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619B1 -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619B1
KR102327619B1 KR1020190100243A KR20190100243A KR102327619B1 KR 102327619 B1 KR102327619 B1 KR 102327619B1 KR 1020190100243 A KR1020190100243 A KR 1020190100243A KR 20190100243 A KR20190100243 A KR 20190100243A KR 102327619 B1 KR102327619 B1 KR 10232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irmation
terminal
confirmation request
delivery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589A (ko
Inventor
박준철
Original Assignee
박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철 filed Critical 박준철
Priority to KR1020190100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6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Abstract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포함한 확인요청 이벤트를 전송하고, 확인요청 이벤트에 대응하는 매물확인 결과 데이터가 수신되면, 확인요청매물의 구매를 결정하여 결정된 확인요청매물의 배송을 요청하는 배송대행 이벤트를 출력하는 확인요청 단말, 확인요청 단말로부터 확인요청 이벤트를 수신하고, 매물확인 결과 데이터를 피드백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 배송대행 이벤트를 수신하여 구매가 결정된 확인요청매물을 확인요청 단말에서 등록된 주소지로 배송을 위한 운송발주서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 및, 확인요청 단말로부터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포함한 확인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확인부, 수신된 확인요청 이벤트에 포함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기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분류부, 분류된 카테고리의 키워드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을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피드백을 수신하여 확인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피드백부, 확인요청 단말로부터 배송대행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로 배송의뢰를 발주하는 발주부를 포함하는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SULTANT BROKERAGE SERVICE BASED ON ONE-STOP PLATFORM INCLDUING PRE-BUY CHECK AND DELIVERY}
본 발명은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매물을 구매하기 전 매물체크를 요청하는 요청자와 피요청자 간을 중개하고, 구매후에는 배송대행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인터넷의 보급과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확산으로 다양하고 많은 정보들이 공유되고 있고, 일반 개인들은 일상생활의 문제 해결이나 제품이나 서비스의 구매 의사 결정 등을 위해, 공유되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최근 새로운 제품들이 빈번히 출시되고, 비슷한 기능들을 가진 제품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정보 탐색 활동이 소비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제품 관련된 정보는 제조사가 제품의 광고나 프로모션 등을 위해 직접 작성해서 공유하는 정보, 공신력이 있는 제3의 기관이 제품에 대해서 평가한 정보, 일반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해서 사용해본 후, 자신의 느낌이나 경험을 기록한 사용자 후기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제품 후기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중요한 요인을 탐구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공통적으로 밝혀진 사실은 소비자들이 제품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전적으로 신뢰한다는 것이다.
이때, 비전문가인 고객을 대신하여 차량의 점검을 중개하는 서비스가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9-0024505호(2019년03월08일 공개)에는, 구매신청과 관련하여 클라이언트에게 계약금의 입금을 요청하고 계약금의 입금을 확인하는 구성, 계약금의 입금을 확인하면 중고기계에 대한 전문가를 선정하고 체크리스트 작성요청을 전송하고, 선정된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체크리스트를 접수하고, 체크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송부하고 계속진행의 의사를 확인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계속진행요청을 받는 경우, 중고기계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입금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잔금 입금을 확인하면, 중고기계에 대하여 잔금을 입금하고 수출인증서를 발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중고차가 아니더라도 적정 가격을 평가하지 못하거나 전문가가 아니라서 매물에 대하여 정확한 판단을 하지 못하는 고객이 여전히 존재하며, 전문가가 중고품의 판매를 담당하는 판매자와 연계하거나 담합을 함으로써 고장이 많은 중고품이거나 가격이 터무니 없이 책정되있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제품으로 체크리스트를 만들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새제품이 아닌 중고품은 대부분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데, 전문가를 통하여 중고품을 구매결정했다고 할지라도 배송을 다시 의뢰해야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고객은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새제품을 구매하는 원점으로 복귀하게 된다. 결국에는, 비용 낭비를 초래할 뿐 아니라, 중고품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처분되어 환경에 심각한 오염을 초래하는 사례까지 빈번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문가를 소개시켜주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구매를 결정한 경우 배송의뢰를 수신하여 배송대행을 하거나 배송업체와의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중고품이 재활용될 수 있는 기회를 극대화하고, 매물에 대하여 확인요청자가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1차적으로 시스템상에서 허위매물인지의 여부나 적정가격선인지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2차적으로 체크하는 전문가를 포함한 체크자를 중개하여 구매희망자가 구매 전 매물의 허위매물여부, 하자여부, 적정가격인지의 여부 등을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구매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고, 개별고객수준에서의 이질성을 고려한 분석을 지원할 수 있는,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포함한 확인요청 이벤트를 전송하고, 확인요청 이벤트에 대응하는 매물확인 결과 데이터가 수신되면, 확인요청매물의 구매를 결정하여 결정된 확인요청매물의 배송을 요청하는 배송대행 이벤트를 출력하는 확인요청 단말, 확인요청 단말로부터 확인요청 이벤트를 수신하고, 매물확인 결과 데이터를 피드백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 배송대행 이벤트를 수신하여 구매가 결정된 확인요청매물을 확인요청 단말에서 등록된 주소지로 배송을 위한 운송발주서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 및, 확인요청 단말로부터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포함한 확인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확인부, 수신된 확인요청 이벤트에 포함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기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분류부, 분류된 카테고리의 키워드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을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피드백을 수신하여 확인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피드백부, 확인요청 단말로부터 배송대행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로 배송의뢰를 발주하는 발주부를 포함하는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확인요청 단말로부터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포함한 확인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확인요청 이벤트에 포함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기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카테고리의 키워드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피드백을 수신하여 확인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확인요청 단말로부터 배송대행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로 배송의뢰를 발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전문가를 소개시켜주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구매를 결정한 경우 배송의뢰를 수신하여 배송대행을 하거나 배송업체와의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중고품이 재활용될 수 있는 기회를 극대화하고, 매물에 대하여 확인요청자가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1차적으로 시스템상에서 허위매물인지의 여부나 적정가격선인지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2차적으로 체크하는 전문가를 포함한 체크자를 중개하여 구매희망자가 구매 전 매물의 허위매물여부, 하자여부, 적정가격인지의 여부 등을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구매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고, 개별고객수준에서의 이질성을 고려한 분석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확인요청 단말(100),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요청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확인요청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직접 또는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확인요청 단말(100)로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확인요청 단말(100) 및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확인요청 단말(100)은,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매물을 구매전 확인하고자 하는 잠정적 구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확인요청 단말(100)은, 예를 들어, 중고차, 상가, 주택, 주식, 가상화폐, 입사 등을 위하여 자신이 잘 모르는 분야의 매물을 구매하거나, 어떠한 선택을 하기 전 선택의 대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체크하는 사람을 소개받거나 체크하는 사람을 고용하기 위한 고객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확인요청 단말(100)은,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체크자 리스트를 수신하고, 체크자 중 어느 한 명 또는 복수의 사람을 선택하여 체크를 요청하고, 체크요청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며, 체크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확인요청 단말(100)은 체크결과에 대하여 평점을 제공하거나 후기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확인요청 단말(100)은,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기계적 또는 시스템적으로 사람의 개입이 일어나지 않고 분석된 결과를 1차적으로 요청한 후, 그 이후에 2차적으로 체크자를 연결해주기를 원하는 중개를 요청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확인요청 단말(100)은, 판매자와 담합을 이루는 딜러나 중개자를 필터링 요청하는 단말일 수도 있고, 허위매물을 신고하는 고객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확인요청 단말(100)은, 배송요청을 의뢰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확인요청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확인요청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확인요청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부터 이력이나 경력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검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검증된 체크자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적어도 하나의 태그, 메타데이터 또는 키워드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확인요청매물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1차적으로 허위매물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기계적으로 필터링을 원하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체크자를 요청하는 요청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 확인요청매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승낙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의 리스트를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선택된 체크 단말(400)로 매물의 확인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받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매물을 확인할 때 필요한 절차를 체크 단말(400)에서 수행했는지의 여부를 체크 단말(400)의 위치나 체크 단말(400)에서 엑세스한 사이트 등을 통하여 검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체크 단말(400)에서 수신된 피드백 데이터를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하고, 결제를 요청하여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를 체크 단말(400)로 입금함으로써 정산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체크자와 판매자 간의 호 수발신, 메세지 송수신 등을 모니터링하여 담합을 탐지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탐지된 담합 결과에 대하여 공지 또는 당사자들을 리스트에서 제외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로 배송의뢰를 전송할 수도 있지만, 배송업체의 선정도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부터 체크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체크 단말(400)로는 배송업체의 고유식별자 또는 준고유식별자를 제거하여 전송함으로써 담합이나 부정거래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은,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체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체크자는 각 분야의 전문가일 수 있고, 이를 증명하기 위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은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은,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매물확인요청을 수신한 경우, 이를 승낙할지의 여부를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체크자가 승낙하고 확인요청자가 승인한 경우 계약이 성사되어 체크를 진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의 위치 및 엑세스한 사이트 또는 파일 등이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고, 피드백 결과를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한 후,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정산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은,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의해 호 수발신 또는 메세지 송수신 내역 등이 모니터링될 수 있고, 담합리스트에 오른 경우 소명기회를 제공받아 소명자료를 제출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은,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배송업체의 추천 또는 평가 의뢰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은,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배송업체의 단말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은,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가맹점일 수도 있지만, 가맹점이 아닐 수도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은,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가맹점인 경우에는 취급 배송품, 위치, 가격 등의 리스트를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고,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운송발주를 받아 운송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은,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가맹점이 아닐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웹크롤링을 통하여 가격, 운송 배송품의 종류, 위치 등을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은,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운송발주서를 수신한 경우, 확인요청 단말(100)의 현 주소지 또는 확인요청자(물품구매자, 배송요청자)가 지정한 장소로 배송해야 하는 특정물의 지참채무를 지며, 특정물이 인도되기 이전까지 위험부담을 질 수 있는 채무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은, 제3자를 위한 계약의 낙약자의 단말일 수 있으며, 요약자, 낙약자, 수익자 간의 관계에 따라 권리의 요청 상대방 및 의무의 상대방이 달라지는 단말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분류부(320), 추출부(330), 피드백부(340), 발주부(350), 배송대행 체크부(360), 필터링부(370), 식별자 제거부(380), 담합제거부(390), 및 허위매물 판단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확인요청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로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확인요청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은,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확인요청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포함한 확인요청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확인요청매물은 어느 것이나 가능한데, 예를 들어, 주택, 상가 등의 물권의 권리분석이나 가격의 적정성 또는 하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일 수도 있고, 중고차의 허위매물여부나 사고여부 등을 확인하고자 할 수도 있고, 가상화폐를 사기 위한 적정시기를 묻고자 할 수도 있고, 입사를 하는데 평판이 좋은 회사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일 수도 있고, 악기를 구입하고자 하는데 자신의 수준에 어떠한 악기가 좋은지를 묻기 위함일 수도 있고, 개의 구충을 위해서 현재 개의 상태에서 어떠한 약이나 치료가 좋은지 등을 묻기 위함일 수도 있으며, 그 종류는, 동산, 부동산, 상품, 서비스 물품, 권리, 기회, 지식 등을 가리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분류부(320)는, 수신된 확인요청 이벤트에 포함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기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요청매물의 종류에 따라 이를 판단할 수 있는 분야의 전문가 등이 달라지게 되는데, 확인요청매물의 종류를 기 설정된 카테고리에 맞게 분류를 해야 전문가 리스트를 추출하는데 용이하다. 이때, 전문가라고 칭했지만 체크를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전문가가 아닐지라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추출부(330)는, 분류된 카테고리의 키워드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330)는, 분류된 카테고리의 키워드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을 추출할 때, 확인요청매물 정보에 포함된 지역과,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의 지역을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의 지역 내에 확인요청매물 정보에 포함된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매물이 부동산이거나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고 있고, 웹페이지 등에 게재된 자료만으로는 확인하기가 불가하고 직접 보아야 하는 경우에는 체크하는 사람이 접근가능한 지역이어야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러한 경우에는 체크 단말(400)에서 설정한 지역 또는 체크 단말(400)의 주거지를 중점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확인매물만을 연결할 수 있다. 물론, 기 설정된 반경을 넘거나 설정한 지역이 아닐지라도 왕복비용을 확인요청자가 지불하는 경우에는 지역 우선이 아니라 전문가의 전문성을 우선순위로 하여 정렬하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피드백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전송하고, 피드백으로 매물확인 결과 데이터를 피드백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부(340)는 수신된 매물확인 결과 데이터를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피드백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전송하고, 피드백으로 매물확인 결과 데이터를 피드백으로 수신할 때, 키워드가 매핑되어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의 정보를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하고, 확인요청 단말(100)에서 전송된 정보에 포함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체크 단말(400)을 선택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 매물확인요청 이벤트의 수락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부(340)는, 매물확인요청 이벤트를 수락한 체크 단말(400)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확인요청자가 직접 전문가를 고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인데, 시스템 상으로 결정하여 자동배당하는 방법도 물론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때,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체크 단말(400)로 체크 비용을 지불하기 위하여 확인요청 단말(100)로 결제를 요청하고, 체크 단말(400)의 매물확인 결과 데이터가 수신된 후 체크 단말(400)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정산할 수 있다. 여기서, 에스크로 서비스를 이용하여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피드백을 받은 이후(서비스 객체가 이전되고 난 후)에 정산할 수도 있고, 기 설정된 날짜를 지정하여 정산할 수도 있으며, 선결제를 받고 서비스를 제공한 후 정상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과 시기에 결제를 진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발주부(350)는,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배송대행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로 배송의뢰를 발주할 수 있다. 이때, 배송의뢰는 발주부(350)에서 기 저장된 조건에 부합하는 배송업체를 선정하여 대리인의 자격으로 발주를 의뢰할 수도 있고, 대리인의 자격이라고 할지라도 의뢰인인 확인요청자의 의사를 반영하기 위하여 확인요청 단말(100)로 배송업체 리스트를 전송하고, 어느 하나를 선택 및 컨펌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송대행 체크부(360)는,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배송대행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의 배송업체 리스트 및 가격견적 리스트를 웹크롤링(Web Crawling)하여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고, 수신된 피드백에 포함된 추천이 최다인 배송업체 단말(500)을 추출하여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배송의뢰를 발주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업체 리스트 및 가격 견적 리스트는, 배송업체의 고유식별자 또는 준식별자가 제거된 데이터일 수 있다.
필터링부(370)는,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배송대행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결정된 확인요청매물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확인요청매물의 위치와 확인요청 단말(100)의 주소지 간의 배송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을 추출할 수 있다.
식별자 제거부(380)는, 확인요청매물 정보가 브로드캐스팅되기 이전에, 확인요청매물 내에 포함된 확인요청매물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자 또는 준고유식별자를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이하에 후술될 담합제거를 위한 이중장치인데, A,B,C,D의 특징을 가진 E 위치에 존재하고, 가격이 F인 G 년도 중고자동차라고 하면, 중고자동차의 판매처를 알리지 않아도 이를 파는 사람이나 중개하는 사람은 자신이 파는 중고차임을 바로 알 수 있으므로, 이러한 관계를 제거하거나 비식별화(De-identification) 처리함으로써, 판매자와 전문가가 담합하여 고객을 속이는 기만 및 사기 행위가 없도록 한다. 물론, 대부분의 중고품은 특정물이고, 특정물이 특정되지 않는 경우 대체물로 비대체물일 수 없으므로, 중고품의 가치를 특징(Features) 지을 수 있는 정도에서 비식별화 처리를 수행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비식별화는 데이터셋으로부터 특정 정보를 제거함으로써 남은 정보가 특정 물품을 식별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이다. 비식별화를 통해 정보를 수집, 가공, 저장, 배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정물의 노출 위험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정형 데이터셋을 대상으로 수행된다. 비식별화는 데이터셋에서 식별 정보를 대상으로 수행되는데, 식별 정보는 식별자, 준식별자로 크게 나뉜다. 식별자(Direct Identifier)는 항목 하나만으로도 특정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며, 준식별자(Quasi-Identifier)는 식별자와 같이 항목 하나만으로 특정물을 식별할 수는 없지만, 다른 데이터셋과의 결합 또는 배경지식 등을 통해 특정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데이터셋을 비식별화 하는 방법은 대상이 식별자, 준식별자인지에 따라 다른 방법을 적용한다. 예컨대, 식별자 경우, 값을 전부 가리는 Masking(예: ABCD자동차 → xxx), Hashing, 또는 가명으로 대체하는 Pseudonymization(예: ABCD자동차 → 1234자동차) 등이 있다. 준식별자의 경우, Micro Aggregation, Generalization of Categories, Data Suppression 등을 통해 준식별자에 대한 비식별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화(Generalization)는, 값 자체의 정확도를 변형함으로써 일반화된 값으로 대체하는 방법이며, 준식별자 값의 유형에 따라 1~10과 같은 범위 또는 상위 분류로의 값 변경 등을 통해 일반화를 수행할 수 있다. k-익명성 보호 모델(Protection Model)이 이용될 수도 있는데, 공개된 데이터셋에서 각각의 레코드와 동일한 준식별자 값을 가지고 있는 레코드의 개수, 즉 동질 집합의 크기가 적어도 k 이상이 되도록 일반화를 통해 강제함으로써, 특정물을 식별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어떤 전문가가 데이터 셋에 대하여 k-익명성(k=3)이 수행된 결과를 통해, 판매지, 판매업체 상호명, 판매자 이름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중고품의 종류를 식별자를 지정하고, 확인하고자 하는 항목인 판매지, 판매업체 상호명, 판매자 이름은 준식별자로 지정한다. 이때, 전문가가 어느 하나의 판매자를 식별하고 싶어도, 그와 동일한 레코드가 3개 존재하기 때문에, 판매자를 식별할 수 있는 확률이 1/3로 낮아지게 된다. 즉, 동질 집합의 크기를 나타나는 k 값이커지면 커질수록 그만큼 특정품을 식별할 수 있는 확률은 더욱 낮아지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담합제거부(390)는, 추출부(330)에서 분류된 카테고리의 키워드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을 추출할 때,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판매하는 판매 단말과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 간의 호(Call) 수발신 또는 메세지 송수신 로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호 수발신 또는 메세지 송수신의 횟수 또는 빈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높거나, 송수신된 메세지 내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의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을 확인요청매물에 대한 체크 리스트에서 제외할 수 있다.
담합은, 가격상승과 적발의 어려움에서 시장경제에 큰 피해를 주며, 기업 간의 가격고정형태로 경쟁을 저해하는 행위로 가격상승에 원인이 된다. 경쟁당국은 담합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나, 담합은 암묵적으로 형성되는 특성 때문에 적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담합을 방지하기 위해 담합형성에 대한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담합형성을 분석하기 위한 평가척도로 담합 적발확률을 사용할 수 있는데, 마코프 전이과정(Markov transition process), 담합적발확률의 추정(Bryant and Eckard), 포획-재포획 방법(capturerecapture method), 베이지안 확률 접근법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때, 베이지안 확률 접근모형은 충분하지 않은 사전정보에서도 안정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분석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사후분포를 추론하고 이후 사후분포의 기댓값(posterior mean)을 추정하여 담합 처벌확률로 적용할 수 있다. 베이지안 확률 접근모형에서는 사후분포(posterior distribution)를 산출하기 위해 적절한 사전분포(prior distribution)가 필요한데, 사전분포를 고려하는 데 있어 어떠한 분포를 우도함수(likelihood function)로 사용할 것인가와 사전분포의 상위 모수(hyper-parameter)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이는 자연공액사전분포(natural conjugate prior distribution)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담합추론 및 탐지법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허위매물 판단부(391)는, 수신부(310)에서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포함한 확인요청 이벤트를 수신한 후, 확인요청매물이 허위매물인지의 여부를 감별하여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기계적으로 사람을 고용하는 것보다는 싼 값에 미리 결과를 제공하고, 이 자료를 신뢰하지 못하거나 또는 전문가를 고용해보고 싶은 사람에게는 중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싼 값에 정보를 얻으려고 하는 사람들을 타겟팅하여 수익을 형성하고, 더 나아가 중개를 하는 연결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허위매물 판단부(391)는, 인터넷상에 게재된 확인매물의 정보 확인, 시세파악, 이력정보, 등록원부, 상태점검기록부 점검, 성능 또는 하자여부 점검 데이터 등에 기반하여 현재 가격이 적정가격인지 또는 소위 낚시 매물인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그리고, 해당 가격이 적정가격인지를 먼저 확인하도록 하여 허위매물에 대한 자문을 요청하거나 체크를 요청함으로써 발생하는 시간낭비나 손해를 막도록 하고, 최종적으로는 소비자(확인요청자)가 손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한다.
예를 들어, 주가의 적정가격을 평가 또는 작전주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경우라고 가정한다. 이때, 주가의 적정가격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능형 트레이딩 시스템, 즉 결정트리 학습을 이용한 단기주가 예측 에이전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관심종목의 주가를 수집하여 결정트리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매수/매도 시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과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이용하는 트레이딩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다양한 인공지능기법을 결합한 의사결정 지원 모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으로 중고품 시장의 매물 정보를 공유하고 거래를 연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중고품 간에 상호 감시체제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악의적인 중고품 판매업자의 허위 매물 등록을 방지하며, 누락으로 인한 허위 매물의 발생을 방지하여 시장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중고품 시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종류의 매물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나, 이하에서는 중고품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중고품 시장에 블록체인 원리를 도입하여, 중고품 거래자 또는 판매자 간 상호 감시체제를 형성함으로써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상은 구매희망자, 판매 희망자, 중개업자, 광고업자 등일 수 있다. 구매 희망자, 판매 희망자, 중개업자 모두 애플리케이션과 웹 서비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작업 화면이 다를 수 있다. 매물 데이터의 흐름대로 요약하자면, 판매 희망자는 중개업자에게 매물을 의뢰하거나 직접 서비스 상에 등록한다. 그런 다음 서비스 상에 등록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재하기 위해 판매 희망자에게 확인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고, 판매 희망자의 확인과 함께 서명을 받은 매물정보만 블록체인에 등재되어 구매 희망자가 이용하는 페이지에 공개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이란 비트코인에서 공개된 거래 장부이며 일종의 분산형 데이터베이스(Distributed Database)이다. 발생한 데이터는 특정값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각각의 노드에 지속적으로 쌓이게 된다. 한 번 등록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수정이 불가능하며 지속적으로 쌓인 데이터는 임의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블록체인은 저장된 데이터의 신뢰성과 무결성을 보장한다. 블록체인의 첫 구현은 비트코인으로 시작되었는데 비트코인 상에서 이중 지불되는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작업증명(Proof of work) 또는 소유증명(Proof of stake) 기법을 적용하였고 최근에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및 금융권을 비롯한 다양한 시장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때, 중고 시장 거래 서비스는 현재 온라인의 경우, 앱과 웹을 통틀어 몇 백개의 중고품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고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중고나라, 당근마켓이며 네이버 등의 회사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서비스들은 쉽게 매물을 알아볼 수 있고 홍보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으나 이들 모두 허위 매물로 인해 높은 만족도를 얻지 못하고 있었다. 각각의 서비스는 허위 매물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사용자들의 신고를 받는 방법을 주로 채택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매물에 대해 정보를 등록할 경우 해당 정보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간에 상호 감시체계를 구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중개업자 a, b, c, d와 그들이 등록한 매물 A가 있다고 가정한다. 중개업자 a, b, c는 올바른 정보를 등록하고, 중개업자 d는 금액이나 규모 등에 대해 임의로 변경하여 등록했다. 그러면 블록체인에 등재된 매물 A에 대해 같은 정보 간에는 같은 트리를 생성하지만 다른 정보에 대해서는 분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사실을 나타내게 한다면 중개업자 d는 다른 중개업자와 다른 사실을 기재함으로 인해 허위 매물에 대한 의심을 받게 된다. 또한 등록 전에 매물 소유주의 서명을 통해 등재되도록 추가적인 장치를 마련한다면, 허위로 변조된 정보는 사전에 등록될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관리하고 있던 매물 A가 중개업자 a를 통해 거래가 완료된 경우, 블록체인의 특성상 추가된 정보는 참여하고 있는 모두에게 전파되므로 중개업자 b, c, d에서는 직접 확인하는 절차 없이 해당 매물이 거래 완료된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누락으로 인한 허위매물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중고차 급매물에 관심이 있는 고객이, 사고차는 아닌지, 침수차는 아닌지, 초기불량 제품은 아닌지, 리콜을 받아야 하는 받지 않았거나 받지 못하는 조건의 차량은 아닌지 등이 궁금하다고 가정한다. 이때, 확인요청 단말(100)은,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매물요청확인을 신청한다.
(b)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 매물확인요청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이에 대한 답장이 오는 경우, 답장을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의 정보를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확인요청 단말(100)에서 전문가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선택된 전문가가 매물을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확인요청 단말(100)로 피드백 결과를 전송하여 확인요청자가 매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확인비용을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결제받고,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체크 단말(400)로 결제한다. 또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허위매물이나 담합의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업로드 및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고객들에게 제공하거나 서비스를 요청한 고객에게만 전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배송의뢰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로 배송요청을 전송하여 수락하는 어느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과 확인요청 단말(100)을 연결시켜주거나, 직접 확인요청자의 대리인으로 배송계약을 바로 완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송업체도 검증이 되지 않았다면,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 어느 배송업체가 좋은지를 더 물어볼 수도 있다. (d) 이렇게 배송업체가 결정되는 경우,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배송상황을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로부터 수신하여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매물확인요청이 수신되는 경우(S4100), 허위매물 여부를 확인하고(S4200), 1차적으로 허위매물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 확인요청을 전송한다(S4300).
이때,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승인을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의 리스트를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하고, 확인요청 단말(100)에서 승낙이 수신되는 경우(S4330), 선택된 체크 단말(400)로 의뢰를 확정한다.
그리고 나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결과 피드백을 체크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경우(S4400), 이를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하고(S4410), 확인비용을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결제받으면(S4500),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체크 단말(400)로 정산한다(S4510). 이는, 이후 배송업체까지 체크해야 하는 경우에는 물품 체크-배송업체 체크가 모두 완료된 후에 금액을 정산하는 것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이때,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확인요청 단말(100)에서 해당 물품을 구매결정하여 배송대행을 요청하는 경우(S4600), 물품의 종류 및 위치한 장소 등에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에 대한 정보를 크롤링하고(S4700), 식별자를 제거한 후(S4710), 체크 단말(400)로 전송하여(S4800), 추천 피드백을 더 얻을 수도 있다(S4810). 그리고,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리스트를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하여(S4830), 어떠한 배송업체를 선택할 것인지를 피드백받을 수 있고(S4850), 선택이 된 배송업체 단말(500)로 발주서를 전송하고(S4870), 배송 프로세스가 진행됨으로 발생되는 알림메세지를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한다(S4890).
한편,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판매자와 체크자 간의 답합여부를 확인하고(S4900), 체크자-판매자 간의 커넥션이 탐지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S4920), 담합 등의 불공정거래 내역을 클라이언트가 접근가능한 페이지에 업로드하거나 별도로 유료 서비스로 제공할 수도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확인요청 단말로부터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포함한 확인요청 이벤트를 수신하고(S5100), 수신된 확인요청 이벤트에 포함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기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한다(S5200).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분류된 카테고리의 키워드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을 추출하고(S5300),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피드백을 수신하여 확인요청 단말로 전송한다(S5400).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확인요청 단말로부터 배송대행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로 배송의뢰를 발주한다(S5500).
이와 같은 도 5의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포함한 확인요청 이벤트를 전송하고, 상기 확인요청 이벤트에 대응하는 매물확인 결과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확인요청매물의 구매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확인요청매물의 배송을 요청하는 배송대행 이벤트를 출력하는 확인요청 단말(100);
    상기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상기 확인요청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매물확인 결과 데이터를 피드백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
    상기 배송대행 이벤트를 수신하여 상기 구매가 결정된 확인요청매물을 상기 확인요청 단말(100)에서 등록된 주소지로 배송을 위한 운송발주서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 및
    상기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포함한 확인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확인부(310), 상기 수신된 확인요청 이벤트에 포함된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기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분류부(320),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의 키워드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을 추출하는 추출부(330),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 상기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피드백을 수신하여 상기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하는 피드백부(340), 상기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배송대행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로 배송의뢰를 발주하는 발주부(350)를 포함하는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확인요청 단말(100)로부터 배송대행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500)의 고유식별자 또는 준식별자가 제거된 데이터인 배송업체 리스트 및 가격견적 리스트를 웹크롤링(Web Crawling)하여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로부터 상기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피드백에 포함된 추천이 최다인 배송업체 단말(500)을 추출하여 상기 확인요청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배송의뢰를 발주하는 배송대행 체크부(360);
    상기 확인요청매물 정보가 브로드캐스팅되기 이전에, 상기 확인요청매물 내에 포함된 상기 확인요청매물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자 또는 준고유식별자를 제거하는 비식별화를 통해 특정 물품을 식별할 수 없도록 하되, 식별자의 경우 값을 전부 가리는 마스킹(Masking), 해싱(Hashing), 가명으로 대체하는 가명화(Pseudonymization) 기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비식별화를 수행하고, 준식별자의 경우 마이크로 어그리게이션(Micro Aggregation), 범주의 일반화(Generalization of Categories), 데이터 범주화(Data Suppression) 기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비식별화를 수행하는 식별자제거부(380); 및
    상기 확인요청매물 정보를 판매하는 판매자의 판매 단말과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 간의 호(Call) 수발신 또는 메세지 송수신 로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호 수발신 또는 메세지 송수신의 횟수 또는 빈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높거나, 상기 송수신된 메세지 내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의 적어도 하나의 체크 단말(400)을 상기 확인요청매물에 대한 체크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담합제거부(390);를 포함하는 것인,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00243A 2019-08-16 2019-08-16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2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243A KR102327619B1 (ko) 2019-08-16 2019-08-16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243A KR102327619B1 (ko) 2019-08-16 2019-08-16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89A KR20210020589A (ko) 2021-02-24
KR102327619B1 true KR102327619B1 (ko) 2021-11-17

Family

ID=7468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243A KR102327619B1 (ko) 2019-08-16 2019-08-16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6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617B1 (ko) * 2016-11-16 2018-05-17 (주)글로벌디지털콘텐츠중고왕 중고물품 안전 거래 시스템
KR101904454B1 (ko) * 2018-05-25 2018-10-04 신웅희 지인의 상품구매 이력 및 관심 상품, 이용 후기를 활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KR101968760B1 (ko) * 2018-04-27 2019-04-12 박준철 구매전 체크포인트를 체크하기 위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29B1 (ko) * 2014-05-12 2016-03-21 배형준 물품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617B1 (ko) * 2016-11-16 2018-05-17 (주)글로벌디지털콘텐츠중고왕 중고물품 안전 거래 시스템
KR101968760B1 (ko) * 2018-04-27 2019-04-12 박준철 구매전 체크포인트를 체크하기 위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04454B1 (ko) * 2018-05-25 2018-10-04 신웅희 지인의 상품구매 이력 및 관심 상품, 이용 후기를 활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89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644B1 (ko) O2o 기반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이용한 부동산 개방형 플랫폼 제공 방법
US87516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hannel promotions in an IP marketplace
US86560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user requested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CA3118308A1 (en) Adaptive intelligence and shared infrastructure lending transaction enablement platform
US83068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n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
JPWO2020092426A5 (ko)
CN101339641A (zh) 对问题报告的响应行为进行优先级区分的装置和方法
US201101544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validating intellectual property asset data
US201101538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luing and rating intellectual property assets
US201101538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intake based on intellectual property asset data
US201101534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oyalty payments
US201201308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vertical silos in an ip marketplace
US201101534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rchandising intellectual property assets
US201101535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luing an ip asset based upon patent quality
US201101534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users for an ip marketplace
US201400674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rgeted advertising
US201202657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zone credentialing
US201101544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 an industry based template for intellectual property asset data
US20200202403A1 (en)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connecting initial provider and buyer via mid-distribution man
US201101535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andardizing ip transactions
KR102391481B1 (ko) 리셀 마켓 기반 투자자, 판매자 및 소비자를 연결하는 리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68760B1 (ko) 구매전 체크포인트를 체크하기 위한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27619B1 (ko) 구매전 체크 및 구매후 배송대행을 포함한 원스톱 플랫폼 기반 확인대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674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zone credentialing
SG1889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