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477A - 접점 개폐기 - Google Patents

접점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477A
KR20210030477A KR1020217006287A KR20217006287A KR20210030477A KR 20210030477 A KR20210030477 A KR 20210030477A KR 1020217006287 A KR1020217006287 A KR 1020217006287A KR 20217006287 A KR20217006287 A KR 20217006287A KR 20210030477 A KR20210030477 A KR 20210030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movable contact
fixed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키 호타
아키히코 곤도
히데야스 가와이
도모히코 다케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6Metal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접점 개폐기(1)의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261b 및 262b)과, 가동 접촉자(25) 및 제1 고정 접촉자(23b)와 제1 가동 접점(24b)의 가동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인 횡단 방향에서 대향함과 아울러 한 쌍의 대향면(261b 및 262b)을 연결하는 연결면(263b)을 가지며, 연결면(263b)에는, 제1 가동 접점(24b)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장공(265b)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접점 개폐기
본 발명은,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점 개폐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주위를 둘러싸는 3면으로 구성되고, 이들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끌어당겨 분단하는 소호(消弧) 그리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접점 개폐기가 알려져 있다. 이 접점 개폐기에서는,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주위를 둘러싸는 4면 중 1면을 개방한 3면으로 구성된 금속제의 소호 그리드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점 개극시에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전자력이 작용하고, 아크는, 이들 접점 상으로부터 소호 그리드에 끌어당겨져, 길게 늘려지고, 분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점 개극시에 발생한 아크를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 종래,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접점 개폐기가 알려져 있다. 이 접점 개폐기에서도,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주위를 둘러싸는 4면 중 1면을 개방한 3면으로 구성된 금속제의 소호 그리드가 배치되어 있다. 소호 그리드에는 단일의 장공(長孔)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핫 가스가 해당 단일의 장공으로부터 접점 개폐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에 의해, 아크의 차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9-23185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소59-103223호 공보
그런데,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가 접점 상으로부터 소호 그리드까지 끌어당겨져 길게 늘려지고, 소호 그리드로 이동하여 분단되었을 때, 소호 그리드 상의 아크는, 해당 소호 그리드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서 더 구동된다. 상기 종래의 접점 개폐기에서는, 소호 그리드를 흐르는 전류의 유로가 제어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소호 그리드로 이동한 아크가 해당 소호 그리드 상에서 불규칙하게 이동하고, 한 번 분단된 아크가 다시 서로 접촉하여, 분단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즉, 상기 종래의 접점 개폐기에서는, 소호 그리드로 이동한 아크를 완전하게 분단할 수 없어,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차단하는 성능이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점 개극시에 이들 접점 상에 발생하는 아크의 차단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접점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접점 개폐기에서는, 고정 접점이 마련되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상기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가동 접촉자와,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 및 비접촉하는 방향인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주위를 둘러싸는 3면으로 구성되고,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분단하는 소호(消弧) 그리드를 구비하며, 소호 그리드의 3면은,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인 횡단 방향에서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과 대향하는 연결면, 상기 연결면에 연결되는 타면(他面)을 가지며, 연결면에는,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장공(長孔)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에 의하면, 접점 개극시에 발생한 아크를 소호 그리드에 끌어들이고, 끌어들여진 아크가 소호 그리드 상을 이동했을 때에 해당 아크를 통해서 소호 그리드를 흐르는 전류의 유로를 2개의 장공의 사이에 집중시킨다. 전류가 집중하는 것에 의해 소호 그리드 상에서 아크가 분단되는 방향의 전자력이 강화되고, 아크를 재빠르게 분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아크의 분단 후에 해당 아크가 그리드 상에서 구동되면, 2개의 장공의 사이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해당 아크의 구동이 가속되는 방향, 즉,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전자력이 발생함과 아울러, 이들 2개의 장공을 우회(迂回)하여 외측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해당 아크의 구동이 감속되는 방향, 즉, 가속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전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각각의 전자력이 균형되어, 분단된 아크가 그 분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높은 아크 차단 성능을 발휘하는 접점 개폐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전체의 정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 제1 고정 접촉자, 및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우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 제1 고정 접촉자, 및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2에서의 전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에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상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a의 C-C선에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가 제1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장 이간한 상태에서의 아크의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분단되기 시작한 아크의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분단된 아크의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도 10a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가동 접촉자가 제1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장 이간한 상태에서의 전류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0c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아크가 분단된 상황에서 제1 소호 그리드 상에 형성되는 전류로(電流路)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아크의 구동이 진행된 상황에서 제1 소호 그리드 상에 형성되는 전류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의 제1 변형예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의 제2 변형예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의 제3 변형예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의 제4 변형예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상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3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3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상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3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상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5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 제1 고정 접촉자, 및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우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5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 제1 고정 접촉자, 및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전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5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 제1 고정 접촉자, 및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우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5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 제1 고정 접촉자, 및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6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의 구조를, 도 1에서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1c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부재나 부위, 또는 상당하는 부재나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또,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전체의 정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정의한다. 즉, 후술하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 및 비접촉하는 방향인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전후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인 횡단 방향으로서 가동 접촉자의 긴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전후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인 횡단 방향으로서 가동 접촉자의 짧은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서 각각 정의한다. 또, 전후 방향이란, 서로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전측 방향 및 후측 방향의 총칭이고, 상하 방향이란, 서로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의 총칭이며, 좌우 방향이란, 서로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총칭이다.
접점 개폐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 개폐기(1)는, 예를 들면 3상(相) 전원용으로 구성된 접점 개폐기이며, 인접하는 제1상(相) 소호실(21a), 제2상 소호실(21b), 및 제3상 소호실(21c)의 3개의 소호실 등을 가지는 접점부(1A)와, 이 접점부(1A)가 수용하는 가동 접촉자(25)를 전자력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조작 코일(35) 등을 수용하는 구동부(1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접점 개폐기(1)는, 상하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각 상(相)에 대해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1 고정 접촉자(23a~23c)에는, 단자(231a~231c)를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3상 전원 중 1상의 배선이 각각 접속되고, 제2 고정 접촉자(23d~23f)에는, 단자(231d~231f)에 의해서 도시하지 않은 부하의 배선이 각각 접속된다. 도 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제2상 소호실(21b)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되어 있지만, 제1상 소호실(21a) 및 제3상 소호실(21c)도, 제2상 소호실(21b)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2상 소호실(21b)의 구조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제1상 소호실(21a) 및 제3상 소호실(21c)의 구조에 대해 중복하는 설명을 할애한다.
상세하게는, 접점부(1A)를 구성하는 제2상 소호실(21b)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제1 고정 접점(22b)이 마련된 제1 고정 접촉자(23b)의 일부와, 제2 고정 접점(22e)이 마련된 제2 고정 접촉자(23e)의 일부와,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2 가동 접점(24e)이 마련된 가동 접촉자(25)와,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의 근방에 구비된 제1 소호 그리드(26b)와, 제2 가동 접점(24e) 및 제2 고정 접점(22e)의 근방에 구비된 제2 소호 그리드(26e)와, 구동부(1B)와 연결되어 가동 접촉자(25)를 구동하는 구동축(27)을, 예를 들면 수지재로 형성된 아크 커버(28)의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이 중, 제1 고정 접촉자(23b)는, 예를 들면,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전 재료, 또는 이들을 모재(母材)로 한 합금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2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전후 방향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짐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장방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제1 고정 접촉자(23b)의 긴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의 선단부 중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는,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단자(231b)(도 1 참조)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제1 고정 접촉자(23b)의 긴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의 선단부 중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는, 예를 들면 은, 또는 그 합금 등의 금속으로 전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판(圓板) 모양으로 형성된 제1 고정 접점(22b)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 접촉자(23e)의 긴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의 선단부 중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는,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단자(231e)(도 1 참조)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제2 고정 접촉자(23e)의 긴 길이 방향의 선단부 중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는, 예를 들면 은, 또는 그 합금 등의 금속으로 전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판 모양으로 형성된 제2 고정 접점(22e)이 마련되어 있다.
또, 가동 접촉자(25)는, 예를 들면,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전 재료, 또는 이들을 모재(母材)로 한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2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전후 방향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짐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장방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25)의 긴 길이 방향의 선단부 중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는, 예를 들면 은, 또는 그 합금 등의 금속으로 후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판 모양으로 형성된 제1 가동 접점(24b)이 해당 선단부의 후측 방향의 표면에 마련되어 있고, 가동 접촉자(25)의 긴 길이 방향의 선단부 중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는, 예를 들면 은, 또는 그 합금 등의 금속으로 후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판 모양으로 형성된 제2 가동 접점(24e)이 해당 선단부의 후측 방향의 표면에 마련되어 있다. 즉, 가동 접촉자(25)에 마련된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2 가동 접점(24e)은, 제1 고정 접촉자(23b)에 마련된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2 고정 접촉자(23e)에 마련된 제2 고정 접점(22e)과, 전후 방향으로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가동 접촉자(25)의 긴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는, 후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받이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25)는, 구동축(27)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상하 방향의 선단부에 각각 마련된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2 가동 접점(24e)을, 제1 고정 접촉자(23b)에 마련된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2 고정 접촉자(23e)에 마련된 제2 고정 접점(22e)에, 각각 접촉 및 비접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에 의해서 프레스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고, 전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장착부(264b)를 가진다.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1 가동 접점(24b)의 근방에 배치되도록, 예를 들면 절연체 등에 의해서 형성된 아크 커버(28)에 해당 장착부(264b)가 장착된다.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제1 가동 접점(24b)과 제1 고정 접점(22b)과의 접점 개극시에 이들 제1 가동 접점(24b)과 제1 고정 접점(22b)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전자력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소호 그리드(26e)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전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장착부(264e)를 가진다. 제2 소호 그리드(26e)는, 제2 고정 접점(22e) 및 제2 가동 접점(24e)의 근방에 배치되도록, 아크 커버(28)에 장착부(264e)가 장착된다. 제2 소호 그리드(26e)도, 제2 가동 접점(24e)과 제2 고정 접점(22e)과의 접점 개극시에 이들 제 2 가동 접점(24e)과 제2 고정 접점(22e)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전자력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제1 가동 접점(24b), 가동 접촉자(25),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1 고정 접촉자(23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고, 마찬가지로, 제2 소호 그리드(26e)도, 제2 가동 접점(24e), 가동 접촉자(25), 제2 고정 접점(22e), 제2 고정 접촉자(23e)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 제1 가동 접점(24b)과 제1 고정 접점(22b)과의 접점 개극시에 이들 제1 가동 접점(24b)과 제1 고정 접점(22b)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는, 도 2 중의 상측 방향(즉,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으로부터 보아 제2 가동 접점(24e) 및 제2 고정 접점(22e)과 반대 방향)으로, 전자력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 제2 가동 접점(24e)과 제2 고정 접점(22e)과의 접점 개극시에 이들 제2 가동 접점(24e)과 제2 고정 접점(22e)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는, 도 2 중의 하측 방향(즉, 제2 가동 접점(24e) 및 제2 고정 접점(22e)으로부터 보아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과 반대 방향)으로, 전자력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 구동축(27)은, 해당 구동축(27)의 내부에 접압(接壓) 스프링(29)을 가지고 가동 접촉자(25)에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구동부(1B)를 구성하는 후술의 가동 철심(34)에 접속되어 있다. 아크 커버(28)는, 절연체에 의해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구동부(1B)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대(31)와, 베이스(32)와, 고정 철심(33)과, 가동 철심(34)과, 조작 코일(35)과, 트리핑(tripping) 스프링(36)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장착대(31)는, 오목부(31a)를 도 2 중의 전측 방향에 가지는 상자 모양으로 예를 들면 절연 재료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다. 베이스(32)도, 장착대(31)와 마찬가지로, 오목부(32a)를 도 2 중의 후측 방향에 가지는 상자 모양으로 예를 들면 절연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이들 장착대(31) 및 베이스(32)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됨으로써 오목부(31a) 및 오목부(32a)에 의해서 공간이 구성되고, 해당 공간에는, 고정 철심(33), 가동 철심(34), 조작 코일(35), 및 트리핑 스프링(36)이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대(31) 및 베이스(32)는, 고정 철심(33), 가동 철심(34), 조작 코일(35), 및 트리핑 스프링(36)을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베이스(32)에는 제1 고정 접촉자(23b) 및 제2 고정 접촉자(23e)가 장착되기 때문에, 해당 베이스(32)의 성형 재료로서, 예를 들면 합성 수지에 글라스재를 첨가한 재료 등, 내열성 및 절연성이 뛰어난 절연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정 철심(33)은,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에 의해서, 도 1에서의 좌측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 형상이 전측 방향을 향해서 2개의 오목부(33a)를 가지는 E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철심(34)은, 고정 철심(33)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에 의해서, 도 1에서의 좌측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 형상이 후측 방향을 향해서 2개의 오목부(34a)를 가지는 E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점부(1A)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축(27)과 연결되어 있다. 고정 철심(33) 및 가동 철심(34)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됨으로써 오목부(33a) 및 오목부(34a)에 의해서 공간이 구성되어 있고, 조작 코일(35) 및 트리핑 스프링(36)은 해당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다. 트리핑 스프링(36)은, 가동 철심(34)을 고정 철심(33)으로부터 전후 방향에서 멀어지는 방향(즉 전측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발생하도록, 고정 철심(33)과 가동 철심(34)과의 사이에 조작 코일(35)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가동 철심(34)을 고정 철심(33)으로부터 전후 방향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발생하도록, 고정 철심(33)과 가동 철심(34)과의 사이에 조작 코일(35)을 사이에 두고 배치했지만, 조작 코일(35)을 개입시키는 구조가 아니라도, 가동 철심(34)과 고정 철심(33)을 트리핑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으면, 트리핑 스프링(36)의 배치 방법은 임의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25), 제1 고정 접촉자(23b), 및 제1 소호 그리드(26b)의 구조를, 우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25), 제1 고정 접촉자(23b), 및 제1 소호 그리드(26b)의 구조를, 도 2에서의 전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에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 3~도 5를 함께 참조하면서 더 설명한다. 또, 이들 도 3~도 5는, 3상 전원 중 1상의 전원측에 대해, 제1 가동 접점(24b)이 마련된 가동 접촉자(25), 제1 고정 접점(22b)이 마련된 제1 고정 접촉자(23b), 및 이들 근방에 마련된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지만, 해당 3상 전원 중 1상의 부하측, 다른 2상의 전원측 및 부하측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중복하는 설명을 할애한다.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 재료, 혹은, 예를 들면 구리 등의 비자성체 재료에 의해서, 균일한 판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소호 그리드(26b)는,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25)의 긴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의 연장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의 주위를 둘러싸는 3면을 가지며, 환언하면,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의 주위를 둘러싸는,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コ자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가동 접점(24b)의 가동 방향(즉,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소호 그리드(26b)는, 한 쌍의 대향면(261b 및 262b)과, 이들 한 쌍의 대향면(261b 및 262b)을 연결하는 연결면(263b)을 가지고 있다. 좌우 방향에서의 우측 방향의 대향면(261b) 및 좌우 방향에서의 좌측 방향의 대향면(262b)은,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을 좌우 방향에서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면이며, 연결면(263b)은, 가동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인 횡단 방향(즉, 상하 방향)에서 가동 접촉자(25) 및 제1 고정 접점(22b)과 대향하는 면이다. 또, 상세하게는, 도 6~도 9를 이용하여 후술하지만,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연결면(263b)의 전후 방향의 단부 중 후측 방향의 단부에, 제1 접힘부(266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접촉자(23b)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좌우 방향의 폭이 변화하는 장방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고정 접촉자(23b)의 상하 방향의 선단부 중 상측 방향의 선단부는, 좌우 방향의 폭W1으로 형성되고, 해당 선단부에는, 단자(231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접촉자(23b)의 상하 방향의 선단부 중 하측 방향의 선단부는, 좌우 방향의 폭 W2(<폭W1)로 형성되며, 해당 선단부에는, 제1 고정 접점(22b)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고정 접촉자(23b)에는, 제1 소호 그리드(26b)를 구성하는 연결면(263b)의 전후 방향의 단부 중 후측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제1 접힘부(266b)와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 단부를 향해 전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32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가동 접점(24b)의 표면과 제1 고정 접점(22b)의 표면과의 전후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를 L1으로 하고, 제1 접힘부(266b)와 돌기부(232b)와 사이의 전후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를 L2로 하면, 가동 접촉자(25)가 제1 고정 접촉자(23b)로부터 가장 이간한 상태에서의 이간 거리 L1은, 이간 거리 L2보다도 길게 된다. 또, 도 5에서 길이 L4로서 나타내는 구간은, 도 5에서는 미도시의 2개의 장공(長孔, 긴 구멍)(265b)이 형성되어 있는 구간이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서는, 가동 접촉자(25) 및 제1 소호 그리드(26b)는, 가동 접촉자(25)와 제1 소호 그리드(26b)의 대향면(261b)과의 사이의 이간 거리 d1, 가동 접촉자(25)와 제1 소호 그리드(26b)의 대향면(262b)과의 사이의 이간 거리 d2, 가동 접촉자(25)와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과의 사이의 이간 거리 d3가 각각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이들 이간 거리 d1~d3가 모두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하지 않아도 좋지만, 아크 발생시에 생기는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1 가동 접점(24b)의 소모에 편향을 없게 하기 위해서는, 이간 거리 d1 및 이간 거리 d2가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동 접촉자(25), 제1 소호 그리드(26b) 등의 제조상의 편차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는 경우, 이간 거리 d1 및 이간 거리 d2보다도 이간 거리 d3를 짧게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에 발생한 아크를 끌어들이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의 구조를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의 구조를 상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의 구조를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a의 C-C선에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 6~도 9를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에는, 가동 방향(즉,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장공(26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에는, 가동 방향에서의 단부 중 제1 고정 접점(22b)에 가까운 단부에, 횡단 방향(즉 상하 방향)에서 제1 고정 접점(22b)과 반대측으로 꺾여 접히고, 가동 방향에서 제1 가동 접점(24b)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접힘부(266b)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접힘부(266b)는 전후 방향의 길이 L3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길이 L3는 제1 접힘부(266b)가 2개의 장공(265b)을 덮지 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제1 접힘부(266b)의 전후 방향의 단부 중 전측 방향의 단부와 장공(265b)의 선단부(T2)는,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에는, 2개의 곡률부(267b 및 268b)가 제1 접힘부(266b)에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장공(265b)은,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의 중심축인 C-C선에 대해서 선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2개의 장공(265b)은, 전후 방향의 길이 L4 및 좌우 방향의 폭 W3로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면(263b)의 상측 방향의 표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의 표면까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또, 2개의 장공(265b)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지 않게 병렬로 또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2개의 장공(265b)은, 전후 방향에서 제1 고정 접촉자(23b)보다도 가동 접촉자(25)의 측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장공(265b)의 선단부(T1 및 T2) 중 전후 방향에서 제1 고정 접촉자(23b)에 가까운 쪽의 선단부(T2)는, 가동 접촉자(25)가 제1 고정 접촉자(23b)로부터 가장 이간한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25)의 선단부(25b)와 횡단 방향(즉,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장공(265b)의 선단부(T1 및 T2) 중 전후 방향에서 제1 고정 접촉자(23b)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T1)는, 도 5에 화살표 A2로 나타낸 선단부(T2)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길이 L4만큼 전측 방향으로 이간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장공(265b)은, 좌우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 z가, 2개의 장공(265b) 중 좌우 방향에서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7b)와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x로 하고, 2개의 장공(265b) 중 좌우 방향에서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8b)와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y로 한 경우에, 「z<x+y」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술하는 주전류로의 가장 좁은 개소의 폭이, 후술하는 2개의 우회 전류로 각각의 가장 좁은 개소의 폭의 합보다도 작게 되도록, 2개의 장공(265b)의 사이의 이간 거리 z가 설정되어 있다. 또, 2개의 장공(265b)은, 좌우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 z가, 제1 소호 그리드(26)의 판 두께 t로 한 경우에, 「t<z」가 되도록, 2개의 장공(265b)의 사이의 이간 거리 z가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1의 폐극(閉極) 동작에 대해 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동 접촉자(25)가 제1 고정 접촉자(23b) 및 제2 고정 접촉자(23e)로부터 가장 이간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조작 코일(35)에 구동 전류가 흘러 여자(勵磁)되면, 고정 철심(33)에 발생한 전자력에 의해, 가동 철심(34)이 트리핑 스프링(36)에 저항하여 고정 철심(33)에 흡인되고, 가동 철심(34)에 접속된 구동축(27)도 고정 철심(33)의 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구동축(27)에 연결된 가동 접촉자(25)에 마련된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2 가동 접점(24e)은, 제1 고정 접촉자(23b)에 마련된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2 고정 접촉자(23e)에 마련된 제2 고정 접점(22e)을 향해서 이동하여, 각각 접촉한다.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2 가동 접점(24e)이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2 고정 접점(22e)에 각각 접촉한 후에도, 가동 철심(34) 및 해당 가동 철심(34)에 접속된 구동축(27)은 고정 철심(33)을 향하여 이동을 계속한다. 그러나,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2 가동 접점(24e)이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2 고정 접점(22e)에 각각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25)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동을 계속하는 구동축(27)의 내벽과 가동 접촉자(25) 사이에 끼워진 접압 스프링(29)이 수축하는 것에 의해, 가동 접촉자(25)는, 가동 철심(34)의 방향, 즉 후측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2 가동 접점(24e)은,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2 고정 접점(22e)의 쪽으로 가압되고, 이들 접점 사이의 접촉 저항이 충분히 낮은 상태에서,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2 가동 접점(24e)과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2 고정 접점(22e)이 각각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고정 접촉자(23b), 제1 고정 접점(22b), 제1 가동 접점(24b), 가동 접촉자(25), 제2 가동 접점(24e), 제2 고정 접점(22e), 및 제2 고정 접촉자(23e)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어, 회로가 닫힌 상태가 된다. 즉, 회로에 전류가 흐른다.
다음으로, 실시 형태 1의 개극(開極) 동작에 대해서, 도 2에 더하여, 도 10a~도10c 및 도 11a~도 11c를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a~도 10c는,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제1 가동 접점(24b)과 제1 고정 접점(22b)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Arc)를 차단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a~도 11c는, 아크(Arc)에 기인하여 제1 소호 그리드(26b) 상에 전류로가 형성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10a 및 도 11a에 나타내는 상황→도 10b에 나타내는 상황→도 10c 및 도 11b에 나타내는 상황→도 11c에 나타내는 상황 등의 과정에서, 제1 가동 접점(24b)과 제1 고정 접점(22b)과의 사이에 발생한 아크(Arc)가 차단된다. 또, 이들 도 10a~도 10c 및 도 11a~도 11c는, 3상 전원 중 1상의 전원 측에 대해서, 제1 가동 접점(24b)이 마련된 가동 접촉자(25), 제1 고정 접점(22b)이 마련된 제1 고정 접촉자(23b), 및 이들 근방에 마련된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지만, 해당 3상 전원 중 1상의 부하측, 다른 2상의 전원측 및 부하측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중복하는 설명을 할애한다.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조작 코일(35)로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면, 조작 코일(35)의 여자가 정지되고, 고정 철심(33)과 가동 철심(34)과의 사이에 발생하고 있던 흡착력이 감쇠하여 소멸한다. 그러면, 가동 철심(34)은, 트리핑 스프링(36)의 스프링력에 의해, 고정 철심(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전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가동 철심(34)에 접속된 구동축(27)도 고정 철심(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축(27)과 연결하여 가동 접촉자(25)도 고정 철심(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2 가동 접점(24e)은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2 고정 접점(22e)으로부터 각각 떨어지게 된다.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2 가동 접점(24e)이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2 고정 접점(22e)으로부터 각각 개리를 시작하면(즉, 접점 개극시), 제1 가동 접점(24b)과 제1 고정 접점(22b)과의 사이, 및 제2 가동 접점(24e)과 제2 고정 접점(22e)과의 사이에는, 각각 고온의 아크가 생긴다. 아크는 도전성을 가지는 방전이며, 아크를 소멸시키는 것에 의해, 회로 전류를 차단하고, 개극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1a에, 가동 접촉자(25)가 제1 고정 접촉자(23b)로부터 가장 이간한 상태에서의 아크의 발생 형태, 및 이 때의 제1 소호 그리드(26b)를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나타낸다. 다만, 이 상태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제1 소호 그리드(26b)에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 개극시에 발생한 아크(Arc)를 끌어들인다. 특히,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의 주위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지며,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제1 소호 그리드(26b) 내의 자기 저항이 작다. 그 때문에, 발생한 아크(Arc)에 의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에 형성되는 자속의 대부분이 해당 제1 소호 그리드(26b)의 내부를 통과한다. 그러면, 아크(Arc)와 제1 소호 그리드(26b)와의 사이에서의 공간(즉, 제1 소호 그리드(26b)의 내측의 공간)의 자속 밀도는 그 반대측의 공간(즉,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외측의 공간)에서의 자속 밀도보다도 상대적으로 작게 되고, 아크(Arc)에는, 주로, 가동 접촉자(25)의 연장 방향에서 제1 소호 그리드(26b)를 향하는 방향(즉, 상측 방향)으로, 전자력이 작용한다. 이것이 구동력이 되어, 아크(Arc)는, 제1 소호 그리드(26b)를 향해 움직이기 시작한다.
아크(Arc)가 제1 소호 그리드(26b)를 향해 구동되면, 아크(Arc)와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과의 거리가 작아지고, 아크(Arc)에 작용하는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전자력이 더 커진다. 이것에 의해, 아크(Arc)는, 가속도적으로,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으로 끌어당겨져,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에 접촉하여, 분단이 시작된다.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에 아크(Arc)가 접촉하여 해당 아크(Arc)의 분단이 시작되면,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아크(Arc)를 통해서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제1 소호 그리드(26b) 내에 회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1 소호 그리드(26b)(특히 연결면(263b)) 상에 회로 전류의 전류로가 형성된다. 도 10b에, 이 때의 분단되기 시작한 아크(ArcM) 및 아크(ArcS)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도 10c에, 분단된 아크(ArcM) 및 아크(ArcS)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또, 교류 회로의 경우, 회로 전류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부하의 방향 및 그 반대 방향 쌍방향으로 흐르지만, 도 10a~도 10c 및 도 11a~도 11c에서는, 제1 가동 접점(24b)으로부터 제1 고정 접점(22b)의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덧붙여서, 반대 방향의 회로 전류에 대해서도, 아크(Arc)의 구동 방향은 동일하다.
도 11b에, 아크(Arc)가 분단되었을 때(도 10c)의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 상에 형성된 전류로를 나타낸다. 전류로는, 2개의 장공(265b)에 의해서 제한되고, 이들 2개의 장공(265b)의 사이가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 상의 주전류로가 되어, 아크(ArcM)의 주행로(走行路)가 된다. 이 주전류로를 흐르는 전류(G)는, 2개의 장공(265b)에 의해서 전류 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25) 또는 해당 가동 접촉자(25)에 마련된 제1 가동 접점(24b)과 제1 소호 그리드(26b)를 단락하는 아크(ArcM)를, 해당 전류(G)와는 반대 방향으로, 즉, 제1 고정 접점(22b)으로부터 보아 제1 가동 접점(24b)의 방향(즉, 전측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자력이 강화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아크(ArcM)는, 제1 소호 그리드(26b)와 제1 고정 접촉자(23b) 또는 해당 제1 고정 접촉자(23b)에 마련된 제1 고정 접점(22b)을 단락하는 아크(ArcS)와 갈라 놓여져, 아크(Arc)의 분단이 촉진된다.
아크(Arc)의 구동이 더 진행되면,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 상에는, 2개의 장공(265b)의 사이를 흐르는 전류(G)의 전류로인 주전류로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장공(265b)을 우회하여 외측을 흐르는 2개의 전류(GR) 및 전류(GL)의 전류로인 우회 전류로도 형성된다. 전류(GR)는, 2개의 장공(265b) 중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의 전측 방향의 선단부(T1), 해당 장공(265b)의 우측 방향, 및 해당 장공(265b)의 후측 방향의 선단부(T2)를 다다른다. 한편, 전류(GL)는, 2개의 장공(265b) 중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의 전측 방향의 선단부(T1), 해당 장공(265b)의 좌측 방향, 및 해당 장공(265b)의 후측 방향의 선단부(T2)를 다다른다. 아크(ArcM)가 전측 방향으로 충분히 구동되어 있지 않은 상태(즉, 도 11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전류(G)의 전류로의 길이가 짧아 전기 저항이 작기 때문에, 제1 소호 그리드(26b) 상을 흐르는 전류의 대부분은 주전류로를 흐른다. 아크(ArcM)가 전측 방향으로 충분히 구동된 상태(즉, 도 11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전류(G)의 전류로의 길이가 길어져 전기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전류(GR) 및 전류(GL)로서, 우회 전류로에도 전류가 분류되기 시작하게 된다.
전류(GR) 및 전류(GL)는,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크(ArcM)의 근방에서 전류(G)와 반대 방향의 전류 성분을 포함한다. 그 때문에, 전류(G)와 동일한 방향의 전자력, 즉 전류(G)에 의한 아크(ArcM)의 구동력과 반대 방향의 전자력을 발생시키고, 전류(G)에 의해 아크(ArcM)를 구동하는 힘과 균형되게 된다. 그러면, 아크(ArcM)는, 분단된 후,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 상에서 전측 방향으로 구동된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한편, 분단된 아크(Arc) 중, 제1 소호 그리드(26b)와 제1 고정 접촉자(23b)를 단락하는 아크(ArcS)는, 제1 소호 그리드(26b)의 후측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제1 접힘부(266b)와 제1 고정 접촉자(23b)에 형성된 돌기부(232b)와의 사이에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아크(ArcM) 및 아크(ArcS)가 분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 분단된 아크가 다시 서로 접촉하여 분단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종래 기술과 같은 사태가 생기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 1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1의 접점 개폐기에서는, コ자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소호 그리드(26b)를 구성하는 연결면(263b)에,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장공(265b)을 병렬로 형성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접점 개극시에 발생한 아크(Arc)를 제1 소호 그리드(26b)에 끌어들이고, 끌어들여진 아크(Arc)가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으로 이동했을 때에 해당 아크(Arc)를 통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을 흐르는 전류(G)의 유로를 2개의 장공(265b)의 사이에 집중시킨다. 전류(G)가 집중하는 것에 의해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 상에서 아크(Arc)가 분단되는 방향의 전자력을 강화하는 것에 의해, 아크(Arc)를 아크(ArcM) 및 아크(ArcS)로 분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아크(Arc)의 분단 후에 해당 아크(Arc)가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 상에서 구동되면, 2개의 장공(265b)의 사이를 흐르는 전류(G)에 의해서 해당 아크(Arc)를 전측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자력이 발생함과 아울러, 이들 2개의 장공(265b)을 우회하여 외측을 흐르는 전류(GR 및 GL)에 의해서 해당 아크(ArcM)를 후측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분단된 아크(ArcM)가 그 분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높은 아크(Arc) 차단 성능을 발휘하는 접점 개폐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3상 동시의 전류 차단시에는, 어느 하나의 1상(相)에서 아크 구동을 할 수 있어도, 다른 2상의 아크 구동이 불충분, 혹은, 구동이 늦어지는 경우에는, 충분한 차단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 1의 접점 개폐기에서는, 최초로 아크의 분단 및 구동이 완료된 상(相)은 그 상태로 아크를 유지할 수 있고, 다른 상에서도, 아크의 분단 및 구동이 완료되면 아크 차단이 완료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 1의 접점 개폐기는, 단극(單極)에서 높은 차단 성능을 발휘함과 아울러, 3상 동시 차단에서도 높은 차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는 균일한 판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에 형성된 2개의 장공(265b)은, 좌우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 z를, 2개의 장공(265b) 중 좌우 방향에서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7b)와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x로 하고, 2개의 장공(265b) 중 좌우 방향에서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8b)와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y로 한 경우에, 「z<x+y」가 되도록, 형성하고 있었다. 제1 소호 그리드(26b)의 판 두께가 균일하기 때문에, 이간 거리가 클수록 전류가 흐르기 쉽다. 그 때문에, 이간 거리 z를 이간 거리 x와 이간 거리 y와의 합보다도 작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아크(Arc)가 구동했을 때에 전류(GR) 및 전류(GL)가 충분히 흐르게 되어, 아크(Arc)를 보다 용이하게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소호 그리드를 프레스에 의해서 성형하면, 엣지가 남고, 해당 엣지에 아크가 교착하여, 아크가 소호 그리드 상을 이동하는 것을 방해해 버려, 나아가서는, 아크 차단 성능을 저하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그 점에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는 제1 접힘부(266b)를 가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아크 차단 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2개의 장공(265b)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이것에 의해, 아크(Arc)가 구동했을 때에 전류(GR) 및 전류(GL)를 정류(整流)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아크(Arc)의 차단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를, 제1 가동 접점(24b), 가동 접촉자(25), 제1 고정 접점(22b), 및 제1 고정 접촉자(23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즉 전기적으로 비접속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제1 가동 접점(24b)과 제1 고정 접점(22b)과의 사이에 접점 개극시에 발생한 아크(Arc)를, 가동 접촉자(25)의 선단부(25b)와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과의 사이의 아크(ArcM),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제1 접힘부(266b)와 제1 고정 접촉자(23b)의 돌기부(232b)와의 사이의 아크(ArcS)로, 분단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는 상기 실시 형태 1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소호 그리드(26b)의 연결면(263b)에 형성한 2개의 장공(265b) 사이의 주전류로의 단면적과, 이들 2개의 장공(265b)을 우회하여 외측을 흐르는 우회 전류로의 단면적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접점 개극시에 발생한 아크(Arc)를 분단 상태로 쉽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 형태 1의 제1 변형예에 대해 제1 소호 그리드(26b1)의 구조를 도 12에 나타낸다. 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1)의 연결면(263b1)에, 이른바 L자 형상으로 2개의 장공(265b1)을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2개의 장공(265b1) 중 좌우 방향에서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1)은, 해당 장공(265b1)의 전후 방향의 선단부(T1 및 T2) 중 제1 고정 접촉자(23b)(도 12에서는 미도시)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T1)에,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C11)를 가지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장공(265b1) 중 좌우 방향에서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1)은, 해당 장공(265b1)의 전후 방향의 선단부(T1 및 T2) 중 제1 고정 접촉자(23b)(도 12에서는 미도시)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에,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C12)를 가지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변형예에서는, 접점 개극시에 발생한 아크(Arc)가 제1 소호 그리드(26b1)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2개의 장공(265b1)의 사이에 형성되는 주전류로는, 많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어, 아크(Arc)의 분단을 촉진한다. 분단된 아크(ArcM)가 구동되고, 해당 아크(ArcM)가 제1 돌출부(C11) 및 제2 돌출부(C12) 사이를 전측 방향으로 통과하면, 전류로의 단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주전류로로 흐르는 전류가 저해되고, 제1 소호 그리드(26b1) 상에서 아크(ArcM)의 전측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아크(Arc)를, 아크(ArcM) 및 아크(ArcS)로 분단한 상태를 보다 유지한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덧붙여서, 제1 돌출부(C11) 및 제2 돌출부(C12)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각각 상당한다.
또, 실시 형태 1의 제2 변형예에 대해 제1 소호 그리드(26b2)의 구조를 도 13에 나타낸다. 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2)의 연결면(263b2)에, 이른바 T자 형상으로 2개의 장공(265b2)을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2개의 장공(265b2) 중 좌우 방향에서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2)은, 해당 장공(265b2)의 전후 방향의 선단부(T1 및 T2) 중 제1 고정 접촉자(23b)(도 13에서는 미도시)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T1)와, 제1 고정 접촉자(23b)로부터 가까운 쪽의 선단부(T2)와의 사이의 거의 중앙에,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C21)를 가지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장공(265b2) 중 좌우 방향에서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2)은, 해당 장공(265b2)의 전후 방향의 선단부(T1 및 T2) 중 제1 고정 접촉자(23b)(도 13에서는 미도시)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T1)와, 제1 고정 접촉자(23b)로부터 가까운 쪽의 선단부(T2)와의 사이의 거의 중앙에,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4 돌출부(C22)를 가지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변형예에 의해서도, 제1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게다가, 제2 변형예는, 제1 가동 접점(24b)(도 13에서는 미도시)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서 아크(Arc)의 분단 상태를 유지하고 싶은 경우에 바람직하고, 제1 가동 접점(24b)의 개극 거리를 크게 설계할 수 없는 경우에 유효하다. 덧붙여서, 제3 돌출부(C21) 및 제4 돌출부(C22)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각각 상당한다.
2개의 장공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요점은, 2개의 장공이 각각 1조(組)의 장변을 가지고 있고, 2개의 장공 중 일방의 장공은, 상기 일방의 장공이 가지는 1조의 장변 중 타방의 장공에 가까운 장변으로부터 해당 타방의 장공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가지며, 2개의 장공 중 타방의 장공은, 해당 타방의 장공이 가지는 1조의 장변 중 일방의 장공에 가까운 장변으로부터 상기 일방의 장공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이들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고 있으면, 상술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는 상기 실시 형태 1의 형태(변형예를 포함함)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소호 그리드(26b~26b2)에 의해 아크(Arc)가 분단되고, 그 후, 아크(ArcM)가 구동되면, 2개의 장공(265b~265b2)의 전후 방향에서 전측 방향에, 분단된 아크(ArcM)가 유지되게 된다. 분단된 아크(ArcM)를 이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이 아크 차단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실시 형태 1의 제3 변형예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3)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소호 그리드(26b3)의 연결면(263b3)에는, 2개의 장공(265b)의 선단부(T1 및 T2) 중 전후 방향에서 제1 고정 접촉자(23b)(도 14에서는 도시 생략)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T1)로부터 전후 방향에서 전측 방향으로 더 이간하는 위치에, 상하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예를 들면 반구 모양의 돌기(C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기(C31)는, 예를 들면, 2개의 장공(265b)의 전측 방향의 선단부(T1)와의 이간 거리가 이들 2개의 장공(265b) 사이의 이간 거리보다도 짧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C31)는, 전계(電界)가 높아, 전자 방출되기 쉽다. 그 때문에, 해당 위치에 돌기(C31)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분단된 아크(ArcM)를 해당 돌기(C31)에 집중시킬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는, 분단된 아크(ArcM)를 유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돌기(C31)의 형상은, 반구 모양에 한정하지 않고, 형상은 임의이다. 또, 이러한 돌기(C31)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프레스의 타발(打拔) 등에 의해서 형성된 예를 들면 둥근 구멍 등의 관통 구멍으로 해도 좋다. 타발되었을 때의 절단면에 형성된 엣지는, 돌기(C31)와 마찬가지로, 전계가 높아, 전자 방출되기 쉽다. 그 때문에, 돌기(C31)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둥근 구멍에 한정하지 않고, 각(角) 구멍 등의 관통 구멍이라도 좋다. 요점은, 엣지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는 상기 실시 형태 1의 형태(변형예를 포함함)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에, 실시 형태 1의 제4 변형예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4)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소호 그리드(26b4)는, 연결면(263b4)의 전후 방향의 단부 중 후측 방향의 단부에 상기 제1 접힘부(266b)(도 15에서는 미도시)를 가지고 있고, 해당 제1 접힘부(266b)에는, 좌우 방향에서 거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 모양의 절결(N1)이 예를 들면 타발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타발되었을 때의 절단면에 형성된 절결(N1)의 엣지는, 상술한 둥근 구멍의 엣지와 마찬가지로, 전계가 높아, 전자 방출되기 쉽다. 그 때문에, 분단된 아크(ArcS)를 해당 절결(N1)의 엣지에 집중시키는 것에 의해, 아크(ArcS)의 구동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또, 접점 개극시에 아크(Arc)와 함께 발생하는 핫 가스의 가스 빠짐이 촉진되기 때문에, 제1 접힘부(266b)를 주행하는 아크(ArcS)의 구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제4 변형예에 의하면, 제1 소호 그리드(26b4)에 접촉하여 분단된 아크(Arc) 중, 제1 소호 그리드(26b4)와 제1 고정 접촉자(23b)(도 15에서는 미도시)를 단락 하는 아크(ArcS)의 구동을 촉진하고, 차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는, 실시 형태 1(변형예를 포함함)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도 16~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5)의 구조를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5)의 구조를 상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5)의 구조를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의 구성도, 상기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의 중복하는 설명을 할애한다.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의 제1 소호 그리드(26b5)를 구성하는 대향면(261b1 및 262b1)에는, 실시 형태 1(변형예를 포함함)과는 달리, 전후 방향의 단부 중 제1 고정 접점(22b)(도 16~도 18에서는 미도시)에 가까운 쪽, 즉 후측 방향의 단부에, 제1 고정 접점(22b)을 향해 만곡하는 내측 휨부(B1 및 B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측 휨부(B1 및 B2)는, 전후 방향의 거의 중앙에서 서로 좌우 방향으로 가장 근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2의 제1 소호 그리드(26b5)를 구성하는 연결면(263b5)에는, 실시 형태 1(변형예를 포함함)과 같이 2개의 곡률부(267b 및 268b)가 제1 접힘부(266b)에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절결(N21 및 N31)이 제1 접힘부(266b)에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대향면(261b1)에는, 내측 휨부(B1)보다도 전측 방향측의 위치에 하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절결(N22)이 형성되어 있고, 대향면(262b1)에는, 내측 휨부(B2)보다도 전측 방향측의 위치에 하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절결(N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N21) 및 절결(N22), 그리고, 절결(N31) 및 절결(N32)은, 각각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소호 그리드(26b5)는, 내측 휨부(B1 및 B2)의 전후 방향의 거의 중앙 부분이 제1 고정 접점(22b)과 좌우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도,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Arc)가 구동되는 방향은, 가동 접촉자(25)(도 16~도 18에서는 미도시)의 연장 방향에서 제1 소호 그리드(26b5)를 향하는 방향(즉, 상측 방향)이다. 그렇지만,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Arc)를 반복하여 차단하는 경우에, 해당 아크(Arc)가 구동되는 방향이 단일의 방향이 되면, 제1 가동 접점(24b), 제1 고정 접점(22b), 가동 접촉자(25), 및 제1 고정 접촉자(23b)(도 16~도 18에서는 미도시)의 소모가 치우쳐 버려, 소호실의 수명이 짧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점에서,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5)가 내측 휨부(B1 및 B2)를 구비하기 때문에, 아크(Arc)를 이들 내측 휨부(B1 및 B2)에 저빈도로 끌어들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아크(Arc)가 구동되는 방향을 분산시키고, 반복하여 차단하는 경우라도, 제1 가동 접점(24b), 제1 고정 접점(22b), 가동 접촉자(25), 및 제1 고정 접촉자(23b)의 소모가 치우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호실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접점 폐극시에 흐르는 전류가 작은 경우에는,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Arc)는, 제1 소호 그리드(26b5)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차단 가능한 반면, 전류가 작음으로써 전자력이 작기 때문에, 아크(Arc)의 구동에 시간이 걸려, 결과적으로, 차단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점에서,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5)가 내측 휨부(B1 및 B2)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들 내측 휨부(B1 및 B2)가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Arc)를 재빠르게 끌어들여, 접촉함으로써, 조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폭넓은 전류역에 대해서 높은 차단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는, 실시 형태 1(변형예를 포함함)의 구성, 및 실시 형태 2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3에 대해서, 도 19~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실시 형태 3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6)의 구조를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3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6)의 구조를 상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3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6)의 구조를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 19~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3의 구성도, 상기 실시 형태 1의 구성 및 상기 실시 형태 2의 구성에 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의 중복하는 설명을 할애한다.
도 19~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3의 제1 소호 그리드(26b6)는, 실시 형태 1(변형예를 포함함) 및 실시 형태 2와 같이 제1 접힘부(266b)의 전후 방향의 길이 L3가 2개의 장공(265b)을 덮지 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연결면(263b6)의 제1 접힘부(266b1)가 전후 방향의 길이 L5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길이 L5는 제1 접힘부(266b1)가 2개의 장공(265b)의 일부를 덮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 3의 제1 접힘부(266b1)의 전후 방향의 길이 L5는, 실시 형태 1의 제1 접힘부(266b)의 전후 방향의 길이 L3와, 2개의 장공의 전후 방향의 길이 L4와의 관계가 「L3<L5<L3+L4」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 소호 그리드(26b6)는,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의 주위를 둘러싸는 4면 중 1면을 개방한 3면을 가지고 덮는 것에 의해, 접점 개극시에 이들 제1 가동 접점(24b) 및 제1 고정 접점(22b)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Arc)가 해당 제1 소호 그리드(26b6)의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크 커버(28) 등의 수지재가 아크(Arc)의 열에 의해서 손상을 받는 것을 막는다. 제1 소호 그리드(26b6)의 연결면(263b6)에 2개의 장공(265b)을 형성함으로써 아크 차단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으로, 해당 2개의 장공(265b)으로부터 뿜어 나오는 아크(Arc)에 의해 주변의 수지재가 손상되어 버리는 경우도 고려된다.
이 점에서,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연결면(263b6)의 제1 접힘부(266b1)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2개의 장공(265b)의 일부를 덮는 길이로 설정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장공(265b)으로부터 뿜어 나오는 아크(Arc)에 의해 주변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막는 기능과, 2개의 장공(265b)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아크 제어에 의해서 아크 차단 성능을 높이는 기능을 양립할 수 있게 된다.
또, 2개의 장공(265b)은, 접점 개극시에 아크(Arc)와 함께 발생하는 핫 가스를 재빠르게 배기하고, 아크(Arc)의 냉각 성능을 높이는 효과를 내기 위해서, 이 효과를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제1 접힘부(266b1)의 전후 방향의 길이 L5를, 2개의 장공(265b)의 일부를 덮는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2개의 장공(265b)의 전부를 덮는 길이로 설정해도 괜찮다. 즉, 본 실시 형태 2의 제1 접힘부(266b1)의 길이 L5를, 실시 형태 1의 제1 접힘부(266b)의 길이 L3와, 2개의 장공의 전후 방향의 길이 L4와의 관계가 「L5≥L3+L4」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해도 괜찮다. 이 경우, 연결면(263b)과 제1 접힘부(266b1)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간극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4.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는, 실시 형태 1~3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도 22~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7)의 구조를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7)의 구조를 상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7)의 구조를 우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 22~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4의 구성도, 상기 실시 형태 1~3의 구성에 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의 중복하는 설명을 할애한다.
도 22~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4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7)를 구성하는 한 쌍의 대향면(261b2 및 262b2)에,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장공(269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장공(269b)은, 전후 방향의 길이 L6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길이 L6는, 연결면(263b5)에 형성된 2개의 장공(265b)의 전후 방향의 길이 L4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장공(269b)의 전후 방향의 선단부 중 전측 방향의 선단부(T3)의 전후 방향에서의 형성 위치는, 2개의 장공(265b)의 선단부(T1)의 전후 방향에서의 형성 위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연결면(263b5)에는, 곡률부(267b 및 268b) 등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2개의 절결(N21 및 N31)이 제1 접힘부(266b)에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대향면(261b2)에는, 내측 휨부(B1)보다도 전측 방향측의 위치에 하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절결(N22)이 형성되어 있고, 대향면(262b2)에는, 내측 휨부(B2)보다도 전측 방향측의 위치에 하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절결(N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N21) 및 절결(N22), 그리고, 절결(N31) 및 절결(N32)은, 각각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Arc)를, 제1 소호 그리드(26b7)를 구성하는 한 쌍의 대향면(261b2 및 262b2)에 구동할 때, 아크 차단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실시 형태 5.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는, 실시 형태 1~4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5에 대해서, 도 25~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실시 형태 5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25), 제1 고정 접촉자(23b1), 및 제1 소호 그리드(26b8)의 구조를, 우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5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25), 제1 고정 접촉자(23b1), 및 제1 소호 그리드(26b8)의 구조를 전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실시 형태 5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25), 제1 고정 접촉자(23b1), 및 제1 소호 그리드(26b8)의 구조를, 우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8은, 실시 형태 5에 대해서, 가동 접촉자(25), 제1 고정 접촉자(23b1), 및 제1 소호 그리드(26b8)의 구조를 우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 25~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5의 구성도, 상기 실시 형태 1~4의 구성에 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의 중복하는 설명을 할애한다.
도 25~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5에서는, 제1 고정 접촉자(23b1)는, 좌우 방향으로부터 보아 이른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고정 접촉자(23b1)에는, 상하 방향에서의 단부 중 하측 방향의 단부에, 상하 방향에서의 단부 중 상측 방향의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접힘부(233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접힘부(233b)의 전후 방향에서 전측 방향의 표면에는 제1 고정 접점(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해당 제1 고정 접촉자(23b1)에 형성된 제1 고정 접점(22b)과 가동 접촉자(25)에 형성된 제1 가동 접점(24b)이 서로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소호 그리드(26b8)의 연결면(263b7)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장공(265b3)이 전후 방향의 길이 L7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장공(265b3)의 전후 방향의 길이 L7은, 2개의 장공(265b3)의 선단부(T1 및 T2) 중 전후 방향에서 제1 고정 접촉자(23b1)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T1)가, 가동 접촉자(25)가 제1 고정 접촉자(23b1)로부터 가장 이간한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25)의 선단부(25b)와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됨과 아울러, 2개의 장공(265b)의 선단부(T1 및 T2) 중 전후 방향에서 제1 고정 접촉자(23b)에 가까운 쪽의 선단부(T2)가, 제1 고정 접점(22b)과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연결면(263b7)의 제1 접힘부(266b1)는 전후 방향의 길이 L5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길이 L5는 제1 접힘부(266b1)가 2개의 장공(265b)의 일부를 덮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Arc)가 제1 소호 그리드(26b8)에 접촉한 후의 아크의 구동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실시 형태 6.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는, 실시 형태 1~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개폐기의 실시 형태 6에 대해서,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실시 형태 6에 대해서, 제1 소호 그리드(26b9)의 구조를, 도 1에서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6의 구성도, 상기 실시 형태 1~5의 구성에 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의 중복하는 설명을 할애한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6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9)의 연결면(263b8)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3개의 장공(265b4)이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장공(265b4)은,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면(263b8)의 상측 방향의 표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의 표면까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3개의 장공(265b4)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지 않게 병렬로 또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3개의 장공(265b4) 중 중앙에 위치하는 장공(265b4)은, 그 중심이 중심축 D-D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3개의 장공(265b4) 중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장공(265b4)은, 중심축 D-D에 대해서 선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제1 소호 그리드(26b9)에서는, 3개의 장공(265b4) 사이 중 일방이 주전류로가 되고, 3개의 장공(265b4) 사이 중 타방과 3개의 장공(265b4)을 우회하는 외측이 우회 전류로가 된다. 또, 도 29에서는, 편의상, 중앙의 장공과 좌측의 장공의 좌우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 z1 및 중앙의 장공과 우측의 장공의 좌우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 z2를 거의 동일하게 도시하고 있지만, 중앙의 장공과 좌측의 장공과의 사이가 주전류로가 되는 경우를 위해서는, 3개의 장공(265b) 중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4)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7b)와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x1으로 하고, 2개의 장공(265b) 중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4)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8b)와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y1로 한 경우에, 「z1<z2+x1+y1」가 되도록, 3개의 장공(265b4)을 형성한다. 중앙의 장공과 우측의 장공과의 사이가 주전류로가 되는 경우를 위해서는, 3개의 장공(265b) 중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4)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7b)와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x1으로 하고, 2개의 장공(265b) 중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4)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8b)와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y1으로 한 경우에, 「z2<z1+x1+y1」가 되도록, 3개의 장공(265b4)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접점 개극시에는 발생하는 아크의 차단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 1~4(변형예를 포함함)에서는, 제1 고정 접촉자(23b)에는, 제1 소호 그리드(26b~26b7)를 구성하는 연결면(263b~263b6)의 전후 방향의 단부 중 후측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제1 접힘부(266b~266b1)와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 단부를 향해 전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32b)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형태 5의 제1 고정 접촉자(23b1)와 같이, 돌기부(232b)를 할애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 1~5(변형예를 포함함)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26b8)를 구성하는 연결면(263b~263b7)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장공(265b~265b3)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장공의 수에 대해서는 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형태 6과 마찬가지로, 제1 소호 그리드(26b9)의 연결면(263b8)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3개의 장공(265b4)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3개로도 한정하지 않고, 4개 이상이라도 좋다. 즉, 적어도 2개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복수의 장공이 짝수인 경우, 실시 형태 1~5와 같이, 복수의 장공을,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의 위치에 형성하면 좋고, 장공이 홀수인 경우, 실시 형태 6과 같이, 복수의 장공 중 중앙에 위치하는 장공을 그 중심이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형성하고, 복수의 장공 중 다른 장공을, 중심축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형성하면 좋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변형예를 포함함)에서는, 2개의 장공(265b~265b4)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었지만, 서로 평행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의 장공(265b~265b3)은, 예를 들면, 하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이른바 ハ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변형예를 포함함)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b~26b9)는, 연결면(263b~263b8)의 가동 방향에서의 단부 중 제1 고정 접점(22b)에 가까운 단부에, 횡단 방향에서 제1 고정 접점(22b)과 반대측으로 꺾여 접혀 가동 방향에서 제1 가동 접점(24b)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접힘부(266b~266b1)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접힘부(266b~266b1)에 대해서는, 장공(265b~265b4)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장공(265b~265b4)을 덮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원래, 제1 접힘부(266b~266b1)를 할애한 구조로 해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변형예를 포함함)에서는, 연결면(263b~263b8)의 판 두께가 균일했다. 그 때문에, 2개의 장공(265b~265b3)은, 좌우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 z가, 2개의 장공(265b~265b3) 중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265b3)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7b) 혹은 절결(N21)과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x로 하고, 2개의 장공(265b~265b3) 중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265b3)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8b) 혹은 절결(N31)과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y로 한 경우에, 「z<x+y」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혹은, 3개의 장공(265b4)은, 중앙의 장공과 좌측의 장공의 좌우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 z1 및 중앙의 장공과 우측의 장공의 좌우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 z2가, 3개의 장공(265b4) 중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4)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7b)와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x1으로 하고, 3개의 장공(265b4) 중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4)의 선단부(T2)와 곡률부(268b)와의 사이의 최단의 이간 거리 y1로 한 경우에, 「z1<z2+x1+y1」가 되도록, 혹은, 「z2<z1+x1+y2」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곡률부(267b 및 268b)나 절결(N21 및 N31)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으면, 연결면(263b~263b9)의 판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곡률부(267b 및 268b)나 절결(N21 및 N31)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2개의 장공(265b~265b3)을, 좌우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 z가, 2개의 장공(265b~265b3) 중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265b3)을 구성하는 좌측의 장변과 연결면(263b) 및 대향면(262b)의 경계와의 거리 x'(도시 생략)으로 하고, 2개의 장공(265b~265b3) 중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265b3)을 구성하는 우측의 장변과 연결면(263b) 및 대향면(261b)의 경계선과의 거리 y'(도시 생략)로 한 경우에, 「z<x'+y'」가 되도록, 형성하면 좋다. 마찬가지로, 3개의 장공(265b4)을, 중앙의 장공과 좌측의 장공의 좌우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 z1 및 중앙의 장공과 우측의 장공의 좌우 방향에서의 이간 거리 z2가, 3개의 장공(265b4) 중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4)을 구성하는 좌측의 장변과 연결면(263b8) 및 대향면(262b)의 경계와의 거리 x1'(도시 생략)으로 하고, 3개의 장공(265b4) 중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장공(265b4)을 구성하는 우측의 장변과 연결면(263b8) 및 대향면(261b)의 경계와의 거리 y1'(도시 생략)으로 한 경우에, 「z1<z2+x1'+y1'」가 되도록, 혹은, 「z2<z1+x1'+y2'」가 되도록, 형성하면 좋다.
또, 연결면(263b~263b9)의 판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2개의 장공(265b~265b3)의 사이에 형성되는 주전류로에서의 최소의 단면적이, 2개의 장공(265b~265b3)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우회 전류로 각각에서의 최소의 단면적의 총합보다도 작게 되도록, 2개의 장공(265b~265b3)의 사이의 이간 거리 z를 설정하면 좋다. 혹은, 3개의 장공(265b4)의 사이의 어느 일방에 형성되는 주전류로에서의 최소의 단면적의 총합이, 3개의 장공(265b4)의 사이의 타방에 형성되는 전류로에서의 최소의 단면적과 3개의 장공(265b4)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우회 전류로에서의 최소의 단면적과의 총합보다도 작게 되도록, 3개의 장공(265b4)의 사이의 이간 거리 z1 및 z2를 설정하면 좋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변형예를 포함함)에서는, 제1 소호 그리드(26~26b9)는, 연결면(263b~263b8)과, 해당 연결면(263b~263b8)에 연결되는 타면으로서 한 쌍의 대향면(261b~262b2)을 가지고 있었다. 즉, 연결면과 해당 연결면에 연결되는 타면과의 이루는 각(角)이 90도인,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コ자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コ자 모양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에 예를 들면, 연결면과 해당 연결면에 연결되는 타면과의 이루는 각이 둔각(예를 들면 90도보다도 크고 135도보다도 작은 각도)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괜찮다. 이 형상에 의해서도, コ자 모양의 형상에 준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변형예를 포함함)에서는, 제2상 소호실(21b)의 전원측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제2상 소호실(21b)의 부하측, 제1상 소호실(21a)의 전원측 및 부하측, 제3상 소호실(21c)의 전원측 및 부하측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은, 해당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 실시 형태를 임의로 조합시키거나, 실시 형태를 적절히, 변형, 생략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접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분단을 촉진하고, 높은 차단 성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접점 개폐기의 실현에 바람직하다.
1 : 접점 개폐기 1A : 접점부
1B : 구동부 21a : 제1상 소호실
21b : 제2상 소호실 21c : 제3상 소호실
22b : 제1 고정 접점 22e : 제2 고정 접점
23a~23c : 제1 고정 접촉자 23d~23f : 제2 고정 접촉자
24b 제1 가동 접점 24e : 제2 가동 접점
25 : 가동 접촉자 25a : 스프링 받이부
25b : 선단부 26~26b9 : 제1 소호 그리드
26e : 제2 소호 그리드 27 : 구동축
28 : 아크 커버 29 : 접압 스프링
31 : 장착대 31a : 오목부
32 : 베이스 32a : 오목부
33 : 고정 철심 33a : 오목부
34 : 가동 철심 34a : 오목부
35 : 조작 코일 36 : 트리핑 스프링
231a~231f : 단자 232b : 돌기부
233b : 제2 접힘부 261b~262b2 : 대향면(타면)
263b~263b8 : 연결면 264b, 264e : 장착부
265b~265b4 : 장공 266b, 266b1 : 제1 접힘부
267b, 268b : 곡률부 269b : 장공
A1~A2 : 화살표 Arc~ArcS : 아크
B1, B2 : 내측 휨부 C11 : 제1 돌출부
C12 : 제2 돌출부 C21 : 제3 돌출부
C22 : 제4 돌출부 C31 : 돌기
G, GL, GR : 전류 N1~N32 : 절결
T1~T3 : 선단부

Claims (21)

  1. 고정 접점이 마련되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비접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가동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이 접촉 및 비접촉하는 방향인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가동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의 주위를 둘러싸는 3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과의 접점 개극시(開極時)에 발생하는 아크를 분단하는 소호(消弧) 그리드를 구비하며,
    상기 소호 그리드의 상기 3면은,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인 횡단 방향에서 상기 가동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과 대향하는 연결면과, 상기 연결면에 연결되는 타면(他面)을 가지며,
    상기 연결면에는,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장공(長孔)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개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장공은,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보다도 상기 가동 접촉자의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장공의 선단부 중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에 가까운 쪽의 선단부는,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장 이간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 접촉자의 선단부와 상기 횡단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장공의 선단부 중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에 먼 쪽의 선단부는,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장 이간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 접촉자의 선단부와 상기 횡단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장공의 선단부 중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에 가까운 쪽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 접촉자의 선단부와 상기 횡단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장공은, 상기 연결면의 상기 가동 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장공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점 개극시에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가 상기 연결면에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여 상기 연결면의 상기 2개의 장공의 사이에 형성되는 주전류로(主電流路)에서의 최소의 단면적이, 상기 아크에 기인하여 상기 연결면의 상기 2개의 장공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우회 전류로에서의 각각의 최소의 단면적의 총합보다도 작게 되도록, 상기 2개의 장공의 사이의 이간 거리가 설정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의 판 두께는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전류로의 가장 좁은 개소의 폭은, 상기 복수의 우회 전류로 각각의 가장 좁은 개소의 폭의 합보다도 작게 되도록, 상기 2개의 장공의 사이의 이간 거리가 설정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장공 중 일방의 장공은, 상기 일방의 장공이 가지는 1조(組)의 장변(長邊) 중 타방의 장공에 가까운 장변으로부터 상기 타방의 장공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장공 중 타방의 장공은, 상기 타방의 장공이 가지는 1조(組)의 장변 중 일방의 장공에 가까운 장변으로부터 상기 일방의 장공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장공은, 상기 일방의 장공의 선단부 중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와 상기 일방의 장공의 선단부 중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에 가까운 쪽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돌출부를 가지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방의 장공은, 상기 타방의 장공의 선단부 중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와 상기 타방의 장공의 선단부 중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에 가까운 쪽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2 돌출부를 가지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장공은, 상기 일방의 장공의 선단부 중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에, 상기 제1 돌출부를 가지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방의 장공은, 상기 타방의 장공의 선단부 중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에, 상기 제2 돌출부를 가지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에는, 상기 2개의 장공의 선단부 중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더 이간하는 위치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에는, 상기 2개의 장공의 선단부 중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먼 쪽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더 이간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 그리드는, 상기 연결면의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의 단부 중 상기 고정 접점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상기 횡단 방향에서 상기 고정 접점과 반대측으로 꺾어 접혀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상기 가동 접점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접힘부를 가지는 접점 개폐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는, 상기 2개의 장공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는 접점 개폐기.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17.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촉자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접힘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를 가지는 접점 개폐기.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에는,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에서의 단부 중 상기 고정 접점에 가까운 단부에, 상기 고정 접점을 향해 만곡하는 내측 휨부가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에는, 상기 가동 접점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 및 상기 고정 접촉자는, 상기 소호 그리드와 전기적으로 비접속으로 되어 있는 접점 개폐기.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은, 상기 가동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인 접점 개폐기.
KR1020217006287A 2018-10-17 2018-10-17 접점 개폐기 KR202100304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8595 WO2020079768A1 (ja) 2018-10-17 2018-10-17 接点開閉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477A true KR20210030477A (ko) 2021-03-17

Family

ID=6693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287A KR20210030477A (ko) 2018-10-17 2018-10-17 접점 개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31879B1 (ko)
KR (1) KR20210030477A (ko)
CN (1) CN112840429B (ko)
WO (1) WO20200797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001B1 (ko) * 2019-10-17 2021-07-08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3223A (ja) 1982-12-03 198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
JPH09231854A (ja) 1996-02-23 1997-09-05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8772B2 (ja) * 1977-12-17 1983-12-27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接点保護装置
JPS59117018A (ja) * 1982-12-24 1984-07-0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開閉器
JPS5987715A (ja) * 1982-11-10 198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
JPS59121715A (ja) * 1982-12-28 1984-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
JPS60119033A (ja) * 1983-12-01 1985-06-26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
US4612426A (en) * 1985-08-23 1986-09-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Arc chute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JP3166890B2 (ja) * 1994-05-24 2001-05-14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消弧装置
CN203617174U (zh) * 2013-11-26 2014-05-28 德力西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接触器的灭弧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3223A (ja) 1982-12-03 198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
JPH09231854A (ja) 1996-02-23 1997-09-05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40429B (zh) 2022-06-07
WO2020079768A1 (ja) 2020-04-23
CN112840429A (zh) 2021-05-25
JP6531879B1 (ja) 2019-06-19
JPWO2020079768A1 (ja)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068B1 (ko) 접점 장치
EP1768152B1 (en) Contact device
KR100963738B1 (ko) 회로 차단기
US4393287A (en) Arc suppressing means for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s
JP7179206B2 (ja) 開閉器
EP0155707B1 (en) Power schwitchgear device
KR101953292B1 (ko) 양방향 스위치 접점 장치
KR20210030477A (ko) 접점 개폐기
US6491532B1 (en) Arc suppressed electrical connectors
US4539451A (en) Switch
CN106469623B (zh) 电路断路器
CN112955993B (zh) 触点装置和电磁继电器
US11404231B2 (en) Contact poin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US5014027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EP1414057B1 (en) Air circuit breaker
US20070045235A1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n arc-quenching unit
JPWO2019150613A1 (ja) 回路遮断器及び回路遮断方法
EP0124621B1 (en) Switch
WO2014073026A1 (ja) 開閉器
WO2023139911A1 (ja) 電磁接触器
CN109755079A (zh) 断路器的灭弧装置
US11854758B2 (en) Contactor
CN218274338U (zh) 接触器的触头灭弧系统以及接触器
US20230197384A1 (en) Switching device
CN115410862A (zh) 接触器的灭弧系统以及接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