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976A -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976A
KR20210029976A KR1020190111325A KR20190111325A KR20210029976A KR 20210029976 A KR20210029976 A KR 20210029976A KR 1020190111325 A KR1020190111325 A KR 1020190111325A KR 20190111325 A KR20190111325 A KR 20190111325A KR 20210029976 A KR20210029976 A KR 20210029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ring
forming
wire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261B1 (ko
Inventor
류기룡
Original Assignee
(주)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창 filed Critical (주)세창
Priority to KR102019011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2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1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rings, e.g. barrel hoops
    • B21D53/1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rings, e.g. barrel hoops of hollow or C-shaped cross-section, e.g. for curtains, for eye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는, 경강선 재료에 의에 형성된 선재를 베벨면이 포함된 이형 단면을 갖도록 압연하는 단계; 압연된 상기 선재를 와이어 포밍 가공을 통하여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링을 형성하는 단계; 와이어 포밍된 상기 링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와 홀을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 및 프레스 가공된 대상물을 평탄화 및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L-TYPE SNAP RING}
본 발명은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냅링(snap ring, '멈춤링'이라 부르기도 한다)은 축이나 구멍의 벽에 홈을 만들고 홈에 탄성적인 약간의 변형(스냅)을 통하여 홈에 끼움으로써 축이나 구멍에 끼워진 부품의 축방향 움직임을 멈추는 링을 말한다. 스냅링은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중공업 등 각종 기계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베어링 리테이너 등의 이탈방지라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작업의 용이성과 기존체결방식(볼트나 너트)을 대체하는 용도로도 확장되기도 한다.
스냅링은 용도 및 사용부위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나뉜다. 이중 베벨타입 스냅링은 유지 부품과 인접하는 면과의 유격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 판형 스냅링의 면부에 베벨(Bevel)을 형성하여, 스냅링의 스프링작용에 의하여 베벨이 쐐기로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베벨타입의 스냅링이 구동부에 사용되는 경우 상대물의 이탈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내마모성 및 복원력 등이 중요하며, 이러한 특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고탄소강 또는 탄소공구강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프레스 성형 후 열처리 등의 후 공정을 거쳐 완제품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베벨 타입 스냅링의 제조방식은 판재형태의 코일 원소재를 1차 프레스 가공하고, 베벨형상을 구현하기 위한 2차 CNC 가공을 거친 후 후처리 등의 절차를 거쳐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기존의 생산방식의 경우, 판재 형태의 소재를 재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스크랩의 발생이 많고 외측의 베벨을 형성하기 위한 CNC 가공의 소요시간이 길어지며 그에 따라 불량 및 제조비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 선행기술
한국 등록특허 제10-1776615호 (2017. 09. 04.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1610633호 (2016. 04. 04. 등록)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28956호 (2009. 03. 20. 공개)
본 발명은 판재를 사용하는 대신 재료로서 선재를 활용하고 절삭가공 대신 와이어 포밍 등의 과정을 도입함으로써 스크랩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는, 경강선 재료에 의에 형성된 선재를 베벨면이 포함된 이형 단면을 갖도록 압연하는 단계; 압연된 상기 선재를 와이어 포밍 가공을 통하여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링을 형성하는 단계; 와이어 포밍된 상기 링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와 홀을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 및 프레스 가공된 대상물을 평탄화 및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경강선 재료는 SWRH62B 또는 SWRH72B 계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경강선 재료에 의에 형성된 선재를 베벨면이 포함된 이형 단면을 갖도록 압연하는 단계는, 상기 선재를 1차 두께를 갖도록 1차 압연하는 단계; 1차 압연된 상기 선재를 2차 두께 및 1차 폭을 갖도록 2차 압연하는 단계; 및 2차 압연된 상기 선재를 3차 두께와 2차 폭 및 상기 베벨면을 갖도록 3차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압연된 상기 선재를 와이어 포밍 가공을 통하여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링을 형성하는 단계는, 압연된 상기 선재를 와이어 포밍 가공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직경으로 헬리컬코일 형태로 연속 가공하는 단계; 및 연속 가공된 상기 선재를 일측이 개방된 상기 링 형태로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와이어 포밍된 상기 링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와 홀을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는, 와이어 포밍된 상기 링에 상기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를 갖도록 1차 프레스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프레스 가공된 상기 링의 양단에 상기 홀을 2차 프레스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1차 프레스 가공된 상기 링의 양단에 상기 홀을 2차 프레스 천공하는 단계는, 상기 2차 프레스 천공시 버(burr)의 방향이 상기 1차 프레스 가공된 상기 링의 버의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링을 사전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프레스 가공된 대상물을 평탄화 및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물을 복수 개로 적층 및 가압한 상태로 고정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켜 지그 템퍼링하는 단계; 지그 템퍼링을 거친 상기 대상물에 배럴(barrel) 연마를 실시하는 단계; 및 배럴 연마를 거친 상기 대상물에 인산염 피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는, 경강선 재료에 의에 형성된 선재를 베벨면이 포함된 이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압연부; 압연된 상기 선재를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링을 형성하는 와이어 포밍부; 상기 링에 대하여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와 홀을 갖도록 형성하는 프레스 가공부; 및 프레스 가공된 대상물을 평탄화 및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압연부는, 상기 선재를 1차 두께를 갖도록 1차 압연하는 제1압연부; 1차 압연된 상기 선재를 2차 두께 및 1차 폭을 갖도록 2차 압연하는 제2압연부; 및 2차 압연된 상기 선재를 3차 두께와 2차 폭 및 상기 베벨면을 갖도록 3차 압연하는 제3압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와이어 포밍부는 압연된 상기 선재를 상기 소정의 직경으로 헬리컬코일 형태로 연속 가공하고, 연속 가공된 상기 선재를 일측이 개방된 상기 링 형태로 컷팅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프레스 가공부는, 와이어 포밍된 상기 링을 상기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를 갖도록 형성하는 제1프레스 가공부; 및 상기 내경형상 및 상기 노치가 형성된 상기 링의 양단에 상기 홀을 천공하는 2차 프레스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프레스 가공부는, 상기 제2차 프레스 가공부의 가공시 버(burr)의 방향이 상기 제1차 프레스 가공부를 통하여 가공된 상기 링의 버의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링을 사전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후처리부는, 상기 대상물을 복수 개로 적층 및 가압한 상태로 고정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지그 템퍼링부; 지그 템퍼링을 거친 상기 대상물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게 구성된 배럴(barrel) 연마부; 및 배럴 연마를 거친 상기 대상물에 인산염 피막층을 형성시키는 표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하면, 경강선 재료에 의해 형성된 선재를 베벨면이 포함된 이형 단면을 갖도록 압연하고, 와이어 포밍 가공을 통하여 링을 형성한 후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내경 형상 및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베벨면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절삭가공이 수반되지 않으며, 와이어 포밍 가공을 통하여 링 형태를 제작하는 것이므로, 스크랩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고 원소재비 및 이를 위한 물류 취급의 비용도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베벨면의 형상 정밀도가 개선되며, 와이어 포밍을 통하여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베벨타입 스냅링의 일 예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베벨타입 스냅링의 제조를 위한 선재의 압연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으로,
도 3은 1차 압연 단계이고,
도 4는 2차 압연 단계이고,
도 5는 3차 압연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이어 포밍부(40)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와이어 포밍부(40)를 이용하여 압연과정을 거친 선재로 링을 제조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커팅 또는 피어싱되는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분하여 보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지그 템퍼링을 실시하기 위하여 베벨타입 스냅링(6)을 가압 적층한 상태(7)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성형된 베벨타입 스냅링(10)의 평탄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70)를 보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성형된 베벨타입 스냅링(10)의 치수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장치(80)를 보인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제조방법에 의한 베벨타입 스냅링과 기존의 제조방법에 의한 베벨타입 스냅링의 스크랩 생성 결과를 비교하여 보인 도표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는 기존의 베벨타입 스냅링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재를 원소재로 하여 프레스 또는 CNC가공하여 베벨 형상 및 링을 만드는 기존의 방식 대신, 선재의 원소재로서 베벨면을 갖도록 미리 압연에 의해 형성하고 와이어 포밍을 거쳐 링을 만듦으로써 노칭 가공 전까지 스크랩이 근본적으로 발생되지 않는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기술로서, 테이퍼 형상을 갖는 고정밀의 드로잉 또는 압연공정과,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는 와이어 포밍(wire forming), 스냅링의 내경형상 및 노치를 마련하기 위한 프레스 공정, 평탄화 및 표면의 후처리와 관련된 공정 및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검사공정 등이 제시되었다.
도 1과 같이, 베벨타입 스냅링(10)은 노치형상부(11) 및 천공홀(12)가 포함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스냅링과 달리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퍼 형태의 베벨면(11)을 포함한다. 이러한 베벨타입 스냅링(10)은 자동차용 터보차저 엔진의 터빈측 하우징과 컴프레서측 하우징을 연결하여 주는 기능과 베벨면(11)에 의하여 진동 및 소음저감 등의 완충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벨타입 스냅링(10)은 인접 또는 접촉 상대물과의 마찰이나 충격으로부터 내마모성 및 복원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형상 면에서, 제작된 일 예의 베벨타입 스냅링(10)은 베벨면(11)의 높이 1.78±0.80㎜, 베벨면(11)의 각도 15±3°를 갖도록 설계되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과정은 압연단계(S10), 와이어 포밍 단계(S20), 프레스 가공 단계(S30) 및 후처리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단계의 구현을 위한 장비나 대상물의 상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압연단계(S10)는 경강선 재료에 의해 형성된 선재를 앞서 설명한 베벨면이 포함된 이형 단면을 갖도록 압연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베벨타입 스냅링의 재료는 판재를 이용하는 것과 달리 SWRH62B 또는 SWRH72B 계열의 경강선재를 이용할 수 있다. 판재를 원소재로 사용하는 기존의 방식의 경우 탄소강(SK5M)을 사용하는 것으로 압연에는 부적합한 반면, SWRH62B 또는 SWRH72B 계열의 경강선재는 유사한 탄소량을 보유하나 연신율에 있어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압연단계(S10)에서는 통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경강선재를 압연을 실시하여 스냅링을 제조하기 위한 베벨면을 갖는 이형 단면의 소재로 변환시킨다. 이를 위하여, 압연단계(S10)는, 선재(1)를 제1압연부(31)를 이용하여 1차 두께를 형성하는 단계(도 3 참조)와, 1차 압연된 선재(2)를 제2압연부(32)를 이용하여 2차 두께 및 1차 폭을 갖도록 2차 압연하는 단계(도 4 참조) 및, 2차 압연된 선재(3)를 제3압연부(33)를 이용하여 3차 두께와 2차 폭 및 베벨면(3a)을 갖도록 3차 압연하는 단계(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압연부(33)는 최종적으로 베벨면(3a)을 형성하기 위한 베벨면 성형부(33a)를 갖는다. 이러한 제1압연부(31), 제2압연부(32) 및 제3압연부(33)는 연속 공정이 용이하도록 상호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압연단계(S10)에서는 베벨면의 각도 및 단면형상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절한 공구가 적용될 수 있다.
압연단계(S10)를 통하여 소재는 베벨면을 갖는 이형 단면의 선재가 된다. 다음으로, 와이어 포밍 단계(S20)에서는 와이어 포밍부(40, 도 6 참조)에 의하여 압연된 선재를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링 형태로 제작한다. 와이어 포밍 단계(S20)는 압연된 선재를 와이어 포밍 가공에 의하여 소정의 직경으로 헬리컬 코일 형태로 연속 가공하는 단계(S21)와, 연속 가공된 선재를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로 컷팅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포밍부(40)는 언코일러 및 피더 유니트, 레벨러, 서보 모터, 피치 슬라이드 유니트, 컷팅부 등을 갖출 수 있다(도 6에서 상세한 지시부호는 생략됨). 도 이에 의하여, 도 7과 같이, 선재를 소정의 직경으로 헬리컬 형태의 연속 가공물(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정 길이로 컷팅하여 일측이 개방된 링(5)을 제작한다. 연속 가공물(4) 및 링(5) 모두 앞서의 압연단계(S10)를 거치는 동안 형성된 베벨면(4a, 5a)을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와이어 포밍 단계(S20)에서 선형의 소재가 링 형태로 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측의 압축 응력 및 외측의 인장 응력에 따라 내측이 두꺼워지고 외측이 얇아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압연단계(S10)의 최종 두께나 폭 등을 와이어 포밍이 이루어진 최종 치수에 맞게 가공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압연단계(S10)의 선재의 최종 치수는 와이어 포밍 단계(S20)를 거쳤을 때의 최종 치수를 맞추기 위하여 가변 또는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 포밍 단계(S20)를 위한 와이어 포밍부(40)는 베벨면을 갖는 링 소재를 만들기 위한 전용 설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연속 가공된 헬리컬 형태의 링을 제작하기 위한 속도(feed), 피치(pitch), 각 축의 위치나 작업조건을 설정하여 최적의 베벨면을 갖는 링을 형성한다.
와이어 포밍이 완료된 링(4, 5)은 다음으로 프레스 가공 단계(S30)를 거치도록 한다. 프레스 가공 단계(S30)에서는 와이어 포밍된 링에 대하여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와 홀을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프레스 가공 단계(S30)는 컷팅된 링(5)에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를 갖도록 1차 프레스를 실시하는 단계(S31)와, 1차 프레스 가공된 링의 양단에 홀을 천공하는 2차 프레스 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8과 같이, 이미 베벨면(5a)이 형성된 링(5)의 외주에서는 커팅되는 부분이 거의 없으며, 내주 쪽에 노치를 형성하기 위한 컷아웃부(5b) 및 모따기 부분(5c)이 스크랩으로 생성된다. 1차 프레스를 실시하는 단계(S31) 단계 이후, 컷아웃부(5b) 및 모따기 부분(5c)에 발생하는 버(burr)가 2차 프레스 단계(S33)에서 홀(5d)을 천공할 때 발생하는 버와 방향이 엇갈리지 않도록, 1차 프레스 단계(S31)와 2차 프레스 단계(S33) 사이에는 링(5)을 사전 정렬시키는 단계(S3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전 정렬부는 1차 프레스에서 링이 일정한 방향으로 취출되어 방향이 엇갈리지 않도록 가이드되도록 하는 수단을 갖출 수 있다.
후처리 단계(S40)에서는 프레스 가공된 대상물을 평탄화 및 표면처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후처리 단계(S40)에는, 도 9와 같이, 베벨타입의 스냅링 형태로 가공된 대상물(6)을 복수 개로 적층 및 가압한 상태로 고정하여(7) 템퍼링로를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유지시켜 지그 템퍼링을 실시하는 단계(S41)와, 지그 템퍼링을 거친 대상물에 배럴(barrel) 연마를 실시하며(S42), 연마를 거친 대상물에 인산염 피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43)가 포함될 수 있다.
지그 템퍼링 단계(S41)를 통하여 일정기준의 평탄도(예: 0.2 ㎜)를 확보하며 제품의 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지그템퍼링 온도(℃) : 300 ~ 350, 유지시간(hr) : 1 ~ 5
배럴 연마 단계(S42)에서는 표면 산화나 제품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 처리 전의 일정한 조도 품질을 확보한다. 피막층의 형성 단계(S43)는 내부식성을 가지면서도 제품의 외관 및 도막의 두께를 갖는 최종 제품을 얻도록 구성된다.
소재가 기존의 탄소강으로부터 SWRH62B 또는 SWRH72B 계열로 변경됨에 따라 열처리 조건을 적합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아래의 표 1 참조).
Austenitizing
Temperature(℃)
Austenitizing
Time(min)
Austempering
Temperature(℃)
Austempering
Time(min)
830 ~ 880 10 300 ~ 350 10 ~ 100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성형된 베벨타입 스냅링(10)의 평탄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70)를 보인 사진이다.
평탄도의 검사를 위하여, 검사장치(70)는 슬롯 상에 광센서가 장착된 테이블 상을 제조된 스냅링(10)이 테이블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감지함으로써 평탄도가 측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성형된 베벨타입 스냅링(10)의 치수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장치(80)를 보인 사진이다.
치수의 검사를 위하여, 검사장치(80)는 취급이 용이하도록 자성을 갖는 치구(10)를 광센서에 의해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검사장비(70, 80) 외에도 제품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제조방법에 의한 베벨타입 스냅링과 기존의 제조방법에 의한 베벨타입 스냅링의 스크랩 생성 결과를 비교하여 보인 도표이다.
동일한 치수를 갖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프레스 가공 및 CNC 가공을 활용한 기존의 방법에 의하면 투입소재가 0.18 kg 인 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제조방법에 의하면 0.06kg 으로서 1/3 수준이며, 스크랩의 발생도 0.146kg 에서 0.026kg으로 1/5 미만이다. 따라서, 재료의 이용률도 기존의 방법에 의하면 18.9%이나 본 발명과 관련된 방법에 의하면 56.7%로서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 선재 2: 1차 압연된 선재
3: 2차 압연된 선재 3a: 베벨면
4: 헬리컬 형태의 링 5: 컷팅된 링
7: 지그 템퍼링 적층체
10: 베벨타입 스냅링 11: 노치
12: 천공홀 13: 베벨면
31: 제1압연부 32: 제2압연부
33: 제3압연부 40: 와이어 포밍부
70: 평탄도 검사부 80: 치수 검사부

Claims (14)

  1. 경강선 재료에 의해 형성된 선재를 베벨면이 포함된 이형 단면을 갖도록 압연하는 단계;
    압연된 상기 선재를 와이어 포밍 가공을 통하여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링을 형성하는 단계;
    와이어 포밍된 상기 링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와 홀을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 및
    프레스 가공된 대상물을 평탄화 및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강선 재료는 SWRH62B 또는 SWRH72B 계열을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강선 재료에 의에 형성된 선재를 베벨면이 포함된 이형 단면을 갖도록 압연하는 단계는,
    상기 선재를 1차 두께를 갖도록 1차 압연하는 단계;
    1차 압연된 상기 선재를 2차 두께 및 1차 폭을 갖도록 2차 압연하는 단계; 및
    2차 압연된 상기 선재를 3차 두께와 2차 폭 및 상기 베벨면을 갖도록 3차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된 상기 선재를 와이어 포밍 가공을 통하여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링을 형성하는 단계는,
    압연된 상기 선재를 와이어 포밍 가공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직경으로 헬리컬코일 형태로 연속 가공하는 단계; 및
    연속 가공된 상기 선재를 일측이 개방된 상기 링 형태로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포밍된 상기 링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와 홀을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는,
    와이어 포밍된 상기 링에 상기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를 갖도록 1차 프레스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프레스 가공된 상기 링의 양단에 상기 홀을 2차 프레스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프레스 가공된 상기 링의 양단에 상기 홀을 2차 프레스 천공하는 단계는,
    상기 2차 프레스 천공시 버(burr)의 방향이 상기 1차 프레스 가공된 상기 링의 버의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링을 사전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가공된 대상물을 평탄화 및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물을 복수 개로 적층 및 가압한 상태로 고정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켜 지그 템퍼링하는 단계;
    지그 템퍼링을 거친 상기 대상물에 배럴(barrel) 연마를 실시하는 단계; 및
    배럴 연마를 거친 상기 대상물에 인산염 피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
  8. 경강선 재료에 의해 형성된 선재를 베벨면이 포함된 이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압연부;
    압연된 상기 선재를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링을 형성하는 와이어 포밍부;
    상기 링에 대하여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와 홀을 갖도록 형성하는 프레스 가공부; 및
    프레스 가공된 대상물을 평탄화 및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강선 재료는 SWRH62B 또는 SWRH72B 계열을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부는,
    상기 선재를 1차 두께를 갖도록 1차 압연하는 제1압연부;
    1차 압연된 상기 선재를 2차 두께 및 1차 폭을 갖도록 2차 압연하는 제2압연부; 및
    2차 압연된 상기 선재를 3차 두께와 2차 폭 및 상기 베벨면을 갖도록 3차 압연하는 제3압연부를,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포밍부는 압연된 상기 선재를 상기 소정의 직경으로 헬리컬코일 형태로 연속 가공하고, 연속 가공된 상기 선재를 일측이 개방된 상기 링 형태로 컷팅할 수 있게 구성된,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가공부는,
    와이어 포밍된 상기 링을 상기 소정의 내경형상 및 노치를 갖도록 형성하는 제1프레스 가공부; 및
    상기 내경형상 및 상기 노치가 형성된 상기 링의 양단에 상기 홀을 천공하는 2차 프레스 가공부를,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가공부는,
    상기 제2차 프레스 가공부의 가공시 버(burr)의 방향이 상기 제1차 프레스 가공부를 통하여 가공된 상기 링의 버의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링을 사전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는,
    상기 대상물을 복수 개로 적층 및 가압한 상태로 고정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지그 템퍼링부;
    지그 템퍼링을 거친 상기 대상물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게 구성된 배럴(barrel) 연마부; 및
    배럴 연마를 거친 상기 대상물에 인산염 피막층을 형성시키는 표면처리부를,
    포함하는,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장치.

KR1020190111325A 2019-09-09 2019-09-09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412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25A KR102412261B1 (ko) 2019-09-09 2019-09-09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25A KR102412261B1 (ko) 2019-09-09 2019-09-09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976A true KR20210029976A (ko) 2021-03-17
KR102412261B1 KR102412261B1 (ko) 2022-06-24

Family

ID=7524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325A KR102412261B1 (ko) 2019-09-09 2019-09-09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2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937A (ja) * 2002-07-08 2003-03-25 Chuo Spring Co Ltd 止め輪
KR100854628B1 (ko) * 2007-08-20 2008-08-27 이수홍 배관연결용 금속링의 제조방법 및 그 금속링
JP2015208755A (ja) * 2014-04-24 2015-11-24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異形鋼線コイル、異形鋼線の製造方法、及び異形鋼線の製造装置
KR101776615B1 (ko) * 2016-01-28 2017-09-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레스 소성 가공을 이용한 베벨형 스냅링 제조 방법, 이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프레스 금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베벨형 스냅링
KR20170127828A (ko) * 2016-05-13 2017-11-22 주식회사 세븐이엔지 연성 회로기판용 부자재의 성형 금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937A (ja) * 2002-07-08 2003-03-25 Chuo Spring Co Ltd 止め輪
KR100854628B1 (ko) * 2007-08-20 2008-08-27 이수홍 배관연결용 금속링의 제조방법 및 그 금속링
JP2015208755A (ja) * 2014-04-24 2015-11-24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異形鋼線コイル、異形鋼線の製造方法、及び異形鋼線の製造装置
KR101776615B1 (ko) * 2016-01-28 2017-09-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레스 소성 가공을 이용한 베벨형 스냅링 제조 방법, 이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프레스 금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베벨형 스냅링
KR20170127828A (ko) * 2016-05-13 2017-11-22 주식회사 세븐이엔지 연성 회로기판용 부자재의 성형 금형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참고자료 1) Standardized Products, ㈜ 세창 영문홈페이지 (인터넷 다운로드) (URL:http://www.snapringkorea.com/en/doc/product1.php) (2016.9.13. 게시) 1부.* *
Manufacturing Process Flow, ㈜ 세창 영문홈페이지 (인터넷 다운로드) (URL:http://www.snapringkorea.com/en/doc/process2.php) (2016.9.13. 게시)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261B1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2524B2 (en) Method for processing precision forging of bearing ring
JP4506129B2 (ja) 転がり軸受軌道輪の製造方法転がり軸受軌道輪の製造装置転がり軸受
US10022770B2 (en) Method and tool for precision cutting
KR101367051B1 (ko) 냉간 압출을 이용한 헬리컬 기어의 제조 방법
US4446351A (en) Process for preparing a press die
CN107931986B (zh) 一种具有单侧法兰的轴承外圈的加工方法
JPH0581337B2 (ko)
KR102412261B1 (ko) 베벨타입 스냅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613916B1 (ko) 리니어 가이드의 레일용 소재, 리니어 가이드용 레일,리니어 가이드의 레일 제조 방법 및 리니어 가이드
EP2735755B1 (en) Disc spr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09050859A (ja) 2つの部品、例えばインナー部品とアウター部品の製造方法
CN113458720B (zh) 金属构件的制造方法
CN108044387B (zh) 一种定位块车加工夹具及精冲成形方法
WO2022163642A1 (ja) プレス成形品、転がり軸受、車両、機械、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転がり軸受の製造方法、車両の製造方法及び機械の製造方法
CN108058000B (zh) 一种zc型蜗杆-蜗轮副的加工方法
US6990738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miniature ball bearings
KR101449270B1 (ko) 헬리컬 기어 후가공 공정을 포함하는 헬리컬 기어 제조방법
JP2001105086A (ja) 鍛造用金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47738A (ja) スラストころ軸受の保持器の製造方法
US7000320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miniature ball bearings
CN101275532B (zh) 一种起动机驱动轴的制造方法
CN113329830B (zh) 筒状旋转部件、其制造方法以及模具
CN111097975B (zh) 用于制造正齿轮制齿的工件的方法以及正齿轮制齿的工件
CN113814675B (zh) 一种钳式夹具制造方法
CN112372255B (zh) 一种阻尼碗的加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