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005A - 선박 접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접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005A
KR20210030005A KR1020190111391A KR20190111391A KR20210030005A KR 20210030005 A KR20210030005 A KR 20210030005A KR 1020190111391 A KR1020190111391 A KR 1020190111391A KR 20190111391 A KR20190111391 A KR 20190111391A KR 20210030005 A KR20210030005 A KR 2021003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ship
port
coast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옥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0005A/ko
Publication of KR2021003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은,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먼바다로 연장되는 항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부표; 및 상기 제1부표와 마주하고, 상기 항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부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접안 시스템{Berthing System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 접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표를 이용한 선박 접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형 선박은 항구 및 연안에 접안하기 어렵다. 부연 설명하면, 항구 및 연안의 해저 지형은 항구 및 연안마다 상이하므로, 대형 선박의 접안을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해저 지형을 잘 아는 도선사 또는 예인선을 통한 접안 안내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술된 방법들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많은 선박의 정박 및 출항이 이루어지는 항구 및 연안에서는 적합하지않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2가 있다.
KR 10-0981990 B1 KR 10-120816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의 정박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선박 접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은,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먼바다로 연장되는 항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부표; 및 상기 제1부표와 마주하고, 항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부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에서, 상기 제1간격 및 상기 제2간격은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에서, 상기 제1부표 및 상기 제2부표는,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먼바다 방향을 따라 제3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에서, 상기 제3간격은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에서, 상기 제1부표 및 상기 제2부표는 선박의 센서 또는 무선 송수신기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신호송출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송출수단은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은 항구 또는 연안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선박이 항구 또는 연안과 충돌하지 않도록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항로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3부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접안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선박 접안 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접안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접안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100)은 항구, 항만, 또는 연안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선박 접안 시스템(100)은 선박의 정박이 가능한 해양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선박 접안 시스템(100)은 선박의 접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항로(20) 또는 항로(20) 주변에 형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선박 접안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제1부표(200)와 제2부표(300)는 항로(2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태로 배치된다.
제1부표(200: 210, 220, 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구(10)로부터 먼바다를 향해 소정의 간격(G1, G2, G3)을 두고 배치된다. 일 예로, 제1부표(210, 220, 230)들 간의 간격(G1, G2, G3)은 항구(10)로부터 먼바다를 향해 갈수록 증가(G1<G2<G3)하거나 감소(G1>G2>G3)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부표(210, 220, 230)들 간의 간격(G1, G2, G3)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G1=G2=G3).
제1부표(200: 210, 220, 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로(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D1, D2, D3)를 두고 배치된다. 일 예로, 제1부표(210, 220, 230)들과 항로(20) 간의 거리(D1, D2, D3)는 항구(10)로부터 먼바다를 향해 갈수록 증가(D1<D2<D3)하거나 또는 감소(D1>D2>D3)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부표(210, 220, 230)들과 항로(20) 간의 거리(D1, D2, D3)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D1=D2=D3).
제2부표(300: 310, 320, 3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구(10)로부터 먼바다를 향해 소정의 간격(S1, S2, S3)을 두고 배치된다. 일 예로, 제2부표(310, 320, 330)들 간의 간격(S1, S2, S3)은 항구(10)로부터 먼바다를 향해 갈수록 증가(S1<S2<S3)하거나 또는 감소(S1>S2>S3)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부표(310, 320, 330)들 간의 간격(S1, S2, S3)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S1=S2=S3).
제2부표(300: 310, 320, 3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로(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L1, L2, L3)를 두고 배치된다. 일 예로, 제2부표(310, 320, 330)들과 항로(30) 간의 거리(L1, L2, L3)는 항구(10)로부터 먼바다를 향해 갈수록 증가(L1<L2<L3)하거나 또는 감소(L1>L2>L3)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부표(310, 320, 330)들과 항로(20) 간의 거리(L1, L2, L3)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L1=L2=L3).
제1부표(200) 및 제2부표(300)는 입항하는 선박으로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신호송출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부표(200) 및 제2부표(300)는 소정 주파수를 송출하는 무선송신기, 소정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표(200) 및 제2부표(300)의 신호송출수단은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부표(200) 및 제2부표(300)의 신호송출수단은 항구(10)로부터 멀어질수록 짧거나 또는 긴 파장의 무선신호 또는 광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부표(200)의 신호송출수단과 제2부표(300)의 신호송출수단은 서로 다른 대역의 신호 또는 다른 파장의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선박 접안 시스템(100)은 각각의 부표(200, 300)마다 특유의 신호를 선박으로 송출하므로, 선박으로 하여금 현재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선박 접안 시스템(100)에 따르면 선박의 접안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선박 접안 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접안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통상적인 경로로 선박(30)이 접근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선박 접안 시스템(100)은 선박(30)의 접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호를 송출한다. 예를 들어, 제1부표(200) 및 제2부표(300)는 소정의 시간주기로 또는 필요 시점마다 소정의 신호를 선박(30)으로 송출할 수 있다. 해당 신호를 수신한 선박(30)은 부표(200, 3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해 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30)은 제1부표(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제2부표(300)로부터 수신된 신호 간의 시간차 또는 위상차 등을 통해 현재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선박(30)은 이들 신호를 통해 제1부표(200)와 제2부표(3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선박(30)이 이동할 목표 항로지점(P1)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항로지점(P1)은 제1부표(240)와 제2부표(340)의 중간지점일 수 있다. 목표 항로지점(P1)을 통과한 선박(300)은 제1부표(230)와 제2부표(3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새로운 목표 항로지점(P2)을 설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선박(30)은 다음의 목표 항로지점(P3, P4)들을 순차적으로 설정하고 항구(10)로 진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비정상적인 경로로 선박(30)이 접근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30)은 부표(200, 3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해 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다만, 제1부표(200) 또는 제2부표(300)로부터 송신된 신호만을 수신한 경우, 선박(30)은 현재 위치가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고 우회 경로지점(P0)을 설정할 수 있다. 우회경로지점(P0)은 항구(10)와 반대 방향인 지점에서 선택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우회경로지점(P)은 제1부표(240)를 기준으로 제1부표(230)와 대칭인 지점일 수 있다.
우회경로지점(P0)에 도달하면, 선박(30)은 제1부표(240)와 제2부표(340)를 통해 올바른 목표 항로지점(P1)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선박(3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부표(230, 220, 210)와 제2부표(330, 320, 310)를 통해 목표 항로지점(P3, P2, P1)을 순차적으로 설정하고, 항구(10)로의 접안을 시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을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에 설명에서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들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102)은 제3부표(4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된다.
제3부표(400)는 항구 또는 연안을 따라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복수의 제3부표(400: 410. 420, 430)는 항구 또는 연안을 따라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3부표(400: 410, 420, 430)는 선박이 항구 또는 연안과 충돌하지 않도록 소정의 항로를 제공하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부표(400: 410, 420, 430)에 의해 형성되는 항로는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소정의 간격(W)을 항구 또는 연안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3부표(400: 410, 420, 430) 간의 간격은 선박의 최종 목적지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부표(430)로부터 제3부표(420)까지의 거리는 제3부표(420)로부터 제3부표(410)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제3부표(400) 중 적어도 일부는 선박의 항로 변경을 위한 기준 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부표(100) 및 제2부표(200)의 최종지점을 통과한 선박은 제3부표(430)를 인지한 후 기존 항로에 대해 소정의 방향각(θ)을 갖는 새 항로를 설정할 수 있다.
제3부표(400)는 선박이 항구 또는 연안과 점차 가까워지는 항로를 갖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부표(420, 430)는 항구 또는 연안 측으로 선박의 이동을 유도케 하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제3부표(400)는 선박이 항구 또는 연안과 대체로 평행한 항로를 갖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부표(410, 420)는 항구 또는 연안과 대체로 평행한 선박의 이동을 유도케 하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은 근해에 위치한 선박의 안전하고 신속한 접안을 가능케 하므로, 접안 사고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 항구 또는 연안
20 항로
30 선박
100 선박 접안 시스템
200 제1부표
300 제2부표
400 제3부표

Claims (7)

  1.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먼바다로 연장되는 항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부표; 및
    상기 제1부표와 마주하고, 항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부표;
    를 포함하는 선박 접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 및 상기 제2간격은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선박 접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표 및 상기 제2부표는,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먼바다 방향을 따라 제3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선박 접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간격은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선박 접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표 및 상기 제2부표는 선박의 센서 또는 무선 송수신기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신호송출수단을 포함하는 선박 접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송출수단은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선박 접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항구 또는 연안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선박이 항구 또는 연안과 충돌하지 않도록 항구 또는 연안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항로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3부표를 더 포함하는 선박 접안 시스템.
KR1020190111391A 2019-09-09 2019-09-09 선박 접안 시스템 KR20210030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91A KR20210030005A (ko) 2019-09-09 2019-09-09 선박 접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91A KR20210030005A (ko) 2019-09-09 2019-09-09 선박 접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005A true KR20210030005A (ko) 2021-03-17

Family

ID=7524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391A KR20210030005A (ko) 2019-09-09 2019-09-09 선박 접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000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990B1 (ko) 2008-11-18 2010-09-14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부표를 이용한 연안 선박의 위치 및 궤적 추정을 통한 안전관제장치 및 그 방법
KR101208168B1 (ko) 2012-05-29 2012-12-04 김석문 선박 자동접안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990B1 (ko) 2008-11-18 2010-09-14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부표를 이용한 연안 선박의 위치 및 궤적 추정을 통한 안전관제장치 및 그 방법
KR101208168B1 (ko) 2012-05-29 2012-12-04 김석문 선박 자동접안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087B1 (ko) 해양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US7391359B2 (en) Mode S transponder transmission signal decoder and Mode S transponder transmission signal decoding method
US7116991B2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U2017384510B2 (en) Optimised acoustic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various underwater threats in a sensitive zone
CN105093180B (zh) 一种水下机器人定位系统及方法
KR20210030005A (ko) 선박 접안 시스템
IL267474B2 (en) A divided modular system for acoustic detection of underwater threats in a sensitive area
KR101043055B1 (ko) 초음파 선박 항로 유도 시스템 및 장치
KR101714512B1 (ko) 원격 운항 제어시스템 및 그의 통신 방법
JP2007300361A (ja) 船舶の対陸上基地通信システム
Stateczny AIS and radar data fusion in maritime navigation
RU2305646C2 (ru) Способ зрительной навигационной ориентации при движении судов по морским каналам и речным фарватера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JP3571670B2 (ja) 船舶自動識別システム用付加装置
Gewies et al. Availability of maritime radio beacon signals for R-mode in the southern baltic sea
RU2190302C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навигации на внутренних водных путях
Wawruch et al. The possibility of use of the AIS data transmissions for safety and security monitoring in the Polish maritime areas
Kościelski et al.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as a main tool of NCAGS ADP Systems
RU2760981C1 (ru) Способ адаптивной радиосвязи повышенной надёжности с удалёнными подвижными объектами СМП
Hoppe et al. Developments in radio navigation systems
US20150346162A1 (en) Detection device
Weeks Strategic, practical and operational considerations for traffic routes
RU2556309C2 (ru) Способ проводки морских и речных судов по заданному курсу
Ward et al. Enhanced Radar Positioning
RU20188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одхода к причалу заданной длины судна
RU2644616C1 (ru) Навиг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