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850A -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850A
KR20210027850A KR1020190108849A KR20190108849A KR20210027850A KR 20210027850 A KR20210027850 A KR 20210027850A KR 1020190108849 A KR1020190108849 A KR 1020190108849A KR 20190108849 A KR20190108849 A KR 20190108849A KR 20210027850 A KR20210027850 A KR 20210027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ck
peel
mixture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683B1 (ko
Inventor
김규식
강현수
박철훈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온
Priority to KR102019010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6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오프팩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과 폴리우레탄이 혼합된 피막형성제를 포함하여 팩의 부착력 및 인장강도가 증대되고 건조 전후의 색상이 전환되어 사용자가 팩을 떼어내는 시점을 파악하기 용이한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eel-off Pack coxmetic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필오프팩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과 폴리우레탄이 혼합된 피막형성제를 포함하여 팩의 부착력 및 인장강도가 증대되고 건조 전후의 색상이 전환되어 사용자가 팩을 떼어내는 시점을 파악하기 용이한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로 접어들면서 피부를 관리하는 방법이 다양해졌으며, 사람들은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팩을 사용한다.
상기 팩은 시트팩, 필오프팩 및 워시오프팩으로 나뉠 수 있는데, 상기 시트팩은 얼굴을 본딴 형태의 시트에 팩 조성물을 함침시킨 것으로 피부에 일정시간 밀착한 후 시트를 제거하는 것이고, 워시오프팩은 팩 조성물을 피부에 바르고 일정시간 경과 후 물로 씻어내는 것을 말하며, 필오프 팩은 팩 조성물을 피부에 바르면 일정시간 경과 후 조성물이 건조되면 이를 떼어내는 형태를 말한다.
상기 필오프 팩 타입의 팩 제품은 별도의 세안이 필요하지 않고 팩제를 바르고 마른 후 바로 팩을 떼어내므로 모공 노폐물 제거 및 각질 케어기능이 뛰어나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팩 제형의 하나이다. 필오프 팩은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 필름의 건조속도가 느리거나, 필름의 강도가 약하게 되면, 잘 찢러지고 피부로부터 제거가 잘 되지않으며 강도가 너무 강한 경우 팩과 피부의 밀착력이 커져서 피부로부터 제거 시 자극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어 민감한 피부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는 필오프 팩 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콜이라는 고분자 성분 때문인데, 상기 폴리비닐알콜을 통상적인 함량으로 포함하여 형성된 필름은 인장강도가 약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팩의 점도를 높여주는 방법이 사용되며, 대표적인 방법으로 상기 폴리비닐알콜의 함량을 높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필름의 인장강도를 현저히 높이기 위해서는 폴리비닐알콜 함량을 20중량% 이상으로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폴리비닐알콜을 2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경우, 필름의 인장강도는 높아지지만 건조속도가 늦어지거나, 제품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발림성이 떨어지는 바, 사용감이 매우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실메틸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잔탄검 등의 고분자 폴리머 물질들을 혼합 사용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의 점도를 높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또한 필름의 인장강도가 원하는 수준만큼 증대되지 않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필름의 강도를 개선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필오프팩은 제품을 바르고 얼마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후 팩을 떼어내야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시계를 보면서 계속 시간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68760호(2007.10.19. 공고), "전분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PVA와 폴리우레탄이 혼합된 피막형성제를 포함하여 팩의 부착력 및 인장강도가 증대되어 팩 제거가 용이한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전후의 색상이 전환되어 사용자가 팩을 떼어내는 시점을 파악하기 용이한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증류수에 다이소듐 EDTA, 알라토인 및 1,2-헥산디올을 용해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의 혼합물에 폴리비닐알코올을 투입하고 가온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의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투입하고 분산시키는 단계(S30); 상기 단계(S30)의 혼합물에 폴리우레탄을 투입하고 분산시키는 단계(S40); 알코올에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C12-14 파레스-12를 혼합하는 단계(S50); 상기 단계(S40)의 혼합물에 상기 단계(S50)의 혼합물을 투입 후 분산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단계(S60)을 수행한 후에, 컨셉 및 추출물을 투입 후 분산하는 단계(S7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피막형성제 13.0 ~ 40.0 중량%;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제 8.0 ~ 12.0 중량%; 알란토일,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습제 2.001 ~ 5.01 중량%; 1,2-헥산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존제 0.11 ~ 1.1 중량%; C12-14 파레스-12를 포함하는 가용화제 0.1 ~ 1.0중량%; 디소듐 EDTA를 포함하는 안정화제 0.01 ~ 1.0 중량% 및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막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을 8.0 ~ 10.0중량%, 폴리우레탄을 5.0 ~ 30.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은 PVA와 폴리우레탄이 혼합된 피막형성제를 포함함으로써 팩의 부착력 및 인장강도가 증대되어 팩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은 건조 전후의 색상이 전환되어 사용자가 팩을 떼어내는 시점을 파악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반전 효과를 나타낸 사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증류수에 디소듐 EDTA, 알란토인 및 1,2-헥산디올을 용해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의 혼합물에 폴리비닐알코올을 투입하고 가온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의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투입하고 분산시키는 단계(S30);
상기 단계(S30)의 혼합물에 폴리우레탄을 투입하고 분산시키는 단계(S40);
알코올에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C12-14 파레스-12를 혼합하는 단계(S50);
상기 단계(S40)의 혼합물에 상기 단계(S50)의 혼합물을 투입 후 분산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S10)에서는 증류수에 다이소듐 EDTA, 알란토인 및 1,2-헥산디올을 용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단계(S10)에서 증류수는 모든 조성물을 투입하고 난 후의 잔량으로 측정되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소듐 EDTA는 기존 EDTA 성분에서 두 개의 나트륨 이온(Na+)과 결합한 수용성 성분으로 EDTA·Na라고도 한다. 상기 다이소듐 EDTA는 주로 화장품의 제조 공정에서 혼입될 수 있는 금속이온 및 제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기가 들어가서 생긴 산화물질의 활성을 방지하는 금속이온 봉쇄제로 사용되며,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식품, 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상기 알란토인은 캄프리(comprey), 상수리나무, 밀의 싹 등에서 추출한 천연물질이다. 고분자 유기물을 분해하여 저분자 물질로 만드는 과정인 이화작용에 의해 생성된 요산 산화물을 정제해 얻는다. 상기 알란토인을 5-ureidohydantoin라고도 불린다. 상기 알란토인은 산세포와 죽은 세포 사이의 세포간질에 함수를 증가시켜 각질을 제거하고, 피부에 수분을 주어 피부를 부드럽게 하며 세포의 분아 번식을 증진시켜 피부의 상처 치유를 돕는다. 또, 자극과 항원에 민감한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가렴증이나 아토피 치료에 스테로이드 요법이 아닌 치료제로 사용된다.
상기 1,2-헥산디올은 무색, 무취의 방부 기능을 갖는 원료로서 천연화장품에 대한 각종 세균 오염을 방지하는 보존제 역할을 한다. 물과 기름에도 잘 섞이는 유화성을 갖고 있으며, 피부 수분 증발을 차단하는 보습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단계(S10)에서 증류수에 용해되는 다이소듐 EDTA는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1 ~ 0.1중량%, 알란토인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1 ~ 0.1 중량%, 1,2-헥산디올은 0.1 ~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팩의 부착력 및 인장강도가 약해지고, 건조 전후의 색상 전환이 잘 파악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에서는 상기 단계(S!0)의 혼합물에 폴리비닐알코올을 투입하고 가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비닐을 알칼리, 산, 암모니아수 등에서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비닐알코올(CH2=CHOH)의 직쇄중합물이며, 결합제, 점도증가제 및 피막형성제로 사용된다. 수산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물에 녹기 쉬운 특성을 갖고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8.0 ~ 10.0중량% 포함되도록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이 8.0중량% 미만에서는 점도형성이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이 10.0중량%를 초과하면 건조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투입시 뭉침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벽을 긁으면서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20)에서 분산 후에는 70 ~ 90℃ 가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로 가온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단계(S30)에서는 상기 단계(S20)의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투입하고 분산 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글리세린은 보습제로 사용되며, 화장품이나 비누를 만들 때 첨가하여 보습효과를 준다. 무색, 투명의 냄새가 없고 단맛이 나는 액체이며,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한 천연 보습제이다. 주부습진이나 손 발바닥 갈라진 곳에 사용하기도 하며,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에도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있다.
상기 단계(S30)에서 글리세린의 분산은 5500rpm ~ 600rpm의 교반속도와 80℃의 온도에서 5분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세린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2.0 ~ 5.0중량% 포함되도록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팩의 부착력 및 인장강도가 약해지고, 건조 전후의 색상 전환이 잘 파악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0)에서는 글리세린 투입시 뭉침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벽을 긁으며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40)에서는 상기 단계(S30)의 혼합물에 폴리우레탄을 투입하고 분산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주사슬의 반복 단위 중에 우레탄 결합 -NHCOO-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총칭으로써, 폴리아미드와 폴리에스테르 중간의 성질을 보인다. 진한 황산, 포름산, 페놀, 크레졸에 녹는다. 흡습성은 폴리아미드보다 작고 상대 습도 65%에서 1 ~ 1.5%이다.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용제성이 좋고, 내노화성, 산소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다.
상기 단계(S40)에서 폴리우레탄의 분산은 5500rpm ~ 6000rpm의 교반 속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5.0 내지 30.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팩의 부착력 및 인장강도가 약해지고, 건조 전후의 색상 변화가 잘 파악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S40)에서 폴리우레탄을 투입하고 분산이 완료된 것을 확인 후 60℃로 냉각한다.
상기 단계(S50)에서는 알코올에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C12-14 파레스-12를 혼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알코올은 모든 종류의 알코올을 총칭하는 말이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에틸핵실글리세린은 IUPAC 명명법으로 3-[(2-ethylhexyl)oxy]-1,2-propanediol로 불리우며, 보존제로 사용되는 글리세릴에테르이다. 화학식은 C11H24O3이다.
상기 C12-14 파레스-12는 가용화제로 사용되며, 에틸렌옥사이드가 평균 12몰인 합성 12C~14 알코올 혼하불의 폴리에틸렌글라키톨에텔 성분이다. 화장품 속 물질의 계면에 흡착하여 잘 섞이도록 하는 활성물질 역할을 하여 다른 성분들의 유화 안정에 도움을 준다. INCI 영문성분명은 C12-14 Pareth-12이다.
상기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8.0 ~ 12.0중량%가 되도록 하며, 상기 에텔헥실글리세린은 0.01 ~ 0.1중량%, 상기 C12-14 파레스-12는 0.1 ~ 1.0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팩의 부착력 및 인장강도가 약해지고, 건조 전후의 색상 전환이 잘 파악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S50)의 혼합은 5500rpm ~ 6000rpm의 교반속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60)에서는 상기 단계(S40)의 혼합물에 상기 단계(S50)의 혼합물을 투입 후 분산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60℃로 냉각한 상기 단계(S40)의 혼합물에 상기 단계(S50)의 혼합물을 투입 후 분산시키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60)을 수행한 후에는, 컨셉 및 추출물을 투입 후 분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각 팩 제품의 컨셉에 따라 천연물이나 핵심이 되는 성분을 투입하며 분산시키고 50 ~ 60℃에서 탈포를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을 거침으로써,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피막형성제 13.0 ~ 40.0 중량%;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제 8.0 ~ 12.0 중량%; 알란토일,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습제 2.001 ~ 5.01 중량%; 1,2-헥산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존제 0.11 ~ 1.1 중량%; C12-14 파레스-12를 포함하는 가용화제 0.1 ~ 1.0중량%; 디소듐 EDTA를 포함하는 안정화제 0.01 ~ 1.0 중량% 및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와 폴리우레탄이 혼합된 피막형성제를 포함함으로써 팩의 부착력 및 인장강도가 증대되어 팩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건조 전후의 색상이 전환되어 사용자가 팩을 떼어내는 시점을 파악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5, 본 발명에 따른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폴리우레탄의 함량이 각각 5.0중량%(실시예1), 10.0중량%(실시예2), 15.0중량%(실시예3), 18.0중량%(실시예4), 30.0중량%(실시예5)로 포함된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계(S10) : 증류수에 다이소듐 EDTA 0.02중량%, 알란토인0.1중량% 및 1,2헥산디올 0.5중량%를 용해하였다.
단계(S20) : 상기 단계(S10)의 혼합물에 폴리비닐알코올을 10.0중량% 투입하고 뭉침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벽을 긁으며 분산한 후 80℃로 가온하였다.
단계(S30) : 상기 단계(S20)의 혼합물에 글리세린 4.0중량%를 투입하고 5500rpm의 교반속도와 80℃의 온도에서 5분간 분산시켰다.
단계(S40) : 상기 단계(S30)의 혼합물에 폴리우레탄을 각각 5.0중량%, 10.0중량%, 15.0중량%, 18.0중량%, 30.0중량%로 투입하고 분산시킨 후 60℃로 냉각하였다.
단계(S50) : 에탄올 10.0중량%에 에틸헥실글리세린 0.05중량% 및 C12-14 파레스-12 0.4중량%를 혼합하였다.
단계(S60) : 상기 단계(S40)의 혼합물에 상기 단계(S50)의 혼합물을 투입 후 5500rpm의 교반속도로 분산시켰다.
비교예 1 내지 2.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을 달리한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폴리우레탄의 함량은 18.0중량% 포함하고, 폴리비닐알코올이 각각 5.0중량%(비교예1), 7.0중량%(비교예2) 포함되도록 비교예 1 내지 2의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을 달리한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계(S10) : 증류수에 다이소듐 EDTA 0.02중량%, 알란토인0.1중량% 및 1,2헥산디올 0.5중량%를 용해하였다.
단계(S20) : 상기 단계(S10)의 혼합물에 폴리비닐알코올을 각각 5.0중량%, 7.0중량% 투입하고 뭉침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벽을 긁으며 분산한 후 80℃로 가온하였다.
단계(S30) : 상기 단계(S20)의 혼합물에 글리세린 4.0중량%를 투입하고 5500rpm의 교반속도와 80℃의 온도에서 5분간 분산시켰다.
단계(S40) : 상기 단계(S30)의 혼합물에 폴리우레탄을 18.0중량를 투입하고 분산시킨 후 60℃로 냉각하였다.
단계(S50) : 에탄올 10.0중량%에 에틸헥실글리세린 0.05중량% 및 C12-14 파레스-12 0.4중량%를 혼합하였다.
단계(S60) : 상기 단계(S40)의 혼합물에 상기 단계(S50)의 혼합물을 투입 후 5500rpm의 교반속도로 분산시켰다.
실험예 1. 폴리비닐알코올 함량에 따른 점도확인
실시예 4의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5의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1의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2의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형성을 비교하여, 폴리우레탄과 혼합 사용가능한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을 추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4 실시예5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 5.0중량% 7.0중량% 10.0중량% 10.0중량%
폴리우레탄의 함량 18.0중량% 18.0중량% 18.0중량% 30.0중량%
점도 형성 여부 점도 형성 안됨 점도 형성 안됨 점도 형성됨 점도 형성됨
당일/익일의 점도 1200/904
(3*30)
2830/2820
(3*12)
7320/-
(4*30)
63700/측정불가
(4*6)
그 결과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이 5.0중량%, 7.0중량%일 때에는 점도가 형성되지 않아 사용이 불가능하였으며, 10.0중량%일 경우 점도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알코올의 적당한 함량은 10.0중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추후의 실험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을 10.0중량% 포함하여 진행하였다.
비교예 3 내지 5. 폴리우레탄의 함량을 달리한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다라, 폴리우레탄의 함량이 각각 1.0중량%(비교예3), 3.0중량%(비교예4), 35.0중량%(비교예5) 포함된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계(S10) : 증류수에 다이소듐 EDTA 0.02중량%, 알란토인0.1중량% 및 1,2헥산디올 0.5중량%를 용해하였다.
단계(S20) : 상기 단계(S10)의 혼합물에 폴리비닐알코올을 10.0중량% 투입하고 뭉침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벽을 긁으며 분산한 후 80℃로 가온하였다.
단계(S30) : 상기 단계(S20)의 혼합물에 글리세린 4.0중량%를 투입하고 5500rpm의 교반속도와 80℃의 온도에서 5분간 분산시켰다.
단계(S40) : 상기 단계(S30)의 혼합물에 폴리우레탄을 각각 1.0중량%, 3.0중량%, 35.0중량%로 투입하고 분산시킨 후 60℃로 냉각하였다.
단계(S50) : 에탄올 10.0중량%에 에틸헥실글리세린 0.05중량% 및 C12-14 파레스-12 0.4중량%를 혼합하였다.
단계(S60) : 상기 단계(S40)의 혼합물에 상기 단계(S50)의 혼합물을 투입 후 5500rpm의 교반속도로 분산시켰다.
실험예 2. 폴리우레탄 함량에 따른 필오프팩의 인장강도, 건조시간 측정 및 색상 반전 효과 확인
폴리우레탄이 각각 5.0중량%(실시예1), 10.0중량%(실시예2), 15.0중량%(실시예3), 30.0중량%(실시예5) 및 1.0중량%(비교예3), 3.0중량%(비교예4), 35.0중량%(비교예5)로 포함된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인장강도 및 건조시간 측정 실험이 수행되었다.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5 비교예5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
10.0중량%
폴리우레탄의 함량 1.0중량% 3.0중량% 5.0중량% 10.0중량% 15.0중량% 30.0중량% 35.0중량%
인장강도
(g/cm2)
210,121 219,170 229,333 234,333 251,590 284,333 170,000
색상반전효과 × × ×
건조시간 10분 10분 10분 10분 15분 15분 30분
그 결과, 폴리우레탄의 함량 5.0중량%, 10.0중량%, 15.0중량%, 30.0중량% 에서 인장강도가 사용상 적당한 수치로 나타났다.
또한, 폴리우레탄 함량 5.0중량%, 10.0중량%, 15.0중량%, 30.0중량%에서는 색상 반전 효과가 나타나 피오프팩을 제거하는 시간을 확인하기 용이하였다.
또한, 폴리우레탄 함량 5.0중량%, 10.0중량%, 15.0중량%, 30.0중량%에서는 건조시간이 10 ~ 15분으로 나타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당한 시간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함량이 1.0중량%, 3.0중량%, 35.0중량%인 비교예 3 내지 5의 필오프팩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없었으며,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오프팩의 적절한 폴리우레탄 함량은 5.0 ~ 30.0중량%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폴리우레탄의 함량에 따른 부착력 측정 실험
폴리우레탄이 각각 5.0중량%(실시예1), 10.0중량%(실시예2), 15.0중량%(실시예3), 30.0중량%(실시예5) 및 1.0중량%(비교예3), 3.0중량%(비교예4), 35.0중량%(비교예5)로 포함된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부착력 실험이 수행되었다.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5 비교예5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
10.0중량%
폴리우레탄의 함량 1.0중량% 3.0중량% 5.0중량% 10.0중량% 15.0중량% 30.0중량% 35.0중량%
부착력(N) 28 30 35 42 43 53 57
그 결과 폴리우레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필오프팩 화장료의 부착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4는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치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5는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치로 판단되었다. 비교예 5의 경우 부착력이 강하였으나, 지나치게 강한 부착력으로 인해 피부에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오프 팩 화장료는 폴리우레탄의 함량 5.0중량% ~ 30.0중량%에서 35N ~ 53N의 부착력을 가짐으로써, 적합한 사용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4)

  1. 증류수에 다이소듐 EDTA, 알라토인 및 1,2-헥산디올을 용해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의 혼합물에 폴리비닐알코올을 투입하고 가온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의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투입하고 분산시키는 단계(S30);
    상기 단계(S30)의 혼합물에 폴리우레탄을 투입하고 분산시키는 단계(S40);
    알코올에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C12-14 파레스-12를 혼합하는 단계(S50);
    상기 단계(S40)의 혼합물에 상기 단계(S50)의 혼합물을 투입 후 분산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60)를 수행한 후에, 컨셉 및 추출물을 투입 후 분산하는 단계(S7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피막형성제 13.0 ~ 40.0 중량%;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제 8.0 ~ 12.0 중량%;
    알란토일,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습제 2.001 ~ 5.01 중량%;
    1,2-헥산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존제 0.11 ~ 1.1 중량%;
    C12-14 파레스-12를 포함하는 가용화제 0.1 ~ 1.0중량%;
    디소듐 EDTA를 포함하는 안정화제 0.01 ~ 1.0 중량% 및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을 8.0 ~ 10.0중량%, 폴리우레탄을 5.0 ~ 30.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08849A 2019-09-03 2019-09-03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3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849A KR102423683B1 (ko) 2019-09-03 2019-09-03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849A KR102423683B1 (ko) 2019-09-03 2019-09-03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850A true KR20210027850A (ko) 2021-03-11
KR102423683B1 KR102423683B1 (ko) 2022-07-21

Family

ID=7514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849A KR102423683B1 (ko) 2019-09-03 2019-09-03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6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60B1 (ko) 2005-12-30 2007-10-19 (주)아모레퍼시픽 전분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330331B1 (ko) * 2010-09-14 2013-11-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KR20160144836A (ko) * 2015-06-09 2016-12-19 (주)뷰티화장품 미강,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필-오프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3513A (ko) * 2017-12-27 2018-01-09 주식회사 씨쓰리 초기 착색력이 우수하고 점도 조절이 용이한 필오프 타입 눈썹 문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60B1 (ko) 2005-12-30 2007-10-19 (주)아모레퍼시픽 전분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330331B1 (ko) * 2010-09-14 2013-11-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KR20160144836A (ko) * 2015-06-09 2016-12-19 (주)뷰티화장품 미강,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필-오프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3513A (ko) * 2017-12-27 2018-01-09 주식회사 씨쓰리 초기 착색력이 우수하고 점도 조절이 용이한 필오프 타입 눈썹 문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683B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4043B2 (en)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cleansing and moisturizing
KR101242969B1 (ko)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2791A (ko) 다기능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145060B1 (ko) 제형 안정성을 개선시킨 o/w 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83186B1 (ko) 고농도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3758A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CA2831036A1 (en) Dermal compositions containing gorgonian extract
JPH11269026A (ja) 低粘着性ロ―ション、ジェルおよびクリ―ム
KR102423683B1 (ko)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6023B1 (ko) 겔 또는 밤 타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317099B1 (ko) 킬레이팅 효과가 있는 폴리머를 이용한 알진 캡슐 붕해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4165B1 (ko) 클렌징 겸용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5141942B2 (ja) 皮膚用化粧料
JPS5962518A (ja) 局所用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法
KR102218872B1 (ko) 끈적임이 적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0833B1 (ko) 탄산수가 포접된 폴리머 매트릭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클렌저 화장료 조성물
KR101966185B1 (ko)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EP3130329B1 (de) Reinigungsprodukt auf ölbasis
JPH0555485B2 (ko)
JP7475468B2 (ja) 皮膜形成エアゾール組成物及びエアゾール型皮膜形成外用製剤
TWI836268B (zh) 皮膜形成噴霧組合物及噴霧型皮膜形成外用製劑
JP2006117539A (ja) 油性軟膏剤
TW201629140A (zh) 可成膜的凝膠組成物
JPH07126191A (ja) クリーム剤
KR20160084798A (ko) 유용성 필름형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오일상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