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805A - 인조잔디매트 - Google Patents

인조잔디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805A
KR20210026805A KR1020190108101A KR20190108101A KR20210026805A KR 20210026805 A KR20210026805 A KR 20210026805A KR 1020190108101 A KR1020190108101 A KR 1020190108101A KR 20190108101 A KR20190108101 A KR 20190108101A KR 20210026805 A KR20210026805 A KR 20210026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buffer unit
buffer
fun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1436B1 (ko
Inventor
박은주
Original Assignee
박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주 filed Critical 박은주
Priority to KR1020190108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4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형태 안정성 기능을 제공하는 섬유패드에 견고하게 안착 고정되는 파일사로 구성되는 인조잔디와; 인조잔디의 섬유패드 하면에 구성되고 에어포켓과 배수로 구조를 통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배수 기능을 제공하는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인조잔디매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완충패드는, 완충부; 완충부에 절개선을 통해 구성된 후 완충부의 면적 확장시 소정 크기나 면적으로 형성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에어포켓부; 및 완충부의 하면에 요홈 또는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어 에어포켓부에 공기가 충전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로 기능과 완충부와 바닥 사이에 배수로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인조잔디매트{Artificial turf mat}
본 발명은 인조잔디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사의 하면에 에어포켓 기능과 슬립방지 기능이 제공되어 실내에서 충격흡수용 매트 등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는 인조잔디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매트는 합성섬유 소재를 잔디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서, 시공후 관리가 용이하고 항상 푸르름이 유지되는 장점 등에 의해서 야구장이나 축구장 등의 각종 경기장의 운동장에 고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인조잔디매트는, 구체적으로 2층 구조를 가지는 섬유패드 상에 각각 서로 상이한 섬유(원사)들로 이루어진 2종의 파일(Pile)들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충격 완충 및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종래의 인조잔디매트는, 야구장이나 축구장 등의 각종 경기장의 운동장에 고정시, 인조잔디가 연속적으로 운동장에 배열된 후 별도의 고정핀이나 고정로프 등을 통해 고정되어 이용자가 뛰거나 넘어지더라도 그 움직임에 의하여 고정된 위치가 지면으로부터 슬립되지 않고 이용자가 넘어지더라도 충격을 흡수하여 이용자의 부상 위험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조잔디매트는, 단순히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부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인조잔디를 실내 마루나 시멘트가 타설된 바닥면 등에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고정핀이나 고정로프 등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단순히 마루나 바닥면 등에 인조잔디가 고정부재 없이 밀착 배열됨에 따라 이용자가 뛰거나 넘어지게 되면 인조잔디가 마루나 바닥면으로부터 슬립되어 이용자가 더 큰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인조잔디매트는, 단순히 실내의 마루나 바닥면 등에 섬유패드가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섬유패드와 바닥면 사이에 온도 차이나 청소 등으로 인한 결로나 습기 등이 발생되는 경우 배수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아 곰팡이가 발생되는 등 흡방습성과 항곰팡이성 등의 성질이 저하되어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 10-0683449
(특허문헌 0002) 공개특허 10-2013-007810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사의 하면에 에어포켓 기능과 슬립방지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여 실내에서 충격흡수용 매트 등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는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잔디의 하면에 배수 구조가 적용되어 배수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잔디의 하면에 논슬립층이 구성되어 슬립 방지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잔디의 하면에 기능성 첨가제가 도포되어 흡방습성과 항곰팡이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형태 안정성 기능을 제공하는 섬유패드에 견고하게 안착 고정되는 파일사로 구성되는 인조잔디와; 인조잔디의 하면에 구성되고 에어포켓과 배수로 구조를 통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배수 기능을 제공하는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인조잔디매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완충패드는, 완충부; 완충부에 절개선을 통해 구성된 후 완충부의 면적 확장시 소정 크기나 면적으로 형성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에어포켓부; 및 완충부의 하면에 요홈 또는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어 에어포켓부에 공기가 충전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로 기능과 완충부와 바닥 사이에 배수로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패드는, 완충부의 하면에 분사 코팅되거나 필름 방식으로 부착 구성되어 슬립을 방지하는 논슬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부는, 0.025 g/cm^3 내지 0.1 g/cm^3 의 밀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부와 에어포켓부의 면적의 비는 1:0.2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부는, 직접 도포되거나 필름에 도포된 후 라미네이팅되는 항균층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층은 기능성 첨가제에 의해 형성되고, 기능성 첨가제는, 산화마그네슘(MgO), 염화마그네슘(Mgcl2), 펄라이트(Perlite), 우드파우더(Wood powder) 및 피버글라스(Fiber glas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사의 하면에 에어포켓 기능과 슬립방지 기능이 제공되어 실외에서만 사용되는 인조잔디매트가 실내에서 충격흡수용 매트 등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조잔디의 하면에 배수 구조가 적용되어 배수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조잔디의 하면에 논슬립층이 구성되어 슬립 방지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조잔디의 하면에 기능성 첨가제가 도포되어 흡방습성과 항곰팡이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조잔디매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인조잔디매트에 있어서 완충패드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인조잔디매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매트는, 형태 안정성 기능을 제공하는 섬유패드(111)에 견고하게 안착 고정되는 파일사(112)로 구성되는 인조잔디(110)와, 인조잔디(110)의 하면에 접착 또는 융착 구성되고 에어포켓 구조를 통하여 충격 흡수 기능을 제공하고 배수로 구조를 통하여 배수 기능을 제공하며 논슬립 구조를 통하여 슬립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완충패드(120) 등을 포함한다.
인조잔디(110)는, 기포층에 해당되는 섬유패드(111)와 기포층에 입모되는 파일사(1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섬유패드(111)는, 인조잔디(110)의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고 파일사(112)를 견고히 안착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폴리올레핀 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되거나, 폴리올레핀 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와 그 하부면에 폴리에스터 단섬유 또는 폴리올레핀 단섬유의 웹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파일사(112)는 인조잔디(110)에 천연잔디와 흡사한 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섬유패드(111) 상부에 폴리올레핀 원사를 입모하여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사를 입모하는 방식에는 섬유패드(111) 상부에 폴리올레핀 원사를 터프팅하여 일정 형상의 루프 파일을 형성하는 터프팅 방식, 섬유패드(111)와 파일을 동시에 형성하는 모켓 방식 또는 라셀 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 인조잔디(110)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인조잔디(110)에 의하면, 실내 등의 바닥에 위치시 흡음 및 방음 효과 등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완충패드(120)는, 인조잔디(110)의 섬유패드(111) 하면에 접착 또는 융착 구성되고 에어포켓 구조를 통하여 충격 흡수 기능을 제공하고 배수로 구조를 통하여 배수 기능을 제공하며 논슬립 구조를 통하여 슬립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PE폼, EVA폼, PVC 및 러버폼 등과 같은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재질을 가지는 완충부(121), 완충부(121)에 절개선을 통해 구성된 후 완충부(121)의 면적 확장시 소정 크기나 면적으로 형성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에어포켓부(122), 완충패드(121)의 하면에 요홈 또는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어 에어포켓부(122)에 공기가 충전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로 기능과 완충부(121)와 바닥 사이에 배수로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배기부(123) 및 완충부(121)의 하면에 분사 코팅되거나 필름 방식으로 부착 구성되어 슬립을 방지하는 논슬립부(124) 등을 포함한다.
완충부(121)는, 인조잔디(110)가 가압되는 경우 이를 분산 및 흡수하여 완충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0.025 g/cm^3 내지 0.1 g/cm^3 의 밀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완충부(121)가 0.025 g/cm^3을 미만하는 밀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완충 효과는 거의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0.1 g/cm^3을 초과하는 밀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단단한 밀도를 가지게 되어 오히려 완충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에어포켓부(122)는, 완충부(121)의 형상 변형과 복원을 가능하게 하여 완충 기능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소정의 크기나 면적을 통한 다수개의 공간에 공기가 충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용자 등에 의해 인조잔디(110)가 가압되는 경우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완충부(121)가 찌그러지는 형상 변형을 가능하게 하여 충격이 분산되거나 흡수되도록 한 후, 다시 완충부(121)가 원상태로 복원시 공기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에어포켓부(122)는, 완충부(121)와의 면적의 비가 1:0.2 내지 1:2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완충부(121)에 다수개의 절개선이 가공된 후 열이 가해지면서 완충부(121)가 확장 고정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에어포켓들의 크기가 결정 및 성형되는데, 이때, 에어포켓부(122)의 전체 면적이 완충부(121)의 면적에 비하여 0.2 내지 2의 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에어포켓부(122)의 전체 면적이 완충부(121)의 면적에 비해 0.2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에어포켓부(122)에 의한 완충부(121)의 형상 변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완충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어포켓부(122)에 의한 완충부(121)의 형상 변형이 너무 쉽게 이루어져 오히려 완충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완충부(121)가 상기와 같이 0.025 g/cm^3 내지 0.1 g/cm^3 의 밀도를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 완충부(121)와 에어포켓부(122)의 면적의 비는 1:0.2 내지 1:2가 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조잔디(110)와 완충부(120)는 열융착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조잔디(110)의 섬유패드(111)와 완충패드(120)의 완충부(121)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경우에는, 섬유패드(111)와 완충부(121) 사이에 접착부재(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부직포, 부직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도포되어 섬유패드(111)의 하면이 완충부(121)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제1접착층과 제2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는, 제1접착층을 통해 섬유패드(111)의 하면에 강하게 부착되고 제2접착층을 통해 완충부(121)의 상면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접착부재로서, 0.1mm 내지 0.2mm의 두께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는, 0.1mm 내지 0.2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데, 0.2m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는 섬유패드(111)에 가해지는 외력이 완충부(121)에 전달되기 전에 흡수되어 완충부(121)의 에어포켓부(122)의 제공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0.1mm를 미만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는 제1접착층과 제2접착층의 함침 도포가 불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 구성되어 섬유패드(111)의 하면에 부직포가 부착되도록 하는 접착층으로서, 공지의 폴리우레탄프라이머나 러버형 점착제 및 상온 경화제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0.03mm 내지 0.1mm의 두께로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착층은, 0.03mm 내지 0.11mm의 두께로 도포되는데, 상기 두께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섬유패드(111)의 하면과 부직포의 상면 내부에 침투되지 못하여 접착력이 크게 저하되고, 상기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겔화층이 두꺼워지게 되어 전반적인 접착부재의 두께가 증가되어 완충부(121)와 에어포켓부(122)의 충격 흡수 기능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접착층은, 상기 부직포의 하면에 구성되어 부직포 또는 섬유패드(111)가 완충부(121)의 상면에 부착되거나 완충부(121)의 상면으로부터 박리되도록 하는 접착층으로서, 완충부(121)의 상면으로부터 잔여물 없이 완전히 박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박리후 재부착이 가능한 탄성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2접착층은,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3,3-다이메틸-4,4-다이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가 10:4로 혼합한 복합물 100중량부를 가열한 후 폴리에티렌아디페이트 50~70중량부를 첨가하여 소정시간 반응시킨 다음 상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는 A액과, 네오펜틸글리콜 100 중량부에 1,6-헥산디올 80~95중량부, 비닐트리(2-메톡시에톡시실란) 70~85중량부, 1,4-뷰탄디올 60~75중량부, 트리메틸렌글리콜 디-파라 아미노벤조에이트 50~65중량부, 1,4-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2-메틸피페라이진 40~55중량부, 테트라메틸피페라이진 30~45중량부 및 테트라뷰틸티타네이트 20~35중량부가 첨가되어 구성되는 B액이 혼합 교반된 조성물이, 부직포의 하면 소정의 두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2mm의 두께로 도포된다.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3,3-다이메틸-4,4-다이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각각 10:4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은, 흡착 및 접착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들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단시간 내에 상기 조성물들의 반응을 종결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3,3-다이메틸-4,4-다이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피비는, 10:4 부피비를 벗어나는 경우, 점성과 접착강도, 교반성 및 안정성 등의 효과가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부피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티렌아디페이트는, 소정의 점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70중량부를 벗어나는 경우, 전반적으로 점도가 커지거나 작아지게 되어 접착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부피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B액은, 상기 A액에 혼합시 이들과 반응하여 내충격 강도 뿐 아니라, 내열성, 내습성 및 가공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해 지도록 하는 조성물이다.
네오펜틸글리콜은, 가소제의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A액의 경화를 통하여 소정의 내구성을 제공한다.
이하, 1,6-헥산디올, 비닐트리(2-메톡시에톡시실란), 1,4-뷰탄디올, 트리메틸렌글리콜 디-파라 아미노벤조에이트, 1,4-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2-메틸피페라이진, 테트라메틸피페라이진 및 테트라뷰틸티타네이트는, 상기 네오펜틸글리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와 같은 중량부를 가지는데, 각각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화시간의 조절이 어렵고 교반성이 저하되어 피착면으로부터 박리시 잔여물이 남게 되고 박리후 경화가 완전히 진행되어 재부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접착층에 의하면, 상기 부직포의 하면이 탄성겔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완충부(121)로부터 박리시 잔여물이 남지 않고 완전히 박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점도가 유지되는 겔화 상태를 가짐에 따라 박리후 피착면에 다시 부착되더라도 높은 부착률을 가지도록 할 수 있어, 완충부(121)를 교체하기 위하여 접착부재가 박리되더라도 재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접착층은, 0.1mm 내지 0.2mm의 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에 대하여 0.2mm 내지 2mm의 두께로 도포되는데, 상기 두께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부직포에 소정의 깊이로 침투되지 못하여 부착력이 크게 저하되고, 상기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박리시 부직포의 상면에 도포되는 제1접착층 보다 큰 부착력을 가지게 되어 피착면에 잔여물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재에 의하면, 섬유패드(111)와 완충부(121)가 상호간 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피착면인 완충부(121)에 부착되는 제2접착층이 탄성겔 조성물에 의해 구성됨에 따라 섬유패드(111)가 완충부(121)로부터 박리시 잔여물이 남지 않고 깨끗이 제거될 수 있고, 점도가 유지되어 박리후에도 재부착이 가능한 상태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인조잔디(110)나 완충부(121)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배기부(123)는, 완충부(121)의 하면에 요홈 또는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어 에어포켓부(122)에 공기가 충전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로 기능과 완충부(121)와 바닥 사이에 배수로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일자 또는 격자 구조의 요홈라인이나 일정한 간격의 엠보싱 요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배기부(123)에 의하면, 완충부(121)의 변형시 에어포켓부(122)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고 복원시 에어포켓부(122)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완충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닥과 완충부(121) 사이의 일부분이 연속적으로 들뜸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청소나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로 인한 물이나 습기가 배수 또는 통기되도록 할 수 있다.
논슬립부(124)는, 완충부(121)의 하면에 분사 코팅되거나 필름 방식으로 부착 구성되어 슬립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바닥에 밀착되는 완충부(121)의 하면에 실리콘이 분사방식으로 코팅되거나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코팅 또는 필름 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통해 논슬립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논슬립층은, 완충부(121)의 하면에 물결 형상 또는 요철 형상의 단면을 가지거나 줄(file)의 절삭면 또는 점선 구조의 네트 타입 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완충부(121)는, 직접 도포되거나 필름에 도포된 후 라미네이팅되는 항균층에 의하여 흡방습성과 항곰팡이성이 향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항균층은 기능성 첨가제에 의해 형성되고, 기능성 첨가제는, 산화마그네슘(MgO), 염화마그네슘(Mgcl2), 펄라이트(Perlite), 우드파우더(Wood powder) 및 피버글라스(Fiber glass) 등으로 조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에,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염화마그네슘 30 내지 40 중량부, 펄라이트 2 내지 4 중량부, 우드파우더 5 내지 8 중량부 및 피버글라스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산화마그네슘은, 항균층이 흡습성과 방습성, 각종세균의 번식 차단을 통한 항곰팡이성 및 내화성 등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염화마그네슘은, 항균층이 내수성과 내화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며,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4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30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 특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 특성이 너무 강하게 작용되어 현장에서의 설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펄라이트는, 항균층이 내수성과 방습성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며,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4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내수성과 방습성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첨가제의 도포나 분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우드파우더는, 항균층이 목재의 향과 심미감을 가지도록 하며,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8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5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향과 심미감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첨가제의 교반시 교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피버글라스는, 항균층이 단열 기능을 가지도록 하며,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5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단열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점도에 의해 교반성과 분사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매트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형태 안정성 기능을 제공하는 섬유패드(111)에 견고하게 안착 고정되는 파일사(112)로 구성되는 인조잔디(110)의 섬유패드(111) 하면에 완충패드(120)가 접착 또는 융착되어 인조잔디매트가 제조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인조잔디매트가 실내의 바닥 등에 설치 구성되며, 이에 방음 및 흡음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는, 인조잔디(110)의 하면에 완충패드(120)가 구성됨에 따라 완충부(121)의 가압시 그 힘이 에어포켓부(122)에 의해 흡수 및 분산되어 이용자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21) 하면에 형성되는 논슬립층이 실내의 바닥에 밀착됨에 따라 미끄러짐이 최소화되어 이용자가 미끄러짐에 의해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21)의 하면과 바닥 사이에 배기로 및 배수로가 형성됨에 따라 완충부(121)와 바닥면 사이에 온도 차이나 청소 등으로 결로나 습기가 발생되더라도 배수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21)에 항균층이 형성됨에 따라 완충부(121)에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되고 흡방습성과 항곰팡이성 등의 성질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사(112)의 하면에 에어포켓 기능, 배수로 기능 및 슬립방지 기능이 완충패드(120)가 구성되어 실외에서만 사용되는 인조잔디매트가 실내에서 충격흡수용 매트 등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완충패드(120)에 기능성 첨가제가 도포되어 흡방습성과 항곰팡이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형태 안정성 기능을 제공하는 섬유패드(111)에 견고하게 안착 고정되는 파일사(112)로 구성되는 인조잔디(110)와;
    인조잔디(110)의 하면에 구성되고 에어포켓과 배수로 구조를 통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배수 기능을 제공하는 완충패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완충패드(120)는,
    완충부(121);
    완충부(121)에 절개선을 통해 구성된 후 완충부(121)의 면적 확장시 소정 크기나 면적으로 형성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에어포켓부(122); 및
    완충부(121)의 하면에 요홈 또는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어 에어포켓부(122)에 공기가 충전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로 기능과 완충부(121)와 바닥 사이에 배수로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배기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완충패드(120)는,
    완충부(121)의 하면에 분사 코팅되거나 필름 방식으로 부착 구성되어 슬립을 방지하는 논슬립부(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매트.
  4. 제2항에 있어서, 완충부(121)는,
    0.025 g/cm^3 내지 0.1 g/cm^3 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완충부(121)와 에어포켓부(122)의 면적의 비는 1:0.2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매트.
  6. 제2항에 있어서, 완충부(121)는,
    직접 도포되거나 필름에 도포된 후 라미네이팅되는 항균층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층은 기능성 첨가제에 의해 형성되고,
    기능성 첨가제는,
    산화마그네슘(MgO), 염화마그네슘(Mgcl2), 펄라이트(Perlite), 우드파우더(Wood powder) 및 피버글라스(Fiber glas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매트.
KR1020190108101A 2019-09-02 2019-09-02 인조잔디매트 KR10223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01A KR102231436B1 (ko) 2019-09-02 2019-09-02 인조잔디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01A KR102231436B1 (ko) 2019-09-02 2019-09-02 인조잔디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805A true KR20210026805A (ko) 2021-03-10
KR102231436B1 KR102231436B1 (ko) 2021-03-24

Family

ID=7514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101A KR102231436B1 (ko) 2019-09-02 2019-09-02 인조잔디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6743A1 (en) * 2020-10-05 2022-04-07 SafePlay LLC Artificial turf system padding layer with integrated geofabri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00B1 (ko) * 2022-10-07 2023-01-05 주식회사 씨앤티 충격 흡수성, 배수성 및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
KR102506962B1 (ko) * 2022-12-26 2023-03-07 주식회사 씨앤티 가로·세로 배수로와 배수구가 형성되어 배수성 및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
KR102506961B1 (ko) * 2022-12-26 2023-03-07 주식회사 씨앤티 수평 배수성과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
KR102560334B1 (ko) * 2023-05-25 2023-07-28 주식회사 씨앤티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이완 현상이 적고 배수성과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09A (ja) * 1994-08-05 1996-02-20 Mitsuru Yamaguchi 人工芝の下地材
JPH08260412A (ja) * 1995-03-22 1996-10-08 Toray Ind Inc 成形人工芝積層構造体、安全マットおよび歩経路
KR100683449B1 (ko) 2005-09-27 2007-02-20 코오롱 글로텍(주) 흡방음용 인조잔디
KR20130078104A (ko) 2011-12-30 2013-07-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87577B1 (ko) * 2016-03-28 2016-12-28 하승희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KR101802113B1 (ko) * 2017-05-24 2017-11-27 김철 건축물의 도막 방수층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JP2019056211A (ja) * 2017-09-20 2019-04-11 株式会社ウエノシステック 人工芝構造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09A (ja) * 1994-08-05 1996-02-20 Mitsuru Yamaguchi 人工芝の下地材
JPH08260412A (ja) * 1995-03-22 1996-10-08 Toray Ind Inc 成形人工芝積層構造体、安全マットおよび歩経路
KR100683449B1 (ko) 2005-09-27 2007-02-20 코오롱 글로텍(주) 흡방음용 인조잔디
KR20130078104A (ko) 2011-12-30 2013-07-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87577B1 (ko) * 2016-03-28 2016-12-28 하승희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KR101802113B1 (ko) * 2017-05-24 2017-11-27 김철 건축물의 도막 방수층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JP2019056211A (ja) * 2017-09-20 2019-04-11 株式会社ウエノシステック 人工芝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6743A1 (en) * 2020-10-05 2022-04-07 SafePlay LLC Artificial turf system padding layer with integrated geo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436B1 (ko)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436B1 (ko) 인조잔디매트
US6796096B1 (en) Impact absorbing surface covering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KR102182783B1 (ko)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CN102171281A (zh) 交联的聚合物组合物
ES2353060T3 (es) Paneles provistos de dos capas con amortiguación del ruido de pasos.
KR102139975B1 (ko) 층간 소음 저감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발포체
KR20190000455U (ko) 실리카겔 바닥 미끄럼 방지 카펫
CN203355201U (zh) 一种防护垫
US8505255B2 (en) Laminate flooring with footstep sound absorption
TW200303952A (en) Abrasive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29297Y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JP3063151B2 (ja) 直貼り床用緩衝部材
KR100643036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ES2957111T3 (es) Base resistente al deslizamiento
US11007402B2 (en) Exercise mat
JPH11148185A (ja) 床パネル
RU2781447C1 (ru)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ая подкладка
JP7286202B1 (ja) 衝撃吸収材料
KR20100062050A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JP6607802B2 (ja) タイルカーペット
EP1801312A1 (en) Acoustic damping and thermal insulation material
KR102305763B1 (ko) 친환경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216423726U (zh) 一种抗撕裂的eva防水板
KR102130344B1 (ko)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인솔,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KR20070046371A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