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928A -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 - Google Patents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928A
KR20210025928A KR1020190105969A KR20190105969A KR20210025928A KR 20210025928 A KR20210025928 A KR 20210025928A KR 1020190105969 A KR1020190105969 A KR 1020190105969A KR 20190105969 A KR20190105969 A KR 20190105969A KR 20210025928 A KR20210025928 A KR 20210025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mbing
course
holders
sett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대식
Original Assignee
백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대식 filed Critical 백대식
Priority to KR102019010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928A/ko
Publication of KR2021002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 지지프레임(11)과 상기 복수개 지지프레임(11)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클라이밍체(10)와 상기 클라이밍체(10)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복수개 홀더(20)로 이루어진 클라이밍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홀더(20) 각각에는 설정된 등반코스에 의해 각각 점등되는 점등램프(30)가 구비되고, 상기 점등램프(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등반코스설정부(51)가 구비된 코스설정기기(50)가 구비되어, 클라이밍체에 구비되는 복수개 홀더를 파지하여 등반하여 클라이밍을 할 때 등반자가 설정한 코스에 따라 점등된 점등램프에 의해 설정된 코스에 맞는 홀더를 파지하여 클라이밍을 할 수 있어 초급, 중급, 상급의 코스별 훈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정되지 않은 홀더를 파지하면 음성송출부를 통해 경고음성이 송출되기 때문에 클라이밍 도중 수정이 가능하여 나머지 구간에 대한 훈련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등반자 자신에 맞는 코스를 스스로 설정하여 클라이밍을 할 수 있음에 따라 훈련효과는 물론 운동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코스를 알려주는 코치 도움 없이도 혼자서 클라이밍을 할 수 있는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climbing tool with setting part of climb course}
본 발명은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 홀드가 구비된 클라이밍 기구에 등반자가 원하는 코스를 설정할 경우 코스에 해당하는 홀드가 발광되어 코스별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에 맞는 훈련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코스 난이도를 높일 수 있어 훈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 산업의 발달로 인해 각종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현대인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 어려운 루트를 빠르고 멋지게 올라갈 수 있느냐를 중시하는 운동인 클라이밍(Sports climbing) 또는 인공암벽 등반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클라이밍은, 암벽과 유사한 형태로 건물의 벽이나 인공구조물에 인공 암벽을 만들고 인공암벽에는 다양한 형태의 홀드(hold)를 복수개 불규칙적으로 부착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등반자 또는 훈련자들로 하여금 실내 혹은 실외에서 홀드를 잡고 등반을 하는 과정에서 등반 기술을 습득하도록 하고 암벽에 대한 적응력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력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클라이밍 기구는, 특별한 훈련을 거친 후 약 45ㅀ이상의 인공암벽에 구비되는 홀드를 잡고 등반하도록 하여 등반에 필요한 기술을 연마하고 훈련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 클라이밍 기구의 홀드는 내츄럴홀드, 버티컬홀드, 포켓홀드, 파워홀드, 핀치홀드 등 많은 홀드가 복합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암벽화나 안전벨트, 자일, 카라비너 등과 같은 각종의 장비를 구비한 상태에서 연습과 훈련이 가능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등반자 또는 훈련자들로 하여금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으며, 난이도에 따라 강한 체력을 요구하고 있어 체력 단련에 큰 효과를 갖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밍 즉 인공암벽 등반을 위한 기술들이 안출되고 있으며, 일예로 등록실용 20-0290587호인 암벽등반 연습을 위한 구조물이 안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아치형으로 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양단이 인접하는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지지프레임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다수의 스페이스바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너트부재와,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너트부재에 체결되는 고정구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홀더로 이루어져 있으며, 견고하게 상호 조립된 아치상의 지지프레임 내측에 홀더를 결합하고 이 홀더를 파지한 상태로 암벽등반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을 확보한 상태로 암벽등반연습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에 놀이기구로 설치하여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흥미롭게 등반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단지 클라이밍 기구체에 구비된 복수개 홀더를 잡고 등반을 함에 따라 예를 들어 초보자의 경우에는 복수개 홀더 중 어느 홀더를 잡고 등반을 해야 하는 지를 파악하기 어려워 혼자의 힘으로는 끝까지 등반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등반 코스를 알려주는 코치가 같이 있어야 하고 코치가 알려주는 홀더를 잡고 등반을 해야 하기 때문에 훈련자 자신이 원하는 코스로 훈련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등반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클라이밍 기구 등반 전 미리 코스를 파악한 후 등반을 진행해야 하는 바, 등반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파악한 코스를 잊어버릴 경우에는 코스에 포함된 홀더가 아닌 다른 홀더를 잡게 되어 등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초급과 중급 및 상급으로 코스가 구분되지 않아 항상 같은 코스만을 연습해야 하고 다른 코스를 연습하고자 할 경우에는 코치의 지도를 받아야 함에 따라 훈련효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290587호(2002.09.16.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27597호(2006.09.22. 등록)
본 발명은 코스별로 등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신이 원하는 코스를 따라 등반을 할 수 있음은 물론 단계별로 코스를 설정하여 등반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코스 난이도를 높일 수 있으며 코치 없이도 등반자가 스스로 코스를 설정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등반 훈련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는, 복수개 지지프레임과 상기 복수개 지지프레임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클라이밍체와 상기 클라이밍체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복수개 홀더로 이루어진 클라이밍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홀더 각각에는 설정된 등반코스에 의해 각각 점등되는 점등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점등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등반코스설정부가 구비된 코스설정기기가 구비되어, 상기 코스설정기기에 구비된 등반코스설정부의 입력된 등반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수개 홀더 각각에 구비된 점등램프 중 선택된 등반코스를 따라 상기 점등램프가 각각 점등되어 등반코스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점등램프는, 상기 복수개 홀더 각각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 홀더 내면이 위치되는 클라이밍체 표면 또는 복수개 홀더가 각각 위치되는 클라이밍체 표면 일측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클라이밍체에 구비되는 복수개 홀더 중 등반자가 설정된 등반코스의 홀더가 아닌 설정되지 않은 홀더를 파지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설정되지 않은 홀더를 파지하였을 때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송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 및 음성송출부는 상기 제어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복수개 홀더 각각이 구비되는 상기 클라이밍체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 홀더에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코스설정기기는, 상기 제어부와 블루투스 또는 데이터통신 또는 와이파이로 연결되는 휴대폰이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클라이밍체에 구비되는 복수개 홀더를 파지하여 등반하여 클라이밍을 할 때 등반자가 설정한 코스에 따라 점등된 점등램프에 의해 설정된 코스에 맞는 홀더를 파지하여 클라이밍을 할 수 있어 초급, 중급, 상급의 코스별 훈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정되지 않은 홀더를 파지하면 음성송출부를 통해 경고음성이 송출되기 때문에 클라이밍 도중 수정이 가능하여 나머지 구간에 대한 훈련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등반자 자신에 맞는 코스를 스스로 설정하여 클라이밍을 할 수 있음에 따라 훈련효과는 물론 운동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코스를 알려주는 코치 도움 없이도 혼자서 클라이밍을 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개념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6은 본 발명인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의 구성요부 실시예들을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인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의 실시예들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 지지프레임(11)과 상기 복수개 지지프레임(11)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클라이밍체(10)와 상기 클라이밍체(10)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복수개 홀더(20)로 이루어진 클라이밍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라이밍체(10)에 구비된 복수개 홀더(20)를 파지하고 발을 디디면서 클라이밍체(10) 상단부까지 등반을 하는 것으로, 이는 기존 클라이밍기구(인공암벽등반)와 크게 다르지 않은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때, 상기 클라이밍체(10)는 조립식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 홀더(20)를 파지하고 발을 디디면서 클라이밍체(10) 상단부까지 등반을 할 때 예를 들어, 초급코스, 중급코스, 상급코스 등과 같은 등반코스별로 등반자가 설정하여 등반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등반코스를 설정하여 등반훈련을 진행함에 따라 코스를 알려주는 별도의 코치가 없이도 스스로 등반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복수개 홀더(20) 각각에는 설정된 등반코스에 의해 각각 점등되는 점등램프(30)가 구비되고, 상기 점등램프(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등반코스설정부(51)가 구비된 코스설정기기(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코스설정기기(50)는, 상기 제어부(40)와 블루투스 또는 데이터통신 또는 와이파이로 연결되는 휴대폰이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코스설정기기(50)가 휴대폰일 경우에는 상기 등반코스설정부(51)는 휴대폰에 설치하는 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말기일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클라이밍체(10)에 구비되거나 또는 클라이밍체(1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점등램프(30)는 다양한 램프가 적용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LED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점등램프(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는 충전 밧데리 또는 전선 플러그 또는 밧데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인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가 야외에 설치될 경우에는 태양광을 이용한 솔라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코스설정기기(50)에 구비된 등반코스설정부(51)의 입력된 등반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복수개 홀더(20) 각각에 구비된 점등램프(30) 중 선택된 등반코스를 따라 상기 점등램프(30)가 각각 점등되어 등반코스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먼저 등반자가 등반하기 전 상기 코스설정기기(50)에 구비되는 등반코스설정부(51)를 이용하여 자신에 맞는 등반코스를 설정한 후 복수개 홀더(20)를 잡고 클라이밍체(10) 상단부까지 등반을 하면 되는 것으로, 등반코스설정부(51)를 이용하여 등반코스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복수개 점등램프(30)가 설정된 코스별로 각각 점등되어 복수개 홀더(20) 중 해당되는 등반코스별로 홀더(20)에 점등빛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등반자가 점등빛이 전달된 홀더(20)만을 파지하여 클라이밍체(10) 상단부까지 등반을 하면 되는 것으로, 점등램프(30)의 점등빛을 등반자가 육안으로 쉽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등반코스별로 등반훈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점등램프(30)는, 상기 복수개 홀더(20) 각각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 홀더(20) 내면(21)이 위치되는 클라이밍체(10) 표면(12)에 구비되거나 또는 복수개 홀더(20)가 각각 위치되는 클라이밍체(10) 표면(12) 일측에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점등램프(30)가 복수개 홀더(20) 각각의 내면(21)이 위치되는 클라이밍체(10) 표면(12)에 구비될 경우에는 점등램프(30)의 발광되는 점등빛이 상기 홀더(20)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어 육안으로 쉽고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홀더(20)는 발광빛이 투광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등반코스설정부(51)를 이용하여 등반코스를 설정하면 복수개 점등램프(30) 중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설정된 코스에 해당되는 점등램프(30)만이 점등되는 바, 등반자가 복수개 홀더(20) 중 점등된 점등램프(30)에 해당되는 홀더(20)를 이용하여 클라이밍체(10) 상단부측으로 등반을 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클라이밍체(10)에 구비되는 복수개 홀더(20) 중 등반자가 설정된 등반코스의 홀더(20)가 아닌 설정되지 않은 홀더(20)를 파지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부(60) 및 상기 센서부(60)에 의해 설정되지 않은 홀더(20)를 파지하였을 때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송출부(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부(60) 및 음성송출부(70)는 상기 제어부(4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복수개 홀더(20) 각각이 구비되는 상기 클라이밍체(10) 표면(12)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 홀더(20)에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센서부(60)와 음성송출부(70)가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등반자가 설정된 코스에 해당되지 않은 홀더(20)를 잡을 경우 상기 센서부(6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센서부(60)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에 의해 상기 음성송출부(7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예컨대, '코스에 해당되는 홀더가 아닙니다' 라는 음성이 송출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코스에 해당되지 않은 홀더(20)를 잘 못 잡았을 때 음성송출부(70)를 통해 음성이 송출됨에 따라 등반자로 하여금 잘 못 잡은 홀더에 의해 설정된 등반코스에 맞추어 등반을 진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클라이밍체 11 : 지지프레임
12 : 클라이밍체 표면 20 : 홀더
21 : 홀더 내면 30 : 점등램프
40 : 제어부 50 : 코스설정기기
51 : 등반코스설정부 60 : 센서부
70 : 음성송출부

Claims (4)

  1. 복수개 지지프레임(11)과 상기 복수개 지지프레임(11)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클라이밍체(10)와 상기 클라이밍체(10)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복수개 홀더(20)로 이루어진 클라이밍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홀더(20) 각각에는 설정된 등반코스에 의해 각각 점등되는 점등램프(30)가 구비되고,
    상기 점등램프(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등반코스설정부(51)가 구비된 코스설정기기(50)가 구비되어,
    상기 코스설정기기(50)에 구비된 등반코스설정부(51)의 입력된 등반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복수개 홀더(20) 각각에 구비된 점등램프(30) 중 선택된 등반코스를 따라 상기 점등램프(30)가 각각 점등되어 등반코스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램프(30)는,
    상기 복수개 홀더(20) 각각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 홀더(20) 내면(21)이 위치되는 클라이밍체(10) 표면(12)에 구비되거나 또는 복수개 홀더(20)가 각각 위치되는 클라이밍체(10) 표면(12) 일측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밍체(10)에 구비되는 복수개 홀더(20) 중 등반자가 설정된 등반코스의 홀더(20)가 아닌 설정되지 않은 홀더(20)를 파지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부(60) 및 상기 센서부(60)에 의해 설정되지 않은 홀더(20)를 파지하였을 때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송출부(70)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60) 및 음성송출부(70)는 상기 제어부(4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복수개 홀더(20) 각각이 구비되는 상기 클라이밍체(10) 표면(12)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 홀더(20)에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설정기기(50)는,
    상기 제어부(40)와 블루투스 또는 데이터통신 또는 와이파이로 연결되는 휴대폰이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
KR1020190105969A 2019-08-28 2019-08-28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 KR20210025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69A KR20210025928A (ko) 2019-08-28 2019-08-28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69A KR20210025928A (ko) 2019-08-28 2019-08-28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28A true KR20210025928A (ko) 2021-03-10

Family

ID=7514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969A KR20210025928A (ko) 2019-08-28 2019-08-28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59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725A (ko) * 2021-03-26 2022-10-05 (주)피앤제이파트너스 치매의 예방 및 교정기기
KR102476187B1 (ko) * 2022-03-03 2022-12-12 허송회 실내암벽등반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587Y1 (ko) 2002-06-17 2002-10-04 백선필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KR200427597Y1 (ko) 2006-07-06 2006-09-27 정근석 암벽등반훈련용 클라이밍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587Y1 (ko) 2002-06-17 2002-10-04 백선필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KR200427597Y1 (ko) 2006-07-06 2006-09-27 정근석 암벽등반훈련용 클라이밍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725A (ko) * 2021-03-26 2022-10-05 (주)피앤제이파트너스 치매의 예방 및 교정기기
KR102476187B1 (ko) * 2022-03-03 2022-12-12 허송회 실내암벽등반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5928A (ko) 코스설정이 가능한 클라이밍 기구
CN113426068B (zh) 一种康复训练设备及其工作方法
CN104127303B (zh) 一种眼肌训练装置及其使用方法
GB2503679A (en) A programmable visual training aid for swimmers
CN101537248B (zh) 一种篮球投篮训练器
Stetsenko et al. Specific features of the scenic method in the genre" Circus Gymnastics": formal techn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analysis of tricks on" Shvung Trape"(trapezium)
CN110038282A (zh) 一种武术动作指导装置
WO2023090675A1 (ko) 점등을 이용한 골프스윙연습장치
WO2005016457A3 (en) Combination free and stack-weight fitness apparatus
US11925847B2 (en) Ski-right ski trainer
CN101596353B (zh) 一种可调式篮球投篮训练器
CN107970594A (zh) 一种带有可更换智能指示头的台球杆及使用方法
CN209848278U (zh) 一种羽毛球步伐辅助训练器
KR20090087318A (ko) 골프 스윙 발광 트레이너
CN107376286A (zh) 一种衡稳性力量训练剑靶
CN205683531U (zh) 一种多向智能拔河装置
CN103801064A (zh) 一种儿童用佩剑训练系统
CN109908569A (zh) 一种羽毛球步伐辅助训练器
US20110223572A1 (en) Method of teaching swimming
CN205494899U (zh) 跆拳道平衡训练器
CN204683626U (zh) 一种音乐调控的心理训练装置
CN212187633U (zh) 一种多功能平衡训练设备
CN106943730B (zh) 滑雪机安全快捷换刃教学方法
CN211189074U (zh) 一种智慧城市的老年人健身设施
CN220558513U (zh) 一种单人网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