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815A -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 Google Patents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815A
KR20180034815A KR1020160124498A KR20160124498A KR20180034815A KR 20180034815 A KR20180034815 A KR 20180034815A KR 1020160124498 A KR1020160124498 A KR 1020160124498A KR 20160124498 A KR20160124498 A KR 20160124498A KR 20180034815 A KR20180034815 A KR 20180034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mage
torque coil
coil
ima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970B1 (ko
Inventor
알렉세이 단친유
송경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Priority to KR102016012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9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5Control or image processing arrangements for digital or video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95Relay lenses or ro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1Scanning systems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ng means, e.g. raster or XY scan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doscope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들(needle) 타입의 현미경 프로브(probe)에 관한 것으로, 체내 및 체외에서 심부 조직층에 위치한 세포를 3차원 형광 공초점 방식에 의하여 영상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프로브는 레이저 전달 및 형광 집광을 위한 영상 섬유와, 그 말단부에서 스프링이 장착된 초점렌즈에 연결되고 기단부에서 Z축 스캐닝 벌크 스테이지와 연결되는 토크 코일(torque coil)로 대표되는 Z축 스캐너, 및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90도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말단부에 연결되는 우각 프리즘(right-angle prism)을 구비하는 소형화된 굴절률 분포형 렌즈 조립체(objective assembly of miniature gradient lense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XY축 스캐닝은 영상 섬유의 기단부에서 비유동 스캐닝 공초점 현미경에 의해 수행된다. 프리즘을 구비하는 고정된 렌즈 조립체가 22 게이지의 피하주사기의 니들에 내재되어 있고, 프로브의 삽입부를 구성한다. Z축 스캐닝 시스템은 니들 삽입부와 영상섬유의 말단을 매개하며, 1.5mm의 외경을 갖는 튜빙에 내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Three dimensional confocal scanning needle probe}
본 발명은 니들(needle) 타입의 현미경 프로브(probe)에 관한 것으로, 체내 및 체외에서 심부 조직층에 위치한 세포를 3차원 형광 공초점 방식에 의하여 영상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공초점 레이저 스캐닝 형광 현미경은 생물학적 시료의 현미경 영상화 분야에서 중요한 돌파구를 제공한다. 동 장비는 스캐닝 기술의 광학 절편 기능(optical sectioning capability)을 구비하므로, 생화학적 조직의 영상화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광대역 현미경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미경 관찰에 심각한 장애를 유발하는 주변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의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높은 배율로 영상화할 수 있는 체내 침투깊이는 수백 마이크로미터로 제한되는 한계점이 있는데, 이는 높은 분산특성을 갖는 매체내에서는 침투깊이가 낮기 때문이다. 질병의 진단을 위하여 심층에 위치하는 조직을 현미경으로 검사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체외에서 관심대상 생체검사 시료를 채취하여 그 영상화를 시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매우 시간 소모적이며, 복잡성을 야기한다. 또한, 이를 위하여 체외 조직검사와 유사하게 동물 모델을 이용한 임상전의 학습을 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니들 가이드(needle guide)를 구비하는 현미경을 이용한 심층조직의 공초점 체내 영상화가 수행될 수 있다.
공초점 미세현미경의 소형화를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프로브의 말단에 구배지수 대물렌즈를 구비하는 섬유 번들(bundle)을 니들(needle) 단부에 봉인하여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섬유번들을 이용하는 주요한 잇점은 깨어있어 계속 움직이는 동물에 대한 영상화에 적합한 높은 유연성인데, 이러한 이유는 마취는 세포활성을 조절하여 데이터 기록이 달라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깨어있는 상태에서의 영상화가 바람직하다는 점에 있다. 또 다른 잇점은 이러한 종류의 프로브는 섬유의 기단부에서 XY축 스캐닝 기구(mechanism)에 의하여 측면 스캐닝이 수행된다는 데 있다.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또 다른 방법은, XY축 스캐닝 기구가 니들 프로브의 말단부로 봉인되고, 배면 스캐닝이 광섬유 단부를 스캐닝하는 MEMS 액추에이터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진폭변조 사인파를 두 쌍의 전극에 인가하면, 광섬유 단부는 나선형으로 작동하여 2D 영상 데이터를 얻는 리사쥬(Lissajou) 패턴을 그린다. 이들 스캐너에 관한 또 다른 이슈는 광섬유 단부가 공명에 가까운 주파수로 구동되며, 따라서 광섬유의 공명주파수에 근접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주위의 영향에 의하여 스캐닝 패턴과 그에 따른 픽셀 맵핑에 교란이 발생된다.
본 방법의 주된 한계는 Z축을 따르는 수직스캐닝 기구가 결여되어 있으며, 따라서 조직의 단일 기단층에 대하여서만 2D 공초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와 같은 형태로는 기단층 뒤의 세포활성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심층 세포 기지에 대한 보다 유용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단일의 기단층을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Y축 스캐너의 축방향 스캐닝(Z축 스캐닝)도 가능한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Z축 스캐닝도 가능하게 하면서도 스캐닝 시스템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를 제공한다.
즉, 전기장이 주변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프로브의 말단부가 최대한 가볍고 소형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말단부의 스캐닝 기구 및 스캐닝 광학요소는 시료와 멀리 이격된 프로브의 기단부에 위치한다. 또한, XY 및 Z축 스캐너를 기단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스캐닝 시스템의 크기에 제한을 둘 필요가 없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가이드가 방사상으로 유동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피시술자 또는 동물에 대한 시술 중 피시술자 또는 동물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장치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크 코일과 함께 시준렌즈가 좌우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니들의 축방향에 대한 70 ~ 90도의 방향에서의 복수의 단층 영상을 획득하며, 이를 조합함으로써 3차원의 영상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렌즈 조립체를 내장하며, 피부로 침습되는 니들; 상기 니들에 광 신호를 전달하거나 니들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니들의 후단에 마련되는 영상 가이드; 상기 영상 가이드의 후단에 마련되며, 상기 영상 가이드에 광 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영상 가이드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XY 스캐너; 및 상기 XY 스캐너의 후단에 마련되며, 상기 XY 스캐너로부터 전달되는 광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니들의 렌즈 조립체에서 단부는 일면이 경사를 이루는 프리즘으로서 니들의 축방향으로부터 70 ~ 90도 전환된 방향의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를 제공한다.
상기 니들에 내장되는 렌즈 조립체는, 상기 프리즘과 면접하는 대물 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와 면접하는 릴레이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들의 길이는 적어도 2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들은 상기 영상 가이드의 단부에서 제1접착제층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가이드는, 상기 제1접착제층의 배면에 마련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단부에 접촉하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시준렌즈가 내장되고,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으로서 적어도 두 지점의 상부와 하부가 일부 개방되는 토크 코일; 상기 토크 코일의 기단부로부터 말단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영상 섬유 번들; 및 상기 토크 코일 및 영상 섬유 번들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부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섬유 번들은 상기 토크 코일의 개방된 두 지점을 통하여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토크 코일은 적어도 영상 가이드의 축방향을 따라서 좌우로 유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크 코일은 그 기단부가 스캐닝 모터에 의하여 연결되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코일, 토크 코일, 영상 섬유 번들은 유연성을 가지며, 방사방향으로 유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심층 세포 기지에 대한 보다 유용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단일의 기단층을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Y축 스캐너의 축방향 스캐닝(Z축 스캐닝)도 가능하여, 조직에 대한 보다 세밀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Z축 스캐닝도 가능하게 하면서도 스캐닝 시스템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즉, 전기장이 주변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프로브의 말단부가 최대한 가볍고 소형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말단부의 스캐닝 기구 및 스캐닝 광학요소는 시료와 멀리 이격된 프로브의 기단부에 위치한다. 또한, XY 및 Z축 스캐너를 기단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스캐닝 시스템의 크기에 제한을 둘 필요가 없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가이드가 방사상으로 유동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피시술자 또는 동물에 대한 시술 중 피시술자 또는 동물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장치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크 코일과 함께 시준렌즈가 좌우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니들의 축방향에 대한 70 ~ 90도의 방향에서의 복수의 단층 영상을 획득하며, 이를 조합함으로써 3차원의 영상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섬유 번들의 단면도로서, 그 기단부에 레이저광이 패턴을 이루면서 조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 B, C 지점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크 코일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크 코일과 시준렌즈의 이동에 따라서 니들의 축방향으로부터 90도 꺾인 시야각에서 영상면이 이동됨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가이드가 방사방향으로 탄성 유동하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접착제의 일 종류로서 에폭시를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울러 영상화 대상의 시야각이 90도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70 ~ 90도의 범위도 가능하며, 90도를 다소간 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표현된 현미경은 조직내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면서도 그 크기가 작아서 미세 내시경이라는 의미도 있다. 다만, 여기서는 현미경으로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현미경 프로브는 22게이지(guage) 니들(150)에 내장된 90도 시야각을 갖는 삽입부(100)를 일 구성요소로 구비하며, 영상과 형광 전달용 영상 가이드(180)와 기단부 스캐닝 모터(2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영상 섬유 번들(190)에 레이저광을 전달하는 세로방향 스캐닝 렌즈부(200) 및 그 후단에 결합되는 XY 스캐너(210)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XY 스캐너(210)와 모터(230)에는 각각 제어부(220)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220)에는 XY 스캐너를 통해 광을 입력받는 검출기(미도시)가 마련된다.
삽입부(100)는 말단부(좌측 단부)에서 대물 렌즈(143)와 면접하고 기단부(우측 단부)에서 무한대의 초점을 갖는 0.75-피치 릴레이 렌즈(141)와 상기 대물 렌즈(143)와 면접하고 90도 이미지 전환이 가능하도록 사면을 갖는 프리즘(145)을 포함하며, 이들은 예시적으로 UV 에폭시에 의하여 접착된 GRIN 렌즈 조립체(140)이다.
상기 렌즈 조립체(140)는 단부에 영상확보를 위하여 가공된 윈도우를 갖는 22게이지의 니들(15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삽입부(100)의 길이는 23mm이며, 조직 표면(160) 아래 최소한의 외부 침투깊이가 가능한 길이이다.
유동성의 조정가능한 영상 가이드(180)는 비유동적인 모듈내의 동축요소와 이동가능한 모듈내의 동축요소를 포함하여 3개의 동축요소를 구비한다. 비유동적 모듈은 중앙 및 외부 동축요소로 구성된다. 중앙의 동축 요소는 적어도 10,000 픽셀을 갖는, 즉 개별적인 섬유들이 결합된 영상 섬유 번들(190)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섬유 번들(190)의 단면을 보면, 각 개별 섬유의 단부는 마치 핀홀처럼 형상화하며, 레이저광을 번들(190)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하게 또는 일정 패턴으로 입사시키면, 레이저광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개별 섬유는 레이저광과 영상 시스템이 공초점이 되도록 한다. 즉, 개별 섬유를 통과한 레이저광 중 공초점의 정의상 개별 섬유를 통과하는 레이저광 중 초점과 일치하는 레이저광만 사용하고 초점과 일치하지 않는 레이저광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외부 코일(113)은 튜브에 예를 들어 에폭시에 의한 접착부(114)로 고정되며, 영상 섬유 번들의 양 단부도 제2접착제층 및 제3접착제층(116, 117)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접착제층은 예를 들어 에폭시를 사용한다. 영상 가이드(180)의 외관을 이루는 튜브(110)의 말단 단부에서는 제1접착제층(115)에 의하여 삽입부(100)를 지지하고 있다.
한편, 영상 섬유 번들(190)에 인접하여 중간 코일(127)이 장착되어 있으며, 중간 코일은 영상 가이드(180)의 방사방향의 유동을 돕는 역할을 한다. 중간 코일은 토크 코일(120)의 내면과 접착부(128)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한편, 외부 코일(113), 영상 섬유 번들(190), 토크 코일(120)은 유연성을 가지며, 따라서 제2접착제층(116)의 후단 부분은 방사 방향으로 탄성유동할 수 있다.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깨어있는 동물을 마취하지 않고도 본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조직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만일, 외부 코일(113), 영상 섬유 번들(190), 토크 코일(120) 중 어느 하나라도 경직된 재질인 경우라면 시술대상이 동물인 경우 마취하지 않으면 장치가 해당 부분에서 꺾임으로써 파손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마취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없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마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상을 획득하여야 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도 3에서는 도 1의 A, B, C 절단면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었으며, 도 4에서는 토크 코일(120)의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동가능한 모듈은 토크 코일(120)로서, 상부와 하부에 천공부(123, 125)를 가지며, 이를 제1천공부(123)와 제2천공부(125)로 각각 명명하고, 중간 동축 요소를 이룬다. 토크 코일(120)은 토크 코일 기단부(126)에 연결되는 스캐닝 모터(230)에 연결부(231)에 의하여 연결되어 영상 가이드(180)의 축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하고, 이때, 영상 섬유 번들(190)은 계속하여 비유동상태에 있다. 만일 토크 코일(12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영상(170)은 상부로 이동하며, 따라서 토크 코일(120)의 이동에 따라서 삽입부(100) 축의 90도 시야각에 대한 복수의 단층 영상(171, 173, 175)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시준렌즈(130)의 비의도적 유동(dead movement)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모듈은 스프링(111)에 의해 걸림턱(122)에서 지지된다.
형광 공초점 영상에서 니들(150)은 조직 표면(160) 아래 최대 23mm의 깊이까지 삽입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화 대상영역은 니들(150) 축에 대하여 90도의 위치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이는 입체적으로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조직으로부터 보다 많고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한 방안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현미경은 니들(150)의 축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지 않고, 축방향에 대하여 90도 꺾어진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며, 토크 코일(120)의 이동과 그에 따른 시준렌즈(130)의 이동에 따라서 복수의 단층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들 복수의 단층 영상을 조합하면 3D 영상이 된다.
스캐너 렌즈부(200)에 의해 전달되는 여기 레이저 빔은 영상 섬유 번들(190)의 기단 단부, 즉 토크 코일 기단부(126)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마련되는 XY축 스캐너(210)로부터 생성되며, 레이저빔은 일정하거나 일정하지 않은 패턴으로 조사된다.
내부 반사에 의하여 영상 섬유 번들(190)의 기단 단부에서 말단 단부로 전달되는 빔은 스캐너 렌즈부(200)에 의해 시준되고, 삽입부(100)의 GRIN 렌즈 조립체(140)로 유입된다. 최종적으로 빔은 프리즘(145)의 외부면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빔은 표시된 세포의 형광 염료를 여기시키며, 방사된 형광 신호는 프리즘(145) 표면에 근접하게 도달한다. 이후, 방사된 형광 신호는 동일한 광학요소에 의하여 집약되어 스캐너 렌즈부(200)에 의하여 영상 섬유 번들(190)의 표면에서 다시 시준되고, 최종적으로 영상 섬유 번들(190)를 통하여 보내져 현미경의 제어부(220)에 마련된 검출기에 도달한다.
이후, 영상 섬유 번들(190) 구조에 기인하여 재구성된 이미지의 픽실레이션(pixilation)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인접한 영상 섬유 번들(190)을 구성하는 섬유 코어들간의 혼선을 제거하기 위하여 컴퓨터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크 코일과 시준렌즈의 이동에 따라서 니들의 축방향으로부터 90도 꺾인 시야각에서 영상면이 이동됨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시준렌즈(130)를 스캐닝 모터(230)에 의하여 토크 코일(120)을 이동시킴으로써 영상 섬유 번들(19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초점면의 위치는 프리즘(145)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 해제하면 프리즘(145) 표면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된다. 서로 다른 촛점면들에서 XY 영상들(171, 173, 175)을 조합하면, 3D 볼륨의 영상이 재구성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삽입부 110 : 튜브
111 : 스프링 113 : 외부 코일
114, 128 : 접착부 115 : 제1접착제층
116 : 제2접착제층 117 : 제3접착제층
120 : 토크 코일 121 : 토크 코일 말단부
122 : 걸림턱 123 : 제1천공부
124 : 토크 코일 중앙부 125 : 제2천공부
126 : 토크 코일 기단부 127 : 중간 코일
130 : 시준렌즈 140 : 렌즈 조립체
141 : 릴레이 렌즈 143 : 대물 렌즈
145 : 프리즘 150 : 니들
160 : 조직 표면 170 : 조직 영상
171 : 제1영상 173 : 제2영상
175 : 제3영상 180 : 영상 가이드
190 : 영상 섬유 번들 200 : 스캐닝 렌즈부
210 : XY축 스캐너 220 : 제어부
230 : 모터 231 : 연결부

Claims (7)

  1. 렌즈 조립체를 내장하며, 피부로 침습되는 니들;
    상기 니들에 광 신호를 전달하거나 니들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니들의 후단에 마련되는 영상 가이드;
    상기 영상 가이드의 후단에 마련되며, 상기 영상 가이드에 광 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영상 가이드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XY 스캐너; 및
    상기 XY 스캐너의 후단에 마련되며, 상기 XY 스캐너로부터 전달되는 광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니들의 렌즈 조립체에서 단부는 일면이 경사를 이루는 프리즘으로서 니들의 축방향으로부터 70 ~ 90도 전환된 방향의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에 내장되는 렌즈 조립체는,
    상기 프리즘과 면접하는 대물 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와 면접하는 릴레이 렌즈;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길이는 적어도 2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상기 영상 가이드의 단부에서 제1접착제층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가이드는,
    상기 제1접착제층의 배면에 마련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단부에 접촉하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시준렌즈가 내장되고,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으로서 적어도 두 지점의 상부와 하부가 일부 개방되는 토크 코일;
    상기 토크 코일의 기단부로부터 말단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영상 섬유 번들; 및
    상기 토크 코일 및 영상 섬유 번들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부 코일;
    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섬유 번들은 상기 토크 코일의 개방된 두 지점을 통하여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토크 코일은 적어도 영상 가이드의 축방향을 따라서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코일은 그 기단부가 스캐닝 모터에 의하여 연결되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코일, 토크 코일, 영상 섬유 번들은 유연성을 가지며, 방사방향으로 유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KR1020160124498A 2016-09-28 2016-09-28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KR10193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498A KR101935970B1 (ko) 2016-09-28 2016-09-28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498A KR101935970B1 (ko) 2016-09-28 2016-09-28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15A true KR20180034815A (ko) 2018-04-05
KR101935970B1 KR101935970B1 (ko) 2019-01-08

Family

ID=6197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498A KR101935970B1 (ko) 2016-09-28 2016-09-28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9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8605A (zh) * 2019-08-30 2019-12-13 北京临近空间飞行器系统工程研究所 定位组件及显微镜
KR20210004733A (ko) 2019-07-05 2021-01-13 그린스펙(주) 광섬유 프로브
KR20210029438A (ko) 2019-09-06 2021-03-16 그린스펙(주)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7437A (ja) * 2003-04-18 2004-11-11 Olympus Corp 光イメージング装置
JP2012010913A (ja) * 2010-06-30 2012-01-19 Fujifilm Corp Octプローブ
US9194690B2 (en) 2013-03-04 2015-11-24 Corning Incorporated Power transmission and sensing device
JP2017047186A (ja) 2015-09-01 2017-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伝送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733A (ko) 2019-07-05 2021-01-13 그린스펙(주) 광섬유 프로브
CN110568605A (zh) * 2019-08-30 2019-12-13 北京临近空间飞行器系统工程研究所 定位组件及显微镜
KR20210029438A (ko) 2019-09-06 2021-03-16 그린스펙(주) 프로브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970B1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5252B2 (en) Scanning optical systems
JP5599818B2 (ja) 光学プローブ
US8184367B2 (en) Dynamically focused optical instrument
US7616986B2 (en) Optical fiber scanner for performing multimodal optical imaging
CN101909512B (zh) 光学探测器
Do et al. Fiber-optic raster scanning two-photon endomicroscope using a tubular piezoelectric actuator
JP2012506285A (ja) 光学的な走査プローブのアセンブリ
KR101935970B1 (ko)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JP4740423B2 (ja) 均質な共焦点画像を形成するための積分走査式ミニチュア共焦点光学ヘッド、および前記ヘッドを用いた共焦点イメージング装置
CN113242715A (zh) 体内深层组织的显微图像采集系统及显微图像提供方法
KR101482704B1 (ko) 광섬유 비공진 스캐닝 방식의 내시현미경 프로브
CN110537898B (zh) 一种焦点可调的光声内窥显微镜的制作方法
US11067509B2 (en) Fluorescent microscope
EP2753967B1 (en) Optical microscopy probe for scanning microscopy of an associated object
Messerschmidt et al. Dual modality multiphoton-OCT flexible endomicroscope with an integrated electromagnetic z-actuator for optical field-of-view switching and a piezo-fiber-scanner for image acquisition
CN113710142A (zh) 超紧凑型折叠光束路径共焦内窥显微镜
Osdoit et al. In vivo fibered confocal reflectance imaging: totally non-invasive morphological cellular imaging brought to the endoscopist
Yıldırım et al. 3D Printed Head for a Handheld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e
Fan A piezoelectric fiber scanner for reflectance confocal imaging of biological tissues
Mohan Fabrication of a Fiber Scanning Multiphoton Microendoscope
Nuerbahati et al. An actively stabilized, miniaturized epi‐fluorescence widefield microscope for real‐time observation in vivo
WO2009115943A2 (en) Optical system
Do et al. Miniature confocal microscopy devices for imaging skin
Horii et al. In vivo human cellular imaging using Endomicroscope (Endoscopic micro confocal scanning microscope)
Murugkar et al. Development of a fiber optic-based CARS exoscope for the in vivo study of spinal cord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