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160A -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 - Google Patents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160A
KR20210026160A KR1020190106578A KR20190106578A KR20210026160A KR 20210026160 A KR20210026160 A KR 20210026160A KR 1020190106578 A KR1020190106578 A KR 1020190106578A KR 20190106578 A KR20190106578 A KR 20190106578A KR 20210026160 A KR20210026160 A KR 20210026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mage
pet
roll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669B1 (ko
Inventor
원유돈
백규리
원홍재
Original Assignee
원유돈
원홍재
백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유돈, 원홍재, 백규리 filed Critical 원유돈
Priority to KR102019010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6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3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securing a veneer strip to a panel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7/00After-treatment, e.g. reducing swelling or shrinkage, surfacing; Protecting the edges of boards against access of humidity
    • B27N7/005Coating boards, e.g. with a finishing or decorat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의 일면을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하드 코팅하는 제 1 단계; 매트지에 명화, 웨딩사진, 기념사진 또는 돐사진의 이미지를 인쇄하는 제 2 단계; 인쇄된 이미지를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의 타 일면 하부에 접착하여 로울러를 이용하여 기포없이 압착하는 제 3 단계; 압착된 인쇄된 이미지와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을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에 위치하여 로울러를 이용하여 판상과 판재가 압착하는 제 4 단계; 및 접합된 판상 및 판재의 측면을 아크릴패드 부재로 엣지 밴딩기를 이용하여 압착한 후 마감처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의 판상과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내의 로울러로 압착하고 측면의 사면을 자동엣지 밴딩기를 이용하여 가공 및 압착하여 판상의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명화, 웨딩사진, 기념사진 등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주문 제작이 가능하고, 기호에 따라 테이블, 액자, 거울 등 다양한 용도로 맞춤제작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The manufacture method of board attached on image and that of using board}
본 발명은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의 판상 일면을 하드코팅하고 타 일면의 하부에 매트지로 사용자가 원하는 명화, 이미지, 사진을 인쇄한 후 부착하여 로울러로 가공하고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와 접착한 후 로울러로 압착하여 판상재를 구비하고 측면의 사면을 아크릴 패드로 엣지(edge) 밴딩기로 마감처리함으로써 스크래치 방지, 맑고 깨끗한 표면으로 색감, 고급스러움을 부여하는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을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을 사용하고,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와 접착한 후 로울러로 압착하여 판상재의 형태로 구비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명화, 웨딩사진, 기념사진 등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판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가 구비된 테이블, 액자, 거울 등 선택적으로 맞춤제작이 가능한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 및 인테리어 마감재 또는 건축물의 내장재는 염화비닐수지 (PVC),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표면의 투명성 및 내스크래성이 향상된 하이그로시 제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광경화 수지를 활용 UV 경화를 시켜 제조한다.
하지만 종래에 공개된 기술들은 표면의 강도를 향상시켜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표면의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부여하지만 UV 경화층의 경도가 너무 커서 PVC, PP 또는 PET 필름이 가지는 유연성을 구현하지 못하는 등 굴곡가공성이 너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 가구, 탁자, 악기류 등의 목재가구 또는 마루판재 등에 사용되기 위한 판상재가 내구성을 갖도록 제조하기 위해 상기 판상재에 LPM(low pressure mela-mine impregnated paper)이나, HPM(high pressure melamine sheet)시트를 얹은 후 프레싱 가공처리하여 생산되는 과정을 거친다.
LPM 시트를 이용한 일반적인 판상재 제조과정은, 원지를 요소수지내에서 1차 함침한 후 건조시킨 다음 멜라민수지에 의해 코팅 처리한 후 재차 건조시킨 후 냉각처리하여 재단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판상재를 얻을 수 있고, HPM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한 쪽 면에 자연 및 인공무늬가 인쇄된 종이나 섬유질의 기재에 열경화성 수지인 멜라민, 페놀 수지를 함침, 적층하여 다단 프레스(multi daylight press)에서 50kgf/cm²이상의 열압에 의해 압축 성형하여서 되는 판생재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지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판생재의 표면층으로 UV 코팅 처리를 하는 경우 하도, 중도, 상도 등의 도장 과정을 거쳐야 하고 또한 그 과정에서의 접착불량 및 접착불능 현상이 발생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판상재 표면으로 접착되어 내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LPM 합성수지 제조의 경우, 실온에서 반응기에 포르말린(61.6wt%), 멜라민(33.3wt%), 증류수(3.8%)를 투입하여 반응촉매로 T.E.A(1.3wt%)를 투입한 후, pH을 8.3 ∼ 8.5로 조정하여 95℃까지 가열하고, 상기 95℃에 도달하면 반응을 진행시키고 3 ~ 4시간 후에 매스실린더에 25℃의 증류수와 LPM수지(Low Press Melamine resin)를 4:1로 혼합하여 백탁이 생기면 실온까지 냉각시킨다. 냉각중 온도가 70℃에 도달하면 요소(12wt%) 및 TEA(2.5wt%)를 투입하고 실온에서 D.E.G(디에틸렌글리콜)(2.4wt%), 메탄올(3.0wt%)를 투입하고 수산화나트륨(0.8∼1.9wt%)로 pH을 9.0 ∼ 9.2로 조정하여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LPM수지(Low Press Melamine resin)는 경화제 03 ∼ 0.5wt%, 이형제 0.4∼0.8%, 분산제 0.5 ∼ 1.0wt%를 혼합한 후에 원지를 함침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LPM수지(Low Press Melamine resin)에 의한 함침지를 이용하여 판상재를 얻을 경우, LPM 수지의 특성상 판상재와의 접착력은 좋으나, LPM 시트 상층면으로의 추가 도장 작업이 어려워 UV 코팅 도장작업이 불가능하여 대부분 표층 또는 무늬목에 하도, 중도, 상도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접착을 유도하는 번잡한 공정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LPM 수지에 의한 합성수지시트를 이용하여 판상재를 얻는 것 이외에, HPM 수지를 이용하여 판상재를 얻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HPM 수지의 특성상 별도의 접착제 처리과정이 필요하고, 상술한 하,중,상도에 의한 표면도장 공정이 추가되는 등 그 제조과정에 있어서 번잡함은 물론, 표면 도장의 불안정성은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광택의 표면을 갖으며 내스크래치성이 강한 시트를 얻기가 상당히 어려우며, 그 시도에 있어서도 현행 업계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격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는 입자 형태를 갖는 광택재에 의해 판상재 표면으로부터 수지층이 쉽게 떨어져 나가거나, 작은 스크래치에 의해서도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광택재에 의한 효과가 유색 도료에 의해 희석되므로 다량의 광택재를 혼합하여야 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이와 같을 경우 도료 색상이 퇴색됨은 물론, 다량의 광택재 사용으로 인한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지적되며, 후공정으로 코팅 도막 등을 형성하여야 하는 등 전체적인 그 작업 공정이 복잡하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판상재 표면층으로의 각각의 고광택 적용 방식에 있어서 LPM 시트나 또는 HPM 시트 등을 이용할 경우 박리되는 문제와, 판상재 표면으로 직접 분상의 광택재를 이용하는 경우 색상의 퇴색 및 공정의 복잡화 등 각각의 방법에 따른 문제점이 도출되어 LPM 시트 및 HPM 시트를 이용하면서도 고광택(일명 Hi glossy)을 갖는 합성수지시트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판상재를 제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PET 또는 강화 아크릴 판을 이용하여 사용에 따른 판상의 색번짐 또는 이물질의 침착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광택이 우수한 판상재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1. 하이그로시용 합성수지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상재 제조방법(The high-glossy synthetic resin sheet manufacture method)(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06663호) 2. A-페트 시트지가 포함된 친환경 건축 자재용 합판의 UV 하이그로시 제조 방법(ECO-FRIENDLY UV HIGH-GLOSSY METHOD FOR MANUFACTURING PLYWOOD FOR INTERIOR MATERIAL INCLUDING A-PET FILM)(특허등록번호 제10-124746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의 판상 일면을 하드코팅하고 타 일면의 하부에 매트지로 사용자가 원하는 명화, 이미지, 사진을 인쇄한 후 부착하여 로울러로 가공하고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와 접착한 후 로울러로 압착하여 판상재를 구비하고 측면의 사면을 아크릴 패드로 엣지(edge) 밴딩기로 마감처리함으로써 스크래치 방지, 맑고 깨끗한 표면으로 색감, 고급스러움을 부여하는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을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을 사용하고,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와 접착한 후 로울러로 압착하여 판상재의 형태로 구비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명화, 웨딩사진, 기념사진 등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판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가 구비된 테이블, 액자, 거울 등 선택적으로 맞춤제작이 가능한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는 사각형으로 구비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의 판상의 일면을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하드 코팅하고 타 일면의 하부에 매트지로 명화, 이미지 또는 사진을 인쇄한 후 부착하여 로울러로 기포없이 접합한 후,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에 붙여 로울러로 재압착하여 판재를 제작하고, 접합된 판상 및 판재의 측면의 사면을 아크릴 패드로 엣지 밴딩기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의 일면을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하드 코팅하는 제 1 단계; 매트지에 명화, 웨딩사진, 기념사진, 돐사진의 이미지를 인쇄하는 제 2 단계; 인쇄된 이미지를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의 타 일면 하부에 접착하여 로울러를 이용하여 기포없이 압착하는 제 3 단계; 압착된 인쇄 이미지와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을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에 위치하여 로울러를 이용하여 판상과 판재가 압착하는 제 4 단계; 및 접합된 판상 및 판재의 측면을 아크릴패드 부재로 엣지 밴딩기를 이용하여 압착한 후 마감처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은 상기 3 단계가 이루어진 후, 인쇄된 이미지와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과 인쇄된 이미지가 압착된 인쇄된 이미지를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식탁, 테이블, 액자, 거울 또는 교자상의 용도, 크기에 맞게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의 복합판넬의 판재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PB(Particle Board), WPC(Wood plastic composite)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는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의 판상 일면을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하드 코팅하고 타 일면의 하부에 프리미엄 매트지로 사용자가 원하는 명화, 이미지, 사진을 인쇄한 후 부착하고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에 붙여 로울러로 압착하여 판상재를 제작함으로써 기포없이 접착되어 광택 및 강도가 높고, 마모, 스크래치 및 열에 강한 판상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는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의 판상과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내의 로울러로 압착하고 측면의 사면을 자동엣지 밴딩기를 이용하여 가공 및 압착하여 판상의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명화, 웨딩사진, 기념사진 등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주문 제작이 가능하고, 기호에 따라 테이블, 액자, 거울 등 다양한 용도로 맞춤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는 판상을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을 사용하고, 복합판넬의 판재와 압착하고 측면을 아크릴 패드로 자동엣지 밴딩기로 마감처리하여 스크래치 방지, 맑고 깨끗한 표면의 판상, 측면을 아크릴 패드로 자동엣지 밴딩기로 마감처리하여 생생한 색감, 반영구적인 광택으로 종래의 하이그로시보다 보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교자상 또는 대형 식탁으로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는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일면에 하드코팅을 하여 외부의 자극이나 강한 스크래치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광택 및 강도를 높이며 마모, 열에 강하고, 가공된 표면이 PET나 강화아크릴을 사용하여 입체성 및 광택성이 특히 뛰어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내약품성, 내습성, 내열성, 내화성 및 내산성 등의 물성도 뛰어난 판상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공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화 이미지의 테이블 제작을 위한 상태도
도 3은 도 2에 명화 이미지를 테이블로 제작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제작시 사용되는 이미지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도 4에 테이블로 제작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규조토, 일라이트를 포함한 건축 마감재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형, 원형, 정사각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구비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의 판상의 일면을 스크래치 방지를 위해 하드 코팅하고 타 일면의 하부에 매트지로 명화, 웨딩사진, 기념사진, 돐사진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인쇄한 후 아크릴판 판상의 타 일면 하부에 부착하여 로울러로 기포없이 접합한 후,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에 붙여 로울러로 재압착하여 판재를 제작하고, 접합된 판상 및 판재의 측면을 아크릴 패드로 엣지 밴딩기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여 형성되는 이미지가 구비된 판상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에 사용되는 재료는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매트지, 복합판넬의 판재로 구비되는데, 각 구성의 용도 및 그 특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페트)는 열가소성의 고기능수지(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플라스틱으로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축합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를 말한다. 섬유로서는 다른 합성섬유보다 내열성이 좋고, 탄성회복, 내주름성 등에도 뛰어나, 양모에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성형재료로서는 PET 자체는 성형성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유리 섬유로 강화된 것이 중요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성형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내열성, 전기특성에도 뛰어나 커넥터, 코일 보빈(coil bobbin) 등의 전기부품에 사용되고 자동차 부품으로는 도어핸들, 가니시(garnish)등의 외장품에 이용되고 있다.
매트지는 고해상도 인쇄를 위한 프리미엄 매트지로서, 이를 통해 인쇄된 명화, 사진 등의 이미지는 UV보다 화질이 우수하며 뛰어난 해상도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판넬은 MDF, HDF, PB, WPC 중 선택된 1종을 사용하는데, 상기 MDF(Medium Density Fiberboard)는 중밀도 섬유판이고, 상기 HDF(High Density Fiberboard)는 고밀도 섬유판이며, 상기 PB(Particle Board)는 파티클 보드로서 폐목을 파쇄하여 만든 조각을 합성수지와 섞어 압축하여 만들고, 상기 WPC(Wood plastic composite)는 목재 속의 공간에 합성수지를 저분자 상태로 주입하여 반응시켜 고분자로 만든것이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같은 재료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가 구비된 판상재 제조방법은 크게 판상 하드 코팅단계, 이미지 매트지 인쇄단계, 이미지 및 판상 접착단계, 판상 및 판재 압착단계, 측면 마감단계의 절차로 형성되는데,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판상 하드 코팅단계(S100)
먼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의 일면에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그 표면을 하드 코팅한다.
상기 판상의 하드 코팅을 통해 외부의 자극이나 강한 스크래치 등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광택 및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마모, 열에도 강한 판상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팅을 통해 판상의 상부에 이물질이 묻을 경우 세척이 용이하며 완재품에 이물질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은 그 판상재의 용도에 따라 그 형태를 사각형, 원형, 정사각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절단 및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이미지 매트지 인쇄단계(S200)
매트지에 명화, 웨딩사진, 기념사진, 돐사진의 이미지를 인쇄하는데, 이는 판상재의 상판에 표시할 도안으로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 형태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매트지는 무광택 코팅지로서 백상지보다 두께감이 있으며, 표면이 코팅처리되어 이미지 등 칼라 인쇄물에 사용되고, 사진의 대비를 향상시키는 빛 코팅이 되어 있지만 눈부심이 없고 이미지와 사진 출력에 사용되는 용지이다.
매트지는 잉크젯 또는 컬러 전용지로 구분되는데 잉크젯 전용지는 일반 복사지보다 잉크 번짐이나 선명한 색상 구현을 위해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앞면(인쇄면)이 하얗게 코팅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Coated Paper로 칭하며, 일반 복사용지에 비해 발색이 훨씬 잘 되며, 전용지로 출력할 때 프린터에서 용지와 품질 선택을 용지에 맞게 선택하여 출력하면 최적화된 인쇄물을 제공하고 내수성과 내광성으로 얼룩이나 빛바램이 없어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매트지는 프리미엄 매트지로서 고해상도 인쇄가 가능하여 UV보다 해상도를 제공한다.
3. 이미지 및 판상 접착단계(S300)
상기 매트지에 명화, 웨딩사진, 기념사진, 돐사진의 등의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인쇄된 이미지를 하드 코팅된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의 타 일면 하부에 접착하여 로울러를 이용하여 기포없이 압착한다.
상기 공정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 코팅된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의 타 일면 하부에 인쇄된 이미지가 위치하여 접착 후 로울러로 압착하여 구성되는데, 압착된 상태는 하드 코팅된 일면 하부에 인쇄된 이미지가 표시되게 된다.
4. 판상 및 판재 압착단계(S400)
압착된 인쇄 이미지와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이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 상에 위치하여 로울러를 이용하여 판상과 판재가 압착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판상재의 형상을 갖는 복합판넬 상에 이미지가 인쇄된 PET 또는 강화 아크릴 판이 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복합판넬의 판재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PB(Particle Board), WPC(Wood plastic composite)에서 1 종을 선택하여 사용되고, 그 일면에 스티커 처리를 하여 압착된 인쇄 이미지와 PET 또는 강화 아크릴 판상이 위치하고, 로울러를 통해 해당 판상과 판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절차에 의해 구비된 인쇄된 이미지와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과 인쇄된 이미지가 압착된 판상 및 판재를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식탁, 테이블, 액자, 거울 또는 교자상의 용도,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의 공정 중 용도에 따라 판상 및 판재를 각각 일정 크기별로 절단 및 가공하여 상기의 판재 하드 코팅, 이미지 부착 및 로울러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부가적인 절단 공정을 생략할 수 도 있다.
5. 측면 마감단계(S500)
접합된 판상 및 판재의 측면을 아크릴 패드 부재로 엣지 밴딩기를 이용하여 압착한 후 마감처리하여 판상재를 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크릴 패드는 판상재의 측면의 두께에 따라 아크릴판에 반투명 시트지를 붙여 구비되거나, 아크릴에 시트지가 부착되어 구비된 것으로 플렉시블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공정에 의해 측면을 아크릴 패드로 벤딩 및 압착하여 판상재를 제작함으로서 PET나 강화아크릴을 사용하여 맑고 깨끗한 표면으로 고급스럽고 아름다운 느낌을 더 해주며 생생한 색감과 영구 보존이 가능하고, 광택이 살아 있어 종래의 하이그로시보다 광택도 살아있고 보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의 절차에 의해 제작된 판상재를 첨부된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용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S600)
상기의 절차에 의해 구비된 이미지가 구비된 판상재는 판상재 자체를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판상태에 용도에 따라 테이블, 액자, 거울 등의 인테리어 목적에 따라 부가적인 작업을 통해 해당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가 구비된 판상재를 교자상과 같은 대형 식탁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개개인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맞춤 제작을 통해 추가 완성품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4)

  1. 사각형으로 구비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의 판상의 일면을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하드 코팅하고 타 일면의 하부에 매트지로 명화, 이미지 또는 사진을 인쇄한 후 부착하여 로울러로 기포없이 접합한 후,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에 붙여 로울러로 재압착하여 판재를 제작하고, 접합된 판상 및 판재의 측면의 사면을 아크릴 패드로 엣지 밴딩기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구비된 판상재.
  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의 일면을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하드 코팅하는 제 1 단계;
    매트지에 명화, 웨딩사진, 기념사진 또는 돐사진의 이미지를 인쇄하는 제 2 단계;
    인쇄된 이미지를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의 타 일면 하부에 접착하여 로울러를 이용하여 기포없이 압착하는 제 3 단계;
    압착된 인쇄 이미지와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 판상을 일면이 스티커 처리된 복합판넬의 판재에 위치하여 로울러를 이용하여 판상과 판재가 압착하는 제 4 단계; 및
    접합된 판상 및 판재의 측면을 아크릴패드 부재로 엣지 밴딩기를 이용하여 압착한 후 마감처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가 이루어진 후,
    인쇄된 이미지와 PET 또는 강화 아크릴판과 인쇄된 이미지가 압착된 인쇄된 이미지를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식탁, 테이블, 액자, 거울 또는 교자상의 용도, 크기에 맞게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복합판넬의 판재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PB(Particle Board), WPC(Wood plastic composite)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KR1020190106578A 2019-08-29 2019-08-29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 KR102234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78A KR102234669B1 (ko) 2019-08-29 2019-08-29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78A KR102234669B1 (ko) 2019-08-29 2019-08-29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160A true KR20210026160A (ko) 2021-03-10
KR102234669B1 KR102234669B1 (ko) 2021-04-01

Family

ID=7514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578A KR102234669B1 (ko) 2019-08-29 2019-08-29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6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748A (ja) * 2000-06-20 2002-0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ボードの製造方法
KR20080006663A (ko) * 2006-07-13 2008-01-17 (주)신광보드텍 하이그로시용 합성수지시트 제조방법 및 그 합성수지시트와그를 이용한 판상재 제조방법과 그 판상재
JP2009234248A (ja) * 2008-03-05 2009-10-15 Kotobuki Kogyo Kk 複合化粧板
KR20120038709A (ko) * 2010-10-14 2012-04-24 (주)보나하우스웨어 천연 장식 소재를 포함하는 성형판의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판 및 성형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748A (ja) * 2000-06-20 2002-0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ボードの製造方法
KR20080006663A (ko) * 2006-07-13 2008-01-17 (주)신광보드텍 하이그로시용 합성수지시트 제조방법 및 그 합성수지시트와그를 이용한 판상재 제조방법과 그 판상재
JP2009234248A (ja) * 2008-03-05 2009-10-15 Kotobuki Kogyo Kk 複合化粧板
KR20120038709A (ko) * 2010-10-14 2012-04-24 (주)보나하우스웨어 천연 장식 소재를 포함하는 성형판의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판 및 성형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하이그로시용 합성수지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상재 제조방법(The high-glossy synthetic resin sheet manufacture method)(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06663호)
2. A-페트 시트지가 포함된 친환경 건축 자재용 합판의 UV 하이그로시 제조 방법(ECO-FRIENDLY UV HIGH-GLOSSY METHOD FOR MANUFACTURING PLYWOOD FOR INTERIOR MATERIAL INCLUDING A-PET FILM)(특허등록번호 제10-124746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669B1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3802A1 (en) Flo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panel
US6759105B2 (en) Wood surface inkjet receptor medium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same
JP4659752B2 (ja) 化粧材
US11673384B2 (en) Transfer film and membrane coverings for panel products
US20200030846A1 (en) Pressable coating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panel products
US20210039372A1 (en) Pressed laminate panel with a single layer elastomeric treated paper
JP2017065261A (ja) 化粧シート、化粧板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2017019274A (ja) 化粧シート、化粧板及び化粧板の製造方法
US20070248836A1 (en) Quartz/solid surface laminate
JP2020163829A (ja) 化粧材
KR102234669B1 (ko) 이미지가 부착된 판상재 제조방법 및 그 판상재
US201102366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images on cement fiber board materials and other surfaces
JP2008087157A (ja) 化粧シート
US7476436B2 (en) Artist's cradle
KR101630694B1 (ko) 입체적인 요철무늬 및 문양을 갖는 장식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된 장식패널
US20220363044A1 (en) Resin impregnated decorative paper sheet and resin impregnated decorative panel
JP2008087158A (ja) 化粧シート
JP2000247099A (ja) 立体感に優れた化粧板
WO2020196377A1 (ja) 化粧材
KR100928665B1 (ko) 가구 및 내외장재용 대형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2010234710A (ja) 扉部材の製造方法
JP2002347007A (ja) 木質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77449A (ja) 熱硬化性樹脂化粧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47120U (ja) 建築用パネル
JP2022099749A (ja) 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