘어하게 움직이는 스윙이다. 백스윙이란, 트리거(trigger), 테이크백(takeback), 그리고 테이크업(takeup)으로 연결되면서 클럽헤드가 공에 스퀘어한 자세로 후진함으로써, 포워드스윙 때에 골프클럽에 올바른 진자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준비하는 여러 경로의 합을 말한다. 포워드스윙에서 다운스윙과 임펙트는 클럽이 진자운동을 하되, 클럽헤드가 스퀘어한 자세를 가지고 공으로 진입하여 공에 정확한 방향성을 부여하고 또 최대한의 모멘텀을 전달하는 운동 경로를 말한다.
프로골퍼들은 드라이버나 아이언 클럽의 백스윙과 포워드스윙 중에 양손, 양팔, 양 어깨, 상체의 가슴과 등판, 양 옆구리, 골반 및 대퇴부 근육까지 이용하여, 클럽의 동적 평형을 성취하는 되먹임제어(feedback control)를 만들어낸다. 되먹임제어가 없다면 공을 때리는 클럽헤드의 큰 임팩트와 좋은 방향성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어떤 홀이든 파(par) 혹은 언더파(underpar)의 좋은 스코어를 창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좋은 골프스윙은 클럽의 특성이라기보다는 클럽을 스윙하는 방법의 특성인 것이다.
그러나 어린 시절부터 고비용, 고강도의 레슨과 훈련을 받은 프로골퍼들과는 달리, 주말골프를 즐기는 아마추어골퍼들은 비교적 나이가 많고, 체력 단련이 부족하고 올바른 스윙 컨셉을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십중팔구 골프스윙이 어렵고 불완전하다. 물론 숙련된 프로골퍼의 세계에서도 우열이 존재하는데, 이는 체력조건과 더불어 중력을 최대한 이용하는 올바른 골프클럽의 스윙 운동을 형성하는 스윙컨셉과 골프경기 운영 전략의 작고 미묘한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되먹임제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골프클럽의 백스윙 구간을 1이라 하자. 그러면 전반 1/2은 왼손/왼팔이, 후반 1/2은 오른손/오른팔이 교대로 클럽의 무게를 감당하여 클럽을 후진시킨다면 이는 나쁜 스윙이다. 그 이유는 첫째, 이런 스윙은 양팔/양손의 스윙 교대 간격이 너무 커서 양팔 어느 쪽도 서로 간의 되먹임제어가 없이 단독으로 스윙을 구사하기 때문이며, 둘째, 좌우 팔이 힘을 교대할 때에 힘의 방향과 크기의 차이가 너무 커서 에러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만일 백스윙의 구간 1을 N회로 나누어, 첫 1/N 번째 간격에는 왼손이, 그 다음 2/N 번째 간격에는 오른손이, 그 다음 3/N 번째 간격에는 다시 왼손, 그 다음 4/N 번째 간격에는 다시 오른손... 의 순서로 백스윙을 반복해 나간다면 여기에는 좌우 간에 되먹임제어가 작은 시간 차이로 생겨나므로 비교적 우수한 골프스윙이 된다. 만일 백스윙을 더 작은 시간 간격으로 쪼갠다면 마침내 매 순간마다 골프클럽, 양손/양팔 그리고 몸통까지 포함하여 서로 간에 연속적으로 힘의 평형과 되먹임 자세 제어가 있는 스윙에 도달하게 되는데, 프로골퍼들은 바로 이런 골프스윙을 구사하는 것이다.
양손으로 골프클럽을 잡고 스윙을 할 때 그립 부위에는 양손의 손가락들이 마찰력을 발휘하는 마찰력구간이 존재하며, 바로 이 양손의 마찰력들이 골프클럽에 클럽을 들어올리는 양력(lift) 과 클럽을 뒤로 스윙하는 토오크(torque)를 발생시켜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퍼터 클럽을 노말 그립(Normal Grip)으로 잡는다면, 양손 마찰력구간의 위 끝에는 왼손 새끼손가락이 위치해 있고, 아래 끝에는 오른손 엄지와 검지가 위치해 있다.
좋은 골프스윙을 만들기 위해서는 백스윙 운동의 초기에 트리거(trigger) 과정이 중요하다. 트리거(trigger)란 양손그립이 클럽헤드를 스퀘어한 자세로 후진시키는 백스윙의 초기 순간들을 말한다. 골프스윙에서 양손그립의 마찰력구간의 아래 끝인 오른손 엄지와 검지가 클럽헤드를 스퀘어하게 후진시키는 트리거와, 마찰력구간의 위 끝인 왼손 새끼손가락이 클럽헤드를 스퀘어하게 후진시키는 트리거가 있을 수 있다.
올바르게 트리거 되지 않은 골프클럽을 스윙 중에 수정함으로써 올바른 임펙트가 되도록 유도하기는 어렵다. 반면에 올바르게 트리거 된 골프클럽이라고 할지라도 드라이버나 아이언 클럽처럼 스윙아크가 큰 진자운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양손, 양팔, 양 어깨, 상체의 앞과 뒤와 양 옆구리, 그리고 대퇴부 근육까지 동원하여 매 순간 클럽과 신체 사이에 되먹임제어가 있는 힘과 모멘트의 평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퍼팅 스트로크는 스윙이 느리고 스윙 폭이 작지만 양손, 양팔과 상체 간의 되먹임제어가 있다. 정확한 퍼팅을 위해서는 백스윙에서 퍼터헤드를 스퀘어한 자세로 트리거(trigger) 하였다가 다시 스퀘어한 자세로 임팩트 구간에 진입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되먹임제어가 필요하다.
주말골퍼들은 통상적으로 1~2 미터 근거리 펏에서 트리거 운동의 정확성을 지키기가 어렵고, 장거리 펏에서도 같은 이유로 홀컵 근처에 공을 붙이는 거리조절이 어렵다. 트리거 운동이 어려운 이유는 첫째로 머릿속에 클럽헤드를 스퀘어하게 후진시키는 올바른 스윙컨셉이 부족하고, 둘째로 양손/양팔의 되먹임제어를 실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종래에 골프스윙을 개선하기 위해 골프클럽의 샤프트 구조를 개선한 기술이 한국특허등록 제1032103호("그립 아래의 한 고정된 샤프트 위치에 골프스윙의 동적 무게중심부를 형성한 골프클럽", 2011.04.22., 이하 '선행문헌')에 개시된다. 선행문헌에서는, 골프클럽 샤프트를 마찰력구간의 한 군데 (혹은 여러 군데)에서 절단하되, 절단된 샤프트 내부로 하나의 연결봉을 삽입하고, 절단된 샤프트 각각의 내면이 상기 하나의 연결봉의 외면과 접합되도록 한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예를 들어 골프클럽의 샤프트를 마찰력구간의 어느 한 곳에서 절단하고, 그 절단된 내부로 한 개의 연결봉을 삽입하여 마찰력구간의 양 끝단에서 내부적으로 접합하면, 상기의 양끝 지점에서 마찰력이 집중적으로 샤프트에 전달되어, 이를 진자운동의 피봇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선행문헌에서는 현재의 특허기술과는 달리 상기 골프 샤프트의 마찰력구간이 늘어나거나 비틀리지 않는 고형이므로 왼손과 오른손 간에 분리된 스윙 운동이 불가능하여, 왼손/왼팔과 오른손/오른팔의 실수가 서로에게 전달되어 골프스윙이 여전히 어려운 한계가 있다. 물론 이 한계에는 백스윙에서 클럽헤드의 스퀘어한 자세를 지키기 위해 양손그립이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면 양팔의 근육이 뒤틀리고, 양팔근육이 자세를 지키면 양손그립이 뒤틀리는 것도 포함된다.
1. 한국특허등록 제1032103호("그립 아래의 한 고정된 샤프트 위치에 골프스윙의 동적 무게중심부를 형성한 골프클럽", 2011.04.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골프스윙에 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럽헤드가 공에 스퀘어한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중력이 작용하도록 스윙하기 위해서는 양손/양팔의 근육을 적절하게 신장하거나 비틀어서 클럽헤드의 움직임을 만들어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손/양팔의 신장이나 비틀림을 최소화하면서 클럽헤드를 스퀘어하게 후진시키는 방법으로, 골프클럽을 잡는 양손그립의 마찰력구간에서 샤프트가 어느 정도 자체적으로 늘어나고 비틀릴 수 있게 하여,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과 복원력이 발생하는 골프클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500)은, 샤프트(100)의 일단에 클럽헤드(510)가 형성되고 타단에 그립파트(5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골프클럽(500)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0)는, 상기 그립파트(520)에 상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한 메인샤프트절단부(110c)에서 절단되어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및 메인샤프트하측부(112)로 나뉘도록 형성되는 메인샤프트(110); 상기 메인샤프트(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및 상기 메인샤프트하측부(112) 간에 신장 또는 비틀림 동작이 발생할 때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스프링(140);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샤프트(100)는, 상기 메인샤프트(110) 내에 이중관 구조로 삽입되며, 상기 그립파트(520)에 상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한 서브샤프트절단부(120c)에서 절단되어 서브샤프트상측부(121) 및 서브샤프트하측부(122)로 나뉘도록 형성되는 서브샤프트(120); 상기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내면 및 상기 서브샤프트상측부(121) 외면을 접합시키는 상측접합부(131); 상기 메인샤프트하측부(112) 내면 및 상기 서브샤프트하측부(122) 외면을 접합시키는 하측접합부(132);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140)은, 상기 서브샤프트(120) 내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서브샤프트상측부(121) 내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서브샤프트하측부(122) 내측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클럽(500)은 상기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및 상기 메인샤프트하측부(112)가 모두 사용자의 양손그립 위치 안에 들도록 하고, 상기 메인샤프트절단부(110c)의 위치는 상측부(111)와 하측부(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클럽(500)은, 고무그립(525)에 의해 덮이는 영역 내에, 특히 양손그립의 마찰력구간 내에 상기 메인샤프트절단부(110c) 및 상기 서브샤프트절단부(120c)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00)는, 상기 메인샤프트절단부(110c) 및 상기 서브샤프트절단부(120c)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00)는, 상기 메인샤프트(110) 및 상기 서브샤프트(120) 사이가 미세하게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00)는, 상기 상측접합부(131)가 상기 서브샤프트상측부(121) 상측에 편향 형성되고, 상기 하측접합부(132)가 상기 서브샤프트하측부(122) 하측에 편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퍼팅 등의 골프스윙에 일어나는 양손/양팔의 비틀림을 최소화하는 대신에 골프클럽 샤프트의 그립 부위에서, 골프헤드를 스퀘어하게 지키기 위해 필요한 신장 및 비틀림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한 탄성력과 복원력을 양손/양팔에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골프클럽에서는 클럽헤드가 공에 스퀘어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중력이 작용하는 진자운동을 만들기 위해서는 양팔의 근육이 적절하게 신장되거나 비틀려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팔의 신장이나 비틀림은 생체적이므로 백스윙과 포워드스윙에서 클럽헤드의 일관된 스퀘어한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운데 비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골프클럽은 그립 부위에서 샤프트 자체가 기계적인 신장 및 비틀림을 제공하므로 클럽헤드의 스퀘어한 자세를 실현하기 쉬우며, 결과적으로는 정확한 스윙 동작을 구현해 낼 수 있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운동하는 물체의 힘과 변형의 관계에서 이를 다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손그립이 클럽을 백스윙을 하는 동안에, 예를 들면, 왼손은 가만히 있고 오른손이 클럽헤드가 스퀘어하도록 강제하면 양손그립 아래에서 스프링 코일에 신장 또는 비틀림의 탄성력이 발생하는 것이 양손에 느껴지는데, 포워드스윙 때에는 바로 이 스프링 코일의 탄성 복원력을 골프클럽의 진자운동을 일으키는 무브먼트(movement)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임팩트 시에 정확성, 거리감, 방향성, 좋은 타격감, 안정된 동적 스윙 등을 손쉽게 실현할 수 있는 큰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벽시계에 태엽을 감아 그 스프링태엽의 탄성복원력으로 시계추를 움직이는 원리와 대동소이하다.
도 1은 골프클럽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 샤프트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클럽 샤프트의 분해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골프클럽의 전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클럽(500)은, 일반적인 골프클럽과 마찬가지로, 샤프트(100)의 일단에 클럽헤드(510)가 형성되고 타단에 그립파트(5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일반적인 골프클럽의 경우 상기 그립파트(520) 부분에서 상기 샤프트(100)가 일체로 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립파트(520) 부분에서 상기 샤프트(100)가 절단됨으로써 샤프트가 신장 및 비틀림 발생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골프클럽(500)은, 상기 샤프트(100)의 양손그립 구간에서 길이가 소량 신장되거나 양손의 각도가 비틀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골프클럽(500)은, 상기 그립파트(520) 부위의 내부에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 신장탄성력(extension elastic force)과 비틀림탄성력(torsion elastic force)이 외부로 느껴지면서도, 절단부가 고무그립(525) 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외관적으로는 아무런 표시가 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부에 탄성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골프클럽을 스윙할 때에 골프클럽의 양손그립 부위의 길이가 약간 신장(伸長)되었다가 제 자리로 복원될 수 있거나, 또한 샤프트를 잡은 양손그립이 마치 서로 맞물린 치차처럼 반대방향으로 비틀렸다가 다시 원래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의 신장탄성과 비틀림탄성, 혹은 그 복합력을 이용하여, 백스윙에서 클럽헤드가 공에 스퀘어하게 후진하도록 강제하였다가, 포워드스윙에서 이들의 복원력(restoring force)을 이용하여 중력방향의 진자운동을 창출하는 것은 비교적 쉬운 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은 그립과 샤프트 안에 들어가 외관적으로 전혀 관찰되지 않는 은닉성을 보유할 수 있으며, 또한 탄성을 갖는 스프링의 기계적인 특성이 생체인 양손/양팔에 전달되어 이들 간에 되먹임제어가 자연스럽게 일어나 임팩트가 정확한 왕복스윙을 손쉽게 만들어낼 수 있는데, 이는 일찍이 이전에 없던 기술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형상적 그리고 기능적 특징을 더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1]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형상적 특징
도 2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 샤프트의 조립단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클럽 샤프트의 분해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클럽(500)은 상기 샤프트(100)의 그립파트(520)에 형상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100)는, 기본적으로 메인샤프트(110), 탄성스프링(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명이 실현되도록, 서브샤프트(120), 상측접합부(131), 하측접합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샤프트(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및 메인샤프트하측부(112)로 나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이들을 나누는 메인샤프트절단부(110c)는 상기 그립파트(520)에 상응하는 영역 내의 한 지점에 위치하여, 양손에 의해 스프링의 신장 및 비틀림 동작 구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시 말해서 양손그립에 의한 마찰력구간에서 상기 메인샤프트상측부(111) 와 상기 메인샤프트하측부(112)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론 상기 메인샤프트절단부(110c)가 양손그립이 잡는 상기 고무그립(525)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은닉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탄성스프링(140)은, 상기 메인샤프트(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및 상기 메인샤프트하측부(112) 간에 신장 또는 비틀림 동작 발생 시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서브샤프트(120)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스프링(140)이 설치되는 예시가 도시되나,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다만 상기 서브샤프트(120) 등의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프링의 신장 및 비틀림 동작 및 그에 따른 탄성복원력 발생의 실현이 용이하면서도 구조물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채택된 것이다.
상기 서브샤프트(120)는,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샤프트(110) 내에 이중관 구조로 삽입되며, 상기 메인샤프트(110)가 둘로 나뉘어진 것처럼, 서브샤프트상측부(121) 및 서브샤프트하측부(122)로 나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이들을 나누는 서브샤프트절단부(120c) 역시 상기 그립파트(520)에 상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데, 메인샤프트절단부(110c)와는 다른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프샤프트절단부(120c), 서브샤프트상측부(121) 및 서브샤프트하측부(122)는 상기 메인샤프트(11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드러나 보이지 않으며, 이는 다시 상기 고무그립(525)에 의해 덮여 있음으로 이중으로 은닉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상측접합부(131)는 상기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내면 및 상기 서브샤프트상측부(121) 외면을 접합시키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샤프트상측부(121) 상측에 편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측접합부(132)는 상기 상측접합부(131)와 유사하게 상기 메인샤프트하측부(112) 내면 및 상기 서브샤프트하측부(122) 외면을 접합시키는 것으로,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샤프트하측부(122) 하측에 편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샤프트(100)가 상기 메인샤프트(110) 및 상기 서브샤프트(120)의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탄성스프링(140)은 상기 서브샤프트(12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탄성스프링(140)의 일단이 상기 서브샤프트상측부(121) 내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서브샤프트하측부(122) 내측 끝단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샤프트(100) 구조를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샤프트(110) 및 상기 서브샤프트(120) 둘 다 절단부에 의해 절단되어 상측부/하측부로 나뉘어지지만 그 절단부의 위치는 서로 다르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서브샤프트의 상측부들끼리 접합되어 하나의 결합체(도 3 우측)를 형성하고, 메인/서브샤프트의 하측부들끼리 접합되어 또 다른 하나의 결합체(도 3 좌측)를 형성한다. 보다 명확하게는, 상기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및 상기 서브샤프트상측부(121)가 상기 상측접합부(131)에 의해 접합되어 도 3 우측과 같은 상측결합체(T)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샤프트하측부(112) 및 상기 서브샤프트하측부(122)가 상기 하측접합부(132)에 의해 접합되어 도 3 좌측과 같은 하측결합체(B)를 형성한다.
상기 상측결합체(T) 및 상기 하측결합체(B)는 하나의 공유된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므로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의 신장운동이나 방위각방향의 비틀림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상측결합체(T) 및 상기 하측결합체(B) 간에 축방향 신장운동이 일어나면, 상기 샤프트(100)의 상기 그립파트(520)에서 탄성 신장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상측결합체(T) 및 상기 하측결합체(B) 간에 방위각방향 비틀림이 일어나면, 상기 샤프트(100)의 상기 그립파트(520)에서 탄성 비틀림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어느 경우든 메인샤프트(110) 내부와 서브샤프트(120)에는 슬라이딩이 일어나므로, 이들 사이는 수 μm 정도의 미세한 간격을 가지고 매끈한 내부표면을 가지고 또한 윤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샤프트절단부(110c) 및 상기 서브샤프트절단부(120c) 위치는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이중관 구조인 상기 메인샤프트(110) 및 상기 서브샤프트(120)는 축방향/방위각방향 슬라이딩을 통해 신장/비틀림 동작을 할 때에 절단부 위치에서 부러지거나 빠져서 분해될 위험성이 없다.
또한 상기의 각각의 결합체들(T)(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14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골프스윙의 백스윙에서 상기 결합체들(T)(B) 간에 신장 또는 상대적인 비틀림이 발생하면, 이는 스프링(140) 내부에 탄성에너지로 저장되었다가 포워드스윙에서 탄성복원력으로 회복되는데, 이들 스프링 탄성력과 복원력을 중력을 이용한 진자운동을 형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골프클럽(500)의 샤프트(100)는, 탄성스프링(140)을 내부에 구비하여 탄성이 있고, 메인샤프트(110) 및 서브샤프트(120) 이중관 구조로 되되 축방향 및 방위각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면서도 일직선의 안정된 구조물을 유지하고, 그 탄성은 메인샤프트(110)의 외면을 둘러싼 고무그립(525)를 통해서 외부를 잡은 사용자의 양손에 그대로 전달된다. 이렇게 하면 스프링코일(140)의 연결을 통해 신장 및 비틀림이 일어날 때의 탄성력과 그 변형이 복원될 때에 생기는 탄성 복원력이 사용자의 양손에 확연히 느껴지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클럽헤드가 스퀘어한 자세를 가지고 또 중력을 이용한 진자운동을 하도록 정확한 백스윙과 포워드스윙을 만들어낼 수 있다.
[2]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운동학적 특징
골퍼는 셋업에서 골프클럽에 평형상태가 이루어지도록 어드레스한다. 양손은 인터락킹(Interlocking Grip) 그립 혹은 노말그립(Normal Grip)으로 클럽을 잡으며, 양손 손가락들이 클럽을 잡은 부위는 클럽을 들어 올리는 양력 및 스윙하는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마찰력구간을 형성한다. 퍼팅을 예로 들면, 골프클럽의 진자운동을 시작하기 위해 상기 마찰력구간의 아래 끝인 오른손 검지와 엄지, 혹은 마찰력구간의 위 끝인 왼손의 새끼손가락에서 클럽이 스퀘어한 자세를 가지고 후진하도록 스윙을 트리거 해주면 클럽의 백스윙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왼손을 스퀘어하게 잡고, 오른손 검지와 엄지 혹은 왼손 새끼손가락이 클럽헤드를 들어 올린 뒤에 스퀘어하게 후진하도록 강제하면, 스프링이 늘어나고 비틀리면서 트리거와 백스윙이 이루어진다. 포워드스윙에서는 변형된 스프링코일의 탄성복원력을 진자운동의 무브먼트로 사용해서 클럽이 왼손 새끼손가락을 피봇으로 삼아 공을 향해 진자운동을 하고, 클럽헤드가 공에 스퀘어하게 진입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이런 과정에서 트리거와 임펙트 모두에서 스퀘어한 클럽헤드의 자세가 만들어지고, 스프링에서 발생하는 기계적이고 가역적인 탄성력과 복원력이 생체인 양팔에 전해져 되먹임제어가 일어난다. 그 결과로 본 발명의 기술은 스프링이 없는 통상의 골프클럽보다 쉽고 정확한 트리거와 진자운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통상의 샤프트에서는 양손그립의 마찰력구간에서 샤프트 자체의 변형이 없으므로 트리거와 백스윙 동안에 양손/양팔 근육이 비틀어져야 하는데, 이렇게 하면 생체 근육의 탄성은 추후 정확히 복원되기 어려운 면이 있으므로 정확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탄성스프링 샤프트를 구비한 골프클럽을 이용함에 있어서,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지 않고 통상의 골프클럽과 통상의 골프스윙처럼 평소대로 스윙할 수 있음도 매우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골프클럽은 골프스윙 중에 양손그립이 잡는 마찰력구간에서 메인샤프트가 길이에서 어느 정도 신장되었다가 복원되며, 또한 방위각에서도 어느 정도 비틀렸다가 제 자리로 복원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는 백스윙에서 오른손 검지와 엄지가 클럽헤드를 스퀘어하게 잡고 있으면, 스퀘어하게 출발하는 트리거를 할 수 있고, 스퀘어하게 후진하였다가, 포워드스윙에서 다시 스퀘어한 자세로 공을 향해 진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거꾸로 클럽헤드가 항상 스퀘어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은 스프링코일의 가역적인 탄성력과 복원력을 통해 생체적인 양손/양팔의 운동에 되먹임제어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골프클럽을 반복해서 기계적으로 스퀘어하게 스윙하면, 클럽헤드에 스퀘어한 트리거와 스퀘어한 임팩트가 이루어질 때 생체적인 양팔 근육에 어떤 움직임이 일어나는지 학습할 수 있다. 이는 올바른 스윙이 이루어질 때 양팔 상완의 이두근과 삼두근이 수축하는 모양, 양팔 하완에서 요골과 척골이 올바르게 외전(外轉)과 내전(內轉)하는 모양을 가르쳐주므로 골프스윙 컨셉을 수립하려고 노력하는 골퍼들에게 우수한 골프학습 효과를 줄 수 있다.
골프클럽의 양손잡이 부위에는 고무그립이 덧씌워져 있는데, 고무그립의 재질 중에서는 탄성이 좋은 고무로 만들어진 것을 선택하면 신장되고 비틀어지는 탄성스프링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의 상당량이 고무그립을 통해 양손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골프클럽을 사용하면 백스윙 때에 클럽헤드를 스퀘어하도록 강제하여 양손그립 아래에서 스프링코일의 신장 또는 비틀림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고, 포워드 스윙 때에는 스프링코일의 탄성복원력을 클럽의 진자운동을 위한 무브먼트로 사용함으로써, 임팩트 시에 정확성, 방향성, 좋은 타격감, 안정된 동적 스윙을 취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의 골프클럽에 비해 상당히 우수한 장점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샤프트
110 : 메인샤프트 110c : 메인샤프트절단부
111 : 메인샤프트상측부 112 : 메인샤프트하측부
120 : 서브샤프트 120c : 서브샤프트절단부
121 : 서브샤프트상측부 122 : 서브샤프트하측부
131 : 상측접합부 132 : 하측접합부
T : 상측결합체 B : 하측결합체
140 : 탄성스프링
500 : 골프클럽 510 : 클럽헤드
520 : 그립파트 525 : 고무그립

Claims (9)

  1. 샤프트(100)의 일단에 클럽헤드(510)가 형성되고 타단에 그립파트(5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골프클럽(500)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0)는,
    상기 그립파트(520)에 상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메인샤프트절단부(110c)에서 절단되어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및 메인샤프트하측부(112)로 나뉘도록 형성되는 메인샤프트(110);
    상기 메인샤프트(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및 상기 메인샤프트하측부(112) 간에 신장 또는 비틀림 동작 발생 시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스프링(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0)는,
    상기 메인샤프트(110) 내에 이중관 구조로 삽입되며, 상기 그립파트(520)에 상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서브샤프트절단부(120c)에서 절단되어 서브샤프트상측부(121) 및 서브샤프트하측부(122)로 나뉘도록 형성되는 서브샤프트(120);
    상기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내면 및 상기 서브샤프트상측부(121) 외면을 접합시키는 상측접합부(131);
    상기 메인샤프트하측부(112) 내면 및 상기 서브샤프트하측부(122) 외면을 접합시키는 하측접합부(13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140)은,
    상기 서브샤프트(120) 내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서브샤프트상측부(121) 내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서브샤프트하측부(122) 내측 끝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0)는,
    상기 메인샤프트절단부(110c) 및 상기 서브샤프트절단부(120c)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500)은,
    사용자의 양손그립 위치 내에 각각 상기 메인샤프트상측부(111) 및 상기 메인샤프트하측부(112)로 나뉘어지도록 상기 메인샤프트절단부(110c)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500)은,
    고무그립(525)에 의해 덮이는 영역 내에 상기 메인샤프트절단부(110c)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클럽(500)은,
    고무그립(525)에 의해 덮이는 영역 내에 상기 메인샤프트절단부(110c) 및 상기 서브샤프트절단부(120c)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0)는,
    상기 메인샤프트(110) 및 상기 서브샤프트(120) 사이가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0)는,
    상기 상측접합부(131)가 상기 서브샤프트상측부(121) 상측에 편향 형성되고,
    상기 하측접합부(132)가 상기 서브샤프트하측부(122) 하측에 편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KR1020190112604A 2019-09-11 2019-09-11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 KR102299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04A KR102299396B1 (ko) 2019-09-11 2019-09-11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04A KR102299396B1 (ko) 2019-09-11 2019-09-11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095A true KR20210031095A (ko) 2021-03-19
KR102299396B1 KR102299396B1 (ko) 2021-09-08

Family

ID=7526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604A KR102299396B1 (ko) 2019-09-11 2019-09-11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3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308A (ko) * 2007-05-17 2008-11-21 장근식 탄성 변형 구조 그립을 가지는 골프 클럽
KR101032103B1 (ko) 2010-12-10 2011-05-02 장근식 그립 아래의 한 고정된 샤프트 위치에 골프스윙의 동적 무게중심부를 형성한 골프클럽
KR20170045988A (ko) * 2015-10-20 2017-04-28 강현서 퍼팅 자세 교정용 퍼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308A (ko) * 2007-05-17 2008-11-21 장근식 탄성 변형 구조 그립을 가지는 골프 클럽
KR101032103B1 (ko) 2010-12-10 2011-05-02 장근식 그립 아래의 한 고정된 샤프트 위치에 골프스윙의 동적 무게중심부를 형성한 골프클럽
KR20170045988A (ko) * 2015-10-20 2017-04-28 강현서 퍼팅 자세 교정용 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396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1147A (en) Golf swing training club
AU761164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method
US7635308B2 (en) Golf swing training aid
US20060264265A1 (en) Golf Swing Training Method
US20120172157A1 (en) Pro-trainer
US5257779A (en) Stroke training device
US5439214A (en) Stroke training device
US6371863B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5060942A (en) Stroke training device
KR102299396B1 (ko)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
US3408075A (en) Golf club including power-hand grip forces sensing means
JP6228930B2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具
US5609531A (en) Golf training apparatus
US7942755B2 (en) Core connector putting stroke trainer
US5558586A (en) Golf putter head and club
JP5582374B1 (ja) スイング練習補助具
JP3177868U (ja) ゴルフ練習具
US20110136582A1 (en) Golf swing-aid trainer, a dynamic swing aid device for improving the golfer swing action
US20190015724A1 (en) Golf swing core basic training assisting device
KR20050099434A (ko)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
US20120034989A1 (en) Golf release training club
KR20080101308A (ko) 탄성 변형 구조 그립을 가지는 골프 클럽
KR100792141B1 (ko) 골프용 손목 운동기구
JP3125158U (ja) ゴルフクラブ
KR20100061950A (ko) 연습용 골프클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