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958A -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958A
KR20210025958A KR1020190106059A KR20190106059A KR20210025958A KR 20210025958 A KR20210025958 A KR 20210025958A KR 1020190106059 A KR1020190106059 A KR 1020190106059A KR 20190106059 A KR20190106059 A KR 20190106059A KR 20210025958 A KR20210025958 A KR 20210025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vehicle maintenance
maintena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049B1 (ko
Inventor
송정원
Original Assignee
송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원 filed Critical 송정원
Priority to KR1020190106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9/0044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소유자인 차주가 아닌 차량 정비소에서 차량 정비정보 관리릍 수행하여 차주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차량정비 신청이나 차량 정비주기 안내에 따른 추천리스트와 자동예약을 통해 브랜드 정비소뿐만 아니라 소규모 개인 차량 정비소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고객확보를 통한 경영 안정성과 수익성을 향상하고, 신뢰성 있는 차량관리 정보를 중고차량 매매 등에 관련 정보로 활용하여 중고차 매매 시장의 활성화 및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차량 별로 최상의 관리상태 유지를 통해 정비불량으로 인한 사고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Vehicle managing method linked with car repair station using smart devic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소유자인 차주가 아닌 차량 정비소에서 차량 정비정보 관리릍 수행하여 차주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차량정비 신청이나 차량 정비주기 안내에 따른 추천리스트와 자동예약을 통해 브랜드 정비소뿐만 아니라 소규모 개인 차량 정비소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고객확보를 통한 경영 안정성과 수익성을 향상하고, 신뢰성 있는 차량관리 정보를 중고차량 매매 등에 관련 정보로 활용하여 중고차 매매 시장의 활성화 및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차량 별로 최상의 관리상태 유지를 통해 정비불량으로 인한 사고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성능을 오랜 기간동안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부품 교환주기에 따라서 부품을 적절한 시기에 교환하여 주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차량 소유자의 지속적인 차량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부품들의 교체일시와 그 비용 등을 기록하는 차계부를 작성하여 차량 관리를 경제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나, 대부분의 차주들은 이러한 차계부의 작성을 번거롭게 여겨 차량 정비관리가 제대로 수행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차량 소유자의 정비 지식의 부족함과 체계적인 차계부 작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차량의 성능을 오랜 기간동안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차량의 안전성에도 악영향을 미쳐 정비 불량으로 인한 차량의 사고 위험성도 증가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정비정보 관리가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아 차량 정비소를 교체하는 경우에 해당 이력을 정확하게 알수 없어 차량 정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차주의 불만을 증가시키고, 정비소도 많은 인력과 시간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비소를 통하여 일정 주기별로 차량의 부품들을 교체하였다 하더라도, 교체한 부품들의 가격이 비싸거나 해당 부품을 교체한 지 얼마되지 않은 경우라면, 해당 정비소의 정비 서비스에 대해서 의구심을 가지기도 한다.
이처럼, 차량의 지속적인 정비 필요성과 최근 차량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차량 정비소들도 함께 증가하고 있지만, 소비자는 전체 업체의 극히 일부에 해당하는 브랜드 정비소를 우선 방문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브랜드가 서비스를 보장한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비브랜드 정비소나 개인 정비소의 경우 차량 정비 고객의 안정적인 확보가 불안전함에 따라 경영악화를 초래하고, 많은 광고비용과 유지비용 지출에 의해 차량 정비에 대해 고객이 부담하는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체계적인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차량 정비 시점을 알고 이를 관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차주들은 자신이 소유한 차량의 엔진오일, 필터, 각종 구동벨트류, 에어클리너, 점화플러그, 변속기오일, 배터리, 브레이크패드, 브레이크 라이닝, 냉각수, 브레이크오일 등의 차량에 소요되는 각종 부품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차량 정비가 정확한 시점에 수행되지 않아 차량의 안정성이 감소하고, 불안전하고 미진한 차량 정비 관리로 인해 차량의 운행효율 감소에 따라 차주의 차량 유지비용이 증가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에너지 낭비가 심사되며,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중고차의 직거래는 중고차를 전문적으로 거래하는 중고차 거래 업체를 통해 중고차 매물 정보가 제시되거나, 판매자로부터 중고차량을 매입한 중고차 거래 업체가 웹사이트를 통해 중고차의 사진 및 성능기록부등을 게재하여 구매자가 중고차 매물을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고 중고차 중개인에게 구매하는 방법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중고차 거래에서 판매자는 중고차 거래업체로부터 차량의 정확한 수리비용 등을 확인할 수 없어 중고차가격을 정확히 산정할 수가 없고, 구매자는 중고차 거래업체로부터 구매한 차량 내부의 중요한 부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거나 구매 후 중고차의 정비서비스 등의 A/S를 제한적으로 제공 받아 구매 후 정비가 격을 추가로 지불하는 상당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차량을 중고거래할 경우 차량 부품의 교체시기와 교체품목에 관한 정보가 부족하여, 중고차 거래시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기술의 발달로 차량의 사용 가능 연한이 증가하고 중고차에 대한 구매자의 인식이 바뀜에 따라 매년 중고차거래시장의 규모는 확대되고 있으며, 중고차 매매 시장의 규모 역시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고 차량을 구입하려는 구매자는 인터넷을 통해 해당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여 사이트에 접속하고, 구매 하고자하는 중고차의 종류 및 차량 제조사 등을 선택함으로 해당 매물의 화면을 활성화시킨다.
다음으로, 화면에 해당 중고차의 실제모습 사진을 클릭하여, 차량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즉 차량의 각 외형 사진, 차량의 구체적인 사양, 사고 이력, 수리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중고차거래시스템의 경우에는 단순 판매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정확한 차량 정보를 게제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사이트를 통한 중고차의 구매자의 경우 중고차량의 상태이상으로 인한 불만이 야기 되고있으며, 저렴한 중고차량임을 사이트에 홍보함으로서 구매자를 유인하는 허위 중고차 매물 광고가 만연했다.
그러나, 선행 특허문헌 1 내지 8과 같이 차량 정비정보 관리나 중고차 거래시에 차량 정비정보 활용에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량 정비정보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차량 정비소에서 자동으로 관리하고, 정비 관리중인 차량 정비정보의 포트폴리오 작성을 통해 차량의 정비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차량 정비정보공유를 통해 차량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정비소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고객확보에 기여하며,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차량 정비정보를 통해 안정적인 중고차 거래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차주와 정비소 및 중고차량 구매자(전문딜러 포함), 보험업체 등을 연계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관련 기술 개발은 매우 미흡하고, 전무한 실정이다.
결국,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있는 기술 개발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KR 10-2001-0107467 A KR 10-2012-0094639 A KR 10-1349935 B KR 10-2017-0055332 A KR 10-1826647 B KR 10-2018-0107339 A KR 10-2000-0072565 A KR 10-2001-0083842 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정비가 필요한 부품과 정비시기 등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고 해당 차량을 직접 정비한 차량 정비소가해당 차량의 정비정보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함에 따라 차량 정비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여 차주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차량 정비관리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하고, 신뢰성이 담보된 차량 정비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은 차량 정비를 받은 차량의 정비정보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차주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브랜드 정비소뿐만 아니라 개인이나 소규모 정비소도 많은 광고비용 부담없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고객을 유지함에 따라 소규모나 개인 차량 정비소들의 경영부담을 감소하고, 수익성을 향상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차량 정비를 수행한 차량 정비소가 차주의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upload)하고, 해당 차량 정비정보가 정확한지 검증하며, 검증된 차량 정비정보로 폴트폴리오를 생성하여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모든 차량 정비소가 해당 포트폴리오 정보를 공유하여 해당 차량이 자신의 차량 정비소로 방문할 때에 차량 정비내역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차량 정비에 필요한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관리와 점검을 최소화하여 차량 정비서비스 비용 감소에 따라차주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 정비정보를 손쉽게 작성하고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요청 정비소나 구매자 등에게 수많은 차량 정비정보들을 쉽게 편집하여 필요한 차량 정비정보만을 차량 정비소나 구매자 또는 차주에게 송신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차량 정비소별로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차량 정비정보를 하나의 형식으로 통일하여 제공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에 기반하여 각 차량별로 맞춤형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제공하는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빅 데이터(big data)를 활용하여 제공되는 차량 정비정보 업로드기능을 제공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시에 필요한 차량 정비 내용에 따라 차량 정비소들 중에서 최적화된 추천리스트를 추출 및 재배열하여 추천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회원으로 가입하는 가입자가 일반 차주와 같은 고객이 아닌 차량 정비소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확인 절차를 제공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주인 일반회원이나 차량 정비소인 기업회원으로 가입하는 가입자가 다른 차량 정비소를 추천하는 경우 추천을 받은 추천자가 원하지 않는 추천인의 추천을 거부하고 추천인 해제기능을 제공하고, 추천인 해제에 따라 추천인에게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정비정보 등록시에 실제 차량 정비 내과 부합하는지를 확인하여 무분별하고 부정확한 차량 정비정보 등록이나 부실한 차량 정비정보 관리로 인해 차주나 중고 차량 구매자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통해 차주나 중고 차량 구매자(전문 딜러 포함)의 해당 차량에 대한 차량 매매 신청이 있는 경우에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정비지수를 계산하고 차량 가격 산출에 이를 반영하여 계산함에 따라 차주와 중고 차량 구매자간의 신뢰성 향상을 기반으로 최적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은 차주 단말, 정비소 단말, 관리자 단말 및 구매자 단말과 통신하며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를 위한 플랫폼 서버의 컴퓨팅 장치가 차량 정비정보를 관리하고 공유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수행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으로서, 차주가 상기 차주 단말 또는 차량 정비소가 상기 정비소 단말 또는 구매자가 상기 구매자 단말로 차량 정비정보 관리 또는 공유를 위해 회원으로 가입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회원 가입을 신청한자를 확인하고 회원가입의 승인을 결정하는 단계; 최초 차량 정비신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최초 차량 정비신청 내용에 따라 추천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업로드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차량 매매 신청에 따라 정비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정비지수를 반영하여 차량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포함한 차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이후에 업로드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차량 정비주기 안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 정비주기 안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자동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 및 차량 정비정보를 재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재업로드하는 단계 이후에 재업로드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재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재업로드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로 상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 정비정보 관리 또는 공유를 위해 회원으로 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일리지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차주, 상기 정비소, 및 상기 구매자의 기여도 산출에 따라 인센티브 마일리지 또는 디센티브 마일리지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비정보 입력을 보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정비정보 입력을 보조하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량 정비정보 트리를 기초로 차량 정비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빅 데이터(big data)를 이용한 이미지 인식을 통해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을 추출하여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상기 이미지 인식을 통해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추출하여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정비소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서를 촬영하여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 이미지 딥러닝하여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추출하고 자동으로 업로드하며, 상기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가 미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문서에 기재된 형성된 문자 정보를 이미지 딥러닝하여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은 상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전송하는 것에 대한 상기 차주와 상기 차량 정비소의 동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는 일반정비기록, 사고정비기록 및 특수정비기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차공유를 위해 단말 및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차주의 일반회원 등록과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차주 단말; 차량 정비소의 기업회원 등록과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정비소 단말; 구매자의 특수회원 등록과 차량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매자 단말; 및 상기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를 위해 회원 및 상기 플랫폼 서버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각각의 상기 차주 단말, 상기 정비소 단말 단말,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구매자 단말은 통신부와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와 센서부와 마이크와 스피커 및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플랫폼 서버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차주와 같은 일반회원, 기업회원, 및 특수회원들에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고 저장 및 관리하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차량 정비소와 각 차량 정비소에서 차량 정비를 받은 이력이 있는 차주의 차량 정비와 관련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등록정비소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각 차량 정비소에 매칭되어 저장된 각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 및 상기 차량 정비소의 기업회원 정보의 정비신청 매칭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비신청 매칭도의 결과에 따라 추천리스트 추출 및 재배열을 통해 추천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리스트 생성부; 상기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상기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과 상기 차량 정비소의 실제 차량 정비정보 및 자동차 부품 제조사로부터 입수한 차량 부품 데이터와 비교분석을 통해 정비진행 매칭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비진행 매칭도의 결과에 따라 업로드된 차량 정비정보 또는 재업로드된 차량 정비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차량 매매 신청을 수신하면 생성되거나 수정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해당 차량의 정비 상태에 대해 정비 수행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비 수행도에 따라 정비지수를 계산하는 정비지수 계산부; 및 상기 정비지수 계산부에서 계산된 정비지수를 반영하여 상기 해당 차량의 중고 차량 가격을 산출하는 차량 가격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현재 정비가 필요한 부품과 정비시기 등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고 해당 차량을 직접 정비한 차량 정비소가 해당 차량의 정비정보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함에 따라 차량 정비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여 차주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극대화하고, 불완전하거나 미진한 차량 정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 정비를 받은 차량의 정비정보를 차량 정비소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차주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브랜드 정비소뿐만 아니라 개인이나 소규모 정비소도 많은 광고비용 부담없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고객을 유지함에 따라 소규모나 개인 차량 정비소들의 경영부담을 감소하고, 수익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 정비소가 차주의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upload)하고, 해당 차량 정비정보가 정확한지 검증하며, 검증된 차량 정비정보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모든 차량 정비소가 해당 포트폴리오 정보를 공유하여 해당 차량이 자신의 차량 정비소로 방문할 때에 차량 정비내역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차량 정비에 필요한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차량 정비 관리와 정비점검을 최소화하여 차량 정비서비스 비용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 또는 특수회원이 제약된 크기의 화면에 터치로 한정된 입력방식을 구비한 단말 장치를 통해 손쉽게 등록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간단한 동의절차를 통해 공유 및 열람이 가능함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의 활용도를 극대화하여 해당 차량의 관리와 중고 거래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시에 필요한 차량 정비 내용에 따라 차량 정비소들 중에서 최적화된 추천리스트를 추출 및 재배열하여 추천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함에 따라 차량 정비와 관리에 필요한 차주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차량 정비소는 추가적인 고객을 확보하여 수익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 정비 신청 내역 또는 차량 정비부기에 따른 정비 내역에 따라 차주에게 현재 플랫폼 서버에 등록된 차량 정비소들 중에서 해당 차량 정비 내용에 가장 부합하는 순서대로 차량 정비소 목록을 추출하고 재배열하여 추천리스트를 차주에게 제공함에 따라 차량 정비소는 추가적인 마켓팅 비용없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고객 유치가 가능하게 되고, 차주는 전문가에 의해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차량 정비를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제공 받아 만족도를 극대화하고, 정확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활용을 통해 차량 정비와 차량 중고 매매 시장 경제를 활성화하고, 차주와 차량 정비소 및 중고차 구매자 모두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차주의 차량 정비정보 신청 내용과 차량 정비소가 업로드한 차량 정비정보의 정확한 1차 확인을 수행하고, 차량 정비주기 안내와 후속적인 차량 정비정보 2, 3, 4차 업로드와 해당 차량 정비정보의 후속적인 2, 3, 4차 확인을 통해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의 신뢰성 완벽하게 담보하고, 이렇게 생성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차주, 차량 정비소, 중고차 구매자 등의 동의나 요청에 의해 서로 공유함으로써 차량 정비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하고, 중고차 거래 가격과 제품 담보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 정비정보 업로드와 후속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해당 차량을 정비한 차량 정비소가 소흘히 할 경우에는 이에 대한 디센티브 마일리지를 부여하고, 차량 정비소가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명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경우에는 인센티브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무분별한 차량 정비정보 등록이나 부실한 차량 정비정보 관리로 인해 차주나 중고차량 구매자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정비소들의 기업회원 가입을 활성화하고 이들의 경영안정성을 확보하여 국가경제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각 차량 정비소별로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차량 정비정보를 하나의 형식으로 통일하여 제공하여 차량 정비소들의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등록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의 공유를 통해 불필요한 차량 정비를 방지함에 따라 자원낭비를 방지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기업회원으로 가입하는 가입자가 일반 차주가 아닌 차량 정비소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확인 절차를 통해 차량 정비 시장과 차량 정비정보 관리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담보하고, 단말장치에 설치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손쉽게 다른 차주나 차량 정비소를 추천할 수 있어 차량 정비정보 관리 네트워크를 전국적인 범위로의 신속하게 확장하고, 마켓팅 비용을 절감하여 가입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자신의 추천현황이나 추천에 따른 결과를 한눈에 확인하도록 제공하며, 최종적으로 추천자가 회원으로 가입한 경우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전국전인 범위와 차량 정비 시장과 중고차 시장의 신속한 확장을 통해 전반적인 사회고정비용을 절감하고, 플랫폼 관리자의 마켓팅 비용 절감에 따라 기업회원 가입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부여하고, 최종적으로 회원 가입자가 직, 간접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차량 정비시장과 중고차 매매 시장의 선순환경제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차주나 중고 차량 구매자(전문 딜러 포함)의 해당 차량에 대한 차량 매매 신청이 있는 경우에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통해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정비지수를 계산하고 차량 가격 산출에 이를 반영하여 계산함에 따라 차주와 중고 차량 구매자간의 신뢰성 향상을 기반으로 최적의 수익을 창출하고, 차주와 차량 정비소와 중고차 구매자와 보험업자들을 상호 연결하는 종합적인 차량 정비정보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여 차량 정비 산업분야 뿐만아니라 타산업분야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신속하고 안정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 정비정보 트리 또는 빅 데이터(big data)를 활용하여 차량 정비정보와 관련된 정보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 정비소들이 차량 정비정보를 간편하고 쉽게 관리하도록 보조할 수 있고, 차량 정비소의 차량 정비정보 관리에 소요하는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마일리지 기능을 제공하여 가상공간 경제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외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일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영모드로 타이어 재고를 촬영하고,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오브젝트 디텍팅(object detecting)을 수행하여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의 일례이다.
도 11 내지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과정에서의 일부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가공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주의 차량 정비정보 내역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량지수와 산출된 차량 가격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외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일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영모드로 타이어 재고를 촬영하고,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오브젝트 디텍팅(object detecting)을 수행하여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의 일례이다. 도 11 내지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과정에서의 일부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가공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주의 차량 정비정보 내역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량지수와 산출된 차량 가격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재고관리를 통한 재고공유 시스템은 단말(100) 및 플랫폼 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의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100) 및/또는 관리 서버(2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에 등록된 차량 정비소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 단말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공유를 위해 차주 또는 차량 정비소 또는 관리자 또는 중고 차량 구매자 또는 보험사 등이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또는 다른 전자 장치이다. 예컨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거나,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 폰, 모바일 전화기, PDA, 태블릿 PC, 혹은 플랫폼 서버(200)와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100)은 다양한 머신들 상에서 실행되고, 다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해석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싱 로직을 포함하고, 외부 입력/출력 디바이스상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위한 그래픽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스들과 같이 다양한 기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100)은 입력 장치(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터치 감지 표면 등) 및 출력 장치(예를 들면 모니터, 스크린 등)에 접속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단말(100)은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인 스마트 폰, 디지털방송용 단말,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고정형 단말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공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00)은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 그 역할이 구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말(100)은 차량 소유자 중에서 일반회원으로 가입하고 자신이 소유한 차량을 등록하는 차주 단말(100-1), 차량 정비소들 중에서 기업회원으로 가입하고 차량 정비를 수행하고 차량 정비정보를 등록 및 수정할 수 있는 정비소 단말(100-2), 일반회원, 기업회원, 및/또는 특수회원에 대한 회원 가입 승인 및 차주나 차량 정비소 또는 차량 구매자 등의 인센티브 마일리지와 디센티브 마일리지 등의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100-3) 및/또는 중고 차량의 구매신청이나 구매를 진행하는 구매자 단말(100-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 구매자 단말은 필요에 따라 차량 사고 등 각종 보험을 관리하는 보험자 단말 또는 차량 정비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 대체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중고차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100-4)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단말(10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웹 브라우저들,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워드 프로세서들, 미디어 플레이어들, 스프레드시트들, 이미지 프로세서들, 보안 소프트웨어 또는 그 밖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차주, 정비소, 관리자, 및 구매자는 각각 자신의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고 플랫폼 서버(200)가 제공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통한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를 위한 웹 사이트에 방문할 수 있다. 상기 웹 브라우저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MICROSOFT INTERNET EXPLORER), 구글 크롬(GOOGLE CHROME) 또는 모질라 파이어폭스(MOZILLA FIREFOX)와 같은 전통적인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표시되는 웹 페이지는 텍스트 및 이미지와 같은 고정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쓰여진 코드 및 플레시 오브젝트(FLASH object)와 같은 활동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웹 페이지 내의 콘텐츠는 상품들(여기서 상품들은 주로 차량 정비에 사용되는 엔진오일, 필터, 구동벨트, 에어클리너, 점화플러그, 배터리, 브레이크패드, 냉각수 등과 같은 각종 차량 부품을 의미한다), 서비스들(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는 상품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통해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아이디어들,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통해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메시지들, 차량 정비정보를 통해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사람들,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통해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단체들 또는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통해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다양한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이 식별되고 홍보(또는 전달되는)되는 통신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는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통한 차량 정비정보 고공유에 국한되지 않고, 차량 부품과 관련된 다른 유형의 공고나 메시지 그리고 하이퍼링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차량 부품 관리를 통한 정보공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단일의 크리에이티브와 콘텐츠 그룹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차주 단말(100-1)은 플랫폼 서버(200)에 일반회원으로 가입하고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100-3)에 의해 일반회원 확인 및 일반회원 가입 승인을 수행한다.
즉, 차주는 차주 단말을 통해 차량 종류, 차량 등록번호(차량 넘버), 차주 성명, 연락처, 주소 등 만을 간단하게 기재하고 일반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차주 단말(100-1)은 일반회원으로 간단하게 가입하고 로그인한 이후에 최초 차량 정비신청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최초 차량 정비신청이란 해당 차량에 대해 처음으로 수행하는 차량 정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플랫폼 서버에 일반회원으로 가입한 이후에 최초로 차량에 대한 정비를 신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차주 단말(100-1)은 최초 차량 정비 신청을 진행하게 되면 업로드된 차량 정비 신청 정보가 플랫폼 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랫폼 서버(200)에서 추천리스트를 생성하여 보여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차주 단말(100-1)은 플랫폼 서버의 차량 정비소 등록 정보 중에서 위치, 정비 서비스 금액, 이용가능시간, 제공 서비스와 같은 중요 정보만을 추출하여 썸네일(thumbnail)로 구성한 후에 차주 단말(100-1)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후에 썸네일 선택시 구체적인 차량 정비소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주 단말(100-1)은 차량 정비주기 안내시에 자동예약 등을 위한 선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플랫폼 서버(200)에 결제 정보를 송신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더욱이, 차주 단말(100-2)은 차량 정비소가 정비소 단말(100-2)을 통해 업로드한 자신의 차량 정비정보 또는 구매하고자 하는 다른 차량의 정비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차주 단말(100-1)은 크기가 제약되고 터치 입력으로 한정된 입력방식을 가지는 단말 장치를 통해 일반적인 차량 소유자가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위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 일반회원으로 손쉽게 가입할 수 있으며, 일반회원으로 가입한 차주 단말(100-1)에 설치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본인이 알고 있는 국내의 다른 차량 소유자나 전국의 어떠한 차량 정비소라도 손쉽게 추천할 수 있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국적인 범위의 차량 정비정보 공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차주가 일반회원으로 승인이 완료되면 크기가 제약되고 터치 입력으로 한정된 입력방식을 가지는 단말 장치를 통해 차주가 차주 단말(100-1)을 통해 차량 정비주기 안내, 정비주기 안내시 자동예약 유무, 차량 정비정보 공유유무, 중고차 매매 신청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차주 또는 차량 정비소들 중에서 추천을 받은 다른 차주 또는 차량 정비소(추천자)는 본인의 제약된 크기의 화면에 터치로 한정된 입력방식을 가지는 단말 장치를 통해 손쉽게 일반회원 또는 기업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소유자로서 일반회원에 가입한 차주 단말(100-1)은 다른 차량 소유자 또는 차량 정비소의 추천현황이나 추천에 따른 해당 차량 소유자의 일반회원 신청과 가입 유무 또는 기업회원 신청과 가입 유무의 결과를 한눈에 확인하여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가입된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100-3)과 플랫폼 서버(200)를 통해 추천 보상금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추천인이 추천한 추천자가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경우 소정의 추천 보상금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차량 소유자로서 이미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서버에 일반회원 또는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차주 또는 차량 정비소(추천인)로부터 SNS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추천을 받은 추천 차주 또는 차량 정비소(추천자)의 단말은 제약된 크기의 화면에 터치로 한정된 입력방식을 가지는 단말을 통해 용이하게 일반회원 또는 기업회원 가입을 신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추천을 받은 추천 차주나 차량 정비소의 단말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주 단말(100-1) 또는 정비소 단말(100-2)과 소유자만 상이할 뿐 전체적인 기능과 성능은 동일한 단말을 구성한다.
또한, 추천을 받은 추천 차주 단말 또는 차량 정비소 단말은 원하지 않는 추천인의 추천을 거부할 수 있는 추천인 해제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추천인을 거치지 않고 직접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에 지원하여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에 가입이 된 경우에 플랫폼 서버와 관리자 단말은 추천인에게 제공되는 보상금의 일부만을 추천인에게 추천 해제 보상금으로 지급하고, 추천자가 스스로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가입하여 신규회원 가입 보상금 중 일부를 수령할 수 있는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차주나 차량 정비소 중에서 본인의 단말로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 가입을 완료하여 승인이 이루어진 후에 본인의 단말 장치에 설치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손쉽게 다른 차주나 차량 정비소를 추천할 수 있고 이미 가입한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에 의해 1차적으로 새로운 차주나 차량 정비소의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 자격이 검증됨과 동시에, 추천을 받은 다른 차주나 차량 정비소가 자연스럽게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가입함에 따라 추천인에게 추천 보상금을 제공함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 범위를 전국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대하고, 1차적인 추천인의 사전 검증을 통해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추천을 받은 차주나 차량 정비소가 스스로 추천을 해제하고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가입하는 경우에 추천인뿐만 아니라 추천을 받아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새롭게 가입하는 차주나 차량 정비소에게도 신규 가입 보상금을 제공하여 최소의 마켓팅 비용과 시간으로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할 수 있다.
추천인과 추천자 간의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 가입에 따른 보상금과 추천 해제 서비스에 대한 제사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정비소 단말(100-2)은 플랫폼 서버(200)에 기업회원으로 가입하고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100-3)에 의해 기업회원 확인 및 기업회원 가입 승인을 수행한다.
차량 정비소는 정비소 단말을 통해 사업자 등록번호, 차량 정비 관련 보유 자격증, 상호, 연락처, 주소, 차량 정비를 위한 보유장비, 직원수 등을 기재하고 기업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기업회원으로 기입된 정보의 정확한 검토 후에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100-3)을 통해 기업회원을 승인한다.
즉, 일반회원과 달리 기업회원의 경우 차량 정비정보를 전문성을 가지고 정확하게 입력해야 신뢰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차량 정비소와 같은 기업회원의 경우 차량 정비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차량 관련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장비와 인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및 이와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밀하고 정확한 검토가 필요하고, 이는 플랫폼 서버에 등록된 기업회원 정보를 토대로 관리자가 확인하여 자동으로 승인하게 된다.
정비소 단말(100-2)은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후에 로그인하고 차량 정비를 한경우에는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최초 차량 정비신청이란 해당 차량에 대해 처음으로 수행하는 차량 정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플랫폼 서버에 일반회원으로 가입한 이후에 최초로 차량에 대한 정비를 신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정비소 단말(100-2)은 크기가 제약되고 터치 입력으로 한정된 입력방식을 가지는 단말 장치를 통해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통한 차량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차량 정비정보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비소 단말(100-2)은 차량에 대한 후속적인 정비 후에 차량 정비정보를 플랫폼 서버(200) 상에 수정 업로드(upload)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차량 정비정보는 정비시행 일자, 정비소명, 정비항목, 정비부품명, 현재 킬로수, 예상 킬로수, 정비비용, 추후 정비주기 등을 포함하는 차량 정비와 정비정보 공유를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비소 단말(100-2)은 차량 정비정보 등록자가 손쉽게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하도록 보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정비정보 등록 인터페이스는 차량 정비소가 차량 정비를 통한 차량 정비정보 공유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하는 차량 정비 트리를 기초로 차량 정비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및/또는 빅 데이터(big data)를 이용한 이미지 딥러닝(image deep learning)을 통해 자동으로 차량 정비정보를 추출하여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정비정보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구매자 단말(100-4)은 일반회원 또는 특수회원으로 가입하고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100-3)에 의해 일반회원 또는 기업회원 확인 및 일반회원 또는 기업회원 가입 승인을 수행한다.
구매자 단말(100-4)은 일반회원 또는 특수회원으로 가입한 후에 로그인하고 차량 매매 신청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매매 신청정보는 차종, 연식, 가격, 정비지수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구매자 단말(100-4)은 중고차 매매 전문 딜러나 보험회사이 경우 특수회원으로 가입한 상태로 자신이 소유한 차량의 정비정보 관리가 필요없는 사용자와 자신이 소유한 차량의 정비정보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를 개념상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차주 단말과 동일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동일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4)이 특수회원이 아닌 다른 일반회원이 중고차량을 구매하기 위해 차량 매매 신청을 하는 경우라면 차주 단말과 동일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동일한 단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 정비정보 관리가 필요한 차주가 일반회원이면서 필요에 따라 중고 차량 매매 신청자가 될 수 있는 일반회원과, 차량 정비정보 관리가 필요한 차량에 대한 정비와 정비정보 관리를 직접 수행하는 차량 정비소인 특수회원, 및 차량 정비정보만이 필요한 전문 중고차 매매 딜러나 보험회사와 같은 특수회원의 3원화된 회원구조로 운영된다.
이는 차량 정비의 경우 차량 소유자인 차주가 직접 정비와 관리가 힘들어 차량 정비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장비를 보유한 차량 정비소가 반드시 필요하고, 중고차 매매나 차량 필수적인 보험과 같이 차량에 해당하는 많은 사업이 서로 관련되고 얽혀있는 차량 정비와 중고 차량 시장 특성 때문이다.
특히, 오늘날에는 인터넷과 어플리케이션, SNS가 상대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중개인의 중개에 의한 거래가 감소중에 있고, 이러한 경향은 중고 차량 매매 시장에서도 동일하다. 그러나, 중고차 매매시에 일반소비자는 전문지식이 부족하여 해당 매물 차량에 대한 정비정보와 가격 책정이 정확하지 않아 신뢰성과 안정성이 감소한 상태로 거래가 진행되어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해 전문가인 차량 정비소가 차량 정비정보를 관리하고, 플랫폼 서버에서 이러한 정비정보를 기초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함에 따라 차량 소유자와 차량 구매자 모두 신뢰할 수 잇는 안정적인 차량 정보를 제공하여 중고차 매매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차량 소유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자 단말(100-3)은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를 위한 플랫폼 서버에 등록된 일반회원, 기업회원, 특수회원 가입시에 기업회원이 국내에서 영업중인 차량 정비업자인지와 특수회원 중 전문 중고차 딜러인지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차량 정비 전문가에 의한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통해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100-3)은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를 위한 플랫폼 서버에 등록된 일반회원, 기업회원, 및 특수회원의 마일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자 단말(100-3)은 차량 정비신청이나 차량 정비주기에 따른 차량 정비시에 차량 정비소가 차량 정비후에 일정 시간 내에 차량 정비정보를 관리하지 않는 경우에 디센티브 마일리지를 부여하고 신속하고 명확하게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차량 정비정보를 차량 정비소가 반영하여 차량 정비정보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인센티브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마일리지 부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상에서 이루어지는 차량 정비정보 및 차량 정비정보 공유와 차량 정비소의 거래 활성화와 중고차 매매 시장의 자율성 향상과 안정성을 도모하고, 차량 정비소의 차량 정비정보 관리 편의성과 수익성을 향상하고, 차량 정비정보 관리 비용과 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100-3)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차량 정비정보 공유의 원활한 활동에 기여하거나 손해를 가한다고 판단되는 사용자(예컨대, 전문 딜러, 보험업자와 같은 특수회원 또는 일반회원)에게도 마일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 단말(100-3)은 마일리지 기능을 구현하는 마일리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마일리지 인터페이스를 통해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별로 로그인시에 자신의 마일리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정보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회원별로 적립된 인센티브 마일리지 또는 디센티브 마일리지의 실시간 현황을 나타내는 마일리지 현황정보 및/또는 적립된 인센티브 마일리지의 사용 현황을 나타내는 마일리지 사용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100-3)은 안정적인 마일리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블록체인에 의거한 마일리지 제공 시스템을 기반으로 마일리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정비소 단말(100-2) 또는 구매자 단말(100-4)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차주 단말(100-1)과 동일하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손쉽게 가입할 수 있으며,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차주나 차량 정비소의의 단말에 설치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손쉽게 인접한 지역이나 본인이 알고 있는 차주나 차량 정비소를 추천할 수 있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국적인 범위의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공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차주 단말(100-1)과 동일한 작동원리와 방식은 생략한다.
상술한 차주 단말(100-1), 정비소 단말(100-2), 관리자 단말(100-3), 및 구매자 단말(100-4)은 사용 주체에 따라 그 역할이 구분된 것이며, 아래의 기술과 같은 단말(100)의 기능적 특성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단말(100)을 이루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의 단말(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터치 스크린(135: touch screen), 센서부(140), 카메라(150), 저장부(160), 마이크(170), 스피커(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부(110)는 다른 회원의 단말(100) 및/또는 플랫폼 서버(200)와 통신하여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예컨대, 차량 정비정보,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차량정비 신청 정보, 차량 매매 신청 정보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100),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차량 정비정보 또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외부 프린터로 전송하여 오프라인 출력물로 프린팅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100),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하여 차주, 차량 정비소, 관리자, 구매자, 보험업자 등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는 차량 정비정보나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차량 정비소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차주 및/또는 차량 정비소의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으나, 차량 정비 과정에서 제공되는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차량 정비소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가 결합되어 터치스크린(135)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150)는 차량 정비 및 상담 과정들을 촬영하여 차량 정비 과정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고, 영상을 획득한 단말(100)은 획득된 영상을 차량 정비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50)는 단말(1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단말(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외부 시점에서 진단 과정을 촬영할 수도 있다.
단말(100)의 외부에 카메라(150)가 배치된 경우, 카메라(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제어부(190)로 촬영한 진단 과정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카메라(15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5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50)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저장부(160)는 다양한 형식의 차량 정비정보 및/또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6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센서부(140)는 차주, 구매자, 차량 정비소의 정비수행자의 지문 정보를 센싱할 수 있고, 센싱된 지문 정보에 기반한 서명 동의 절차가 진행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마이크(170)는 차량 정비 상담 과정에서의 차주 및/또는 차량 정비수행자의 음성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음성을 기반으로 상담 내용 녹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담 내용 녹음정보를 획득한 단말(100)은 획득된 녹음정보를 차량 정비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스피커(180)는 차량 정비정보에 포함된 상담 내용 녹음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90)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9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도 2 내지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1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 플랫폼 서버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200)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랫폼 관리 서버(200)는 단말(100)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타이어 차주 단말(100-1), 정비소 단말(100-2), 관리자 단말(100-3) 및 구매자 단말(100-4)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플랫폼 서버(200)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의 타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을 처리하고 관리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200)는 정비소 단말(100-1)로부터 차량 정비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의 공유 플랫폼 상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서버(200)는 차주 단말(100-1) 또는 정비소 단말(100-2) 등을 통해 기업회원으로 가입하는 경우에 기업회원 관련 정보를 차량 정비와 관련된 기술과 장비 및 자격증을 보유한 차량 정비소가 진정한 차량 정비업자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차주 단말(100-1)로부터 최초 차량 정비 신청을 접수한 후에 플랫폼 서버(200)에 저장된 차량 정비소의 부합도를 추출하고 재배열하여 추천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차주 단말로 전송한다.
더욱이, 플랫폼 서버(200)는 차주 단말(100-1)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비 신청 내용과 정비소 단말(100-2)로부터 업로드된 차량 정비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차량 정비정보 1차 확인을 수행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차주 단말(100-1)로 차량 정비주기 안내를 송신하고, 자동예약이 신청된 경우 자동예약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차주 단말(100-1) 또는 구매자 단말(100-4)로부터 차량 매매 신청을 수신한 경우 조건에 해당하는 차량에 대해 정비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비지수를 기초로 차량 가격 산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와 정비지수, 차량 가격 등에 대한 정보 요청시에 관련 정보를 송신할 트랜스퍼 정보를 생성해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플랫폼 서버(200)는 수신된 각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4 내지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 시스템의 플랫폼 서버(200)는 데이터 송수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및 데이터 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데이터베이스(220), 데이터 처리부(230), 단말, 및/또는 외부 서버와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 플랫폼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타 서버(예컨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서버, 이메일 서버, 타이어 제조사 서버 등) 및/또는 단말(100)들과 일련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100),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으로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데이터 송수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베이스(220)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21), 등록정비소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2), 및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21)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차주와 같은 일반회원, 차량 정비소와 같은 기업회원, 및 전문 중고 자동차 매매 딜러나 보험회사와 같은 특별회원들에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고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회원에 대한 회원정보는 차량 소유자의 아이디(ID), 비밀번호, 성명, 주민등록번호(법인인 경우 법인등록번호 포함), 차종, 연식, 주행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회원에 대한 회원정보는 차량 정비소(예컨대, 제1 정비소(A), 제2 정비소(B), …)의 아이디(ID), 비밀번호, 업체명, 사업자등록번호(법인인 경우 법인등록번호 포함), 차량 정비를 위한 보유장비, 보유인력, 차량 정비에 대한 각종 자격증, 매장 위치, 전화번호, 및/또는 수행 가능한 차량 정비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수회원에 대한 회원정보는 중고차 매매 딜러 또는 보험회사의 아이디(ID), 비밀번호, 업체명, 사업자등록번호(법인인 경우 법인등록번호 포함), 인허가서, 및/또는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21)는 등록정비소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2), 및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동하거나,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21)는 등록정비소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2), 및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된 정보를 더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등록정비소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2)는 시스템에 등록된 각 등록정비소별로 차량 관련 정보와 정비정보들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자세히, 등록정비소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2)는 각 차량 정비소와 각 차량 정비소에서 차량 정비를 받은 이력이 있는 차주의 차량 정비와 관련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정비소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2)는 차량 정비소별 차량들(예컨대, 제1 정비소(A)의 제1 차량(A-1), 제2 차량(A-2), …, 또는 제2 정비소(B)의 제1 차량(B-1), 제2 차량(B-2), …)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차량 정비 분류기준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등록정비소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2)는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3)와 연동하거나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등록정비소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2)는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3)에 저장된 정보를 더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3)는 각 차량 정비소에 매칭되어 저장된 각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3)는 제1 정비소(A)의 제1 차량(A-1)의 일반정비기록(a-1-1), 사고정비기록(a-1-2) 및 특수정비기록(a-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고, 제2 차량(A-2)의 일반정비기록(a-2-1), 사고정비기록(a-2-2) 및 특수정비기록(a-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3)는 제2 정비소(B)에 대해서도 제2 정비소(B)의 제1 차량(B-1)의 일반정비기록(b-1-1), 사고정비기록(b-1-2) 및 특수정비기록(b-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고, 제2 차량(B-1)의 일반정비기록(b-2-1), 사고정비기록(b-2-2) 및 특수정비기록(b-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2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220)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 정비정보를 관리하고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특정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223)로부터 필요한 차량 정비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이를 요청한 차주 단말(100-1), 다른 정비소 단말(100-2), 및/또는 구매자 단말(100-4)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제공받은 이를 요청한 차주 단말(100-1), 다른 정비소 단말(100-2), 및/또는 구매자 단말(100-4)은 제공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실제 차량 정비소의 입력에 따라서 또는/및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하는 템플릿(Template)에 따라서 가공하여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가공본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차량 정비정보 가공본과 제공받은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특정 차주 단말(100-1), 다른 정비소 단말(100-2), 및/또는 구매자 단말(100-4)로 송신할 수 있다.
계속해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와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가공본을 수신한 차주 단말(100-1), 다른 정비소 단말(100-2), 및/또는 구매자 단말(100-4)은 수신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더하여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하기로 한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230)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통한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30)는 추천리스트 생성부(231), 확인부(232), 정비지수 계산부(233), 및 차량 가격 산출부(234)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정비의 경우 종류와 시기가 매우 다양하여 차주가 자신의 현재 차량 상태에 따른 차량 정비소를 선택과 이를 위한 검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추천리스트 생성부(231)는 차주 단말(100-1)에 의해 송신된 최초 차량정비 신청 내용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의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정비소 기업회원 중에서 차량 정비 내용에 부합하는 차량 정비소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차량 정비소 정보를 차주의 차량 정비신청 내용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를 토대로 재배열하여 추천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스트를 차주 단말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추천리스트 생성부(231)는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의 각 요소(예컨대 차량 주행거리, 정비항목, 정비요청 날짜와 시간, 이동거리, 예상 정비가격 등)와 차량 정비소의 기업회원 정보의 정비신청 매칭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비신청 매칭도에 따라 추천리스트 재배열하여 정비신청이나 정기정비 정보에 최적화된 추천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차주 단말로 전송한다.
확인부(232)는 차주에 의해 최초 차량 정비 신청이나 차량 정비주기 안내에 의해 차량 정비 신청이 플랫폼 서버로 전송후에 실제 차량 정비소에서 정비기사가 해당 차량을 정비한 후에 업로드한 차량 정비정보를 통해 현재 차량 정비정보가 실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 신청이 있는 경우에 차량 정비소에서 차량 정비를 실제 진행할 때에 차량 주행거리나 차량 상태에 따라 차량 정비 신청이나 차량 정비주기 안내와 다른 차량 정비가 진행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실제 차량 정비시에 차량 정비내용은 차량 정비신청이나 차량 정비주기 안내와 상이할 수 있고, 이처럼 실제 차량 정비와 차량 정비 신청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만약 차량 정비소가 실제 차량 정비정보를 잘못 업로드하는 경우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 경제의 불신과 불량거래를 야기하고, 이러한 차량 정비정보를 신뢰한 중고 차량 구매자나 다른 차량 정비소 또는 고객에게 그 피해가 고스란히 전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확인부(232)는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정보와 차량 정비소에서 실제 진행한 차량 정비정보를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생성전에 상호 비교하고 검토하여 차량 정비정보에 오류가 없는지를 1차적 또는 2차적으로 확인하여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중고차 거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32)는 차주가 차량 정비 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의 각 요소(예컨대 정비항목, 주행거리, 차종 등)과 차량 정비소의 실제 차량 정비정보의 각 요소(예컨대 정비항목, 주행거리, 차종, 사용부품, 사용한 부품의 스캐닝된 바코드 또는 QR코드 또는 일련번호 이미지, 차량 정비동영상, 차량 정비상담 내용 등) 및 자동차 부품 제조사로부터 입수한 차량 부품 데이터와 비교분석한 매칭도를 나타내는 정비진행 매칭도를 산출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부품 데이터란 차량 부품 제조사가 처음 해당 차량 부품 제조시에 생성하여 각 부품별로 식별 가능하도록 부착형성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또는 일련번호 정보와 같이 차량 부품 식별에 필요한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차량 부품 데이터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확인부(232)는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차량 부품 데이터와 차주의 차량 정비신청 내용과 실제 차량 정비소에서 업로드한 차량 정비정보를 비교하여 정비진행 매칭도를 실제 차량 정비소에서 진행한 차량 정비정보와 차량 정비소에서 업로드한 차량 정비정보 또는 수정한 차량 정비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별하여 업로드되거나 수정된 차량 정비정보의 정확성을 1차적으로 또는 2차적으로 자동으로 확인하게 된다.
정비지수 계산부(233)는 플랫폼 서버에서 차주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에 의해 차량 매매 신청을 수신하면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해당 차량의 정비 상태에 대해 정비 수행도를 산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차량 가격 산출부(234)는 플랫폼 서버에서 차주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에 의해 차량 매매 신청을 수신하면 산출된 정비지수 계산부에서 계산된 정비지수를 기반으로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스를 통해 확인하여 해당 차량의 적정한 중고 차량 가격을 산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정비지수 계산과 차량 가격 산출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하기로 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23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플랫폼 서버(200)를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플랫폼 서버(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하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과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차량 정비정보 공유 작동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은 차주가 상기 차주 단말 또는 차량 정비소가 상기 정비소 단말 또는 구매자가 상기 구매자 단말로 차량 정비정보 관리 또는 공유를 위해 회원으로 가입을 신청하는 단계(S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소유자인 차주는 차주 단말(100-1)을 통해 차량 종류, 차량 등록번호(차량 넘버), 차주 성명, 연락처, 주소 등 만을 간단하게 기재하고 일반회원으로 간편 가입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정비업자들인 차량 정비소를 운영하는 차량 정비소는 정비소 단말(100-2)을 통해 사업자 등록번호, 차량 정비 관련 보유 자격증, 상호, 연락처, 주소, 차량 정비를 위한 보유장비, 직원수 등을 기재하고 기업회원으로 가입을 신청할 수 있다.
즉, 일반회원과 달리 기업회원의 경우 차량 정비정보를 전문성을 가지고 정확하게 입력해야 신뢰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차량 정비소와 같은 기업회원의 경우 차량 정비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차량 관련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장비와 인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및 이와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밀하고 정확한 검토가 필요하고, 이는 플랫폼 서버에 등록된 기업회원 정보를 토대로 관리자가 확인하여 자동으로 승인하게 된다.
또한, 차량 구매자 중에서 일반 차량 소유자가 아닌 전문 중고차 매매 딜러나 보험회사는 구매자 단말(100-4)을 통해 특수회원으로 가입을 신청한다. 즉, 특수회원은 사업자 등록증번호, 상호, 연락처, 주소, 허가서 등을 기재하고 특수회원으로 가입을 신청할 수 있다.
만약 구매자가 차량을 소유한 일반 소유자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회원 가입을 신청한 후에 차량 매매 신청을 진행하고, 중고차 거래를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 정비정보 관리가 필요한 차주가 일반회원이면서 필요에 따라 중고 차량 매매 신청자가 될 수 있는 일반회원과, 차량 정비정보 관리가 필요한 차량에 대한 정비와 정비정보 관리를 직접 수행하는 차량 정비소인 특수회원, 및 차량 정비정보만이 필요한 전문 중고차 매매 딜러나 보험회사와 같은 특수회원의 3원화된 회원구조로 운영된다.
이는 차량 정비의 경우 차량 소유자인 차주가 직접 정비와 관리가 힘들어 차량 정비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장비를 보유한 차량 정비소가 반드시 필요하고, 중고차 매매나 필수적인 자동차 보험과 같이 차량에 해당하는 많은 사업이 서로 관계되고 얽혀있는 차량 정비와 중고 차량 시장 특성 때문이다.
특히, 오늘날에는 인터넷과 어플리케이션, SNS가 상대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중개인의 중개에 의한 거래가 감소중에 있고, 이러한 경향은 중고 차량 매매 시장에서도 동일하다. 그러나, 중고차 매매시에 일반소비자는 전문지식이 부족하여 해당 매물 차량에 대한 정비정보와 가격 책정이 정확하지 않아 신뢰성과 안정성이 감소한 상태로 거래가 진행되어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해 전문가인 차량 정비소가 차량 정비정보를 관리하고, 플랫폼 서버에서 이러한 정비정보를 기초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함에 따라 차량 소유자와 차량 구매자 모두 신뢰할 수 잇는 안정적인 차량 정보를 제공하여 중고차 매매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차량 소유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를 위해 일반회원, 기업회원, 및/또는 특수회원으로 가입을 신청하는 단계(S1)는 일반회원으로 가입한 차주 단말,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정비소 단말, 및/또는 특수회원이나 일반회원으로 가입한 구매자 단말에 설치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손쉽게 국내에 거주중인 본인이 알고 있는 차량 소유자나 또는 국내에서 영업중인 차량 정비소업자들 또는 중고차 매매 딜러 또는 보험사를 추천할 수 있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국적인 범위의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정비정보 공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추천을 받은 다른 차량 소유자, 다른 차량 정비소, 또는 다른 중고차 매매 딜러나 보험사(추천자)는 본인의 제약된 크기의 화면에 터치로 한정된 입력방식을 가지는 단말 장치를 통해 손쉽게 일반회원, 기업회원, 또는 특수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정비소중에서 이미 기업회원으로 가입된 차량 정비소업자는 차량 정비소가 다른 차량 정비소를 추천한 후에 플랫폼 서버(200)를 통해 정비소 단말로부터 추천자의 기업회원 추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버(200)는 추천인인 정비소 단말(100-2)로 추천여부를 확인하는 문의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상세하게는 플랫폼 서버(200)는 추천인(이미 기업회원으로 가입을 완료한 차량 정비소)의 정비소 단말(100-2)로부터 추천자(추천자로부터 추천된 다른 차량 정비소)의 SNS 계정 정보나 전화번호 또는 사업자등록번호나 도로명상 주소를 포함하는 기업회원 가입 추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미 기업회원 가입이 완료된 차량 정비업자인 추천자로부터 추천된 추천자가 기업회원 가입자로 아직 등록되지 않은 상태라면 추천인이 제공하는 상술한 정보를 통해 추천자에게 기업회원 가입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200)는 추천자의 전화번호를 통해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추천자의 SNS 계정을 통해 문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문의 메시지에는,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기업회원 가입을 지원하는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문의 메시지는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링크도 포함하여, 추천자를 새로운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정비정보 공유의 기업회원으로 가입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버(200)는 추천자가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기업회원 가입 지원 페이지로 접속하거나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천에 따른 기업회원 신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추천자를 기업회원 가입 신청자로 확정하고 기업회원 가입을 위한 추가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런데 추천자가 추천인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추천인 자신의 기업회원 가입으로 인해 추천인이 추천 보상을 수령하는 것을 원치 않아, 기업회원 가입 지원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플랫폼 서버(200)는 추천자가 기업회원으로 가입을 신청할 때에 추천자가 추천인의 추천을 해제하는 추천 해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세하게는 플랫폼 서버(200)는 추천자가 추천을 받은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기업회원으로 가입하지 않고, 직접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기업회원으로 추천인의 추천없이 직접 가입하고 싶은 경우에 추천인의 추천을 자신의 신규 기업회원 가입에 따른 보상금 중 일부를 추천 해제 수수료로 지불하고 해제하는 추천 해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서버(200)는 추천인의 추천 취소로 인한 불만을 최소화하기 위해 추천자로부터 추천 해제요청이 있는 경우 플랫폼 서버(200)는 신규 가입에 따른 보상금중 일부를 추천 해제 수수료로 계산하여 추천인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추천 해제 수수료에 대한 비율은 추천 해제를 신청하는 추천자가 추천 해제 신청시에 그 비율을 정하거나 플랫폼 서버(200)에서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 서버(200)는 추천인의 추천을 해제할 수 있는 추천 해제기능을 제공하여, 무분별한 차량 정비소의 기업회원 가입 추천을 억제할 수 있고, 추천을 해제하고 기업회원으로 신청한 추천자들이 새로운 추천인으로 활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은 차량 정비소들 중에서 본인의 단말로 기업회원 가입을 완료하여 승인이 이루어진 후에 본인의 단말 장치에 설치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손쉽게 다른 차량 정비소를 추천할 수 있고 이미 가입한 기업회원에 의해 1차적으로 새로운 차량 정비소의 기업회원 자격이 검증됨과 동시에, 추천을 받은 다른 차량 정비소가 자연스럽게 기업회원으로 가입함에 따라 추천인에게 추천 보상금을 제공함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공유의 범위를 전국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대하고, 1차적인 추천인 차량 정비소의의 사전 검증을 통해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은 추천을 받은 차량 정비소가 스스로 추천을 해제하고 기업회원으로 가입하는 경우에 추천인뿐만 아니라 추천을 받아 기업회원으로 새롭게 가입하는 차량 정비소에게도 신규 가입 보상금을 제공하여 최소의 마켓팅 비용과 시간으로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차주 단말(100-1)은 크기가 제약되고 터치 입력으로 한정된 입력방식을 가지는 단말 장치를 통해 일반적인 차량 소유자가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위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 일반회원으로 손쉽게 가입할 수 있으며, 일반회원으로 가입한 차주 단말(100-1)에 설치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본인이 알고 있는 국내의 다른 차량 소유자나 전국의 어떠한 차량 정비소라도 손쉽게 추천할 수 있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국적인 범위의 차량 정비정보 공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차량 소유자로서 일반회원에 가입한 차주 단말(100-1)은 다른 차량 소유자 또는 차량 정비소의 추천현황이나 추천에 따른 해당 차량 소유자의 일반회원 신청과 가입 유무 또는 기업회원 신청과 가입 유무의 결과를 한눈에 확인하여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가입된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100-3)과 플랫폼 서버(200)를 통해 추천 보상금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추천인이 추천한 추천자가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경우 소정의 추천 보상금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차량 소유자로서 이미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서버에 일반회원 또는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차주 또는 차량 정비소(추천인)로부터 SNS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추천을 받은 추천 차주 또는 차량 정비소(추천자)의 단말은 제약된 크기의 화면에 터치로 한정된 입력방식을 가지는 단말을 통해 용이하게 일반회원 또는 기업회원 가입을 신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추천을 받은 추천 차주나 차량 정비소의 단말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주 단말(100-1) 또는 정비소 단말(100-2)과 소유자만 상이할 뿐 전체적인 기능과 성능은 동일한 단말을 구성한다.
또한, 추천을 받은 추천 차주 단말 또는 차량 정비소 단말은 원하지 않는 추천인의 추천을 거부할 수 있는 추천인 해제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추천인을 거치지 않고 직접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에 지원하여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에 가입이 된 경우에 플랫폼 서버와 관리자 단말은 추천인에게 제공되는 보상금의 일부만을 추천인에게 추천 해제 보상금으로 지급하고, 추천자가 스스로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가입하여 신규회원 가입 보상금 중 일부를 수령할 수 있는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차주나 차량 정비소 중에서 본인의 단말로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 가입을 완료하여 승인이 이루어진 후에 본인의 단말 장치에 설치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손쉽게 다른 차주나 차량 정비소를 추천할 수 있고 이미 가입한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에 의해 1차적으로 새로운 차주나 차량 정비소의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 자격이 검증됨과 동시에, 추천을 받은 다른 차주나 차량 정비소가 자연스럽게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가입함에 따라 추천인에게 추천 보상금을 제공함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 범위를 전국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대하고, 1차적인 추천인의 사전 검증을 통해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추천을 받은 차주나 차량 정비소가 스스로 추천을 해제하고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가입하는 경우에 추천인뿐만 아니라 추천을 받아 일반회원이나 기업회원으로 새롭게 가입하는 차주나 차량 정비소에게도 신규 가입 보상금을 제공하여 최소의 마켓팅 비용과 시간으로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할 수 있다.
특수회원의 추천은 상술한 내용과 원리와 방식이 동일하여 이하 생략한다.
이후, 관리자 단말(100-3)을 통해 회원 가입을 신청한자를 확인하고 회원가입의 승인을 결정한다.(S2)
구체적으로, 관리자는 가입 신청자가 일반회원인 경우 간편 확인 후에 바로 가입 신청 승인을 수행한다.
다만, 가입 신청자가 기업회원인 경우에는 관리자는 기업회원이 국내에서 영업중인 차량 정비소인지를 데이터베이스의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기업회원 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관리자 단말(100-3)을 통해 기업회원의 가입 승인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 관리가 필요한 일반회원과 차량 정비정보를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기업회원을 구별하고, 차량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자격을 갖춘 차량 정비소인 기업회원의 가입을 제한하고 명확히 확인하여 차량 정비시장의 질서를 유지하고, 불필요하거나 부정확한 차량 정비정보를 사전에 차단하여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차량 정비정보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후, 일반회원으로 가입한 차주가 최초로 차량 정비신청을 차주 단말(100-1)을 통해 입력하면 최초 차량 정비신청을 플랫폼 서버로 송신한다.(S3)
최초 차량 정비신청이란 해당 차량에 대해 처음으로 수행하는 차량 정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플랫폼 서버에 일반회원으로 가입한 이후에 최초로 차량에 대한 정비를 신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최초 차량 정비신청 내용에 따라 플랫폼 서버(200)에서 차주 단말(100-1)로 추천리스트를 생성하여 전송(S4)하고, 차주 단말(100-1)은 플랫폼 서버(200)에서 생성하여 전송된 추천리스트를 보여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일반회원으로 가입한 차주가 일반회원 가입 후에 처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비관리 및 공유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 정비신청을 한 경우에는 차량 정비신청 내용과 조건에 부합하는 최적의 차량 정비소 추천리스트를 추천리스트 생성부에서 생성하여 이를 차주 단말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정비의 경우 주행거리, 차주의 운전습관, 차량 주행환경, 차량 종류와 목적에 따라 차량 정비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관련 부품이나 서비스 금액, 차량 정비소 위치 등 차주가 원하는 차량 정비신청 내용에 따라 필요한 차량 정비소 검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차주 단말(100-1)에서 최초 차량 정비신청이 송신되면 추천리스트 생성부(231)에서 최초 차량 정비신청 내용을 기반으로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차량 정비소 중에서 차주에게 가장 부합하는 차량 정비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차량 정비소 정보를 최초 차량 정비신청 내용을 토대로 재배열하여 추천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추천리스트를 차주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추천리스트는 최초 정비신청에 따라 1회 차량 정비를 수행한 이후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발송시에도 해당 차량 정비주기 안내에 부합하는 최적의 추천리스트를 추천리스트 생성부에서 생성하여 차량 정비주기 안내와 함께 발송한다.
구체적으로 추천리스트 생성은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해 수행된다. 차주는 차주 단말(100-1)에 의해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의 각 요소(예컨대 차량 주행거리, 정비항목, 정비요청 날짜와 시간, 이동거리, 예상 정비가격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에 플랫폼 서버(100-2)는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의 각 요소중에서 가중치 우선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에 이를 반영하여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기업회원인 차량 정비소 정보에 대해 수치로 환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정보 중에서 가중치 우선도 중 최우선 가중치 우선도는 차주와 차량 정비소의 거리이다. 즉, 차량 정비소와 차주와의 위치에 따른 거리에 최우선 가중치가 부여되어 제1 수치정보로 환산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를 위해 차주와 차량 정비소의 거리가 너무 먼 경우에는 해당 차량 정비소를 방문하여 실제 차량 정비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차주와 차량 정비소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울수록 실제 차량 정비가 수행되는 가능성이 매우 높을 뿐만아니라 차량 정비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경우에도 차주의 이동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감안하여도 차주와 차량 정비소의 거리가 안정적이고 정확한 차량 정비수행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주와 차량 정비소의 거리에 최우선 가중치(1차 가중치)를 부여하게 되면 이러한 실제 차량 정비 수행의 오차 발생에도 불구하고, 차량 정비수행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고,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주의 제1 차량(A-1)과 제1 정비소(A)의 거리가 5킬로미터이고, 타이어 재고 등록자가 A 타이어에 대해 공유가능한 타이어 재고수량이 5개이고, 제1 차주의 제1 차량(A-1)과 제2 정비소(B)의 거리가 3킬로미터이며, 제1 차주의 제1 차량(A-1)과 제3 정비소(C)의 거리가 1킬로미터 일때에, 제1 차주의 최초 차량정비 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에 대한 추천리스트 생성시에 제1 정비소(A)의 거리 가중치가 1이고, 제2 정비소(B)의 거리 가중치는 2이며, 제3 정비소(C)의 거리 가중치가 3이된다.
즉, 제1 차주의 제1 차량(A-1)에 의한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시에 제1 정비소(A)에 대한 제1 수치정보가 1, 제2 정비소(B)에 대한 제1 수치정보는 2, 제3 정비소에 대한 제1 수치정보가 3이 된다.
이처럼, 제1 수치정보가 낮을 수록 차량 정비가 진행될 가능성이 낮거나 실제 정비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해당 정비시기가 경과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반대로 제1 수치정보가 높을 수록 필요한 시기(주행거리 감안 등)에 실제 차량 정비가 수행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차량 정비정보에 대한 신뢰성과 차량 정비 서비스거래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정보 중에서 가중치 우선도 중 차우선 가중치 우선도는 정비수행일자이다. 즉, 차주가 해당 차량 정비소를 방문하여 실제 정비가 수행될 수 있는 정비수행일자에 차우선 가중치가 부여되어 제2 수치정보로 환산된다.
이는 차량 정비 시장의 특성상 많은 차량 정비시에 차량 부품이 필요없는 경우(예를 들어 안전 점검, 휠얼라이먼트 조정, 세차 등)도 있지만, 대부분의 차량 정비의 경우 차량 부품이 소모되는 경우가 많고, 해당 차량 정비를 위해 차량 정비에 부합하는 부품(예를 들어 타이어 교체, 브레이크 패드 교체, 타이밍 벨트 교체)을 차량 정비소에서 보유하고 있어야 신속하고 용이한 차량 정비가 가능하다. 만약, 이러한 부품을 해당 차량 정비소에서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차주의 차량 정비에 부합하는 차량 부품을 신청해야 하고, 일반적으로 이러한 차량 부품 수급에 1일에서 최대 7일까지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차주의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에 부합하는 내용에 따른 차량 부품이나 인력 또는 장비를 차량 정비소가 보유하고 있어야 하고, 이러한 부품을 보유하지 않는 경우 실제로 보유까지 소정 시간이 발행하는 차량 정비 시장을 반영하여 차량 정비소의 유동성과 수익성을 개선하고, 차주의 경우 불필요한 시간 낭비와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주의 제1 차량(A-1)에 대한 제1 정비소(A)의 정비수행일이 1일이고, 제1 차주의 제1 차량(A-1)에 대한 제2 정비소(B)의 정비수행일이 2일이이며, 제1 차주의 제1 차량(A-1)에 대한 제3 정비소(C)의 정비수행일이 3일 일때에, 제1 차주의 최초 차량정비 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에 대한 추천리스트 생성시에 제1 정비소(A)의 정비수행일 가중치가 3이고, 제2 정비소(B)의 정비수행일 가중치는 2이며, 제3 정비소(C)의 정비수행일 가중치가 1이된다.
즉, 제1 차주의 제1 차량(A-1)에 의한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시에 제1 정비소(A)에 대한 제2 수치정보가 3, 제2 정비소(B)에 대한 제2 수치정보는 2, 제3 정비소에 대한 제2 수치정보가 1이 된다.
이처럼, 제2 수치정보가 낮을 수록 차량 정비가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반대로 제2 수치정보가 높을 수록 실제 차량 정비가 진행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담보되며, 중고차 매매시에 안정성도 증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정보 중에서 가중치 우선도 중 3차 가중치 우선도는 정비비용이다. 즉,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정보 중에서 실제 차주가 차량정비를 받을 때에 차량 정비소에 납부하는 정비비용에 마지막 가중치가 부여되어 제3 수치정보로 환산된다.
이는 차량 정비 시장 및 차량 정비시에 차량 정비기사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특성상 차량 정비에 공임(서비스 비용)이 필수적으로 발생하고, 실제 차주가 특수한 장비나 기술 없이 차량 정비를 수행하는데에 어려움이 있고, 동일한 차량 정비 항목이라도 각 차량 정비소별로 실제 해당 차량 정비에 대한 정비비용(서비스 비용)이 서로 상이하게 책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비비용은 차량 소유자인 차주가 차량 정비를 받는데에 매우 중요한 결정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차주가 최초 차량 정비신청시에 차주가 직접 입력하거나, 빅데이터를 통한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된 차량 정비비용에 3순위 가중치(3차 가중치)를 부여하게 되면 이러한 차량 정비 시장의 특성과 차량 정비소의 활성화 및 수익성 개선 목적성을 반영하여 차량 정비소의 경영부담을 감소하고, 차주의 차량 관리에 대한 부담과 시간을 절감하면서 차주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주의 제1 차량(A-1)의 엔진오일 교체에 대한 제1 정비소(A)의 정비비용이 100,000원이고, 제1 차주의 제1 차량(A-1)의 엔진오일 교체에 대한 제1 정비소(A)의 정비비용이 70,000이며, 제1 차주의 제1 차량(A-1)의 엔진오일 교체에 대한 제1 정비소(A)의 정비비용이 130,000원일 때에, 제1 차주의 최초 차량정비 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에 대한 추천리스트 생성시에 제1 정비소(A)의 정비비용 가중치가 2이고, 제2 정비소(B)의 정비비용 가중치는 3이며, 제3 정비소(C)의 정비비용 가중치가 1이된다.
즉, 제1 차주의 제1 차량(A-1)에 의한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시에 제1 정비소(A)에 대한 제3 수치정보가 2, 제2 정비소(B)에 대한 제3 수치정보는 3, 제3 정비소에 대한 제3 수치정보가 1이 된다.
이처럼, 제3 수치정보가 낮을 수록 차주의 최초 차량정비 또는 차량 정비주기에 따른 정비가 수행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 차량 정비정보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제3 수치정보가 높을 수록 해당 차량의 차량 정비가 필요한 시기에 실제 차량 정비가 수행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차량 정비소의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200)는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과 차량 정비소의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후, 플랫폼 서버(200)는 가중치 우선순위에 따라 가중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산출된 제1 수치정보, 제2 수치 정보, 및 제3 수치 정보를 합산한다. 이후, 합산된 합산 수치정보를 기반으로 차주 단말(100-1)의 인터페이스에 출력할 추출리스트 추출하고 재배열하여 최종 추출리스트를 생성한다.
즉, 예를 들어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이 출력되면, 제1 정비소(A)의 합산 수치정보는 6, 제2 정비소(B)의 합산 수치정보는 7, 제3 정비소(C)의 합산 수치정보는 5가 되고, 추천리스트는 제2 정비소(B)를 맨위에, 제1 정비소(A)를 그 다음으로, 제3 정비소(C)를 그 다음 순서로 표시하도록 생성된다.
만약, 제1, 2, 3 정비소의 합산 수치정보가 모두 동일하거나 일부만 동일한 경우에는 플랫폼 서버(200)에서 최우선 가중치가 반영된 제1 수치 정보 가 높은 순서로 추천리스트를 추출하고 재배열하여 추천리스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정비소(A)의 합산 수치정보가 5(제1 수치정보는 3, 제2 수치정보 1, 제3 수치정보 1)이고, 제2 정비소(B)의 합산 수치정보가 5(제1 수치정보 2, 제2 수치정보 3, 제3 수치정보 0)이며, 제3 정비소(C)의 합산 수치정보가 7(제1 수치정보 3, 제2 수치정보 2, 제3 수치정보 2)일 때에, 합산 수치정보가 가장 높은 제3 정비소(C)가 맨위에 표시되고, 합산 수치정보가 동일하지만 제1 수치정보가 3인 제1 정비소(A)가 그 다음으로 표시되고, 제1 정비소(A)의 합산 수치정보와 동일한 합산 수치정보를 갖지만 제1 수치정보가 2로 상대적으로 제1 정비소(A)의 제1 수치정보보다 낮은 제2 정비소(B)가 맨 마지막에 표시되도록 추천리스트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시에 이에 부합하는 최적의 차량 정비소 추천리스트를 차주에게 발송하여, 차량 정비가 필요한 가장 적절한 시기에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해당 차량 정비를 신속하게 간편하게 수행하여, 차주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차량 정비관리의 효율성을 통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차량 정비소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여 경영부담을 감소할 수 있으며, 차주이 만족도를 극대화하고, 차량 정비정보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하여 중고차 매매 시장의 활성화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후, 차주는 차주 단말(100-1)을 통해 추천리스트 등을 참고하여 차량 정비소를 결정한다.(S5)
즉, 차주 중에서 일반회원으로 승인이 완료되면 크기가 제약되고 터치 입력으로 한정된 입력방식을 가지는 단말 장치를 통해 차주가 본인의 차주 단말(100-1)을 통해 차량 정비신청에 부합하는 추천리스트를 보고, 원하는 차량 정비소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결정된 차량 정비소는 차량 정비를 수행한 후에, 정비소 단말(100-2)로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 한다.(S6)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S6)는 도 3 및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차량 정비정보 입력을 보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타이어 재고 정보 입력을 보조하는 인터페이스는 1) 차량 정비정보 트리를 기초로 차량 정비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빅 데이터(big data)를 이용한 이미지 인식을 통해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을 추출하여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즉, 차량 정비정보를 입력하는 차량 정비소는 정비소 단말(100-2)로 간편하게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의 질과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주의 차량 정비 관리의 편의성과 정확성 및 신속성을 담보하고, 차량 정비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시장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우선, 차량 정비정보를 등록하는 정비소 단말(100-2)은 플랫폼 서버(200)의 차량 정비 기본 데이터로부터 차량 정비정보 트리(일종의 모든 차량 정비정보를 제공하는 트리(tree))에 기반하여 차량 정비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정비정보 트리는 다양한 차량 정비 종류와 해당 정비에 필요한 차량 부품 등에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되어 구현되는 정보로서 차종별 또는 차량 정비종류 별로 차량 정비정보를 차량 정비소가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정비정보 트리는 차량 정비정보를 '대분류-중분류-소분류' 등의 단계별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차량 정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 정비정보 트리를 이용하는 차량 정비소는 제공되는 차량 정비정보 트리의 각 단계에서 차량 정비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차량 정비가 해당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하여 차량 정비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차량 정비소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카테고리가 지칭하는 차량 정비에 매칭되어 있는 차량 정비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차량 정비정보로 업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주의 제1 차량(A-1)의 최초 차량 정비신청을 통해 차량을 정비한 제1 정비소(A)는 다양한 종류의 타이어가 복수의 카테고리로 대분류된 대분류 단계에서 '차량 정비종류'(일반정비/사고정비/특수정비)를 선택하고, 중분류된 중분류 단계에서 '차량 정비부위'(타이어/브레이크/벨트/엔진)을 선택하며, 소분류된 소분류 단계에서 '차량 정비항목'(타이어 점검/타이어 교체/타이어 펑크 수리 등)을 선택하여, 차량 정비정보 트리를 통해 최초 차량정비 신청에 매칭되어 수행한 차량 정지정보를 플랫폼 서버 상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정비정보 트리를 통해 간편하게 획득하고 업로드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 및 관리하는 차량 정비소는 정비소 단말(100-2)을 통해 빅데이터(big data)를 이용한 이미지 인식을 통해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을 추출하여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시에 소요되는 부품에는 부품 제조사를 통해 유통시에 해당 부품의 종류와 분류를 식별하고 해당 부품의 품질을 보증하고 관리하기 위해 해당 부품 자체의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를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 정비부품에는 차량 정비부품 제조사, 차량 정비부품 브랜드, 차량 정비부품명, 일련번호 등이 각인되어 있고, 차량 정비소는 차량 정비시에 해당 차량 정비에 대한도 9와 같은 문서(정비문서)를 작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비소 단말(100-2)은 카메라를 통하여 차량 정비정보가 기재된 문서의 내용이나 부품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이미지 인식을 통해 차량 정비정보를 추출하여 입력하는 단계는 차량 정비부품 또는 차량 정비문서인 문서에 기재되거나 스티커 등을 통해 붙여지거나 출력되어 인쇄된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가 있는 경우에는 정비소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서 또는 차량 정비부품을 촬영하여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 이미지 딥러닝하여 차량 정비정보를 추출하고 자동으로 업로드한다. 만약, 차량 정비문서인 문서에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가 없어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가 미검출되는 경우에는 문서에 수기나 문서 작성프로그램(워드프로세서, 한글 등 각종 정비 문서)을 통해 작성된 정비내용에 대한 문자 정보(정비항목, 정비내용, 주행거리, 정비소 정보, 차주 정보 등)를 이미지 딥러닝하여 차량 정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정비소 단말(100-2)은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 하기 위해 카메라 촬영모드로 차량 정비 문서를 촬영할 수 있다.(S601)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정비소 단말(100-2)은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차량 정비정보로 등록될 모든 차량 정비문서를 도 9와 같이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정비소 단말(100-2)은 카메라로 촬영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정비 문서에 대하여, 해당 차량 정비문세에 기재되거나 붙여지거나 인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bar code/QR code/serial number)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602)
여기서, 정비소 단말(10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차량 정비문세에 기재되거나 붙여지거나 인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기 존재하는 경우 카메라 촬영모드가 지속되고 있는 상태에서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오브젝트 디텍팅(object detecting)을 수행하여 해당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의 위치를 검출해 표시할 수 있다.(S603)
이후, 정비소 단말(100-2)은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오브젝트 디텍팅을 통해 검출된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를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로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정비소 단말(100-2)은 바운딩 박스가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를 촬영하여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304)
이때, 정비소 단말(100-2)은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바운딩 박스로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에 자동으로 포커싱(focusing)할 수 있다.
그리고, 정비소 단말(100-2)은 순차적으로 포커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를 각각 촬영하여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비소 단말(100-2)은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 촬영 시에 각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를 확대하여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정비소 단말(100-2)은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바운딩 박스로 표시된 해당 작아도 하나 이상의 각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에 수동으로 포커싱(focusing)하여 각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비소 단말(10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를 표시하는 바운딩 박스를 촬영하도록 유도하는 박스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하는 차량 정비소 또는 해당 정비기사가가 박스 이미지에 따라서 카메라의 포커싱을 조절하고 각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의 촬영을 수행하여, 포커싱된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비소 단말(100-2)은 획득된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량 정비정보 관련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S605)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정비소 단말(100-2)은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기술 등에 기반하여, 획득된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에서 차량 정비정보 관련된 텍스트(예컨대, 차량 정비소, 차주 정보, 주행거리, 정비항목, 정비내용, 정비일자, 정비비용 등과 관련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정비소 단말(100-2)은 추출된 차량 정비정보 관련 텍스트를 기반으로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S606)
바람직하게는 정비소 단말(100-2)은 추출된 차량 정비정보 관련 텍스트로부터 획득된 차량 정비정보에 추출된 차량 정비정보 관련 텍스트로부터 획득된 다양한 차량 정비정보를 매칭하는 방식으로 해당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즉, 정비소 단말(100-2)은 오브젝트 디텍팅을 통해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량 정비정보 관련 텍스트를 추출하여 차량 정비정보를 검출하는 방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된 차량 정비문서에 대한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으로 입력 및 저장할 수 있고, 해당 차량 정비정보의 정비내용, 정비일자, 정비항목, 정비비용 등의 정보도 자동으로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비소 단말(100-2)은 촬영된 차량 정비문서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를 통해 차량 정비정보 관련 텍스트를 추출하고 자동으로 입력 및 저장함으로써, 차량 정비정보 업로드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정비소 단말(100-2)은 카메라로 촬영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정비문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지 딥러닝(image deep learning)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정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07)
구체적으로 정비소 단말(100-2)은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Deep running neural network)와 연동하여 촬영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정비문서에 기재되거나 인쇄되거나 붙여진 차량 정비정보 관련 문자에 대한 이미지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비소 단말(100-2)은 이미지 딥러닝을 통하여 카메라에 촬영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정비문서에 기재되거나 인쇄되거나 붙여진 차량 정비정보 관련 문자에 대한 이미지 분류(image classific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정비소 단말(100-2)은 차량 정비항목이나 차량 정비부품사 로고에 대한 이미지 분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정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정비소 단말(100-2)은 이미지 딥러닝을 통해 획득된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6308)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정비소 단말(100-2)은 이미지 딥러닝을 통해 획득된 차량 정비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수동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비소 단말(100-2)은 카메라로 촬영된 차량 정비문서에 매칭되는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차량 정비문서의 문자를 이미지 딥러닝하여 차량 정비문서의 정비내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정비소 단말(100-2)은 수동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차량 정비 문서에 매칭되어 저장될 차량 정비정보를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비소 단말(100-2)은 촬영된 차량 정비 문서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빅 데이터(big data)와 이미지 딥러닝(image deep learning)을 통해 차량 정비정보 업로드를 보조하여, 바코드/QR코드/일련번호가 없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차량 정비소가 차량 정비정보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후, 플랫폼 서버(200)에서 1차로 업로드된 차량 정비정보가 정확한지를 1차로 확인한다.(S7)
즉, 확인부(232)에서 1차로 업로드된 차량 정비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한 후에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S8)
이후, 플랫폼 서버(200)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1회라도 차량 정비를 수행한 차량에 대해서는 차주 단말로 차량 정비주기 안내를 발송한다.(S9) 차량 정비주기 안내 발송 단계(S9)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정비주기 내용에 따라 추천리스트를 작성하여 발송한다.
차량 정비주기 안내시에 차주가 해당 차량 정비에 따른 원하는 차량 정비비용을 입력하는 것은 전문적인 지식도 없는 차주에게 매우 어려워서 차주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또한, 차주가 경제적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 관련 차량 정비주기 내용에 따른 정비비용을 입력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과대입력한 경우에는 차주의 부담이 증가하고, 과소입력한 경우에는 차량 정비소의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 정비주기 내용에 따른 차량 정비시에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는 차량 정비비용을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자동으로 업로드하여 딥러닝 뉴럴 네크워크를 이용하여 계산된 정비비용을 기준을 추천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전송함에 따라 자동예약 기능의 진행도 가능하게 된다. 즉, 차량 정비주기 안내시에 차량 정비비용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해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를 통해 학습된 속성을 기반으로 예측 및/또는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분야를 우리는 머신 러닝(Machin Learning; 기계학습)이라고 한다. 즉,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은 머신 러닝의 한 분야이다.
이러한 뉴럴 네트워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학자들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특히, 최적화 이론(Optimization)과 다양한 커널 함수(kernel function)를 활용해서 모델식의 정확성을 높였다. 또한, 빅데이터(Big-Data) 기술이 등장하면서 많은 데이터를 모델링에 쓸 수 있었으며 정확성도 더욱 높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여기서 뉴럴 네트워크에 빅데이터를 결합한 것을 우리는 딥러닝(Deep-Learning)이라고 한다.
자세히, 딥러닝이란, 여러 비선형 변환기법의 조합을 통해 높은 수준의 추상화(abstractions, 다량의 데이터나 복잡한 자료들 속에서 핵심적인 내용 또는 기능을 요약하는 작업)를 시도하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즉, 딥러닝은, 컴퓨터가 인간을 대체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물이나 데이터를 군집화하거나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200)는 우선 최초 차량 정비신청시에 차량 정비항목별로 차주가 업로드한 정비비용 정보(각 차량 정비항목별 희망 정비비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업로드된 희망 정비비용 정보는 실제 차주가 입력한 차량 정비내용에 따른 희망 정비비용 정보일 수 있다.
한편, 플랫폼 서버(200)는 전국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연합회, 전국자동차전문정비연합회의 각 정비내용에 따른 서비스 비용이 포함된 표준정비비용, 자동차 부품업체로부터 해당 자동차 부품에 대한 표준 부품비용, 및/또는 국토교통부의 기준정비비용 등으로부터 차량 정비 내용과 항목 및 사용 부품에 따른 평균정비비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표준정비비용은 해당 차량 정비항목에 따른 정비시에 차량 정비소의 서비스 비용과 사용 부품에 따른 표준부품비용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정비내용과 항목이라도 사용되는 부품에 따라 표준부품비용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타이어 2개 교체의 미쉐린 타이어를 사용할 경우에 표준정비비용은 100만원, 한국타이어를 사용할 경우에 표준정비비용은 50만원으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표준부품비용은 해당 부품에 대한 제조사의 공장도가격 비용일 수 있다. 여기에 운반비나 유통 마진을 포함한 비용이 추가되어 표준정비비용이 책정된다.
기준정비비용은 국토교통부에서 차량 정비항목에 대한 차량 정비소 서비스 비용의 기준과 차량 사용부품의 표준정비비용을 감안한 기준부품비용을 책정한 것이다.
평균정비비용은 표준정비비용, 표준부품비용, 기준정비비용을 모두 고려하여 산출된 비용이다.
한편, 플랫폼 서버(200)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통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동일한 차량 정비내용과 정비항목 및 동일한 사용 부품에 대한 다수의 수정된 정비비용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자세히, 플랫폼 서버(200)는 수정된 정비비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기존에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차량 정비내용과 정비항목 및 동일한 부품 사용에 대한 정비신청이나 정비주기 안내 중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신청이나 안내 내역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에서의 기존에 최초 차량 정비신청시의 정비비용을 산출하고, 정비비용 산출 뉴럴 네크워크에서 현재 정비비용을 넣어 딥러닝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즉, 플랫폼 서버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차량 정비내용과 항목 및 동일한 사용부품에 따른 차량 정비시에 발생한 과거 희망 정비비용과 실제 정비소에서 수령한 정비비용 정보와 현재 희망 정비비용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희망 정비비용 비교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정비비용 비교정보란 과거 희망 정비비용 및 지급 정비비용과 현재 희망 정비비용과 지급 정비비용을 서로 비교 계산하여 지수로 산정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정비비용 비교정보는 -100 ~ 100 사이의 임의의 수치일 수 있다.
만약, 정비비용 비교지수가 80인 경우에는 과거 희망 정비비용보다 현재 희망 정비비용이 약 80% 감소한 경우를 의미하고, 정비비용 비교지수가 -30인 경우에는 과거 희망 정비비용보다 현재 희망 정비비용이 약 30% 더 증가한 경우를 의미한다.
이처럼, 플랫폼 서버(200)는 최초 차량 정비신청시에 차주가자가 입력하는 계속적인 희망 정비비용 정보와 평균정비비용에 대한 정보 및 정비비용 비교지수를 교차 비교하고, 딥러닝을 통해 해당 차량 정비에 가장 부합하는 희망 차량 정비비용을 계산하고, 이러한 희망 정비비용 정보를 차량 정비주기 안내시에 자동으로 업로드 및 생성하고, 추천리스트를 함께 제공하고, 자동예약이 가능하게 하여 차주의 차량 정비 관리에 대한 부담을 감소하고, 편의성을 극대화하며, 차량 정비소는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고객 유치를 통해 수익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후, 차주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에 따라 차주는 차주 단말(100-1)을 통해 자동 예약 유무를 신청할 수 있다.(S10) 즉, 차주는 수신된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과 추천리스트에 따라 관련 조건에 부합하는 추천리스트상 정비소 중 1곳을 자동으로 예약하는 자동예약을 수행하는 기능을 자율의사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차주 단말(100-1)은 차량 정비주기 안내시에 자동예약 등을 위한 선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플랫폼 서버(200)에 결제 정보를 송신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1차적으로 해당 차량을 정비한 차량 정비소는 2차, 3차 차량 정비주기에 따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고객 유치를 별도의 마켓팅 비용없이 진행할 수 있어 차량 정비소의 수익성을 개선하고, 차주는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차량 정비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자동예약을 통해 차량 정비주기 안내 후에 최초 차량 정비 이후에 후속 차량 정비가 수행되면 차량 정비를 수행한 차량 정비소는 정비소 단말(100-2)을 통해 상술한 내용과 같은 방식으로 차량 정비정보를 2차 업로드한다.(S11)
정비소 단말(100-2)은 차량에 대한 후속적인 정비 후에 차량 정비정보를 플랫폼 서버(200) 상에 수정 업로드(upload)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차량 정비정보는 정비시행 일자, 정비소명, 정비항목, 정비부품명, 현재 킬로수, 예상 킬로수, 정비비용, 추후 정비주기 등을 포함하는 차량 정비와 정비정보 공유를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일 수 있다.
이후, 플랫폼 서버(200)에서 2차로 업로드된 차량 정비정보가 정확한지를 2차로 확인한다.(S12)
이후, 확인부(232)에서 2차로 업로드된 차량 정비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한 후에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수정 생성한다.(S13)
즉, 플랫폼 서버의 확인부에서 업로드된 차량 정비정보가 정확한지를 차주에 의해 최초 차량 정비 신청이나 차량 정비주기 안내에 의해 차량 정비 신청이 플랫폼 서버로 전송후에 실제 차량 정비소에서 정비기사가 해당 차량을 정비한 후에 업로드한 차량 정비정보를 통해 현재 차량 정비정보가 실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 신청이 있는 경우에 차량 정비소에서 차량 정비를 실제 진행할 때에 차량 주행거리나 차량 상태에 따라 차량 정비 신청이나 차량 정비주기 안내와 다른 차량 정비가 진행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실제 차량 정비시에 차량 정비내용은 차량 정비신청이나 차량 정비주기 안내와 상이할 수 있고, 이처럼 실제 차량 정비와 차량 정비 신청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만약 차량 정비소가 실제 차량 정비정보를 잘못 업로드하는 경우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 경제의 불신과 불량거래를 야기하고, 이러한 차량 정비정보를 신뢰한 중고 차량 구매자나 다른 차량 정비소 또는 고객에게 그 피해가 고스란히 전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 확인하는 단계(S7)와 차량 정비정보 재확인하는 단계(S12)에서는 확인부(232)가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정보와 차량 정비소에서 실제 진행한 차량 정비정보를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생성전에 상호 비교하고 검토하여 차량 정비정보에 오류가 없는지를 1차적 또는 2차적으로 확인하여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중고차 거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32)는 차주가 차량 정비 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의 각 요소(예컨대 정비항목, 주행거리, 차종 등)과 차량 정비소의 실제 차량 정비정보의 각 요소(예컨대 정비항목, 주행거리, 차종, 사용부품, 사용한 부품의 스캐닝된 바코드 또는 QR코드 또는 일련번호 이미지, 차량 정비동영상, 차량 정비상담 내용 등) 및 자동차 부품 제조사로부터 입수한 차량 부품 데이터와 비교분석한 매칭도를 나타내는 정비진행 매칭도를 산출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부품 데이터란 차량 부품 제조사가 처음 해당 차량 부품 제조시에 생성하여 각 부품별로 식별 가능하도록 부착형성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또는 일련번호 정보와 같이 차량 부품 식별에 필요한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차량 부품 데이터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확인부(232)는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차량 부품 데이터와 차주의 차량 정비신청 내용과 실제 차량 정비소에서 업로드한 차량 정비정보를 비교하여 정비진행 매칭도를 실제 차량 정비소에서 진행한 차량 정비정보와 차량 정비소에서 업로드한 차량 정비정보 또는 수정한 차량 정비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별하여 업로드되거나 수정된 차량 정비정보의 정확성을 1차적으로 또는 2차적으로 자동으로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차량에 대한 정비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또는 수정된 차량 정비정보로 생성된 수정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는 전문지식과 신뢰성을 보유한 차량 정비소에 의해서 입력 및 관리됨에 따라 해당 차량 정비정보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보장되게 된다.
이하, 도 4, 도 5, 및 도 10 내지 14를 참조하여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생성 단계(S8)와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수정 단계(S13)를 설명한다.
플랫폼 서버(200)는 일반정비기록, 사고정비기록, 특수정비기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정비정보를 획득해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정비기록(a-1-1)이란 차량의 주행거리나 연식에 따라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차량에 대한 정비정보를 전산화한 것으로 타이어 교체(a-1-1-1), 엔진오일 교체(a1-1-2), 디스크 교환(a-1-1-3) 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고정비기록(a-1-2)이란 차량 사고에 따라 수반되는 차량에 대한 정비정보를 전산화한 것으로 범퍼도색(a-1-2-1), 도어도색(a-1-2-2), 방향지시등 교체(a-1-2-3) 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챠랑 사고시에도 차주는 본인의 부담으로 차량 정비를 진행할 수 있고 일반정비기록과 동일한 정비 내용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정비기록은 반드시 보험의 가해차량 또는 피해차량 등으로 보험번호가 수반되는 경우에만 사고정비기록으로 분류한다.
또한, 특수정비기록(a-1-3) 차량의 주행거리나 연식에 관계없이 차량의 주행성능이나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수반되는 차량에 대한 정비정보를 전산화한 것으로 빌드업(a-1-3-1), 튠업(a-1-3-2), 드래스업(a-1-3-3) 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차량 정비보조 정보란 차주가 차량 정비소를 방문하거나 유선상으로 차량 정비소의 정비기사와 상담시에 차량 정비소에 의해 입력된 차량 정비상담과 관련된 기록 또는 차량 정비시에 촬영한 동영상 등이 추가되어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차량 정비보조 정보에는 차량 정비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시각 콘텐츠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차량 정비보조 정보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또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수정시 활용될 수 있고, 후술하는 차량 종합정보 요청이나 관련 정보 요청에 따라 차주, 다른 정비소나 구매자들의 자신의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이들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플팻폼 서버(200)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생성하거나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수정하기 위한 차량 정비정보 인터페이스를 정비소 단말에 제공하여 1차로 업로드된 차량 정비정보와 추후 업로드되는 후속 차량 정비정보로부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와 수정된 차량 정지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정비정보 작성 인터페이스란 정비소 단말에서 차량 정비후에 플랫폼 서버에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생성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 정비정보 작성 인터페이스는 차량 정비를 수행한 차량 정비소가 플랫폼 서버에서 통일된 형식으로 기설정한 템플릿에 따라 작성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플랫폼 서버(200)에서 정비소 단말(100-2)에 차량 정비정보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10)을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10)은 정비소 정보, 차주정보, 차량 정보, 정비기사 정보, 일반정비기록, 사고정비기록, 및 특수정비기록 차량 정비보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차량 정비정보에 포함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정보를 입력하고 차량 정비정보의 포함여부에 대한 설정을 차량별로 일일이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차량 정비소의 편의를 위해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10)에 적어도 일부는 기 작성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실제 차량 정비소에서 정비기사들이 차량 정비를 수행할 때 정비종류와 항목 등에 따라 적게는 30분에서 많게는 몇일의 정비를 수행해야 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차량 정비정보를 작성하거나 너무 디테일하거나 상세하게 모든 항목을 작성하게 되면, 차량 정비소의 업무부담이 과중되거나 오작성으로 인해 차량 정비정보의 신뢰성이 감소하고, 차량 정비소의 유지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10)은 이전 차량 정보, 차주 정보나, 해당 차량 정비소 정보가 기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정비소 단말(100-2)은 기 설정된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10)에 대한 차량 정비소의 정비기사의 입력을 기반으로 기설정된 각 항목에 대한 입력유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비소 단말(100-2)은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10)에 표시되는 각 항목에 매칭하여 다양한 선택버튼(예를 들면, 체크박스 방식의 선택버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선택버튼은, 기설정된 항목별 입력유무 설정을 기반으로 선택 또는 미선택 상태가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정비소 단말(100-2)은 제공된 선택버튼에 대한 정비기사 또는 해당 차량 정비소의 입력(예컨대, 선택버튼 클릭)을 기반으로 해당 항목의 선택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 정비정보의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추출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10)에 출력되는 미리보기 화면(15)을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플랫폼 서버(200)는 생성된 미리보기 화면(15) 정보를 정비소 단말(100-2)로 송신할 수 있고, 미리보기 화면(15) 정보를 수신한 정비소 단말(100-2)은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10)을 통해 미리보기 화면(15)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시 필요한 데이터를 정비소 단말(100-2)의 저장부(160)와 연동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정비소 단말(100-2)은 차량 정비소 또는 해당 정비가시에 의해 작성된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10)을 기반으로 차량 정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제공받은 이를 요청한 차주 단말(100-1), 다른 정비소 단말(100-2), 및/또는 구매자 단말(100-4)은 제공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실제 차량 정비소의 입력에 따라서 또는/및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하는 템플릿(Template)에 따라서 가공하여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가공본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차량 정비정보 가공본과 제공받은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특정 차주 단말(100-1), 다른 정비소 단말(100-2), 및/또는 구매자 단말(100-4)로 송신할 수 있다.
계속해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와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가공본을 수신한 차주 단말(100-1), 다른 정비소 단말(100-2), 및/또는 구매자 단말(100-4)은 수신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는, 다양한 형식의 정보가 하나의 파일로 통합시킨 자료로, 차량 정비 종합 정보를 요청한 자가 해당 차량의 차량 정비정보를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통해 보다 수월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플랫폼 서버는(200)는 각 차량 정비소별로 상이한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차량 정비정보 작성 템플릿(template)(10)이라는 하나의 통합된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일관적 인터페이스를 통한 효율적인 차량 정비정보 업로드와 관리를 가능하게 함에 따라 차량 정비소의 차량 정비정보 관리에 대한 부담 및 시간을 감소시키고, 유지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 정비정보의 입력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추출되거나 정비소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비 관련 정보들을 기설정된 정렬 순서에 따라 나열하여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제공된 선택버튼을 통해 선택 및 미선택된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비정보로 인해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또는 차량 정지정보 수정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 정비정보에 기반하여 차주, 다른 차량 정비소, 구매자 등에게 전송되는 최종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가 생성될 수 있다.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란, 차량 정비소에서 수행한 해당 차량에 대한 현재의 차량 정비정보에 대한 다양한 형식(예컨대, txt, gif, pdf, jpeg, avi, mov, wav 등)의 관련 정보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하나의 파일로 생성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자세히, 플랫폼 서버(200)는 기설정된 중요도가 높은 항목 순서나 소정의 정렬 기준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들을 나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정보, 정비소 정보, 및 차량 정비정보(즉, 일반정비기록, 사고정비기록, 및 특수정비기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순으로 환자 관련 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내에서의 차량 정비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직관적으로 정보가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도 15 참조)
계속해서, 플랫폼 서버(200)는 생성하려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가 소정의 분량 이상일 경우 및/또는 불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자동 축약편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플랫폼 서버(200)는 1)차량 정비정보 중에서 차량의 상태나 정비 중요도와 관련 없는 차량 관련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200)는 중고차량 구매를 위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의 경우에는 차량 정비정보 중에서 특수정비와 관련된 특수정비기록은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플랫폼 서버(200)는 2)특정 정보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한 날자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날짜별 차량 정비정보를 한페이지 크기로 재편집하여 차량 정비정보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플랫폼 서버(200)는 3)차량 정비정보 중에서 주요 정보만을 추출하여 축약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 정비정보의 기반인 차량 정비문서 상에 차량 정비기사가 기록한 필기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다만,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 정비문서 상의 필기 정보를 제외한 타 정보(예컨대, 이미지 정보, 체크박스 정보 등)와 연계되어 기록된 필기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타 정보와 필기 정보를 모두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 서버(200)는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기 위해 획득한 정보가 과도하게 많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관련 정보를 신청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동 축약편집을 실행함으로써, 차량 정비정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플랫폼 서버(200)가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비소 단말(100-2)에서 일부 동작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한 플랫폼 서버(200)는 생성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정비소 단말(100-2) 또는 차주 단말(100-1)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수신한 차주 단말(100-1)은 수신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를 생성한 플랫폼 서버(200)는 생성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에 대한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가공본(이하, 포트폴리오 가공본)을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플랫폼 서버(200)은 1)차주 및/또는 차량 정비소나 차량 정비기사의 프라이버시 정보를 삭제하거나 블라인드 처리해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2)차량 정비상담 내용중 프라이버시 정보에 해당하는 기록 내용에 대한 기록(예컨대, 필기 입력, 음성 입력 중에서 개인정보에 관련 된 사항)을 일거에 제거해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가공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 서버(200)는 다양한 목적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가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가공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을 기반으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재가공한 포트폴리오 가공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개인정보보호법 등을 준수하며 차주, 차량 정비소, 차량 정비기사 등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또는 포트폴리오 가공본을 신청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차주 또는 차량 정비소의 동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차주 단말(100-1) 또는 정비소 단말(100-2)은 플랫폼 서버와의 연동을 승인하고, 다른 차주, 구매자, 또는 차량 정비소에게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전송하기 위해 자신의 고유 공인 인증서를 통한 공인 인증 로그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차주 단말(100-1) 또는 정비소 단말(100-2)을 통해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또는 포트폴리오 가공본을 요청한 자에게 전송하는 것에 대한 동의를 차주나 차량 정비소의 대표나 해당 정비기사의 서명 입력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차주 단말(100-1) 또는 정비소 단말(100-2)은 센서부(140)를 통해 차주 또는 차량 정비소 대표나 정비기사의 지문 입력을 받아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또는 포트폴리오 가공본 전달에 대한 동의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동의 절차를 통해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를 통한 활용시에 개인정보보호법에 합당한 차량 정비정보 공유를 구현할 수 있다.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또는 포트폴리오 가공본 전달에 대한 동의를 획득하면 차량 관리 정보(차량 종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7)
이후, 차주 단말(100-1) 또는 구매자 단말(100-4)을 통해 차주 또는 구매자는 차량 매매 신청을 업로드할 수 있다.(S14)
이후, 차량 매매 신청이 업로드되면 플랫폼 서버(200)는 정비지수를 계산한다.(S15) 즉, 정비지수를 계산하는 단계(S15)에서 플랫폼 서버의 데이터 처리부(230)의 정비지수 계산부(233)는 차주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에 의해 차량 매매 신청을 수신하면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해당 차량의 정비 상태에 대해 정비 수행도를 산출한다.
즉, 차량 정비지수는 차량 정비정보 업로드된 정보와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 및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 들어, 해당 차량의 일반정비기록에 대해 차량 엔진오일 정비가 5000킬로미터 마다 정확하게 수행되고, 타이어 교체가 4만킬로마다 정확하게 수행된 경우에 각 정비항목에 대한 평가를 평가지수인 1 내지 10으로 부여하고, 이들 항목에 대한 평균점수로 산출하게 된다.
즉, 엔진오일이 5천 킬로마다 이루어진 경우 이에 대한 평가지수 10, 타이어 교체가 4만킬로에 이루어지지 않고, 5만킬로에 수행된 경우 평가지수 8 등으로 이들 평가지수를 모두 합산한 평균값에 100을 곱한 값이 정비지수로 계산된다. 따라서 정비지수는 최대가 100이고 최소가 10이 된다.
계산된 정비지수는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매매 신청이 있는 차량에 대해 반영되어 차주는 차주 단말(100-1)을 통해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100-4)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계산된 정비지수를 반영하여 차량 가격을 산출한다.(S16) 즉, 차량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16)에서 플랫폼 서버의 데이터 처리부(203)의 차량 가격 산출부(234)는 플랫폼 서버에서 차주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에 의해 차량 매매 신청을 수신하면 산출된 정비지수 계산부에서 계산된 정비지수를 기반으로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스를 통해 확인하여 해당 차량의 적정한 중고 차량 가격을 산출한다.
즉, 차량 가격 산출은 현재 차량의 평균 중고차 가격에 정비지수를 백분률로 환산하여 곱한 값이 차량 가격으로 산출된다. 예를 들어 정비지수가 80이고, 평균 중고차 가격이 2000만원인 경우 해당 차량의 차량 가격은 1600만원으로 책정된다.
따라서, 차주나 중고 차량 구매자(전문 딜러 포함)의 해당 차량에 대한 차량 매매 신청이 있는 경우에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통해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정비지수를 계산하고 차량 가격 산출에 이를 반영하여 계산함에 따라 차주와 중고 차량 구매자간의 신뢰성 향상을 기반으로 최적의 수익을 창출하고, 차주와 차량 정비소와 중고차 구매자와 보험업자들을 상호 연결하는 종합적인 차량 정비정보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여 차량 정비 산업분야 뿐만아니라 타산업분야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신속하고 안정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 단말(100-3)에 의해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부여한다.(S18)
즉, 관리자 단말(100-3)에 의해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단계에서 차주, 차량 정비소, 및 구매자의 기여도 산출에 따라 인센티브 마일리지 또는 디센티브 마일리지를 부여한다.
바람직하게는, 관리자 단말(100-3)은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에 따라 차량 정비수행 또는 차량 정비정보의 신속한 업로드와 수정 또는 중고차량 매매 거래 진행이나 차량 정비정보 공유에 대한 일정한 기간 내에 승인처리가 일정 시간 내에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디센티브 마일리지를 부여하고 신속하고 명확하게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차량 정비정보 업로드, 차량 정비정보 공유 승인절차 진행, 구매 정보 수정 등이 반영되어 업로드된 경우에는 인센티브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마일리지 부여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 정비정보 업도르와 후속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해당 차량을 정비한 차량 정비소가 소흘히 할 경우에는 이에 대한 디센티브 마일리지를 부여하고, 차량 정비소가 차량 정비정보 관리를 명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경우에는 인센티브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무분별한 차량 정비정보 등록이나 부실한 차량 정비정보 관리로 인해 차주나 중고차량 구매자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정비소들의 기업회원 가입을 활성화하고 이들의 경영안정성을 확보하여 국가경제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100-3)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의 원활한 관리와 동작에 기여하거나 손해를 가한다고 판단되는 사용자(예컨대, 차량 전문 딜러, 보험업자, 차량 부품업자, 차량 부품 배송업자)에게도 마일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자 단말(100-3)은 마일리지 기능을 구현하는 마일리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마일리지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수회원으로 가입한 보험업자나 중고차 전문 딜러, 또는 자동차 부품 배송자 별로 로그인시에 자신의 마일리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마일리지 정보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기업회원별로 적립된 인센티브 마일리지 또는 디센티브 마일리지의 실시간 현황을 나타내는 마일리지 현황정보 및/또는 적립된 인센티브 마일리지의 사용 현황을 나타내는 마일리지 사용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100-3)은 안정적인 마일리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블록체인에 의거한 마일리지 제공 시스템을 기반으로 마일리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 단말(100-3)은 타이어 재고관리를 통한 재고공유 방법과 시스템을 위한 플랫폼 서버를 이용하는 특수회원이나 배송업자의 활동과 기여도 또는 참여도에 따라 소정의 인센티브나 디센티브(패널티) 마일리지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자율적으로 동작하고 안정성과 신뢰성이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단말,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디스플레이부,
135 : 터치 스크린, 140 : 센서부,
150 : 카메라, 160 : 저장부,
170 : 마이크, 180 : 스피커,
190 : 제어부, 200 : 플랫폼 서버,
210 : 데이터 송수신부, 220 : 데이터베이스,
221 :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222 : 등록정비소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
223 :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 데이터 처리부, 231 : 추천리스트 생성부,
232 : 확인부, 233 : 정비지수 계산부,
234 : 차량 가격 산출부.

Claims (10)

  1. 차주 단말, 정비소 단말, 관리자 단말 및 구매자 단말과 통신하며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를 위한 플랫폼 서버의 컴퓨팅 장치가 차량 정비정보를 관리하고 공유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수행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으로서,
    차주가 상기 차주 단말 또는 차량 정비소가 상기 정비소 단말 또는 구매자가 상기 구매자 단말로 차량 정비정보 관리 또는 공유를 위해 회원으로 가입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회원 가입을 신청한자를 확인하고 회원가입의 승인을 결정하는 단계;
    최초 차량 정비신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최초 차량 정비신청 내용에 따라 추천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업로드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차량 매매 신청에 따라 정비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정비지수를 반영하여 차량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포함한 차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이후에,
    업로드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차량 정비주기 안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비주기 안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자동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 및
    차량 정비정보를 재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재업로드하는 단계 이후에,
    재업로드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재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재업로드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로 상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비정보 관리 또는 공유를 위해 회원으로 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일리지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차주, 상기 정비소, 및 상기 구매자의 기여도 산출에 따라 인센티브 마일리지 또는 디센티브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비정보 입력을 보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정비정보 입력을 보조하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량 정비정보 트리를 기초로 차량 정비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빅 데이터(big data)를 이용한 이미지 인식을 통해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을 추출하여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인식을 통해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추출하여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정비소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서를 촬영하여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 이미지 딥러닝하여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추출하고 자동으로 업로드하며,
    상기 바코드, QR코드, 또는 일련번호가 미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문서에 기재된 형성된 문자 정보를 이미지 딥러닝하여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차량 정비정보를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전송하는 것에 대한 상기 차주와 상기 차량 정비소의 동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는,
    일반정비기록, 사고정비기록 및 특수정비기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10.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차공유를 위해 단말 및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차주의 일반회원 등록과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차주 단말;
    차량 정비소의 기업회원 등록과 차량 정비정보 관리 및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정비소 단말;
    구매자의 특수회원 등록과 차량 정비정보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매자 단말; 및
    상기 차량 정비정보 관리와 공유를 위해 회원 및 상기 플랫폼 서버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차주 단말, 상기 정비소 단말 단말,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구매자 단말은 통신부와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와 센서부와 마이크와 스피커 및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플랫폼 서버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차주와 같은 일반회원, 기업회원, 및 특수회원들에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고 저장 및 관리하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차량 정비소와 각 차량 정비소에서 차량 정비를 받은 이력이 있는 차주의 차량 정비와 관련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등록정비소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각 차량 정비소에 매칭되어 저장된 각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차량별 차량 정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 및 상기 차량 정비소의 기업회원 정보의 정비신청 매칭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비신청 매칭도의 결과에 따라 추천리스트 추출 및 재배열을 통해 추천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리스트 생성부;
    상기 최초 차량 정비신청 또는 상기 차량 정비주기 안내 내용과 상기 차량 정비소의 실제 차량 정비정보 및 자동차 부품 제조사로부터 입수한 차량 부품 데이터와 비교분석을 통해 정비진행 매칭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비진행 매칭도의 결과에 따라 업로드된 차량 정비정보 또는 재업로드된 차량 정비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차량 매매 신청을 수신하면 생성되거나 수정된 차량 정비정보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해당 차량의 정비 상태에 대해 정비 수행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비 수행도에 따라 정비지수를 계산하는 정비지수 계산부; 및
    상기 정비지수 계산부에서 계산된 정비지수를 반영하여 상기 해당 차량의 중고 차량 가격을 산출하는 차량 가격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시스템.
KR1020190106059A 2019-08-28 2019-08-28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KR10229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59A KR102291049B1 (ko) 2019-08-28 2019-08-28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59A KR102291049B1 (ko) 2019-08-28 2019-08-28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58A true KR20210025958A (ko) 2021-03-10
KR102291049B1 KR102291049B1 (ko) 2021-08-17

Family

ID=7514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059A KR102291049B1 (ko) 2019-08-28 2019-08-28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04153A1 (en) * 2020-03-30 2021-09-30 Lyft, Inc. Utilizing a transportation matching system in conjunction with a multi-track vehicle service center to service transportation vehicles
CN113791600A (zh) * 2021-08-05 2021-12-14 东风电驱动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调度模式的数据记忆方法及装置
KR102440133B1 (ko) * 2022-03-18 2022-09-05 주식회사 오토엠 과거 이력 확인이 가능한 중고차량 물류 플랫폼 시스템
KR102520846B1 (ko) 2022-01-20 2023-04-14 에피카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차량 as 공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N117061582A (zh) * 2023-10-12 2023-11-14 北京北汽鹏龙汽车服务贸易股份有限公司 基于数据中心的车辆管理系统交互方法、计算机设备
CN117314538A (zh) * 2023-11-27 2023-12-29 长威信息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救援服务车辆的服务计费方法和系统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65A (ko) 2000-09-09 2000-12-05 온형민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차관리 시스템
KR20010083842A (ko) 2001-07-04 2001-09-03 박정수 지역차량정비업체를 이용한 중고차 직거래 및 농산물등특산품의 유통개선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KR20010107467A (ko) 2000-05-29 2001-12-07 김대곤 자동차정비정보이용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94639A (ko) 2011-02-17 2012-08-27 강재민 차량 관리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방법과 중고차 거래방법
KR101349935B1 (ko) 2013-03-08 2014-02-06 윤성환 자동차 정비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50221A (ko) * 2012-10-18 2014-04-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차량 정비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83242B1 (ko) * 2015-10-15 2016-12-07 주식회사 카이즈 차량 상태 진단 및 운전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055332A (ko) 2015-11-11 2017-05-19 곽부용 차량점검 영상정보를 이용한 중고차 직거래시스템
KR101826647B1 (ko) 2016-10-19 2018-03-22 김성국 머신 러닝 기술을 통한 개인 맞춤형 자동차 중개 시스템
KR20180107339A (ko) 2017-03-16 2018-10-02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블록 체인을 이용한 자동차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966220B1 (ko) * 2017-11-22 2019-04-08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467A (ko) 2000-05-29 2001-12-07 김대곤 자동차정비정보이용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00072565A (ko) 2000-09-09 2000-12-05 온형민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차관리 시스템
KR20010083842A (ko) 2001-07-04 2001-09-03 박정수 지역차량정비업체를 이용한 중고차 직거래 및 농산물등특산품의 유통개선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KR20120094639A (ko) 2011-02-17 2012-08-27 강재민 차량 관리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방법과 중고차 거래방법
KR20140050221A (ko) * 2012-10-18 2014-04-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차량 정비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49935B1 (ko) 2013-03-08 2014-02-06 윤성환 자동차 정비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83242B1 (ko) * 2015-10-15 2016-12-07 주식회사 카이즈 차량 상태 진단 및 운전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055332A (ko) 2015-11-11 2017-05-19 곽부용 차량점검 영상정보를 이용한 중고차 직거래시스템
KR101826647B1 (ko) 2016-10-19 2018-03-22 김성국 머신 러닝 기술을 통한 개인 맞춤형 자동차 중개 시스템
KR20180107339A (ko) 2017-03-16 2018-10-02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블록 체인을 이용한 자동차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966220B1 (ko) * 2017-11-22 2019-04-08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04153A1 (en) * 2020-03-30 2021-09-30 Lyft, Inc. Utilizing a transportation matching system in conjunction with a multi-track vehicle service center to service transportation vehicles
CN113791600A (zh) * 2021-08-05 2021-12-14 东风电驱动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调度模式的数据记忆方法及装置
KR102520846B1 (ko) 2022-01-20 2023-04-14 에피카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차량 as 공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440133B1 (ko) * 2022-03-18 2022-09-05 주식회사 오토엠 과거 이력 확인이 가능한 중고차량 물류 플랫폼 시스템
CN117061582A (zh) * 2023-10-12 2023-11-14 北京北汽鹏龙汽车服务贸易股份有限公司 基于数据中心的车辆管理系统交互方法、计算机设备
CN117061582B (zh) * 2023-10-12 2023-12-22 北京北汽鹏龙汽车服务贸易股份有限公司 基于数据中心的车辆管理系统交互方法、计算机设备
CN117314538A (zh) * 2023-11-27 2023-12-29 长威信息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救援服务车辆的服务计费方法和系统
CN117314538B (zh) * 2023-11-27 2024-05-10 长威信息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救援服务车辆的服务计费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049B1 (ko)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049B1 (ko) 스마트기기를 통한 차량 정비소 연동 차량 관리방법
US86670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channels to users
US83866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hannel relevancy and rating in an IP marketplace
US20200118215A1 (en) Dynamic pricing of insurance policies for shared goods
US201201308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vertical silos in an ip marketplace
US201202657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zone credentialing
KR102317543B1 (ko) 타이어 재고관리를 통한 재고공유 방법
KR102366650B1 (ko) 멤버십 포인트를 이용한 차량정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60016147A (ko) 차량 정비(용품 장착 포함, 이하 생략)에 관한 온라인 자가 견적 및 역경매 서비스와 온라인 차계부의 수리이력 통합 자동 전송 서비스 및 수리비 검증 서비스
EP2674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zone credentialing
WO20151195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uplicating an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 deal room
SG1889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KR102472820B1 (ko)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부동산 중개 방법
KR102327619B1 (ko)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6749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zone intelligent suggestions
WO20131035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vertical silos in an ip market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