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349A -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349A
KR20210026349A KR1020190106995A KR20190106995A KR20210026349A KR 20210026349 A KR20210026349 A KR 20210026349A KR 1020190106995 A KR1020190106995 A KR 1020190106995A KR 20190106995 A KR20190106995 A KR 20190106995A KR 20210026349 A KR20210026349 A KR 20210026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ing
air
aluminum
module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이창호
기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
Priority to KR102019010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349A/ko
Publication of KR2021002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5/00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 B22D25/005Casting metal fo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4Casting aluminium or magnes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용탕을 공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발포하여 발포 알루미늄을 성형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발포로에서 다중 발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은 알루미늄을 가열하여 알루미늄 용탕을 형성하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로부터 공급된 용탕을 발포 성형하는 발포성형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발포성형유닛은 상기 용융된 알루미늄 용탕이 충진되는 소정의 충진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발포로와, 상기 발포로에 설치되며,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의 발포모듈과, 상기 발포모듈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발포모듈의 내부로 공급하는 에어노즐 및 상기 에어노즐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Continuous Multiple Foaming System with Air}
본 발명은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용탕을 공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발포하여 발포 알루미늄을 성형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발포로에서 다중 발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포 알루미늄은 내부에 미세한 기공들이 무수히 형성된 비중이 02~03 정도의 초경량 금속으로서, 불에 타지 않고, 단열성, 방음(차음)성, 흡습성, 전자파 차폐성, 재생성, 내구성 등이 매우 우수하여 방음벽, 건축마감재, 수송차량, 충격흡수재, 음향시설 및 산업플랜트 등 그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발포 금속이다.
일반적인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공정은 알루미늄 괴를 고온의 열을 낼수 있는 용해로에서 알루미늄의 용융점인 약 660℃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해시키는 용융공정과, 상기 알루미늄 용탕에 칼슘을 주재로 하는 점성증가제를 투입, 교반시켜서 점도를 높힘으로써 발포제의 확산이 균일하게 하도록 조건을 조성하는 점성증가제교반공정과, 상기 점성증가제가 혼입된 용탕에 발포첨가제를 적정량 넣고 교반하여 용탕 전체 용적에 대해 발포제를 균일한 분포로 확산시키는 발포제교반공정과, 발포제가 확산된 용탕을 주형에 담고 주형을 고온의 발포실에 넣어 용탕을 발포시키는 히팅발포공정과, 발포된 용탕을 냉각시켜서 발포 알루미늄을 완성하는 냉각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공정 중, 점성증가제교반공정과 발포제교반공정은 하나의 로에서 수행되기도 하고, 각 공정을 서로 다른 로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상술한 것처럼 용탕에 발포를 위해 발포첨가제 또는 발포촉진제라고 칭하기도 하는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를 진행하는 화학적 발포방식의 경우, 용탕을 담아 발포시키는 주형 또는 발포로를 고온의 발포실에 넣어 발포 성형을 진행해야 하므로, 온도 유지를 위한 비용이 크게 발생한다.
또한 점성증가제로 주로 사용되는 칼슘이 산화하면서 발포 성형 제품의 색상에 검은 색에 가깝게 변색되어 품질저하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80909호 : 알루미늄 발포 성형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0881689호 : 발포 성장이 균일한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공기를 이용해 생산비용을 낮추면서 연속적인 알루미늄 발포체를 성형할 수 있고, 하나의 발포로에서 동시에 복수의 발포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은 알루미늄을 가열하여 알루미늄 용탕을 형성하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로부터 공급된 용탕을 발포 성형하는 발포성형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발포성형유닛은 상기 용융된 알루미늄 용탕이 충진되는 소정의 충진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발포로와, 상기 발포로에 설치되며,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의 발포모듈과, 상기 발포모듈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발포모듈의 내부로 공급하는 에어노즐 및 상기 에어노즐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포모듈은 상기 발포로에 복수개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모듈은 중공의 연장방향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발포모듈의 회전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모듈은 일측 내주면이 상기 발포로에서 발포 알루미늄이 토출되는 토출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돌출부와 인입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요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을 통해 발포 알루미늄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용해로에서 알루미늄 및 점성증가제를 용융시켜 알루미늄 용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용해로 또는 상기 발포로에서 상기 용융된 알루미늄 용탕에 발포안정제를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안정제가 첨가된 알루미늄 용탕이 발포로에 충진되면, 상기 발포로에 중공체 형상의 발포모듈을 장착하고, 상기 발포모듈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발포 알루미늄을 형성하는 발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점성증가제는 실리콘(Si) 및 마그네슘(Mg)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안정제는 SiC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성증가제는 상기 알루미늄 용탕의 전체 무게에 대하여 상기 실리콘은 8 내지 20 wt%, 상기 마그네슘은 0.3 내지 1.2 wt%가 첨가되고, 상기 발포안정제는 상기 SiC 파우더가 상기 점성증가제와 알루미늄이 용융되어 형성된 알루미늄 용탕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8 내지 20%의 부피비를 갖도록 첨가되며, 상기 SiC 파우더는 입자의 크기가 8 내지 20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은 공기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알루미늄을 발포 성형하여 제조비용을 낮추면서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발포로에서 다중 발포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발포성형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발포성형유닛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발포성형유닛의 단면도,
도 4는 발포모듈의 각도에 따라 생성되는 발포 알루미늄의 단면 형상을 표시한 도면,
도 5는 발포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10)의 일 실시예가 개념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10)은 용해로(100)와, 발포성형유닛(200)을 포함한다.
용해로(100)는 알루미늄을 용융시켜 알루미늄 용탕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경동식, 반사식, 전기식 등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용해로(100)가 적용될 수 있다.
용해로(100)에서 알루미늄이 용해되면, 알루미늄 용탕은 탕도(110)를 따라 상기 발포성형유닛(200)으로 이동한다.
발포성형유닛(200)은 알루미늄 용탕을 발포 성형하여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며, 알루미늄 용탕이 충진될 수 있는 발포로(210)와, 상기 발포로(210)에 배치되는 발포모듈(220)과, 발포모듈(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발포모듈(220)의 내측으로 토출하는 에어노즐(230) 및 상기 에어노즐(230)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발포로(210)는 소정의 충진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구된 형태이고, 고온의 알루미늄 용탕이 충진될 수 있는 내열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모듈(220)은 상기 발포로(210)에 설치되는데,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중공체의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발포모듈(220)은 하단부는 용탕의 내부로 침지되어 있고, 상단부는 발포로(210)에 충진되어 있는 용탕의 상면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발포모듈(220)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발포 성형이 이루어지면 발포모듈(220)의 상부를 통해 소정 두께의 판재 형상으로 발포 알루미늄이 성형되어 토출된다.
이렇게 토출된 발포 알루미늄을 이송컨베이어(300) 상에서 이송시키며 이송컨베이어(300)의 상부에 발포 알루미늄의 상면을 평탄하게 가공하기 위한 가압롤러(310)를 설치하여 일정한 두께의 판재형상의 발포 알루미늄을 연속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발포모듈(2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일측 내주면이 요철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의 (a)의 발포모듈(220a)은 도 1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처럼 소정 두께를 갖는 판재 형상으로 된 발포 알루미늄을 성형하기 위한 형상이고, (b)의 발포모듈(220b)은 내주면 일측에 요철형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요철 형상은 발포 알루미늄이 토출되는 토출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부(221)와 인입부(222)가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며, 이 경우 일측면에 상기 요철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발포 알루미늄 판재가 성형된다. 상기 요철형상은 (c)에 도시된 발포모듈(220c)과 같이 파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요철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폭과 길이를 갖는 요철 형상이 필요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모듈(220)은 발포로(210)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발포모듈(220)이 하나의 발포로(2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발포모듈(220)이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발포모듈(220)에서 생성되는 발포 알루미늄을 서로 다른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발포모듈(220)에서 발포성형되는 발포 알루미늄은 상술한 것처럼 이송컨베이어(300)를 통해 판재형상으로 연속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타측 발포모듈(220)에서 발포 성형되는 발포 알루미늄은 경화되기 전에 특정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된 주조금형에 주입하여 특정한 형태를 갖도록 성형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10)은 하나의 발포로(210)에 복수의 발포모듈(220)을 설치하고, 각각의 발포모듈(220)에서 필요에 맞는 발포 알루미늄을 성형할 수 있으므로, 빠르고 효율적인 발포 알루미늄의 성형이 가능하다.
상기 에어공급부(240)는 상기 발포모듈(220)의 하부로부터 발포성형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발포모듈(220)의 하단에 결합되는 에어노즐(230)과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공급부(240)가 에어노즐(230)에 연결되는 급기라인(241)과, 상기 급기라인(241)을 통해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서(24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으로 콤프레서(242) 외에 블로워나 송풍팬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상기 발포로(210)에 충진된 용탕으로 공기를 주입해야 하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콤프레서(242)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에어노즐(230)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방울 형태로 상기 용탕을 통과해 발포모듈(22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광에서 용탕은 상기 공기방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를 갖도록 발포 성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발포모듈(220)은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발포로(210)에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발포모듈(220)의 회전각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각도조절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발포모듈(2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발포로(210)에 회전축(22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발포모듈(22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23)을 돌리기 위한 스테핑모터가 각도조절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테핑모터의 구동축이 회전축(223)과 직결될수도 있지만 기어, 벨트와 풀리 또는 체인과 스프로킷 등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스테핑모터와 회전축(223)을 연결할 수도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발포모듈(220)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발포 알루미늄이 수직방향으로 토출되는 경우 도 4의 (a)에 표시된 것처럼 발포 알루미늄의 단면은 전 구간에 걸쳐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기공을 갖게 된다.
그러나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발포모듈(220)이 소정각도 기울어져 경사진 형태가 되면, 상기 발포 알루미늄은 도 4의 (b)에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단면의 일측과 타측의 기공의 크기나 모양이 다른 불연속 기공이 된다.
단열재나 인테리어 내장재 등 균일한 기공면을 갖는 발포 알루미늄이 필요할 경우에는 발포모듈(220)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성형을 실시하면 되지만 차량용 부품이나 일부 발포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기구물의 경우 도 4의 (b)와 같이 불연속 기공을 갖는 것이 제품 품질에 더 유리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발포모듈(220)이 회전 가능하게 발포로(210)에 설치되고, 발포모듈(220)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불연속기공을 갖는 발포 알루미늄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상기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10)을 통해 발포 알루미늄을 성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해로(100)에서 점성증가제와 알루미늄을 가열하여 알루미늄 용탕을 생성한다. 그리고 알루미늄 용탕을 생성한 다음에는 발포안정제로 SiC 파우더를 첨가한다.
상기 점성증가제는 실리콘(Si) 및 마그네슘(Mg)을 포함하는데, 알루미늄 용탕의 전체 무게에 대하여 상기 실리콘은 8 내지 20 wt%, 상기 마그네슘은 0.3 내지 1.2 wt%가 첨가된다.
종래에 발포 알루미늄의 성형에서 점성증가제로 주로 사용되던 칼슘(Ca) 첨가물의 경우 발포 성형 과정에서 산화되어 발포 알루미늄의 표면 색상에 검은 색에 가깝도록 변색되는 등 제품의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점성증가제로 칼슘이 아닌 실리콘 및 마그네슘을 첨가하기 때문에 변색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의 품질 저하를 방지한다.
그리고 알루미늄 용탕에 발포안정제로 SiC 파우더를 첨하가는데, 상기 SiC 파우더는 입자의 크기가 8 내지 20μ이고, 알루미늄 용탕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8 내지 20%의 부피비를 갖도록 첨가된다.
상기 발포유지제가 첨가됨으로써 발포 알루미늄의 성형 과정에서 용탕의 내부에 생성되는 기포가 터지지 않고 유지되어 발포알루미늄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발포안정제가 첨가된 용탕은 발포로(210)에서 발포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술한 발포모듈(220)이 설치된 상태에서 발포모듈(220)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발포모듈(220)의 상부를 통해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발포 알루미늄을 얻게 된다.
이 때, 상술한 것처럼 발포모듈(220)을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하면 전체 단면에서의 기공이 비교적 균일하게 형성되고, 발포모듈(220)이 소정각도 기울어지면 불연속 기공이 형성되므로, 필요에 따라 발포모듈(22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단면의 발포 알루미늄을 성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10)을 통해 발포 알루미늄을 성형하면 공기를 이용해 저비용으로 발포 성형을 실시할 수 있으며, 다수의 발포모듈(220)에서 연속적으로 발포 성형을 실시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점성증가제로 칼슘이 아닌 실리콘(Si)과 마그네슘(Mg)를 적용하고, 발포안정제로 SiC 파우더를 적용함에 따라 발포 알루미늄에 발생하는 변색을 예방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100: 용해로
110: 탕도
200: 발포성형유닛
210: 발포로
220: 발포모듈
221: 돌출부
222: 인입부
223: 회전축
230: 에어노즐
240: 에어공급부
241: 급기라인
242: 콤프레서
300: 이송컨베이어
310: 가압롤러
320: 주조금형

Claims (6)

  1. 알루미늄을 가열하여 알루미늄 용탕을 형성하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로부터 공급된 용탕을 발포 성형하는 발포성형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발포성형유닛은 상기 용융된 알루미늄 용탕이 충진되는 소정의 충진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발포로와,
    상기 발포로에 설치되며,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의 발포모듈과,
    상기 발포모듈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발포모듈의 내부로 공급하는 에어노즐 및
    상기 에어노즐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모듈은 상기 발포로에 복수개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모듈은 중공의 연장방향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발포모듈의 회전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모듈은 일측 내주면이 상기 발포로에서 발포 알루미늄이 토출되는 토출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돌출부와 인입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을 이용해 발포 알루미늄을 형성하는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해로에서 알루미늄 및 점성증가제를 용융시켜 알루미늄 용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용해로 또는 상기 발포로에서 상기 용융된 알루미늄 용탕에 발포안정제를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안정제가 첨가된 알루미늄 용탕이 발포로에 충진되면, 상기 발포로에 중공체 형상의 발포모듈을 장착하고, 상기 발포모듈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발포 알루미늄을 형성하는 발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점성증가제는 실리콘(Si) 및 마그네슘(Mg)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안정제는 SiC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증가제는 상기 알루미늄 용탕의 전체 무게에 대하여 상기 실리콘은 8 내지 20 wt%, 상기 마그네슘은 0.3 내지 1.2 wt%가 첨가되고,
    상기 발포안정제는 상기 SiC 파우더가 상기 점성증가제와 알루미늄이 용융되어 형성된 알루미늄 용탕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8 내지 20%의 부피비를 갖도록 첨가되며,
    상기 SiC 파우더는 입자의 크기가 8 내지 20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방법.
KR1020190106995A 2019-08-30 2019-08-30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KR20210026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995A KR20210026349A (ko) 2019-08-30 2019-08-30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995A KR20210026349A (ko) 2019-08-30 2019-08-30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349A true KR20210026349A (ko) 2021-03-10

Family

ID=7514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995A KR20210026349A (ko) 2019-08-30 2019-08-30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3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5562A (zh) * 2022-02-24 2022-05-27 安徽省新方尊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吹气法制备泡沫铝异形件的生产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909A (ko) 2006-02-09 2007-08-14 주식회사 폼텍 알루미늄 발포 성형장치
KR100881689B1 (ko) 2007-04-11 2009-02-06 주식회사 아론 발포 성장이 균일한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909A (ko) 2006-02-09 2007-08-14 주식회사 폼텍 알루미늄 발포 성형장치
KR100881689B1 (ko) 2007-04-11 2009-02-06 주식회사 아론 발포 성장이 균일한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5562A (zh) * 2022-02-24 2022-05-27 安徽省新方尊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吹气法制备泡沫铝异形件的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999B1 (ko) 석영 유리 도가니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7665988B2 (en) Ascending/descending apparatus and complex sintering furnace using the same
US7320183B2 (en) Method for drying honeycomb formed structure
BR112016012423B1 (pt) Pré-expansão de partïculas de poli(met)acrilimida para subsequente moldagem de espuma em ferramentas fechadas
KR20210026349A (ko) 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다중 발포 시스템
EA021152B1 (ru) Способ и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пеностекла
KR20190071483A (ko) 진공 원심 주조장치
KR20100131129A (ko) 저온 작동구간 열유동 균일화 및 냉각 가속 모듈 부착형 고품위 소결로나 열처리로
TWI428297B (zh) 製造浮法玻璃用之浮浴槽及其冷卻方法
KR101947541B1 (ko) 파우더 슬러쉬 성형기 및 파우더 슬러쉬 성형법
JPH0541414B2 (ko)
US40860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circulation in a heat treating furnace
KR100881689B1 (ko) 발포 성장이 균일한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0760927B1 (ko) 등온 제어냉각장치
US10850320B2 (en) Apparatus for low-pressure casting
US3888293A (en) Method of making a foundry core
KR20210038052A (ko) 발포 성형용 발포노즐
KR20070080909A (ko) 알루미늄 발포 성형장치
JP2020019047A (ja) 鋳造用金型及び鋳鉄の鋳造方法
JP2000271937A (ja) ゴムロールの加硫装置及びその加硫方法
JPH066302B2 (ja) パウダースラッシュ成形装置
JPH0691626A (ja)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養生方法
RU2275026C2 (ru) Конвейерная печь
US20070023967A1 (en) Device and process for cooling a core
CN210753578U (zh) 一种连续生产浸塑链环用浸塑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