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273A -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273A
KR20120007273A KR1020100067950A KR20100067950A KR20120007273A KR 20120007273 A KR20120007273 A KR 20120007273A KR 1020100067950 A KR1020100067950 A KR 1020100067950A KR 20100067950 A KR20100067950 A KR 20100067950A KR 20120007273 A KR20120007273 A KR 20120007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ove
barrel
lens assembly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273A/ko
Publication of KR2012000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wo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렌즈어셈블리는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경통;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유입홈이 형성되는 제1 렌즈; 및 상기 유입홈과 연통되는 본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렌즈의 일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소화되고 제조가 용이할 수 있는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 등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렌즈어셈블리, 하우징, 이미지 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렌즈가 피사체의 광이미지를 수광받으며, 수광된 광 이미지가 이미지 센서로 조사하게 되고, 이미지 센서는 조사된 광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됨으로써 사진 촬영을 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어셈블리는 렌즈와 경통이 결합되기 위해, 경통의 내부에 렌즈가 삽입되고 렌즈의 외측에 링이 삽입되며,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링을 본드로 고정시키게 된다.
카메라 모듈 기능의 다양화 및 성능의 상승은 물론, 카메라 모듈의 자재비를 절감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하게 하여 제작단가를 줄이는 것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렌즈어셈블리는 경통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렌즈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경통에 렌즈를 삽입하고 링으로 고정시킨 후 접착제를 도포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렌즈어셈블리는 접착제를 경통에 정확하게 즉, 접착제의 양이나 위치를 잘 조절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능숙함을 요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기능에 직접적인 구성이 아닌 불필요한 링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생산단가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재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정이 단순해 질 수 있는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경통;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유입홈이 형성되는 제1 렌즈; 및 상기 유입홈과 연통되는 본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렌즈의 일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렌즈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경통을 준비하는 단계; 본딩홈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수용부에 제1 렌즈를 삽입하는 단계; - 이 때, 상기 경통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에는 상기 본딩홈과 연통되는 유입홈이 형성됨- 상기 경통과 상기 제1 렌즈가 결합되도록, 상기 유입홈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단계 - 이때, 상기 접착제가 상기 본딩홈에 주입되도록 수행-를 포함하는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유입홈은 상기 제1 렌즈의 둘레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홈은 상기 제1 렌즈가 디컷(D-cut)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홈을 통해 상기 본딩홈으로 접착제가 충전되어 상기 경통과 상기 제1 렌즈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딩홈은 상기 스페이서의 둘레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용부에 제2 렌즈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통에 렌즈를 조립하기 위한 링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자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를 정확한 위치에 도포하지 않아도 되며, 작업자의 능숙함에 관계없이 접착제를 유입홈으로 주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어셈블리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어셈블리(1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어셈블리(100)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어셈블리(1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렌즈어셈블리(100), 경통(110), 제2 렌즈(121), 제1 렌즈(125), 유입홈(126), 스페이서(130) 및 본딩홈(131)이 도시되어 있다.
경통(110)은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된다. 경통(110)의 수용부에는 제1 렌즈(125)와 제2 렌즈(121)가 삽입될 수 있다. 경통(110)은 내측에 수용된 제1 렌즈(125)와 제2 렌즈(121)를 잡아주는 홀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통(11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제1 렌즈(125)는 수용부에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 경통(1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 렌즈(125)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렌즈어셈블리(100)에서 경통(110)의 마지막에 삽입되어 마지막층에 구비되는 렌즈이다. 제1 렌즈(125)와 경통(110) 사이에는 접착제가 유입되도록 유입홈(126)이 형성된다. 유입홈(126)은 접착제가 경통(110)의 내부로 흘러 들어 갈수 있도록 유입경로 기능을 한다.
유입홈(126)은 제1 렌즈(125)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홈(126)은 제1 렌즈(125)의 좌우 양측벽이 경통(110)과 이격되도록 제1 렌즈(125)의 측벽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된다. 일 예로, 유입홈(126)은 제1 렌즈(125)가 디컷(D-cut)된 형상으로, 이는 원형에서 'D'자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이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달리,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홈(126D)이 원형으로 관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홈(126)이 제1 렌즈(125)의 좌우 양측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125)의 일측벽에만 유입홈(126B)이 형성되거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125)의 좌우 및 상하 4측에 유입홈(126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홈(126, 126B, 126C 126D)은 그 형상 및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변형예가 다양할 수 있다.
제2 렌즈(121)는 수용부에 삽입되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2 렌즈(121)에는 제2 렌즈(121)들 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술되는 스페이서(130) 이외의 별도의 스페이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렌즈(121)가 한 개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렌즈(125)와 제2 렌즈(121)는 각각의 중심이 일치될 수 있다. 제1 렌즈(125)와 제2 렌즈(121)는 빛을 모으거나 발산시켜 광학적 상을 맺게 하는 구성으로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렌즈(125)와 제2 렌즈(121)는 촬영되는 이미지를 수광하여 후술되는 이미지센서(미도시)로 입사시킨다.
스페이서(130)는 제2 렌즈(121)와 제1 렌즈(125) 사이의 높이를 조절한다. 스페이서(130)는 제2 렌즈(121)와 제1 렌즈(125)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 렌즈(125)의 일면에 구비된다. 스페이서(130)는 접착부가 유입홈(126)을 경로하여 충전되도록 유입홈(126)의 하부 즉, 스페이서(130)의 상단부 외측에 본딩홈(131)이 형성된다.
본딩홈(131)은 유입홈(126)과 연통된다. 본딩홈(131)은 스페이서(130)의 둘레면을 따라 스페이서(130)의 둘레면 전체에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한다. 본딩홈(131)은 스페이서(13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므로, 유입홈(126)으로 경로하여 인입된 접착제가 스페이서(130)의 둘레면을 따라 도포될 수 있어, 스페이서(130), 제1 렌즈(125) 및 경통(110)의 접착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렌즈(125)의 틸팅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부는 경통(110)과 제1 렌즈(125)를 결합시킨다. 접착부는 유입홈(126)에 충전되어 경통(110)과 제1 렌즈(125)를 결합시킨다.
종래에는 경통(110)에 삽입되는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링이 구비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자재비를 절감하도록 링을 경통(110)에 삽입하지 않는다. 그리고 유입홈(126)을 경로하여 본딩홈(131)으로 접착제를 도포하게 됨으로써, 스페이서(130)와 제1 렌즈(125)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어셈블리(100)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어셈블리(100)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렌즈어셈블리(100)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경통(110)을 준비한다(S110). 이때, 제1 렌즈(125)와 제2 렌즈(121) 및 스페이서(13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통(110)의 개구된 면이 상부로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경통(110)의 수용부에 제2 렌즈(121)를 삽입한다(S120). 이는, 제2 렌즈(121)를 경통(110)의 상부에 배치한 다음에 제2 렌즈(121)를 경통(110)의 수용부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유입홈(126)과 연통되는 본딩홈(131)이 형성된 스페이서(130)를 경통(110)의 수용부에 삽입한다(S130). 이는, 경통(110)의 상부에 스페이서(130)를 배치시킨 후 스페이서(130)를 제2 렌즈(121)의 상부에 적층한다. 이때, 본딩홈(131)이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수용부에 제1 렌즈(125)를 삽입한다(S140). 제1 렌즈(125)를 경통의 상부에 배치한 후 스페이서(130)의 상면과 제1 렌즈(125)의 하면이 맞닿도록 제1 렌즈(125)를 스페이서(130)의 상부에 적층한다.
그리고 나서, 경통(110)과 제1 렌즈(125)가 결합되도록, 유입홈(126)에 접착제를 주입한다(S150). 이때, 접착제가 본딩홈(131)에 주입되도록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이러한, 접착제의 경화는 적외선(uv)을 조사하여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렌즈어셈블리(100)를 제조하면, 접착제를 유입홈(126)으로 주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의 렌즈어셈블리에서 경통에 접착제를 도포시 접착제를 과하게 도포하여 렌즈 및 링의 삽입이 접착제에 밀려 삽입이 용이하기 않게 되거나, 접착제를 부족하게 도포하여 렌즈 등이 결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능숙함에 관계없이 유입홈(126)으로 접착제를 주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렌즈어셈블리(100)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렌즈어셈블리(100), 경통(110), 제2 렌즈(121), 하우징(220), 이미지센서(230) 및 인쇄회로기판(240)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220)의 중심부에는 렌즈어셈블리(100)가 장착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다. 하우징(220)은 렌즈어셈블리(100) 및 액츄에이터를 보호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20)의 내주면에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고, 경통(110)의 외주면에는 나사홈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20)은 원통형의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렌즈어셈블리(100)는 하우징(220)의 중공에 삽입된다. 렌즈어셈블리(100)의 외측에는 오토 포커싱을 위해 액츄에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우징(220) 내측의 액츄에이터가 액츄에이터의 내측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렌즈 및 경통(110)이 구비될 수 있다.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은 렌즈의 위치 정보와 이미지센서(230)의 화상 정보를 가지고 최적의 이미지 포커싱 지점을 찾고 렌즈를 그 지점에 위치시키는 기능이다.
하우징(220)의 하부에는 이미지센서(230)와 패키징된 인쇄회로기판(240)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20)과 인쇄회로기판(240)은 에폭시 등의 접착제에 의해 고정설치 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40)은 전기적인 패턴과 다수의 전극이 구비되며, 이미지센서(23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처리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렌즈어셈블리
110: 경통
125: 제1 렌즈
126: 유입홈
130: 스페이서
131: 본딩홈
200: 카메라 모듈
220: 하우징
230: 이미지센서
240: 인쇄회로기판

Claims (10)

  1.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경통;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유입홈이 형성되는 제1 렌즈; 및
    상기 유입홈과 연통되는 본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렌즈의 일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렌즈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은 상기 제1 렌즈의 둘레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은 상기 제1 렌즈가 디컷(D-cut)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홈을 통해 상기 본딩홈으로 접착제가 충전되어 상기 경통과 상기 제1 렌즈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홈은 상기 스페이서의 둘레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어셈블리.
  6.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경통을 준비하는 단계;
    본딩홈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수용부에 제1 렌즈를 삽입하는 단계; - 이 때, 상기 경통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에는 상기 본딩홈과 연통되는 유입홈이 형성됨-
    상기 경통과 상기 제1 렌즈가 결합되도록, 상기 유입홈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단계 - 이때, 상기 접착제가 상기 본딩홈에 주입되도록 수행-를 포함하는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은 상기 제1 렌즈의 둘레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은 상기 제1 렌즈가 디컷(D-cut)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용부에 제2 렌즈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홈은 상기 스페이서의 둘레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KR1020100067950A 2010-07-14 2010-07-14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KR20120007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950A KR20120007273A (ko) 2010-07-14 2010-07-14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950A KR20120007273A (ko) 2010-07-14 2010-07-14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73A true KR20120007273A (ko) 2012-01-20

Family

ID=4561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950A KR20120007273A (ko) 2010-07-14 2010-07-14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27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164A (ko) * 2012-09-06 2014-03-14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WO2018021722A1 (ko) * 2016-07-29 2018-02-01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모듈 및 그 조립방법
US10473880B2 (en) 2017-12-12 2019-11-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mera module, and lens assembly
WO2020258321A1 (zh) * 2019-06-28 2020-12-30 常州市瑞泰光电有限公司 镜头模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164A (ko) * 2012-09-06 2014-03-14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WO2018021722A1 (ko) * 2016-07-29 2018-02-01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모듈 및 그 조립방법
US11137529B2 (en) 2016-07-29 2021-10-05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11874482B2 (en) 2016-07-29 2024-01-1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10473880B2 (en) 2017-12-12 2019-11-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mera module, and lens assembly
US10866381B2 (en) 2017-12-12 2020-12-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mera module, and lens assembly
US11327270B2 (en) 2017-12-12 2022-05-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mera module, and lens assembly
WO2020258321A1 (zh) * 2019-06-28 2020-12-30 常州市瑞泰光电有限公司 镜头模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9670B2 (en) Lens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634353B1 (ko) 마이크로 렌즈, 상기 마이크로 렌즈 제조방법, 상기 마이크로 렌즈 제조 장치, 및 상기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한카메라 모듈
US20080084619A1 (en) Lens barrel assembly of camera module and laser apparatus for assembling the same
US6710945B1 (en) Injection molded lens-barrel assembly and method for fabricating lens-barrel and mount assemblies
JP200703639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IL166044A (en) Assembly and method of optical system alignment
US20110085072A1 (en)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007273A (ko) 렌즈어셈블리 및 렌즈어셈블리 제조방법
US20200355984A1 (en) Lens module and capturing module intergrating focusing mechanism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US7773319B2 (en) Lens with collar and lens module using same
US8011087B2 (en) Method for assembling lens module with image sensor
CN106896463B (zh) 用于车载光学成像系统的光学镜头
JP2011075682A (ja) 光学系レンズ
US8248718B2 (en) Lens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20140186018A1 (en) Camera module
JP2015176018A (ja) レンズ装置およびこのレンズ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US20190373150A1 (en) Imaging module
JP2005157253A (ja) 光学素子の光軸検出方法、光学ユニットの組み立て方法、光学ユニット、光軸検出装置、光学ユニットの組立装置
KR100910468B1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 유닛
KR102176824B1 (ko) 카메라 모듈
JP2009271457A (ja) 光素子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0835096B1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배럴
US20120175508A1 (en) Sensor module
KR101724678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JP2005300690A (ja) レンズ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