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552A - 문 손잡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문 손잡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552A
KR20210028552A KR1020200029661A KR20200029661A KR20210028552A KR 20210028552 A KR20210028552 A KR 20210028552A KR 1020200029661 A KR1020200029661 A KR 1020200029661A KR 20200029661 A KR20200029661 A KR 20200029661A KR 20210028552 A KR20210028552 A KR 20210028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handle
door
cam member
lock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Publication of KR2021002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는, 문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잠금핀을 포함하는 문 손잡이와 결합되는 문 손잡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문에 장착되는 고정부수용유닛과, 상기 고정부수용유닛의일측으로부터 상기 문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캠부재를 수용하는 캠부재수용유닛을 포함하는 문 손잡이 장착모듈; 상기 문 손잡이 장착모듈과 결합되는 케이스;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문 손잡이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FOR DOOR HANDLE}
본 발명은 문 손잡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설치된 문 손잡이의 잠금 기능을 외부 단말기 등을 통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문 손잡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과 사물이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나눈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사물인터넷인 IoT(Internet of Thing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IoT 시스템을 이용하면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최근에는스마트홈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는데, 외부에서도 홈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보일러시스템, 조명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종 가전제품까지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스마트홈 시스템에는 스마트 도어락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문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문의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기설치된잠금장치를 모두 제거한 후 스마트 단말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잠금 및 잠금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신규 잠금장치를 설치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과다한 구축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은 자가 발전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363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는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기설치된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문 손잡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는, 문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잠금핀을 포함하는 문 손잡이와 결합되는 문 손잡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문에 장착되는 고정부수용유닛과, 상기 고정부수용유닛의일측으로부터 상기 문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캠부재를 수용하는 캠부재수용유닛을 포함하는 문 손잡이 장착모듈; 상기 문 손잡이 장착모듈과 결합되는 케이스;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은 상기 캠부재수용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타측은 상기 고정부수용유닛의타측과대향되어이격 배치되고, 상기 문 손잡이의 손잡이부는 상기 고정부수용유닛의 타측 및 상기 케이스의 타측 사이 형성된 회동영역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고정부수용유닛에는 상기 문 손잡이를 상기 회동영역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고정부 수용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캠부재수용유닛의 측면은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수용유닛에는 상기 잠금핀을 상기 개방부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잠금핀 수용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부재는, 구동모터와 고정 결합되는 구동모터 연결부; 상기 구동모터 연결부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캠바디; 상기 캠바디의 외주면 상부 일부에 미리 설정된 경사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 가이드돌기; 및 상기 캠바디의 외주면 하부 일부에 미리 설정된 경사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하부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잠금핀의 단부에는 상기 잠금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잠금핀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핀 헤드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돌기의 하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돌기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제어모듈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기의 잠금명령 및 잠금해제명령에 대응되는 모터제어명령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단말기의 제어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모터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부; 및 상기 통신부, 저장부, 구동신호 생성부, 전원인가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는 출력수단 및 입력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과의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되는 화면에는 상기 문 손잡이의 식별번호, 현재의 잠금상태, 잠금 아이콘 및 잠금해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는, 기설치된 문 손잡이를 제거하고 새로운 잠금장치를 설치할 필요없이 외부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 손잡이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하므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구축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조립구조를 구비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문 손잡이에 잠금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기설치된 문 손잡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의 설치 사용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를 여러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에서 캠부재의 회전에 의한 잠금핀의 이동을 도시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의 구성 중 제어유닛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와 단말기 간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는, 문 손잡이(20)와 결합되어 문 손잡이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써, 이러한 문 손잡이 잠금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문 손잡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1), 손잡이부(22) 및 잠금핀(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고정부(21)는 문 손잡이(20)를 문(10)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손잡이부(22)는 고정부(21)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잡이부(22)부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문(10)의 측면에 형성된 걸쇠가 문틀의 홈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닫혀 있던 문(10)을 열도록 구성된 구성이다.
잠금핀(23)는 문(10) 자체를 외부에서 열수 없도록 문(10)을 문틀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 잠금장치가 적용되는 문 손잡이(2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핀(23)은 손잡이부(22)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특히잠금핀(23)은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단부에잠금핀 헤드(23a)가 형성되며, 이러한 잠금핀 헤드(23a)는 직금핀(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작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잠금핀 헤드(23a)를 누를 경우 문(10) 측면에 형성된 별도의 잠금유닛이 문틀의 홈에 삽입되거나 또는 문(10) 측면의 걸쇠를 고정시킴으로써 문(10)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문 손잡이 잠금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손잡이 장착모듈(100), 케이스(200) 및 제어모듈(3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문 손잡이 장착모듈(100)은 문 손잡이(20)의 고정부(21)를 수용하도록 문(10)에 장착되는 고정부수용유닛(110)과, 고정부수용유닛(110)의 일측으로부터 문(10)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구동모터 및 캠부재(130)를 수용하는 캠부재수용유닛(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고정부수용유닛(110) 및 캠부재수용유닛(12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200)는 문 손잡이 장착모듈(100)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일측은캠부재수용유닛(120)과 결합되고, 케이스(200)의 타측은고정부수용유닛(110)의 타측과대향되어이격 배치된다.
이때 문 손잡이 장착모듈(100)의 고정부수용유닛(110)의 타측과 케이스(200)의 타측 사이에는 개방영역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방영역은 문 손잡이(20)의 손잡이부(20)가 회동할 수 있는 회동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고정부수용유닛(110)에는 문 손잡이(20)를 상술한 회동영역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고정부수용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캠부재수용유닛(120)의 측면은 캠부재(130)의 외주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고정부수용유닛(110)에는 잠금핀(23)을 캠부재수용유닛120)의 개방부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잠금핀수용공(112)이 형성된다.
즉, 문 손잡이(20)의 고정부(21)에 배치된 잠금핀(23)은 고정부수용유닛(110)에 형성된 잠금핀수용공(112)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하여 잠금핀 헤드(23a)는 캠부재수용유닛(120)의 개방부를 통하여 노출된 캠부재(130)의 외주면과 맞닿게 된다.
이러한캠부재(130)는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 연결부(131), 캠바디(132), 상부 가이드돌기(133) 및 하부 가이드돌기(1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모터연결부(131)는 구동모터와 고정 결합되는 구성이며, 캠바디(132)는 구동모터 연결부(132)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모터 연결부(131) 및 캠바디(132)는 회전하게 된다.
상부 가이드돌기(133)는 캠바디(132)의 외주면 상부 일부에 미리 설정된 경사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며, 하부 가이드돌기(134)는 캠바디(132)의 외주면 하부 일부에 미리 설정된 경사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특히캠바디(132)의 외주면 일부에는 상부 가이드돌기(133) 및 하부 가이드돌기(134)가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상호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잠금핀 헤드(23a)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부 가이드돌기(133)의 하부 및 하부 가이드돌기(134)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핀(23)이 문(10)측 방향으로 눌려있는 상태, 즉 잠김상태에서 구동모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캠부재(130)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잠금핀 헤드(23a)의 하부는 캠바디(132) 외주면의 하부 가이드돌기(134)와 만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되면, 잠금핀 헤드(23a)는 하부 가이드돌기(134)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핀(23)이 문(10)의 반대편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문 손잡이(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핀(23)이 잠김해제 상태에 있는 경우 구동모터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캠부재(130)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잠금핀 헤드(23a)의 상부는 캠바디(132) 외주면의 상부 가이드돌기(133)와 만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가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되면, 잠금핀 헤드(23a)는 상부 가이드돌기(133)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핀(23)이 문(10)측 방향으로 완전히 눌리게 되며, 이로 인하여 문 손잡이(20)가 잠금상태에 도달하게 되게 된다.
즉, 종래의 방식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잠금핀(23)을 조작하지 않고 외부 단말기(30) 등을 통하여 구동모터를 제어함으로써 기설치된 문 손잡이(20)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어모듈(300)은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우징 및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부재수용유닛(120)의 측면 개방부를 통하여 캠부재(130)의 외주면이 노출되는데, 후술할 제어모듈(300)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없는 상태일 경우 사용자가 캠부재(230)를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캠부재(230)에는 돌출된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 설치된 문 손잡이(20) 별로 잠금핀(23)의 길이가 상이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길이의 핀부재(23)가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문 손잡이 장착모듈(100)의 캠부재수용유닛(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유닛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 조절유닛을 조절할 경우 캠부재 및 구동모터의 위치 또한 함께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300)은 문 손잡이 장착모듈(100)의 캠부재수용유닛(120) 내부에 수용된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제어모듈(300)은 하우징 및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제어유닛(310)을 포함하며, 제어유닛(310)은 인쇄회로기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제어모듈(300)의 하우징 상부는 캠부재수용유닛(120)의 하부와 결합되며, 제어모듈(300)의 하우징에는 제1 연결공이 형성되고, 캠부재수용유닛(120)의 하부 중 제1 연결공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2 연결공이 형성되며, 전선은 제1 연결공 및 제2 연결공을 통하여 제어유닛(310)과 구동모터를 연결하게 된다.
특히제어유닛(3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311), 저장부(312), 구동신호 생성부(313), 전원인가부(314), 전원공급부(315) 및 알림부(3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311)는 외부의 단말기(30),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트탑 PC, 노트북 PC 등의 스마트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구성으로, 이러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와아파이, NFC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312)는 단말기(30)로부터 전달받은 잠금명령 및 잠금해제명령에 대응되는 모터제어명령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여기에서 잠금명령 또는 잠금해제명령에 대응되는 모터제어명령이란 해당 명령에 따른 구동모터의 회전방향, 회전속도, 회전시간 등을 의미한다.
구동신호생성부(313)는 통신부(311)로부터 입력된 단말기(30)의 제어신호 및 저장부(312)에 저장된 모터제어명령에 기초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원인가부(314)는 구동신호 생성부(313)에서 생성된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공급부(315)는 상술한 통신부(311), 저장부(312), 구동신호 생성부(313), 전원인가부(314) 등의 제어유닛(310)의 각 구성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일반적인 배터리를 적용할 수도 있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알림부(316)는 전원공급부(315) 내부에 수용된 전원이 얼마 남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원공급부(315)에 수용된 전원이 미리 설정된 값 보다 작을 경우 단말기(30)에게 해당 문 손잡이 잠금장치의 전원이 부족함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단말기(30)와 문 손잡이 잠금장치와의 통신 및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30)는 출력수단 및 입력수단은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어모듈(300)과의 통신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단말기(30)는 제어모듈(300)의 통신부(311)와 연결되며, 이때 단말기(30)의 출력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는 통신이 되고 있는 문 손잡이의 잠금상태, 잠금 아이콘, 잠금해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된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건물 내의 복수 개의 문에 설치된 각각 설치된 복수 개의 문 손잡이 잠금장치(A, B, C)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기(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복수 개의 문 손잡이 잠금장치(A, B, C)의 잠금상태의 모니터링은 물론, 모든 문 손잡이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각 문 손잡이 잠금장치는 상호 간의 구별을 위하여 각각의 고유식별번호를 구비하여야 하며, 이러한 고유식별번호는 제어모듈(300)의 저장부(312)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30)의 출력수단에는 현재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문 손잡이가 출력되고, 이는 고유식별번호로 구별되되, 해당 문 손잡이 별로 각각의 잠금상태, 잠금 아이콘 및 잠금해제 아이콘이 출력되어야 하며, 나아가 모든 문 손잡이의 잠금 아이콘 및 잠금해제 아이콘 또한 별도로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의 단말기(30)를 이용하여 문 손잡이 잠금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제어모듈(300)의 하우징 외부에 별도의 키버튼을 장착하고, 키버튼에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문(10)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문 손잡이 장착모듈
110: 고정부수용유닛
120: 캠부재수용유닛
130: 캠부재
200: 케이스
300: 제어모듈

Claims (5)

  1. 문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잠금핀을 포함하는 문 손잡이와 결합되는 문 손잡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문에 장착되는 고정부수용유닛과, 상기 고정부수용유닛의일측으로부터 상기 문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캠부재를 수용하는 캠부재수용유닛을 포함하는 문 손잡이 장착모듈;
    상기 문 손잡이 장착모듈과 결합되는 케이스;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문 손잡이 잠금장치.
  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은 상기 캠부재수용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타측은 상기 고정부수용유닛의타측과대향되어이격 배치되고,
    상기 문 손잡이의 손잡이부는 상기 고정부수용유닛의 타측 및 상기 케이스의 타측 사이 형성된 회동영역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문 손잡이 잠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캠부재수용유닛의 측면은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고정부수용유닛에는 상기 잠금핀을 상기 개방부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잠금핀 수용공이 형성되는 문 손잡이 잠금장치.
  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구동모터와 고정 결합되는 구동모터 연결부;
    상기 구동모터 연결부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캠바디;
    상기캠바디의 외주면 상부 일부에 미리 설정된 경사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 가이드돌기; 및
    상기캠바디의 외주면 하부 일부에 미리 설정된 경사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하부 가이드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잠금핀의 단부에는 상기 잠금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잠금핀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잠금핀 헤드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돌기의 하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돌기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문 손잡이 잠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제어모듈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기의 잠금명령 및 잠금해제명령에 대응되는 모터제어명령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단말기의 제어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모터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부; 및
    상기 통신부, 저장부, 구동신호 생성부, 전원인가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문 손잡이 잠금장치.
KR1020200029661A 2019-09-04 2020-03-09 문 손잡이 잠금장치 KR20210028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70 2019-09-04
KR20190110170 2019-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552A true KR20210028552A (ko) 2021-03-12

Family

ID=751773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662A KR20210028553A (ko) 2019-09-04 2020-03-09 문 손잡이 잠금장치
KR1020200029661A KR20210028552A (ko) 2019-09-04 2020-03-09 문 손잡이 잠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662A KR20210028553A (ko) 2019-09-04 2020-03-09 문 손잡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285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54B1 (ko) * 2022-12-01 2024-02-29 (주)밴플러스 컨테이너용 도어 잠금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639A (ko) 2015-04-16 2016-10-2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자가 발전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639A (ko) 2015-04-16 2016-10-2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자가 발전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553A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2817B2 (en) Electronic lock and interchangeable shackles
KR101699964B1 (ko)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의 운용 방법
TWI728029B (zh) 用於鎖總成之單體式連接器及其方法
US11641076B2 (en) Device based lock via electrical socket
JP2021156162A (ja) 鍵システム
KR20210028552A (ko) 문 손잡이 잠금장치
US20230047088A1 (en) Combined security access system
JP2012041764A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CN116378510A (zh) 撞击联动装置和壁内接收器
LU100905B1 (en) Changing a State of a Lock
US11746563B2 (en) Smart door lock
JP6494500B2 (ja) 錠装置のベース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錠装置
CN113236041A (zh) 智能锁芯
CN209942449U (zh) 远程控制机箱及远程控制装置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US8113020B2 (en) Lo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2252851A (zh) 智能锁芯
WO2020086045A2 (en) A device for operating existing door locks automatically
US6577497B1 (en) User-friendly automatic assembler PC system
KR102380172B1 (ko)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CN215369211U (zh) 便捷锁芯
CN113338717B (zh) 锁体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CN113266210A (zh) 门禁系统
JP7519086B2 (ja) 電気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