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722A - 지지 의복 - Google Patents

지지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722A
KR20210025722A KR1020217006154A KR20217006154A KR20210025722A KR 20210025722 A KR20210025722 A KR 20210025722A KR 1020217006154 A KR1020217006154 A KR 1020217006154A KR 20217006154 A KR20217006154 A KR 20217006154A KR 20210025722 A KR20210025722 A KR 20210025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amping
damping structure
chest
wearer
support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861B1 (ko
Inventor
배런 씨 브랜트
다니엘라 그로그로
이우스티니아 코시카로프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1002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21Brassieres with suspension construction for the breas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5Brassie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C3/0057Brassie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8Brassieres combined with othe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여기에서의 양태는 지지 의복의 가슴 접촉면(110, 111)들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진동 감쇠 구조(105)를 갖는 지지 의복(100)을 제공한다. 진동 감쇠 구조는, 착용자 가슴의 안쪽측과 착용자의 흉골에 의해 획정된 공간을 실질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형상 및/또는 소재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위치 설정 및 배치는, 예컨대 운동 활동 중에 적어도 착용자의 가슴의 좌우(medial-to-lateral) 흔들림을 통해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고 소산시키는 진동 감쇠 구조의 능력을 증대시키다.

Description

지지 의복{SUPPORT GARMENT}
여기의 양태는 착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의복에 관한 것이다.
운동 활동 중에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브라와 같은 종래의 지지 의복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가슴의 캡슐화 및/또는 압박을 통해 지지한다.
본 발명의 예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를 갖는 지지 의복을 예시하고,
도 2 내지 도 4는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진동 감쇠 구조를 갖는 지지 의복을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의 예시적인 부분 단면을 예시하며,
도 5 및 도 6은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지지 의복에서 사용하기 위한 진동 감쇠 구조의 상이한 형상 구성의 예시적인 정면도를 예시하고,
도 7은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진동 감쇠 구조의 예시적인 측면도를 예시하며,
도 8 및 도 9는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를 갖는 지지 의복의 추가의 예를 예시하고,
도 10은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대안의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를 갖는 지지 의복을 예시하며,
도 11은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도 10의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도 11의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법적 요건을 충족하는 특수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보호대상이 설명된다. 그러나, 설명 자체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자들은, 청구되거나 개시된 보호대상이 다른 방식으로도 또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현재 기술이나 미래의 기술과 함께 다른 단계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단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더욱이, “단계” 및 “블럭”이라는 용어는 여기에서는 채용되는 방법의 상이한 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개별 단계들의 순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그리고 개별 단계들의 순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양한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높은 수준에서, 여기에서의 양태는, 예컨대 운동 활동 중에 착용자 가슴의 적어도 좌우(medial-to-lateral) 흔들림, 움직임 또는 진동을 줄이도록 구성된 진동 감쇠 구조를 갖는, 브라와 같은 지지 의복에 관한 것이다. 진동 감쇠 구조는 또한 운동 활동 중에 상하(superior-to-inferior) 움직임, 바운스 또는 진동을 줄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지지 의복은 착용자의 가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가슴 접촉면을 포함하고, 진동 감쇠 구조는 가슴 접촉면들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진동 감쇠 구조는, 적어도 착용자 가슴의 안쪽면과 착용자의 흉골에 의해 획정된 공간(통상적으로, 착용자의 가슴골로 알려짐)을 차지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지하도록 구성되게 하는 형상 구성 및/또는 소재 특징을 갖는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진동 감쇠 구조는 착용자의 가슴에 의해 소재로 전달되는 힘을 흡수 및 소산시키는 능력을 촉진하는 기계적 특징을 나타내는 소재로 구성된다. 예컨대, 소재는 착용자의 가슴이 소재에 접촉할 때에 착용자의 가슴 조직보다 큰 범위로 변형하도록 가슴 조직보다 큰 압축성(즉, 강성이 덜함)을 갖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착용자의 가슴으로부터 소재로의 충격력의 전달과, 후속하는 소재에 의한 충격력의 흡수 및 소산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소재를 위한 예시적인 강성은 약 15 N/mm 이하일 수 있다. 소재는 또한 비교적 높은 에너지 회수율(즉, 리바운드 동안에 회수되는 입력 에너지의 퍼센티지)을 나타내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소재는 약 70 % 내지 약 90 %의 에너지 회수율을 나타내도록 선택될 수 있다. 비교적 높은 에너지 회수 퍼센티지에 의해, 소재는 착용자의 가슴의 형상으로 “몰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진동 감쇠 구조는 착용자의 가슴 사이의 공간을 충전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가슴의 안쪽면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르거나 몰딩한다. 착용자의 가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진동 감쇠 구조는 보다 양호하게 동작 중에 가슴에 의해 생성되는 힘을 흡수하고 소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의 양태는 적어도 전방부를 포함하는 지지 의복에 관한 것이다. 전방부는, 지지 의복이 착용 상태의 형태일 때에 진동 감쇠 구조가 적어도 착용자 가슴의 안쪽면과 착용자의 흉골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을 차지하게 구성되도록, 지지 의복이 착용 상태의 형태일 때에 착용자의 가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가슴 접촉면과 한 쌍의 가슴 접촉면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진동 감쇠 구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의 다른 양태는, 지지 의복이 착용 상태의 형태일 때에 착용자의 가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가슴 접촉면과, 한 쌍의 가슴 접촉면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제1 진동 감쇠 구조를 포함하는 전방부를 적어도 포함하고, 진동 감쇠 구조는 약 15 N/mm 이하의 강성과 약 70 % 내지 약 90 %의 에너지 회수 특징을 갖는 것인 전방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지지 의복을 제공한다.
여기에서의 또 다른 양태는 적어도 전방부를 포함하는 지지 의복을 제공한다. 전방부는, 각각 내향면과, 내향면 반대측의 외향면을 갖는 한 쌍의 가슴 접촉면과, 한 쌍의 가슴 접촉면 사이에 위치 설정되고, 내향면과, 내향면 반대측의 외향면을 갖는 진동 감쇠 구조를 포함하며, 각각의 가슴 접촉면의 내향면과 외향면은 그 사이에 제1 평균 두께를 획정하고, 진동 감쇠 구조의 내향면과 외향면은 그 사이에 제2 평균 두께를 획정하며, 제2 평균 두께는 제1 평균 두께보다 크다.
“상위(superior)”, “하위(inferior)”, “안쪽(medial)”, “바깥쪽(lateral)”과 같은 여기에서 사용되는 위치 용어는 해부학적 위치로 서있는 가상 착용자에 의해 착용된 지지 의복에 대하여 그 통상의 해부학적 의미가 주어진다. 착용자에 대하여 지지 의복 상의 구조의 위치를 기술할 때에 사용되는 “접촉하도록 구성된”이라는 구문 또는 다른 유사 구문은 착용자를 위한 적절한 크기의 지지 의복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만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지지 의복”이라는 용어는 가슴 조직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스타일 또는 타입의 지지 의복에 관련된다. 예시적인 지지 의복은 그 용어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브라(스포츠 브라, 종래의 브라 등), 캐미솔, 수영복 또는 내장형 지지체를 지닌 다른 의복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가슴 접촉면”이라는 용어는 착용자의 가슴과 접촉하는 임의의 타입의 구조를 망라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각각의 가슴 접촉면은 몰드형 컵 또는 비몰드형 컵과 같은 가슴 컵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슴 접촉면은 각각의 접촉면이 각각의 가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분리된 별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가슴 접촉면은 착용자의 양쪽 가슴과 접촉하는 단일형 또는 연속형 밴드 소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여기에서의 양태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제 도 1로 돌아가면,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진동 감쇠 구조(105)를 지닌 예시적인 지지 의복(100)이 착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의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브라 형태로 도시한 지지 의복(100)은 착용자의 오른쪽 및 왼쪽 가슴을 각각 커버하도록 구성된 한쌍의 가슴 접촉면(110, 111),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 연장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어깨끈(112) 및 지지 의복(100)을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가슴 아래에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된 언더핸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어깨끈(112)은 선택적일 수 있다. 예컨대, 지지 의복(100)은 반두 스타일(bandeau-style) 의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언더핸드(114)는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지만, 선택적일 수도 있다. 예컨대, 지지 의복(100)이 상의 형태인 경우, 언더핸드(114)는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고, 상의 저부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그리고 다른 양태 및 그 임의의 변형예가 여기에서의 양태 내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계속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 의복(100)은 착용자의 몸통 주위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될 때, 예컨대 어깨끈(112) 및/또는 언더 핸드(114)를 통해 지지 의복(100)의 전방에 연결되는 후방부를 더 포함한다. 더욱이, 지지 의복(100)의 후방부는 레이서백 스타일(racerback-style), 종래의 스타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가 여기에서의 양태 내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지지 의복(100)은 진동 감쇠 구조(105)(시야로부터 숨겨진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점선으로 도시함)를 포함한다. 진동 감쇠 구조(105)는 가슴 접촉면(110, 111) 사이에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감쇠 구조(105)는 오른쪽 가슴 접촉면(110)의 안쪽면과 왼쪽 가슴 접촉면(111)의 안쪽면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아래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하겠지만, 진동 감쇠 구조(105)는 착용자의 가슴들 사이의 공극 또는 공간을 충전할 수 있는 형상 구성 및/또는 소재를 갖는다. 즉, 진동 감쇠 구조(105)는 적어도 착용자의 가슴들의 안쪽면과 착용자의 흉골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 또는 공극(즉, 착용자의 가슴골)을 완전히 충전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형상 구성 및/또는 소재를 갖고, 이에 따라 지지 의복(100)이 착용 상태의 형태일 때에 적어도 착용자의 가슴들의 안쪽면이 진동 댐?V 구조(105)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지지 의복(100)은 또한 선택적으로 오른쪽 및 왼쪽 가슴 접촉면(110, 111)의 바깥쪽면에 위치 설정되는 진동 감쇠 구조(116)를 가질 수 있다[사시도로 인해 도 1에서는, 단지 왼쪽 가슴 접촉면(111)의 바깥쪽면에 인접한 진동 감쇠 구조(116)만이 도시되어 있다]. 진동 감쇠 구조(116)는 측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착용자의 가슴에 의해 부여되는 힘을 흡수하고 소산시키는 데 기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양태에서는, 지지 의복(800)이 가슴 접촉면(805, 806)들 사이에서부터 가슴 접촉면(805, 806)들 아래로 연장되고, 가슴 접촉면(805, 806)들의 바깥측을 따라 종결되는 단일 연속형 구조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8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의복(900)은 거의 지지 의복(900) 전부에 걸쳐[즉, 참조부호 9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슴 접촉면(910, 911) 사이, 가슴 접촉면(910, 911)들에 걸쳐 그리고 가슴 접촉면(910, 911)들의 바깥쪽면에 걸쳐] 연장되는 단일 연속형 구조를 갖는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90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의복(900)에 대하여, 가슴 접촉면(910, 911)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되는 진동 감쇠 구조의 두께는, 브라의 전체 중량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도록 및/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외관을 형성하지 않도록 (참조부호 912로 나타낸) 가슴 접촉면(910, 911)의 안쪽측들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진동 감쇠 구조의 두께보다 얇은 것으로 고려된다.
도 1로 돌아가면, 예시적인 양태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는, 예컨대 운동 활동 중에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착용자의 가슴에 의해 진동 감쇠 구조(105)에 부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고 소산시키도록 구성된다. 충격력의 흡수 및 소산은 진동 감쇠 구조(105)의 기계적인 변형(즉, 수동 감쇠)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가슴들 사이의 진동 감쇠 구조(105)의 위치 설정으로 인해, 감소 구조(105)는 착용자의 가슴의 좌우 움직임을 통해 생성되는 충격력을 소산시키기에 최적화될 수 있다. 더욱이, 아래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하다시피 진동 감쇠 구조(105)는 또한 착용자의 가슴의 상하 움직임을 통해 생성되는 충격력을 추가로 흡수하고 소산시키기에 최적화된 형상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계속해서, 힘을 흡수하고 소산시킬 수 있도록,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를 위한 소재는 특정 기계적 특징을 나타내도록 선택된다. 예컨대, 예시적인 양태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소재는 약 15 N/mm 이하의 강성을 나타낼 수 있다(여기에서 사용되는“약”이라는 용어는 주어진 값의 ± 10% 이내를 의미함). 강성은 소재가 인가된 힘에 응답하여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로서 규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소재의 강성은 가슴 조직의 평균 강성보다 작도록 선택된다. 이와 같이,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의 소재는 소재와 가슴 조직과의 접촉 시에 가슴 조직보다 큰 정도로 변형하도록(예컨대, 기계적 변형을 겪도록) 선택되어, 소재가 가슴 조직으로 인한 임의의 충격력을 흡수 및/또는 소산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재의 강성은 지지 의복(100)에 의해 지지될 가슴의 예상 크기 및/또는 단단함에 따라 맞춰질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보다 크고/크거나 단단한 가슴은 보다 작은 가슴에 비해 큰 충격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슴이 큰 여성 및/또는 보다 단단한 가슴 조직을 가질 수 있는 여성을 위해 구성되는 지지 의복을 위해 강성이 보다 큰 소재(예컨대, 약 7 N/mm 내지 약 15 N/mm의 강성)가 선택될 수 있다.
가슴 진동을 줄이는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의 능력에 기여하는 다른 기계적인 특징은 그 에너지 회수율이며, 에너지 회수율은 하중이 제거될 때 (열로서 소산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회복되는,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에 의해 저장되는 에너지량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소재는 약 70 % 내지 약 90 %의 에너지 회수율을 갖도록 선택된다. 비교적 높은 에너지 회수율을 가짐으로써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는 착용자 가슴 둘레에 일치하거나 몰딩될 수 있다. 예컨대, 진동 감쇠 구조(105)는 높은 에너지 회수율을 갖는 것으로 인해 적어도 착용자의 가슴의 안쪽면 둘레에 몰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진동 감쇠 구조(116)는 적어도 착용자의 가슴의 바깥쪽면의 일부 둘레에 몰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가 착용자의 가슴에 의해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에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고 소산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를 형성하는 소재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추가의 기계적 속성은, 충격 중에 소성 변형하지 않고 착용자의 가슴 조직에 의해 부여되는 수직 하중 또는 힘을 견디는 그 능력이다. 예컨대,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는 소성 변형을 겪기 전에 약 10 뉴턴(N), 20 N, 30 N, 40 N, 50 N, 60 N, 70 N, 80 N, 90 N 또는 100 N(및/또는 그 사이의 값)의 최대 한계 하중을 가질 수 있다.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되는 예시적인 소재는 개방형 셀 발포체, 폐쇄형 셀 발포체, 스페이서 메시 소재, 스프링형 구조(예컨대, 탄성 코일 구조), 비드(예컨대, 스티로폼 비드), 예컨대 모노필라멘트 및 다른 얀으로 형성된 중공형 가요성 파이프 구조, 예컨대 일본 오사카에 소재하는 Toyoba Co., Ltd.에 의해 제조된 Breathair™과 같은 부직포 소재, 공기 충전 필로우 또는 블래더, 사출 성형 소재, 압출 성형 소재, 3차원 인쇄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소재 모두는 충격력에 반응하여 일종의 기계적 변형을 겪을 수 있다. 전술한 기계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 이외에도, 소재들은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의 통기성(즉, 소재를 통한 수증기의 전달)을 증대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는 여러 방식으로 지지 의복(100)에 포함될 수 있다. 일례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는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를 직접 가슴 접촉면(110, 111) 및/또는 지지 의복(100)의 내향면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지지 의복(100)에 직접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은 스티칭, 접합, 접착제, 용접, 버튼, 스탭 후크 앤 루프 파스너 등의 사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은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를 지지 의복(100)에 영구적으로 또는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예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는 직물층들 사이에 포함될 수 있고, 직물층들은 가슴 접촉면(110, 111) 및/또는 지지 의복(100)의 내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는 가슴 접촉면(110, 111)에 직접 고정되는 대신에, 직물층을 통해 가슴 접촉면(110, 111)에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가슴 접촉면(110, 11)이 2개의 직물층으로 형성될 때,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는 직물층들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일양태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의 외향면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직물은 앞쪽 방향으로의 진동 감쇠 구조(105)의 연장을 제한하도록 비연신성 소재일 수 있다. 이것은 착용자의 편안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지지 의복(10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의 앞쪽 연장을 제한하는 것은 진동 감쇠 구조의 전체 강성 및 에니저 회수를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는 가슴 접촉면(110, 111)의 일체형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가슴 접촉면(110, 111)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편직, 직조 및/또는 몰딩 프로세스는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를 형성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는 가슴 접촉면(110, 111)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동일한 얀 또는 소재를 포함할 것이다.
계속해서, 또 다른 양태에서 지지 의복(100)은 필요 시에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가 삽입될 수 있는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운동 활동에 참가하지 않을 때에 그 각각의 포켓에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를 삽입하지 않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착용자는 운동 활동에 참가할 때에 그 각각의 포켓에 진동 감쇠 구조(105 및/또는 116)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삽입할 수 있다. 진동 감쇠 구조(105)에 관하여 몇몇 양태에서, 지지 의복(100)은, 착용자가 운동 활동에 참가할 때에 진동 감쇠 구조(105)에 걸쳐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된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양태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는 착용자가 운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 착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착용자의 가슴들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충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용자는 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스트랩(또는 다른 타입의 인장 구조)을 진동 감쇠 구조(105)의 외향면에 걸쳐 위치 설정할 수 있다. 스트랩에 의해 부여되는 인장력은 진동 감쇠 구조(105)가 착용자의 가슴들 사이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충전(예컨대, 약 60%, 70%, 80%, 90%, 및/또는 100% 충전)하도록 진동 감쇠 구조(105)를 위치 설정하는 데 기여한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가 여기에서의 양태 내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진동 감쇠 구조(105)와 같은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가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라 착용자의 가슴의 안쪽면과 착용자의 흉골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을 충전 또는 실질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착용자의 가슴의 대략적인 상부(상위부), 착용자의 가슴의 대략적인 중간 지점 및 착용자의 가슴의 대략적인 하부(하위부) 각각에서 취한 부분적인 단면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에 관하여, 착용자의 신체는 참조부호 210으로 나타낸다.
대표적인 예로서 도 2를 이용하면, 예시적인 양태에서 각각의 가슴 접촉면(110, 111)은 착용자의 신체면(210)을 향하도록 구성된 내향면(212)과, 착용자의 신체면(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외향면(214)을 포함한다. 내향면(212)과 외향면(214)은 이들 2개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두께(216)를 획정한다.
계속해서, 진동 감쇠 구조(105)도 또한 내향면(218)과 외향면(220)을 포함한다. 진동 감쇠 구조(105)의 내향면(218)과 외향면(220)은 이들 2개 표면(218, 2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두께(222)를 획정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의 외향면(220)은, 예컨대 가슴 접촉면(110, 111)의 정점 영역[지지 의복(100)이 착용 상태의 형상일 때에 앞쪽으로 가장 멀리 연장되는 영역]으로부터 측정했을 때에 가슴 접촉면(110)의 외향면(214)과 대체로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2 두께(222)는 진동 감쇠 구조(105)의 상위면(도 2에서 가장 잘 보임)에서부터 진동 감쇠 구조(105)의 대략적인 중간 지점(도 3에서 가장 잘 보임)까지, 진동 감쇠 구조(105)의 하위면까지 변하여, 전체 평균 두께(222)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두께(222)는 진동 감쇠 구조(105)의 상위면에서부터 진동 감쇠 구조(105)의 대략적인 중간 지점까지 점차 증가한 다음, 진동 감쇠 구조(105)의 대략적인 중간 지점에서부터 진동 감쇠 구조(105)의 하위면까지 점차 감소한다. 이러한 두께에서의 구배는 착용자의 가슴골의 통상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모방하기 위한 것이다. 진동 감쇠 구조(105)의 제2 두께(222)를 설명한 바와 같이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진동 감쇠 구조(105)는 착용자의 가슴들 사이의 공간을 구조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의 평균 두께(222)[진동 감쇠 구조(105)의 상위부, 중간부 및 하위부에 대해 평균냄]는 가슴 접촉면(110, 111)의 제1 두께(216)보다 크다. 예컨대, 진동 감쇠 구조(105)의 평균 두께(222)는 가슴 접촉면(110, 111)의 두께의 적어도 약 2배, 3배, 4배, 5배 또는 가슴 접촉면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것은, 2개의 가슴 접촉면을 연결하는 중앙부의 두께가 가슴 접촉면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하거나, 가슴 접촉면의 두께보다 훨신 얇은 가장 통상적인 브라 구조와 대조적이다.
여기에서, 진동 감쇠 구조(105)의 변하는 두께(222)는 진동 감쇠 구조(105)의 대략적인 수평방향 중간 지점에 관하여 비대칭일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대부분의 가슴은 착용자가 서있을 때에 가슴의 상위측에 비해 가슴의 하위측으로 갈수록 더 큰 체적의 조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진동 감쇠 구조(105)의 두께는 대체로 진동 감쇠 구조(105)의 하위부에서 더 두꺼울 수 있고, 진동 감쇠 구조(105)의 상위부에서 더 얇을 수 있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가 여기에서의 양태 내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진동 감쇠 구조(105)와 같은 진동 감쇠 구조의 몇몇 예시적인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관하여,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500)는 상위 가장 자리(510), 하위 가장자리(512) 및 대향하는 측방향 가장자리(514, 516)을 포함하는 둘레 형상에 의해 획정된다. 상위 가장자리(510)는 착용자의 가슴의 상위면에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되고, 하위 가장자리(512)는 착용자의 가슴의 하위면에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되며, 측방향 가장자리(514, 516)는 착용자의 가슴의 안쪽면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 가장자리(514, 516)는 진동 감쇠 구조(500)의 수직방향 중간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연장된다. 측방향 가장자리(514, 516)는 수직방향 중간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연장되는 것에 의해, 진동 감쇠 구조(500)가 지지 의복에 포함되었을 때에 착용자의 가슴의 안쪽면과 완전히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진동 감쇠 구조(600)를 위한 대안의 형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진동 감쇠 구조(600)는 모래시계 형상을 모방한 둘레 형상을 갖는다. 즉, 진동 감쇠 구조의 상위부(610)와 하위부(612)는 진동 감쇠 구조(600)의 중간부(614)보다 큰 폭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위부(610)의 폭(616)과 하위부(612)의 폭(618)은 대체로 중간부(614)의 폭(620)보다 크다. 여기에서, 상위부(610)의 폭은 하위부(612)의 폭과 동일하거나, 하위부의 폭보다 크거나, 하위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계속해서, 진동 감쇠 구조(600)의 형상 구성은 착용자의 가슴의 좌우 움직임을 통해 발생하는 충격력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가슴의 상하 움직임을 통해 발생하는 충격력도 또한 감쇠시키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예컨대, 진동 감쇠 구조(600)의 형상 구성은, 상위부(610)가 착용자의 가슴의 상위측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접촉할 수 있고, 하위부(612)는 착용자의 가슴의 하위측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위부(610)와 하위부(612)는 가슴이 상하로 움직이는 동안에 착용자의 가슴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고 소산시키는 데 기여하도록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700)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진동 감쇠 구조(700)는, 예컨대 도 1의 진동 감쇠 구조(105) 또는 도 5 및 도 6의 진동 감쇠 구조(500, 6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쇠 구조(700)는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지지 의복에 포함되는 진동 감쇠 구조(700)와 관련하여 상위측(710), 하위측(712), 앞쪽측(714) 및 뒤쪽측(7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 감쇠 구조(700)는 그 상위측(710)에서는 제1 두께(718)이고, 진동 감쇠 구조의 상위측(710)과 하위측(712) 사이의 대체로 중간 지점에서는 제2 두께(720)이며, 그 하위측(712)에서 제3 두께(722)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평균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가슴의 원래 가슴 형상을 모방하기 위해, 진동 감쇠 구조(700)의 중간 지점과 하위측(712)을 향할수록 두께는 상위측(710)에서의 두께(718)보다 대체로 두껍다. 여기에서, 진동 감쇠 구조(700)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상위측(710)과 하위측(712)의 두께는 대체로 동일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이들 양자의 두께는 두께(720)보다 얇을 수 있다. 대안으로서, 진동 감쇠 구조(700)는 그 상위측(710)에서부터 그 하위측(712)까지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여기에서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제 도 10 내지 도 12로 돌아가면, 여기에서의 양태에 따른 진동 감쇠 구조의 대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의복(1000)은 프레임(1012)과, 프레임(1012)의 경계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교차 결합 요소(1014)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진동 감쇠 구조(10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12)과 교차 결합 요소(1014)는 진동 감쇠 구조(105, 116)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기계적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감쇠 구조(1010)는, 지지 의복(1000)이 착용된 상태의 형태일 때에 착용자의 가슴 안쪽면과 착용자의 흉골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을 충전하거나 거의 충전하도록 지지 의복(1000)의 가슴 접촉면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여기에서, 진동 감쇠 구조(1010)는 지지 의복(1000)에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지지 의복(100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가 여기에서의 양태 내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11 및 도 12에는 진동 감쇠 구조(1010)만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진동 감쇠 구조(1010)의 전방 사시도를 예시하는 도 11에 관하여, 여기에서는 프레임(1012)이 진동 감쇠 구조(1010) 둘레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즉, 프레임은 진동 감쇠 구조(1010)의 상위 단부로부터 진동 감쇠 구조(1010)의 측면을 따라 그리고 진동 감쇠 구조의 하위 단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프레임(1012)이 상위 단부 및 하위 단부 없이 측면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프레임(1012)은, 예컨대 가요성 플라스틱 소재(통상“보닝(boning)”으로 알려짐)로 형성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다른 가요성 소재도 고려된다.
계속해서, 일련의 교차 결합 요소(1014)는 프레임(1012)의 제1 측면에서부터 프레임(1012)의 제2 측면으로 프레임(1012)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교차 결합 요소(1014)는 가요성 플라스틱 소재(또는 다른 가요성 소재)로도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프레임(1012)과 교차 결합 요소(1014)가, 예컨대 몰딩 프로세스를 통해 형성되는 단일형의 연속적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여기에서는 또한, 교차 결합 요소(1014)가 당업계에 알려진 고정 기술을 이용하여 프레임(1012)에 결합되는 별개의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진동 감쇠 구조(1010)가 지지 의복(1000)과 같은 지지 의복 내에서 사용될 때, 여기에서는 진동 감쇠 구조가 지지 의복에 포함되기 전에 소재층들 사이에 삽입되거나 소재층들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 결합 요소(1014)는 착용자의 가슴의 안쪽측과 착용자의 흉골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지하도록, 내측으로 휘거나 굴곡되도록 프레임에 대하여 뒤쪽으로 연장된다. 도 7의 진동 감쇠 구조(700)와 유사하게, 여기에서는 진동 감쇠 구조(1010)의 상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 설정되는 교차 결합 요소(1014)가 진동 감쇠 구조(1010)의 상위 단부와 하위 단부 사이에서 대체로 중간에 위치 설정되는 교차 결합 요소(1014) 또는 진동 감쇠 구조(1010)의 하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 설정되는 교차 결합 요소(1014)만큼 뒤쪽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진동 감쇠 구조(1010)의 하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 설정되는 교차 결합 요소(1014)는 진동 감쇠 구조(1010)의 상위 단부와 하위 단부 사이의 대체로 중간에 위치 설정되는 교차 결합 요소(1014)만큼 뒤쪽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가 여기에서의 양태 내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진동 감쇠 구조(1010)의 구성은 동작 중의 착용자의 가슴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는 데 기여할뿐만 아니라, 진공 감소 구조(1010)를 통한 공기 또는 수증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착용자를 시원하게 해주는 데 기여한다.
본 개시의 양태는 제한적이라기보다는 예시적인 의도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대안의 양태가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숙련된 기술자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전술한 개선점을 구현하는 대안의 수단을 개발할 수 있다.
소정 피쳐(feature) 및 하위 조합이 활용되며, 다른 피쳐 및 하위 조합과 관련없이 채용될 수 있고,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도면에 열거된 단계들 모두가 설명한 특정 순서로 실행되지는 않는다.

Claims (7)

  1. 지지 의복에 있어서,
    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는,
    한 쌍의 가슴 접촉면; 및
    상기 한 쌍의 가슴 접촉 면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 감쇠 구조
    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감쇠 구조는 상기 지지 의복이 착용 상태의 형태에 있을 때 적어도 착용자의 가슴의 내측면과 착용자의 흉골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을 차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동 감쇠 구조는 하나 이상의 공기 충전 필로우(pillow) 또는 블래더(bladder)를 포함하는 것인 지지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쇠 구조는 15N/mm 이하의 강성을 나타내는 소재를 포함하는 것인 지지 의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는 70% 내지 90%의 에너지 회수율을 나타내는 것인 지지 의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는 상기 한 쌍의 가슴 접촉면 사이에 위치하는 포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감쇠 구조는 상기 포켓 내에 제거 가능하게 위치하는 것인 지지 의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쇠 구조는 적어도 제1 소재층 및 제2 소재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지지 의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쇠 구조는 상기 전방부의 내향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인 지지 의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쇠 구조는 상기 한 쌍의 가슴 접촉면 사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는 것인 지지 의복.
KR1020217006154A 2017-02-24 2018-02-23 지지 의복 KR102368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63286P 2017-02-24 2017-02-24
US62/463,286 2017-02-24
US15/901,651 US11317658B2 (en) 2017-02-24 2018-02-21 Support garment
US15/901,651 2018-02-21
KR1020197022193A KR102223842B1 (ko) 2017-02-24 2018-02-23 지지 의복
PCT/US2018/019419 WO2018156893A1 (en) 2017-02-24 2018-02-23 Support gar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193A Division KR102223842B1 (ko) 2017-02-24 2018-02-23 지지 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722A true KR20210025722A (ko) 2021-03-09
KR102368861B1 KR102368861B1 (ko) 2022-03-02

Family

ID=632457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154A KR102368861B1 (ko) 2017-02-24 2018-02-23 지지 의복
KR1020197022193A KR102223842B1 (ko) 2017-02-24 2018-02-23 지지 의복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193A KR102223842B1 (ko) 2017-02-24 2018-02-23 지지 의복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1317658B2 (ko)
EP (2) EP3585193B1 (ko)
JP (2) JP6862565B2 (ko)
KR (2) KR102368861B1 (ko)
CN (2) CN110225707B (ko)
CA (2) CA3048500C (ko)
WO (1) WO2018156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73368A1 (en) * 2016-03-28 2017-09-28 Jacqueline Duckson Top Curves Personal Sweat Absorber
US10660377B2 (en) 2016-05-16 2020-05-26 Mast Industries (Far East) Limited Brassiere and front panel for brassiere
US11317658B2 (en) * 2017-02-24 2022-05-03 Nike, Inc. Support garment
US10736363B2 (en) * 2017-03-13 2020-08-11 Katharine B. David High-performance sports bra
GB201706335D0 (en) * 2017-04-20 2017-06-07 Creative Lingerie Ltd Brassiere
US10609966B2 (en) 2017-09-29 2020-04-07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Pressure-distributing undergarment
US11284648B2 (en) * 2018-06-21 2022-03-29 Nike, Inc. Young adult modesty support garment
US11406141B2 (en) * 2018-09-14 2022-08-09 Nike, Inc. Single-piece pad insert for bras
US10477902B1 (en) 2019-03-12 2019-11-19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Breast support garment
US11284647B2 (en) 2019-03-12 2022-03-29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Breast support garment
GB201908731D0 (en) * 2019-06-18 2019-07-31 Bonnie Bra Company Ltd brassieres
US10993482B2 (en) * 2019-07-18 2021-05-04 Ruby Ribbon, Inc. Active-wear bra and method
USD974700S1 (en) * 2019-10-03 2023-01-10 Everviolet, Inc. Intimate garment
US11969027B2 (en) 2020-08-06 2024-04-30 Nike, Inc. Support garment
AU2022279209A1 (en) 2021-05-19 2023-06-08 Lynn MIDDLETON Breast separator devices
GB202208147D0 (en) * 2022-06-01 2022-07-13 Prevayl Innovations Ltd Bra, garment and assembly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4511U (ko) * 1980-07-26 1982-02-23
KR940008016Y1 (ko) * 1992-09-04 1994-11-18 최현정 착탈식 에어튜브를 갖는 브레지어
US6769955B1 (en) * 2003-08-18 2004-08-03 Kelly J. Fisher Anti-wrinkle bra for sleeping
US20070155283A1 (en) * 2006-01-04 2007-07-05 Mcqueer Pamela S Protective activity garment
KR20130056215A (ko) * 2010-03-02 2013-05-29 폴 에반스 유방 보호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보조기
US8845388B1 (en) * 2012-06-01 2014-09-30 Darlene S. Dempsey Cleavage spacer
WO2015106620A1 (zh) * 2014-01-14 2015-07-23 香港纺织及成衣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运动文胸
US20160120235A1 (en) * 2014-11-05 2016-05-05 Theresa Scotto Feminine shirt having front insert for providing lateral breast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8739A (en) 1967-01-23 1969-11-18 Mary Phyllis Simpson Protective brassiere
US4607640A (en) 1985-11-18 1986-08-26 Mccusker Leroy H Athletic/industrial brassiere with protective inserts
US5244432A (en) 1992-03-27 1993-09-14 Moy Au May N Protective and supportive brassiere
US5664984A (en) * 1996-05-08 1997-09-09 Laughridge; Nancy E. Brassiere having frontal moisture control
JP3589553B2 (ja) 1997-09-12 2004-11-17 辰治 石丸 制振ユニット及び制振ダンパー
US6083080A (en) * 1999-02-23 2000-07-04 Lawson; Lajean Protective brassiere with local energy absorption
US6723401B1 (en) 1999-08-25 2004-04-20 Ergodyne Corporation Vibration damping memb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688942B2 (en) * 2001-03-15 2004-02-10 David L Holliday Activity bra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6644070B2 (en) 2001-03-29 2003-11-1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Three-dimensional fabric for seat
CN2479753Y (zh) * 2001-04-18 2002-03-06 张天红 可调式充气文胸
US6880269B2 (en) 2001-10-16 2005-04-19 Sting Free Company Athletic clothing with sting reduction padding
JP4275340B2 (ja) 2001-10-30 2009-06-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振装置
US6755717B2 (en) 2002-01-02 2004-06-29 Veronica C. Smith Brassiere, halter or bra garment improved with laterally attached, adjustable elastic bands for inertially restraining breasts
JP2003278060A (ja) 2002-03-25 2003-10-02 Suminoe Textile Co Ltd 三次元立体編物
US7001239B2 (en) * 2003-08-15 2006-02-21 Midge Russell Cleavage anti-wrinkle device
US7442110B2 (en) * 2004-05-17 2008-10-28 Saucony Inc. Brassiere, brassiere components, and materials for use thereof
CN2730163Y (zh) * 2004-08-24 2005-10-05 张振福 可调整的胸罩辅助囊
US7044829B1 (en) 2005-02-17 2006-05-16 Victoria's Secret Stores Brand Management, Inc. Pad with rigid and stretchable foam
US7669251B2 (en) 2005-03-21 2010-03-02 Honda Motor Co., Ltd. Impact and/or vibration absorbent material and protective articles making use thereof
GB0517896D0 (en) 2005-09-02 2005-10-12 Tyrer John R Support
US20070123145A1 (en) * 2005-11-17 2007-05-31 Chen-Fu Chang Adjustable brassiere support
FR2896131B1 (fr) 2006-01-16 2008-04-18 Promiles Sa Sous-vetement feminin, notamment soutien-gorge, pour la pratique sportive
US7458877B2 (en) * 2006-02-14 2008-12-02 Li-Man Yu Structure of bra made by means of hot-press shaping and method for hot-pressing to shape a bra
CN200997918Y (zh) * 2006-06-12 2008-01-02 俞全华 自由可调式充气文胸
JP5296350B2 (ja) 2007-08-28 2013-09-25 社団法人日本銅センター 制振部材
US8727830B2 (en) * 2008-04-23 2014-05-20 Garth Fleeton Brassiere with inflation /deflation assembly
WO2009149529A1 (en) 2008-06-13 2009-12-17 Elodia Avila Device away from breast
US8277276B2 (en) * 2008-07-15 2012-10-02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Brassiere cup with a breast enhancement insert and brassiere formed therewith
US8047892B1 (en) 2009-05-01 2011-11-01 Dempsey Darlene S Woman's undergarment to remedy chest wrinkles
AU2011293981B2 (en) * 2010-08-25 2014-07-31 Qp Holdings Limited A sports motion control bra
CN201837822U (zh) * 2010-11-01 2011-05-18 山东巨洋神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阻尼抗震大屏幕箱体
US10441003B2 (en) * 2011-03-02 2019-10-15 Clover Mystique Co. Limited X-shaped brassiere support and brassiere incorporating such support
JP5072128B2 (ja) 2011-03-31 2012-11-14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US9055771B2 (en) 2011-12-16 2015-06-16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Brassiere with excellent vibration resistance
US9345272B2 (en) * 2012-05-25 2016-05-24 Nike, Inc. Sport bra with moisture-transporting molded cups
JP5908005B2 (ja) 2013-01-31 2016-04-26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用衣類
JP6159540B2 (ja) 2013-02-26 2017-07-05 旭化成株式会社 防振性に優れるブラジャー
CN105188432B (zh) * 2013-03-15 2018-01-0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使用阻尼部件的防护垫
WO2015048180A2 (en) 2013-09-24 2015-04-02 Miggliozi Thomas Bra with impact and penetration resistant protective panel, impact detection and wireless notification
US10448678B2 (en) * 2014-08-13 2019-10-22 Mast Industries (Far East) Limited Bra incorporating shape memory polymer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06136350A (zh) * 2015-04-01 2016-11-23 维珍妮国际(集团)有限公司 胸罩和胸罩部件
US9681691B1 (en) * 2016-02-15 2017-06-20 Jane Kristen Hubbs Brassiere for reducing skin wrinkles in décolletage region of chest
GB2551534B (en) * 2016-06-21 2019-01-16 Sheffield Hallam Univ Brassiere with inflatable bladder
US11317658B2 (en) * 2017-02-24 2022-05-03 Nike, Inc. Support garment
AU2022279209A1 (en) * 2021-05-19 2023-06-08 Lynn MIDDLETON Breast separator device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4511U (ko) * 1980-07-26 1982-02-23
KR940008016Y1 (ko) * 1992-09-04 1994-11-18 최현정 착탈식 에어튜브를 갖는 브레지어
US6769955B1 (en) * 2003-08-18 2004-08-03 Kelly J. Fisher Anti-wrinkle bra for sleeping
US20070155283A1 (en) * 2006-01-04 2007-07-05 Mcqueer Pamela S Protective activity garment
KR20130056215A (ko) * 2010-03-02 2013-05-29 폴 에반스 유방 보호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보조기
US8845388B1 (en) * 2012-06-01 2014-09-30 Darlene S. Dempsey Cleavage spacer
WO2015106620A1 (zh) * 2014-01-14 2015-07-23 香港纺织及成衣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运动文胸
US20160120235A1 (en) * 2014-11-05 2016-05-05 Theresa Scotto Feminine shirt having front insert for providing lateral breast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90410B2 (en) 2023-07-04
CN113331495B (zh) 2024-02-09
CN110225707B (zh) 2021-06-04
JP7169394B2 (ja) 2022-11-10
KR20190099058A (ko) 2019-08-23
EP4233605A3 (en) 2023-11-08
EP4233605A2 (en) 2023-08-30
EP3585193B1 (en) 2023-07-12
JP6862565B2 (ja) 2021-04-21
WO2018156893A1 (en) 2018-08-30
KR102223842B1 (ko) 2021-03-08
CA3048500A1 (en) 2018-08-30
US20230270182A1 (en) 2023-08-31
CN113331495A (zh) 2021-09-03
CA3116262A1 (en) 2018-08-30
JP2021102837A (ja) 2021-07-15
EP3585193A1 (en) 2020-01-01
US20200383392A1 (en) 2020-12-10
US20180242653A1 (en) 2018-08-30
KR102368861B1 (ko) 2022-03-02
JP2020507020A (ja) 2020-03-05
CN110225707A (zh) 2019-09-10
US11317658B2 (en) 2022-05-03
CA3048500C (en)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842B1 (ko) 지지 의복
EP2548461B1 (en) Athletic bra
JP5517008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EP2608687B1 (en) A bra
CA3072375A1 (en) Pressure-distributing undergarment with fastening system
KR20060000173U (ko) 분할 패드가 구비된 기능성 브래지어
JP6164443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