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237A -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 Google Patents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237A
KR20210028237A KR1020217003367A KR20217003367A KR20210028237A KR 20210028237 A KR20210028237 A KR 20210028237A KR 1020217003367 A KR1020217003367 A KR 1020217003367A KR 20217003367 A KR20217003367 A KR 20217003367A KR 20210028237 A KR20210028237 A KR 20210028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cch
door threshold
numerology
scheduling
scheduling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양
펭 선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은 단말에 응용되며,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7월 12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 201810762971.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통신 효율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아래에 우선 통신 효율성 향상을 위한 몇 가지 기술 포인트를 소개한다.
1. 멀티 안테나에 대하여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 / LTE의 어드밴스드(LTE-Advanced, LTE-A) 등 무선 액세스 기술 표준은 모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기술을 기초로 구축한 것이다. 그 중, MIMO 기술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이 획득할 수 있는 공간 자유도를 이용하여 높은 피크 레이트 및 시스템 스펙트럼 이용 효율을 높인다. 미래의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더 큰 규모, 더 많은 안테나 포트의 MIMO 기술이 인입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대규모(massive) MIMO 기술은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시스템 스펙트럼 이용 효율을 극대적으로 향상시켜, 더 많은 수량의 액세스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Massive MIMO 기술에서, 만약 전 디지털 어레이를 사용한다면 최대화의 공간 해상도 및 최적화의 멀티 사용자 MIMO(Multi-User MIMO, MU-MIMO) 성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조는 대량의 아날로그 디지털/디지털 아날로그(AD/DA) 변환기와 대량의 완전한 무선 주파수 - 베이스밴드 처리 채널이 필요되기에, 기기 비용뿐만 아니라 베이스밴드 처리 복잡도 방면에서도 큰 부담을 갖게 된다.
상술된 구현 비용 및 기기 복잡도를 피면하기 위해, 디지털 아날로그 빔 형성 기술이 생성되였다. 즉 종래의 디지털 도메인 빔 형성을 기반으로, 안테나 시스템 근처의 앞단에 무선 주파수 신호 상에 1급의 빔 형성을 증가시킨다. 아날로그 형성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통해 송신 신호와 채널이 대략적인 매치를 구현할 수 있다. 아날로그 형성 후에 형성되는 등가 채널의 차원은 실제 안테나 수량보다 작기에, 그 후에 필요되는 AD/DA 변환기, 디지털 채널의 수, 및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처리의 복잡도가 많이 감소될 수 있다. 아날로그 형성 부분의 잔류 간섭은 디지털 도메인에서 다시 한번 처리될 수 있어서 MU-MIMO 전송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전 디지털 빔 형성에 비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혼합 빔 형성은 성능과 복잡도의 절충방안이며, 고 주파수 큰 대역폭 또는 안테나 수가 상당히 큰 시스템에서 높은 실용 전망을 가지고 있다.
2. 빔 측정 및 리포팅(beam measurement and beam reporting)에 대하여
아날로그 빔 형성은 전대역방사이고, 각 고주파 안테나 어레이 패널의 폴라리제이션 방향의 어레이 엘리먼트는 시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으로만 아날로그 빔을 전송할 수 있다. 아날로그 빔의 형성 가중치는 고주파 전단부의 페이저 등 기기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실현된다.
현재 학계와 산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폴링의 방식을 통해 아날로그 빔 벡터의 트레이닝을 진행하며, 즉 각 안테나 패널의 각 폴라리제이션 방향의 어레이 엘리먼트는 시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약정한 시간에 트레이닝 신호 (즉, 후보 형성 벡터)를 전송하고, 단말은 측정한 후 빔 리포트를 피드백하여, 네트워크 측이 다음 번에 서비스를 전송할 때 해당 트레이닝 신호를 채용하여 아날로그 빔 송신을 실현하도록 한다. 빔 리포트의 내용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최적화한 송신 빔 식별자 및 측정된 각 송신 빔에 대한 수신 전력을 포함한다.
3.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에 대하여
NR Rel-15에서, 각 캐리어의 최대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은 400MHz이다. 하지만 단말(User Equipment, UE)의 능력을 고려하여 UE가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은 400MHz보다 작을 수 있으며, UE는 여러개의 작은 BWP에서 작업할 수 있다. 각 대역폭 부분은 하나의 수치 구성(Numerology), 대역폭(Bandwidth), 주파수 영역 위치(Frequency Location)에 대응된다.
4. 빔 지시(beam indication) 메커니즘에 관하여
관련 기술에서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전송 구성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CI) 상태와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의 대응 관계를 설정한다.
TCI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의 준-코-로케이션(Quasi-colocation, QCL) 지시에 사용될 때, UE는 해당 TCI 상태에 따라 어느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하는지를 알 수 있다.
TCI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의 QCL 지시에 사용되는 경우, UE는 해당 TCI 상태에 따라 어느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하는지를 알 수 있다.
PDSCH 수신을 진행할 때, PDC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time offset)과 PDS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을 미리 설정한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Threshold-Scheduled-Offset)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PDSCH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PDSCH의 QCL 정보에 따라 상기 PDSCH를 수신한다.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측은 UE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또는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지만, 관련 기술에서는, 네트워크측이 UE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또는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진행할 때, UE가 어떻게 이때의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방법이 아직 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네트워크측이 UE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또는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진행할 때,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정확하게 확정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아래와 같이 구현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단말에 응용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로 프리셋 규칙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로 프리셋 규칙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상술한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수신한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즉 네트워크측이 단말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또는 크로스 BWP 스케줄링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할 수 있기에, 해당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에 근거하여 PDSCH의 QCL 정보를 확정할 수 있고, 확정한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PDSCH의 정확한 수신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선택가능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을 열독하는 것을 통해, 기타 장점 및 이점은 당업자에 대하여 자명한 것이고, 도면은 단지 일부 실시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전체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한다.
도 1은 본 개시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일부 실시예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개시 또 다른 실시예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개시 또 다른 실시예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개시 일부 실시예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개시 일부 실시예의 단말의 구조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 일부 실시예의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의 구조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의 구조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 또 다른 실시예의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및/또는" 은 연결 대상의 적어도 하나임을 나타내며, 예컨대 "A 및/또는 B"는 개별 A, 개별 B , 및 A와 B가 공존하는 세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예컨대" 또는 "예를 들어" 등 용어는 예시 또는 설명을 표시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기재한 "예컨대" 또는 "예를 들어"로 설명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실시방안은 기타 실시예 또는 실시방안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장점을 더 가진다고 이해하여서는 않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예컨대" 또는 "예를 들어" 등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구체적인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으며,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엘티이(Evolved Long Term Evolution, eLTE) 시스템이거나, 또는 후속의 진화형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측 기기(11) 및 단말(12)을 포함하고, 단말(12)은 네트워크측 기기(11)과 접속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상술한 각 기기 간의 접속은 무선 접속일 수 있으며, 각 기기 간의 접속 관계를 보다 직관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통신 시스템은 여러 개의 단말(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측 기기는 여러 개의 단말(12)과 통신(시그널링 전송 또는 데이터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11)는 기지국일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 base station, eNB)일 수도 있고, 5G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기기(예를 들어, 차세대 기지국(next generation node base station, gNB) 또는 송신 및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등 기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셀(cell) 등 기기일 수 있다. 또는 후속의 진화형 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측 기기일 수 있지만, 사용하는 단어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12)은 휴대폰, 태블릿 PC, 랩톱 컴퓨터,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다. 사용하는 단어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해당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은 단말에 응용되며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포함한다. 물론, 기타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의 확정만 언급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수신한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즉 네트워크측이 단말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또는 크로스 BWP 스케줄링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할 수 있기에, 해당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에 근거하여 PDSCH의 QCL 정보를 확정할 수 있고, 확정한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PDSCH의 정확한 수신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numerology가 캐리어를 기반으로 구성(즉, 네트워크가 동일한 캐리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BWP를 위해 구성한 numerology가 동일하고, numerology가 포함한 파라미터는: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SCS),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등이며, 이때 numerology의 정보는 BWP의 구성 정보중에 있다. 또는 네트워크가 캐리어를 위해 numerology 정보를 구성하고, 이때 numerology의 정보는 캐리어의 구성 정보중에 있으며, 후술한 내용에서도 같기에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시,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한다.
상기 numerology가 BWP를 기반으로 구성(즉, 네트워크가 동일한 캐리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BWP를 위해 구성한 numerology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numerology가 포함한 파라미터는 :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SCS),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등이며, 이때 numerology의 정보는 BWP의 구성 정보중에 있으며, 후술한 내용에서도 같기에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시,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한다.
아래에는 단말이 작업하는 BWP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시스템 또는 페어드 스펙트럼(paired spectrum)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에 많아서 4개의 다운링크 BWP와 많아서 4개의 업링크 BWP를 구성한다.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Duplexing, TDD) 시스템 또는 비페어드 스펙트럼(unpaired spectrum)에 대하여,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많아서 4개의 다운링크/업링크(DL/UL) BWP pair를 구성한다. 각 DL/UL BWP pair 중의 DL BWP와 UL BWP의 중심 캐리어 주파수는 동일하다. 또한, 각 UE는 하나의 디폴트(default) DL BWP가 있거나, 또는 default DL/UL BWP pair이 있다. Default DL BWP 또는 default DL/UL BWP pair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상대적으로 작은 대역폭의 BWP이며, 단말이 장시간내에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였거나 또는 PDCCH를 검측하지 못하였다면, 하나의 타이머(timer)를 통해, 현재의 활성화(active) BWP로부터 default DL BWP 또는 default DL/UL BWP pair로 스위칭하여, 절전의 효과를 이룬다. Active BWP 스위칭은 RRC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또는 timer를 통해 구현한다. 예를 들어, 첫번째 제어 자원 집합(control-resource set, CORESET)에서의 DCI가 단말을 지시하여 두번째 CORESET로 스위칭하면, 단말이 두번째 CORESET로 스위칭한 후, 해당 CORESET이 위치하고 있는 BWP는 즉 active BWP이다. 각 셀의 각 BWP 상의 CORESET은 많아서 3개이다.
ID가 0인 CORESET(CORESET #0)은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이 구성한 것이고, 단말이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브로드캐스트(broadcast) PDCCH에 대하여, 단말이 어느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이 대응하는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을 수신하는지를 확정한다. 유니캐스트(unicast) PDSCH에 대하여, CORESET #0과 관련한 DCI가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셋 규칙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2: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을,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확정한다.
단계 23: 상기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PDSCH를 수신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게 TCI 상태(state)와 RS의 대응관계를 구성한다.
TCI가 PDCCH의 QCL 지시에 사용될 때, 네트워크측 기기는 각 제어 자원 집합(control-resource set, CORESET)에 K개의 TCI state를 구성하고, K>1일 경우에 매체 액세스 층 제어 유닛(Media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에 의해 하나의 TCI state를 지시하고, K=1일 경우에 별도의 MAC CE 시그널링이 필요하지 않는다. 단말이 CORESET를 모니터링할 때, CORESET 내의 전부 검색 공간(search space)에 동일한 QCL 정보, 즉 동일한 TCI state를 사용한다. 해당 TCI 상태에 대응되는 기준 신호 집합(RS set) 중의 RS resource(예컨대 주기 채널 상태 정보 -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resource, 반지속 CSI-RS resource, 동기화 신호 블록(SS block) 등)와 UE-specific PDCCH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복조 기준 신호) 포트는 공간 QCL이다. 단말은 해당 TCI 상태에 근거하여 어느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하는지를 알 수 있다.
TCI가 PDSCH의 QCL 지시에 사용될 때, 네트워크측은 2N개의 TCI state를 활성화하고,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N-bit TCI field를 통해 TCI 상태를 통지하며, 해당 TCI 상태에 대응되는 RS set 중의 RS resource와 스케줄링할 PDSCH의 DMRS 포트는 QCL이다. 단말은 해당 TCI 상태에 근거하여 어느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하는지를 알 수 있다.
만약 PDC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time offset)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이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보다 작다면, 단말은 서빙 셀 활성화 BWP 중에서 가장 작은 ID를 가지고 있는 CORESET(lowest CORESET-ID)의 TCI 상태에 근거하여 PDSCH의 QCL 정보를 확정한다.
만약 PDC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이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보다 크거나 같고, DCI format 1_1을 사용하여 PDSCH를 스케줄링하며,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 tci-PresentInDCI를 이네이블드(enabled)로 구성한다면, 단말은 PDSCH의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포트 그룹과 TCI field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RS set 중의 RS은 QCL인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PDC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이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보다 크거나 같고, DCI format 1_0을 사용하여 PDSCH를 스케줄링하거나, 또는 TCI field를 캐리하지 않는 DCI format 1_1을 사용하여 PDSCH를 스케줄링하거나, 또는 DCI format 1_1을 사용하여 PDSCH를 스케줄링하며,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 tci-PresentInDCI를 디스에블드(disabled)로 구성한다면, 단말은 PDSCH의 QCL 정보는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CORESET의 TCI 상태가 지시한 QCL 정보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이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201: 네트워크측 기기로 상기 단말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리포팅하며, 상기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부분 또는 전부 캐리어 간격의 타임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DCCH를 수신한 것으로부터 상기 PDCCH 중의 DCI가 지시한 QCL 정보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에 응용하기 까지 필요되는 최소 심볼 수이다.
단계 202: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리포팅한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는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것이다.
단계 203: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상기 PDCCH를 수신하며,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및/또는 BWP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및/또는 BWP는 상기 구성 정보중에 캐리되거나, 또는 단독으로 된 구성 정보를 통해 캐리될 수 있다.
단계 204: 상기 PDCCH 중의 DCI에 근거하여 상기 PDSCH를 수신하는 캐리어 및/또는 BWP를 확정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21)에서,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정보, 상기 프리셋 규칙 및 상기 PDCCH와 상기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캐리어 및/또는 BWP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단말이 리포팅한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정보에 근거하여 확정한다. TS38.306에서 능력 파라미터 timeDurationForQCL(단말이 지원하는 각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의 타임 오프셋 정보)를 정의하였고, 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DCCH를 수신한 것으로부터 상기 PDCCH 중의 DCI가 지시한 QCL 정보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에 응용하기 까지 필요되는 최소 심볼 수라는 것을 정의하였다. 단말은 네트워크측 기기로 각 서브 캐리어 간격(예컨대 60kHz 및 120kHz)에 대응되는 타임 오프셋 정보를 리포팅하여야 한다.
TS38.331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각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는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다.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는 UE가 PDCCH의 마지막 하나의 심볼을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PDSCH의 첫번째 하나의 심볼을 수신하기 까지의 심볼수이며, 이 시간내에서 UE는 DCI 중의 PDSCH QCL 정보에 근거하여 PDSCH를 수신하는데 필요되는 QCl 파라미터 조정, 예컨대 빔 스위칭(beam switching)을 완성하여야 한다.
UE는 해당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획득한 후, 수신한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의 타임 오프셋을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PDSCH의 QCL 정보를 확정하며, 확정한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PDSCH를 수신하는데 필요되는 QCL 파라미터 조정, 예컨대 빔 스위칭(beam switching)을 완성하여, PDSCH를 정확하게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리포팅한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에서 동일한 numerology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캐리어 집성에서 상이한 numerology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동일한 numerology의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상이한 numerology의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동일할 경우, 상기 동일한 numerology가 대응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확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이며,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1: 단말로 프리셋 규칙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로 프리셋 규칙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할 수 있기에, 해당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에 근거하여 PDSCH의 QCL 정보를 확정할 수 있고, 확정한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PDSCH의 정확한 수신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umerology가 캐리어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numerology가 BWP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numerology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은:
상기 단말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부분 또는 전부 캐리어 간격의 타임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DCCH를 수신한 것으로부터 상기 PDCCH 중의 DCI가 지시한 QCL 정보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에 응용하기 까지 필요되는 최소 심볼 수임 -;
상기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리포팅한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는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것임 -;
상기 단말로 상기 PDCCH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및/또는 BWP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한 것임 -; 및
상기 단말로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동일할 경우, 상기 동일한 numerology가 대응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확정한다.
아래에는 네트워크측과 단말측의 인터랙션 프로세스를 결부시켜, 상술한 단말 측에 응용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및 네트워크측에 응용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단말이 네트워크측으로 능력 파라미터(즉 UE capability) 정보를 리포팅하며, 이하 정보를 포함한다.
a) 크로스 캐리어 또는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지원하는 관련 정보, 예컨대:
i. 캐리어 집성중에서 동일한 numerology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예컨대 crossCarrierSameNumerology 지시를 사용;
ii. 캐리어 집성중에서 상이한 numerology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예컨대 crossCarrierDiffNumerology 지시를 사용;
iii. 동일한 numerology의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iv. 상이한 numerology의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b) 각 서브 캐리어 간격(예컨대 60kHz 및 120kHz)의 타임 오프셋(예컨대 timeDurationForQCL), 즉 각 numerology에 대응되는 최소 OFDM 심볼 수.
(2)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UE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중에는 각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가 포함되어 있다.
(3)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로 PDCCH를 송신하고,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한다.
a)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하여, PDCCH는 상기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캐리어 및/또는 BWP의 인덱스 정보를 캐리한다.
b)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에 대하여, PDCCH는 상기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캐리어 및/또는 BWP의 인덱스 정보를 캐리한다.
(4) 단말은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한다.
a) 수신한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상기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상기 numerology가 캐리어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numerology가 BWP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numerology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포함한다.
b) 상기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동일할 경우, 상기 동일한 numerology가 대응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확정한다.
상기 프리셋 규칙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
UE는 상기 구성 정보, 상기 프리셋 규칙 및 PDCCH와 상기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캐리어 및/또는 BWP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한다.
(5) 단말은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을,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PDSCH를 수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60)을 제공하며,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61)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수신한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즉 네트워크측이 단말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또는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할 수 있기에, 해당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에 근거하여 PDSCH의 QCL 정보를 확정할 수 있고, 확정한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PDSCH의 정확한 수신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numerology가 캐리어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한다.
상기 numerology가 BWP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numerology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셋 규칙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을,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PDSCH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모듈; 및
상기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기기로 상기 단말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리포팅하기 위한 리포팅 모듈 - 상기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부분 또는 전부 캐리어 간격의 타임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DCCH를 수신한 것으로부터 상기 PDCCH 중의 DCI가 지시한 QCL 정보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에 응용하기 까지 필요되는 최소 심볼 수임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리포팅한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는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것임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상기 PDCCH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모듈 -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및/또는 BWP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함 -; 및
상기 PDCCH 중의 DCI에 근거하여 상기 PDSCH를 수신하는 캐리어 및/또는 BWP를 확정하기 위한 제3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상기 구성 정보, 상기 프리셋 규칙 및 상기 PDCCH와 상기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캐리어 및/또는 BWP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캐리어 집성중에서 동일한 numerology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캐리어 집성중에서 상이한 numerology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동일한 numerology의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상이한 numerology의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동일할 경우, 상기 동일한 numerology가 대응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확정하기 위한 제4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70)을 더 제공하며,
단말로 프리셋 규칙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71)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로 프리셋 규칙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할 수 있기에, 해당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에 근거하여 PDSCH의 QCL 정보를 확정할 수 있고, 확정한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PDSCH의 정확한 수신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umerology가 캐리어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numerology가 BWP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numerology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단말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 상기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부분 또는 전부 캐리어 간격의 타임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DCCH를 수신한 것으로부터 상기 PDCCH 중의 DCI가 지시한 QCL 정보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에 응용하기 까지 필요되는 최소 심볼 수임 -;
상기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리포팅한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는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것임 -;
상기 단말로 상기 PDCCH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 -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및/또는 BWP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함 -; 및
상기 단말로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동일할 경우, 상기 동일한 numerology가 대응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확정하는 규칙을 더 포함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의 구조예시도이다. 해당 단말(80)은, 무선 주파수 유닛(81), 네트워크 모듈(82), 오디오 출력 유닛(83), 입력 유닛(84), 센서(85), 표시 유닛(86), 사용자 입력 유닛(87), 인터페이스 유닛(88), 메모리(89), 프로세서(810), 및 전원(8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8에 나타내는 단말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810)는,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수신한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즉 네트워크측이 단말에 대해 크로스 캐리어 또는 크로스 BWP 스케줄링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할 수 있기에, 해당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에 근거하여 PDSCH의 QCL 정보를 확정할 수 있고, 확정한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PDSCH의 정확한 수신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8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8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8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8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8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83)은 무선 주파수 유닛(81) 또는 네트워크 모듈(8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8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83)은 또한, 단말(8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8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8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8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841) 및 마이크(8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8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8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8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8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81) 또는 네트워크 모듈(8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8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8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80)은,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8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8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8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8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8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8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86)은 표시 패널(8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8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8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87)은 터치 패널(871) 및 기타 입력 기기(8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8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871) 상 또는 터치 패널(8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8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810)로 보내고, 프로세서(8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8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8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87)은 기타 입력 기기(8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8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871)은 표시 패널(8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871)은 터치 패널(8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8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8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8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8에서 터치 패널(871)과 표시 패널(8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871)과 표시 패널(861)을 집적하여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88)은 외부 장치가 단말(8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8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8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8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8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8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작업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8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단말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8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8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8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8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작업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8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8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8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8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8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8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도 9는 본 개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의 구조예시도이며, 해당 단말(90)은 프로세서(91) 및 메모리(92)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90)은 상기 메모리(92)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91)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91)에 의해 실행될 때,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프로세서(9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92)는 프로세서(91)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numerology가 캐리어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numerology가 BWP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numerology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리셋 규칙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9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을,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PDSCH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PDSCH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91)에 의해 실행될 때,
네트워크측 기기로 상기 단말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리포팅하는 단계 - 상기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부분 또는 전부 캐리어 간격의 타임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DCCH를 수신한 것으로부터 상기 PDCCH 중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가 지시한 QCL 정보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에 응용하기 까지 필요되는 최소 심볼 수임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리포팅한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는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것임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및/또는 BWP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함 -; 및
상기 PDCCH 중의 DCI에 근거하여 상기 PDSCH를 수신하는 캐리어 및/또는 BWP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고;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정보, 상기 프리셋 규칙 및 상기 PDCCH와 상기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캐리어 및/또는 BWP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캐리어 집성중에서 동일한 numerology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캐리어 집성중에서 상이한 numerology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동일한 numerology의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상이한 numerology의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9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동일할 경우, 동일한 상기 numerology가 대응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구현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도 10은 본 개시 또 다른 실시예의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예시도이며,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100)은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2)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100)은 상기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101)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101)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로 프리셋 규칙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프로세서(1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102)는 프로세서(101)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numerology가 캐리어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numerology가 BWP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1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부분 또는 전부 캐리어 간격의 타임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DCCH를 수신한 것으로부터 상기 PDCCH 중의 DCI가 지시한 QCL 정보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에 응용하기 까지 필요되는 최소 심볼 수임 -;
상기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리포팅한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는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것임 -;
상기 단말로 상기 PDCCH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및/또는 BWP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함 -; 및
상기 단말로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동일할 경우, 상기 동일한 numerology가 대응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확정하는 규칙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룰 수 있기에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룰 수 있기에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 은,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방식의 설명으로부터,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에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을 결합으로 실현가능한 것은 명확히 이해되어야 하며, 하드웨어를 통하여서도 실현 가능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욱 양호한 실시 방식임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복수개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더러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본 개시의 정신 및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개변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본개시의 실시예의 이러한 개변 및 변형은 본 개시의 청구범위 및 그와 동등한 기술 범위 내에 속하며,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개변 및 변형을 청구범위 내에 귀속 시키고자 한다.

Claims (16)

  1. 단말에 응용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에 있어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 부분(BWP)의 수치 구성(numerology)이 상이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umerology가 캐리어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numerology가 BWP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numerology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셋 규칙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인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수신하는 타임 오프셋을,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PDSCH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PDSCH의 QCL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PDSCH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로 상기 단말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리포팅하는 단계 - 상기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부분 또는 전부 캐리어 간격의 타임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DCCH를 수신한 것으로부터 상기 PDCCH 중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가 지시한 QCL 정보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에 응용하기 까지 필요되는 최소 심볼 수임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리포팅한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는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것임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및/또는 BWP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함 -; 및
    상기 PDCCH 중의 DCI에 근거하여 상기 PDSCH를 수신하는 캐리어 및/또는 BWP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중,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정보, 상기 프리셋 규칙 및 상기 PDCCH와 상기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캐리어 및/또는 BWP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캐리어 집성에서 동일한 numerology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캐리어 집성에서 상이한 numerology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동일한 numerology의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이 상이한 numerology의 크로스 BWP 스케줄링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동일할 경우, 동일한 상기 numerology가 대응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8.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프리셋 규칙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 부분(BWP)의 수치 구성(numerology)이 상이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numerology가 캐리어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numerology가 BWP를 기반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 또는
    상기 PDCCH 또는 상기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BWP의 상기 numerology 중의 가장 크거나 또는 가장 작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하는 규칙;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numerology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부분 또는 전부 캐리어 간격의 타임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DCCH를 수신한 것으로부터 상기 PDCCH 중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가 지시한 QCL 정보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에 응용하기 까지 필요되는 최소 심볼 수임 -;
    상기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리포팅한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는 상기 타임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것임 -;
    상기 단말로 상기 PDCCH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PDC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및/또는 BWP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함 -; 및
    상기 단말로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셋 규칙은:
    상기 PDCCH 및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동일할 경우, 동일한 상기 numerology가 대응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상기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로 확정하는 규칙을 더 포함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12. 단말에 있어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가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BWP의 numerology가 상이할 경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13.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단말로 프리셋 규칙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 위치하고 있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 부분(BWP)의 수치 구성(numerology)이 상이할 경우, 상기 프리셋 규칙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하는 스케줄링 오프셋 도어 임계를 확정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14.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단말.
  15.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16.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03367A 2018-07-12 2019-07-03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KR20210028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62971.8A CN110719631B (zh) 2018-07-12 2018-07-12 调度参数的确定方法、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201810762971.8 2018-07-12
PCT/CN2019/094522 WO2020011084A1 (zh) 2018-07-12 2019-07-03 调度参数的确定方法、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237A true KR20210028237A (ko) 2021-03-11

Family

ID=6914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367A KR20210028237A (ko) 2018-07-12 2019-07-03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확정 방법,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937253B2 (ko)
EP (1) EP3823379A4 (ko)
JP (1) JP7084542B2 (ko)
KR (1) KR20210028237A (ko)
CN (2) CN114142982A (ko)
AU (1) AU2019302960B2 (ko)
CA (1) CA3105693C (ko)
RU (1) RU2763946C1 (ko)
SG (1) SG11202100323PA (ko)
WO (1) WO2020011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2982A (zh) * 2018-07-12 2022-03-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调度参数的确定方法、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3365329B (zh) * 2018-09-15 2023-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1375518B2 (en) * 2019-01-23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DCCH processing timelines
US11483767B2 (en) * 2019-02-15 2022-10-25 Mediatek Inc. Cross-slot scheduling for power saving in mobile communications
US11405809B2 (en) * 2019-05-08 2022-08-02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monitoring reference signals for UEs that do not support CSI-RS based radio link monitoring
US11431463B2 (en) 2019-08-16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Minimum scheduling offset
CN116633515A (zh) * 2019-09-30 2023-08-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节能信息的传输方法、基站及终端
CN111212437B (zh) * 2020-01-22 2022-07-19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Pdsch接收波束的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EP4132147A4 (en) * 2020-03-27 2023-11-15 Ntt Docomo, Inc.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CN113596996B (zh) * 2020-04-30 2024-01-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物理下行共享信道接收、发送方法及设备、装置、介质
WO2022000510A1 (zh) * 2020-07-03 2022-01-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83438A1 (en) * 2020-08-06 2023-09-07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hopping for control channels for devices with reduced capabilities
US11968647B2 (en) * 2021-01-12 2024-04-23 Nokia Technologies Oy Facilita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repetition on link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candidates of different search space sets
CN115175106A (zh) * 2021-04-01 2022-10-11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通信参数确定方法及相关产品
CN115474249A (zh) * 2021-06-11 2022-12-13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调整的方法、相关装置以及相关设备
WO2023283191A1 (en) * 2021-07-07 2023-01-12 Intel Corporation Cross-carrier scheduling with different cell numerologies
US20230014728A1 (en) * 2021-07-19 2023-01-19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 transmissions associated wit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bundling
CN116981073A (zh) * 2022-04-14 2023-10-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能力指示、调度方法、装置、终端及通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89954C (en) * 2010-02-16 2016-06-07 Nokia Corporat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 measurements based on threshold settings
GB2502275B (en) * 2012-05-21 2017-04-19 Sony Corp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CN103874096B (zh) * 2012-12-18 2017-1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发送和检测方法、发送端和接收端
EP2991421B8 (en) * 2013-04-23 2020-08-05 Convida Wireless, LLC Efficient lte commuication using bandwidth extension techniques
EP3254395B1 (en) * 2015-02-06 2019-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widebandwidth services via carrier aggregation
CN106658742B (zh) * 2015-11-03 2020-07-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调度及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US10206080B2 (en) * 2016-09-08 2019-0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3513611B1 (en) * 2016-11-01 2021-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ubband aggregation in nr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20525B1 (en) * 2016-11-03 2022-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to support ultra-wide bandwidth in fifth generation (5g) new radio
CN108024310B (zh) * 2016-11-04 2020-09-1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8243499B (zh) * 2016-12-26 2020-10-30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移动终端和通信基站
CN108270539B (zh) * 2017-01-03 2022-07-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及设备
EP3826343A1 (en) * 2017-01-20 2021-05-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eparate configuration of numerology-associated resources
CN107872891B (zh) * 2017-11-14 2021-12-2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资源调度方法、装置、网络设备及终端
MX2020005137A (es) * 2017-11-17 2020-08-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odo de indicacion de un formato de ranura y producto relacionado.
US11025456B2 (en) * 2018-01-12 2021-06-01 Apple Inc.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US10813116B2 (en) * 2018-05-11 2020-10-20 Apple Inc. Support of advanced user equipment (UE) minimum processing times in new radio (NR) systems
CN110636616B (zh) * 2018-06-22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及装置
CN114142982A (zh) * 2018-07-12 2022-03-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调度参数的确定方法、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EP3858057B1 (en) * 2018-09-28 2024-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itioning between different scheduling delay assumptions
US11382118B2 (en) * 2018-09-28 2022-07-05 Qualcomm Incorporated Minimum scheduling delay signaling
CN111817831B (zh) * 2019-07-15 2022-01-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传输方法和通信设备
CN111800862B (zh) * 2019-07-17 2023-04-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最小跨时隙调度间隔生效时刻的方法和电子设备
US20220353893A1 (en) * 2019-09-26 2022-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ross slot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055756A1 (en) * 2019-11-08 2022-09-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determining minimum scheduling offset application delay
WO2022032661A1 (en) * 2020-08-14 2022-02-17 Zte Corporation Method for a relaxed ue processing 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100323PA (en) 2021-02-25
AU2019302960B2 (en) 2022-03-17
EP3823379A1 (en) 2021-05-19
CA3105693A1 (en) 2020-01-16
RU2763946C1 (ru) 2022-01-11
WO2020011084A1 (zh) 2020-01-16
CN110719631A (zh) 2020-01-21
US20210136808A1 (en) 2021-05-06
JP2021523656A (ja) 2021-09-02
JP7084542B2 (ja) 2022-06-14
CA3105693C (en) 2023-08-01
CN114142982A (zh) 2022-03-04
EP3823379A4 (en) 2021-09-22
CN110719631B (zh) 2021-12-28
US11937253B2 (en) 2024-03-19
AU2019302960A1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725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scheduling parameter, method for configuring scheduling parameter,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CN110719632B (zh) 一种准共址确定方法、调度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102598747B1 (ko)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
WO2020207378A1 (zh) 确定波束信息的方法及装置、通信设备
US2022002216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channel resource, channel detection method, and terminal
WO2021013007A1 (zh) 测量方法、资源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2654084B (zh) 一种搜索空间分配方法、搜索空间配置方法及相关设备
US20220045810A1 (en) Method for indicating antenna panel information of terminal, network side device, and terminal
US20220352969A1 (en) Beam information determin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12583544B (zh) 确定源参考信号信息的方法和通信设备
CN111182636B (zh) 下行控制信息检测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设备
KR20220129031A (ko) 주파수 도메인 자원 처리 방법, 주파수 도메인 자원 설정 방법 및 관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