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347A - 사용자 장비의 포지셔닝을 위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와 사용자 장비에 의한 송신을 위한 업링크 기준 신호의 연관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비의 포지셔닝을 위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와 사용자 장비에 의한 송신을 위한 업링크 기준 신호의 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347A
KR20210030347A KR1020217000530A KR20217000530A KR20210030347A KR 20210030347 A KR20210030347 A KR 20210030347A KR 1020217000530 A KR1020217000530 A KR 1020217000530A KR 20217000530 A KR20217000530 A KR 20217000530A KR 20210030347 A KR20210030347 A KR 20210030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s
operate
network entity
base station
asso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드로스 마노라코스
소니 아카라카란
조셉 비나미라 소리아가
타오 루오
나가 부샨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49Determining position using measurements made by a non-stationary device other than the device whose position is being deter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BS에 의한 UE로의 DL RS(들)의 송신을 위한 제1 세트의 자원들을 스케줄링한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BS들로의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의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DL RS(들)와 UL RS(들)를 연관시킨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DL RS(들)와 UL RS(들)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UE에 송신한다. UE는 적어도 하나의 BS로부터 DL RS(들)와 함께 표시를 수신한다. UE는, 수신된 표시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L RS(들)를 하나 이상의 BS들에 송신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장비의 포지셔닝을 위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와 사용자 장비에 의한 송신을 위한 업링크 기준 신호의 연관
[0001] 본 특허 출원은, 35 U.S.C. § 119 하에서, "ASSOCIATING A DOWNLINK REFERENCE SIGNAL FOR POSITIONING OF A USER EQUIPMENT WITH AN UPLINK REFERENCE SIGNAL FOR TRANSMISSION BY THE USER EQUIPMENT"이란 명칭으로 2018년 7월 10일에 그리스 특허 및 상표청에 출원된 그리스 특허 출원 번호 제20180100312호, 그리고 "ASSOCIATING A DOWNLINK REFERENCE SIGNAL FOR POSITIONING OF A USER EQUIPMENT WITH AN UPLINK REFERENCE SIGNAL FOR TRANSMISSION BY THE USER EQUIPMENTS"이란 명칭으로 2019년 6월 12일에 미국 특허 및 상표청에 출원된 미국 정식 특허 출원 번호 제16/439,53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 둘 모두는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이로써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0002]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비의 포지셔닝(positioning)을 위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와 사용자 장비에 의한 송신을 위한 업링크 기준 신호를 연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1 세대 아날로그 무선 전화 서비스(1G), 2 세대(2G) 디지털 무선 전화 서비스(임시 2.5G 및 2.75G 네트워크들을 포함함), 3 세대(3G) 고속 데이터 인터넷-가능 무선 서비스 및 4 세대(4G) 서비스(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WiMax)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대들을 통해 개발되었다. 셀룰러 및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시스템들을 포함하여, 많은 상이한 타입들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알려진 셀룰러 시스템들의 예들은 셀룰러 AMPS(Analog Advanced Mobile Phone System),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access) 변형 등에 기반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0004] 5 세대(5G) 모바일 표준은 다른 개선들 중에서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들, 더 많은 연결 수들 및 더 우수한 커버리지를 필요로 한다.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얼라이언스에 따라, 5G 표준은 초당 수십 메가비트의 데이터 레이트들을 수만의 사용자들 각각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되는데, 초당 1 기가비트를 사무실 층의 수십의 작업자들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넓은 센서 배치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십만의 동시 연결들이 지원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5G 모바일 통신들의 스펙트럼 효율은 현재 4G 표준과 비교하여 상당히 향상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표준들과 비교하여, 시그널링 효율들이 향상되어야 하고 레이턴시가 실질적으로 감소되어야 한다.
[0005] 5G와 같은 일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매우 높은 대역들 그리고 심지어 EHF(extremely-high frequency) 대역들, 이를테면, mmW(millimeter wave) 주파수 대역들(일반적으로, 1 mm 내지 10 mm, 또는 30 내지 300 GHz의 파장들)에서의 동작을 지원한다. 이들 EHF(extremely high frequency)들은 최대 6 Gbps(gigabits per second)와 같은 매우 높은 스루풋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매우 높은 주파수들 또는 EHF(extremely high frequency)들에서의 무선 통신에 대한 난제들 중 하나는 고주파수에 기인하여 상당한 전파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파장은 감소할 수 있고 전파 손실도 또한 증가할 수 있다. mmW 주파수 대역들에서, 전파 손실은 심각할 수 있다. 예컨대, 전파 손실은 2.4 GHz 대역 또는 5 GHz 대역 중 어느 하나에서 관측된 전파 손실에 비해 22 내지 27 dB 정도일 수 있다.
[0006] 전파 손실은 또한, 임의의 대역의 MIMO(Multiple Input-Multiple Output) 및 대량 MIMO 시스템들에서 이슈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MIMO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MIMO 및 대량 MIMO 둘 모두를 지칭할 것이다. MIMO는, 다중경로 전파를 활용하기 위해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함으로써 라디오 링크의 용량을 배가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이, LOS(line of sight) 경로일 수 있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최단 경로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이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이 송신기로부터 확산되고 수신기로 향하는 도중에 언덕들, 건물들, 물 등과 같은 다른 객체들로부터 반사되므로 다수의 다른 경로들을 통해서도 이동하기 때문에, 다중경로 전파가 발생한다. MIMO 시스템의 송신기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동일한 라디오 채널 상에서 동일한 RF 신호들을 수신기에 각각 송신하도록 이들 안테나들을 지향시킴으로써, 다중경로 전파를 활용한다. 수신기에는 또한, 송신기에 의해 전송된 RF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는, 라디오 채널에 튜닝된 다수의 안테나들이 장착된다. RF 신호들이 수신기에 도착할 때(일부 RF 신호들은 다중경로 전파에 기인하여 지연될 수 있음), 수신기는 이 RF 신호들을 단일 RF 신호로 결합할 수 있다. 송신기가 단일 RF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보다 더 낮은 전력 레벨에서 각각의 RF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파 손실이 또한, MIMO 시스템에서 이슈이다.
[0007] mmW 대역 시스템들 및 MIMO 시스템들에서 전파 손실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송신기들은 빔포밍을 사용하여 RF 신호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다. 특히, 송신 빔포밍은 특정 방향으로 RF 신호를 방출하기 위한 기법인 반면, 수신 빔포밍은 특정 방향을 따라 수신기에 도착하는 RF 신호들의 수신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이다.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은 서로 함께 또는 별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빔포밍"에 대한 언급들은 이하에서 송신 빔포밍, 수신 빔포밍 또는 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송신기가 RF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할 때, 이 송신기는 고정 안테나 패턴 또는 안테나의 방사 패턴에 의해 결정되는 거의 모든 방향들로 RF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빔포밍을 이용하여, 송신기는 주어진 수신기가 송신기에 대해 어디에 위치되는지를 결정하고, 그 특정 방향으로 더 강한 다운링크 RF 신호를 투사하여서, (데이터 레이트 측면에서) 더 빠르고 그리고 더 강한 RF 신호를 수신기에 제공한다. 송신할 때 RF 신호의 방향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송신기는 각각의 안테나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RF 신호의 위상 및 상대 진폭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기는, 안테나들을 실제로 움직이지 않고, 상이한 방향들의 지점에 "스티어링"될 수 있는 RF 파들의 빔을 생성하는 안테나들의 어레이("페이즈드(phased) 어레이" 또는 "안테나 어레이"로 또한 지칭됨)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하지 않는 방향들로는 방사선을 억제하기 위해 별개의 안테나들로부터의 라디오 파들을 소거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는 방사선을 증가시키기 위해 별개의 안테나들로부터의 라디오 파들이 합쳐지도록, RF 전류는 올바른 위상 관계로 개별적인 안테나들에 피딩된다.
[0008] 지상 무선 네트워크들에서의 포지션 추정들을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2 개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예컨대, 상이한 기지국들, 또는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 상이한 송신 지점들(예컨대, 안테나들))로부터 수신된 기준 RF 신호들 사이의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RSTD(reference signal timing difference)를 측정 및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별개의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2개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RTT(round trip propagation time)의 계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2개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측정되는 그 자신의 레인징 신호(들)를 송신할 수 있다.
[0009] 실시예는 네트워크 엔티티(network entity)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방법은, UE(user equipment)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positioning procedure)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UE로의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의 송신을 위한 제1 세트의 자원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의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의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를 연관시키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 RS 사이의 연관성(association)의 표시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10] 다른 실시예는 UE(user equipment)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방법은,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제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표시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UL R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11] 다른 실시예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관한 것이며, 네트워크 엔티티는, UE(user equipment)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UE로의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의 송신을 위한 제1 세트의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의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의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를 연관시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 RS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UE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2] 다른 실시예는 UE(user equipment)에 관한 것이며, UE는,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제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수신된 표시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UL RS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3] 다른 실시예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관한 것이며, 네트워크 엔티티는 메모리,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UE(user equipment)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UE로의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의 송신을 위한 제1 세트의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고,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의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의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를 연관시키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 RS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0014] 다른 실시예는 UE(user equipment)에 관한 것이며, UE는 메모리,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제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를 수신하고,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수신된 표시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UL RS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0015] 다른 실시예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며,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실행될 때, 네트워크 엔티티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명령들은, 네트워크 엔티티로 하여금, UE(user equipment)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UE로의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의 송신을 위한 제1 세트의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네트워크 엔티티로 하여금,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의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의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를 연관시키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네트워크 엔티티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 RS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UE에 송신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한다.
[0016] 다른 실시예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며,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UE(user equipment)에 의해 실행될 때, UE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명령들은, UE로 하여금,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제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UE로 하여금,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UE로 하여금, 수신된 표시에 대한 응답으로,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UL RS를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송신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한다.
[0017]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 및 이 양상들의 많은 수반되는 장점들은, 제한이 아닌 오직 예시를 위해서만 제시되는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이들이 더욱 잘 이해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더욱 완전히 인식될 것이다.
[0018] 도 1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0019] 도 2a 및 도 2b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들을 예시한다.
[0020] 도 3a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예시적인 기지국 및 예시적인 UE(user equipment)를 예시한다.
[0021] 도 3b는 예시적인 서버를 예시한다.
[0022]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0023]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3개의 셀들과 UE 사이에 구현된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포지션 방식을 예시한다.
[0024] 도 6-10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들을 예시한다.
[0025]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의 포지셔닝을 위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와 사용자 장비에 의한 송신을 위한 업링크 기준 신호를 연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기지국,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 등)는, UE(user equipment)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의한 UE로의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의 송신을 위한 제1 세트의 자원들을 스케줄링한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의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의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를 연관시키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 RS 간의 연관성의 표시를 UE에 송신한다. UE는, 제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함께 표시를 수신한다. UE는, 수신된 표시에 대한 응답으로,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UL RS를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송신한다.
[0026]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은 예시적 양상들에 관한 특정 예들을 보여주기 위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서 개시된다. 대안적인 양상들은, 본 개시내용을 읽을 때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구성 및 실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원에서 개시되는 양상들의 관련 세부사항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0027] "예시적인" 것이란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양상이 반드시 다른 양상들보다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양상들"이란 용어는, 모든 양상들이 논의되는 특징, 장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0028]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양상들만을 설명하며, 본원에서 개시되는 임의의 양상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단수형들은 복수형들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당업자들은 추가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포함하는", "구비한다", 그리고/또는 "구비하는"이란 용어들이 진술된 특징들, 인티저(integer)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인티저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0029] 추가로, 다양한 양상들이 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액션들의 시퀀스들의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액션들이 특정 회로들(예컨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되는 액션들의 이들 시퀀스들은 컴퓨터 명령들의 대응하는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임의의 형태의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내에서 전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명령들은, 실행 시, 연관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능성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들 전부는 청구되는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게다가, 본원에서 설명되는 양상들 각각에 대해, 임의의 그러한 양상들의 대응하는 형태는, 예컨대, 설명되는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또는 이러한 설명되는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구조적 컴포넌트들로서 본원에서 설명될 수 있다.
[0030]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또는 "UE"),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모바일 단말", "모바일 스테이션", "핸드세트", "액세스 단말", "가입자 디바이스", "가입자 단말", "가입자 스테이션", "단말"이란 용어들 및 그 변형들은 무선 통신 및/또는 내비게이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이동식 또는 고정식 디바이스를 상호교환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용어들은, 이를테면, 단거리(short-range) 무선, 적외선, 유선 연결 또는 다른 연결에 의해 무선 통신 및/또는 내비게이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을, 위성 신호 수신, 보조 데이터 수신, 및/또는 포지션-관련 프로세싱이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지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지에 관계없이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게다가, 이들 용어들은, RAN(radio access network)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및 유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모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UE들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 및 다른 UE들과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이를테면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예컨대, IEEE 802.11 등에 기반함) 등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에 연결하는 다른 메커니즘들이 또한, UE들에 대해 가능하다. UE들은 PC(printed circuit) 카드들, 컴팩트 플래시 디바이스들, 외부 또는 내부 모뎀들, 무선 또는 유선 전화들, 스마트폰들, 태블릿들, 추적 디바이스들, 자산 태그들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하는 다수의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UE들이 RAN에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 채널(예컨대, 역방향 트래픽 채널, 역방향 제어 채널, 액세스 채널 등)로 불린다. RAN이 UE들에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링크 채널(예컨대, 페이징 채널, 제어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 등)로 불린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TCH(traffic channel)란 용어는 업링크/역방향 또는 다운링크/순방향 트래픽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0031]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예시한다.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다양한 기지국들(102) 및 다양한 UE들(104)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들(102)은 매크로 셀들(고전력 셀룰러 기지국들) 및/또는 소형 셀들(저전력 셀룰러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매크로 셀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eNB(Evolved NodeB)들,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5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gNB(gNodeB)들 또는 이 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형 셀들은 펨토셀들, 피코셀들, 마이크로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32] 기지국들(102)은 집합적으로 RAN(Radio Access Network)을 형성하고, 백홀 링크들을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또는 NGC(Next Generation Core)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다른 기능들에 부가하여, 기지국들(102)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라디오 채널 암호화 및 암호해독, 무결성 보호, 헤더 압축, 이동성 제어 기능들(예컨대, 핸드오버, 이중 연결성), 셀간 간섭 조정, 연결 셋업 및 해제, 부하 균형,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들에 대한 분배, NAS 노드 선택, 동기화, RAN 공유,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가입자 및 장비 트레이스, RIM(RAN information management), 페이징, 포지셔닝 및 경고 메시지들의 전달 중 하나 이상에 관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들(102)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는 백홀 링크들(134)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예컨대, EPC/NGC를 통함) 서로 통신할 수 있다.
[0033] 기지국들(102)은 UE들(104)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102) 각각은 개개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양상에서, 도 1에 도시되지 않지만,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110)은 복수(예컨대, 3개)의 셀들 또는 섹터들로 세분될 수 있는데, 각각의 셀은 기지국(102)의 단일 안테나 또는 안테나들의 어레이에 대응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셀" 또는 "섹터"란 용어는 맥락에 따라 기지국(102)의 복수의 셀들 중 하나의 셀 또는 기지국(102) 자체에 대응할 수 있다.
[0034] 이웃 매크로 셀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110)이 (예컨대, 핸드오버 구역에서)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지만,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110) 중 일부는 더 큰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에 의해 실질적으로 겹쳐질 수 있다. 예컨대, 소형 셀 기지국(102')이, 하나 이상의 매크로 셀 기지국들(102)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과 실질적으로 겹치는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을 가질 수 있다. 소형 셀 및 매크로 셀들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는 이종 네트워크로서 알려질 수 있다. 이종 네트워크는 또한, CSG(closed subscriber group)로서 알려진 제약된 그룹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HeNB(Home eNB)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들(102)과 UE들(104) 사이의 통신 링크들(120)은, UE(104)로부터 기지국(102)으로의 업링크(UL; uplink)(역방향 링크로 또한 지칭됨) 송신들 및/또는 기지국(102)으로부터 UE(104)로의 다운링크(DL; downlink)(순방향 링크로 또한 지칭됨) 송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링크들(120)은,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또는 송신 다이버시티를 포함하여, MIMO 안테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링크들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어들의 할당은 DL 및 UL에 대하여 비대칭적일 수 있다(예컨대, UL에 대해서보다 DL에 대해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캐리어들이 할당될 수 있음).
[0035]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예컨대, 5 GHz)에서 통신 링크들(154)을 통해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STA(station)들(152)과 통신하는 WLAN AP(access point)(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통신할 때, WLAN STA들(152) 및/또는 WLAN AP(150)는, 채널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통신하기 전에 CCA(clear channel assessment)를 수행할 수 있다.
[0036] 소형 셀 기지국(102')은 면허 및/또는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 있다.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때, 소형 셀 기지국(102')은 LTE 또는 5G 기술을 이용할 수 있고, WLAN AP(150)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5 GHz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다.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LTE/5G를 이용하는 소형 셀 기지국(102')은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커버리지를 부스팅(boost)하고 그리고/또는 이 액세스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비면허 스펙트럼의 LTE는 LTE-U(LTE-unlicensed), LAA(licensed assisted access) 또는 MulteFire로 지칭될 수 있다.
[0037]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UE(182)와 통신하는 mmW 주파수들 및/또는 니어(near) mmW 주파수들에서 동작할 수 있는 mmW 기지국(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EHF(extremely high frequency)는 전자기 스펙트럼에서 RF의 일부이다. EHF는 30 GHz 내지 300 GHz의 범위, 그리고 1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파장을 갖는다. 이 대역에서의 라디오 파들은 밀리미터 파로 지칭될 수 있다. 니어 mmW는 100 밀리미터의 파장을 갖는 3 GHz의 주파수까지 아래로 확장될 수 있다. 센티미터 파로 또한 지칭되는 SHF(super high frequency) 대역은 3 GHz와 30 GHz 사이에서 확장된다. mmW/니어 mmW 라디오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들은 높은 경로 손실 및 비교적 단거리를 갖는다. mmW 기지국(180)은 극도로 높은 경로 손실 및 단거리를 보상하기 위해 UE(182)에 빔포밍(184)을 활용할 수 있다. 추가로, 대안적인 구성들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02)이 또한, mmW 또는 니어 mmW, 그리고 빔포밍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이에 따라서, 전술된 예시들은 단지 예들이며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0038]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D2D(device-to-device) P2P(peer-to-peer)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들에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UE(190)와 같은 하나 이상의 UE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UE(190)는 기지국들(102) 중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된 UE들(104) 중 하나의 UE와의 D2D P2P 링크(192)(예컨대, 이를 통해, UE(190)는 셀룰러 연결성을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 및 WLAN AP(150)에 연결된 WLAN STA(152)와의 D2D P2P 링크(194)(이를 통해, UE(190)는 WLAN-기반 인터넷 연결성을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를 갖는다. 예에서, D2D P2P 링크들(192-194)은 LTE-D(LTE Direct), WiFi-D(WiFi Direct), 블루투스 등과 같은 임의의 잘 알려진 D2D RAT(radio access technology)으로 지원될 수 있다.
[0039]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도 2a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200)를 예시한다. 예컨대, NGC(Next Generation Core)(210)는, 코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동작하는 사용자 평면 기능들(212)(예컨대, UE 게이트웨이 기능,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 IP 라우팅 등) 및 제어 평면 기능들(214)(예컨대, UE 등록, 인증, 네트워크 액세스, 게이트웨이 선택 등)로서 기능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NG-U)(213) 및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NG-C)(215)는 gNB(222)를 NGC(210)에 연결하고, 구체적으로는, 제어 평면 기능들(214) 및 사용자 평면 기능들(212)에 연결한다. 부가적인 구성에서, eNB(224)는 또한, NGC(210)에 연결될 수 있는데, NG-C(215)를 통해 제어 평면 기능들(214)에 연결되고 NG-U(213)를 통해 사용자 평면 기능들(212)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eNB(224)는 백홀 연결(223)을 통해 gNB(222)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일부 구성들에서, 뉴(New) RAN(220)이 하나 이상의 gNB들(222)만을 가질 수 있는 한편, 다른 구성들은 eNB들(224) 및 gNB들(222) 양자 모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gNB(222) 또는 eNB(224) 중 어느 하나는 UE들(240)(예컨대, 도 1에 도시된 UE들 중 임의의 UE, 이를테면, UE들(104), UE(182), UE(190) 등)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양상은, UE들(240)에 위치 보조를 제공하기 위해 NGC(210)와 통신할 수 있는 위치 서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서버(230)는 복수의 구조적으로 별개의 서버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 단일 서버에 대응할 수 있다. 위치 서버(230)는, 코어 네트워크인 NGC(210)를 통해 그리고/또는 인터넷(예시되지 않음)을 통해 위치 서버(230)에 연결될 수 있는 UE들(240)에 대한 하나 이상의 위치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위치 서버(230)는 코어 네트워크의 컴포넌트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코어 네트워크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
[0040]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도 2b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250)를 예시한다. 예컨대, EPC(Evolved Packet Core)(260)는, 코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동작하는 사용자 평면 기능들인 P/SGW(Packet Data Network Gateway/Serving Gateway)(262) 및 제어 평면 기능들인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264)로서 기능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S1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S1-U)(263) 및 S1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S1-MME)(265)는 eNB(224)를 EPC(260)에 연결하고, 구체적으로는, MME(264) 및 P/SGW(262)에 연결한다. 부가적인 구성에서, gNB(222)는 또한, EPC(260)에 연결될 수 있는데, S1-MME(265)를 통해 MME(264)에 연결되고 S1-U(263)를 통해 P/SGW(262)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eNB(224)는, EPC(260)에 대한 gNB 직접 연결성이 있든 없든, 백홀 연결(223)을 통해 gNB(222)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일부 구성들에서, 뉴 RAN(220)이 하나 이상의 gNB들(222)만을 가질 수 있는 한편, 다른 구성들은 eNB들(224) 및 gNB들(222) 양자 모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gNB(222) 또는 eNB(224) 중 어느 하나는 UE들(240)(예컨대, 도 1에 도시된 UE들 중 임의의 UE, 이를테면, UE들(104), UE(182), UE(190) 등)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양상은, UE들(240)에 위치 보조를 제공하기 위해 EPC(260)와 통신할 수 있는 위치 서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서버(230)는 복수의 구조적으로 별개의 서버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 단일 서버에 대응할 수 있다. 위치 서버(230)는, 코어 네트워크인 EPC(260)를 통해 그리고/또는 인터넷(예시되지 않음)을 통해 위치 서버(230)에 연결될 수 있는 UE들(240)에 대한 하나 이상의 위치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41]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도 3a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예시적인 UE(350)와 통신하는 예시적인 기지국(310)(예컨대, eNB, gNB, 소형 셀 AP, WLAN AP 등)을 예시한다. DL에서, 코어 네트워크(NGC(210)/EPC(260))로부터의 IP 패킷들이 제어기/프로세서(375)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375)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을 위한 기능성을 구현한다. 제어기/프로세서(375)는, 시스템 정보(예컨대, MIB, SIB들)의 브로드캐스팅, RRC 연결 제어(예컨대, RRC 연결 페이징, RRC 연결 설정, RRC 연결 수정 및 RRC 연결 해제), RAT간 이동성, 및 UE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구성과 연관된 RRC 계층 기능성; 헤더 압축/압축해제, 보안(암호화, 암호해독, 무결성 보호, 무결성 검증) 및 핸드오버 지원 기능들과 연관된 PDCP 계층 기능성; 상위 계층 PDU(packet data unit)들의 전송, ARQ를 통한 에러 정정, RLC SDU(service data unit)들의 연접(concatenation), 세그먼트화 및 리어셈블리, RLC 데이터 PDU들의 재-세그먼트화, 및 RLC 데이터 PDU들의 재순서화와 연관된 RLC 계층 기능성; 및 논리 채널들과 전송 채널들 사이의 맵핑, 스케줄링 정보 보고, 에러 정정, 우선순위 핸들링 및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와 연관된 MAC 계층 기능성을 제공한다.
[0042] TX(transmit) 프로세서(316) 및 RX(receive) 프로세서(370)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과 연관된 계층-1 기능성을 구현한다. PHY(physical) 계층을 포함하는 계층-1은 전송 채널들 상에서의 에러 검출, 전송 채널들의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코딩/디코딩, 인터리빙, 레이트 매칭, 물리 채널들 상으로의 맵핑, 물리 채널들의 변조/복조 및 MIMO 안테나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다. TX 프로세서(316)는 다양한 변조 방식들(예컨대,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shift keying), M-PSK(M-phase-shift keying),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에 기반한 신호 성상도(constellation)들에 대한 맵핑을 핸들링한다. 그런 다음, 코딩 및 변조된 심볼들은 병렬 스트림들로 분할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각각의 스트림이 OFDM 서브캐리어에 맵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준 신호(예컨대, 파일럿)와 멀티플렉싱되며, 그런 다음,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어, 시간 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운반하는 물리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OFDM 스트림은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을 생성하도록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다. 코딩 및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할 뿐만 아니라, 공간 프로세싱을 위해, 채널 추정기(374)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채널 추정치는, 기준 신호 및/또는 UE(350)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별개의 송신기(318TX)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안테나들(320)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송신기(318TX)는 송신을 위해 개개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 있다.
[0043] UE(350)에서, 각각의 수신기(354RX)는 자신의 개개의 안테나(352)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354RX)는 RF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이 정보를 RX 프로세서(356)에 제공한다. TX 프로세서(368) 및 RX 프로세서(356)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과 연관된 계층-1 기능성을 구현한다. RX 프로세서(356)는 UE(350)를 목적지로 하는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원하기 위해 정보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UE(350)를 목적지로 하면, 이러한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은 RX 프로세서(356)에 의해 단일 OFDM 심볼 스트림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RX 프로세서(356)는 FFT(Fast Fourier Transform)을 사용하여 시간-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OFDM 심볼 스트림을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한 별개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 및 기준 신호는, 기지국(310)에 의해 송신된 가장 가능성 있는 신호 성상도 지점들을 결정함으로써 복원 및 복조된다. 이들 연판정(soft decision)들은, 채널 추정기(358)에 의해 컴퓨팅된 채널 추정치들에 기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연판정들은, 물리 채널 상에서 기지국(310)에 의해 원래 송신되었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그런 다음,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계층-3 및 계층-2 기능성을 구현하는 제어기/프로세서(359)에 제공된다.
[0044] 제어기/프로세서(359)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60)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360)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 있다. UL에서, 제어기/프로세서(359)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암호해독, 헤더 압축해제 및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IP 패킷들을 복원한다. 제어기/프로세서(359)는 또한,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0045] 기지국(310)에 의한 DL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제어기/프로세서(359)는, 시스템 정보(예컨대, MIB, SIB들) 획득, RRC 연결들 및 측정 보고와 연관된 RRC 계층 기능성; 헤더 압축/압축해제 및 보안(암호화, 암호해독, 무결성 보호, 무결성 검증)과 연관된 PDCP 계층 기능성; 상위 계층 PDU들의 전송, ARQ를 통한 에러 정정, RLC SDU들의 연접, 세그먼트화 및 리어셈블리, RLC 데이터 PDU들의 재-세그먼트화, 및 RLC 데이터 PDU들의 재순서화와 연관된 RLC 계층 기능성; 및 논리 채널들과 전송 채널들 사이의 맵핑, TB들 상으로의 MAC SDU들의 멀티플렉싱, TB들로부터의 MAC SDU들의 디멀티플렉싱, 스케줄링 정보 보고, HARQ를 통한 에러 정정, 우선순위 핸들링 및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와 연관된 MAC 계층 기능성을 제공한다.
[0046] 기지국(310)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또는 기준 신호로부터 채널 추정기(358)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치들은, 적절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을 선택하기 위해 그리고 공간 프로세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TX 프로세서(368)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TX 프로세서(368)에 의해 생성된 공간 스트림들은 별개의 송신기들(354TX)을 통해 상이한 안테나(352)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송신기(354TX)는 송신을 위해 개개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 있다.
[0047] UL 송신은, UE(350)에서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지국(310)에서 프로세싱된다. 각각의 수신기(318RX)는 자신의 개개의 안테나(32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318RX)는 RF 캐리어 상에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이 정보를 RX 프로세서(370)에 제공한다.
[0048] 제어기/프로세서(375)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76)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376)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 있다. UL에서, 제어기/프로세서(375)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암호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UE(350)로부터의 IP 패킷들을 복원한다. 제어기/프로세서(375)로부터의 IP 패킷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375)는 또한,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0049] 도 3b는 예시적인 서버(300B)를 예시한다. 예에서, 서버(300B)는 위에서 설명된 위치 서버(230)의 일 예시적인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b에서, 서버(300B)는 휘발성 메모리(302B) 및 대용량 비휘발성 메모리, 이를테면, 디스크 드라이브(303B)에 커플링된 프로세서(301B)를 포함한다. 서버(300B)는 또한, 프로세서(301B)에 커플링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CD(compact disc) 또는 DVD 디스크 드라이브(306B)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B)는 또한, 다른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컴퓨터들 및 서버들에 커플링되거나 또는 인터넷에 커플링된 근거리 통신망과 같은 네트워크(307B)와의 데이터 연결들을 설정하기 위해 프로세서(301B)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304B)을 포함할 수 있다.
[0050]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400)을 예시한다. 도 4의 예에서, 도 1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UE(예컨대, UE들(104), UE(182), UE(190) 등)에 대응할 수 있는 UE(404)는, 자신의 포지션의 추정치를 계산하려고 시도하고 있거나, 또는 자신의 포지션의 추정치를 계산하기 위해 다른 엔티티(예컨대,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 다른 UE, 위치 서버, 제3자 애플리케이션 등)를 보조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UE(404)는, RF 신호들, 그리고 RF 신호들의 변조 및 정보 패킷들의 교환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도 1의 기지국들(102 또는 180) 및/또는 WLAN AP(150)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는 복수의 기지국들(402a-402d)(집합적으로, 기지국들(402))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교환된 RF 신호들로부터 상이한 타입들의 정보를 추출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레이아웃(즉, 기지국 위치들, 기하학적 구조 등)을 활용함으로써, UE(404)는 미리 정의된 기준 좌표계에서의 자신의 포지션을 결정하거나 또는 자신의 포지션의 결정을 보조할 수 있다. 양상에서, UE(404)는 2 차원 좌표계를 사용하여 자신의 포지션을 특정할 수 있지만; 본원에서 개시되는 양상들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으며, 여분의 차원이 요구되면, 3 차원 좌표계를 사용하여 포지션들을 결정하는 것에 또한 적용가능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4가 하나의 UE(404) 및 4 개의 기지국들(402)을 예시하지만, 인지될 바와 같이, 더 많은 UE들(404), 그리고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기지국들(402)이 있을 수 있다.
[0051] 포지션 추정치들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들(402)은, 기준 RF 신호들(예컨대,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동기화 신호들 등)을 자신들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UE들(404)에 브로드캐스트하여, UE(404)가 네트워크 노드들의 쌍들 사이의 기준 RF 신호 타이밍 차이들(예컨대, OTDOA 또는 RSTD)을 측정하는 것, 및/또는 UE(404)와 송신 기지국들(402) 사이의 LOS 또는 최단 라디오 경로를 가장 잘 촉발시키는(excite) 빔을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OS/최단 경로 빔(들)을 식별하는 것이 관심사인데, 그 이유는 이들 빔들이 후속하여 한 쌍의 기지국들(402) 사이의 OTDOA 측정들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빔들을 식별하는 것이 빔 방향에 기반하여 일부 포지셔닝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들 빔들은 후속하여, 왕복 시간 추정 기반 방법들과 같이 정확한 ToA를 필요로 하는 다른 포지션 추정 방법들에 사용될 수 있다.
[0052]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402), 기지국(402)의 셀, 원격 라디오 헤드, 기지국(402)의 안테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기지국(402)의 안테나들의 위치들은, 기지국(402) 자체 또는 기준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위치와 떨어져 있다. 추가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 또는 UE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0053] 위치 서버(예컨대, 위치 서버(230))는, 기지국들(402)의 하나 이상의 이웃 셀들의 식별 및 각각의 이웃 셀에 의해 송신되는 기준 RF 신호들에 대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UE(404)에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조 데이터는 기지국들(402) 자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예컨대,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오버헤드 메시지들 등에서) 발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404)는, 보조 데이터의 사용 없이, 기지국들(402) 자체의 이웃 셀들을 검출할 수 있다. UE(404)는 (예컨대, 제공되는 경우, 보조 데이터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네트워크 노드들의 쌍들로부터 수신된 기준 RF 신호들 사이의 RSTD들 및/또는 개별적인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의 OTDOA를 측정하고 (선택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이들 측정들 및 측정된 네트워크 노드들(즉, UE(404)가 측정한 기준 RF 신호들을 송신한 기지국(들)(402) 또는 안테나(들))의 알려진 위치들을 사용하여, UE(404) 또는 위치 서버는, UE(404)와 측정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여 이로써 UE(404)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0054] 본원에서 "포지션 추정치"란 용어는 지리적(예컨대, 위도, 경도 및 가능하면 고도를 포함할 수 있음) 또는 도시적(예컨대, 거리 주소, 건물 지정, 또는 건물 또는 거리 주소 내의 또는 인근의 정확한 지점 또는 영역, 이를테면, 건물에 대한 특정 입구, 건물의 특정 방 또는 스위트, 또는 랜드마크, 이를테면, 도시 광장을 포함할 수 있음)일 수 있는, UE(404)에 대한 포지션의 추정치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포지션 추정치는 또한, "위치", "포지션", "픽스(fix)", "포지션 픽스", "위치 픽스", "위치 추정치", "픽스 추정치"로 또는 어떤 다른 용어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위치 추정치를 획득하는 수단은, 일반적으로 "포지셔닝", “위치결정" 또는 “포지션 픽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포지션 추정치를 획득하기 위한 특정 솔루션은 "포지션 솔루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포지션 솔루션의 일부로서 포지션 추정치를 획득하기 위한 특정 방법은 "포지션 방법"으로 또는 "포지셔닝 방법"으로 지칭될 수 있다.
[0055] "기지국"이란 용어는, 단일 물리적 송신 지점, 또는 병치될(co-located) 수 있거나 또는 병치되지 않을 수 있는 다수의 물리적 송신 지점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이란 용어가 단일 물리적 송신 지점을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송신 지점은 기지국(예컨대, 기지국(402))의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안테나일 수 있다. "기지국"이란 용어가 다수의 병치된 물리적 송신 지점들을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송신 지점들은 (예컨대, MIMO 시스템에서와 같이, 또는 기지국이 빔포밍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안테나들의 어레이일 수 있다. "기지국"이란 용어가 다수의 병치되지 않은 물리적 송신 지점들을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송신 지점들은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전송 매체를 통해 공통 소스에 연결된,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들의 네트워크) 또는 RRH(Remote Radio Head)(서빙 기지국에 연결된 원격 기지국)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병치되지 않은 물리적 송신 지점들은 UE(예컨대, UE(404))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서빙 기지국, 및 이웃 기지국 ― 이 이웃 기지국의 기준 RF 신호들을 UE가 측정하고 있음 ― 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는 기지국들(402a 및 402b)이 DAS/RRH(420)를 형성하는 양상을 예시한다. 예컨대, 기지국(402a)은 UE(404)의 서빙 기지국일 수 있고, 기지국(402b)은 UE(404)의 이웃 기지국일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402b)은 기지국(402a)의 RRH일 수 있다. 기지국들(402a 및 402b)은 유선 또는 무선 링크(422)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0056] 네트워크 노드들의 쌍들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들 사이의 OTDOA들 및/또는 RSTD들을 사용하여 UE(404)의 포지션을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UE(404)는 UE(404)와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기지국(402), 안테나) 사이의 LOS 경로(또는 LOS 경로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최단 NLOS 경로)를 통해 수신된 기준 RF 신호들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RF 신호들이,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LOS/최단 경로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이 RF 신호들이 송신기로부터 확산되고 수신기로 향하는 도중에 언덕들, 건물들, 물 등과 같은 다른 객체들로부터 반사되기 때문에 다수의 다른 경로들을 통해서도 이동한다. 따라서, 도 4는 기지국들(402)과 UE(404) 사이의 다수의 LOS 경로들(410) 및 다수의 NLOS 경로들(412)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기지국(402a)이 LOS 경로(410a) 및 NLOS 경로(412a)를 통해 송신하는 것, 기지국(402b)이 LOS 경로(410b) 및 2 개의 NLOS 경로들(412b)을 통해 송신하는 것, 기지국(402c)이 LOS 경로(410c) 및 NLOS 경로(412c)를 통해 송신하는 것, 그리고 기지국(402d)이 2 개의 NLOS 경로들(412d)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NLOS 경로(412)는 일부 객체(430)(예컨대, 건물)로부터 반사한다. 인지될 바와 같이, 기지국(402)에 의해 송신되는 각각의 LOS 경로(410) 및 NLOS 경로(412)는 (예컨대, MIMO 시스템에서와 같이) 기지국(402)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의해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402)의 동일한 안테나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이로써, RF 신호의 전파를 예시함). 추가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LOS 경로"란 용어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최단 경로를 지칭하며, 실제 LOS 경로가 아닌 최단 NLOS 경로일 수 있다.
[0057] 양상에서, 기지국들(402) 중 하나 이상은 RF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빔포밍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해당 경우에, 이용가능한 빔들 중 일부는 LOS 경로들(410)을 따라 송신된 RF 신호를 포커싱할 수 있는 한편(예컨대, 빔들은 LOS 경로들을 따라 가장 높은 안테나 이득을 생성함), 다른 이용가능한 빔들은 NLOS 경로들(412)을 따라 송신된 RF 신호를 포커싱할 수 있다. 특정 경로를 따라 높은 이득을 갖고 이에 따라 해당 경로를 따라 RF 신호를 포커싱하는 빔은 여전히, 다른 경로들을 따라 전파되는 일부 RF 신호를 가질 수 있으며; 해당 RF 신호의 강도는 자연스럽게, 그러한 다른 경로들을 따르는 빔 이득에 따라 좌우된다. "RF 신호"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기파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송신기는 단일 "RF 신호" 또는 다수의 "RF 신호들"을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신기는 다중경로 채널들을 통한 RF 신호들의 전파 특성들에 기인하여 각각의 송신된 RF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RF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0058] 기지국(402)이 RF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빔포밍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402)과 UE(404)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관심 빔들은 (예컨대, 방향성 간섭 신호의 존재 시 SINR 또는 RSRP(Received Signal Received Power)에 의해 표시되는) 가장 높은 신호 강도로 UE(404)에 도착하는 RF 신호들을 운반하는 빔들일 것인 반면, 포지션 추정을 위한 관심 빔들은 최단 경로 또는 LOS 경로(예컨대, LOS 경로(410))를 여기시키는 RF 신호들을 운반하는 빔들일 것이다. 일부 주파수 대역들에서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테나 시스템들의 경우, 이들은 동일한 빔들일 것이다. 그러나, mmW와 같은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서, 통상적으로 많은 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이 좁은 송신 빔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경우, 이들은 동일한 빔이 아닐 수 있다.
[0059] 도 4가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송신들의 측면에서 설명되었지만, UE가 MIMO 동작 및/또는 빔포밍이 가능한 경우, 도 4에 대해 설명된 다운링크 RF 신호 경로들이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들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또한, 빔포밍이 일반적으로 송신 빔포밍의 맥락에서 위에서 설명되지만, 수신 빔포밍이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서 위에 언급된 송신 빔포밍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0060] 5G에서, 도 4에 대해 설명된 RF 신호들은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NRS(Navigation Reference Signal)들(또는 포지셔닝 RS들)에 대응할 수 있다. NRS들은, UE의 정확한 위치 측정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레인징 신호들이다. 일반적으로, NRS들은 다중경로(즉, NLOS 경로들)에 강건하고, 레인징(예컨대, 의사거리 측정들), AoA(Angle of Arrival) 측정들, 속도 추정 및 내비게이션을 위한 도플러 측정들 등에 적절해야 한다. NRS들은 균일하고 독립적인 신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NRS들은 CP(Cycling Prefix), 안테나 포트 수들 및 네이티브 심볼 길이와 독립적이도록 서비스 다중화에 의해 지원될 수 있으며, NRS에 전용화된 정의된 NRS '엔벨로프(envelope)’ 내에서 송신될 수 있다(예컨대, NRS와 CRS/TRS, PSS/SSS, PBCH 등의 어떠한 혼합도 없음). 이로써, NRS는, 이웃 셀들 사이에 높은 레벨의 직교성 또는 격리(예컨대, 시간-주파수 직교성, 코드 격리 및/또는 안테나-패턴 격리)(예컨대, 이는 원근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NRS들의 송신 및/또는 수신은 UE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0061] 예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NRS들(대안적으로 포지셔닝을 위해 아래에서 UL 또는 DL RS들로 참조됨)은 ToA(Time of Arrival) 측정들을 결정하기 위해 측정된다. 예에서, ToA 측정들은 UE와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송신 위치 지점들 사이의 RTT(round trip propagation time) 추정 절차의 부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예컨대, 삼변 측량과 같은 다변측정을 통해) UE 위치 추정치를 도출하기 위해, 계산된 RTT(들)가 사용된다. 예컨대, RTT의 절반은, UE와 특정 기지국 간의 전파 지연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0062] TDOA 방식을 사용하는 UE 포지셔닝의 수학적 모델은 이제 도 5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지션(500)에서의 UE는 이웃 셀들(eNB2 및 eNB3)의 이웃인 서빙 셀(eNB1)에 의해 서빙된다. 셀들(eNB1, eNB2 및 eNB3)로부터 UE로의 전파 지연(또는 송신 시간)은 t1, t2 및 t3으로 표기되며, 도 5는 이러한 측정들에서 일정 크기의 측정 불확실성을 반영한다.
[0063] 도 5를 참조하면, 셀(i)로부터의 최단 경로(예컨대, LOS 경로)에 대한 UE에서의 ToA Ti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τi : NodeB i로부터의 송신 시간, NLOS 송신 시간 및 UE 타이밍 측정 잡음의 합,
·Ti: 포지셔닝 RS 또는 NRS의 추정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음,
·Di: 위치(q i)의 셀(i)과 위치(p)의 UE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
·c: 공기 중의 빛의 속도 299700 km/s,
·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셀 위치들(q i)이 알려진다고 가정.
[0064] 유클리드 거리(D)(또는 라인 거리)는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추가로 컴퓨팅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D: 지구 표면의 2개의 지점들 사이의 거리,
·R: 지구의 반경(예컨대, 6371 km),
·
Figure pct00003
: 각각 지점 1의 위도(라디안 단위) 및 지점 2의 위도(라디안 단위),
·
Figure pct00004
: 각각 지점 1의 경도(라디안 단위) 및 지점 2의 경도(라디안 단위).
OTDOA가 다운링크 맥락에서 도 5에 예시되지만, UE-발신 송신들에 의존하는 U-TDOA(uplink OTDOA)가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포지셔닝 방식들은 총괄적으로 TDOA 포지셔닝 방식들로 지칭될 수 있다. U-TDOA에서, UE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업링크 레인징 신호들은, 2D(two dimensional) 포지션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3개의 기지국들에 의해 측정된다.
[0066] 하나의 예시적인 OTDOA 구현에서, 여러 기지국들로부터의 TDOA들은 UE에서 측정되고, 그런 다음, UE는 측정된 TDOA들을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UE의 서빙 셀, 위치 서버 등)에 다시 보고한다. 다운링크 네트워크 계획을 통해, 네트워크는, UE가 OTDOA 포지셔닝 절차를 위해 충분한 수의 기지국들을 검출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 예에서, OTDOA 포지셔닝 절차는, (예컨대, 전력 등을 절약하기 위해) UE가 그 자신의 포지션 추정치를 도출하지 않고서, 네트워크가 UE에 대한 포지션 추정치를 도출하는 것을 UE가 돕기 때문에, UE-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오히려, LTE-특정 예에서, PRS가 규칙적으로(예컨대,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UE는 PRS를 측정하여 RSTD 정보를 컴퓨팅하고, UE는 RSTD 정보를 다시 네트워크에 보고한다. 그런 다음, 네트워크는, 보고된 RSTD 정보에 기반하여, UE에 대한 위치 추정치를 도출한다. 다른 예에서, OTDOA 포지셔닝 절차는 UE-보조 대신에 UE-기반일 수 있으며, 이로써 UE는 자신의 서빙 셀 및 2개 이상의 이웃 셀들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측정하여, 개개의 TDOA 측정들을 결정하고, 그 후에, UE는 그 자신의 포지션 추정치를 도출한다.
[0067] 반대로, U-TDOA는 업링크 채널에서 작동하고, 네트워크(예컨대, eNB들의 그룹)는 TDOA 측정들을 수행한다. 예에서, U-TDOA 포지셔닝 방식들은 네트워크-보조될 수 있으며, 이로써 UE로부터의 업링크 송신들은 다수의 eNB들에서 매우 민감한 수신기들에 의해 수신되고 측정되고, 이들은, UE의 포지션 추정치를 도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TDOA들을 결정할 것이고, 그 후에, TDOA 측정들이 UE에 다시 보고되고, 그런 다음 UE는 UE에 대한 포지션 추정치를 도출한다. 대안적으로, U-TDOA 포지셔닝 방식들은 네트워크-기반일 수 있으며, 이로써 네트워크(예컨대, 위치 서버, eNB들 중 하나 등)는, TDOA가 측정되는 업링크 신호들의 송신을 넘어서 어떠한 UE 상호작용도 없이 UE에 대한 포지션 추정치를 도출한다.
[0068] 인지될 바와 같이, OTDOA-기반 포지셔닝 방식들은 DL(downlink) 심볼들 상에서 송신된 RS들의 측정치들에 의존하는 반면, U-TDOA는 UL(uplink) 심볼들 상에서 송신되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들과 같은 RS들의 측정치들에 의존한다. TDD(Time Division Duplex)에 따라 동작하는 네트워크들에 대해, 트래픽은 일반적으로 다운링크에서 많아서(heavy), 대부분의 심볼들이 다운링크 트래픽에 할당된다. 따라서, 정확한 U-TDOA 포지셔닝 절차를 위한 UE에 의한 RS들의 송신을 위해 불충분한 수의 UL 심볼들이 예약될 수 있다. U-TDOA 포지셔닝 절차들이 기회주의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트리거링되는 특정 예에서, 특정 BWP(bandwidth part) 또는 CC(component carrier)의 현재 슬롯에서 DL 심볼들만 또는 UL 심볼들만이 이용 가능한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DL RS를 포함하는 슬롯은 UL 송신들에 할당된 어떠한 심볼들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일 예에서, 포지셔닝 DL RS는, (예컨대, 오버헤드 감소를 위해) 단일 SCS(Subcarrier Spacing)를 갖는 단지 하나의 BWP에 대해 구성될 수 있는 반면, UE는 일부 다른 BWP 상에서 송신하고 있다. 이 경우에, UL RS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BWP를 변경하는 것은 비교적으로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어서, 포지셔닝을 위해 DL RS만이 사용된다. 포지셔닝을 위해 DL RS 및 UL RS 둘 모두를 사용하는 것은, 더 정확한 포지셔닝 추정들(예컨대, 더 양호한 AoD(Angle of Departure)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0069]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포지셔닝을 위해 DL RS와 UL RS 사이의 연관성을 설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UE가 자원 맵핑 규칙에 따라 UE에서 결정될 수 있는 자원들 상에서 하나 이상의 UL RS들을 송신하는 것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연관성이 UE에 표시될 수 있다.
[0070]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라 DL RS와 UL RS 사이의 연관성을 전달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600)를 예시한다. 도 6의 프로세스(600)는 네트워크 엔티티(605)에 의해 수행된다. 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605)는 서빙 eNB(예컨대, gNB(222, 224, 310)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605)는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대응할 수 있다.
[0071] 602에서, 네트워크 엔티티(605)(예컨대, 제어기/프로세서(359), 프로세서(301B) 등)는,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UE로의 적어도 하나의 DL RS의 송신을 위한 제1 세트의 자원들을 스케줄링한다.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포지션 절차와 연관된 단일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UE에 의해 측정될 하나 이상의 DL RS들을 각각 송신하는 포지셔닝 절차와 연관된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1 세트의 자원들은 제1 BWP, 제1 CC, 제1 주파수 범위(FR1), 제1 SCS, 및 제1 시간 거동 특징(time behavior characteristic)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시간 거동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DL RS의 주기적 송신에 대응할 수 있어서, 네트워크 엔티티(605)가 602에서 일련의 주기적인 DL RS 송신들을 스케줄링한다. 이 경우에, 주기적인 DL RS들은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프로토콜에 따라 스케줄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시간 거동 특징은 하나의 특정 DL RS의 비주기적 또는 기회주의적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
[0072] 604에서, 네트워크 엔티티(605)(예컨대, 제어기/프로세서(359), 프로세서(301B) 등)는,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의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의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를 연관시킨다. 예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은 UL RS를 측정하는 포지셔닝 절차와 연관된 단일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UL RS를 각각 측정하는 포지셔닝 절차와 연관된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602에서 DL RS(들)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된 적어도 하나의 BS는, UL RS(들)를 UE로부터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BS들과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BS 및 하나 이상의 BS는 상이한 그룹들의 BS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단일 기지국은 제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DL RS를 송신할 수 있는 반면에, 다수의 기지국들은 UE로부터 송신된 UL RS(들)를 모니터링한다.
[0073] 606에서, 네트워크 엔티티(605)(예컨대, 안테나(들)(320), 송신기(들)(318) 및/또는 TX 프로세서(316),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304B))는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 RS 간의 연관성의 표시를 UE에 송신한다. 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605)가 기지국(예컨대, 서빙 eNB)에 대응하는 경우, 네트워크 엔티티(605)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DL RS를 UE에 송신한다. 예에서, 표시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DL RS의 RRC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0074] 여전히 도 6의 606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DL RS가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다수의 DL RS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606에서 송신된 표시는, 이러한 다수의 DL RS들 중에서 임의의 특정 DL RS 또는 그것의 연관된 자원들을 반드시 식별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표시는, 포지셔닝을 위한 임의의 DL RS의 존재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단일 비트만큼 간단할 수 있다. 따라서, UL RS(들)와 DL RS(들)의 연관성은, 특정 DL RS 또는 DL RS-특정 자원(들)의 명시적 지정(express designation)을 통해 연관성이 표시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서, 포지셔닝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를 운반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원들과 UL RS(들) 간의 연관성으로서 더 광범위하게 특징으로 할 수 있다.
[0075] 604-606을 참조하면, 예에서, UL RS(들)의 송신을 위한 제2 세트의 자원들은, DL RS(들)가 송신되는 제1 세트의 자원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세트의 자원들은 제1 BWP 또는 제2 BWP, 제1 CC 또는 제2 CC, 제1 주파수 범위(FR1) 또는 제2 주파수 범위(FR2), 제1 SCS 또는 제2 SCS, 제1 시간 거동 특징 또는 제2 시간 거동 특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76] 604-606을 참조하면, 일 예에서, 연관성은 DL RS들 모두보다 더 적은 DL RS에 대해 선택적 방식으로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컨대, DL RS가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예에서, UL RS는, UE에 대한 더 정확한 포지션 추정치가 요구되는 경우에만, 지정된 DL RS들과 연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정된 DL RS들은, 도 10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606에서 연관성을 표시하도록 (예컨대, 특정 비트 설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연관성은, 도 8-9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모든 포지셔닝-관련 DL RS 송신들에 대해 미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연관성은, 포지셔닝-관련 DL RS 송신(들)에 앞서 UE에 표시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UE는 각각의 포지셔닝-관련 DL RS를 UL RS와 연관된 것으로 해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0077]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라, DL RS와 UL RS 사이의 연관성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UL RS의 송신을 트리거링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700)를 예시한다. 도 7의 프로세스(700)는 UE(705)에 의해 수행되며, 이는 위에서 언급된 UE들(예컨대, UE 240, 350 등)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 있다.
[0078] 702에서, UE(705)(예컨대, 안테나(들)(352), 수신기(들)(354) 및/또는 RX 프로세서(356))는, UE(705)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예컨대, 기지국(310))으로부터, 제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를 수신한다.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포지션 절차와 연관된 단일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UE(705)에 의해 측정될 하나 이상의 DL RS들을 각각 송신하는 포지셔닝 절차와 연관된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79] 704에서, UE(705)(예컨대, 안테나(들)(352), 수신기(들)(354), 및/또는 RX 프로세서(356))는,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도 6의 네트워크 엔티티(605))로부터, UE(705)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수신한다. 예에서, 표시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는, DL RS(들)를 송신하는 기지국(들)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704에서 표시는 702에서 DL RS(들)의 송신에 피기-백(piggy-back)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 및 기지국(들)은 상이한 엔티티들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가 기지국(들) 중 하나에 대응할지라도, 704에서의 표시는 또한 702에서의 DL RS(들)의 송신과 분리되어 유지될 수 있다. 예에서, 표시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DL RS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UL RS의 RRC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0080] 706에서, UE(705)(예컨대, 안테나(들) 352, 송신기(들) 354 및/또는 TX 프로세서(368))는, 수신된 표시에 대한 응답으로, UE(705)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UL RS를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송신한다. 일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UL RS는 적어도 하나의 SRS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UL RS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의 적어도 하나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은 UL RS를 측정하는 포지셔닝 절차와 연관된 단일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UL RS를 각각 측정하는, 포지셔닝 절차와 연관된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702에서 DL RS(들)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BS는, 706에서 UL RS(들)를 UE(705)로부터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BS들과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BS 및 하나 이상의 BS는 상이한 그룹들의 BS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단일 기지국은 제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DL RS를 송신할 수 있는 반면에, 다수의 기지국은 UE(705)로부터 송신된 UL RS(들)를 모니터링한다.
[0081]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도 6-7의 프로세스들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의 프로세스는, 단일 기지국만이 DL RS를 UE에 송신하고, UE는 차례로 UL RS를 단일 기지국에만 송신하는 것처럼, 단일 기지국에 대해 설명된다. 그러나,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지국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DL RS(들)를 UE에 송신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다수의 기지국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UE로부터의 UL RS(들)를 측정할 수 있다. 추가로, 도 8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605)가 기지국에 대응한다고 가정된다.
[0082] 802에서, 기지국은, QCL(quasi co-location)-기반 맵핑 규칙에 따라 포지셔닝을 위한 각각의 주기적 DL RS와 UL RS를 연관시키도록 결정한다. 예컨대, 안테나 포트들은, 사실상 그들이 병치될 때(즉, 동일한 송신 지점, 안테나 어레이 또는 안테나로부터 송신됨) 또는 안테나 포트들이 유사한 채널 특성들을 갖는 상이한 TP들에 배열될 때, 준-병치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QCL-기반 맵핑 규칙은, UL RS 송신을 위해 DL RS를 운반하는 자원을 QCL-연관 자원(예컨대, QCL 안테나 포트의 자원)에 맵핑할 수 있다. 예에서, QCL 연관성은 참조-공간 QCL-연관성, 지연 확산 QCL 연관성, 평균 지연 QCL 연관성, 도플러 확산 QCL 연관성, 도플러 시프트 QCL 연관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804에서, 기지국은, QCL-기반 자원 맵핑 규칙과 함께 연관성의 표시를 UE에 송신하고, 이는 806에서 수신된다.
[0083] 도 8을 참조하면, 일정 나중 시점에서, 808에서, 기지국은, 810에서 수신된 DL RS #1을 UE에 송신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DL RS #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포지셔닝을 위한 복수의 주기적 DL RS #1 중 하나에 대응한다. 812에서, UE가 804-806에서의 표시를 통해 포지셔닝을 위한 각각의 주기적 DL RS와 UL RS를 연관시키도록 지시를 받았기 때문에, UE는 QCL-기반 자원 맵핑 규칙에 기반하여 UL RS #1에 대한 자원(들)을 결정한다. 예에서, 812에서 결정된 특정 자원(들)은 UE에 대한 이전 심볼 할당들에 추가로 기반할 수 있다. 예컨대, DL RS #1은 다수의 UE들에 의해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로 구현될 수 있어서, DL RS #1에 응답하는 UE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UE-특정 심볼 할당들이 사전-설정될 수 있다. 814에서, UE는 812에서 결정된 자원(들) 상에서 UL RS #1을 송신하고, 이는 816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
[0084] 일정 나중 시점에, 818에서, 기지국은 DL RS #2를 UE에 송신하고, 이는 820에서 수신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DL RS #2는, DL RS #1 후에 DL RS의 다음의 주기적 인스턴스에 대응한다. 822에서, UE가 804-806에서 표시를 통해 포지셔닝을 위한 각각의 주기적 DL RS와 UL RS를 연관시키도록 지시를 받았기 때문에, UE는 (예컨대, 812에서와 같이) QCL-기반 자원 맵핑 규칙에 기반하여 822에서 UL RS #2에 대한 자원(들)을 결정한다. 824에서, UE는 822에서 결정된 자원(들) 상에서 UL RS #2을 송신하고, 이는 826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
[0085]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도 6-7의 프로세스들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한다. 도 8과 유사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의 프로세스는, 단일 기지국만이 DL RS를 UE에 송신하고, UE는 차례로 UL RS를 단일 기지국에만 송신하는 것처럼, 단일 기지국에 대해 설명된다. 그러나,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지국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DL RS(들)를 UE에 송신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다수의 기지국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UE로부터 UL RS(들)를 측정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605)가 기지국과 별개인 것으로 가정된다. 예컨대, 네트워크 엔티티(605)는 상이한 기지국(예컨대, 이웃 기지국과 대조되는 서빙 기지국),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902-906은, 902-906이 기지국과 별개인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8의 802-806에 대응한다. 908-926은, 도 8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808-826에 각각 대응하며, 이로써 간결성을 위해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0086]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도 6-7의 프로세스들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한다. 도 8 및 9와 유사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의 프로세스는, 단일 기지국만이 DL RS를 UE에 송신하고, UE는 차례로 UL RS를 단일 기지국에만 송신하는 것처럼, 단일 기지국에 대해 설명된다. 그러나,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지국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DL RS(들)를 UE에 송신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다수의 기지국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UE로부터의 UL RS(들)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605)가 기지국에 대응한다고 가정된다. 그러나, 도 9와 유사하게, 네트워크 엔티티(605)는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기지국이 이웃 기지국인 경우 UE의 서빙 기지국과 같은 다른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대응할 수 있고, 이 경우에, 1002-1006은 기지국 자체 대신에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0087] 도 10을 참조하면, 1002에서, 기지국은 UL RS에 대한 자원 맵핑 규칙을 결정한다. 1004에서, 기지국은 자원 맵핑 규칙을 UE에 송신하고, 이는 1006에서 수신된다. 1002에서 결정된 자원 맵핑 규칙은, 도 8-9에서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QCL-기반 자원 맵핑 규칙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1002에서 결정된 자원 맵핑 규칙은, DL RS 및 연관된 UL RS 둘 모두에 대한 자원들을 동일한 슬롯에 맵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88] 여전히 도 10의 1002를 참조하면, NR Rel-15에서, 사용 사례로서 "안테나-스위칭"으로 태깅(tag)된 것들과 같이 캐리어 스위칭 절차를 통해 SRS 자원만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포지셔닝을 위한 DL RS와 연관된, 포지셔닝을 위한 SRS 자원 세트(즉, UL RS에 할당된 자원들)는, 캐리어가 PUSCH/PUCCH 구성이 아닌 경우, 캐리어 스위칭 절차를 통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포지셔닝을 위한 SRS 자원 세트는, SRS 캐리어 스위칭 절차를 통해 구성된 PUSCH/PUCCH 없이 캐리어 상에서 송신되도록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UE는, 포지셔닝을 위한 DL RS와의 암시적 연관성을 통해 포지셔닝을 위해 SRS 자원 세트가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0089] 여전히 도 10의 1002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서, 자원 맵핑 규칙은, NR Rel-15 하의 포지셔닝을 위해 DL RS와 연관되지 않은 다른 UL RS들에 할당된 자원들과 비교하여, 포지셔닝을 위해 DL RS와 연관된 UL RS의 송신에 부가적인 또는 보충 자원들을 할당할 수 있다. NR-특정 예에서, 1002에서 결정된 자원 맵핑 규칙에 따라 UL RS에 할당된 부가적인 또는 보충 자원들은 다음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 예 #1: Comb-N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서브캐리어 스키핑 패턴을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이로써 N = 1은 각각의 서브캐리어에서 송신이 발생한다는 것(어떠한 스킵들도 없음)을 의미하고, N = 2는 매 2번째 서브캐리어에서 송신이 발생한다는 것(매 2번째 서브캐리어가 스킵됨)을 의미하고, N = 3은 매 3번째 서브캐리어에서 송신이 발생한다는 것(매 3번째 서브캐리어가 스킵됨)을 의미한다. 포지셔닝을 위한 SRS 자원이 Comb-N을 사용하고 ― 여기서 N> 1(예컨대, Comb-2, Comb-4 등) ― , 다수의 백-투-백 심볼들(back-to-back symbols)로 구성된 경우, 실시예에서, 서브캐리어 호핑은, 모든 서브캐리어들이 사운딩되었다는 것을 보장하는 데 사용된다(예컨대, Comb-1이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Comb-1과 유사함). 다시 말해서, 포지셔닝을 위한 DL RS와 연관된 UL RS는, 서브캐리어 호핑을 통한 포지셔닝을 위해 DL RS와 연관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다른 UL RS들에 비해 더 적은 서브캐리어들을 스킵한다.
· 예 #2: DL RS와의 연관성이 표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다면 SRS가 포지셔닝을 위한 SRS인 것으로 표시되는 경우에만, SRS 자원에 대한 Comb-1이 허용된다. 그렇지 않으면, 레거시(NR Rel-15)가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포지셔닝을 위해 DL RS와 연관된 UL RS는, Comb-1의 사용을 통한 포지셔닝을 위해 DL RS와 연관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다른 UL RS들에 비해 더 적은 서브캐리어들을 스킵한다. 대안적으로, Comb-1을 사용하지 않고서 Comb-N에 대해 더 낮은 N 값이 사용될 수 있다(예컨대, 레거시 NR Rel-15는 SRS에 대해 Comb-4를 지정할 수 있는 반면에, Comb-1, Comb-2 또는 Comb-3 중 어느 하나는 포지셔닝을 위해 DL RS와 연관된 것으로 표시된 UL RS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Comb-1이 이용 불가할지라도, 더 강력한 서브캐리어 스키핑 패턴이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 예 #3: UE가 포지셔닝을 위한 SRS 자원에 대해 다수의 백-투-백 심볼들로 구성된 경우, UE는 AoD에서 지정된(또는 구성된) 델타로 SRS 자원들을 송신하고, 그래서 gNB는 AoD를 추정하는 것에 대한 추가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포지셔닝을 위해 DL RS와 연관된 UL RS는, 포지셔닝을 위해 DL RS와 연관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다른 UL RS들에 비해 더 넓은 AoD를 따라 스위핑된다. 예에서, AoD 델타는, UE가 UL RS를 송신할 때 사용해야 하는 방위각 또는 고도(또는 해발 높이(elevation)) 각도들의 부분으로서 각도들(예컨대, 0도, 5도) 또는 라디안들(예컨대, pi/6)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맵핑 규칙은, 제1 세트의 자원들과 제2 세트의 자원들 간의 QCL 연관성에 따라, AoD(angle of departure)에서 지정된 델타에 기반하여, 제2 세트의 자원들을 할당하여, 자원이 시간 및/또는 주파수에 제한될 필요가 없지만, 공간 자원들을 물론 포함할 수 있다.
[0090] 도 10의 실시예에서, DL RS와 UL RS 사이의 연관성은, DL RS에 포함된 UL RS 비트를 통해 표시된다. 예에서, UL RS 비트는, DL RS 및 UL RS가 공동으로 트리거링되도록, DL RS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필드의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DL RS는, 폴백 DCI 포맷(예컨대, NR Rel-15의 DCI 포맷 0_0 및 1_0) 또는 공통 검색 공간의 DCI와 같은 특정 DCI 포맷으로 UL RS 비트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UE-특정 검색 공간의 DCI에 대해, 포지셔닝을 위한 DL RS 및 포지셔닝을 위한 연관된 UL RS가 전형적으로 다수의 UE들로부터 수신(또는 송신)을 시그널링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공동 트리거링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0091] 도 10을 참조하면, 일정 나중 시점에서, 1008에서, 기지국은 DL RS #1과 UL RS를 연관시키지 않도록 결정한다. 1010에서, 기지국은 DL RS #1 [UL RS bit = 0]을 UE에 송신하고, 이는 1012에서 수신된다. 1014에서, UE는, UL RS 비트가 0으로 설정된 것에 기반하여, DL RS #1이 UL RS와 연관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이로써 DL RS #1에 대한 응답으로 UL RS를 송신하지 않는다.
[0092] 도 10을 참조하면, 일정 나중 시점에서, 1016에서, 기지국은 DL RS #2와 UL RS를 연관시키도록 결정한다. 1018에서, 기지국은 DL RS #2 [UL RS bit = 1]을 UE에 송신하고, 이는 1020에서 수신된다. 1022에서, UE는, UL RS 비트가 1로 설정된 것에 기반하여, DL RS #2가 UL RS와 연관된다고 결정하고, 이로써 자원 맵핑 규칙에 기반하여 UL RS #2의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결정한다. 1024에서, UE는 1022에서 결정된 자원(들) 상에서 UL RS #2를 송신하고, 이는 1026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 예에서, DL RS #1 및 #2는 주기적인 DL RS 송신들(예컨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됨) 또는 비주기적인 DL RS 송신들에 대응할 수 있다.
[0093] 도 6-10의 실시예들이 일반적으로 포지셔닝을 위해 DL RS와 연관되는 UL RS에 대해 설명되지만, UL RS는, 포지셔닝 외에도, 하나 이상의 기능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UL RS는 "코드북-기반" 기능 또는 "비-코드북-기반" 기능일 수 있고, UL RS는 UL 빔 관리 기능, 안테나-스위칭 기능 등에 사용될 수 있다.
[0094]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예컨대, 위의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0095] 추가로, 당업자들은, 본원에서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판정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0096] 본원에서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그러한 구성들)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97] 본원에서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제거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서가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일체형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사용자 디바이스(예컨대, UE) 또는 기지국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기지국에서 이산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0098]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비-일시적인 매체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및/또는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하거나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불린다. 예컨대,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는 디스크(disk)와 디스크(disc)란 용어는, 자기적으로 그리고/또는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대개 재생하는 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들을 포함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99] 전술된 개시내용이 예시적인 양상들을 보여주지만, 당업자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들 및 수정들이 본원에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당업자들은, 위에서 설명되며 그리고/또는 본원에 첨부된 임의의 방법 청구항들에서 언급된 임의의 방법들에서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이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추가로, 계속해서, 임의의 엘리먼트들이 단수형으로 위에서 설명되거나 또는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언급되는 한, 당업자들은, 단수형(들)으로의 제한이 명시적으로 진술되지 않는다면, 단수형(들)이 복수형도 또한 고려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Claims (30)

  1. UE(user equipment)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positioning procedure)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상기 UE로의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의 송신을 위한 제1 세트의 자원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상기 UE에 대한 상기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의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의 상기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를 연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UL RS 사이의 연관성(association)의 표시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포지셔닝 절차와 연관된 단일 기지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UE에 의해 측정될 하나 이상의 DL RS들을 각각 송신하는, 상기 포지셔닝 절차와 연관된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특정 DL RS가 지정되지 않은 연관성을 표시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구성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표시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필드의 비트를 통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L RS의 RRC 구성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의 자원 맵핑 규칙(resource mapping rule)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을 상기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가 상기 UE에 송신되기 전에, 상기 UE에 송신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은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과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 간의 QCL(quasi co-location) 연관성에 기반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은,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과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 간의 상기 QCL 연관성에 따라 AoD(angle of departure)의 지정된 델타(specified delta)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을 할당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은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을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과 동일한 슬롯(slot)에 맵핑하거나, 또는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은,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의 할당이 안테나-스위칭 사용 경우로서 태깅(tag)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캐리어 스위칭 절차를 통해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을 할당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은, 포지셔닝을 위한 DL RS에 대한 연관성이 없는 하나 이상의 다른 UL RS들에 할당되지 않은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에 보충 자원들(supplemental resources)을 할당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자원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어떠한 서브캐리어들도 스킵(skip)하지 않도록, 서브캐리어 스키핑 패턴(subcarrier skipping pattern)을 설정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보충 자원들은 서브캐리어 호핑(subcarrier hopping)을 통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보충 자원들은 AoD(Angle of Departure) 구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는 복수의 주기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송신되는 DL RS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는 비주기적으로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DL RS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은 제1 BWP(bandwidth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은 상기 제1 BWP 또는 상기 제1 BWP와 상이한 제2 BWP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은 제1 CC(component carrie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은 상기 제1 CC 또는 상기 제1 CC와 상이한 제2 CC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은 제1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은 상기 제1 주파수 범위 또는 상기 제1 주파수 범위와 상이한 제2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은 제1 SCS(subcarrier spacing)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은 상기 제1 SCS 또는 상기 제1 SCS와 상이한 제2 SCS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은 제1 시간 거동 특징(time behavior characteristic)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은 상기 제1 시간 거동 특징 또는 상기 제1 시간 거동 특징과 상이한 제2 시간 거동 특징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거동 특징은 주기적 송신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시간 거동 특징은 비주기적 송신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L RS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의 적어도 하나의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적어도 하나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대응하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L RS는 상기 포지셔닝 절차와 별개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위해 구성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코드북-기반 기능(codebook-based function), 비-코드북-기반 기능, 업링크 빔 관리 기능(uplink beam management function), 또는 안테나-스위칭 기능인,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는 방법.
  16. UE(user equipment)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제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표시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상기 UE에 대한 상기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L R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특정 DL RS가 지정되지 않은 연관성을 표시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구성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표시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필드의 비트를 통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L RS의 RRC 구성에 포함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가 상기 UE에 송신되기 전에, 자원 맵핑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은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과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 간의 QCL(quasi co-location) 연관성에 기반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은,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과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 간의 상기 QCL 연관성에 따라 AoD(angle of departure)의 지정된 델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을 할당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22.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은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을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과 동일한 슬롯에 맵핑하거나, 또는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은,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의 할당이 안테나-스위칭 사용 경우로서 태깅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캐리어 스위칭 절차를 통해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을 할당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23.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맵핑 규칙은, 포지셔닝을 위한 DL RS에 대한 연관성이 없는 하나 이상의 다른 UL RS들에 할당되지 않은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에 보충 자원들을 할당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자원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어떠한 서브캐리어들도 스킵하지 않도록, 서브캐리어 스키핑 패턴을 설정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보충 자원들은 서브캐리어 호핑을 통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보충 자원들은 AoD(Angle of Departure) 구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25.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는 복수의 주기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송신되는 DL RS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는 비주기적으로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DL RS들을 포함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26.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은 제1 BWP(bandwidth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은 상기 제1 BWP 또는 상기 제1 BWP와 상이한 제2 BWP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은 제1 CC(component carrie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은 상기 제1 CC 또는 상기 제1 CC와 상이한 제2 CC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은 제1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은 상기 제1 주파수 범위 또는 상기 제1 주파수 범위와 상이한 제2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은 제1 SCS(subcarrier spacing)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은 상기 제1 SCS 또는 상기 제1 SCS와 상이한 제2 SCS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세트의 자원들은 제1 시간 거동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자원들은 상기 제1 시간 거동 특징 또는 상기 제1 시간 거동 특징과 상이한 제2 시간 거동 특징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L RS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의 적어도 하나의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적어도 하나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대응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2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L RS는 상기 포지셔닝 절차와 별개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위해 구성되는,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코드북-기반 기능, 비-코드북-기반 기능, 업링크 빔 관리 기능, 또는 안테나-스위칭 기능인,
    UE를 동작시키는 방법.
  29. 메모리;
    상기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UE(user equipment)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상기 UE로의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의 송신을 위한 제1 세트의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고;
    상기 UE에 대한 상기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의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의 상기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를 연관시키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UL RS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상기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엔티티.
  30. UE(user equipment)로서,
    메모리;
    상기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제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DL(downlink) RS(reference signal)를 수신하고;
    상기 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DL RS와 적어도 하나의 UL(uplink) RS 사이의 연관성의 표시를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된 표시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상기 UE에 대한 상기 포지셔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제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L RS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UE.
KR1020217000530A 2018-07-10 2019-06-13 사용자 장비의 포지셔닝을 위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와 사용자 장비에 의한 송신을 위한 업링크 기준 신호의 연관 KR20210030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R20180100312 2018-07-10
GR20180100312 2018-07-10
US16/439,535 US11310816B2 (en) 2018-07-10 2019-06-12 Associating a downlink reference signal for positioning of a user equipment with an uplink reference signal for transmission by the user equipment
US16/439,535 2019-06-12
PCT/US2019/037053 WO2020013948A1 (en) 2018-07-10 2019-06-13 Associating a downlink reference signal for positioning of a user equipment with an uplink reference signal for transmission by the user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347A true KR20210030347A (ko) 2021-03-17

Family

ID=6913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530A KR20210030347A (ko) 2018-07-10 2019-06-13 사용자 장비의 포지셔닝을 위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와 사용자 장비에 의한 송신을 위한 업링크 기준 신호의 연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10816B2 (ko)
EP (1) EP3821656B1 (ko)
KR (1) KR20210030347A (ko)
CN (1) CN112369087B (ko)
WO (1) WO2020013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7773B2 (ja) * 2016-02-04 2018-04-2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20220123886A1 (en) * 2019-01-11 2022-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sitioning Based on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US20220131727A1 (en) * 2019-02-14 2022-04-28 Apple Inc. Downlink (dl)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bandwidth part (bwp) configuration reference signal design and user equipment (ue) based positioning enhancements for new radio (nr) positioning
EP3998807A4 (en) * 2019-07-12 2023-03-29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 CONTROL OF RF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AV SYSTEM
CN113225169B (zh) * 2020-02-06 2023-06-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Bwp切换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3678424B (zh) * 2020-03-13 2024-01-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定位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1203307A1 (en) * 2020-04-08 2021-10-1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gap activation and deactivation for positioning measurements
EP4144119A4 (en) * 2020-04-30 2024-01-24 Zte Corp METHOD FOR TRANSMITTING PREVIOUS CHANNEL INFORMATION
WO2021253241A1 (zh) * 2020-06-16 2021-12-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参考信号资源的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2769533B (zh) * 2021-04-07 2021-07-06 网络通信与安全紫金山实验室 定位参考信号分配方法、定位方法、基站资源配置方法
JP2024514131A (ja) * 2021-04-14 2024-03-28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処理能力が制約されたシナリオにおいてマルチrtt測位を改善するためにprsとsrsとの関連付けを定義すること
EP4335180A1 (en) * 2021-05-05 2024-03-13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election of power-efficient side-link aided positioning
WO2022236703A1 (en) * 2021-05-11 2022-11-17 Apple Inc. Aperiodic and semi-persistent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and measurement gaps
CN118056461A (zh) * 2021-10-13 2024-05-17 高通股份有限公司 Los mimo中的空间srs探测适配
CN118103722A (zh) * 2021-11-03 2024-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高频环境感知mimo的方法、装置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842A1 (en) * 2009-04-27 2010-11-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ference signals for positioning measurements
US8526391B2 (en) * 2010-07-23 2013-09-03 Trueposition, Inc. Network based location of mobile transmitters
US9265017B2 (en) * 2012-02-07 2016-02-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14112915A1 (en) * 2013-01-17 2014-07-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erform positioning measurements taking ul/dl subframe configuration into account
CN110855416A (zh) * 2014-04-30 2020-02-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到设备通信的方法、用户设备、网络节点及存储介质
US20170288897A1 (en) 2014-08-29 2017-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measurement to support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server for supporting positioning,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positioning
WO2016032308A1 (ko) 2014-08-29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otdoa 관련 동작 수행 방법
US10439775B2 (en) * 2014-09-02 2019-10-08 Qualcomm Incorporated Randomization of PRS frequency offsets and muting patterns in LTE for EOTDOA
CN105578404B (zh) * 2014-10-17 2021-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及相应的终端、系统
US10716084B2 (en) * 2016-05-18 2020-07-14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positioning signal design and procedures
US11122535B2 (en) * 2016-07-15 2021-09-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locating devices using narrowban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EP3745788A1 (en) 2016-08-11 2020-12-02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Tdoa positioning of mobile devices
JP7074122B2 (ja) * 2016-09-28 2022-05-2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次世代ワイヤレス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
US11252730B2 (en) * 2016-10-26 2022-02-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bea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082286B2 (en) * 2017-01-06 2021-08-03 Sony Corporation Beam failure recovery
US11233612B2 (en) 2017-08-01 2022-01-25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multi-beam systems
US20190230618A1 (en) * 2018-01-23 2019-07-25 Nokia Technologies Oy Using sidelink information in radio-based positioning
WO2019213914A1 (en) 2018-05-10 2019-11-14 Nec Corporation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1656B1 (en) 2024-03-13
CN112369087A (zh) 2021-02-12
CN112369087B (zh) 2023-05-26
WO2020013948A1 (en) 2020-01-16
EP3821656A1 (en) 2021-05-19
US20200022167A1 (en) 2020-01-16
US11310816B2 (en) 2022-04-19
EP3821656C0 (en)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0816B2 (en) Associating a downlink reference signal for positioning of a user equipment with an uplink reference signal for transmission by the user equipment
CN112313887B (zh) 利用波束成形的无线网络中的波束切换能力指示
US11601911B2 (en) Determining timing resolution and range of reported timing measurements used for position estimation
US10917184B2 (en) Computing and reporting a relevance metric for a positioning beacon beam
WO2019236262A1 (en)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 framework to support positioning measurements
KR20210015968A (ko) 복수의 상이한 송신 지점 위치들과 연관된 기지국의 위치 정보 교환
KR20230047366A (ko) 사이드링크 라운드 트립 시간 측정들
US10911343B2 (en) Beam-specific timing advance for timing response transmission for round-trip-time estimation
WO2019226655A1 (en) Identifying and reporting beams of interest for position estimation
CN112534761B (zh) 管理下行链路参考信号之间的交叠
US11031992B2 (en) Receive beam selection for measuring a reference signal
US11963113B2 (en) Estimating a timing for a non-serving cell of a user equipment
KR20230088698A (ko) 업링크에서 포지셔닝-관련 보고들의 우선 순위화
KR20230022852A (ko) 낮은 레이턴시 다운링크 트래픽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포지셔닝 최적화들
US11870736B2 (en) Search space set activation
WO2020252656A1 (en) Uplink beam management for a user equipment in a low-mobility mode
KR20240025541A (ko) 재구성가능한 지능형 표면(ris)-보조 포지셔닝 기준 신호(prs) 송신 및 보조 데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