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481A -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481A
KR20210025481A KR1020200095857A KR20200095857A KR20210025481A KR 20210025481 A KR20210025481 A KR 20210025481A KR 1020200095857 A KR1020200095857 A KR 1020200095857A KR 20200095857 A KR20200095857 A KR 20200095857A KR 20210025481 A KR20210025481 A KR 20210025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ntent
weight
geumsaye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111B1 (ko
Inventor
전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펑션파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펑션파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펑션파이브
Publication of KR2021002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95 내지 99.9 중량%의 천연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 소재는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을 포함한다. 화장료 조성물은 다각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고, 피부 탄력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금사연 둥지 추출물,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을 포함하여, 피부의 수분감 및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주름은 피부의 수분 및 콜라겐의 함량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력 등 여러 요인들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주름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 생성 및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이다.
이런 콜라게네이즈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수요가 있다.
한편, 중국 남부에서 동남아시아 전역의 바다에서 서식하고 있는 바다 제비의 일종인 "금사연"의 둥지는 중국 남부와 동남 아시아 일대에서 유명한 미용 원료이다.
제비집은 예로부터 보양식과 피부미용에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제비집의 주 원료인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이라는 성분 때문이다. 프로테오글리칸은 피부 미용뿐만 아니라 신체의 장기 및 단백질을 재생시키는 원료로서 주목을 받는 원료이다.
KR1020160150281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을 소정의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피부 염증 개선,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회복,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 피부 보습 개선, 피부 미백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사연 둥지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 및 피부 탄력 개선 효능이 더욱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및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금사연 둥지 추출물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개선은 항산화,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노화 방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회복, 피부 보습 개선, 피부 미백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여, 피부 탄력 개선, 보습 향상 등 다각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면서, 사용자의 기호도를 만족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생성을 저해하는 요소를 억제시킴으로써,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수분감 개선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화장료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다각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므로, 스킨 케어를 위한 과정이 대폭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 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 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 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 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95 내지 99.9 중량%의 천연 소재를 포함한다.
천연 소재는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맹그로브 (Rhizophora Mangle)"는 열대와 아열대 의 갯벌이나 하구에서 자라는 목본 식물의 집단으로 줄기와 뿌리에서 많은 호흡근이 내리고 열매는 보통 바닷물로 운반되나 어떤 종은 나무에서 싹이 터서 50 내지 60 cm 자란 다음 떨어지는 것도 있다. 식물학상 리조포라과(Rhizophoraceae), 마편초과, 콤 브레타과(Combretaceae), 소네라티아과(Sonneratiaceae), 멀구슬나무과, 자금우과, 꼭두서니과, 쥐꼬리망초과에 속하는 나무들이다. 맹그로브에는 대표적으로 레드 맹그로브, 블랙 맹그로브, 화이트 맹그로브가 있으며, 국내 해수어샵에서 들여와 판매되는 대부분의 맹그로브는 레드 맹그로브이다.
레드 맹그로브는 가장 크게 자라는 종으로 잎의 특징으로 윗면은 어두운 녹색 아랫면은 연녹색을 나타내고, 세 종류 중 레드 맹그로브의 가장 큰 특징은 바닥에 안정적으로서 있을 수 있는 지지근의 발달된 형태에 있다. 레드 맹그로브처럼 지지근이 발달하지 않은 대신, 뿌리는 얇으면서 땅에 낮게 깔리면서 연필만한 튜브 형태의 수많은 호흡근이 뿌리에 존재한다.
레드 맹그로브는 열대와 아열대의 갯벌이나 담수의 늪 및 기수와 해수의 해안선을 따라 서식하는 목본 실물로 군락을 이루어 숲의 형태로 세계에서 가 장 크게 번성하는 곳은 인도네시아이며, 두번째로 남플로리다이다. 또한, 동남아 지방과 카리브해, 태평양연안의 섬 지방과 해안지대에 자라고 있다. 뿌리를 통해 짠물에서 민물을 빨아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물을 흡수할 때 매우 작은 세포들이 소금을 제외한 물만 흡수할 수 있게 해준다. 이들은 조수에 따른 토양유실을 막아주며 물고기의 산란처와 서식지를 제공하는 등 해안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일을 막는 자연 방파제 역할과 염료, 의료용의 천연물 생산을 위한 자원으로도 주목 받고 있다.
줄기와 뿌리에서 많은 호흡근이 내리고 열매는 보통 바닷물로 운반되나 나무에서 싹이 터서(모체 발아) 50 내지 60 cm자란 다음 떨어지는 특이한 번식 방법으로 이를 태생 식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맹그로브는 유기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탁월한 능력을 가지며, 잎의 알코올 추출물은 강력한 혈당 저하 작용이 알려져 있다. 또한 잎 추출물은 머릿결보호제로, 껍질과 종자는 어독과 궤양의 치료제로도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맹그로브 캘러스"는 맹그로브의 줄기, 잎 등의 어느 부위로부터 유도된 것이든 모두 가능하나, 일 구체예로, 맹그로브 성체의 줄기와 잎의 조직 일부, 또는 맹그로브 종자의 발아된 유묘로부터 자엽을 절취하여 유도시킨 캘러스일 수 있고, 맹그로브의 어느 조직이든지 일부 잘라내어 옥신 및 사이토키닌의 함량을 조절한 배지에 놓아두면 캘러스가 형성될 수 있다.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은 전형 성능을 가져, 사용자의 피부의 재생 능력 및 자가 치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은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피부의 노화는 피부의 진피에서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줄어들면, 피부의 표피는 거칠어지며 노화 현상인 탄력 감소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은 이러한 피부 거칠어짐을 개선 또는 방지하고, 탄력 감소를 예방 또는 탄력 증진시키는 기능, 주름 방지, 주름 개선을 도울 수 있다.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9 중량%일 수 있다.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피부의 재생 능력 및 자가 치유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함량이 99 중량% 초과이면,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양이 적어 이에 따른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액의 함량 대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 비율은 1: 0.5 내지 1.5일 수 있다. 이 때 함량 비율은 부피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액의 함량 대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액에 의한 피부의 재생 능력 및 자가 치유 능력 향상과 금사연 둥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동시에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의 함량은, 다마스크 장미의 함량보다 많을 수 있다.
"다마스크 장미(Rosa damascena)"는 로즈 터키시 장미과의 식물이다. 전초, 꽃, 잎, 수피, 가지, 과실 또는 뿌리 등을 그대로 또는 분쇄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액의 함량은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의 함량보다 많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액의 함량은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의 함량과 동일하거나 적을 수도 있다.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Rosa Damascena Flower Oil)은 다마스크 장미꽃에서 추출한 휘발성 오일로서 향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며, 올리바늄과 마찬가지로 천연에서 추출됨에 따라 화학 향료가 주는 피부 자극과 화학물질의 피부 축적을 최소화하여 보다 산뜻하고 상쾌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은 피부에 컨디셔닝 역할을 하여, 활력을 더하고, 사용자의 피부결을 미끄럽고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을 꽃에서 얻는 경우, 아로마 오일로 역할을 하여 테라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은 겨울철 피부 진정과 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의 함량이 0. 1 중량% 미만이면, 피부 진정 및 보습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함량이 10 중량% 초과이면,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양이 적어 이에 따른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금사연"은 중국 남부에서 동남아시아 전역의 바다에서 서식하고 있는 바다 제비의 일종으로서, 그 둥지 는 중국 남부와 동남 아시아 일대에서 유명한 미용원료이다.
금사연 둥지의 주 원료인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이라는 성분은 피부 미용뿐만 아니라 신체의 장기 및 단백질을 재생시키는 원료로서 주목을 받는 원료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사연 둥지 추출물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부위는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유효성분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금사연 둥지의 중심 부분에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금사연 둥지 추출물은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금사연 둥지 추출물은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가 있어, 세포 독성 및 약물 내성과 같은 부작용없이 아토피 및 건선과 같은 피부 건조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금사연 둥지 추출물은 피부 건조증에서 기인하는 소양감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9 중량%일 수 있다. 금사연 둥지 추출물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함량이 99 중량% 초과이면,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및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의 양이 적어 이에 따른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은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의 함량보다 적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은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의 함량과 동일하거나 많을 수도 있다.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은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의 함량보다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재료 이외에, 배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합 성분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해초 엑기스,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담체의 함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99.99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의 함량은 90 중량% 내지 99 중량%일 수 있다. 이 때,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 각각의 함량과 담체의 함량이 합은 100 중량%일 수 있다.
담체의 함량이 90 중량% 내지 99 중량%일 때,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의 함량은 중량 0.01% 내지 중량 10%,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의 함량은 0.01 중량 % 내지 10 중량 %,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은 0.01 중량 % 내지 10 중량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90 중량%,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4 중량%,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2 중량%,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 4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99 중량%,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0.4 중량%,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0.2 중량%,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 0.4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는 예를 들어,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담체의 함량은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의 합보다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팩, 마사지 크림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일 때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일 때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일 때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일 때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일 때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일 때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때,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및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을 포함하여, 항산화, 피부 염증 개선,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회복,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 피부 보습 개선, 피부 미백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금사연 둥지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피부 주름 및 피부 탄력 개선 효능이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를 모두 포함하여, 피부 보호, 개선, 재생 등의 다각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가져, 피부 관리에 필요한 시간 및 화장품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0.01 내지 99 중량%,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0.001 내지 10 중량%,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 0.01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금사연 둥지 추출물은 금사연 둥지 1 ㎏ 당 pH 8인 알칼리 이온수 10 L를 혼합하고 90
Figure pat00001
에서 5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임상 실험 - 피부 보호 및 주름 개선
인체의 지방 세포들을 배지에 배양시킨 후,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화장품을 각각 주입하여, 피부 보호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관찰하였다. 각 화장품 별로 10개의 배지에 실험을 실시하였고, 피부 보호 및 주름 개선 효과가 가장 낮은 것을 0점, 가장 높은 것을 10점으로 하여, 평균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 나타난 대로, 실시예 1의 화장품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화장품보다 피부 보호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피부 보호 주름 개선
실시예 1 9.3 9.2
비교예 1 7.9 7.7
비교예 2 7.6 7.8
관능 검사 - 수분감 및 기호도
20세에서 65세 사이의 남녀 각각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화장품에 대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분감이 가장 높은 것을 10 점, 가장 낮은 것을 0점으로 하여, 평균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기호도에 대한 평가를 개별 항목으로 하고, 가장 만족한 상한을 10점, 가장 불만족한 상한을 0점으로 하여 평균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기호도는 사용시 촉촉함, 끈적임, 쾌적함, 편리함, 볼륨감, 탄력감을 종합하여 판단하도록 안내하였다. 하기 표 2에 나타난 대로, 실시예 1의 화장품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화장품보다 수분감 및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수분감 기호도
실시예 1 9.6 9.1
비교예 1 9.1 8.2
비교예 2 8,9 8.5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95 내지 99.9 중량%의 천연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 소재는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및
    금사연 둥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9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9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 0.01 내지 99 중량%;
    상기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0.001 내지 10 중량%; 및
    상기 금사연 둥지 추출물 0.01 내지 99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액의 함량 대 상기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 비율은 1: 0.5 내지 1.5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액의 함량은 상기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의 함량보다 많은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의 함량보다 많은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사연 둥지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담체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의 함량은
    상기 레드 맹그로브 캘러스 배양양액의 함량, 상기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및 상기 금사연 둥지 추출물의 함량의 합보다 많은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팩, 마사지 크림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95857A 2019-08-27 2020-07-31 화장료 조성물 KR102439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51 2019-08-27
KR20190105251 201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481A true KR20210025481A (ko) 2021-03-09
KR102439111B1 KR102439111B1 (ko) 2022-09-01

Family

ID=7517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857A KR102439111B1 (ko) 2019-08-27 2020-07-31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053B1 (ko) * 2022-10-11 2023-11-30 이수찬 통증 완화용 겔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636A (ko) * 2006-05-18 2007-11-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발아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0173A (ko) *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1134B1 (ko) * 2015-06-16 2016-04-08 하승완 피부 재생용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160150281A (ko) 2016-12-07 2016-12-29 (주)에프씨아이 저 전력 슬립 모드 및 웨이크업 모드를 구비한 무선통신 장치
KR101769422B1 (ko) * 2016-02-25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636A (ko) * 2006-05-18 2007-11-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발아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0173A (ko) *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1134B1 (ko) * 2015-06-16 2016-04-08 하승완 피부 재생용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769422B1 (ko) * 2016-02-25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60150281A (ko) 2016-12-07 2016-12-29 (주)에프씨아이 저 전력 슬립 모드 및 웨이크업 모드를 구비한 무선통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053B1 (ko) * 2022-10-11 2023-11-30 이수찬 통증 완화용 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111B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30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9013B1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US20140377201A1 (en) Skin-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trees including paper mulberry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184440A (ja) 紫外線細胞障害改善用皮膚外用剤
KR100878080B1 (ko) 피부 미용을 위한 영양 팩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9111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73698B1 (ko) 오미자 추출물과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1890828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34485B1 (ko)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103633A (ko) 대나무 잎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298449B1 (ko) 포포나무 추출물 및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1859B1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168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969475B1 (ko)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1725A (ko) 미백작용, 피부정화 및 보호에 효과적인 비누의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102673065B1 (ko) 입욕제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