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438A -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438A
KR20210029438A KR1020190110661A KR20190110661A KR20210029438A KR 20210029438 A KR20210029438 A KR 20210029438A KR 1020190110661 A KR1020190110661 A KR 1020190110661A KR 20190110661 A KR20190110661 A KR 20190110661A KR 20210029438 A KR20210029438 A KR 20210029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vibrating body
groove
probe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4391B1 (ko
Inventor
박준호
윤덕환
조윤석
Original Assignee
그린스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스펙(주) filed Critical 그린스펙(주)
Priority to KR102019011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3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probe) 조립용 지그(jig)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400)는, 3단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410)와, 상기 외부케이스(4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튜브(tube) 형상의 PZT 진동체(420)와,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측에 결합되는 픽서-세퍼레이터(Fixer-Separator)(430)와,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에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PZT 진동체(420) 내부를 통과하게 배치된 광섬유(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케이스(410), PZT 진동체(420),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광섬유(440)를 각각 단계 별로 조립하여 상기 프로브(400)를 제작할 때, 상기 지그는 상기 외부케이스(410), PZT 진동체(420),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광섬유(440)를 각각의 프로브 제작 단계에서 얼라인먼트(alignment)하고 동축을 이루도록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Jig for probe assembly and probe assembly method using jig for probe assembly}
본 발명은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프로브 제작 단계에서 외부케이스와, PZT 진동체와, 픽서-세퍼레이터(Fixer-Separator) 및 광섬유를 얼라인먼트(alignment)하고, 동축을 이루도록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프로브란, 광섬유를 사용하여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장비로서, 촬영대상에 접근 및 조작이 용이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장비의 소형화가 용이하여, 의료용 프로브 및 내시경의 스캐너로 그 활용도가 높다.
이러한, 광섬유 프로브는, 일반적으로, 광섬유의 일단에 광섬유를 진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광섬유의 타단에 빔을 집속시키는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프로브는 폴리곤 미러, 갈바노 미러, MEMS 미러를 이용한 방법 등 구조적으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피사체의 단층 촬영을 하기 위하여 프로브에 광섬유를 적용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광섬유를 이용한 프로브는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광섬유와 구동수단 및 렌즈를 동일한 동축선상에 맞춰 조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로브 제작 시 프로브를 이루는 각각의 부품들을 얼라인먼트하고, 동축을 이루어 조립될 수 있도록 발명된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1287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8327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13429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348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31751호 미국특허 출원번호 US.10880008(2009.11.10 등록) 미국특허 출원번호 US.09994377(2005.02.15 등록) 일본특허 출원번호 JP.23011370(2012.08.16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프로브 제작 단계에서 외부케이스와, PZT 진동체와, 픽서-세퍼레이터(Fixer-Separator) 및 광섬유를 얼라인먼트(alignment)하고, 동축을 이루도록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브(probe) 조립용 지그(jig)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400)는, 3단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410)와, 상기 외부케이스(4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튜브(tube) 형상의 PZT 진동체(420)와,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측에 결합되는 픽서-세퍼레이터(Fixer-Separator)(430)와,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에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PZT 진동체(420) 내부를 통과하게 배치된 광섬유(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케이스(410), PZT 진동체(420),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광섬유(440)를 각각 단계 별로 조립하여 상기 프로브(400)를 제작할 때, 상기 지그는 상기 외부케이스(410), PZT 진동체(420),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광섬유(440)를 각각의 프로브 제작 단계에서 얼라인먼트(alignment)하고 동축을 이루도록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지그는, 상기 PZT 진동체(420)와 픽서-세퍼레이터(430)를 가조립된 상태로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한 제1 지그 어셈블리(100)와, 조립된 상기 PZT 진동체(420) 및 픽서-세퍼레이터(430)와 상기 광섬유(440)를 가조립된 상태로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한 제2 지그 어셈블리(200)와, 조립된 상기 PZT 진동체(420),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상기 광섬유(440)와 상기 외부케이스(410)를 가조립된 상태로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한 제3 지그 어셈블리(3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지그 어셈블리(100)는 고정지지대(110)와,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가압커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대(110)에는 상기 고정지지대(110)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PZT 진동체(420)가 삽입되는 지지안내구멍(111)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하방에서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내입된 제1끼움홈(121)과, 상기 제1끼움홈(121)의 바닥면(121a)에서 더 내입되어 상기 지지안내구멍(111)을 통해 삽입된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가 배치 고정되는 구속홈(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커버(130)에는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상부에서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내입된 제2끼움홈(131)과, 상기 제2끼움홈(131)의 바닥면(131a)에서 더 내입되어 상기 지지안내구멍(111)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지지대(110)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PZT 진동체(420)의 끝단과 접촉 지지되는 제1지지홈(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지그 어셈블리(200)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PZT 진동체(420)를 고정시키는 제1 홀더부(220)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섬유(440)의 끝단과 맞닿아 광섬유(44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바닥면에는 상기 강화유리(230)를 구비하기 위해 내입된 결합홈(211)이 형성되되, 상기 제1 홀더부(220)에는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제2지지홈(221)과, 상기 제2지지홈(221)의 바닥면(221a)에서 상기 광섬유(4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웨이(way)를 형성하면서 상기 결합홈(2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광섬유 통과홀(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에는 상기 결합홈(211)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바닥면에서 삽입하여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21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양측면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결합홈(211)과 광섬유 통과홀(222)이 연통되는 유동홀(2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는, 제3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제3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410)의 프론트 케이스(4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지홈(321)이 형성된 제2홀더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는, 상기 PZT 진동체(42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조립 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홀더부(320)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되어 상기 PZT 진동체(420)를 고정시키는 제1 결합부품(3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홀더부(320)에 삽입되도록 내경이 상기 제2홀더부(32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내입된 제3끼움홈(331)과, 상기 제3끼움홈(331)의 바닥면(331a)에서 내입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입홈(332)과, 상기 내입홈(332)의 바닥면(332a)에서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의 상부면까지 관통됨으로써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지 고정되는 제3지지홈(3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와 미들 케이스(412)의 조립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홀더부(320)의 상부에 배치 결합되어 상기 미들 케이스(412)를 고정시키는 제2 결합부품(34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품(34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홀더부(320)에 삽입되도록 내경이 상기 제2홀더부(32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내입된 제4끼움홈(341)과, 상기 제4끼움홈(341)의 바닥면(341a)에서 상기 제2 결합부품(340)의 상부면까지 관통됨으로써 상기 미들 케이스(412)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지 고정되는 제4지지홈(3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는, 상기 미들 케이스(412)와 엔드 케이스(413)의 조립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결합부품(3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엔드 케이스(413)와 미들 케이스(412)의 상부측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5지지홈(351)이 형성되는 제3 결합부품(350)이 구비된다.
상기 프로브 조립용 지그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PZT 진동체(420)와 픽서-세퍼레이터(430)를 조립하는 제1단계(S110)와, 상기 제1단계(S110) 이후,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에 광섬유(440)를 조립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제2단계(S120) 이후, 상기 PZT 진동체(420)와 프론트 케이스(411)를 조립하는 제3단계(S130)와, 상기 제3단계(S130) 이후,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와 미들 케이스(412) 및 미들 케이스(412)와 엔드 케이스(413)를 조립하는 제4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10)는 (1-1), 상기 제1 지그 어셈블리(100)를 준비하는 단계와, (1-2),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제1끼움홈(121)에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하부측을 끼워 조립하는 단계와, (1-3),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지지안내구멍(111)에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를 삽입하여 상기 구속홈(122)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1-4),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에 본드(bond)를 도포하는 단계와, (1-5), 상기 지지안내구멍(111)에 상기 PZT 진동체(420)를 삽입하는 단계와, (1-6), 가압커버(130)의 제2끼움홈(131)에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상부측을 끼워 조립하는 단계와, (1-7), 상기 제1 지그 어셈블리(100)를 리플로우 오븐에 투입시켜 본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단계(S120)는,(2-1), 상기 제2 지그 어셈블리(200)를 준비하는 단계와, (2-2), 상기 (1-7) 단계에서 경화된 PZT 진동체(420)를 상기 제1홀더부(220)의 제2지지홈(221)에 삽입하는 단계와, (2-3),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의 광섬유 고정홀(431a)에 광섬유(440)를 삽입하는 단계와, (2-4), 상기 광섬유 고정홀(431a)에 삽입된 광섬유(440)의 끝단(441)이 상기 강화유리(230)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길이를 조정하는 단계와, (2-5), 상기 광섬유 고정홀(431a)에 본드를 도포하는 단계와, (2-6), 상기 제2 지그 어셈블리(200)를 리플로우 오븐에 투입시켜 본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단계(S130)는, (3-1),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를 준비하는 단계와, (3-2), 상기 제2홀더부(320)의 파지홈(321)에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를 삽입하는 단계와, (3-3),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와 상기 PZT 진동체(420)의 끝단면이 접촉되는 프론트 케이스(411)의 부착홈(411a)에 본드를 도포하는 단계와, (3-4),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부착홈(411a)에 상기 (2-6) 단계에서 경화된 PZT 진동체(420)의 끝단면을 접촉시켜 구비하는 단계와, (3-5),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의 제3끼움홈(331)에 상기 제2홀더부(320)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단계와, (3-6),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이 조립된 상태에서 리플로우 오븐에 투입시켜 본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4단계(S140)는, (4-1), 상기 (3-6)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을 제거하는 단계와, (4-2),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와 미들 케이스(412)가 끼움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411)의 제1결합부(411b)에 본드를 도포하는 단계와, (4-3),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제1결합부(411b)와 대응되는 상기 미들 케이스(412)의 제2결합부(412a)를 접촉시켜 구비하는 단계와, (4-4), 상기 제2 결합부품(340)의 제4끼움홈(341)에 상기 제2홀더부(320)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단계와, (4-5), 상기 미들 케이스(412)와 엔드 케이스(413)가 끼움 결합되는 미들 케이스(412)의 제3결합부(412b)에 본드를 도포하는 단계와, (4-6), 상기 미들 케이스(412)의 제3결합부(412b)와 대응되는 상기 엔드 케이스(413)의 제4결합부(413a)를 접촉시켜 구비하는 단계와, (4-7), 상기 제3 결합부품(350)의 제5지지홈(351)에 상기 엔드 케이스(413)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단계와, (4-8), 상기 제2 결합부품(340)과 제3 결합부품(350)이 조립된 상태에서 리플로우 오븐에 투입시켜 본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브 조립용 지그를 이용하여 프로브를 조립하여 제조함으로써 동축을 이루는 프로브를 통해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지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지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3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2홀더 및 제1결합부품이 결합된 제3 지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3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2홀더와 제2결합부품 및 제3결합부품이 결합된 제3 지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용 지그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의 공정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PZT 진동체와 픽서-세퍼레이터를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픽서-세퍼레이터에 광섬유를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PZT 진동체와 프론트 케이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와 미들 케이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들 케이스와 엔드 케이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지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지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3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2홀더 및 제1결합부품이 결합된 제3 지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3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2홀더와 제2결합부품 및 제3결합부품이 결합된 제3 지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용 지그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의 공정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PZT 진동체와 픽서-세퍼레이터를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픽서-세퍼레이터에 광섬유를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PZT 진동체와 프론트 케이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와 미들 케이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들 케이스와 엔드 케이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이다.
첨부된 도 1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400)는, 3단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410)와, 상기 외부케이스(4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튜브(tube) 형상의 PZT 진동체(420)와,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측에 결합되는 픽서-세퍼레이터(Fixer-Separator)(430)와,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에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PZT 진동체(420) 내부를 통과하게 배치된 광섬유(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410)는 내부에 렌즈가 실장되는 프론트 케이스(411)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일측에 결합되는 미들 케이스(412)와, 상기 미들 케이스(412)의 일측에 결합되어 광섬유(440)가 관통되는 엔드 케이스(4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 미들 케이스(412) 및 엔드 케이스(413)는 원통형상으로 외경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미들 케이스(412)는 미들 케이스(412)의 타단부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된 제2결합부(41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412a)의 외경은 상기 미들 케이스(412)의 외경과 일치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일단부 외측면의 외주면은 상기 제2결합부(412a)에 대응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내입된 제1결합부(411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부(412a)의 내경과 제1결합부(411b)의 외경이 일치함에 따라 상기 제2결합부(412a)와 제1결합부(411b)는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일단부 외측면은 상기 PZT 진동체(420)의 타단부 외측면이 결합되는 부착홈(41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착홈(411a)의 내경은 상기 PZT 진동체(420)의 외경과 일치한다.
즉, 상기 부착홈(411a)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일단부 외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PZT 진동체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소정깊이 내입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엔드 케이스(413)는 엔드 케이스(413)의 타단부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된 제4결합부(413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결합부(413a)의 외경은 상기 엔드 케이스(413)의 외경과 일치한다.
그리고 상기 미들 케이스(412)는 미들 케이스(412)의 일단부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된 제3결합부(412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결합부(412b)의 내경은 상기 미들 케이스(412)의 내경과 일치하고, 상기 제4결합부(413a)의 내경이 제3결합부(412b)의 외경과 일치함에 따라 끼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픽서-세퍼레이터(Fixer-Separator)(430)는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단부 외측면에 접촉되는 광섬유 고정부(431)와, 상기 광섬유 고정부(431)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PZT 진동체(420) 내에 구비되는 주파수 분리부(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섬유 고정부(413)는 타단부 외측면의 테두리부에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단부 외측면이 결합되며,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고정부(413)에는 상기 광섬유(440)가 관통되어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광섬유 고정홀(4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파수 분리부(432)에는 상기 광섬유(440)를 감싸면서 이격되도록 형성된 주파수 분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ZT 진동체(420)의 타단부 외측면은 상기 부착홈(411a)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PZT 진동체(420)는 압전소자(PZT)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의 전극이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상, 하, 좌, 우로 진동한다.
이때, 상기 PZT 진동체(420)는 PbZr04와 같은 압전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440)는 광 신호를 수신하며 타측의 끝단(441)이 자유단이고 길이 중간이 상기 광섬유 고정홀(431a)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410), PZT 진동체(420),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광섬유(440)를 각각 단계 별로 조립하여 상기 프로브(400)를 제작할 때, 상기 지그는 상기 외부케이스(410), PZT 진동체(420),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광섬유(440)를 각각의 프로브 제작 단계에서 얼라인먼트(alignment)하고 동축을 이루도록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그는, 제1 지그 어셈블리(100)와, 제2 지그 어셈블리(200) 및 제3 지그 어셈블리(300)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지그 어셈블리(100)는 상기 PZT 진동체(420)와 픽서-세퍼레이터(430)를 가조립된 상태로 거치 및 고정시켜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지그 어셈블리(200)는 조립된 상기 PZT 진동체(420) 및 픽서-세퍼레이터(430)와 상기 광섬유(440)를 가조립된 상태로 거치 및 고정시켜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는 조립된 상기 PZT 진동체(420),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상기 광섬유(440)와 상기 외부케이스(410)를 가조립된 상태로 거치 및 고정시켜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지그 어셈블리(100)는, 고정지지대(110)와,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가압커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대(110)에는, 상기 고정지지대(110)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PZT 진동체(420)가 삽입되는 지지안내구멍(111)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하방에서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내입된 제1끼움홈(121)과, 상기 제1끼움홈(121)의 바닥면(121a)에서 더 내입되어 상기 지지안내구멍(111)을 통해 삽입된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가 배치 고정되는 구속홈(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커버(130)에는,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상부에서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내입된 제2끼움홈(131)과, 상기 제2끼움홈(131)의 바닥면(131a)에서 더 내입되어 상기 지지안내구멍(111)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지지대(110)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PZT 진동체(420)의 끝단과 접촉 지지되는 제1지지홈(13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제1끼움홈(121)의 내경 및 상기 가압커버(130)의 제2끼움홈(131)의 내경은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지지안내구멍(111)의 내경은 상기 PZT 진동체(420)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길이 L1은 상기 PZT 진동체(420)의 길이 L2 보다 작게 (L1<L2)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의 광섬유 고정부(131)의 길이 L3은 상기 구속홈(122)의 깊이 h1 보다 크게 (L3>h1)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안내구멍(111)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PZT 진동체(420)의 길이 L4는 상기 제1지지홈(132)의 깊이 h2 보다 크게 (L4>h2)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지그 어셈블리(200)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PZT 진동체(420)를 고정시키는 제1 홀더부(220)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섬유(440)의 끝단과 맞닿아 광섬유(44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바닥면에는 상기 강화유리(230)를 구비하기 위해 내입된 결합홈(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홀더부(220)에는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제2지지홈(221)과, 상기 제2지지홈(221)의 바닥면(221a)에서 상기 광섬유(4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웨이(way)를 형성하면서 상기 결합홈(2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광섬유 통과홀(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에는 상기 결합홈(211)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바닥면에서 삽입하여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2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양측면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결합홈(211)과 광섬유 통과홀(222)이 연통되는 유동홀(2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는, 제3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제3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410)의 프론트 케이스(4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지홈(321)이 형성된 제2홀더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는, 상기 PZT 진동체(42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조립 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홀더부(320)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되어 상기 PZT 진동체(420)를 고정시키는 제1 결합부품(3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홀더부(320)에 삽입되도록 내경이 상기 제2홀더부(32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내입된 제3끼움홈(331)과, 상기 제3끼움홈(331)의 바닥면(331a)에서 내입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입홈(332)과, 상기 내입홈(332)의 바닥면(332a)에서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의 상부면까지 관통됨으로써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지 고정되는 제3지지홈(3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입홈(332)의 내경 d1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외경 d2 보다 크게 (d1>d2)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와 미들 케이스(412)의 조립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홀더부(320)의 상부에 배치 결합되어 상기 미들 케이스(412)를 고정시키는 제2 결합부품(34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품(34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홀더부(320)에 삽입되도록 내경이 상기 제2홀더부(32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내입된 제4끼움홈(341)과, 상기 제4끼움홈(341)의 바닥면(341a)에서 상기 제2 결합부품(340)의 상부면까지 관통됨으로써 상기 미들 케이스(412)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지 고정되는 제4지지홈(3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는, 상기 미들 케이스(412)와 엔드 케이스(413)의 조립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결합부품(3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엔드 케이스(413)와 미들 케이스(412)의 상부측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5지지홈(351)이 형성되는 제3 결합부품(350)이 구비된다.
한편, 첨부된 도 7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 조립용 지그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은, 상기 PZT 진동체(420)와 픽서-세퍼레이터(430)를 조립하는 제1단계(S110)와, 상기 제1단계(S110) 이후,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에 광섬유(440)를 조립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제2단계(S120) 이후, 상기 PZT 진동체(420)와 프론트 케이스(411)를 조립하는 제3단계(S130)와, 상기 제3단계(S130) 이후,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와 미들 케이스(412) 및 미들 케이스(412)와 엔드 케이스(413)를 조립하는 제4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계(S110)는, (1-1), 상기 제1 지그 어셈블리(100)를 준비하는 단계와, (1-2),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제1끼움홈(121)에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하부측을 끼워 조립하는 단계와, (1-3),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지지안내구멍(111)에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를 삽입하여 상기 구속홈(122)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1-4),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에 본드(bond)를 도포하는 단계와, (1-5), 상기 지지안내구멍(111)에 상기 PZT 진동체(420)를 삽입하는 단계와, (1-6), 가압커버(130)의 제2끼움홈(131)에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상부측을 끼워 조립하는 단계와, (1-7), 상기 제1 지그 어셈블리(100)를 리플로우 오븐에 투입시켜 본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계(S120)는, (2-1), 상기 제2 지그 어셈블리(200)를 준비하는 단계와, (2-2), 상기 (1-7) 단계에서 경화된 PZT 진동체(420)를 상기 제1홀더부(220)의 제2지지홈(221)에 삽입하는 단계와, (2-3),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의 광섬유 고정홀(431a)에 광섬유(440)를 삽입하는 단계와, (2-4), 상기 광섬유 고정홀(431a)에 삽입된 광섬유(440)의 끝단(441)이 상기 강화유리(230)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길이를 조정하는 단계와, (2-5), 상기 광섬유 고정홀(431a)에 본드를 도포하는 단계와, (2-6), 상기 제2 지그 어셈블리(200)를 리플로우 오븐에 투입시켜 본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2-6단계 이전에, 상기 리플로우 오븐 내부에 상기 광섬유(4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광섬유 행거(미도시)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3단계(S130)는, (3-1),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를 준비하는 단계와, (3-2), 상기 제2홀더부(320)의 파지홈(321)에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를 삽입하는 단계와, (3-3),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와 상기 PZT 진동체(420)의 끝단면이 접촉되는 프론트 케이스(411)의 부착홈(411a)에 본드를 도포하는 단계와, (3-4),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부착홈(411a)에 상기 (2-6) 단계에서 경화된 PZT 진동체(420)의 끝단면을 접촉시켜 구비하는 단계와, (3-5),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의 제3끼움홈(331)에 상기 제2홀더부(320)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단계와, (3-6),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이 조립된 상태에서 리플로우 오븐에 투입시켜 본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4단계(S140)는, (4-1), 상기 (3-6)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을 제거하는 단계와, (4-2),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와 미들 케이스(412)가 끼움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411)의 제1결합부(411b)에 본드를 도포하는 단계와, (4-3),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제1결합부(411b)와 대응되는 상기 미들 케이스(412)의 제2결합부(412a)를 접촉시켜 구비하는 단계와, (4-4), 상기 제2 결합부품(340)의 제4끼움홈(341)에 상기 제2홀더부(320)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단계와, (4-5), 상기 미들 케이스(412)와 엔드 케이스(413)가 끼움 결합되는 미들 케이스(412)의 제3결합부(412b)에 본드를 도포하는 단계와, (4-6), 상기 미들 케이스(412)의 제3결합부(412b)와 대응되는 상기 엔드 케이스(413)의 제4결합부(413a)를 접촉시켜 구비하는 단계와, (4-7), 상기 제3 결합부품(350)의 제5지지홈(351)에 상기 엔드 케이스(413)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단계와, (4-8), 상기 제2 결합부품(340)과 제3 결합부품(350)이 조립된 상태에서 리플로우 오븐에 투입시켜 본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제1 지그 어셈블리 110 : 고정지지대
111 : 지지안내구멍 120 : 제1 베이스 플레이트
121 : 제1끼움홈 122 : 구속홈
130 : 가압커버 131 : 제2끼움홈
132 : 제1지지홈 200 : 제2 지그 어셈블리
210 : 제2 베이스 플레이트 211 : 결합홈
212 : 커버 플레이트 213 : 유동홀
220 : 제1홀더부 221 : 제2지지홈
222 : 광섬유 통과홀 230 : 강화유리
300 : 제3 지그 어셈블리 310 : 제3 베이스 플레이트
320 : 제2홀더부 321 : 파지홈
330 : 제1결합부품 331 : 제3끼움홈
332 : 내입홈 333 : 제3지지홈
340 : 제2 결합부품 341 : 제4끼움홈
342 : 제4지지홈 350 : 제3 결함부품
351 : 제5지지홈 400 : 프로브
410 : 외부케이스 411 : 프론트 케이스
412 : 미들 케이스 413 : 엔드 케이스
420 : PZT 진동체 430 : 픽서-세퍼레이터
440 : 광섬유

Claims (15)

  1. 프로브(probe) 조립용 지그(jig)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400)는, 3단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410)와, 상기 외부케이스(4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튜브(tube) 형상의 PZT 진동체(420)와,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측에 결합되는 픽서-세퍼레이터(Fixer-Separator)(430)와,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에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PZT 진동체(420) 내부를 통과하게 배치된 광섬유(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케이스(410), PZT 진동체(420),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광섬유(440)를 각각 단계 별로 조립하여 상기 프로브(400)를 제작할 때,
    상기 지그는 상기 외부케이스(410), PZT 진동체(420),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광섬유(440)를 각각의 프로브 제작 단계에서 얼라인먼트(alignment)하고 동축을 이루도록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PZT 진동체(420)와 픽서-세퍼레이터(430)를 가조립된 상태로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한 제1 지그 어셈블리(100)와,
    조립된 상기 PZT 진동체(420) 및 픽서-세퍼레이터(430)와 상기 광섬유(440)를 가조립된 상태로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한 제2 지그 어셈블리(200)와,
    조립된 상기 PZT 진동체(420),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상기 광섬유(440)와 상기 외부케이스(410)를 가조립된 상태로 거치 및 고정하여 리플로우(Reflow) 오븐에 투입하기 위한 제3 지그 어셈블리(3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그 어셈블리(100)는,
    고정지지대(110)와,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가압커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110)에는,
    상기 고정지지대(110)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 및 PZT 진동체(420)가 삽입되는 지지안내구멍(111)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하방에서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내입된 제1끼움홈(121)과,
    상기 제1끼움홈(121)의 바닥면(121a)에서 더 내입되어 상기 지지안내구멍(111)을 통해 삽입된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가 배치 고정되는 구속홈(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커버(130)에는,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상부에서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내입된 제2끼움홈(131)과,
    상기 제2끼움홈(131)의 바닥면(131a)에서 더 내입되어 상기 지지안내구멍(111)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지지대(110)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PZT 진동체(420)의 끝단과 접촉 지지되는 제1지지홈(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제1끼움홈(121)의 내경 및 상기 가압커버(130)의 제2끼움홈(131)의 내경은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지지안내구멍(111)의 내경은 상기 PZT 진동체(420)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길이 L1은 상기 PZT 진동체(420)의 길이 L2 보다 작게 (L1<L2) 형성되고,
    상기 픽서-세퍼레이터(430)의 광섬유 고정부(131)의 길이 L3은 상기 구속홈(122)의 깊이 h1 보다 크게 (L3>h1) 형성되며,
    상기 지지안내구멍(111)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PZT 진동체(420)의 길이 L4는 상기 제1지지홈(132)의 깊이 h2 보다 크게 (L4>h2)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 어셈블리(200)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PZT 진동체(420)를 고정시키는 제1 홀더부(220)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섬유(440)의 끝단과 맞닿아 광섬유(44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바닥면에는 상기 강화유리(230)를 구비하기 위해 내입된 결합홈(211)이 형성되되,
    상기 제1 홀더부(220)에는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제2지지홈(221)과,
    상기 제2지지홈(221)의 바닥면(221a)에서 상기 광섬유(4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웨이(way)를 형성하면서 상기 결합홈(2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광섬유 통과홀(2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에는 상기 결합홈(211)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바닥면에서 삽입하여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21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양측면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결합홈(211)과 광섬유 통과홀(222)이 연통되는 유동홀(2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는,
    제3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제3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410)의 프론트 케이스(4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지홈(321)이 형성된 제2홀더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그 어셈블리(300)는,
    상기 PZT 진동체(42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조립 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홀더부(320)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되어 상기 PZT 진동체(420)를 고정시키는 제1 결합부품(3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홀더부(320)에 삽입되도록 내경이 상기 제2홀더부(32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내입된 제3끼움홈(331)과,
    상기 제3끼움홈(331)의 바닥면(331a)에서 내입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입홈(332)과,
    상기 내입홈(332)의 바닥면(332a)에서 상기 제1 결합부품(330)의 상부면까지 관통됨으로써 상기 PZT 진동체(42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지 고정되는 제3지지홈(3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홈(332)의 내경 d1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411)의 외경 d2 보다 크게 (d1>d2)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용 지그.








KR1020190110661A 2019-09-06 2019-09-06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 KR102254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661A KR102254391B1 (ko) 2019-09-06 2019-09-06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661A KR102254391B1 (ko) 2019-09-06 2019-09-06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438A true KR20210029438A (ko) 2021-03-16
KR102254391B1 KR102254391B1 (ko) 2021-05-21

Family

ID=7522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661A KR102254391B1 (ko) 2019-09-06 2019-09-06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39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2610B1 (en) * 1996-07-08 2001-09-18 Equitech Int'l Corporation Fiber optic probe and coupler assembly
JP2012011370A (ja) 2010-11-05 2012-01-19 Yoshimi Fujit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KR20130128704A (ko) 2012-05-17 2013-11-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zt를 이용한 oct 프로브
KR20140076532A (ko) * 2014-03-03 2014-06-20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Pzt를 이용한 oct 프로브
KR101583277B1 (ko) 2014-08-25 2016-01-08 한국과학기술원 2차원 광학 스캐닝을 위한 스캐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의료 영상 기기
US9867524B2 (en) * 2012-06-27 2018-01-16 Konica Minolta, Inc. Optical fiber assembly, method of fabricating same, and probe
KR20180034815A (ko)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KR20180077966A (ko) * 2016-12-29 2018-07-09 울산과학기술원 광음향-초음파 미니 내시경 프로브
KR20180134297A (ko) 2017-06-08 2018-12-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KR101931751B1 (ko) 2016-09-07 2018-12-24 주시회사 현주인테크 비침습적 방법에 의하여 복수의 동시 영상화가 가능한 검이경
US10880008B2 (en) 2017-05-05 2020-12-29 Cisco Technology, Inc Downstream node setup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2610B1 (en) * 1996-07-08 2001-09-18 Equitech Int'l Corporation Fiber optic probe and coupler assembly
JP2012011370A (ja) 2010-11-05 2012-01-19 Yoshimi Fujit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KR20130128704A (ko) 2012-05-17 2013-11-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zt를 이용한 oct 프로브
US9867524B2 (en) * 2012-06-27 2018-01-16 Konica Minolta, Inc. Optical fiber assembly, method of fabricating same, and probe
KR20140076532A (ko) * 2014-03-03 2014-06-20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Pzt를 이용한 oct 프로브
KR101583277B1 (ko) 2014-08-25 2016-01-08 한국과학기술원 2차원 광학 스캐닝을 위한 스캐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의료 영상 기기
KR101931751B1 (ko) 2016-09-07 2018-12-24 주시회사 현주인테크 비침습적 방법에 의하여 복수의 동시 영상화가 가능한 검이경
KR20180034815A (ko)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KR20180077966A (ko) * 2016-12-29 2018-07-09 울산과학기술원 광음향-초음파 미니 내시경 프로브
US10880008B2 (en) 2017-05-05 2020-12-29 Cisco Technology, Inc Downstream node setup
KR20180134297A (ko) 2017-06-08 2018-12-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391B1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9372B2 (en) Lens driving device
TWI627459B (zh) 透鏡模組、其製造方法以及包含該模組方法的照相模組
KR101073442B1 (ko) 판 스프링, 렌즈 구동장치 및 판 스프링의 제조방법
JP603896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10348968B2 (en) Method for producing camera module
WO2013172509A1 (ko) Pzt를 이용한 oct 프로브
US20110310500A1 (en) Lens drivin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a reduction of magnetic efficiency of a magnetic circuit
US7852579B2 (en) Camera module
KR100975051B1 (ko) 광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206716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US9933589B2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US10389923B2 (en) Camera module
KR102254391B1 (ko)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
KR101068124B1 (ko) 카메라 모듈용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368881B1 (ko) 렌즈 구동 장치
KR102326536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20007273A (ko)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US9841609B1 (en) Assembly methods of a SMA assembly and an OIS device
JP6859048B2 (ja) レンズ保持方法、レンズ部組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部組
KR2021013598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60091865A (ko) 보이스 코일 모터, 조립 방법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CN111025486A (zh) 使因焊接产生的机械应力缓和的光学插座以及配备有该光学插座的光学组件
CN217769070U (zh) 一种半导体激光器
EP4206777A1 (en) Optical device comprising a lens barrel having a tunable lens allowing efficient alignment of the tunable lens
JP2017111318A (ja) ファイバ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